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2399Y1 - Assembly for probe beam - Google Patents
Assembly for probe bea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32399Y1 KR200432399Y1 KR2020060023584U KR20060023584U KR200432399Y1 KR 200432399 Y1 KR200432399 Y1 KR 200432399Y1 KR 2020060023584 U KR2020060023584 U KR 2020060023584U KR 20060023584 U KR20060023584 U KR 20060023584U KR 200432399 Y1 KR200432399 Y1 KR 20043239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obe beam
- probe
- beam assembly
- elastic
- socke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6—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Or Measuring Of Semiconductors Or The Like (AREA)
- Measuring Leads Or Pro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이 개시하는 프로브빔 조립체는, 장방형 몸체, 이 몸체의 상부 일측에 돌출 형성된 접촉부, 몸체의 하부 좌측, 중앙 또는 우측에 돌출 형성된 접속부를 포함한 다수의 프로브빔(100)과, 이 프로브빔의 좌·우측을 슬롯을 통해 소정 간격으로 삽입·수용하는 한 쌍의 외부소켓(200)과, 프로브빔의 접속부를 삽입·수용하는 탄성 수용부(300), 및 다수의 프로브빔들이 외부소켓에 의해 면방향으로 정렬된 상태에서 몸체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되는 한 쌍의 체결핀(10)으로 구성된다.The probe beam assembly discl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probe beams 100 including a rectangular body, a contact part protruding on an upper side of the body, a connection part protruding on a lower left side, a center or a right side of the body, and A pair of external sockets 200 for inserting and accommodating the left and right sides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rough the slots, an elastic receiving portion 300 for inserting and accommodating connection portions of the probe beams, and a plurality of probe beams are provided by the external sockets. Consists of a pair of fastening pins 10 which ar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s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body in the state aligned in the plane direction.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프로브빔을 소정 간격으로 정렬하기 위한 소켓의 구조가 단순하고, 종래와 같이 PCB 패드와의 접촉력을 위해 프로브빔에 탄성력 부가를 위한 구성이 필요치 않다. 또한, 프로브빔 탈착이 용이하며 프로브빔의 접속부 양면이 탄성 수용부와 접촉되는바, 종래에 비해 접촉저항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프로브빔의 접촉부가 칩의 패드에 접촉되는 경우를 제외하고, 상하 수직 방향의 힘이 인가되지 않으므로 지속적 사용에 의한 프로브빔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of the socket for aligning the probe beams at predetermined intervals is simple, and there is no need for a configuration for adding elastic force to the probe beam for contact force with the PCB pad as in the prior art. In addition, since the probe beam is easily detachable and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probe beam are in contact with the elastic receiving portion, the contact resistance can be reduce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art. In addition, except that the contact portion of the probe beam is in contact with the pad of the chip, since the force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not applied, it is possible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probe beam by continuous use.
프로브카드, 프로브빔, 프로브빔 조립체 Probe card, probe beam, probe beam assembly
Description
도 1a 및 도 1b는 종래 프로브빔 조립체를 보인 예시도,1a and 1b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onventional probe beam assembly,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프로브빔 조립체를 보인 예시도,Figure 2a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probe beam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프로브빔 조립체에 대한 분해 사시도,Figure 2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robe beam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프로브빔을 보인 예시도,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probe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프로브빔의 접속부와 이를 수용하는 탄성 수용부의 배치를 보인 예시도,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arrangement of a connection portion of a probe beam and an elastic receiving portion accommodat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외부소켓을 보인 예시도,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ternal so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내부소켓을 보인 예시도,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inner so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a는 본 고안에 따른 탄성 수용부에 대한 분해 사시도,Figure 7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elastic receiv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b는 도 7a의 탄성 수용부를 구성하는 탄성편에 대한 예시도,7B is an exemplary view of an elastic piece constituting the elastic receiving portion of FIG. 7A;
도 7c는 도 7b의 탄성편의 탄성변형을 보인 예시도,Figure 7c is an illustration showing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elastic piece of Figure 7b,
도 8은 본 고안의 프로브빔 구조체가 프로브카드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obe beam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probe card.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Descrip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00 : 프로브빔 110 : 몸체100: probe beam 110: body
112a, 112b : 관통홀 114 : 관통공112a and 112b: through hole 114: through hole
116 : 홀 120 : 접촉부116
130 : 접속부 200(200a, 200b) : 외부소켓130: connection part 200 (200a, 200b): external socket
210 : 슬롯 300 : 탄성 수용부210: slot 300: elastic receiving portion
310 : 탄성편 312 : 편평부310: elastic piece 312: flat portion
400 : 내부소켓 410 : 슬롯400: internal socket 410: slot
10(10a, 10b) : 체결핀 20 : 고정핀10 (10a, 10b): fastening pin 20: fixing pin
30 : 결합핀30: coupling pin
본 고안은 반도체 칩 검사용 프로브 카드를 구성하는 프로브빔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프로브빔 하단의 접속부와 탈착이 용이하고 아울러 종래에 비해 PCB 패드 또는 랜드 간의 접촉저항을 줄일 수 있는 탄성 수용부가 포함된 프로브빔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be beam assembly constituting a probe card for testing a semiconductor chip, the probe includes an elastic receiving portion that is easy to detach and connect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robe beam, and can reduce the contact resistance between the PCB pad or land than in the prior art Relates to a beam assembly.
종래 프로브빔 조립체에 대해서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396613호(프로브 카드의 프로브핀과 소켓의 조립체)(이하, '선행고안')를 살피면,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프로브핀(20)과 이들의 좌·우측을 십입·수용하는 다수의 슬롯(3a)을 마련한 프로브핀 소켓(10)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여기서, '프로브핀'이라는 용어는, 이하에서 개시할 본 고안의 용어를 고려하여 '프로 브빔'이라 정의한다.When the Korean Utility Model Model No. 20-0396613 (Assembly of the probe pin and socket of the probe card)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edecessor') for the conventional probe beam assembly, a plurality of probes as shown in Figure 1a and 1b It can be seen that the
프로브빔 소켓(10)은 양면에 슬롯(3a)을 형성하여, 언급한바와 같이 프로브빔(20)의 좌측 또는 우측을 삽입·수용한다. 또한 소켓(10)의 저면에는 볼트(9) 체결공(5a)을 형성한 고정돌기(5)를 부가하여, PCB(30)에 마련된 요홈(30a)에 삽입된 후, 상기 요홈(30a)의 하부에서 체결공(5a)으로 나사결합되는 볼트(9)를 통해 체결된다.The
이러한 프로브빔 소켓(10)의 슬롯, 체결공 등은 기계가공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패드 간의 미세 피치를 갖는 현재의 칩에 부응하는 가공이 용이치 않다. 이는 기계가공이 이룰 수 있는 정밀도의 한계에 직면하기 때문이다. Since the slots, fastening holes, etc. of the
또한, 프로브빔 조립체와 PCB는 별도의 볼트(9)를 매개로 체결되는바, 비용 또는 시간 측면에서 조립 공정이 비효율적이다. 더욱이 교체를 위해 조립체를 PCB로부터 분리해야할 경우라면 효율성이 저하됨은 더할 나위 없을 것이다.In addition, the probe beam assembly and the PCB are fastened through a
한편, 프로브빔(20)과 PCB와의 전기적인 접속은 접속부(16)(선행고안에는 '접촉부'로 명기되어 있음)의 하단이 PCB의 패드(또는 랜드)에 접촉 또는 접합됨으로써 이루어지는 구조를 갖고 있다. 그러나 프로브빔의 단면적 두께가 얇다는 점을 고려하면, 패드와 접촉되는 면적이 좁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는 패드 사이의 접촉저항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선행고안은 접촉저항을 줄이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안을 채택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먼저, 첨부도면 도 1a, 1b와 같이 접속부(16)의 형상을 대략 지그재그(zig zag)로 형성하여, 구조적으로 소정의 탄성력을 갖도록 한 후, 소켓(10)과 PCB와의 볼트(9) 체결시 접속부(16)가 PCB의 패드에 대해 반향(反向)한 방향으로 변형되도록 한다(탄성부의 수축으로 이해 가능함). 체결 후 상기 변형에 의한 탄성복원력이 패드에 인가되도록 함으로써, 패드와 접촉부 하단의 들뜸 현상을 최대한 줄여, 주어진 조건 내에서 접촉저항을 줄이는 것이다.First, as shown in FIGS. 1A and 1B, the shape of the connecting
그러나 이와 같이 선행고안이 채택한 접촉저항 최소화 방안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초래한다. 그 첫째가, 프로브빔(20)이 탄성력에 의해 소켓(10)으로부터 상향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마련되어야 하는 점이다. 선행고안은 상기 수단에 대해서 명확히 명시하고 있지 않으나, 단순히 슬롯(3a)과 프로브빔(20) 간의 고정재로 이용된 접착제가 그 수단인 것으로 쉽게 미루어볼 수 있다. 이때 사용된 접착제는 지속적인 탄성복원력에 의한 반작용을 지탱할 수 있을 정도로 신뢰할만한 것이어야 하는 제약이 따른다. However, the method of minimizing contact resistance adopted by the preceding proposal causes the following problems. First of all, a means for preventing the
그 둘째는, 탄성복원력은 근본적으로 프로브빔 소켓(10)과 PCB 사이의 볼트 체결에 의존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점은 앞서 지적한 프로브빔 소켓(10)의 문제점과 복합적인 양상을 띤다. 환언하면, 프로브빔(20)의 구조적 특징에 의해 프로브빔 소켓(10)의 구조가 다소 복잡하게 설계되었다는 것을 말한다. 예컨대, 볼트에 의한 PCB와의 체결 구조를 들 수 있다.Second, elastic resilience is essentially dependent on the bolted connection between the
그 셋째는, 탄성력을 갖도록 형성된 접속부(16)는 단면적이 작은 상태에서 전기적 경로가 길다는 점이다. 이러한 문제점은 도체의 저항(resistance)이 그 길이에 비례하고, 단면적에 반비례한다는 옴(Ohm)의 법칙으로부터 쉽게 이해될 수 있다.Third, the connecting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제 1 목적은, 별도의 탄성력 부가가 필요치 않는 단순한 형상의 접속부를 제공하고, 이 접속부와의 탈착이 용이하고 아울러 PCB 랜드 또는 패드 간의 접촉저항을 줄일 수 있는 탄성 수용부를 포함한 프로브빔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nection of a simple shape that does not require an additional elastic force, and easily detachable from the connection and the PCB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obe beam assembly including an elastic receiving portion capable of reducing contact resistance between lands or pads.
본 고안의 제 2 목적은, 상하 수직 방향의 힘이 인가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프로브빔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프로브빔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obe beam assembly capable of preventing deformation of the probe beam by preventing a force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being applied.
이외의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고안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Other objects and features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Before thi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function and the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첨부도면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프로브빔 조립체의 구성을 보이고 있다. 도 2a는 프로브빔 조립체의 조립 완성된 상태를 예시한 예시도이며, 도 2b는 이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2A and 2B show a configuration of a probe beam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a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completed assembly of the probe beam assembly, Figure 2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thereof.
먼저, 도 2b를 살피면, 프로브빔 조립체는 기본적으로, 다수의 프로브빔(100)과, 프로브빔이 면방향(D)으로 나열된 상태에서 그 좌·우측을 슬롯(210)을 통해 등 간격으로 삽입·수용하는 한 쌍의 외부소켓(200; 200a, 200b)과, PCB의 패 드(pad) 또는 랜드(land)에 솔더링(soldering)되어 상기 프로브빔 하부의 접속부를 삽입·수용하는 대략 'U'자형의 탄성 수용부(300)와, 프로브빔 몸체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된 관통홀(112a, 112b)에 끼워져 프로브빔의 정렬(면방향의 정렬)을 유지하게 하는 한 쌍의 체결핀(10; 10a, 10b)을 포함한다. 체결핀(10)은 절연 재질이다.First, referring to FIG. 2B, the probe beam assembly basically inserts the plurality of
또한, 프로브빔 몸체의 중앙에 형성된 장방형의 관통공(114) 일측을 삽입·수용하여 프로브빔의 정렬을 보조하는 내부소켓(40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내부소켓(400)과 관통공의 타측 사이의 공간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되어, 상기 내부소켓(400)이 관통공의 일측을 견고히 삽입·수용하도록 지지하는 고정핀(20)이 구비된다. 고정핀(20)은 체결핀(10)과 마찬가지로 절연 재질이다.In addition, by inserting and receiving one side of the rectangular through-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브빔(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방형의 몸체(110)와, 몸체 상부의 좌측에서 돌출 형성되어 칩의 패드와 접촉하는 접촉부(120)와, 상기 몸체의 하부의 좌측[A], 중앙[B] 또는 우측[C]에서 돌출 형성되어 탄성 수용부(300)에 삽입되는 접속부(130)로 구성된다.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3, the
몸체(100)의 상부와 하부 근방에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체결핀(10a, 10b)이 삽입될 수 있는 관통홀(112a, 112b)을 형성하고 있으며, 내부슬롯(400)이 본 고안의 조립체에 포함되는 경우, 한 쌍의 관통홀 사이, 즉 몸체(110)의 중앙에 상기 내부슬롯(400)이 삽입되는 장방형의 관통공(114)을 더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관통공(114)이 형성되는 경우를 부연하면, 관통공의 우측 중앙에 고정핀(20)을 정위치시키기 위한 반원형의 홈(116)이 부가된다.As mentioned above,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언급한 바와 같이 접속부(130)는 몸체 하부에서 좌측, 중앙 또는 우측 중 어 느 한 위치로부터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되는 것이라 하였는데, 다수의 프로브빔이 나열되는 경우, 다음의 두 가지를 상정할 수 있다. 먼저, 첫 번째 프로브빔의 접속부가 좌측, 두 번째가 중앙, 세 번째가 우측에 위치하게 되고, 네 번째가 다시 좌측에 위치하는 이른바 빗금형 배치(도 4의 [A])이고, 다음으로 좌측, 중앙, 우측, 중앙, 좌측으로 위치하게 되는 지그재그형 배치(도 4의 [B])이다. 이러한 프로브빔의 배치는 PCB 상에 배열되는 탄성 수용부(400)의 크기에 의한 상호 간섭을 피하기 위함이다.As mentioned, the
본 실시예에서 접촉부(120)는 대략 몸체(110)의 상부 좌측에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설정하였으나, 좌측이 아닌 우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접촉부(120)가 칩 패드에 직접 접촉하는 것으로 기술하였으나, 실제로는 접촉부(120)의 선단(122)에 마련되는 별도의 팁(tip)을 통해 접촉하게 되는 것임에 유념해야 할 것이다. In this embodiment, the
도 5를 참조하면, 외부소켓(200)은 일면에 소정 간격으로 배치된 소정 깊이(d)의 슬롯(210)을 형성하고 있다. 슬롯의 너비 또는 폭(w)은 프로브빔(100)의 두께와 상응한다. 이 슬롯(2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프로브빔(100)의 몸체(110) 좌측 또는 우측을 삽입·수용한다.Referring to FIG. 5, the
도 6은 내부소켓(400)을 나타내고 있다. 내부소켓(400)은 다수의 슬롯(410)을 형성하는 것을 비롯하여 외부소켓(200)과 동일한 구성을 하고 있으나, 다만, 상기 프로브빔(100) 몸체(110)에 형성된 장방형 관통공(114)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h)(관통공에 원활히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높이)를 갖는다는 점에서 상이할 따 름이다.6 shows an
상술한 외부소켓(200)과 내부소켓(400)은 칩(IC)의 기본 재료인 실리콘 웨이퍼(silicon wafer)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는데, 이는 프로빙(probing) 시 열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칩 패드간의 피치(pitch) 변동에 부합하도록, 프로브빔(100)의 간격을 면방향(도 2b의 'D')으로 재정렬시킬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 보인 소켓과 달리 단순한 구조를 갖는다. 참고적으로,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외부소켓(200)과 내부소켓(400)은 절연을 위해 그 표면에 소정 두께의 산화막(SiO2)을 포함하고 있다.The
도 7a 및 도 7b는 탄성 수용부(300)를 나타낸 도면으로, 본 고안의 탄성 수용부(300)는 대략 'U'자형으로 상부 좌·우, 하부 좌·우에 결합공(3)을 형성하고 있는 다수의 탄성편(310)과, 탄성편(310)들이 적층된 상태에서 각 결합공(312)에 삽입되어 탄성편들이 일체화되도록, 결합시켜주는 4개의 결합핀(30)들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탄성편(310)은 전도성 재질로서 5개인 것으로 설정하겠으나, 본 고안이 그 개수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결합핀(30)은 바람직하게 전도성 재질인 것으로 설정하겠으나, 절연 재질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7a and 7b is a view showing the
구체적으로, 탄성편(310)은 PCB의 패드 또는 랜드에 표면실장기술(SMT, Surface Mounted Technology)로 솔더링되는 하부 편평부(312)와, 상기 편평부(312)의 좌·우측에서 돌출 형성된 좌·우편(片)(314a, 314b)으로 구성되어,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U'자형을 형성한다. 좌·우편(314a, 314b)의 상부 내측 은 만곡부(4a, 4b)를 형성하고 있어, 좌·우편의 탄성변형이 가해지더라도 프로브빔(100)의 하부 접촉부(130) 양면과 원활한 접촉을 이룬다.Specifically, the
이러한 탄성편(310)은 좌·우편(314a, 314b)의 탄성변형 시, 상기 좌·우편과 편평부(312)의 연결 부위에 탄성변형력이 집중되어, 자칫(또는 극단적인 경우) 탄성 복원력의 한계를 초과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탄성편(310)은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좌편(314a)의 좌측 그리고 우편(314b)의 우측에 요홈(5a, 5b)을 더 형성함으로써, 상기 연결 부위에 집중되는 힘을 분산시킨다. 즉, 좌·우편에 탄성 변형력이 인가될 경우, 도 7c에 예시한 바와 같이, A부분보다 B부분에 변형력이 더 작용하여 변형이 이루어짐을 볼 수 있다. 물론, 도 7c의 변형 예시도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다소 과장 표현되었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When the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프로브빔 조립체가 프로브카드에 삽입되는 경우를 살펴본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ure 8, looks at the case where the probe beam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probe card.
먼저, 프로브카드에는 본 고안의 프로브빔 조립체가 삽입될 수 있도록 공간(이하, '삽입공간')이 블록(50) 사이에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 상정한다. 단, 블록(50)의 좌우 내측 벽에는 외부소켓(200a, 200b)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는 단차(52)가 형성되어 있다. 블록(50)의 하부에는 PCB가 배치되고, PCB의 패드 또는 랜드에 탄성 수용부(300)가 솔더링되어 있다. 따라서 탄성 수용부(300)를 제외한 프로브빔 조립체가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되어, 프로브빔의 접속부(130)가 탄성 수용부(300)에 삽입·수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프로브빔 조립체가 상측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부덮개(60)가 프로브빔의 조립체 위에 배치된다. 여기서, 상부 덮개(60)는 프로브빔(100)의 접촉부(120) 수용을 위한 창(window)(62)을 형성하고 있다.First, it is assumed that a space (hereinafter, 'insertion space') is provided between the
이러한 프로브빔 조립체의 삽입 상태는, 앞서 지적한 종래 기술에 비해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갖는다. 프로브빔을 소정 간격으로 정렬하기 위한 소켓의 구조가 단순하다는 것이 그 첫째이고, PCB 패드와의 접촉력을 위해 프로브빔에 탄성력 부가를 위한 구성이 필요치 않다는 것, 탄성 수용부를 통해 프로브빔이 접속되는바 교체를 위한 탈착이 용이하다는 것, 프로브빔의 접속부 양면이 탄성 수용부와 접촉되기 때문에 접촉저항이 줄어든다는 것, 외부소켓 및 내부소켓의 재질이 실리콘 웨이퍼 재질인바 프로빙(probing) 시 열에 의한 칩 패드간의 피치 변동에 부합하도록 프로브빔의 간격을 재정렬시킬 수 있다는 것, 그리고 프로브빔의 접촉부(110)가 칩의 패드에 접촉되는 경우를 제외하고 여타의 상하 수직 방향의 힘이 인가되지 않으므로 프로브빔의 바람직하지 못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The insertion state of such a probe beam assembly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over the prior art pointed out above. The first is that the structure of the socket for aligning the probe beams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s simple, and the configuration for adding elastic force to the probe beam is not necessary for the contact force with the PCB pad. Easily removable for replacement, Reduction of contact resistance because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part of the probe beam is in contact with the elastic receiving part.The outer and inner sockets are made of silicon wafer, so the chip pad is heated by probing. The distance between the probe beams can be rearrang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pitch fluctuations therebetween, and other vertical and vertical forces are not applied except when the
참고적으로, 본 고안의 프로브빔 조립체는, 포토리소그래피, 식각, 도금 등의 반도체 공정을 통해 제조된다.For reference, the probe beam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through a semiconductor process such as photolithography, etching, plating, or the like.
이상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for illustra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s shown and described as described above, it is a deviation from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all such appropriate changes and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should be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에 의하면, 프로브빔을 소정 간격으로 정렬하기 위한 소켓의 구조가 단순하고, 종래와 같이 PCB 패드와의 접촉력을 위해, 프로브빔에 탄성력 부가를 위한 구성이 필요치 않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of the socket for aligning the probe beams at predetermined intervals is simple, and for the contact force with the PCB pad as in the prior art, a configuration for adding elastic force to the probe beam is not necessary.
또한, 프로브빔 탈착이 용이하며, 프로브빔의 접속부 양면이 탄성 수용부와 접촉되는바, 종래에 비해 접촉저항을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obe beam is easily detachable,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part of the probe beam are in contact with the elastic receiving part, so that the contact resistance can be reduce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art.
또한, 외부소켓 및 내부소켓은 칩(IC)의 기본 재료인 실리콘 웨이퍼를 통해 제조되므로 열팽창 계수가 동일한바, 열에 의한 칩 패드간의 피치 변동에 대응하여 프로브빔의 간격이 재정렬된다.In addition, since the external socket and the internal socket are manufactured through a silicon wafer which is a basic material of the chip IC, the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is the same, and thus the interval between the probe beams is rearranged in response to the pitch variation between the chip pads due to heat.
또한, 프로브빔의 접촉부가 칩의 패드에 접촉되는 경우를 제외하고, 상하 수직 방향의 힘이 인가되지 않으므로 지속적 사용에 의한 프로브빔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except that the contact portion of the probe beam is in contact with the pad of the chip, since the force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not applied, it is possible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probe beam by continuous use.
Claims (16)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23584U KR200432399Y1 (en) | 2006-09-01 | 2006-09-01 | Assembly for probe beam |
PCT/KR2007/004154 WO2008026875A1 (en) | 2006-09-01 | 2007-08-29 | Probe beam assembl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23584U KR200432399Y1 (en) | 2006-09-01 | 2006-09-01 | Assembly for probe beam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84006A Division KR100781395B1 (en) | 2006-09-01 | 2006-09-01 | Assembly for probe beam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32399Y1 true KR200432399Y1 (en) | 2006-12-01 |
Family
ID=41780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23584U KR200432399Y1 (en) | 2006-09-01 | 2006-09-01 | Assembly for probe bea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32399Y1 (en) |
-
2006
- 2006-09-01 KR KR2020060023584U patent/KR200432399Y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871323B2 (en) | Electrical connector with reduced stack height | |
US4695106A (en) | Surface mount, miniature connector | |
US10784623B2 (en) | Electrical connector | |
US11569616B2 (en) | Connector with top- and bottom-stitched contacts | |
US6699048B2 (en) | High density connector | |
JP3999450B2 (en) | Connector and electrical interconnection device | |
US20060051987A1 (en) | Hermaphroditic socket/adapter | |
CN107112674B (en) | Circular power connector | |
US7419398B2 (en) | Hermaphroditic socket/adapter | |
KR20040024458A (en) | Lga socket contact | |
KR101606206B1 (en) | Electrical connection body | |
JP2007500923A (en) | Metal contact LGA socket | |
KR20020002421A (en) | Memory module with offset notches for improved insertion and stability and memory module connector | |
US7448877B1 (en) | High density flexible socket interconnect system | |
JP4021457B2 (en) | Socket and test device | |
US6398558B1 (en) | Electrical connector and contact therefor | |
TWI717496B (en) | Connectors, headers and sockets | |
JP3948681B2 (en) | Card edge connector for printed circuit boards | |
US7341482B2 (en) | Strain relief for ball grid array connectors | |
CN110277680B (en) | Plug, socket and connector | |
KR100781395B1 (en) | Assembly for probe beam | |
JP4043030B2 (en) | Circuit board electrical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with transmission board connected thereto | |
KR200432399Y1 (en) | Assembly for probe beam | |
US20050014398A1 (en) | Electrical connector with dual-function housing protrusions | |
WO2008026875A1 (en) | Probe beam assembl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107 |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G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71025 Year of fee payment: 3 |
|
EXTG | Extingu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