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3537Y1 - Apparatus for moving on the water surfac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moving on the water surfa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3537Y1
KR200433537Y1 KR2020060024827U KR20060024827U KR200433537Y1 KR 200433537 Y1 KR200433537 Y1 KR 200433537Y1 KR 2020060024827 U KR2020060024827 U KR 2020060024827U KR 20060024827 U KR20060024827 U KR 20060024827U KR 200433537 Y1 KR200433537 Y1 KR 2004335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moving mechanism
shaft
circumferential surfac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482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종호
Original Assignee
박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호 filed Critical 박종호
Priority to KR20200600248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3537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35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3537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상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의 내관체(12)가 동심을 이루고 일정 길이로 연결되고 상기 내관체(12) 외주면을 덮어씌우는 복수의 외관체(14)로 이루어지는 2중관체 구조인 축관체(10); 상기 축관체(10)의 외관체(14) 외주면을 덮어씌우는 복수의 부구(20); 상기 축관체(10)의 중앙에 위치된 외관체(14) 외주면 상단에서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어 부구(20) 사이를 통해 상방으로 노출되며 사용자의 한쪽 발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마련된 발판(30); 및 상기 축관체(10)를 이루는 소정의 외관체(14) 외주면 하단에서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어 부구(20) 사이를 통해 수중으로 노출되는 중심키(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moving mechanism, a plurality of inner tube 12 is concentric and connected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double tube structure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outer body 14 cover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tube 12 Tube 10; A plurality of floats 20 coveri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shell 14 of the shaft 10; A footrest 30 extending vertically upward from an upper end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14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shaft tubular body 10 and exposed upwardly between the floats 20 and provided with one foot of the user; And a central key 40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edetermined exterior body 14 constituting the shaft body 10 and being exposed in water through the buckle 20.

따라서 부구에 의해 수면 위에 떠있는 발판 상에 사용자가 올라 선 상태에서 보행 동작 또는 노 저음 동작을 통해 추진력을 얻어 수상 이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수온이 낮은 추운 계절이나 추운 지방에서도 별도의 방수복 등을 착용함이 없이 수상에서 물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사용자의 신체가 수중에 전혀 잠기지 않으므로 추진력 방해 요인이 제거되어 최상의 추진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Therefore, by allowing the user to move on the scaffold floating on the surface of the water by the ball, the driving force or the bass movement to obtain the driving force to move the water, wearing a separate waterproof clothing, even in cold season or cold climate with low water temperature It is possible to enjoy the water in the water without having to, and also, since the user's body is not submerged in the water at all, the impediment to thrust is removed to obtain the best propulsion.

수상이동기구, 축관체, 부구, 발판, 중심키 Floating mechanism, shaft, float, scaffold, center key

Description

수상이동기구{Apparatus for moving on the water surface}Apparatus for moving on the water surface}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상이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ter moving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수상이동기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water movement mechanism of Figure 1,

도 3은 본 고안의 수상이동기구를 길이방향으로 잘라 본 상태의 종단면도,Figure 3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ate moving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도 4는 본 고안의 수상이동기구를 축 직각방향에서 잘라 본 상태의 종단면도,Figure 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ate moving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cut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s,

도 5는 본 고안의 수상이동기구에 적용되는 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urnace applied to the water moving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축관체 12 : 내관체10: shaft body 12: inner body

12a : 결합돌부 12b : 수나사12a: engagement protrusion 12b: male thread

12c : 암나사 14 : 외관체12c: female thread 14: exterior body

14a : 결합홈부 20 : 부구14a: coupling groove 20: ball

30 : 발판 30a : 연결대30: scaffolding 30a: connecting rod

32 : 고정끈 40 : 중심키32: fixed string 40: center key

40a : 연결대 50 : 물갈퀴40a: connecting rod 50: webbed

50a : 연결대 52 : 베이스판50a: connecting rod 52: base plate

54 : 물갈퀴판 54a : 지지부54: webbed plate 54a: support portion

60 : 이탈방지판 62, 64 : 나사결합부60: release prevention plate 62, 64: screw coupling portion

70 : 노 72 : 손잡이70: no 72: handle

74 : 물갈퀴부 76 : 보조부구74: webbed part 76: auxiliary ball

본 고안은 수상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부구에 의해 수면 위에 떠있는 발판 상에 사용자가 올라 선 상태에서 보행 동작 또는 노 저음 동작을 통해 추진력을 얻어 수상 이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수상에서 물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의 신체가 수중에 전혀 잠기지 않으므로 추진력 방해 요인이 제거되어 최상의 추진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한 수상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moving mechanism, and more specifically, to the water movement by allowing the propulsion through the walking motion or the bass operation while the user is standing on the scaffold floating on the water surface by the floats It is related to a water moving mechanism that can be enjoyed, so that the user's body is not submerged in the water at all to remove the impediment to propulsion to obtain the best propulsion.

일반적으로 물놀이기구로는 부력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수면 상으로 떠오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부구인 튜브나, 부력과는 상관없이 사용자의 발에 착용하여 추진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오리발 등을 들 수 있다. In general, the water play equipment is a buoyant tube that allows the user to stay on the surface by using buoyancy, or flippers that can be applied to the user's feet to gain propulsion regardless of buoyancy. have.

그리고, 이러한 단순한 물놀이기구의 장점만을 결합시켜 부력과 추진력을 모두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진보된 기구로서,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된 등록특허 제10-485779호에 게재되어 있다.In addition, as an advanced device that combines the advantages of such a simple water play equipment to obtain both buoyancy and driving force, it is disclosed in the registered patent No. 10-485779 filed by the present applicant.

이러한 종래 기술의 수상이동기구에 대한 구성을 간단하게 살펴보면, 사용자의 신체 일부, 즉 흉부 또는 하반신에 장착시키는 부구와, 이 부구와 일체형으로 연결되고 사용자의 발에 착용하여 추진력을 발생시키도록 한 추진력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부구에 의해 수중에 떠 있는 상태로 자신의 다리를 저으면서 추진력을 얻어 전방으로 전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Looking at the configuration of the water transport mechanism of the prior art in brief, the user's body part, that is, the buckle to be mounted on the chest or lower body, and the driving force connected to the buckle integrally and worn on the user's foot to generate a driving force It is composed of a sieve, and the user is able to move forward by gaining propulsion while stirring his leg while floating in the water by the ball.

그러나, 이상과 같은 전반적인 종래 기술의 물놀이기구와 수상이동기구에 있어서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 또는 전부가 반드시 수중에 잠긴 상태에서만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물과의 신체 접촉을 꺼리는 사용자나 물의 온도가 낮아 체온이 급격하게 떨어지게 되는 계절이나 추운 지방에서는 사용하기가 힘들게 되고, 사용을 하더라도 별도의 방수복을 입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However, in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water playground equipment and water moving equipment, the user's body part or the whole body can be used only in the submerged state, so that the user or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that is reluctant to contact with water is low. In this season of falling sharply or in cold regions, it becomes difficult to use, and even if used, there was an inconvenience of having to wear a separate waterproof suit.

또한, 신체가 항상 물에 잠겨있는 상태로 물놀이를 즐겨야 하기 때문에 추진력을 얻을 경우에 사용자의 신체 자체가 추진력을 방해하는 방해 요인으로 작용하고 그 결과 추진력 발생이 약해져서 수상이동 기능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body must always enjoy playing in the water, the user's body itself acts as a hindrance to the propulsion when the propulsion force is obtained, and as a result, the propulsion force is weakened, resulting in deterioration of the water transfer function. Had.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부구에 의해 수면 위에 떠있는 발판 상에 사용자가 올라 선 상태에서 보행 동작 또는 노 저음 동작을 통해 추진력을 얻어 수상 이동이 가능함으로써, 수상에서 물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의 신체가 수중에 전혀 잠기지 않으므로 추진력 방해 요인이 제거되어 최상의 추진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한 수상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by the propulsion through the walking motion or bass operation in the state where the user is standing on the scaffold floating on the surface by the buoys to move the water,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moving mechanism that enables users to enjoy playing in the water, and the user's body is not submerged in the water at all, thereby removing the impediment of propulsion to obtain the best propulsion.

상기와 같은 목적달성을 위한 본 고안의 수상이동기구는 복수의 내관체가 동심을 이루고 일정 길이로 연결되고 상기 내관체 외주면을 덮어씌우는 복수의 외관체로 이루어지는 2중관체 구조인 축관체; 상기 축관체의 외관체 외주면을 덮어씌우는 복수의 부구; 상기 축관체의 중앙에 위치된 외관체 외주면 상단에서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어 부구 사이를 통해 상방으로 노출되며 사용자의 한쪽 발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마련된 발판; 및 상기 축관체를 이루는 소정의 외관체 외주면 하단에서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어 부구 사이를 통해 수중으로 노출되는 중심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water moving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conduit body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ner tube body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outer body concentric and connected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cover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tube body; A plurality of mouthpieces coveri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aft tube; A scaffold extending vertically from an upper end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tube body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shaft tube and exposed upwardly between the buoys and provided with one foot of the user; And a central key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edetermined exterior body constituting the shaft body and being exposed underwater through the sub-ball.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수상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축관체의 내관체 외주면에 결합돌부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외관체의 내주면에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홈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water mov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oupl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tube body of the shaft tube body, and the coupling groove portion is formed to insert the coupling protrusion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xterior body corresponding thereto.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수상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내관체들의 연결부위 외주면으로 외관체가 덮어 씌워지도록 내관체와 외관체의 각 연결부위가 축 방향으로 따라 서로 어긋나도록 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water mov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respective connecting portions of the inner tube body and the outer body are shifted from each other in the axial direction so that the outer body is covered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s of the inner tube bodies.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수상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중심키는 축관체를 따라 서로 일정간격씩 이격된 복수개가 구비되어 있으며 , 복수의 중심키 중에서 중간위치의 중심키에는 그 상단부가 축관체와 연결되고, 그 하단부가 부구 사이를 통해 수중으로 노출되는 물갈퀴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water mov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er key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shaft body, the center of the intermediate position of the plurality of central keys, the upper end is connected to the shaft body.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end is provided with a webbed web exposed to the water through the mouth.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수상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물갈퀴는 수중으로 노출된 수평한 베이스판과, 이 베이스판의 선단부와 힌지 연결되어 수상이동기구의 전후 움직임에 따라 수압에 의해 접히고 펴지면서 물을 젖히도록 된 물갈퀴판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water mov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ebbed is connected to the horizontal base plate exposed to the water, and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base plate is hinged and folded by water pressure in accordance with the front and rear movement of the water moving mechanism It is preferably made of a webbed plate to wet the.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수상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물갈퀴판의 상단 힌지 연결부위에는 젖힘 과정에서 수직하방 위치를 넘어서 전방으로 젖혀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물갈퀴판이 수직하방 위치에 있을 때 베이스판과 밀착 지지되는 지지부가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water mov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hinge connection portion of the webbed plat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ase plate when the webbed plate is in a vertically down position to prevent the web from being flipped forward beyond the vertically down position during the flipping process. It is preferable that the support part is further provided.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수상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축관체의 선, 후단부에 각각 부구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판이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water mov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departure prevention plate for preventing the detachment of the floats to the outside, respectively at the line and the rear end of the shaft body.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수상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수상이동기구의 각 발판에 사용자의 양쪽 발을 장착한 상태에서 손으로 물을 저을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노가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water mov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a separate furnace is further provided to stir water by hand in a state in which both feet of the user are mounted on each scaffold of the water moving mechanism.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수상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노는 상단부에 손잡이가 형성되고, 하단부에 물갈퀴부가 구비되며, 이 물갈퀴부의 인접 상단부에 보조부구가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water mov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handle is formed at the upper end, the webbed portion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and the auxiliary part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adjacent to the webbed portion.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수상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물갈퀴부는 방사상으로 연장된 복수의 물갈퀴판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water mov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ebbed portion is preferably made of a plurality of web board extending radiall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수상이동기구를 보다 상세히 설명 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water moving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5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상이동기구는 복수의 축관체(10)와, 이 축관체(10)의 외주면을 덮어씌우는 복수의 부구(20)와, 상기 중앙 축관체(10)의 외주면 상단에서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어 부구(20) 사이를 통해 상방으로 노출되며 사용자의 한쪽 발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된 발판(30) 및 상기 소정 축관체(10)의 외주면 하단에서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어 부구(20) 사이를 통해 수중으로 노출되는 중심키(4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As shown in Figures 1 to 5, the water moving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urality of shaft body 10, a plurality of mouths 20 to cover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haft body 10, Of the footrest 30 and the predetermined shaft body 10 extending upwardly from the upper end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entral shaft body 10 to be exposed upward through the buoys 20 so as to place one foot of the user. It extends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bottom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s configured to include a central key 40 exposed in the water through the buckle 20.

상기 축관체(10)는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연장되고 그 양단부에 각각 나사 결합에 의해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 수나사(12b) 및 암나사(12c)가 형성된 복수의 내관체(12)와, 이 내관체(12) 외주면을 덮어씌우는 복수의 외관체(14)로 이루어진 긴 2중관체 구조로 되어 있다. The shaft tube 10 includes a plurality of inner tube bodies 12 having a male screw 12b and a female screw 12c extending along a length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connected to each other by screwing at both ends thereof, and the inner tube body. (12) It has a long double tube structure composed of a plurality of outer bodies 14 coveri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그리고, 상기 축관체(10)의 내관체(12) 외주면 상, 하단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방형 결합돌부(12a)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외관체(14)의 내주면에 상기 결합돌기(12a)가 삽입 결합되도록 하는 장방형 결합홈부(14a)가 형성되어 있다. An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tube body 12, the lower end portion is formed with a rectangular coupling protrusion 12a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coupling protrusion 12a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uter body 14 corresponding thereto. ) Has a rectangular coupling groove 14a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상기 내관체(12)들은 그 연결부위 외주면으로 외관체(14)의 중간부분이 덮어 씌워진다. 다시 말해서, 내관체(12)의 결합부위는 구조적으로 취약하므로 그 결합부위를 덮어씌워 절단되거나 분리되는 등을 보완하고 보강하기 위하여 내관체(12)와 외관체(14)의 각 연결부위가 축 방향으로 따라 서로 어긋나도록 되어 있다.The inner tube body 12 is covered with the intermediate portion of the outer body 14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nection portion. In other words, since the coupling portion of the inner tube 12 is structurally fragile, each connecting portion of the inner tube 12 and the outer body 14 is axially applied to supplement and reinforce the cutting portion of the inner tube 12 by covering the coupling portion. They are shifted from each other along the direction.

이러한 내관체(12)의 연결부위 보강을 위한 결합 방식의 일례로서, 본 고안에서는 축관체(10)의 전후단부를 이루는 각각의 내관체(12)의 길이가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다른 내관체(12)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외관체(14)는 서로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구성된다.As an example of a coupling method for reinforcing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inner tube body 12,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gth of each inner tube body 12 forming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shaft tube body 10 is disposed between the other inner tube body ( It is formed longer than the length of 12), and the appearance body 14 corresponding thereto is configured to have the same length with each other.

한편, 상기 축관체(10)의 선후단부에는 각각 부구(20)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측면에 내관체(12)의 수나사(12b) 및 암나사(12c)와 나사 결합되도록 각각 대응 형성된 나사결합부(62,64)가 마련되며 직경이 축관체(10)보다 크게 형성된 원판 형상의 이탈방지판(60)이 각각 구비되어 있다. Meanwhile,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shaft tubular body 10 respectively correspond to the male screw 12b and the female screw 12c of the inner tubular body 12 on one side so as to be screwed with each other in order to prevent the buckle 20 from escaping to the outside. The formed screw coupling portions 62 and 64 are provided, and disc-shaped anti-separation plates 60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shaft tube body 10 are provided.

상기 내관체(12)는 편의상 속이 차있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파이프와 같이 중공의 관으로 마련함이 좋고 플라스틱, 경금속 등으로 사용자가 탑승하였을 때 충분한 강도가 유지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내관체(12)가 파이프로 마련되는 경우에는 내관체(12) 내에 물이 차면 전체적인 부력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내관체(12)와 이탈방지판(60)사이는 물론 내관체(12)들이 체결되는 이음부분에 패킹(80)이 개재된다. The inner tube 12 is shown as being hollow for convenience, but this may be provided as a hollow tube such as a pipe, and sufficient strength should be maintained when the user boards with plastic, light metal, or the like. As such, when the inner tube body 12 is provided with a pipe, the overall buoyancy may decrease when water is filled in the inner tube body 12, as well as between the inner tube body 12 and the release preventing plate 60, as well as the inner tube body 12. The packing 80 is interposed at the joint to which they are fastened.

상기 부구(20)는 축관체(10)의 외주면을 덮어씌워 끼워지고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원형 고리형상의 고무튜브이며, 그 내부에는 소정압력으로 공기가 채워져 있다.The sub-ball 20 is a circular annular rubber tube which cover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aft tube 10 and continues continuous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filled with air at a predetermined pressure therein.

본 고안의 수상이동기구에서는 통상 성인사용자경우의 발놀림에 무리가 없도록 부구(20)의 직경이 25㎝이고 길이 또한 25㎝ 정도인 8개의 부구(20)를 축관체(10) 상에 결합시켜 전체길이가 대략 2m 정도가 되도록 제작하였다. 또한, 사용 자가 아동인 경우에는 부구(20)를 20㎝정도로 작게 마련할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알맞게 축관체(10)의 길이를 1.5m나 2.5m 등등 얼마든지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In the water moving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ight floats 20 having a diameter of 25 centimeters and a length of about 25 centimeters are combined on the shaft 10 so that the foot movement of the adult user is not overwhelming. The length was made to be about 2m. In addition, when the user is a child, the buckle 20 can be provided as small as about 20 cm, and the length of the shaft body 10 can be freely adjusted as much as 1.5 m or 2.5 m according to the user's physical condition. Of course.

상기 부구(20)는 고무 재질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사이로 가로지르는 발판(30) 또는 중심키(40)의 연결대(30a,40a)를 감싸 부구(20) 간의 틈새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부구(20)는 고무재질로 마련함이 바람직하나 소프트한 합성수지튜브는 물론 통형의 스티로폼으로 마련할 수도 있다.Since the buckle 20 is made of a rubber material,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gap between the buckle 20 from being formed by wrapping the connection boards 30a and 40a of the scaffold 30 or the central key 40 crossing therebetween. It is. In addition, the buoy 20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rubber material, but may be provided with a soft styrofoam as well as a soft synthetic resin tube.

상기 발판(30)은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전체길이의 중앙에 위치된 축관체(10)의 외주면 상단에서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어 부구(20) 사이를 통해 상방으로 노출되고 사용자의 한쪽 발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된 판재 형상으로 마련되며, 특히, 사용자의 발을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는 별도의 고정끈(32) 등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고정끈(32)은 사용자의 발을 간편하고 고정함은 물론 분리 가능하도록 다양하게 마련할 수 있다.When the footrest 30 is viewed as a whole, it extends vertically up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aft body 10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entire length, and is exposed upward through the buoys 20 and can put one foot of the user. It is provided in the shape of a plate so that, in particular, a separate fixing strap 32 and the like can be firmly fixed to the foot of the user is provided. The fixing strap 32 may be provided in a variety of ways to be fixed and detachable as well as the user's feet.

상기 중심키(40)는 소정의 외관체(14)의 외주면 하단에서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어 부구(20) 사이를 통해 수중으로 노출되는 폭이 좁고 길이방향으로 넓게 형성된 판재 형상이며, 상기 부구(20)가 수중에서 양측 방향으로 미끄러져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균형을 유지하여 주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The center key 40 is a plate shape formed in a narrow and w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extend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redetermined exterior body 14 exposed in the water through the buckle 20, the buckle 20 ) Prevents the slide from rotating in water in both directions to maintain the balance.

여기에서, 상기 중심키(40)는 축관체(10)를 따라 서로 일정간격씩 이격된 복수개가 구비되되, 주로 균형 유지에 도움을 주기 위해 축관체(10)의 전, 후방에 여러 개가 배치되어 있다.Here, the center key 4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shaft tube 10, mainly arranged in front, rear of the shaft tube 10 to help maintain balance have.

그리고, 상기 일정간격씩 이격된 복수개의 중심키(40) 사이인 축관체(10)의 중앙부 저면에는 그 상단부가 축관체(10)와 연결되고, 그 하단부가 부구(20) 사이를 통해 수중으로 노출되는 물갈퀴(50)가 더 구비되어 있다.The upper end portion is connected to the shaft tube body 10 at the bottom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shaft body 10 between the plurality of central keys 40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the lower portion thereof is underwater. The exposed webbed 50 is further provided.

상기 물갈퀴(50)는 수중으로 노출된 수평의 베이스판(52)과, 이 베이스판(52)의 선단부와 힌지 연결되어 수상이동기구의 전후 움직임에 따라 수압에 의해 접히고 펴지면서 물을 내젓도록 평탄한 판재형상의 물갈퀴판(54)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상기 물갈퀴판(54)의 상단 힌지 연결부위에는 물갈퀴판(54)의 젖힘 과정에서 수직하방 위치를 넘어서 전방으로 젖혀짐이 방지되도록 물갈퀴판(54)이 수직하방 위치에 있을 때 베이스판(52)과 밀착 지지되는 지지부(54a)가 더 구비되어 있다. The webbed 50 is connected to the horizontal base plate 52 exposed to the water, and the front end of the base plate 52 and hinged to fold water while being folded and unfolded by water pressure according to the front and rear movement of the water moving mechanism. It consists of the web board 54 of flat plate shape. Here, the base plate when the rake plate 54 is in the vertical downward position to the front hinge connection portion of the fin plate 54 is prevented from being flipped forward beyond the vertical downward position in the flipping process of the rake plate 54 The support part 54a which closely adheres to the 52 is further provided.

이러한 물갈퀴(50)는 추진력 발생 정도에 따라 원하는 만큼 설치할 수 있으며, 본 고안에서는 상기 물갈퀴(50)가 중앙부에서 서로 이격간격 이격된 상태로 한 쌍이 마련되어 있다.The webbed 50 can be installed as desired depending on the degree of propulsion force, in the present design, the webbed 50 is provided with a pair of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the center portion.

그리고, 상기 수상이동기구의 각 발판(30)에 사용자의 양쪽 발을 장착한 상태에서 손으로 물을 저을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노(70)가 더 구비되어 있다. 상기 노(70)는 상단부에 손잡이(72)가 형성되고, 그 하단부에 물갈퀴부(74)가 구비된 긴 봉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물갈퀴부(74)의 인접 상단부에는 노(70)가 물위에 떠 있을 수 있도록 하는 보조부구(76)가 마련되어 있다.In addition, a separate furnace 70 is further provided to stir water by hand in a state in which both feet of the user are mounted on each footrest 30 of the water moving mechanism. The furnace 70 is provided with a handle 72 is formed in the upper end, the elongated rod shape provided with a webbed portion 74 at the lower end, the furnace 70 in the adjacent upper end of the webbed portion 74 is water An auxiliary float 76 is provided to float above.

또한, 상기 물갈퀴부(74)는 기존의 노와는 달리 방향성을 갖지 않도록 등각을 가지며 방사상으로 연장된 복수의 물갈퀴판(74a)으로 이루어져 있다. In addition, the webbed portion 74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webbed plate (74a) having a conformal and radially extended so as not to have a direction unlike the existing furnace.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상이동기구의 조립 과정을 살펴본다. 우선, 최선단부의 내관체(12)에 이탈방지판(60)을 결합시키고 나서 부구(20)가 결합되어 있는 외관체(14)를 상기 내관체(12) 외주면으로 덮어씌워 결합시킨다. It looks at the assembly process of the water moving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evised as configured above. First, the separation prevention plate 60 is coupled to the inner tube body 12 at the uppermost end, and then the outer body 14 to which the fitting 20 is coupled is covered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tube body 12 to be coupled.

여기에서, 상기 부구(20)는 그 일측부가 이탈방지판(60)에 밀착 지지된 상태로 있게 되며, 계속해서 각각의 발판(30) 및 중심키(40)가 부구(20) 사이를 통해 부구(20)의 외부인 수상이나 수중으로 노출되도록 하면서 나머지 내관체(12)와 외관체(14)를 연결시키되, 이들 내관체(12)와 외관체(14) 간의 각 연결부위가 서로 어긋나도록 하여 연결시킨 후, 최종적으로 최후단부의 내관체(12)에 이탈방지판(60)을 결합시켜 수상이동기구의 전체 조립을 완성시킨다. Here, one side of the buckle 2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release prevention plate 60, and each footrest 30 and the central key 40 through the buckle 20 through the buckle 20 While connecting the remaining inner tube 12 and the outer body 14 while being exposed to the water or water to the outside of the person (20), the connection between the inner tube 12 and the outer body 14 are shifted to each other Finally, the separation prevention plate 60 is finally coupled to the inner tube body 12 at the rear end to complete the entire assembly of the water moving mechanism.

이때, 상기 부구(20)는 고무 재질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사이로 가로지르는 발판(30), 중심키(40) 및 물갈퀴(50)의 연결대(30a,40a,50a))를 감싸 부구(20) 간의 틈새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since the buoy 20 is made of a rubber material, it surrounds the footrest 30 crossing between them, the center key 40 and the connecting rods 30a, 40a, and 50a of the fin 50, and the buckle 2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ormation of gaps in the liver.

이렇게 조립이 완성된 수상이동기구는 각각 사용자의 양쪽 발에 장착될 수 있게 한 쌍이 마련되어야 하며, 사용자가 발판(30)에 올라서서 고정끈(32)으로 발판(30)과 발을 고정시킨 후, 물로 들어가면 다수의 부구(20)가 가지는 부력으로 인하여 사용자의 체중을 이기고 물위에 뜨게 된다. 이때, 부구(20)내의 공기압에 의해 부구(20)의 잠김이 정해진다. After the assembly is completed, the water moving mechanism should be provided with a pair so that each can be mounted on both feet of the user, after the user climbs on the footrest 30 to fix the footrest 30 and the foot with the fixing strap 32 If you enter the water, due to the buoyancy of the plurality of floats 20 will win the weight of the user and float on the water. At this time, the locking of the float 20 is determined by the air pressure in the float 20.

이렇게 물위, 즉 수상에 떠있는 상태에서 보행함과 같이 수상이동기구를 번갈아가면서 전후방으로 젖히면 전진 이동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In this way, such as walking on the water, that is, floating in the water, and moving forward and backward by alternately moving the water movement mechanism is to perform the forward movement.

이때, 수상이동기구를 전후방으로 젖히는 과정에서 수압에 의해 물갈퀴(50)의 물갈퀴판(54)이 접히고 펴지는 것이 반복되게 된다. 상기 물갈퀴판(54)이 접히고 펴지는 과정은 수상이동기구를 전방으로 진행시키면 물의 저항에 의해 뒤로 밀려 베이스판(52)에 밀착되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수상이동기구를 후방으로 밀면 다시 물갈퀴판(54)의 자중과 물의 저항으로 인해 상기 베이스판(52)에 밀착되어 있던 물갈퀴판(54)이 하방으로 젖혀지면서 지지부(54a)의 지지에 의해 수직 상태가 되는 동시에 물을 후방으로 밀어내어 수상이동기구의 추진력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in the process of flipping the water moving mechanism forward and backward, it is repeated that the rake plate 54 of the rake 50 is folded and stretched. The process of folding and unfolding the webbed plate 54 is pushed backward by the resistance of the water when the water moving mechanism is moved forwar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base plate 52. Due to the self-weight of water and resistance of the water, the rake plate 54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ase plate 52 is flipped downward, and is vertically supported by the support of the support portion 54a, and at the same time, the water is pushed backwards to receive the water. The driving force of the moving mechanism can be generated.

이러한 동작을 반복하면서 사용자는 수상에서 직립 상태로 보행 동작을 통해 수상 이동이 가능하므로 수상에서 물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의 신체가 수중에 전혀 잠기지 않아 수온이 낮은 추운 계절이나 추운 지방에서도 별도의 방수복 등을 착용함이 없이 수상에서 물놀이를 즐길 수 있다.While repeating these actions, the user can move from the water to the upright state by walking, allowing the user to enjoy the water in the water, and the user's body is not submerged at all, so even in cold seasons or cold regions where the water temperature is low You can enjoy swimming in the water without wearing a waterproof suit.

이에 더하여, 보행 동작을 통해 수상 이동하면서 별도의 노(70)를 이용하여 발돋움과 노 저음을 동시에 수행하면 보다 큰 추진력을 얻어 빠른 속도로 수상 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water movement through the walking operation using the separate furnace (70) at the same time to perform the rise and the bass will be able to obtain a greater propulsion force to move the water at a high speed.

한편, 상기 노(70)는 물갈퀴판(74a)이 방사상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굳이 노(70)의 물 젖힘 방향을 정하지 않고 무작위로 노(70)를 젖어도 노(70) 작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고, 행여나 노(70)를 놓치더라도 노(70)에 장착되어 있는 보조부구(76)에 의해 물위에 떠 있게 되어 분실의 염려가 없게 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furnace 70 is because the fin plate (74a) is formed to extend radially, the user does not dare to determine the water wetting direction of the furnace (70) even if we randomly wet the furnace 70, the operation of the furnace 70 Even if the hanger or the furnace 70 is missed, the auxiliary buckle 76 mounted on the furnace 70 floats on the water so that there is no fear of los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수상이동기구는 부구에 의해 수면 위에 떠있는 발판 상에 사용자가 올라선 상태에서 보행 동작 또는 노 저음 동작을 통해 추진력을 얻어 수상 이동이 가능함으로써, 수상에서 물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사용자의 신체가 수중에 전혀 잠기지 않으므로 추진력 방해 요인이 제거되어 최상의 추진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As described above, the water moving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moving in the water by gaining the driving force through the walking operation or the bass operation while the user is on the scaffold floating on the surface by the float, In addition, since the user's body is not submerged in the water at all, the driving impeding factor is eliminated to obtain the best driving force.

Claims (9)

복수의 내관체(12)가 동심을 이루고 일정 길이로 연결되고 상기 내관체(12) 외주면을 덮어씌우는 복수의 외관체(14)로 이루어지는 2중관체 구조인 축관체(10);A plurality of inner tube bodies concentric and connected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having a double tube structure composed of a plurality of outer bodies 14 cover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tube body 12; 상기 축관체(10)의 외관체(14) 외주면을 덮어씌우는 복수의 부구(20);A plurality of floats 20 coveri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shell 14 of the shaft 10; 상기 축관체(10)의 중앙에 위치된 외관체(14) 외주면 상단에서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어 부구(20) 사이를 통해 상방으로 노출되며 사용자의 한쪽 발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마련된 발판(30); 및A footrest 30 extending vertically upward from an upper end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14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shaft tubular body 10 and exposed upwardly between the floats 20 and provided with one foot of the user; And 상기 축관체(10)를 이루는 소정의 외관체(14) 외주면 하단에서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어 부구(20) 사이를 통해 수중으로 노출되는 중심키(40);A center key 40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from a lower end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edetermined outer body 14 constituting the shaft body 10 and being exposed in water through the buckle 2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상이동기구.A water mobile organization consisting of.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축관체(10)의 내관체(12) 외주면에 결합돌부(12a)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외관체(14)의 내주면에 상기 결합돌기(12a)가 삽입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홈부(14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이동기구.Coupling protrusions 12a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tube body 12 of the shaft tube body 10, and the coupling protrusions 14a are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xterior body 14 corresponding thereto. Water moving mechanism,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축관체(10)를 이루는 내관체(12)와 외관체(14)의 각 연결부위가 서로 어긋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이동기구.The water moving mechanism,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inner tube body 12 and the outer body 14 constituting the shaft pipe body (10) is shifted from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중심키(40)는 축관체(10)를 따라 서로 분리된 복수개로 구비되며 , 복수의 중심키 중에서 중간위치의 중심키에는 그 상단부가 외관체(14)와 연결되고, 그 하단부가 부구(20) 사이를 통해 수중으로 노출되는 물갈퀴(5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이동기구.The central key 4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eparated from each other along the shaft 10, the central key of the intermediate position of the plurality of central keys, the upper end is connected to the exterior body 14, the lower end of the buckle ( 20) A water moving mechanism,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 rake 50 is exposed to the water through between. 제4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물갈퀴(50)는 수중으로 노출된 수평의 베이스판(52)과, 이 베이스판(52)의 선단부와 힌지 연결되어 수상이동기구의 전후 움직임에 따라 수압에 의해 접히고 펴지면서 물을 젓도록 된 물갈퀴판(54)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이동기구.The webbed 50 is connected to the horizontal base plate 52 exposed to the water, and the front end of the base plate 52 and hinged to stir the water while being folded and unfolded by water pressure according to the front and rear movement of the water moving mechanism. Water moving mechanism,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fin plate (54). 제5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물갈퀴판(54)의 상단 힌지 연결부위에는 젖힘 과정에서 수직하방 위치를 넘어서 전방으로 젖혀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물갈퀴판(54)이 수직하방 위치에 있을 때 베이스판(52)과 밀착 지지되는 지지부(54a)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이동기구.The upper hinge connecting portion of the fin plate 54 is suppor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base plate 52 when the fin plate 54 is in a vertical downward position to prevent the plate from being flipped forward beyond the vertical downward position during the flipping process. A water moving mechanism further comprises 54a. 제6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축관체(10)의 선후단부에 각각 부구(20)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판(6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이동기구.Water moving mechanism, characterized in that the departure prevention plate (60) is further provided to prevent the buckle 20 is separated from the outside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shaft body (10), respectively.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수상이동기구의 각 발판(30)에 사용자의 양쪽 발을 장착한 상태에서 손으로 물을 저을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노(70)가 더 구비되되, 상기 노(70)는 상단부에 손잡이(72)가 형성되고 하단부에 물갈퀴부(74)가 구비되며 이 물갈퀴부(74)의 인접 상단부에 보조부구(76)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이동기구.Each footrest 30 of the water moving mechanism is further provided with a separate furnace 70 to stir water by hand in a state in which both feet of the user is mounted, the furnace 70 is a handle 72 at the upper end ) Is formed and provided with a webbed portion (74) at the lower end, and the water moving mechanism, characterized in that the auxiliary buckle (76) is provided at the adjacent upper end of the webbed portion (74). 제8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물갈퀴부(74)는 방사상으로 연장된 복수의 물갈퀴판(74a)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이동기구.The webbed portion 74 is a water movement mechanism,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web boards 74a extending radially.
KR2020060024827U 2006-09-15 2006-09-15 Apparatus for moving on the water surface KR20043353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4827U KR200433537Y1 (en) 2006-09-15 2006-09-15 Apparatus for moving on the water surfa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4827U KR200433537Y1 (en) 2006-09-15 2006-09-15 Apparatus for moving on the water surfac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9374A Division KR100780106B1 (en) 2006-09-15 2006-09-15 Apparatus for moving on the water surfa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3537Y1 true KR200433537Y1 (en) 2006-12-11

Family

ID=41781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4827U KR200433537Y1 (en) 2006-09-15 2006-09-15 Apparatus for moving on the water surfa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3537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8361B1 (en) * 2006-12-28 2008-07-25 박종호 Apparatus for moving on the water surfa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8361B1 (en) * 2006-12-28 2008-07-25 박종호 Apparatus for moving on the water surfa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73267B (en) Exercise kit for personal floatation device
US4861300A (en) Pool flotation device
US4936804A (en) Non-inflatable buoyancy aid
US7322868B2 (en) Water device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such devices
JP6655232B2 (en) Small leisure boat with table and seat
KR101757054B1 (en) Sit―stand paddling boat
KR200433537Y1 (en) Apparatus for moving on the water surface
KR100780106B1 (en) Apparatus for moving on the water surface
US5385497A (en) Water exerciser
AU2008101093B4 (en) Submersible water toy and related method of use
US20120184162A1 (en) Human/Water Propelled Buoyant Skis
KR100848361B1 (en) Apparatus for moving on the water surface
KR100485779B1 (en) floating mobile implement
KR101576844B1 (en) Water Agency with momentum
KR200449067Y1 (en) Dabbling implement using rubber tube
KR101852948B1 (en) Noneelectric device for a rippling
KR100723452B1 (en) The auxiliary apparatus for swimming
US7160165B2 (en) Device for rippling of water
KR200228446Y1 (en) Sled shaped tool for play in the water
KR101115812B1 (en) The webfoot type of paddle device
KR200361236Y1 (en) Safety board for dabbling in water
ES2252588T3 (en) ARTICLE FOR AQUATIC SPORTS.
KR100596913B1 (en) Portable type of human-powered water skis
JP3602919B2 (en) Surf board
JP3130396U (en) Water wal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19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