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2311Y1 - 다종의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처리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다종의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처리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2311Y1
KR200432311Y1 KR2020060023899U KR20060023899U KR200432311Y1 KR 200432311 Y1 KR200432311 Y1 KR 200432311Y1 KR 2020060023899 U KR2020060023899 U KR 2020060023899U KR 20060023899 U KR20060023899 U KR 20060023899U KR 200432311 Y1 KR200432311 Y1 KR 2004323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multimedia
signal
audio
exte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38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영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보컴퓨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보컴퓨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보컴퓨터
Priority to KR20200600238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23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23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231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다종(多種)의 타 장치로부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장치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 및 스피커를 구비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다종(多種)의 외부 장치와 결합이 가능하며, 랜(LAN), 무선랜(Wireless LAN), IEEE 802.11, USB 및 카드 리더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결합된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미디어 데이터를 미리 지정된 형식의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외부 인터페이스부; 및 변환된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디스플레이 모듈 및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멀티미디어 처리부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은 유/무선 네트워크(Network), USB(Universal Serial Bus) 및 IEEE1394 방식 등의 다양한 방식을 통해 컴퓨터, 캠코더, 디지털 카메라, 메모리 칩 등과 같은 외부 장치로부터 멀티미디어 컨텐츠(multimedia Contents)를 수신하여 대(大) 화면 및 스피커를 이용하여 출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V, HDTV, 미디어, USB, IEEE

Description

다종의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Device for processing multimedia received from external device of various type}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종의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의 기능 블록도.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종의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의 상세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TV 장치
200 : 외부 인터페이스부
300 : 멀티미디어 처리부
400 : 출력부
본 고안은 멀티미디어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다종의 타 장치로부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IT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디지털 TV, LCD 모니터 등의 화면 비율이 커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대 화면으로 영상 컨텐츠(Contents)를 보려 하는 사용자의 욕구가 커지고 있다. 특히, 근래에는 고해상도 영상 및 고음질의 음성을 출력할 수 있는 HDTV(High-definition television) 및 HDTV 기능을 구비한 컴퓨터 모니터 등이 출시되고 있다.
따라서, 휴대폰,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등에 저장된 영상, 이미지, 음악 등의 멀티미디어를 HDTV 등의 고화질 영상을 제공하는 장치를 통해 출력하고자 하는 욕구가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컴퓨터에서 HDTV와 같은 멀티미디어를 처리할 수 있는 장치로 화면과 음성(멀티미디어 데이터)을 전달하기에는 거리의 제약이 있고 많은 케이블을 사용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예를 들어 컴퓨터는 공부방에 있고 TV는 거실에 있을 경우 PC와 TV를 연결하기란, 두 장치간의 거리가 너무 멀고 가깝다고 하더라도 많은 케이블과 PC 시스템의 영상 및 음성을 TV로 전환 하기 위해 복잡한 기능 설정 등이 수행되어야 한다. 캠코더와 디지털 카메라의 경우에도 장치간의 접촉 방식이 USB와 IEEE1394방식을 지원하지만 종래의 HD TV에서 USB와 IEEE1394를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대 화면으로(고해상도) 영상 및 음성을 볼 수가 없었다. 물로 상기한 캠코더 및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장치는 TV 화면 출력 기능을 구비하고 있지만 이들 장치에서 지원하는 해상도는 대화면 HDTV에서 보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해 상도로 출력을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HDTV와 같은 멀티미디어 처리 장치는 캠코더, 디지털 카메라등과 같은 외부 장치의 Media Contents를 화면에 출력하여 영상 및 음성을 감상하기란 불가능 하거나 구현하더라도 상기한 바와 같은 어려움이 많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유/무선 네트워크(Network), USB(Universal Serial Bus) 및 IEEE1394 방식 등의 다양한 방식을 통해 컴퓨터, 캠코더, 디지털 카메라, 메모리 칩 등과 같은 외부 장치로부터 멀티미디어 컨텐츠(multimedia Contents)를 수신하여 대(大) 화면 및 스피커를 이용하여 출력할 수 있는 다종의 타 장치로부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 및 스피커를 구비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다종(多種)의 외부 장치와 결합이 가능하며, 랜(LAN), 무선랜(Wireless LAN), IEEE 802.11, USB 및 카드 리더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결합된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미디어 데이터를 미리 지정된 형식의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외부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변환된 상기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및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멀티미디어 처리부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는, LAN 10/100 Ethernet Controller, Wireless LAN IEEE 802.11 장치, IEEE1394 Controller, USB Controller 및 카드 리더 제어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로부터 전달된 미디어 데이터가 상기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로 변환되도록 처리하는 미디어 처리기; 및 상기 멀티미디어 처리부로 상기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입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와 상기 미디어 처리부는 PCI 버스(BUS)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멀티미디어 처리부는, 상기 비디오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처리할 수 있는 비디오 형식으로 변환 처리하는 비디오 처리부; 및 상기 오디오 신호를 상기 스피커가 출력할 수 있는 오디오 형식으로 변환 처리하는 오디오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비디오 형식은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일 수 있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 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종의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종의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의 상세 구성도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다종의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는 HDTV와 같은 TV 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하되, 디스플레이 모듈 및 스피커를 구비하여 멀티미디어에 따른 화면 또는 음성을 출력할 수 있는 장치(예를 들어 TV 기능을 구비한 LCD 모니터 등)도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음은 이하의 설명을 통해 더욱 자명하게 될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TV 장치(100)는 외부 인터페이스부(200), 멀티미디어 처리부(300) 및 출력부(400)를 포함한다.
외부 인터페이스부(200)는 외부 장치(50)와 결합하기 위한 수단으로, 통신망을 통한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 IEEE1394, USB 및 외부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 들일 수 있는 카드 리더기 등을 구비하여 결합된 외부 장치(50)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이다.
멀티미디어 처리부(300)는 캠코더, 디지털 카메라, 개인 휴대 단말기(PDA : 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컴퓨터 등의 다종(various type)의 외부 장치(50)로부터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기능한다. 멀티미디어 처리부(300)는 외부 장치(50)로부터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미리 지정된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액정(LCD)과 같은 디스플레이 모듈 및 스피커를 포함하는 출력부(400)가 해당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이하, 도 2 및 도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TV 장치(100)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TV 장치(100)는 외부 장치(50)와 결합되어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받아 처리하는 외부 인터페이스부(2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외부 인터페이스부(200)로부터 수신된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를 출력부(400)를 통해 출력하도록 기능하는 멀티미디어 처리부(3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외부 장치(5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는 미디어 프로세서(230, Media Processor)가 처리한다.
외부 장치(50)와 결합되기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210) 중 랜(LAN) 10/100 이더넷 제어기(Ethernet Controller)(219)와 무선랜(Wireless LAN) IEEE 802.11 장치(217)는 외부 장치(50, 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 PDA 등)로부터 전송되는 각종 액세스 요청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외부 장치(50)로 전송하여 주고, 외부 장치(50)로부터 전송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따른 스트림(stream) 정보 등을 미디어 프로세서(230)로 전달하도록 기능한다. 무선랜(217)은 IEEE 802.11계열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5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IEEE1394 제어기(Controller)(215), USB 제어기(Controller)(213)는 외부 장치(50, 예를 들어 디지털 카메라, 외장형 HDD, 각종 메모리 카드 등)로부터 전송되는 각종 스트림 정보 등을 미디어 프로세서(230)로 전달하도록 기능한다.
여기서, 상기한 LAN 10/100 Ethernet Controller(219)와 Wireless LAN IEEE 802.11 장치(217), IEEE1394 Controller(215), USB Controller(213) 및 외부 메모 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는 카드 리더 제어기(211, Card Reader Controller) 등의 인터페이스 장치(210)들은 모든 데이터를 PCI BUS(220)를 통해 미디어 프로세서(230)로 전송할 수 있다. 물론, PCI BUS(220)에 따른 통신 규격은 일 실시예이며, 이외에도 미디어 프로세서(230)가 처리할 수 있도록 미리 지정된 모든 통신 규격이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미디어 프로세서(230)가 상기한 장치들을 통해 다종의 각 외부 장치(5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는 크게 오디오 컨텐츠 파일(MP3, WAV 등), 비디오 컨텐츠 파일(AVI, MPEG, WMV 등), 이미지 컨텐츠 파일(JPEG, TIFF, BMP 등)등으로 제안될 수 있다.
미디어 프로세서(230)는 상기한 인터페이스 장치(210)들을 통해 전달 받은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멀티미디어 처리부(300)로 전달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미디어 프로세서(230)는 제어부, 비디오 처리부, 오디오 처리부 및 OSD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미디어 프로세서(230)의 제어부는 사용자 I/F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함은 물론, 외부 장치(50)로부터 전송된 스트림 정보를 분석하여 해당하는 각각의 디코더로 전송되도록 시스템을 제어한다.
비디오 처리부는 비디오 디코더, 비디오 인코더 및 비디오 혼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비디오 디코더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Mpeg-2 디코더로서 비디오 컨텐츠 파일, 네비게이션 화면정보, 엠펙 2 I-프레임 형식의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출력한다.
OSD 처리부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입력되는 문자와 같은 부가정보를 처리 하여 비디오 처리부의 비디오 혼합부로 출력하여 줌으로서, 비디오 혼합부에서는 비디오 디코더를 통해 디코딩된 비디오 정보와 부가정보가 한 화면으로 혼합되어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비디오 혼합부를 통해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는 비디오 인코더를 통해 NTSC 혹은 PAL 방식에 따른 복합영상신호로 인코딩 처리되어 DVI_1 Controller(265)를 통해 멀티미디어 처리부(300)로 인가된다.
오디어 처리부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입력되는 오디오 컨텐츠 파일(예를 들어, MP3 WAV 파일 등)을 디코딩하여 출력하고, 디코딩된 오디오 데이터는 미디어 프로세서(230) 외부의 오디오 DAC(digital-to-analog converter)(263)를 통해 아날로그 데이터로 변환되고 A/V 입력 인터페이스(input interface)(280)의 오디오 단자를 통해 멀티미디어 처리부(300)로 인가된다.
플래쉬(Flash) 메모리(250)에는 미디어 프로세서(230)가 동작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 데이터가 저장되어 미디어 프로세서(230)에 의해 액세스 제어된다. SDRAM(243)에는 미디어 프로세서(230)의 제어 동작 시에 발생하는 데이터가 일시 저장됨은 물론, 외부 장치(50)로부터 수신된 각종 스트림 정보들, 예를 들면 네비게이션 정보와, 컨텐츠 파일, 부가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멀티미디어 처리부(300)는 외부 인터페이스부(200)에서 처리된 비디오/오디오 신호(이하, A/V 신호)가 디스플레이 모듈(예를 들어, LCD)에 표시되도록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신호로 변환하고, 스피커로 출력할 수 있도록 처리한다.
멀티미디어 처리부(300)에서 처리하는 신호는 다음과 같다. 신호는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를 포함하여 DVI-I, HDMI, VGA, YPbPr, YCbCr, Composite, S-Video, Antenna Tuner1, Audio Left/Right, S/PDIF 등이다.
멀티미디어 처리부(300)는 HDMI 단자(318)와 DVI-I 단자(319)를 통해 외부 인터페이스부(200) 또는 외부 HDMI장치로부터 신호를 입력 받아 MUX되어 있는 신호를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로 분리하고, 이중 비디오 신호인 30 Bit RGB신호를 HDMI&DVI-I 전송기(Transmitter)(334)를 통해 디지털 처리기(340, Digital Processor)인 스칼라(Scalar)로 전송하고, 디지털 처리기(340)는 해당 비디오 신호를 디스플레이 모듈 표시할 수 있는 신호인 LVDS신호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 모듈로 전달한다. 상기한 HDMI&DVI-I Transmitter(334)는 HDCP 1.1 기준을 만족한다.
외부 인터페이스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 및 HDMI의 음성신호는 HDMI&DVI-I Transmitter(334)를 통해 I2S(Inter IC Sound)신호로 변환되어 사운드 처리기(370, Sound Processor)로 입력되며, 입력된 신호는 사운드 처리기(370)에서 소스(Source)에 맞게 선택 되어 증폭기(380, Amplifier)를 통해 증폭되어 스피커에 전달되며, 스피커는 오디오 신호를 전달받아 출력하게 된다.
VGA 신호와 YPbPr신호는 중간에 HDMI&DVI-I Transmitter(334) 및 비디오 디코더(332, Video Decoder)를 거치지 않고 직접 디지털 처리기(340)로 입력되며, 입력된 신호는 LVDS신호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 모듈에 전달된다.
Tuner 단자(310,311), A/V(Composite, S-Video) 단자(312,313) 및 YCbCr 단자(314) 단자를 통해 아날로그 방송 신호 또는 내/외부 영상 출력장치로부터 수신 된 신호는 비디오 디코더(332)를 통해 20 Bit Y/C신호로 변환되어 디지털 처리기(340)로 전달된다. 전달된 신호는 디지털 처리기(340)를 거쳐 ADC(Analog-to-Digital Conversion)화하여 소스(Source)가 선택되어 LVDS신호로 변환 되어 디스플레이 모듈로 전달된다.
Tuner 신호의 경우, 멀티미디어 처리부(300)는 디지털 신호가 입력되면 Tuner 신호를 선택하여 MPEG2 디코더(330)를 통해 30 Bit RGB신호로 변환하며, 상기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여 LVDS신호로 출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광자기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고안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유/무선 네트워크(Network), USB(Universal Serial Bus) 및 IEEE1394 방식 등의 다양한 방식을 통해 컴퓨터, 캠코더, 디지털 카메라, 메모리 칩 등과 같은 외부 장치로부터 멀티미디어 컨텐츠(multimedia Contents)를 수신하여 대(大) 화면 및 스피커를 이용하여 출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디스플레이 모듈 및 스피커를 구비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다종(多種)의 외부 장치와 결합이 가능하며, 랜(LAN), 무선랜(Wireless LAN), IEEE 802.11, USB 및 카드 리더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결합된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미디어 데이터를 미리 지정된 형식의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외부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변환된 상기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및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멀티미디어 처리부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처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는,
    LAN 10/100 Ethernet Controller, Wireless LAN IEEE 802.11 장치, IEEE1394 Controller, USB Controller 및 카드 리더 제어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로부터 전달된 미디어 데이터가 상기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로 변환되도록 처리하는 미디어 처리기; 및
    상기 멀티미디어 처리부로 상기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입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처리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와 상기 미디어 처리부는 PCI 버스(BUS)를 통해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처리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처리부는,
    상기 비디오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처리할 수 있는 비디오 형식으로 변환 처리하는 비디오 처리부; 및
    상기 오디오 신호를 상기 스피커가 출력할 수 있는 오디오 형식으로 변환 처리하는 오디오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처리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형식은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처리 장치.
KR2020060023899U 2006-09-05 2006-09-05 다종의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처리하는 장치 KR2004323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3899U KR200432311Y1 (ko) 2006-09-05 2006-09-05 다종의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처리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3899U KR200432311Y1 (ko) 2006-09-05 2006-09-05 다종의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처리하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2311Y1 true KR200432311Y1 (ko) 2006-11-30

Family

ID=41780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3899U KR200432311Y1 (ko) 2006-09-05 2006-09-05 다종의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처리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231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30167A2 (ko) * 2010-09-01 2012-03-08 Jung Min 멀티미디어 기기 입출력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2270764B1 (ko) * 2020-02-07 2021-06-30 옵티시스 주식회사 비디오 월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30167A2 (ko) * 2010-09-01 2012-03-08 Jung Min 멀티미디어 기기 입출력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WO2012030167A3 (ko) * 2010-09-01 2012-05-31 Jung Min 멀티미디어 기기 입출력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2270764B1 (ko) * 2020-02-07 2021-06-30 옵티시스 주식회사 비디오 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69209B2 (en) Display device and transmitting device
US8698956B2 (en) Transmitting device, receiving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operational information in receiving device
US10999554B2 (en)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US9143637B2 (en) Transmission device, video signal transmission method for transmission device, reception device, and video signal reception method for reception device
US8269899B2 (en) Electronic device, method for responding to message, and program
US8441576B2 (en) Receiving device, delay-information transmitting method in receiving device, audio output device, and delay-control method in audio output device
US8887210B2 (en) Transmission apparatus,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reception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20100132004A1 (en) Communication device and conversion adapter
US20100275234A1 (en) Display apparatus, data transmitting method in display apparatus, transmission apparatus, and data receiving method in transmission apparatus
US20090288130A1 (en) Relay device and relay method
JP2005051547A (ja) 映像音声出力装置、映像音声受信装置、映像音声出力方法、映像音声受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TWM465740U (zh) 分體式電視及用於所述分體式電視的控制盒
US20100020245A1 (en) Image display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JP4668193B2 (ja) 最適のディスプレイ環境を設定するdvdプレーヤー及びその動作方法
US20060244752A1 (en) Signal conveying apparatus and display system having same
WO2015166685A1 (ja) 通信装置又は通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US20160127677A1 (en) Electronic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070083905A1 (en) Media player, control method thereof, and media play system having the same
KR200432311Y1 (ko) 다종의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처리하는 장치
WO2015163264A1 (ja) 符号化装置、符号化方法、送信装置、送信方法、受信装置、受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080281990A1 (en) Expansion device adapted for use with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8509591B2 (en) Transmission apparatus, reception apparatus, and transmission method
US20140379941A1 (en) Receiving device, transmitting device and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WO2016002271A1 (ja) インターフェース回路、伝送システム、伝送方向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TW201427400A (zh) 多媒體訊號控制裝置及其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