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2856Y1 - Food Delivery Box - Google Patents

Food Delivery Box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2856Y1
KR200432856Y1 KR2020060023759U KR20060023759U KR200432856Y1 KR 200432856 Y1 KR200432856 Y1 KR 200432856Y1 KR 2020060023759 U KR2020060023759 U KR 2020060023759U KR 20060023759 U KR20060023759 U KR 20060023759U KR 200432856 Y1 KR200432856 Y1 KR 2004328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delivery
delivery container
handle
plat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375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봉학
Original Assignee
신봉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봉학 filed Critical 신봉학
Priority to KR20200600237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2856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28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2856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14Carriers for prepared human food

Abstract

본 고안은 음식물 배달통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개의 플레이트가 조립되어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개구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개구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왕복운동되는 개폐부재와, 상기 공간부에 수평상태로 설치되고 용기를 수납하는 받침부재, 및 다수개의 상기 플레이트 중 상면플레이트의 상면에 설치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상면플레이트는 상측 방향으로 돌출부가 형성된 것이 특징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delivery container, a plurality of plates are assembled to form a space therein and an opening is formed on one side,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sliding reciproc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opening, and the horizontal state in the space And further comprising a support member for receiving the container, and a handle portion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of the plurality of plates, the upper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sion formed in the upward direction.

본 고안에 의하면, 상면플레이트, 하면플레이트, 그리고 측면플레이트로 이루어진 본체를 상측 방향으로 적재시킬 수가 있다. 또한, 손잡이부가 회동될 수 있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음식물을 배달할 때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consisting of an upper plate, a lower plate, and a side plate can be loaded in an upward direction. In addition, since the handle portion can be rotated, the contents can be prevented from leaking out when delivering food.

음식물, 배달통 Food box

Description

음식물 배달통{Food Delivery Box}Food Delivery Box

도 1은 종래의 음식물 배달통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food delivery container,

도 2는 본 고안의 음식물 배달통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food delivery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음식물 배달통의 분리 사시도,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ood delivery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음식물 배달통에 구비된 상면플레이트의 평면도,4 is a plan view of the top plate provided in the food delivery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의 음식물 배달통에 구비된 상면플레이트의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op plate provided in the food delivery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의 음식물 배달통에 구비된 하면플레이트의 저면도,6 is a bottom view of the bottom plate provided in the food delivery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의 음식물 배달통에 구비된 손잡이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handle portion provided in the food delivery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고안의 음식물 배달통에 구비된 손잡이부의 도 7의 분리 사시도,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7 of the handle part provided in the food delivery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고안의 음식물 배달통에 구비된 손잡이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handle portion provided in the food delivery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고안의 음식물 배달통이 적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ood delivery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aded.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본체 101 : 공간부100: main body 101: space

102 : 개구부 110 : 상면플레이트102: opening 110: the upper plate

110' : 보강플레이트 111 : 돌출부110 ': reinforcing plate 111: protrusion

112 : 돌기 113 : 수용홈112: protrusion 113: receiving groove

114 : 고정홈 115 : 클램프114: fixing groove 115: clamp

116 : 고정부재 117 : 내측벽116: fixing member 117: inner wall

118 : 안내공 120 : 하면플레이트118: guide 120: bottom plate

121 : 홈 130 : 측면플레이트121: groove 130: side plate

131 : 지지부재 132 : 체결돌기131: support member 132: fastening protrusion

133 : 가이드홈 200 : 개폐부재133: guide groove 200: opening and closing member

210 : 절곡부 220 : 리브210: bend portion 220: rib

300: 받침부재 310 : 체결홈300: support member 310: fastening groove

400 : 손잡이부 410 : 회동부재400: handle portion 410: rotating member

420 : 손잡이 430 : 밴드420: handle 430: band

431 : 위치고정홀431 position fixing hole

본 고안은 음식물 배달통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에 구비된 손잡이가 회동되고, 상면과 하면이 각각 대응된 구조를 갖기 때문에 수직 방향으로 다수개의 본체를 적재시킬 수 있는 음식물 배달통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delivery container, and the handle provided in the main body is rotated, and because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have a corresponding structure, respectively, and relates to a food delivery container that can be loaded in a plurality of the main body in the vertical direction.

일반적으로, 식당에서 음식물을 배달할 때 사용하는 음식물 배달통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판이나 경질의 합성수지로 구성된 사각 형상의 본체(2) 상 측에 손잡이(12)가 설치되어 들고다닐 수 있도록 된 것이다.In general, the food delivery box used to deliver food in a restaurant, as shown in Figure 1, the handle 12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2 of the square shape consisting of a metal plate or a hard synthetic resin It is to be possible.

상기 본체(2)의 전방에는 평판형상의 개폐부재(4)가 구비되고, 상기 개폐부재(4)가 개폐되는 개구부(6)가 상기 본체(2)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2) 내부에는 다수개의 받침부재(8)가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접시나 그릇 등을 내부에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front of the main body 2, a plate-shaped opening / closing member 4 is provided, and an opening 6 through which the opening / closing member 4 is opened and closed is formed in the main body 2. In addition, a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8 are installed in the main body 2 in a horizontal direction so as to accommodate dishes or dishes therein.

그리고, 상기 개구부(6)의 양측에는 상기 개폐부재(4)의 양측이 결합되는 가이드홈(10)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홈(10)에 개폐부재(4)를 결합하여 본체(2)의 개구부(6)를 닫거나, 상기 개폐부재(4)를 수직방향으로 잡아당겨 개구부(6)를 개방할 수 있다.And, both sides of the opening 6 is formed with a guide groove 10 i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4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coupling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4 to the guide groove 10 to the main body The opening 6 of (2) may be closed or the opening 6 may be opened by pulling the opening / closing member 4 in the vertical direction.

그런데, 상기 본체(2)는 얇은 금속판으로 구성되어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서 쉽게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본체(2)는 금속재로 구성되기 때문에 자체 중량으로 인해서 배달시 무게로 인한 피로감이 증대되는 문제점도 있다.By the way, the main body 2 is composed of a thin metal plate has a problem that is easily deformed due to the external impact. In addition, since the main body 2 is made of a metal material, there is a problem in that fatigue due to weight increases due to its own weight.

또한, 상기 손잡이(12)는 상기 본체(2)에 결합된 상태로 구비되기 때문에, 다수개의 본체(2)를 상측 방향으로 적재시킬 수 없었다. 즉, 다수개의 본체(2)들은 횡 방향으로만 배치되기 때문에 협소한 공간에는 보관의 제약을 받고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handle 12 is provided in a state coupled to the main body 2, the plurality of main bodies 2 could not be stacked in an upward direction. In other words, since the plurality of main bodies 2 are disposed only in the lateral direction, they are limited in storage in a narrow space.

한편, 배달시에는 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수평 상태를 유지해야만 한다. 즉, 본체(2)가 수평상태를 유지해야하는 데 손잡이(12)와 본체(2)가 일체로 결합되기 때문에, 배달시에 본체(2)가 유동되어 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문제점도 있었다.On the other hand, the delivery must be maintained in a horizontal state to prevent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container to leak out. That is, since the handle 12 and the main body 2 are integrally coupled to the main body 2 to maintain a horizontal state, the main body 2 flows during delivery, and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container leak out. there was.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다수개의 본체 상측 방향으로 적재시킬 수 있는 음식물 배달통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food delivery container that can be loaded in a plurality of main body upward direction.

또한, 손잡이가 본체에 대하여 회동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하여 본체의 유동을 최소화하는 음식물 배달통을 제공하는 데 있다.In addition, to provide a food delivery container that has a structure that can be rotated with respect to the body to minimize the flow of the body.

뿐만 아니라, 본체의 중량을 감량시키고 견고한 조립체를 갖는 음식물 배달통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it is an object to reduce the weight of the body and to provide a food delivery container having a rigid assembly.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음식물 배달통은, 다수개의 플레이트가 조립되어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개구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개구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왕복운동되는 개폐부재; 상기 공간부에 수평상태로 설치되고, 용기를 수납하는 받침부재; 및 다수개의 상기 플레이트 중 상면플레이트의 상면에 설치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상면플레이트는 상측 방향으로 돌출부;가 형성된 것이 특징이다.Food delivery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plurality of plates are assembled to form a space portion therein, the body is formed with an opening on one side;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slidably reciproc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opening; A supporting member installed horizontally in the space part and accommodating a container; And a handle part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of the plurality of plates, wherein the upper plate has a protrusion in an upward direction.

본 고안의 음식물 배달통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돌출부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다수개의 돌기; 및 상기 돌기들과 각각 대응된 형상을 가지며, 하면플레이트에 형성된 홈;을 더 포함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food delivery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a plurality of protrusions protruding upward from the protrusion; And a groov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rotrusions and formed on a bottom plate.

본 고안의 음식물 배달통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양 끝단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상면플레이트에 결합되는 회동부재; 상기 회동부재가 수용되고 일측 또는 양측 방향으로 회동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food delivery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le portion, each formed on both ends, the rotating member is coupled to the upper plate; The rotating member is accommodated and the handle is rotated in one or both directions; further includes.

본 고안의 음식물 배달통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 기 수용홈의 내측벽에 마주보며 형성된 안내공; 상기 안내공에 각각 삽입되는 밴드; 한 쌍의 상기 밴드와 연결되고, 상기 수용홈 내에 위치되는 손잡이;가 더 포함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food delivery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le portion, the guide hole formed facing the inner wall of the receiving groove; Bands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guide holes; A handle connected to the pair of bands and positioned in the receiving groove is further included.

본 고안의 음식물 배달통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양단이 상기 수용홈의 내측벽에 각각 고정 결합되는 손잡이;가 더 포함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food delivery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le portion, the handle is fixed to both ends of the inner wall of the receiving groove; further includes.

본 고안의 음식물 배달통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면플레이트는, 상기 돌출부의 중심부에 함몰된 형태의 수용홈;을 포함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food delivery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p plate, the receiving groove of the type recessed in the center of the protrusion; includes.

본 고안의 음식물 배달통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면플레이트는, 상기 수용홈의 양 끝단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회동부재의 위치를 고정하는 위치고정부;가 더 포함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food delivery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p plate is formed at each end of the receiving groove, the position fixing portion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rotation member; further includes.

본 고안의 음식물 배달통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수용홈과 연장 형성되고, 상기 회동부재가 위치되는 고정홈; 상기 회동부재를 감싸면서 상기 고정홈의 상부에 결합되는 클램프; 상기 상면플레이트의 하측면에 위치되고, 상기 클램프와 체결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food delivery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fixing portion is formed to extend with the receiving groove, the fixing groove in which the rotation member is located; A clamp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ixing groove while surrounding the pivot member; It is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upper plate, and a fixing member coupled to the clamp; includes.

본 고안의 음식물 배달통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일면 또는 양면에 다수개의 리브;가 형성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food delivery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s a plurality of ribs on one side or both sides; is formed.

본 고안의 음식물 배달통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다수개의 상기 플레이트 중 측면플레이트는,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내측면에 형성된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상측에 돌출 형성된 체결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체결돌기와 대응된 형상을 가지며 억지끼움되는 체결홈;이 형성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food delivery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de plate of the plurality of plates, the support member having the same height and formed on the inner surface; And a fasten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an upper side of the support member, wherein the support member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protrusion and is fitted with a fastening groove.

본 고안의 음식물 배달통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측면플레이트는, 일체로 사출 성형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food delivery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de plate is integrally injection molded.

본 고안의 음식물 배달통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배달통은,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구비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food delivery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livery container is provided with a metal material or a synthetic resin material.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음식물 배달통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o explain the configuration and effect of the food delivery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 2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음식물 배달통은 본체(100), 개폐부재(200), 받침부재(300), 손잡이부(400)로 크게 구분된다.2 and 3, the food delivery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divided into the main body 100,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200, the support member 300, the handle 400.

상기 본체(100)는 다수개의 플레이트(110,120,130)가 조립되어 내부에 공간부(10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100)는 일측에 개구부(102)가 형성되어 상기 공간부(101)와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는 상면플레이트(110), 하면플레이트(120), 측면플레이트(13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110,120,130)들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금속재로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합성수지재는 주지하고 있는 바와 같이, 합성고분자 화합물로써, 열가소성 수지와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합성수지재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아크릴(acrylic) 등 다양한 소재로 구성된다.The body 100 has a plurality of plates (110, 120, 130) is assembled to form a space 101 therein. In addition, the main body 100 has an opening 102 formed at one side thereof and communicates with the space 101. The main body 100 includes an upper plate 110, a lower plate 120, and a side plate 130. In addition, the plates 110, 120, 130 are preferably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However, it may be composed of a metal material. Here, as is well known, the synthetic resin material is a synthetic polymer compound and includes a thermoplastic resin and a thermosetting resin. The synthetic resin material is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polyethylene, polypropylene, polyvinyl chloride, and acrylic.

상기 상면플레이트(110)와 상기 하면플레이트(120)는 상기 측면플레이트(130)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상기 상면플레이트(110)는 후술되는 손잡이부(400) 가 구비되고, 상기 하면플레이트(120)에는 용기가 수납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 측면플레이트(130)보다 상대적으로 강도가 증대되어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상면플레이트(110)는 상기 측면플레이트(130)와 동일한 두께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상면플레이트(110)의 하측에는 별도의 보강플레이트(110')가 위치되어 상기 측면플레이트(130)에 결합될 수도 있다.The top plate 110 and the bottom plate 120 is formed thicker than the side plate 130. The upper plate 110 is provided with a handle portion 400 to be described later, because the container is to be accommodated in the lower plate 120 is configured to increase the relative strength than the side plate 130. However, the top plate 110 may be configured to have the same thickness as the side plate 130. In this case, a separate reinforcement plate 110 ′ is positioned below the upper plate 110 and may be coupled to the side plate 130.

또한, 상기 상ㆍ하면플레이트(110,120)의 측면에는 각각 다수개의 체결홀(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플레이트(130)에는 상기 체결홀과 동일한 위치에 각각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체결홀과 상기 관통홀은 볼트 또는 리벳으로 체결된다. 그러나,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체결홀과 상기 관통홀이 형성되지 않아도 상기 상ㆍ하면플레이트(110,120)를 상기 측면플레이트(130)에 결합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다수개의 상기 플레이트(110,120,130)은 각각 억지끼움으로 고정되는 것이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not shown) are formed at the side surfaces of the upper and lower plates 110 and 120, respectively, and through holes (not shown) are formed at the same positions as the fastening holes in the side plate 130. . Therefore, the fastening hole and the through hole are fastened by bolts or rivets. However, as shown in the figure, the upper and lower plates 110 and 120 may be coupled to the side plate 130 even when the fastening hole and the through hole are not formed.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plates 110, 120, and 130 are fixed by interference fit, respectively.

첨부된 도 4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면플레이트(110)는 테두리를 제외한 면적이 상측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갖는 돌출부(111)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하면플레이트(120)는 상기 돌출부(111)가 수용될 수 있도록 요입된 형상을 갖는다. 즉, 상기 돌출부(111)와 상기 하면플레이트(120)의 하면은 서로 대응된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4 and FIG. 5, the top plate 110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111 having a shape in which an area except an edge protrudes upward. The lower plate 120 has a concave shape to accommodate the protrusion 111. That is, the lower surface of the protrusion 111 and the lower plate 120 is provi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또한, 상기 상면플레이트(110)에는 다수개의 돌기(112)가 형성된다. 상기 돌기(112)는 상기 돌출부(111)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측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갖는다. 이 돌기(112)는 상기 돌출부(111)의 모서리부에 각각 구비되어 4개로 구성된 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protrusions 112 are formed on the top plate 110. The protrusion 112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protrusion 111 and has a shape protruding upward. Each of the protrusions 112 is provided at the corners of the protrusions 111 and consists of four parts.

한편, 첨부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면플레이트(120)는 그 저면부에 홈(121)이 형성된다. 상기 홈(121)은 상기 돌기(112)와 대응된 형상을 갖는다. 즉, 다수개의 배달통이 상측으로 적재될 때, 상기 돌기(112)가 상기 홈(121)에 위치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6, the bottom plate 120 has a groove 121 is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The groove 121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112. That is, when a plurality of delivery containers are loaded upward, the protrusion 112 is located in the groove 121.

한편, 상기 측면플레이트(130)는 하나 또는 3개로 구성된다. 상기 측면플레이트(130)가 하나로 구성될 경우 평면에서 봤을 때 'ㄷ'의 형상을 갖는다. 또한, 상기 측면플레이트(130)가 3개로 구성될 경우에는 각각 'ㅡ'의 형상으로 구비되어 체결부재(미도시)로 결합된다.On the other hand, the side plate 130 is composed of one or three. When the side plate 130 is composed of one has a shape of 'ㄷ' when viewed in a plane. In addition, when the side plate 130 is composed of three, each is provided in the shape of '-' is coupled to the fastening member (not shown).

그리고, 상기 측면플레이트(130)의 내측면에는 지지부재(131)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재(131)는 상기 측면플레이트(130)과 일체로 성형되고,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131)는 일면에 각각 받침부재(300)의 개수만큼 형성되고,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131)에는 체결돌기(132)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이 체결돌기(132)는 상기 지지부재(131)에서 상측방향으로 돌출된다.In addition, the support member 131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plate 130. The support member 131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side plate 130 and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ddition, the support member 131 is formed on each surface by the number of the supporting member 300, respectively, is formed to have the same height. In addition, at least one fastening protrusion 132 is formed on the support member 131. The fastening protrusion 132 protrudes upward from the support member 131.

한편, 상기 상면플레이트(110)와 상기 하면플레이트(120), 그리고 상기 측면플레이트(130)가 결합되어 하나의 본체(100)를 갖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는 내부에 공간부(101)가 형성되고 전방부에는 개구부(102)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개구부(102)에 별도의 가이드홈(133)이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재(200)의 양측단이 상기 가이드홈(133)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것이 다.Meanwhile, the upper plate 110, the lower plate 120, and the side plate 130 are combined to have one main body 100. As described above, the main body 100 has a space 101 formed therein and an opening 102 formed in the front portion thereof. A separate guide groove 133 is formed in the opening 102, and both ends of the opening / closing member 200 sl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guide groove 133.

상기 개폐부재(200)는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구성되고, 평판의 형상을 갖는다. 그러나, 상기 개폐부재(200)의 상측에는 일측 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210)가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210)를 잡은 상태에서 상기 개폐부재(200)를 상측 방향으로 승강시키거나 하측 방향으로 하강시킬 수가 있다. 여기서, 상기 개구부(102)에 형성된 가이드홈(133)은 상기 측면플레이트(13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의 부재를 상기 측면플레이트(130)에 결합시켜 구성될 수 있다.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200 is composed of a metal material or a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has a flat plate shape. However, the bent portion 210 bent in one direction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200, and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200 is elevated or lowered in the state in which the bent portion 210 is held. Can be lowered. Here, the guide groove 133 formed in the opening 102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side plate 130 or may be configured by coupling a separate member to the side plate 130.

또한, 상기 개폐부재(200)의 일면, 또는 양면에는 리브(220)가 일체로 성형된다. 상기 리브(220)는 상기 개폐부재(200)의 휨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첨부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형성되거나 종ㆍ횡방향으로 교차, 또는 일측 방향으로만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rib 220 is integrally formed on one surface or both surfaces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200. The rib 220 is to suppress the bending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200. And,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may be formed in the longitudinal, transverse direction cross, or only in one direction.

한편, 상기 측면플레이트(130) 내부에는 1개 내지 3개의 받침부재(300)가 결합된다.On the other hand, the side plate 130 is combined with one to three support members 300.

상기 받침부재(300)는 용기들을 적재시킬 수 있는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구성된 평판의 부재이다. 상기 받침부재(300)는 상기 측면플레이트(130)에 형성된 지지부재(131)에 안착되는 것으로, 체결홈(310)이 형성된다.The support member 300 is a member of a flat plate made of a metal or synthetic resin material capable of loading the containers. The support member 300 is to be seated on the support member 131 formed on the side plate 130, the fastening groove 310 is formed.

상기 체결홈(310)은 상기 지지부재(131)에 형성된 상기 체결돌기(132)와 대응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체결돌기(132)기 상기 체결홈(310)에 억지끼움 된다.The fastening groove 310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protrusion 132 formed on the support member 131, and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groove 310 by the fastening protrusion 132.

앞서 언급한 손잡이부(400)는,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 결합된다. 즉, 상기 상면플레이트(110)의 상면에는 그 중심부에 수용홈(113)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 부(400)는 상기 수용홈(113)에 설치되는 것이다.The aforementioned handle 400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That is, the receiving groove 113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10, the handle portion 400 is to be installed in the receiving groove (113).

상기 손잡이부(400)는 한 쌍의 회동부재(410)와 손잡이(420)로 구성된다. 상기 회동부재(410)는 상기 상면플레이트(110)에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113)과 연장 형성된 고정홈(114)에 위치되는 것이다. 즉, 상기 회동부재(410)와 상기 손잡이(420)는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손잡이부(400)의 양 끝단이 상기 회동부재(410)가 되는 것이다.The handle part 400 is composed of a pair of rotating member 410 and the handle 420. The rotating member 410 is formed in the upper plate 110, it is located in the fixed groove 114 extending with the receiving groove 113. That is, the rotating member 410 and the handle 420 are integrally formed, and both ends of the handle part 400 become the rotating member 410.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400)를 고정할 수 있도록 위치고정부가 구비된다.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상면플레이트(110)에 형성된 고정홈(114)과 상기 고정홈(114)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체결되는 클램프(115), 고정부재(116)를 포함하는 것이다. 즉, 상기 회동부재(410)는 상기 고정홈(114)에 밀착되고, 상기 클램프(115)는 상기 회동부재(410)를 감싸면서 상기 고정홈(114)에 위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116)는 상기 상면플레이트(110)의 하측면에 위치되어 상기 클램프(115)와 체결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부(400)는 상기 클램프(115)와 상기 고정부재(116)에 의해서 상기 고정홈(114)에 위치되고, 일측 또는 양측 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이다. 상기 손잡이부(400)가 회동되었을 때는 상기 손잡이(420)가 전술되어진 수용홈(113)에 밀착되는 것이다.In addition, a position fixing part is provided to fix the handle part 400. The position fixing part includes a fixing groove 114 formed in the upper plate 110 and a clamp 115 and a fixing member 116 fastened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fixing groove 114, respectively. That is, the rotating member 41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xing groove 114, the clamp 115 is positioned in the fixing groove 114 while surrounding the rotating member 410. In addition, the fixing member 116 is positioned on the lower side of the upper plate 110 to be fastened to the clamp 115. Thus, the handle 400 is located in the fixing groove 114 by the clamp 115 and the fixing member 116, and is rotated in one or both directions. When the handle part 400 is rotated, the handle 42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accommodation groove 113 described above.

한편, 전술되어진 상기 상면플레이트(110)는 첨부된 도 7 내지 도 9와 같이 구성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described upper plate 110 may be configured as shown in Figs.

즉, 상기 상면플레이트(110)에 형성된 수용홈(113)의 내측벽(117)에 손잡이 가 인ㆍ출입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와, 상기 손잡이(420)가 상기 수용홈(113)에 결합된 상태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a structure to allow the handle to be pulled in and out of the inner wall 117 of the receiving groove 113 formed in the upper plate 110, and the handle 420 is coupled to the receiving groove 113 It can be configured as.

도 7과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면플레이트(110)의 내측벽(117)에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안내공(118)이 형성된다. 그리고, 전술된 손잡이부(400)는 손잡이(420)와 밴드(430)로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420)는 단면이 원형 또는 사각, 다각의 형태로 구성된다. 그러나, 도시된 도면에서는 평판의 형상을 갖는 사각의 형태로 도시하였다. 그리고, 상기 밴드(430)는 상기 손잡이(420)의 양측에 각각 결합 된다. 상기 밴드(430)는 탄성력을 갖고 있는 합성수지 또는 고무 재질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7 and FIG. 8, guide holes 118 are formed at positions facing each other on the inner wall 117 of the upper plate 110. And, the handle 400 described above is composed of a handle 420 and the band 430. The handle 420 is configured in the shape of a circle or a square, polygonal cross section. However, in the drawing shown in the form of a square having the shape of a flat plate. And, the band 430 i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handle 420, respectively. The band 430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or rubber material having an elastic force.

상기 밴드(430)는 그 양단이 각각 상기 안내공(118)에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밴드(430)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고정홀(43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면플레이트(110)의 내부에는 스토퍼(미도시)가 설치되고, 상기 위치고정홀(431)은 상기 스토퍼에 의해서 최대 거리가 설정된다. 즉,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420)를 잡을 경우 손잡이(420)가 상측 방향으로 올라오게 된다. 이때, 한 쌍의 상기 밴드(430)는 각각 중심부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위치고정홀(431)은 상기 스토퍼에 걸리게 되어 상기 손잡이부(400)의 최대 이동거리가 멈추게 되는 것이다.Both ends of the band 430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guide holes 118. Here, the position fixing hole 431 is formed in the band 430 along its longitudinal direction. In addition, a stopper (not shown) is installed inside the upper plate 110, and the position fixing hole 431 has a maximum distance set by the stopper. That is, when the user grabs the handle 420, the handle 420 is raised upward. In this case, the pair of bands 430 are respectively moved in the central direction, and the position fixing hole 431 is caught by the stopper, so that the maximum moving distance of the handle part 400 is stopped.

또한, 도시된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420)는 상기 내측벽(117)의 양측에 각각 고정된 상태로 결합된다. 상기 손잡이(420)는 그 상면이 상기 상면플레이트(110)의 상면과 동일하거나 낮게 위치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9, the handle 420 i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inner wall 117 in a fixed state. The handle 420 has a top surface of which is equal to or lower than the top surface of the top plate 110.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음식물 배달통의 사용상태 설명은 다음과 같다.Description of the state of use of the food delivery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먼저, 상면플레이트(110)와 하면플레이트(120) 그리고, 측면플레이트(130)가 체결되어 하나의 본체(100)를 갖게 된다. 또한, 받침부재(300)를 상기 본체(100) 내부에 위치시켜 결합하고, 손잡이부(400)를 상기 상면플레이트(110)의 상부에 결합시킨다.First, the upper plate 110 and the lower plate 120 and the side plate 130 is fastened to have one main body 100. In addition, the support member 300 is positioned and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handle 400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110.

음식물이 수용된 용기를 배달하고자 할 경우 상기 받침부재(300)에 용기들을 수용한 상태에서 개폐부재(200)를 승ㆍ하강시킴으로써 상기 용기를 상기 본체(100) 내부에 반입/반출시킬 수 있다.In order to deliver a container containing food, the container may be brought into or taken out of the main body 100 by raising and lowering the opening / closing member 200 while receiving the containers in the supporting member 300.

그리고, 손잡이부(400)가 회동되기 때문에 계단을 오르내리거나 뛰었을 때 발생되는 흔들림이 최소화된다. 즉, 본체(100)의 중량은 용기들로 인해서 하중이 발생된 상태이고, 손잡이부(400)는 상기 본체(100)와 개별적으로 회동되기 때문에 음식물이 수용된 본체(100)는 미세한 유동만 발생되는 것이다. 따라서, 용기의 유동이 최소화되어 음식물들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handle part 400 is rotated, the shaking caused when the user moves up or down the stairs is minimized. That is, the weight of the main body 100 is a state in which a load is generated due to the containers, and since the handle 400 is rotated separately from the main body 100, the main body 100 in which food is accommodated has only a minute flow. will be. Therefore, the flow of the container is minimized to minimize the outflow of food.

그리고, 상기 본체(100)를 바닥에 놓았을 때는 손잡이(420)가 일측 방향으로 회동되어 상면플레이트(110)에 형성된 수용홈에 밀착된다. 즉, 상기 손잡이(420)는 상기 수용홈(113)의 높이와 동일하게 위치되거나, 상기 수용홈(113)의 높이보다 낮게 위치된다.And, when the main body 100 is placed on the floor, the handle 420 is rotated in one directi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receiving groove formed in the upper plate 110. That is, the handle 420 is positioned the same as the height of the receiving groove 113, or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receiving groove 113.

따라서, 다른 본체(100)를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 적재시킬 수가 있다. 즉, 각각의 본체(100) 상면에는 돌기(112)가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본체(100) 하 면에는 홈(12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홈(121)은 다른 본체(100)의 돌기(112)에 수용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other main body 100 can be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100. That is, the protrusions 112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each main body 100, and the grooves 121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each main body 100. Therefore, the groove 121 is accommodated in the protrusion 112 of the other body 100.

그러므로, 다수개의 본체(100)를 상측 방향으로 적재시킬 수가 있다. 이 경우 협소한 공간에서도 하나의 본체(100)만 놓을 수 있는 공간만으로 다수개의 본체(100)들을 보관할 수가 있는 것이다.Therefore, a plurality of main bodies 100 can be loaded in the upward direction. In this case, even in a narrow space, only one main body 100 can be stored in a plurality of main bodies 100.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음식물 배달통은, 다수개의 본체를 수직 방향으로 적재시킬 수 있기 때문에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도 본체들을 보관할 수 있다. 즉, 손잡이부가 회동되기 때문에 본체의 상부가 돌출되지 않는다. 그리고, 본체의 상면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본체의 하면에는 홈이 형성되기 때문에 각각의 본체에 형성된 돌기는 각각의 홈에 적재될 수 있는 것이다.The food delivery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store the main bodies without being constrained by space because the main bodies can be stack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t is, since the handle portion is rotated,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does not protrude. And, since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grooves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the protrusions formed on the respective main bodies can be loaded in the respective grooves.

한편, 손잡이부가 회동되기 때문에 배달시 계단을 오르거나 뛰었을 경우 본체가 유동되지 않거나 상기 본체의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용기에 수용된 음식물들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handle portion is rotated when the staircase or climb the stairs during delivery, the main body does not flow or the shaking of the main body can be minimized. Therefore, foods contained in the container can be prevented from leaking out.

뿐만 아니라, 본체를 구성하는 상면플레이트, 하면플레이트, 그리고 측면플레이트는 합성수지재로 구성되어 본체의 중량을 줄일 수 있다. 반면에, 용기를 적재시키는 받침부재가 금속재로 구성되어 용기의 하중에 대한 변형 및 균열의 발생을 억제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plate, the lower plate, and the side plate constituting the main body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can reduce the weight of the main body. On the other hand, the supporting member for loading the container is made of a metal material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deformation and cracking with respect to the load of the container.

이상에서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only with respect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and modifications belong to the appended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

Claims (12)

다수개의 플레이트가 조립되어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개구부가 형성된 본체;A plurality of plates are assembled to form a space portion therein, and an opening portion is formed at one side thereof; 상기 개구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왕복운동되는 개폐부재;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slidably reciproc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opening; 상기 공간부에 수평상태로 설치되고, 용기를 수납하는 받침부재; 및A supporting member installed horizontally in the space part and accommodating a container; And 다수개의 상기 플레이트 중 상면플레이트의 상면에 설치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되,A handle portion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of the plurality of plates; further comprising, 상기 상면플레이트는 상측 방향으로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배달통.The top plate is a food delivery box,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protrusion formed in the upward direction.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본체는,The main body, 상기 돌출부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다수개의 돌기; 및A plurality of protrusions protruding upward from the protrusions; And 상기 돌기들과 각각 대응된 형상을 가지며, 하면플레이트에 형성된 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음식물 배달통.The food delivery container further comprises a groov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rotrusions and formed on a bottom plate.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상면플레이트는,The top plate, 상기 돌출부의 중심부에 함몰된 형태의 수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음식물 배달통.The food delivery container comprising a; a receiving groove of a shape recessed in the center of the protrusion.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손잡이부는,The handle portion, 양 끝단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상면플레이트에 결합되는 회동부재;Rotating members are formed on both ends, respectively, and coupled to the top plate; 상기 회동부재가 수용되고 일측 또는 양측 방향으로 회동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음식물 배달통.The food delivery container further comprises a; the handle is accommodated and rotated in one or both directions.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손잡이부는,The handle portion, 상기 수용홈의 내측벽에 마주보며 형성된 안내공;A guide hole facing the inner wall of the receiving groove; 상기 안내공에 각각 삽입되는 밴드;Bands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guide holes; 한 쌍의 상기 밴드와 연결되고, 상기 수용홈 내에 위치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음식물 배달통.And a handle connected to the pair of bands and positioned within the receiving groove.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손잡이부는,The handle portion, 양단이 상기 수용홈의 내측벽에 각각 고정 결합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음식물 배달통.The food delivery container further comprises a handle that is fixed to both ends of the inner wall of the receiving groove.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상기 상면플레이트는,The top plate, 상기 수용홈의 양 끝단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회동부재의 위치를 고정하는 위치고정부;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음식물 배달통.The food delivery container further comprises a position fixing part respectively formed at both ends of the receiving groove, and fixing the position of the rotation member. 제 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위치고정부는,The position fixing part, 상기 수용홈과 연장 형성되고, 상기 회동부재가 위치되는 고정홈;A fixed groove extending from the receiving groove and in which the rotation member is positioned; 상기 회동부재를 감싸면서 상기 고정홈의 상부에 결합되는 클램프;A clamp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ixing groove while surrounding the pivot member; 상기 상면플레이트의 하측면에 위치되고, 상기 클램프와 체결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음식물 배달통.And a fixing member positioned on a lower side of the upper plate and fastened to the clamp.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개폐부재는 일면 또는 양면에 다수개의 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음식물 배달통.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s a food delivery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ribs formed on one or both sides.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다수개의 상기 플레이트 중 측면플레이트는,Side plate of the plurality of plates,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내측면에 형성된 지지부재;A support member having the same height and formed on the inner side; 상기 지지부재의 상측에 돌출 형성된 체결돌기;를 더 포함하고,And a fasten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member. 상기 받침부재는,The support member, 상기 체결돌기와 대응된 형상을 가지며 억지끼움되는 체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음식물 배달통.The food delivery box,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a fastening groov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protrusion and fit. 제 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측면플레이트는,The side plate, 일체로 사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음식물 배달통.The food delivery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jection molding integrally. 제 8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8 to 11, 상기 음식물 배달통은,The food delivery container,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음식물 배달통.The food delivery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 metal material or synthetic resin material.
KR2020060023759U 2006-09-04 2006-09-04 Food Delivery Box KR200432856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3759U KR200432856Y1 (en) 2006-09-04 2006-09-04 Food Delivery Box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3759U KR200432856Y1 (en) 2006-09-04 2006-09-04 Food Delivery Box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4574A Division KR20080021312A (en) 2006-09-04 2006-09-04 Food delivery box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2856Y1 true KR200432856Y1 (en) 2006-12-08

Family

ID=41781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3759U KR200432856Y1 (en) 2006-09-04 2006-09-04 Food Delivery Box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2856Y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5658B1 (en) 2020-10-21 2021-05-26 주식회사 종금 Food delivery conainer with sterilization function
KR102432791B1 (en) 2021-08-02 2022-08-12 권기태 Sterilization device for food delivery container
KR102661873B1 (en) 2023-09-20 2024-04-29 주식회사 탄탄 Delivery box equipped with solar panel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5658B1 (en) 2020-10-21 2021-05-26 주식회사 종금 Food delivery conainer with sterilization function
KR102432791B1 (en) 2021-08-02 2022-08-12 권기태 Sterilization device for food delivery container
KR102661873B1 (en) 2023-09-20 2024-04-29 주식회사 탄탄 Delivery box equipped with solar pane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2767484T3 (en) A container with a base and a lid
US9393684B2 (en) Toolbox
US9850042B2 (en) Vessel and lid with stacking features
EP2474393B1 (en) Container with latch
NL1040956B1 (en) A plastic infiltration unit, a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plastic infiltration units,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jection molded plastic pillar for an infiltration unit, a plastic base plate for use with a plastic infiltration unit, and a plastic infiltration system for deployment underground comprising a plastic infiltration unit and a plastic base plate.
US9883724B2 (en) Storage insert for travel suitcase
US20120152944A1 (en) Sealable storage container
US20090223853A1 (en) Interlocking container
JP2013039976A (en) Beverage container
US7740149B2 (en) Container sidewall strengthening apparatus and methods
KR200432856Y1 (en) Food Delivery Box
CN101500898B (en) Container assembly having stacking means
US8875937B2 (en) Plastic dumpster
CA2746398C (en) Plastic dumpster
US20230027343A1 (en) Container assembly and container
EP3911577B1 (en) Foldable container
KR20080021312A (en) Food delivery box
CN111776514A (en) Container with a lid
FI3712084T3 (en) Plastic container
JP4945335B2 (en) Plastic container lid
US3421649A (en) Bottle carrying case
JP6293002B2 (en) Folding container
JP7219465B2 (en) container
KR102580132B1 (en) Lock type tool bag with space combination
JP7388709B2 (en) container with l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2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