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2393Y1 - Chair having Hollow Pipe type Decoration Member - Google Patents
Chair having Hollow Pipe type Decoration Memb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32393Y1 KR200432393Y1 KR2020060023446U KR20060023446U KR200432393Y1 KR 200432393 Y1 KR200432393 Y1 KR 200432393Y1 KR 2020060023446 U KR2020060023446 U KR 2020060023446U KR 20060023446 U KR20060023446 U KR 20060023446U KR 200432393 Y1 KR200432393 Y1 KR 20043239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ecorative member
- chair
- hollow
- coupled
- seating groov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5034 decoration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10000001217 buttock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85 leath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2414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544 postur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18650 Intervertebral disc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02 health proble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50 mo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5/00—Chairs of special materials
- A47C5/04—Metal chairs, e.g. tubular
- A47C5/06—Special adaptation of seat upholstery or fabric for attachment to tubular chairs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장식부재를 구비한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플라스틱 재료를 금형을 통해 사출성형하여 형성한 등받이용 프레임을 포함하고, 주변공간과의 조화를 통한 세련미를 제공하기 위해 등받이용 프레임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중공형 장식부재를 포함하는 의자에 있어서, 중공형 장식부재는 직선형 또는 'U'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 중공형 장식부재는 각각 하나 또는 한 쌍의 개방된 일방향의 단부가 등받이 프레임에 구비되는 돌출형 고정돌기에 끼워지고, 각각의 다른 일방향의 딴부 또는 수평부는 등받이 프레임에 구비되는 수직형 안착홈 또는 수평형 안착홈에 대응하는 외주면 부분이 밀착된 상태에서 각 안착홈의 후방측에서 관통하도록 체결되는 체결수단으로 고정하는 구조로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외부로 노출되는 별도의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깔끔하면서도 구조적으로 안정적인 중공형 장식부재의 결합이 가능하여 장식부재가 본래 의도했던 바대로 충분한 미적 효과를 발휘함과 더불어, 부품의 감소로 인해 생산원가의 절감되고 조립공정이 매우 용이하고 공정수가 감소하여 생산성 향상 측면에서도 바람직한 중공형 장식부재를 구비한 의자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ir having a decorative member, comprising a frame for backrest formed by injection molding a plastic material through a mold, and one coupled to the backrest frame to provide refinement through harmony with the surrounding space. In the chair including the above hollow decorative member, the hollow decorative member may be formed in a straight or 'U' shape, each of the hollow decorative member is one or a pair of open one-way end of each of the back frame It is fitted to the protruding fixing projections provided, and the other portion or the horizontal portion of each other direction in the rear side of each seating groove in a state in whic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seating groove or the horizontal seating groove provided in the back frame is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By using a structure that is fixed by the fastening means fastened to penetrate through, by using a separate member exposed to the outside It is possible to combine a clean and structurally stable hollow decorative member without using it, and the decorative member exhibits sufficient aesthetic effect as originally intended, and also reduces production cost due to the reduction of parts, and the assembly process is very easy.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chair having a hollow decorative member, which is also preferable in terms of productivity improvement.
등받이용 프레임, 직선형 장식부재, 돌출형 고정돌기, 안착홈, 나사 Frame for backrest, straight decorative member, protrusion fixing protrusion, seating groove, screw
Description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장식부재를 구비한 의자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hair having a decorative memb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도 1의 장식부재를 구비한 의자의 등받이 부분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ack portion of a chair having a decorative member of FIG. 1;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직선형 장식부재를 구비한 의자의 등받이 부분을 도시한 배면도, Figure 3 is a rear view showing the back portion of the chair with a straight decorative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실시 예에 따른 직선형 장식부재를 구비한 의자의 등받이 부분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ack portion of a chair having a linear decorative memb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3;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U'자형 장식부재를 구비한 의자의 등받이 부분을 도시한 배면도,Figure 5 is a rear view showing the back portion of the chair having a 'U' shaped decorative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의 실시 예에 따른 'U'자형 장식부재를 구비한 의자의 등받이 부분을 도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 6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ack portion of a chair having a 'U'-shaped decorative memb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10': 등받이용 프레임 20: 직선형 장식부재10, 10 ': Frame for backrest 20: Straight decorative member
21: 상단부 23: 하단부21: upper part 23: lower part
25, 25': 돌출형 고정돌기 35: 수직형 안착홈25, 25 ': protrusion fixing protrusion 35: vertical seating groove
37: 지지턱 40: 나사37: support jaw 40: screw
45: 수평형 안착홈 50: 'U'자형 장식부재45: horizontal seating groove 50: 'U' shaped decorative member
51, 52: 상단부 56, 57: 수직부51, 52:
59: 수평부59: horizontal section
본 고안은 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사용되는 공간과 어우러진 미감을 느끼도록 등받이 등의 부분에 결합되는 중공형 장식부재를 구비한 의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i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hair having a hollow decorative member coupled to a part of the back such that the viewer feels aesthetics in harmony with the space used.
일반적으로, 현대인의 생활에서 의자는 거의 매일 사용되는 것으로서, 편안한 휴식을 위한 쇼파나 안락의자, 학생들이 강의실에서 사용하는 수업용 의자나 가정 등에서의 학습시 사용되는 학습용 의자, 각종 회사에서 사무직 근로자들이 사용하는 사무용 의자, 버스나 기차 등 각종 교통수단에서 좌석으로 사용되는 의자, 공원이나 버스승강장 등에 통행자의 휴식을 위해 제공되는 의자 등 다양한 종류의 의자들이 일상생활과 매우 밀접하게 사용된다.In general, in modern life, chairs are used almost daily, and sofas or armchairs for comfortable rest, classroom chairs used by students in classrooms, study chairs used in homes, and office workers in various companies. Various types of chairs are used very closely with daily life such as office chairs used, chairs used as seats in various means of transportation such as buses and trains, and chairs provided for passengers to rest in parks and bus stands.
생활 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앉는 자세가 불량할 경우나 불편한 의자에 장시 간 앉아 있을 경우에 사용자의 척추에 부담을 주어 쉽게 피곤함을 느끼게 되고 나아가 목이나 허리 또는 둔부 등에 통증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장기간 지속 또는 반복될 경우 목디스크나 허리디스크 질환이 발생할 수 있는 등 건강상 바람직하지 못한 문제들이 부각됨에 따라, 건강에 관심이 많은 현대인들은 올바른 앉는 자세에 대한 관심과 더불어 척추건강에 바람직한 의자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가되고 있다. In addition to improving the standard of living, poor sitting posture or sitting in an uncomfortable chair for a long time puts a strain on the user's spine and makes the user feel tired easily and further causes pain in the neck, lower back or buttocks, With repeated health problems, such as neck and lumbar disc disease, which are repeated, modern health-conscious people are increasingly interested in proper sitting postures and chairs that are desirable for spinal health. It is increasing.
따라서, 사용할 의자를 선택하는 기준이 단지 앉기 위한 수단이라는 용도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착석시의 안락함과 관련한 사항을 고려하는 것이 일반적인 선택기준이 되었으며, 특히 하루일과 중 많은 시간을 의자에 앉아서 보내게 되는 사무직 근로자나 학생들의 경우 사무능률이나 학습능률 향상 측면과 관련한 기능성이 착석시의 안락함과 더불어 중요한 고려사항이 되고 있다.Therefore, it is a general selection criterion to consider not only the purpose of seat selection as a means of sitting but also a matter of comfort when sitting, especially office workers who spend much of their day sitting on the chair. For workers and students, the functionality related to the improvement of office work efficiency and learning efficiency is an important consideration along with the comfort of sitting.
이와 같은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사무용이나 학습용 의자를 설계하는 기술자들은 인체공학적 설계기법을 도입하게 되었고, 따라서 단순히 쿠션부재를 충분히 사용하는 정도를 넘어 예상되는 대상사용자의 신체구조와 착석시의 작용하중 등을 감안하여 최적화된 의자설계가 일반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어, 착석시 둔부와 접촉하는 좌판을 둔부의 입체적 형상을 고려하여 설계하고, 척추에 무리를 주지 않도록 허리 부분을 받쳐주는 요추받침 기능을 구비하는가 하면, 머리 부분을 받쳐주는 헤드레스트를 구비하는 경우도 있으며, 등받이를 등 부분의 입체적 형상을 고려하여 능동적인 하중지지가 가능한 형태로 설계하는 등 다양한 인체공학적 설계기법이 일반적으로 시도되고 있는 실정이다.According to the demands of the consumers, technicians designing office chairs or learning chairs have introduced ergonomic design techniques, and thus, beyond the degree of sufficient use of cushion members, the expected body structure and working load of the target user are expected. In view of the back, the optimized chair design is generally applied. For example, the seat plate in contact with the buttocks at the time of seating is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three-dimensional shape of the buttocks, and has a lumbar support function that supports the lower back so as not to burden the spine, and a headrest that supports the head portion. In some cases, various ergonomic design techniques are generally attempted, such as designing the backrest in a form capable of active load support in consideration of the three-dimensional shape of the back portion.
한편, 근래에는 의자가 인체공학적인 설계를 통해 안락함과 기능성을 구비하 는 것에 만족하지 않고, 인테리어 관점에서 사용되는 주변공간과의 조화를 고려하여 디자인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장식적인 요소들이 의자에 구비되는 것을 쉽게 접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장식적인 요소는 기능적인 요소와 함께 한정된 공간에서 장시간 생활하는 사람들에게 심리적으로 쾌적함을 제공하여 근로의욕이나 학습의욕을 향상시키는 등 바람직한 효과가 있어서 점점 더 그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On the other hand, in recent years, the chair is not satisfied with comfort and functionality through ergonomic design, and the importance of the design is emphasized in consideration of the harmony with the surrounding space used from the interior point of view, and thus various forms of decoration It is easy to see that the elements are provided in the chair. Such decorative elements are provided with functional elements, which provide psychological comfort to people living for a long time in a limited space, and thus have a desirable effect such as improving working and learning motivation.
일 예로서, 사무용 의자의 경우 심플하면서도 현대적이고 도시적인 이미지를 강조하기 위하여 스테인리스스틸 등과 같은 금속재 파이프를 장식부재로 사용하는 경우를 많이 볼 수 있다.As an example, in the case of an office chair, a metal pipe such as stainless steel may be used as a decorative member to emphasize a simple, modern and urban image.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장식부재를 구비한 의자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장식부재를 구비한 의자의 등받이 부분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hair having a decorative memb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ck portion of the chair having a decorative member of FIG.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장식부재를 구비한 사무용 의자는, 플라스틱 재료를 금형을 통해 사출성형하거나 금속재료를 프레스성형하여 좌판용 프레임(110)을 형성하고, 플라스틱 재료를 금형을 통해 사출성형하여 등받이용 프레임(120)을 형성하며, 직물 또는 가죽 등과 같은 재질의 커버를 씌운 좌판용 쿠션부재(130)와 등받이용 쿠션부재(140)를 각각 대응하는 프레임과 조립하여 좌판과 등받이를 구성하며, 좌판에 이동용 바퀴 등을 포함한 지지다리(150)를 결합하고, 좌판과 등받이를 'L'자형 탄성지지부재(160)로 연결하는 일련의 과정을 거쳐 기본적인 형태를 갖추고 이 상태에서 부가적으로 등받이 부분의 배면측에 금속 파이프 형태의 장식부재(100)를 구비한 형태를 구비하고 있다.Office chair having a decorative memb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shown in Figure 1, by injection molding a plastic material through a metal mold or press-molded metal material to form a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장식부재(1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 등받이용 프레임(120)을 사출성형할 때 형성되는 다수의 반개형 안착홈(121)에 장식부재(100)의 대응하는 부분들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각 반개형 안착홈(121)에 대응하는 형태의 반개형 고정부재(125)를 중첩시키고, 나사(127) 등과 같은 체결수단을 사용하여 서로 면접촉상태로 중첩되는 고정부재(125)와 안착홈(121) 주변부분을 체결하는 구조로 의자의 등받이 부분에 결합하게 되며, 더불어 장식부재의 개방된 각 단부를 플라스틱 재질의 캡(170)으로 막아서 결합을 마무리하게 된다. The
그러나, 이와 같은 결합구조는 디자인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의자에 구비되는 장식부재가 고정을 위해 사용되는 고정부재의 노출과 체결수단으로 사용되는 나사 등의 노출로 인해 경우에 따라 본래 의도했던 바와는 달리 사용자들에게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나아가 장식부재의 결합과 관련하여 다수의 부품을 취급해야 함에 따른 제조공정의 추가로 인한 생산성 저하와 원가상승의 문제점이 있는 실정이다. However, in view of the design aspect, such a coupling structure, unlike the original intended due to the exposure of the decorative member provided in the chair is exposed to the fixing member used for fixing and the screw used as a fastening means in some cases There is a problem that may cause discomfort to the user, and furthermore, there is a problem of a decrease in productivity and a cost increase due to the addition of a manufacturing process due to the handling of a plurality of parts in connection with the decoration member.
이상과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본 고안의 목적은 중공파이프형 장식부재를 고정하기 위해 별도의 고정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나사 등과 같은 체결수단의 사용을 최소화하는 가운데 사용되는 체결수단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결합구조의 중공형 장식부재를 구비한 의 자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a separate fixing member to fix the hollow pipe-shaped decorative member, and the hollow structure of the coupling structure in which the fastening means used while minimizing the use of the fastening means such as screws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It is to provide a chair having a decorative member.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is,
플라스틱 재료를 금형을 통해 사출성형하여 형성한 등받이용 프레임을 포함하고, 주변공간과의 조화를 통한 세련미를 제공하기 위해 등받이용 프레임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중공형 장식부재를 포함하는 의자에 있어서,A chair comprising a back frame formed by injection molding a plastic material through a mold, and at least one hollow decorative member coupled to the back frame to provide refinement through harmony with the surrounding space.
상기 중공형 장식부재는 소정의 형태로 형성되어 각각 일방향으로 향하는 하나 이상의 삽입단을 구비하고,The hollow decorative member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shape and provided with at least one insertion end facing each one direction,
상기 등받이용 프레임은 결합될 상기 중공형 장식부재의 수와 배치형태 및 각각의 형태에 따라 결정되는 위치에 결합될 각 중공형 장식부재의 단면형태와 크기에 대응하도록 돌출형성되는 모든 삽입단의 수와 동수의 돌출형 고정돌기와, 결합될 상기 중공형 장식부재의 수와 배치형태 및 각각의 형태에 따라 결정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안착홈을 구비하여, The frame for the backrest is the number of all insertion ends protruding to correspond to the cross-sectional shape and size of each hollow decorative member to be joined at a position determined according to the number and arrangement of the hollow decorative members to be coupled and the respective shapes. And a number of protrusion fixing protrusions and one or more seating grooves formed at position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number and arrangement of the hollow decorative members to be coupled and the respective shapes,
상기 각 삽입단을 대응하는 각 돌출형 고정돌기에 끼우고, 이 상태에서 상기 각 안착홈에 부분적으로 접촉하는 상기 각 중공형 장식부재의 대응하는 외주면 부분을 각 안착홈을 관통하도록 체결되는 체결수단으로 고정하는 구조로 중공형 장식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형 장식부재를 구비한 의자를 제공한다.Fastening means for inserting the respective insertion end to the corresponding projection fixing projections, and in this state is fastened so as to penetrate each of the mounting groove to the corresponding outer peripheral surface portion of each of the hollow decorative member in partial contact with the mounting groove It provides a chair having a hollow decorative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the hollow decorative member is coupled to the structure to be fixed with.
그리고, 상기 중공형 장식부재는 소정 길이의 직선형으로 형성되어 각각 일방향으로 향하는 하나의 삽입단을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직선형 장식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The hollow decorative member may include one or more linear decorative members formed in a straight lin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each having one insertion end facing in one direction.
상기 등받이용 프레임은 결합될 상기 직선형 장식부재의 수와 배치형태 따라 결정되는 위치에 결합될 각 직선형 장식부재의 단면형태와 크기에 대응하도록 돌출형성되는 상기 삽입단의 수와 동수의 돌출형 고정돌기와, 상기 각 직선형 장식부재의 길이에 대응하도록 각 돌출형 고정돌기 돌출방향의 연장선상의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돌출형 고정돌기의 수와 동수의 수직형 안착홈을 구비할 수 있으며,The frame for the backrest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fixing protrusion equal to the number and the number of the insertion ends protruding to correspond to the cross-sectional shape and size of each linear decorative member to be coupled at a position determined according to the number and arrangement of the linear decorative members to be coupled. And, to correspond to the length of each of the linear decorative member may be provided with a vertical seating groove equal to the number of the number of the projection fixing projections formed in the position on the extension line in the projection direction of each projection fixing projections, respectively,
상기 각 삽입단을 대응하는 돌출형 고정돌기에 끼우고, 이 상태에서 상기 수직형 안착홈에 부분적으로 접촉하는 각 직선형 장식부재 반대측단의 외주면 부분을 각 수직형 안착홈을 관통하도록 체결되는 체결수단으로 고정하는 구조로 직선형 장식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astening means for inserting the respective insertion end to the corresponding protruding fixing projection, in this state to fast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portion of the opposite end of each of the linear decorative member that partially contacts the vertical seating groove to pass through each vertical seating groov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inear decorative member is coupled to the structure to be fixed with.
또한, 상기 중공형 장식부재는 'U'자형으로 형성되어 각각 좌우에 일방향으로 향하는 한 쌍의 삽입단과 중앙에 수평부를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U'자형 장식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In addition, the hollow decorative member may be formed in a 'U' shape may include one or more 'U' shaped decorative member having a horizontal portion in the center and a pair of insertion ends facing each other in one direction, respectively,
상기 등받이용 프레임은 결합될 상기 'U'자형 장식부재의 수와 배치형태 따라 결정되는 위치에 결합될 각 'U'자형 장식부재의 단면형태와 크기에 대응하도록 돌출형성되는 상기 삽입단의 수와 동수의 돌출형 고정돌기와, 상기 각 수평부 위치에 대응하도록 돌출형 고정돌기와 이격된 위치에 좌우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상기 수평부 외주면과 접촉하는 각 'U'자형 장식부재당 하나 이상의 수평형 안착홈을 구비할 수 있으며, The frame for the backrest may include the number of insertion ends protruding to correspond to the cross-sectional shape and size of each 'U'-shaped decorative member to be coupled at a position determined according to the number and arrangement of the' U'-shaped decorative members to be coupled. One or more horizontal seating grooves for each 'U' shaped decorative member which are formed to be symmetrical with the same number of fixed fixing protrusions and spaced apart from the protrusion fixing protrusions so as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s of the horizontal portions, so as to contac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rizontal portion. It can be provided,
상기 각 삽입단을 대응하는 돌출형 고정돌기에 끼우고, 이 상태에서 상기 수 평형 안착홈에 부분적으로 접촉하는 각 'U'자형 장식부재의 수평부 외주면 부분을 각 수평형 안착홈을 관통하도록 체결되는 체결수단으로 고정하는 구조로 'U'자형 장식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insertion end is inserted into a corresponding protruding fixing protrusion, and in this state, the horizontal outer peripheral portion of each 'U'-shaped decorative member partially contacting the horizontal seating groove is fastened to pass through each horizontal seating groove. Characterized in that the 'U' shaped decorative member is coupled to the structure fixed by the fastening means.
그리고,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각 안착홈의 후방측에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the fastening mean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astening at the rear side of each seating groove.
또한, 상기 각 안착홈은 결합될 상기 중공형 장식부재의 외경에 대응하는 곡률의 곡면을 구비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 In addition, the seating groov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have a curved surface of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hollow decorative member to be coupled. .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직선형 장식부재를 구비한 의자의 등받이 부분을 도시한 배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실시 예에 따른 직선형 장식부재를 구비한 의자의 등받이 부분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Figure 3 is a rear view showing a back portion of the chair having a linear decorative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back portion of the chair having a linear decorative memb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본 고안에 따른 중공형 장식부재를 구비한 의자는 플라스틱 재료를 금형을 통해 사출성형하거나 금속재료를 프레스성형하여 좌판용 프레임을 형성하고, 플라스틱 재료를 금형을 통해 사출성형하여 등받이용 프레임을 형성하며, 직물 또는 가죽 등과 같은 재질의 커버를 씌운 좌판용 쿠션부재와 등받이용 쿠션부재를 각각 대응하는 프레임과 조립하여 좌판과 등받이를 구성하며, 좌판에 이동용 바퀴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지지다리를 결합하고, 좌판과 등받이를 'L'자형 탄성지지부재 등으로 연결하는 일련의 과정을 거쳐 기본적인 형태를 구비하는 공지의 일반적인 의자에, 부가적으로 등받이 부분 등에 장식적인 요소로서 중공형 장식부재를 구비한 의자에 관한 것이다.The chair having a hollow decorative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seat frame by injection molding a plastic material through a mold or press molding a metal material, and forms a frame for a backrest by injection molding a plastic material through a mold. , Assembling a seat cushion member and a backrest cushion member with a cover made of a material such as fabric or leather with a corresponding frame, respectively, to form a seat plate and a backrest, and to combine a support leg that may include a wheel for movement on the seat plate. The chair is provided with a hollow decorative member as a decorative element in a back part, etc., to a known general chair having a basic form through a series of processes for connecting the seat plate and the back with an 'L' shaped elastic support member. It is about.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중공형 장식부재를 구비한 의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등받이용 프레임(10)에 결합되는 좌우 한 쌍의 직선형 장식부재(20)를 구비한다. Chair having a hollow decorative memb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3 and 4, a pair of left and right linear
직선형 장식부재(20)는 주변공간과의 조화를 통한 세련미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단면 원형의 금속재 중공파이프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설계에 따라 그 길이가 결정될 수 있는 것이다.The linear
등받이용 프레임(10)은 결합될 직선형 장식부재(20)의 수와 배치형태 따라 결정되는 상부의 위치에 좌우 한 쌍의 돌출형 고정돌기(25)를 구비하며, 이 돌출형 고정돌기(25)는 직선형 장식부재(20)의 단면형태와 크기에 대응하는 단면을 구비하도록 하방으로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각 돌출형 고정돌기(25)가 돌출하는 방향의 연장선상의 위치에, 다시 말해 각 돌출형 고정돌기(25) 연직 하방의 직선형 장식부재의 길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하나씩 총 한 쌍의 수직형 안착홈(35)을 구비한다. 여기서, 수직형 안착홈(35)은 직선형 장식부재(20)의 외주면과 면접촉이 가능하도록 대응하는 곡률의 곡면을 구비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 수직형 안착홈(35)의 하단에 중공형 장식부재의 단면형태와 크기에 대응하는 수평의 지지턱(37)을 구비할 수 있다. The
각 직선형 장식부재(20)는 다음과 같은 구조로 등받이용 프레임(10)에 결합된다. 우선, 각각의 상단부(21)를 등받이용 프레임(10)에 구비되는 돌출형 고정돌 기(25)에 각각 끼우고, 이어서 각 직선형 장식부재(20)의 하단부(23) 외주면이 연직하방에 위치하는 대응하는 수직형 안착홈(35)에 부분적으로 면접촉하도록 밀착시킨 상태에서 나사(40) 등과 같은 체결수단을 수직형 안착홈(35)의 후방측에서 관통하도록 체결하여 고정하는 구조로 결합하게 된다.Each linear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직선형 장식부재(20)를 구비한 의자는, 직선형 장식부재(20)를 결합함에 있어서, 돌출형 고정돌기(25)에 의해 각각의 상단부(21)가 구속되고, 수직형 안착홈(35)에 밀착된 상태에서 나사(40)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각각의 하단부(23)가 구속되어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직선형 장식부재(20)를 결합하기 위해 외부로 노출되는 별도의 부재를 사용하지 않음에 따라 깔끔한 마무리와 함께 생산원가의 절감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결합을 위해 유일하게 사용되는 나사(40) 등과 같은 체결수단마저도 등받이용 프레임(10)의 전방에 등받이용 쿠션부재를 결합하면 외부로 전혀 노출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디자인적 측면에서 매우 바람직하다 할 수 있는 것이다. 더불어, 조립공정이 매우 용이하여 생산성 향상 측면에서도 바람직한 것이라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hair provided with the linear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U'자형 장식부재를 구비한 의자의 등받이 부분을 도시한 배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실시 예에 따른 'U'자형 장식부재를 구비한 의자의 등받이 부분을 도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Figure 5 is a rear view showing a back portion of the chair having a 'U' shaped decorative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provided with a 'U' shaped decorative memb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ack portion of a chair.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중공형 장식부재를 구비한 의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등받이용 프레임(10')에 결합되는 하나의 'U'자형 장식부재(50)를 구비한다. Chair having a hollow decorative memb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5 and 6, one 'U' shaped
'U'자형 장식부재(50)는 역시 주변공간과의 조화를 통한 세련미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단면 원형인 소정 길이의 금속재 중공파이프를 두 위치에서 굽히는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시 수직으로 배치되고 개방된 상단부(51)(52)를 구비하는 좌우의 수직부(56)(57)와 두 수직부를 연결하는 중앙의 수평부(59)로 구분될 수 있으며, 수직부의 상하길이와 수평부의 좌우 폭은 설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는 것이다.'U'
등받이용 프레임(10')은 하나의 'U'자형 장식부재(50)를 구비하는 경우에 결합될 'U'자형 장식부재(500의 형태에 따라 결정되는 상부의 위치에 좌우 한 쌍의 돌출형 고정돌기(25')를 구비하며, 이 돌출형 고정부기(25')는 'U'자형 장식부재(50)의 단면형태와 크기에 대응하는 단면을 구비하도록 하방으로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각 돌출형 고정돌기(25')에서 'U'자형 장식부재(50)의 수직부(56)(57)의 상하길이에 대응하는 만큼 하부의 수평선상의 위치에, 다시 말해 각 돌출형 고정돌기(25')가 'U'자형 장식부재(50)의 각 상단부(51)(52)에 삽입되도록 끼운 상태에서 수평부(59)에 대응하는 위치에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수평형 안착홈(45)을 구비한다. 여기서, 수평형 안착홈(45)은 역시 'U'자형 장식부재(50)의 외주면과 면접촉이 가능하도록 대응하는 곡률의 곡면을 구비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각 'U'자형 장식부재(50)는 다음과 같은 구조로 등받이용 프레임(10')에 결 합된다. 우선, 좌우 한 쌍의 상단부(51)(52)를 등받이용 프레임(10')에 구비되는 대응하는 돌출형 고정돌기(25')에 각각 끼우고, 이어서 각 'U'자형 장식부재(50)의 수평부(59) 외주면이 대응하는 수평형 안착홈(45)에 부분적으로 면접촉하도록 밀착시킨 상태에서 나사(40) 등과 같은 체결수단을 각 수평형 안착홈(45)의 후방측에서 관통하도록 체결하여 고정하는 구조로 결합하게 된다.Each 'U' shap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U'자형 장식부재를 구비한 의자는, 'U'자형 장식부재(50)를 결합함에 있어서, 돌출형 고정돌기(25')에 의해 좌우의 상단부(51)(52)가 각각 구속되고, 수평형 안착홈(45)에 밀착된 상태에서 체결수단에 의해 하부의 수평부(59)가 구속되어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U'자형 장식부재(50)를 결합하기 위해 외부로 노출되는 별도의 부재를 사용하지 않음에 따라 깔끔한 마무리와 함께 생산원가의 절감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결합을 위해 두 부분에 사용되는 나사(40) 등과 같은 체결수단마저도 등받이용 프레임(10')의 전방에 등받이용 쿠션부재를 결합하면 외부로 전혀 노출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디자인적 측면에서 매우 바람직하다 할 수 있는 것이다. 더불어, 제1 실시 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조립공정이 매우 용이하여 생산성 향상 측면에서도 바람직한 것이라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hair having the 'U'-shaped decorative memb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oupling the' U'-shaped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중공형 장식부재를 구비한 의자는, 제1 실시 예에서 한 쌍의 직선형 장식부재(20)를 구비한 의자에 관하여, 그리고 제2 실시 예에서 하나의 'U'자형 장식부재(50)를 구비한 의자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다양한 장식 부재의 조합을 구비하는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하나의 직선형 장식부재를 구비하는 경우나, 셋 이상의 직선형 장식부재를 구비하는 경우, 하나의 직선형 장식부재와 하나의 'U'자형 장식부재를 함께 구비하는 경우, 크기가 다른 둘 이상의 'U'자형 장식부재를 구비하는 경우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chair having the hollow decorative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ir having a pair of straight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중공형 장식부재를 구비한 의자를 제공함으로써, 중공형 장식부재를 결합하기 위해 외부로 노출되는 별도의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깔끔하면서도 구조적으로 안정적인 결합이 가능하여 장식부재가 본래 의도했던 바대로 충분한 미적 효과를 발휘할 있으며, 따라서 사무환경이나 학습환경 등 다양한 사용환경과 훌륭한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부품의 감소로 인하여 생산원가가 절감되고, 조립공정이 매우 용이하고 공정수가 감소되는 등 생산성 향상 측면에서도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By providing a chair having a hollow decorative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decorative member is possible to clean and structurally stable coupling without using a separate member exposed to the outside to combine the hollow decorative member As originally intended, it has sufficient aesthetic effect, so that it can be harmonized with various usage environments such as office environment or learning environment. In addition, the production cost is reduced due to the reduction of parts, it may be desirable in terms of productivity improvement, such as the assembly process is very easy and the number of processes is reduced.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나타난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설계변경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specific embodiments, it is common in the art that various design change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indicated in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Anyone with knowledge will know it easily.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23446U KR200432393Y1 (en) | 2006-08-31 | 2006-08-31 | Chair having Hollow Pipe type Decoration Memb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23446U KR200432393Y1 (en) | 2006-08-31 | 2006-08-31 | Chair having Hollow Pipe type Decoration Memb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32393Y1 true KR200432393Y1 (en) | 2006-12-01 |
Family
ID=41780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23446U KR200432393Y1 (en) | 2006-08-31 | 2006-08-31 | Chair having Hollow Pipe type Decoration Memb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32393Y1 (en) |
-
2006
- 2006-08-31 KR KR2020060023446U patent/KR200432393Y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023115052A (en) | Postural maintenance tool | |
US20060152061A1 (en) | Structure of a seat of a chair | |
KR20090053341A (en) | Frame chair | |
KR200432393Y1 (en) | Chair having Hollow Pipe type Decoration Member | |
KR20100011743U (en) | Functional cushion for back of chair | |
KR200431273Y1 (en) | Couch system transfiguring simply form | |
KR100942429B1 (en) | Seat board of roller type and functional chair using the same | |
KR200191797Y1 (en) | Chair to control position of the back of chair | |
KR200434765Y1 (en) | Chair having Lumbar Support Function | |
JP2012143634A (en) | Human body support plate and chair | |
KR200471106Y1 (en) | Posture correcting chair | |
KR200450119Y1 (en) | Structure of chair having headrest | |
KR101052551B1 (en) | chair | |
KR101481531B1 (en) | A device for connecting of office chairs | |
KR200390555Y1 (en) | Seat member and chair using the same | |
CN215604420U (en) | Functional sofa | |
CN2831889Y (en) | Novel student chair | |
KR200185922Y1 (en) | Structure of back in a chair | |
KR101161288B1 (en) | Back supporting tool for chair | |
CN211092850U (en) | Seat | |
CN201550937U (en) | Double spring waist straightening mechanism of sofa frame | |
KR200302692Y1 (en) | Back of chair | |
AU2006100211A4 (en) | Improvement on structure of a seat of a chair | |
JP3076485U (en) | Chair | |
JP3146774U (en) | Cush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71127 Year of fee payment: 3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