KR200436221Y1 - 소 보정기 - Google Patents

소 보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6221Y1
KR200436221Y1 KR2020070005777U KR20070005777U KR200436221Y1 KR 200436221 Y1 KR200436221 Y1 KR 200436221Y1 KR 2020070005777 U KR2020070005777 U KR 2020070005777U KR 20070005777 U KR20070005777 U KR 20070005777U KR 200436221 Y1 KR200436221 Y1 KR 2004362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ck
battery
handle
charging
compens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57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승용
Original Assignee
임승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승용 filed Critical 임승용
Priority to KR20200700057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62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62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622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1/00Surgical instruments for veterinary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1/02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for inducing sleep or relaxation, e.g. by direct nerve stimulation, hypnosis, analgesi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mat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syc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Surge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의 항문에 삽입시켜 미약한 전기 충격을 줌으로써 하반신을 마비시켜 부분 마취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소 보정기에 관한 것으로, 단일체로 형성시켜 간편하게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오랜 시간의 시술 시에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현재 제공되고 있는 소 보정기는 소의 항문에 삽입시켜 전기가 통하도록 하기 위한 스틱과, 상기 스틱으로의 전기 공급 및 강도 조절을 위한 콘트롤박스와, 스틱에의 전기 충전을 위한 충전기 및 충전코드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시술 시에는 콘트롤 박스를 몸에 메고 휴대한 상태에서 스틱의 연결코드를 콘트롤박스에 연결한 상태에서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사용에 많은 불편함이 있고, 또한 오랜 시간의 시술 시 소의 움직임에 의하여 스틱이 빠질 수 있기 때문에 스틱이 빠지지 않도록 붙잡고 있어야 하는 것이나 콘트롤박스를 휴대한 상태이기 때문에 스틱을 오랫동안 붙잡고 있기가 용이치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스틱의 내부에 내공간을 형성하여 수소 충전 밧데리를 수납토록 하고, 스틱의 후단부에는 격자형으로 이루어지는 손잡이를 형성하여 손잡이의 내부에 전기의 온/오프 및 전기 강도 조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판을 수납하여 건의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휴대는 물론 사용이 편리한 소 보정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소 보정기, 수소, 충전, 밧데리

Description

소 보정기{a reezer for cattle}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일부 분해 사시도.
도 1a는 손잡이와 스틱의 결합 구성을 나타낸 일부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외관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참고 사용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접속체 2: 충전 밧데리
3, 4 : 케이블 5: 제어기판
6: 조절스위치 7: 표시판
10: 스틱 11: 전기충격부
12: 전기차단부 13: 밧데리 수납부
14: 결합부 20: 손잡이
21: 내공간부 22: 고정홈부
본 고안은 소의 항문에 삽입시켜 미약한 전기 충격을 줌으로써 하반신을 마비 시켜 부분 마취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소 보정기에 관한 것으로, 단일체로 형성시켜 간편하게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오랜 시간의 시술 시에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통상 이러한 시술은 소가 태어난 경우 황소를 암소로 전환하기 위한 시술 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러한 시술을 위하여 현재 제공되고 있는 소 보정기는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소 항문에 삽입시켜 전기가 통하도록 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로 이루어지는 스틱과, 상기 스틱으로의 전기 공급 및 공급되는 전기의 강도를 조절하기 위한 콘트롤박스와, 콘트롤박스의 휴대를 위한 충전기 및 충전코드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시술 시에는 콘트롤박스와 스틱을 휴대토록 하여야 하는 것으로, 이때 콘트롤박스는 멜빵이 형성되어 가슴에 오도록 멘 상태로 휴대토록 되어 있고 스틱은 휴대한 콘트롤박스에 연결코드를 접속시킨 상태에서 사용토록 하여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때 콘트롤박스는 무게와 부피 때문에 휴대가 불편할 뿐 아니라 시술 시에도 많은 불편함이 따르게 되고, 특히 스틱의 경우 오랜 시간의 시술 시 소의 움직임에 의하여 스틱이 쉽게 빠질 수 있기 때문에 스틱이 빠지지 않도록 붙잡고 있어야 하는 것이나 콘트롤박스를 휴대한 상태이기 때문에 스틱을 오랫동안 붙잡고 있기가 용이치 않은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서, 스틱의 내부에 내공간을 형성하여 수소 충전 밧데리를 수납토록 하고, 스틱의 후단부에는 격자형으로 이루어지는 손잡이를 형성하여 손잡이의 내부에 전기의 온/오프 및 전기 강도 조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판을 수납하여 건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소 보정기를 제공토록 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소 보정기는 소의 항문에 삽입시킬 수 있을 정도의 길이로 이루어진 스틱(10)과 상기 스틱(10)의 후단부에 결합되는 손잡이(20)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틱(10)은 접속체(1)를 통하여 전기가 흘러 전기 충격을 줄 수 있도록 된 전기충격부(11)가 선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전기충격부(11)의 후방으로는 절연물질로 이루어져 전기가 통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전기차단부(12)가 형성되고, 상기 전기차단부(12)의 후방으로는 내공간부에 충전 밧데리(2)가 수납되어 전기 공급이 가능하토록 된 밧데리 수납부(13)가 형성되고, 상기 밧데리 수납부(13)의 후방으로 상기 손잡이(20)에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14)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20)는 격자형으로 이루어져 내공간부(21)에 상기 접속체(1)에 연결된 케이블(3)과 충전 밧데리(2)에 연결된 케이블(4)이 접속되어 외측으로 노출되게 형성된 조절스위치(6)에 의한 전기의 온/오프 및 전기 강도를 조절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이때 상기 스틱(10)은 강도를 고려하여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손잡이(20)는 경량화를 위하여 플라스틱재로 이루어지는 것이나 이러한 소재는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때 스틱(10)의 전기충격부(11)는 접속체(1)를 통하여 전기가 전달되어지도록 반드시 금속재를 포함한 전도체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고, 접속체(1) 또한 전도체로 이루어짐은 물론이고, 상기 전기차단부(12)는 절연물질로 이루어져 전기가 통하지 않도록 하여야 하는 것으로, 이때 절연물질은 플라스틱이나 고무 등 전기가 통하지 않는 물체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충전 밧데리(2)는 상기 스틱(20)에 수납될 정도의 소형으로의 제공이 가능한 수소 충전 밧데리를 사용하는 것으로, 이때 수소 충전 밧데리는 1.2V/1개의 전압을 가지게 됨으로써 소의 하반신을 마비시킬 정도의 전압 발생에 필요한 수량만큼이 마련되어 직렬이 되도록 수납되는 것이고, 충전 밧데리(2)는 밧데리 수납부(13)의 내공간부에 밧데리 고정틀(13a)을 형성시켜 충전 밧데리(2)가 유동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기판(5)에는 트랜지스터·다이오드·저항·콘덴서 등을 포함한 다수의 회로부품들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충전 밧데리(2)로의 전기 충전을 위한 충전잭(3a)과, 상기 케이블(3)(4)의 접속을 위한 접속잭(3b)이 포함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케이블(3)(4)은 (+)극과 (-)극 전류가 흐르도록 각각 2줄의 전선으로 이루어져 일측의 케이블(4)은 상기 충전 밧데리(2)가 수납된 밧데리 고정틀(13a)의 (+)극측과 (-)극측에 연결되어지고, 타측의 케이블(3)은 스틱(10)의 전기충격부(11) 내부에 고정된 접속체(1)와 결합부(4)의 끝단에 고정된 접속체(1a)에 각각 연결되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조절스위치(6)는 회전이나 누름에 의한 온/오프 작동 및 강도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또는 터치를 통한 온/오프 작동 및 강도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다양한 공지의 기술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조절스위치(6)에 의한 온/오프 작동 및 강도 조절은 조절스위치(6)가 장착된 상태에서 손잡이(20)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결합되는 표시판(7)에 의하여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 이때 표시판(7)에는 상기 제어기판(5)에 형성된 발광다이오드에 의하여 점등 상태가 표시되는 점등표시부(7a)에 의하여 온/오프 작동이 확인되고, 조절스위치(6)의 조작 상태는 수치나 문자로 표시되는 전기 강도표시부(7b)에 의하여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손잡이(20)는 2개의 커버체(20a)(20b)로 이루어져 볼트 등 다양한 고정수단(8)에 의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손잡이(20)에는 상기 스틱(10)의 결합부(14)가 삽입되어 고정토록 하기 위한 고정홈부(22)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부(22)에는 스틱(10)의 결합부(14)에 외주면에 형성된 고정홈테(14a)에 삽입되는 고정돌기테(22a)가 형성되어 스틱(10)의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고정홈부(22)의 선단부에는 스틱(10)의 결합부(14)에 형성된 걸림돌기턱(14b)이 맞물려 걸려지도록 하기 위한 내입턱(22b)이 형성되어 결합된 스틱(1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스틱(10)을 소의 항문에 삽입한 상태에 손잡이(20)를 이용하여 오랫 동안 붙잡고 있을 경우에도, 소의 움직임에 의한 스틱(1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 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소에 한정되어 사용되는 것으로만 설명되어 있으나, 소에 사용할 경우와 동일한 목적과 효과를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어느 동물에도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소 보정기는 스틱(10) 내부에 충전 밧데리(2)가 형성되고, 손잡이(20) 내부에는 전기의 온/오프 및 전기 강도 조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판(5)이 형성되어, 손잡이(20)에 형성된 조절수단(6)을 이용하여 전기 강도를 조절한 후 소의 항문에 스틱(10)을 삽입시키면 전기 충격에 의하여 소의 하반신을 마비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본 고안의 소 보정기는 격자형의 손잡이(20)에 의하여 건의 형태를 갖게 됨으로써 한쪽 손만으로도 시술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장시간의 시술 시에도 스틱(10)을 소의 항문에 오랫 동안 삽입한 상태로 용이하게 붙잡고 있을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소 보정기는 종래에 별도로 형성되었던 콘트롤 박스 기능을 스틱 내부에 형성시켜 단일체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것보다 휴대는 물론 사용이 용이할 뿐 아니라, 건의 형태로 이루어져 오랜 시간의 시술 시에도 보다 용이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특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6)

  1. 소의 항문에 삽입되는 스틱(10)과 상기 스틱(10)에 결합되는 손잡이(20)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스틱(10)의 선단부에는 2개의 접속체(1)(1a)에 의하여 전기가 흐르도록 된 전기충격부(11)가 형성되고, 그 후방으로는 절연체로 이루어진 전기차단부(12)가 형성되고, 그 후방으로는 밧데리 고정틀(13a)에 충전 밧데리(2)가 고정되어 수납된 밧데리 수납부(13)가 형성되고, 그 후방으로는 상기 손잡이(20)에 결합되는 결합부(14)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손잡이(20)의 내공간부(21)에는 상기 접속체(1)(1a)에 각각 연결된 케이블(3)과 밧데리 고정틀(13a)의 양극에 연결된 케이블(4)이 접속되는 접속잭(3b)과 상기 충전 밧데리(2)에의 밧데리 충전을 위한 충전잭(3a)과 밧데리 외측으로 노출되게 형성된 조절스위치(6)에 의한 전기의 온/오프 및 전기 강도를 조절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회로부품들로 구성된 제어기판(5)이 형성된 소 보정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20)는 격자형으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인 소 보정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스위치(6)는 상기 손잡이(20)의 후단에 외측으로 노출되게 결합되는 표시판(7)에 장착되고, 상기 표시판(7)에는 온/오프 작동 확인을 위한 점등표시부(7a)와 조절스위치(6)의 조작 상태 확인을 위한 전기 강도표시 부(7b)가 형성된 소 보정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밧데리(2)는 수소 충전 밧데리가 사용된 것이 특징인 소 보정기.
  5. 제 1항 내지 제 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20)에는 스틱(10)의 결합부(14)가 삽입되어 고정토록 하기 위한 고정홈부(22)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부(22)에는 스틱(10)의 결합부(14) 외주면에 형성된 고정홈테(14a)에 삽입되는 고정돌기테(22a)가 형성된 소 보정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부(22)의 선단부에는 스틱(10)의 결합부(14)에 형성된 걸림돌기턱(14b)가 맞물려 걸려지도록 하기 위한 내입턱(22b)이 형성된 소 보정기.
KR2020070005777U 2007-04-09 2007-04-09 소 보정기 KR2004362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5777U KR200436221Y1 (ko) 2007-04-09 2007-04-09 소 보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5777U KR200436221Y1 (ko) 2007-04-09 2007-04-09 소 보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6221Y1 true KR200436221Y1 (ko) 2007-07-09

Family

ID=41633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5777U KR200436221Y1 (ko) 2007-04-09 2007-04-09 소 보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622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13181B2 (en) Wearable power supply comprising a master cell and a slave cell
US20090257223A1 (en) Power supply control device of a flashlight
JP2013258886A (ja) 充電式直流電源装置
US7562997B2 (en) Flashlight with a battery device having plural joined-together batteries
CN110622065B (zh) 手柄电池、手柄电池套装、以及手持云台
KR20130122713A (ko) 휴대폰 충전기로 충전이 가능한 전자담배
US20120195031A1 (en) Flashlight for car re-charger
US20060082991A1 (en) Flashlight adaptor for providing alternative direct current power supply to other electronic instruments
US11658498B2 (en) Chargeable gunsight bracket and gunsight having the same
KR101014832B1 (ko) 낚시용 랜턴
DE60310828D1 (de) Elektrisches Verlängerungskabel
EP1978292A3 (en) Flashlight with a battery device having plural joined-together batteries
KR200436221Y1 (ko) 소 보정기
KR101732672B1 (ko) 전동식 피부 트리트먼트용 휴대용 장치
CN210601132U (zh) 一种可更换电池的手提灯
ITPO20090012A1 (it) Dispositivo intelligente di spegnimento per prese multiple
CN204328499U (zh) 一种头灯
US10830424B1 (en) Bracket for live broadcasting
CN203312858U (zh) 带消毒装置的便携式移动电源
KR101579621B1 (ko) 야간에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자동차용 점프케이블
CN217545147U (zh) 一种多功能充电头
KR20080007839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원을 이용한 조명장치
JP2006149370A (ja) 魚釣用バッテリ装置
KR200355204Y1 (ko) 휴대폰 배터리 충전장치
KR100378691B1 (ko) 손목용 후레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