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3016Y1 - 피브이시 창호용 프레임 보강심재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피브이시 창호용 프레임 보강심재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3016Y1
KR200433016Y1 KR2020060025603U KR20060025603U KR200433016Y1 KR 200433016 Y1 KR200433016 Y1 KR 200433016Y1 KR 2020060025603 U KR2020060025603 U KR 2020060025603U KR 20060025603 U KR20060025603 U KR 20060025603U KR 200433016 Y1 KR200433016 Y1 KR 2004330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indow
core
window frame
incline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56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진
Original Assignee
(주)한동윈시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동윈시스코 filed Critical (주)한동윈시스코
Priority to KR20200600256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30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30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301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06Single frames
    • E06B3/08Construc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 E06B3/20Construc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of plastics
    • E06B3/22Hollow frames
    • E06B3/221Hollow frames with the frame member having local reinforcements in some parts of its cross-section or with a filled cavity
    • E06B3/222Hollow frames with the frame member having local reinforcements in some parts of its cross-section or with a filled cavity with internal prefabricated reinforcing section members inserted after manufacturing of the hollow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 E06B3/9647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the connecting piece being part of or otherwise linked to the window or door fittings
    • E06B3/9648Mitre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64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 E06B3/968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 connecting pieces are fixed in or on the frame members
    • E06B3/9681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using separate connection pieces, e.g. T-connection piece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 connecting pieces are fixed in or on the frame members by press fit or adhesion
    • E06B3/9682Mitre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Corner Units Of Frames Or Wings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피브이시(PVC) 창호용 프레임 보강심재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피브이시 창호용 프레임의 보강을 위해 프레임 내측에 끼움 결합한 보강심재를 상호 연결 구성하여 창호에 적용된 창틀 및 창문틀에 적용된 프레임의 휨을 방지하고 무게를 대폭 줄여 작업성을 개선 및 경제성을 높이면서도 태풍 등에 의한 강한 외력으로부터 창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공간부(2a)에 길이방향으로 보강심재(3)가 내장 결합되어 피스(4)로 상호 결합된 창호용 프레임(2)의 단부에 경사면(5)을 형성하고 이웃하는 프레임(2)의 경사면(5)과 맞닿게 한 상태에서 열 접착하여 창틀(10) 및 창문틀(20)을 구성함에 있어서, 보강심재(3)에는 프레임(2)과 동일소재로 구성된 연결심재(6)를 끼움 결합하되, 연결심재(6)는 단부에 이웃하는 프레임(2)과 접하도록 형성한 경사면(5)과 동일한 각도로 개선된 경사면(7)이 형성되어 프레임(2)을 열 접착할 때 함께 열 접착되게 한 것으로서, 내구성 향상과 함께 창틀(10) 및 창문틀(20)의 전체 중량이 감소되어 작업성이 개선될 수 있는 것이며, 보강심재(3)의 두께를 얇게 구성할 수 있으므로 원가 절감에도 일조할 수 있는 것이다.
프레임 보강심재의 결합구조, 프레임, 보강심재, 경사면, 연결심재

Description

피브이시 창호용 프레임 보강심재의 결합구조{Combination structure of a support beam for PVC window frame}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창호의 일예를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창문틀 프레임의 요부 발췌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적용된 창문틀 프레임의 조립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프레임 보강심재의 결합구조 2:프레임
2a:공간부 3:보강심재
4:피스 5:경사면
6:연결심재 6a:단턱
7:경사면 10:창틀
20:창문틀
본 고안은 피브이시(PVC) 창호용 프레임 보강심재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피브이시 창호용 프레임의 보강을 위해 프레임 내측에 끼움 결합한 보강심재를 상호 연결 구성하여 창호에 적용된 창틀 및 창문틀에 적용된 프레임의 휨을 방지하고 무게를 대폭 줄여 작업성을 개선 및 경제성을 높이면서도 태풍 등에 의한 강한 외력으로부터 창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한 것이다.
건축물의 창호에 적용되는 프레임의 경우 금속 및 비철금속으로 제작된 프레임으로 창틀과 창문틀을 형성하고 창문틀에 유리창을 결합하여 구성하였다.
금속 및 비철금속으로 창호를 구성할 경우 내구성이 우수한 등의 이점이 있으나, 우수로부터 부식되는 단점, 단열성 저하, 제조원가 상승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다.
근자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수단으로 피브이시(PVC) 창호가 제안되어 널리 보급되고 있다.
피브이시 창호는 부식의 염려가 없고, 단열성이 우수한 등의 이점이 있으나 내구성이 종래 금속 및 비철금속에 비해 떨어지는 문제점으로 인해 강한 바람의 영향을 받는 고층 건물용으로 사용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어 프레임의 내부에 금속제 보강심재를 결합하여 단점을 해결하고 있다.
보강심재를 결합한 상태에서 창호의 창틀 및 창문틀을 제작할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배열되는 4개의 부재 모서리를 경사지게 절단하고, 용접면적을 높이기 위 해서 별도 제작되며 절단면과 동일한 각도를 갖는 보강용접부재를 프레임에 결합한 상태에서 절단면을 열접착하게 되는데, 이때 프레임의 내부에 내입 구성된 상태로 피스에 의해 각 프레임에 독립적으로 보강심재가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프레임에 보강심재를 결합한 경우 내구성을 높일 목적으로 보강심재를 두꺼운 소재로 사용하게 되므로 중량이 증가되어 작업성이 저하되고, 제조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강한 외력이 프레임에 제공될 때 보강심재의 양 단부 즉, 보강심재의 단부와 프레임의 용접부 사이 혹은 용접보강부재의 단부 사이에 취약부가 발생하고 이 부분을 중심으로 프레임의 휨 현상이 발생하므로 프레임의 내구성 향상에도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고안자는 상기 창호용 프레임에 결합되는 보강심재를 이웃하는 프레임에 결합되어 있는 보강심재와 상호 연결함으로 해서 창호의 중량을 감소시켜 작업성을 개선하고, 제조원가를 절감하면서도 강한 외력으로 인해 프레임이 휘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피브이시 창호용 프레임 보강심재의 결합구조를 제공함에 고안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고안을 완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창호의 일예를 보인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창문틀 프레임의 요부 발췌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적용된 창문틀 프레임의 조립상태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하에서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피브이시 창호용 프레임 보강심재의 결합구조(1)는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어 이웃하는 프레임(2)에 내장 결합되어 있는 보강심재(3)들을 서로 결속하여 4각틀이 형성되게 함으로 해서 창틀(10) 및 창문틀(20)의 중량을 감소시키면서도 내구성을 향상, 제조원가 절감이 이루어지게 함에 그 특징이 있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은 공간부(2a)에 길이방향으로 보강심재(3)가 내장 결합되어 피스(4)로 상호 결합된 창호용 프레임(2)의 단부에 경사면(5)을 형성하고 이웃하는 프레임(2)의 경사면(5)과 맞닿게 한 상태에서 열접착 하여 창틀(10) 혹은 창문틀(20)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보강심재(3)에는 프레임(2)과 동일소재로 구성된 연결심재(6)를 끼움 결합하되, 연결심재(6)의 단부에는 이웃하는 프레임(3)과 접하도록 형성한 경사면(5)과 동일한 각도로 개선된 경사면(7)을 형성하여 이웃하는 프레임(2)을 열 접착할 때 함께 열접착 고정되게 한 구성이다.
상기 연결심재(6)에는 보강심재(3)의 두께와 동일한 높이를 갖는 단턱(6a)을 형성하여 보강심재(3) 및 프레임(2)의 공간부(2a)에 각각 긴밀하게 끼움 결합되게 한다.
그리고 연결심재(6)는 결속력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프레임(2)에 보강심재(3)를 고정하는 피스(4)에 의해 보강심재(3)와 함께 프레임(2)에 고정한다.
상기 보강심재(3)는 본 고안에서 단면이 ㅁ형으로 구성되었으나, ㄷ형 등으 로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피브이시 창호용 프레임 보강심재의 결합구조(1)는 창호의 창틀(10) 및 창문틀(20)에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본 고안을 사용할 경우 프레임(2) 내부의 공간부(2a)에 결합되어 있는 보강심재(3)에 프레임(3)과 동일재질로 구성되며, 이웃하는 프레임(2)과 접합되도록 형성한 경사면(5)과 동일한 각도로 개선된 경사면(7)을 형성한 연결심재(6)를 결합하여 고정한 구성으로 창틀(10) 및 창문틀(20)에 적용할 경우 각 프레임(3)에 내입되는 보강심재(3)가 프레임(2)과 함께 열 접착되는 연결심재(6)에 의해 상호 연결 구성되어 4각틀 형상을 유지하게 되고, 보강심재(3)의 두께와 동일한 높이를 갖는 단턱(6a)이 형성되므로 프레임(2)에 형성된 공간부(2a)에 긴밀한 결합이 가능하고, 피스(4)에 의해 보강심재(3)와 함께 프레임(2)에 고정된 상태에서 프레임(2)과 함께 연결심재(6)가 열 접착되므로 견고한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창틀(10) 및 창문틀(20)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보강심재(3)의 두께를 두껍게 만들지 않고도 소망하는 내구성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피브이시 창호용 프레임 보강심재의 결합구조(1)는 창호의 창틀(10) 및 창문틀(20)을 구성하는 프레임(2)에 내입되어 있는 철재 보강심재(3)를 프레임(2)과 동일 재질로 구성된 연결심재(6)로 상호 연결하여 일체화함으로 해서 내구성 향상과 함께 창틀(10) 및 창문틀(20)의 전체 중량이 감소되어 작업성이 개선될 수 있는 것이며, 보강심재(3)의 두께를 얇게 구성할 수 있으므로 원가 절감에도 일조할 수 있는 등 기대 이상의 효과를 득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3)

  1. 공간부(2a)에 길이방향으로 보강심재(3)가 내장 결합되어 피스(4)로 상호 결합된 창호용 프레임(2)의 단부에 경사면(5)을 형성하고 이웃하는 프레임(2)의 경사면(5)과 맞닿게 한 상태에서 열 접착하여 창틀(10) 및 창문틀(20)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보강심재(3)에는 프레임(2)과 동일소재로 구성된 연결심재(6)를 끼움 결합하되,
    상기 연결심재(6)는 단부에 이웃하는 프레임(2)과 접하도록 형성한 경사면(5)과 동일한 각도로 개선된 경사면(7)이 형성되어 프레임(2)을 열 접착할 때 함께 열 접착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브이시 창호용 프레임 보강심재의 결합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심재(6)에는 보강심재(3)의 두께와 동일한 높이를 갖는 단턱(6a)을 형성하여 보강심재(3) 및 프레임(2)의 공간부(2a)에 각각 긴밀하게 끼움 결합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브이시 창호용 프레임 보강심재의 결합구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심재(6)는 결속력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프레임(2)에 보강심재(3)를 고정하는 피스(4)에 의해 보강심재(3)와 함께 프레임(2)에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브이시 창호용 프레임 보강심재의 결합구조.
KR2020060025603U 2006-09-22 2006-09-22 피브이시 창호용 프레임 보강심재의 결합구조 KR2004330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5603U KR200433016Y1 (ko) 2006-09-22 2006-09-22 피브이시 창호용 프레임 보강심재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5603U KR200433016Y1 (ko) 2006-09-22 2006-09-22 피브이시 창호용 프레임 보강심재의 결합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1954A Division KR100719619B1 (ko) 2006-09-21 2006-09-21 피브이시 창호용 프레임 보강심재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3016Y1 true KR200433016Y1 (ko) 2006-12-07

Family

ID=41781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5603U KR200433016Y1 (ko) 2006-09-22 2006-09-22 피브이시 창호용 프레임 보강심재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301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2664B1 (ko) 2015-12-10 2016-10-05 주식회사 금강금속 문틀 보강프레임
KR20180064984A (ko) 2016-12-06 2018-06-15 제정원 창문프레임 결합용 결합구조물을 갖는 금속제 창호 조립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2664B1 (ko) 2015-12-10 2016-10-05 주식회사 금강금속 문틀 보강프레임
KR20180064984A (ko) 2016-12-06 2018-06-15 제정원 창문프레임 결합용 결합구조물을 갖는 금속제 창호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81534B2 (en) Formed steel beam for steel-concrete composite beam and slab
US20140123587A1 (en) Framework connecting device of prefabricated building structure
KR101349649B1 (ko) 조립철골거더에 의한 변단면 단부보강 합성구조
KR101129086B1 (ko) 커튼월 시스템
KR101549417B1 (ko) 철골합성보용 조인트 바스켓
KR101202063B1 (ko) 조립식 격자지보
US10822792B2 (en) Wall structure using blocks and frames with wedge-type coupling part formed therein and method for constructing wall using same
KR200433016Y1 (ko) 피브이시 창호용 프레임 보강심재의 결합구조
KR101560908B1 (ko) 개방형 강구조체의 접합부
KR200435118Y1 (ko) 피브이시 창호용 프레임의 결합구조
KR20150034879A (ko) 알루미늄-스틸 복합 커튼월 구조
KR101447001B1 (ko) 커튼월의 단열박스 결합구조
KR20090081056A (ko) 외장판넬 조립용 체결구
KR101274999B1 (ko) 래티스부재를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구조물 및 이의 제작방법
KR100719619B1 (ko) 피브이시 창호용 프레임 보강심재의 결합구조
KR101827146B1 (ko) 외부보강 조립식 물탱크 및 그 시공방법
KR20130033151A (ko) 건물 외벽용 패널 결합체
EP2872710A1 (en) A combination of a connector for glass elements and such glass elements
KR100968018B1 (ko) 원형관 골조용 외장판넬 체결구
CN207260343U (zh) 一种装配式保温墙体结构
CN106760102B (zh) 钢结构秸秆材质板复合楼承板构件
KR200459774Y1 (ko) 건축용 조립 판넬의 연결구조
KR101622165B1 (ko) 콘크리트 충전형 합성기둥
KR100767434B1 (ko) 창문용 프레임의 결합구조
KR102037633B1 (ko) W형 합성보를 이용한 기둥 보 접합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04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