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2963Y1 - Informing device for perception of an image - Google Patents

Informing device for perception of an im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2963Y1
KR200432963Y1 KR2020060025029U KR20060025029U KR200432963Y1 KR 200432963 Y1 KR200432963 Y1 KR 200432963Y1 KR 2020060025029 U KR2020060025029 U KR 2020060025029U KR 20060025029 U KR20060025029 U KR 20060025029U KR 200432963 Y1 KR200432963 Y1 KR 2004329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mage
unit
detection
ma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502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재은
Original Assignee
김재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은 filed Critical 김재은
Priority to KR20200600250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2963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29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2963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영상감지용 알람기기에 관한 것으로, 사용하기 편리한 소형사이즈로 컴팩트하게 제작되어 별도로 모션디텍션 기능이 추가된 고가의 DVR장치를 구매하지 않고도, 사용자가 간편하게 기존의 카메라 시스템에 설치하여 대중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모니터에서 감지되는 특정상황에 대한 변화를 소리로써 알려주는 영상감지용 알림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larm device for video detection, which is manufactured in a compact size and is convenient to use, so that a user can easily install it in an existing camera system without purchasing an expensive DVR device with a motion detection function. It can be used, and to provide a video detection notification device that notifies the change of the specific situation detected by the monitor by soun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르면, 감시카메라(10)의 출력라인(11)과 감시모니터(20)의 입력라인(21)이 직접 접속되어 이루어진 영상라인(29)에 연결되어 감시카메라(10)에서 촬영된 영상의 변화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영상감지용 알림기기에 있어서, 상기 감시카메라(10)에 연결되어 그 영상신호를 인가받는 영상입력부(30)와, 이 영상입력부(30)에 연결되어 인가된 영상신호를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로 각각 분리하는 신호분리부(40)와, 이 신호분리부(40)와 연결되어 분리된 신호를 인가받아 감시대상영역의 변화를 감지하도록 감지마크(51)신호를 형성하는 마크신호발생부(50)와, 이 마크신호발생부(50) 및 상기 영상입력부(30) 사이에 연결되어 감지마크(51)신호와 영상신호를 합성하여 상기 영상입력부(30)로 출력시키는 영상합성부(60)와, 상기 마크신호발생부(50)와 연결되어 감지마크(51)안의 영상의 변화를 감지하여 그 변화폭이 일정기준치를 넘어서면 그 후단으로 감지신호를 출력시키며 그 감지감도레벨을 조절하는 감지조절부(70)와, 이 감지조절 부(70)의 후단에 연결되어 감지신호를 인가받아 경보시간을 조정하며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보음발생부(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감지용 알림기기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output line 11 of the surveillance camera 10 and the input line 21 of the surveillance monitor 20 is connected to the image line 29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surveillance camera An image sensing notification device for notifying a user of a change in an image captured by 10, wherein the image input unit 30 is connected to the surveillance camera 10 and receives the image signal, and the image input unit 30. A signal separation unit 40 for separating the applied image signal into horizontal and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s, respectively, and connected to the signal separation unit 40 to sense a change in the monitoring target area by receiving the separated signal. And a mark signal generator 50 for forming a mark 51 signal, and between the mark signal generator 50 and the image input unit 30 to synthesize the detection mark 51 signal and the image signal. Image synthesizing unit 60 for outputting to input unit 30, and the mark Detection control unit 70 is connected to the signal generating unit 50 to detect a change in the image in the detection mark 51, and if the change width exceeds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outputs a detection signal to the rear end and adjusts the detection sensitivity level. And,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detection control unit 70 is provided with a notification device for detecting the imag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alarm sound generator 80 for adjusting the alarm time and receiving an alarm signal to generate an alarm sound. do.

감시카메라, 영상입력단자, 감시모니터, 영상출력단자, 영상입력부, 신호분리부 Surveillance Camera, Video Input Terminal, Surveillance Monitor, Video Output Terminal, Video Input Section, Signal Separation Section

Description

영상감지용 알림기기{Informing device for perception of an image}Informing device for perception of an image}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감시시스템의 전체구성도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monitoring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는 본 고안의 내부 회로구성도2 is an internal circuit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외관사시도3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감시카메라 12. 영상입력단자   10. Surveillance Camera 12. Video Input Terminal

20. 감시모니터 22. 영상출력단자   20. Surveillance monitor 22. Video output terminal

30. 영상입력부 40. 신호분리부   30. Video input unit 40. Signal separator

50. 마크신호발생부 51. 감지마크   50. Mark signal generator 51. Detection mark

60. 영상합성부 70. 감지조절부   60. Image synthesis unit 70. Detection control unit

80. 경보음발생부 90. 스위치부    80. Alarm sound generator 90. Switch

본 고안은 영상감지용 알림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가의 DVR장치 없이도 기존의 감시카메라와 감시모니터 사이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감시모니터에 표시되는 감지마크를 통해 감시하고자하는 대상체의 이동에 따른 변화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영상감지용 알림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tification device for video detection, and more particularly, it can be easily installed between an existing surveillance camera and a surveillance monitor without an expensive DVR device, and the movement of an object to be monitored through a detection mark displayed on the surveillance monito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deo detecting notification device capable of recognizing a chan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아파트, 은행의 경비실과 같은 장소에는 경비자가 눈으로 감시할 수 없는 영역에 설치된 CCTV와 연결되는 모니터가 있어서, 시시각각 일어나고 있는 상황들을 감시하게 된다. 그런데, 언제 어떤 일이 일어날지 모르기 때문에 경비자는 아무일도 일어나지 않는 순간까지 계속해서 모니터를 주시해야 하는데, 이런 일은 야간경비와 같은 업무상의 불편함에 더해서, 경비자에게 큰 피로감이 들게 한다. 따라서, 감시하는 일을 소홀히 할 수 있으며, 조는 일이 발생하기도 하는데, 이로 인해, 예기치 않은 문제들이 경비자가 모르는 사이에 발생되어 제때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함으로 미연에 방지 가능한 사고 및 사건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았다. In places such as security offices in apartments and banks, there are monitors connected to CCTVs installed in areas where security guards cannot see. By the way, the guards have to keep an eye on the monitors until the moment when nothing happens, because they don't know what's going to happen. Thus, monitoring can be neglected, and Joe can happen, causing unforeseen problems and accidents that can be prevented due to inadequate timely response. There were a lot.

따라서, 이로 인해, 감시대상영역에 감지마크를 형성하여 CCTV를 통해 나타난 감시대상물체의 움직임에 변화가 있을 경우 그 움직임을 포착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모션디텍션(motion detection)기능이 탑재된 DVR(Digital Video Recorder)장치가 선보여 시중에 판매되고 있다. DVR장치는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컨버팅하여 내부의 하드디스크에 녹화하는 장비이다. 그러나, 이러한 기능이 포함된 DVR장치는 그 주변기능이 다양하고 많을수록 가격대가 매우 높아지게 되며, 상기 모션디텍션기능이 추가된 DVR장치의 경우 상대적으로 높은 가격대에 판매되고 있으므로, DVR장치없이 모션디텍션기능만을 사용하기를 원하는 사용자라 하더라도 이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선 고가의 DVR장치를 구입하여 설치해야만 하였다. 따라서, 경제적인 부담이 크게 증가하여 이러한 모션디텍션기능은 대중적으로 널리 보급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Therefore, the DVR (Digital) equipped with a motion detection function that forms a detection mark on the surveillance target area and captures the movement and informs the user when there is a change in the movement of the monitored object displayed through CCTV. Video Recorder) is introduced and sold on the market. The DVR device converts the video signals captured by the camera into digital signals and records them on the internal hard disk. However, the DVR device with such a function increases its price range as the peripheral functions vary and the more, and since the DVR device with the motion detection function is sold at a relatively high price point, only the motion detection function without the DVR device is provided. Even users who want to use had to purchase and install an expensive DVR device to use this function. Therefore, the economic burden is greatly increased, there is a problem that such a motion detection function is not widely popular.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은 모션디텍션기능이 탑재된 DVR장치는 그 설치과정 상에 별도의 배선작업이 수반되고, 스피커를 별도로 설치해야하며, 설치방법 등을 숙지해야 함으로 설치과정이 어렵고, 전문가에게 의뢰하여 장치를 설치해야 하였으므로 일반사용자들이 직접 설치하지 못하여 설치가 꺼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DVR장치는 이미 DVR장치 내에 설치된 하드웨어적인 구성을 이용하여 프로그램적으로 구현하는 것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모션디텍션기능은 DVR장치에 종속적일 수 밖에 없었다. In addition, the DVR device equipped with the motion detection function as described above requires a separate wiring work, the speaker must be installed separately, and the installation method is difficult because the installation process is difficult. Since the device had to be installed,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general users could not install directly and the installation was reluctant. In addition, since the DVR device is implemented programmatically using a hardware configuration already installed in the DVR device, the motion detection function has to be dependent on the DVR device.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하기 편리한 소형사이즈로 컴팩트하게 제작되어 별도로 모션디텍션기능이 추가된 고가의 DVR장치를 구매하지 않고도, 사용자가 간편하게 기존의 카메라 시스템에 설치하여 대중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모니터에서 감지되는 특정상황에 대 한 변화를 소리로써 알려주는 영상감지용 알림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duce a compact and easy to use compact size without the need to purchase expensive DVR device additional motion detection function, the user can easily It can be installed in camera system and used publicly, and it is to provide a video detection notification device that informs the change of specific situation detected by monitor by soun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르면, 감시카메라(10)의 출력라인(11)과 감시모니터(20)의 입력라인(21)이 직접 접속되어 이루어진 영상라인(29)에 연결되어 감시카메라(10)에서 촬영된 영상의 변화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영상감지용 알림기기에 있어서, 상기 감시카메라(10)에 연결되어 그 영상신호를 인가받는 영상입력부(30)와, 이 영상입력부(30)에 연결되어 인가된 영상신호를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로 각각 분리하는 신호분리부(40)와, 이 신호분리부(40)와 연결되어 분리된 신호를 인가받아 감시대상영역의 변화를 감지하도록 감지마크신호를 형성하는 마크신호발생부(50)와, 이 마크신호발생부(50) 및 상기 영상입력부(30) 사이에 연결되어 감지마크신호와 영상신호를 합성하여 상기 영상입력부(30)로 출력시키는 영상합성부(60)와, 상기 마크신호발생부(50)와 연결되어 감지마크(51)안의 영상의 변화를 감지하여 그 변화폭이 일정기준치를 넘어서면 그 후단으로 감지신호를 출력시키며 그 감지감도레벨을 조절하는 감지조절부(70)와, 이 감지조절부(70)의 후단에 연결되어 감지신호를 인가받아 경보시간을 조정하며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보음발생부(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감지용 알림기기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output line 11 of the surveillance camera 10 and the input line 21 of the surveillance monitor 20 is connected to the image line 29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surveillance camera An image sensing notification device for notifying a user of a change in an image captured by 10, wherein the image input unit 30 is connected to the surveillance camera 10 and receives the image signal, and the image input unit 30. A signal separation unit 40 for separating the applied image signal into horizontal and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s, respectively, and connected to the signal separation unit 40 to sense a change in the monitoring target area by receiving the separated signal. It is connected between the mark signal generation unit 50 which forms a mark signal, the mark signal generation unit 50 and the image input unit 30, and synthesizes the detection mark signal and the image signal and outputs them to the image input unit 30. An image synthesizing unit 60 and the mark signal A detection control unit 70 connected to the living unit 50 to detect a change in the image in the detection mark 51 and output a detection signal to the rear end when the change width exceeds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and adjusts the detection sensitivity level; It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sensing control unit 70 is provided with a notification device for image sensing,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alarm sound generator 80 to adjust the alarm time and generate an alarm sound by receiving a detection signal.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마크신호발생부(50) 및 상기 경보음발생부(80)에는 각각 그 내부에 구동전원이 공급되도록 외부전원이 입력되는 전원공 급단자(95)에 접속된 전원라인(96)이 연결되어 이 전원라인(96) 상에는 전원공급을 선택적으로 온오프하는 스위치부(90)가 구비되며, 상기 영상입력부(30)의 전단에는 상기 감시카메라(10)의 출력라인(11) 및 상기 감시모니터(20)의 입력라인(21)이 상호 직접 연결되도록 각각 영상입력단자(12) 및 영상출력단자(22)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감지용 알림기기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rk signal generator 50 and the alarm sound generator 80 are connected to a power supply terminal 95 to which external power is input so that driving power is supplied therein, respectively. A power supply line 96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line 96 is provided with a switch unit 90 for selectively turning on and off the power supply, the front end of the image input unit 30, the output line of the surveillance camera 10 An image sensing notification device is provided, characterized in that the image input terminal 12 and the image output terminal 22 are connected so that the input line 21 of the monitoring monitor 20 is 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Th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영상감지용 알림기기가 적용된 감시시스템의 전체구성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내부 회로구성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외관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영상감지용 알림기기는 감시카메라(10)와, 감시모니터(2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감시카메라(10)로부터 촬영된 영상정보를 인가받아 다시 이 영상정보를 이용해 감시대상영역의 변화를 감지하는 감지마크(51)를 형성하여 상기 감시모니터(20)상에 출력시키고, 상기 감지마크(51)에 특정한 변화가 일어나면, 이 변화를 감지하여 외부로 소리를 출력시키는 기기이다. 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surveillance system to which a notification device for image sen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2 is an internal circuit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image detecting notific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between the surveillance camera 10 and the surveillance monitor 20, and receives the image information photographed from the surveillance camera 10 to receive the image information again. Forming a detection mark 51 for detecting a change in the monitoring target area and outputting the detection mark 51 on the monitoring monitor 20, and when a specific change occurs in the detection mark 51, detecting the change and outputting a sound to the outside. It is a device to let.

이와 같은 본 고안은 감시카메라(10)의 출력라인(11)과 감시모니터(20)의 입력라인(21)이 직접 연결되는 영상라인(29)에 연결되어 감시카메라(10)에서 촬영된 영상의 변화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영상감지용 알림기기로, 상기 감시카메라(10)에 연결되어 그 영상신호를 인가받는 영상입력부(30)와, 이 영상입력부(30)에 연결 되어 인가된 영상신호를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로 각각 분리하는 신호분리부(40)와, 이 신호분리부(40)와 연결되어 분리된 신호를 인가받아 감시대상영역의 변화를 감지하도록 감지마크신호를 형성하는 마크신호발생부(50)와, 이 마크신호발생부(50) 및 상기 영상입력부(30) 사이에 연결되어 감지마크신호와 영상신호를 합성하여 상기 영상입력부(30)로 출력시키는 영상합성부(60)와, 상기 마크신호발생부(50)와 연결되어 감지마크(51)안의 영상의 변화를 감지하여 그 변화폭이 일정기준치를 넘어서면 그 후단으로 감지신호를 출력시키며 그 감지감도레벨을 조절하는 감지조절부(70)와, 이 감지조절부(70)의 후단에 연결되어 감지신호를 인가받아 경보시간을 조정하며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보음발생부(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image line 29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output line 11 of the surveillance camera 10 and the input line 21 of the surveillance monitor 20 of the image taken by the surveillance camera 10 An image detecting notification device for notifying a user of a change, the image input unit 30 connected to the surveillance camera 10 and receiving the image signal, and the image signal connected to the image input unit 30 horizontally. And a signal separation unit 40 for separating each of the vertical synchronous signals, and a mark signal generation unit for forming a detection mark signal to detect a change in the monitoring target area by receiving the separated signal connected to the signal separation unit 40. An image synthesizing unit 60 connected between the mark signal generating unit 50 and the image input unit 30 to synthesize a detection mark signal and an image signal and output the synthesized mark signal to the image input unit 30; The image in the detection mark 51 is connected to the mark signal generation unit 50 When the change is detected and the change width exceeds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a detection control unit 70 outputs a detection signal to the rear end thereof, and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detection control unit 70 to adjust the detection sensitivity level.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n alarm sound generation unit 80 for receiving an alarm to adjust the alarm time to generate an alarm sound.

상기 마크신호발생부(50)는 상기 신호분리부(40)에서 분리된 수직 및 수평동기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감지마크(51)를 형성한다. 이 때, 상기 마크신호발생부(50)에는 수직 및 수평으로 감지마크(51)의 위치 및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는 위치조절스위치(52) 및 크기조절스위치(53)가가 더 구비된다. The mark signal generation unit 50 forms the detection mark 51 by using the vertical and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s separated by the signal separation unit 40. At this time, the mark signal generation unit 50 is further provided with a position control switch 52 and the size control switch 53 which can adjust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detection mark 51 vertically and horizontally.

또한, 상기 마크신호발생부(50)를 통해 형성된 감지마크신호는 상기 영상입력부(30)에서 출력되는 원래의 영상신호와 상기 영상합성부(60)를 통해 합쳐진다. 이와 같이, 합쳐진 영상정보는 상기 영상입력부(30)와 상기 영상합성부(60) 사이에 연결된 송신전선(61)을 타고 다시 상기 영상입력부(30)를 거쳐 상기 감시모니터(20)로 출력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감지마크(51)가 감시모니터(20)에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마크신호발생부(50)는 상기 감지마크(51) 안에 형성된 신호의 변화를 매순간 체크하여 상기 감지조절부(70)에 인가시킨다. 따라서, 감지마크(51)안 의 영상의 변화가 일어나면, 그 변화의 폭이 감지조절부(70)에서 미리 정해놓은 기준치와 비교하여 그 이상일 경우 그 후단에 있는 경보음발생부(80)로 감지신호를 출력시키게 된다. 한편, 이 기준치의 감지감도는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도록 감도조절기(71)가 구비된다. 이처럼, 기준치를 초과하여 감지마크(51)의 영상이 변화되면, 상기 경보음발생부(80)에서는 경보를 발생시킨다. 이 때, 이 경보음발생부(80)에는 경보시간이 얼마동안 울릴 것인지를 조절하는 경보시간조절기(81)와, 경보음의 크기를 조절하는 볼륨조절기(82)가 구비되어 경보음의 발생을 조절하게 된다. 또한, 증폭회로(83)와 스피커(84)가 구비되어 최종적인 경보음이 발생한다. In addition, the detection mark signal formed through the mark signal generator 50 is combined with the original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image input unit 30 through the image synthesizer 60. In this way, the combined image information is output to the surveillance monitor 20 via the image input unit 30 via the transmission wire 61 connected between the image input unit 30 and the image synthesis unit 60. In this manner, the detection mark 51 is displayed on the monitoring monitor 20. In addition, the mark signal generation unit 50 checks the change of the signal formed in the detection mark 51 every moment and applies it to the detection control unit 70. Therefore, when a change in the image in the detection mark 51 occurs, if the width of the change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predetermined by the detection control unit 70 is detected by the alarm sound generating unit 80 at the rear end thereof. Will output a signal. On the other hand, the sensitivity sensitivity of the reference value is provided with a sensitivity controller 71 so that the user can adjust. As such, when the image of the detection mark 51 is changed beyond the reference value, the alarm sound generating unit 80 generates an alarm. At this time, the alarm sound generating unit 80 is provided with an alarm time controller 81 for adjusting how long the alarm time will sound, and a volume controller 82 for adjusting the volume of the alarm sound to generate the alarm sound. Will be adjusted. In addition, the amplification circuit 83 and the speaker 84 is provided to generate the final alarm sound.

한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마크신호발생부(50) 및 상기 경보음발생부(80)에는 각각 그 내부에 구동전원이 공급되도록 12V의 외부전원이 입력되는 전원공급단자(95)에 접속된 전원라인(96)이 연결되며 이 전원라인(96) 상에는 전원공급을 선택적으로 온오프하는 스위치부(90)가 구비되며, 상기 영상입력부(30)의 전단에는 상기 감시카메라(10)의 출력라인(11) 및 상기 감시모니터(20)의 입력라인(21)이 상호 직접 연결되도록 각각 영상입력단자(12) 및 영상출력단자(22)가 연결되어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s 2 and 3, the power supply terminal 12V external power is input to the mark signal generation unit 50 and the alarm sound generation unit 80 so that driving power is supplied therein ( 95 is connected to the power line 96 is connected to the power line 96 is provided with a switch unit 90 for selectively turning on and off the power supply, the front end of the image input unit 30, the surveillance camera ( The image input terminal 12 and the image output terminal 2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output line 11 of 10 and the input line 21 of the monitoring monitor 20 are 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상기 스위치부(90)는 상기 마크신호발생부(50)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마크스위치(91) 와, 상기 경보음발생부(80)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알람스위치(92)와, 회로의 전체전원을 온오프하는 파워스위치(93)로 구성되며 각 스위치는 바람직하게는 딥스위치로 이루어진다. The switch unit 90 includes a mark switch 91 for turning off the power of the mark signal generating unit 50, an alarm switch 92 for turning off the power of the alarm sound generating unit 80, and a circuit. It consists of a power switch 93 for turning on and off the entire power supply of each switch preferably consists of a dip switch.

또한, 상기 영상입력단자(12)와 영상출력단자(22)는 상호 직접 연결되어 있 으며, 상기 영상입력부(30)는 이 영상입력단자(12)와 영상출력단자(22) 사이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감시카메라(10)에서 보내진 영상신호는 직접 감시모니터(20)로 전송이 되며, 다만, 감시카메라(10)에서 전송되는 영상신호의 일부가 본 고안에서 이용되어 감지마크(51)영상신호로 만들어져서 다시 상기 감시모니터(20)로 전송되어 최종적으로 감지마크(51)가 형성된 영상신호가 감시모니터(20)에 나타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image input terminal 12 and the image output terminal 22 is 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image input unit 30 is connected between the image input terminal 12 and the image output terminal 22 The video signal sent from the surveillance camera 10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surveillance monitor 20, however, a part of the vide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urveillance camera 10 i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o make the detection mark 51 video signal. The video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urveillance monitor 20 and finally the detection mark 51 is formed on the surveillance monitor 20.

이상 설명된 회로의 모든 구성들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팩트한 사이즈로 제작되는 직사각형 모양의 외관하우징(99)의 내부에 탑재되어 소형화되어 제작된다. As shown in FIG. 3, all of the configurations of the circuit described above are mounted inside the rectangular housing (99) of a compact size and miniaturized.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영상감지용 알림기기는 상기 마크신호발생부(50)와 감지조절부(70) 및 경보음발생부(80) 등, 모션디텍션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구성된 하드웨어를 독립적으로 구현시킴으로써, 종래에,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모션디텍션기능을 탑재시킨 DVR장치를 사용하지 않아도 됨으로 DVR장치에 종속되어 모션디텍션기능을 사용해야하는 단점이 사라지는 장점이 있다. 이와 동시에, 기존의 DVR장치 중에 모션디텍션기능이 하드웨어적으로 구성된 제품과 같은 경우에도 모션디텍션기능만을 따로 사용할 필요가 있을 경우 별도로 분리시켜 사용할 수 없었던 문제점을 해결한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모션디텍션기능만을 사용하기 위해 별도로 필요하지 않은 고가의 DVR장치를 함께 구매하지 않고, 상대적으로 구매가격이 낮은 본 고안의 영상감지용 알림기기를 경제적인 부담 없이 설치가 가능하여 대중적으로 모션디텍션기능을 널리 보급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image detecting notific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dependently implements hardware configured to implement a motion detection function, such as the mark signal generation unit 50, the detection control unit 70, and the alarm sound generation unit 80. By doing so, in the related art, it is not necessary to use a DVR device equipped with a motion detection function by using a program, so that the disadvantage of using the motion detection function dependent on the DVR device is eliminated. At the same time, even if the motion detection function is a hardware-configured product among the existing DVR devices, it is advantageous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separate motion detection function cannot be used separately when it is necessary to use the motion detection function separately.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nstall the video detection notific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economic burden without purchasing expensive DVR device that is not required separately to use only the motion detection function without any economic burden. There is an advantage to spread the detection function.

또한, 상기 마크신호발생부(50)의 위치조절스위치(52)와 크기조절스위치(53) 를 구비함으로 감지마크(51)의 영역을 사용자가 원하는 사양대로 조절할 수 있어 감시하고자하는 영역을 융통성있게 변화시킬 수 있어 감시작업이 훨씬 수월해 지는 장점이 있다. 그에 더해, 상기 감도조절기(71)를 구비하여 감지마크(51)의 감지감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감지마크(51) 영역의 특성에 따라 필요이상으로 신경을 기울이지 않거나, 더욱더 예의주시할 영역을 따로 구분하여 탄력적으로 감시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마크스위치(91) , 알람스위치(92), 파워스위치(93)로 이루어진 스위치부(90)를 구성함으로 필요에 따라 편리하게 각 기능을 끄거나 켜도록 조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by providing the position control switch 52 and the size control switch 53 of the mark signal generation unit 50, the area of the detection mark 51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s desired specification, so that the area to be monitored can be flexibly This can be changed, making monitoring much easier. In addition, since the sensitivity of the detection mark 51 can be adjusted by the sensitivity controller 71, the area of the detection mark 51 may not be inclined more than necessary or may be further classified.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adjust the monitoring intensity flexibly. In addition, by configuring the switch unit 90 consisting of the mark switch 91, the alarm switch 92, the power switch 93,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adjusted to turn off or turn on each function conveniently.

그에 더해, 상기 전원공급단자(95) 및 상기 영상입력단자(12), 영상출력단자(22)를 구비함으로써, 기존에 사용되던 DVR장치와는 달리 설치에 대한 매뉴얼을 습득하거나 추가적인 배선작업을 하는 일없이 간편하게 단자와 연결잭의 결합작업만으로 본 고안의 영상감지용 알림기기를 기존에 사용되던 감시시스템에 그대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설치에 대한 부담감이 줄게 되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by providing the power supply terminal 95, the image input terminal 12, and the image output terminal 22, unlike the conventional DVR device used to acquire a manual for installation or to perform additional wiring work By simply combining the terminal and the connection jack without work, the image detection notific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it is in the existing surveillance system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burden on the installation.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clear to those of ordinary knowledge.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마크신호발생부(50)와 감지조절부(70) 및 경보음발생부(80) 등, 모션디텍션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구성된 하드웨어를 독립적으로 구현시킴으로써, DVR장치에 종속되어 모션디텍션기능을 사용해야하는 단점이 사라지며, 모션디텍션기능만을 사용하기 위해 별도로 필요하지 않은 고가의 DVR장치를 함께 구매하지 않고, 상대적으로 구매가격이 낮은 본 고안의 영상감지용 알림기기를 경제적인 부담없이 구매하면 되므로 대중적으로 모션디텍션기능을 널리 보급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마크신호발생부(50)의 위치조절스위치(52)와 크기조절스위치(53)를 구비함으로 감시하고자하는 영역을 융통성있게 변화시킬 수 있어 감시작업이 훨씬 수월해 지는 효과가 있다. 그에 더해, 상기 감도조절기(71)를 구비하여 감지마크(51)의 감지감도를 직접 조절할 수 있으므로 감지마크(51) 영역의 특성에 따라 필요이상으로 신경을 기울이지 않거나, 더욱더 예의주시할 영역을 따로 구분하여 탄력적으로 감시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마크스위치(91), 알람스위치(92), 파워스위치(93)로 이루어진 스위치부(90)를 구성함으로 필요에 따라 편리하게 각 기능을 끄거나 켜도록 조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에 더해, 상기 전원공급단자(95) 및 상기 영상입력단자(12), 영상출력단자(22)를 구비함으로써, 기존에 사용되던 DVR장치와는 달리 설치에 대한 매뉴얼을 습득하거나 추가적인 배선작업을 하는 일없이 간편하게 단자와 연결잭의 결합작업만으로 본 고안의 영상감지용 알림기기를 기존에 사용되던 감시시스템에 그대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설치에 대한 부담감이 줄게 되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ndependently implementing the hardware configured to implement the motion detection function, such as the mark signal generation unit 50, the detection control unit 70 and the alarm sound generation unit 80, DVR The disadvantage of having to use the motion detection function depending on the device disappears, and the video detection notific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elatively low purchase price without purchasing an expensive DVR device that is not needed separately to use only the motion detection function. Since it can be purchased without any economic burde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widely spread the motion detection function. In addition, since the position control switch 52 and the size control switch 53 of the mark signal generation unit 50 can be flexibly changed the area to be monitored, the monitoring operation is much easier. In addition, since the sensitivity adjuster 71 can directly adjust the detection sensitivity of the detection mark 51,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tection mark 51, do not pay more attention than necessary, or further separate the area to pay attention to There is an effect that the intensity of surveillance can be adjusted flexibly. In addition, by configuring the switch unit 90 consisting of the mark switch 91, the alarm switch 92, the power switch 93,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adjusted to turn off or turn on each function conveniently. In addition, by providing the power supply terminal 95, the image input terminal 12, and the image output terminal 22, unlike the conventional DVR device used to acquire a manual for installation or to perform additional wiring work By simply combining the terminal and the connection jack without work, the image detection notific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it is in the existing surveillance system, thereby reducing the burden on installation.

Claims (2)

감시카메라(10)의 출력라인(11)과 감시모니터(20)의 입력라인(21)이 직접 접속되어 이루어진 영상라인(29)에 연결되어 감시카메라(10)에서 촬영된 영상의 변화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영상감지용 알림기기에 있어서, 상기 감시카메라(10)에 연결되어 그 영상신호를 인가받는 영상입력부(30)와, 이 영상입력부(30)에 연결되어 인가된 영상신호를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로 각각 분리하는 신호분리부(40)와, 이 신호분리부(40)와 연결되어 분리된 신호를 인가받아 감시대상영역의 변화를 감지하도록 감지마크신호를 형성하는 마크신호발생부(50)와, 이 마크신호발생부(50) 및 상기 영상입력부(30) 사이에 연결되어 감지마크신호와 영상신호를 합성하여 상기 영상입력부(30)로 출력시키는 영상합성부(60)와, 상기 마크신호발생부(50)와 연결되어 감지마크(51)안의 영상의 변화를 감지하여 그 변화폭이 일정기준치를 넘어서면 그 후단으로 감지신호를 출력시키며 그 감지감도레벨을 조절하는 감지조절부(70)와, 이 감지조절부(70)의 후단에 연결되어 감지신호를 인가받아 경보시간을 조정하며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보음발생부(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감지용 알림기기. The output line 11 of the surveillance camera 10 and the input line 21 of the surveillance monitor 20 are directly connected to an image line 29 which is directly connected to change the image captured by the surveillance camera 10 to the user. In the notification device for video detection, the video input unit 30 is connected to the surveillance camera 10 receives the video signal, and the video signal connected to the video input unit 30 is applied to the horizontal and vertical synchronization A signal separation unit 40 which separates each signal into a signal, and a mark signal generation unit 50 which is connected to the signal separation unit 40 and receives a separated signal to form a detection mark signal to detect a change in the monitoring target region. And an image synthesizing unit 60 connected between the mark signal generating unit 50 and the image input unit 30 to synthesize a detection mark signal and an image signal and output the synthesized mark signal to the image input unit 30. Connected to the generation unit 50 to change the image in the detection mark 51 When the change range exceeds the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the sensing signal is output to the rear end thereof, and the sensing control unit 70 controls the sensing sensitivity level. Receiving device for adjusting the alarm time, and the alarm for detecting the imag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alarm sound generating unit (8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크신호발생부(50) 및 상기 경보음발생부(80)에는 각각 그 내부에 구동전원이 공급되도록 외부전원이 입력되는 전원공급단자(95)에 접 속된 전원라인(96)이 연결되어 이 전원라인(96) 상에는 전원공급을 선택적으로 온오프하는 스위치부(90)가 구비되며, 상기 영상입력부(30)의 전단에는 상기 감시카메라(10)의 출력라인(11) 및 상기 감시모니터(20)의 입력라인(21)이 상호 직접 연결되도록 각각 영상입력단자(12) 및 영상출력단자(22)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감지용 알림기기.The power supply line of claim 1, wherein the mark signal generator 50 and the alarm sound generator 80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a power supply terminal 95 through which external power is input such that driving power is supplied therein. 96 is connected to the power line 96 is provided with a switch unit 90 for selectively turning on and off the power supply, the output line 11 of the surveillance camera 10 in front of the image input unit 30 And an image input terminal 12 and an image output terminal 2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input lines 21 of the monitoring monitor 20 are 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KR2020060025029U 2006-09-18 2006-09-18 Informing device for perception of an image KR20043296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5029U KR200432963Y1 (en) 2006-09-18 2006-09-18 Informing device for perception of an im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5029U KR200432963Y1 (en) 2006-09-18 2006-09-18 Informing device for perception of an imag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0047A Division KR100862137B1 (en) 2006-09-18 2006-09-18 Informing device for perception of an ima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2963Y1 true KR200432963Y1 (en) 2006-12-07

Family

ID=41781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5029U KR200432963Y1 (en) 2006-09-18 2006-09-18 Informing device for perception of an ima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2963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098315A1 (en) Microphone array, monitoring system, and sound pickup setting method
EP1345420A3 (en) Image pickup apparatus having a front and rear camera
JP2013255144A (en) Imaging apparatus
CN104601878A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objects
JP6758918B2 (en) Image output device, image output method and program
US10225650B2 (en) Directivity control system, directivity control device, abnormal sound detection system provided with either thereof and directivity control method
US9832431B2 (en) Public view monitor with tamper deterrent and security
CN107684167B (en) Head protection device
KR100862137B1 (en) Informing device for perception of an image
KR200432963Y1 (en) Informing device for perception of an image
KR980007692A (en) Integrated control system of home appliances
WO2007011207A1 (en) Detection camera
KR101278562B1 (en) A home network system using security door camera
KR20100035385A (en) Surveillance method and apparatus using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KR101012075B1 (en) Cctv camera with wide, tele, partition screen and it&#39;s control process
KR100189055B1 (en) Monitoring camera
KR20200082317A (en) Video processing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JP2000050253A (en) Frame switcher
US20180205912A1 (en) Image Display System and Image Display Method
KR960011227B1 (en) Cctv system
JP2008152476A (en) Image monitoring device
KR101700532B1 (en) Apparatus for capturing selection images
JP2004289349A (en) Television camera
KR20040074470A (en) Method for operating observation system
KR0174040B1 (en) Supervisory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22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