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1726Y1 - battery - Google Patents

batte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1726Y1
KR200431726Y1 KR2020060022642U KR20060022642U KR200431726Y1 KR 200431726 Y1 KR200431726 Y1 KR 200431726Y1 KR 2020060022642 U KR2020060022642 U KR 2020060022642U KR 20060022642 U KR20060022642 U KR 20060022642U KR 200431726 Y1 KR200431726 Y1 KR 2004317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battery
internal resistance
peak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2642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소치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플러스 에너지 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플러스 에너지 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플러스 에너지 하이텍
Priority to KR20200600226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1726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17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1726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02J7/04Regulation of charging current or volt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4Recycling of batteries or 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터리의 내부저항을 측정하면서 저항값에 따라 충전시 공급되는 DC전압을 변화시킨 서지성 펄스전압의 레벨이 달라지도록 함으로써 단자에 산화되어 부착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면서 배터리의 성능을 환원시킬 수 있도록 한 배터리의 내부저항에 의한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the internal resistance of the battery and changes the level of the surge voltage that changes the DC voltage supplied during charging according to the resistance value, thereby effectively removing the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terminal and reducing the battery performan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generation device by the internal resistance of the battery.

상기의 본 고안은,The above invention is

배터리에 공급되는 전원선을 통해 공급되는 충전전압이 분할되어 컨트롤러에 전달되도록 하여 배터리의 전압치와 충전되는 전압치를 인식하도록 하는 상태인식부와,A state recognition unit for dividing the charging voltage supplied through the power line supplied to the battery and transferring the charge voltage to the controller so as to recognize the voltage value of the battery and the voltage value being charged;

상기의 상태인식부를 통하여 인식할 배터리의 전압치에 따라 배터리의 양단자간 저항값을 인식하도록 하는 내부저항 인식부와,An internal resistance recognition unit configured to recognize a resistance value between both terminals of the battery according to the voltage value of the battery to be recognized through the state recognition unit;

상기의 컨트롤러에서 출력되는 출력신호에 의하여 전압표시부에 배터리의 초기전압과 충전전압을 숫자로 표기하도록 하는 BCD 코드 변환부와,A BCD code conversion unit for displaying the initial voltage and the charging voltage of the battery by a number on the voltage display unit by an output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ler;

상기의 충전전압에 의해 충전이 진행되는 상태를 인식한 컨트롤러에서 상기의 내부저항에 따라 다르게 출력되는 구형파의 펄스전압에 의하여 구동전압을 인가하는 구동신호 발생부와,A drive signal generator for applying a drive voltage by a pulse voltage of a square wave which is differently output according to the internal resistance in the controller recognizing a state in which charging is performed by the charge voltage;

상기 구동신호 발생부가 동작함에 따라 배전압된 서지성 펄스전압을 상기의 전원선을 통해 배터리의 전극판에 인가하는 피크-피크 발생부들로 구성함으로써 배터리의 단자간에 산화되어 부착된 이물질의 양에 따라 다른 서지정 펄스전압의 레 벨을 다르게 하여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면서 배터리의 성능을 정상상태로 환원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According to the amount of foreign matter oxidized and attached between the terminals of the battery by configuring the peak-peak generators for applying the surge voltage pulsed by the driving signal generator to the electrode plate of the battery through the power line. By changing the level of different surge pulse voltages,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move foreign substances and restore the battery's performance to the normal state.

상태인식부, 내부저항 인식부, 컨트롤러, 구동신호 발생부, 피크-피크 발생부 Status recognition unit, internal resistance recognition unit, controller, drive signal generator, peak-peak generator

Description

배터리의 내부저항에 의한 재생장치{battery}Regeneration device by battery internal resistance {battery}

도 1은 본 고안의 전채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appetiz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보다 상세한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2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mor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3 : 컨트롤러 4 : 상태인식부3: controller 4: status recognition unit

6 : 내부저항 인식부 9 : 구동신호 발생부6: internal resistance recognition unit 9: drive signal generator

10 : 피크-피크 발생부10: peak-peak generator

본 고안은 배터리의 내부저항에 의한 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배터리의 내부저항을 측정하면서 저항값에 따라 충전시 공급되는 DC전압을 변화시킨 서지성 펄스전압의 레벨이 달라지도록 함으로써 단자에 산화되어 부착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면서 배터리의 성능을 환원시킬 수 있도록 한 배터리와 내부저항에 의한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generation device by the internal resistance of the battery, and in detail, while measuring the internal resistance of the battery by varying the level of the surge pulse voltage that changes the DC voltage supplied during charging according to the resistance value to the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and an internal resistance regeneration device capable of reducing the performance of a battery while effectively removing oxidized and adhered foreign matter.

일반적으로 배터리라 함은 양과 음의 전극판과 전해액으로 구성되어 있어, 화학작용에 의해 직류 기전력을 생기게 하여 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치로서, 화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화시키는 상태를 방전(放電)이라 하고,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하여 화학에너지로 변화시켜 축적하는 상태를 충전(充電)이라 함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In general, a battery is composed of a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 plate and an electrolytic solution, and can be used as a power source by generating direct current electromotive force by chemical reaction. The state of changing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is called discharge. In addition, it is well known that the state of charging and supplying electrical energy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to be converted into chemical energy is accumulated.

이와 같이 충전과 방전이 반복되는 배터리를 축전지 또는 2차 전지라 하며, 이를 차량용 배터리, 면도기와 같은 가전용 배터리, 휴대폰용 배터리, 노트북용 배터리 등으로 널리 이용하고 있다.The battery which is repeatedly charged and discharged is called a storage battery or a secondary battery, and is widely used as a battery for a vehicle, a household battery such as a shaver, a battery for a mobile phone, a battery for a laptop, and the like.

그리고 상기의 배터리 중에서 내부 저항이 높은 배터리는 펄스 충전방식으로 충전한다.Among the above batteries, a battery having a high internal resistance is charged by a pulse charging method.

펄스 충전 방식은 클럭펄스에 따라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방식으로, 보통 설정 레벨의 맥류 전원이 듀티 설정 전압 전압보다 높고, 배터리의 전압이 배터리 완충 전압보다 낮을 때 배터리를 충전시킨다.The pulse charging method charges the battery according to a clock pulse. The pulse charging method charges the battery when the pulse current power supply of the set level is higher than the duty set voltage voltage and the voltage of the battery is lower than the battery full charge voltage.

이러한 종래의 펄스 충전 방식에서 보통 듀티 50%로 충전하기 위해서는 맥류 전원이 5V 최고치 일 때 듀티 설정전압을 3.53V 정도로 하며,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해 배터리에 충전되는 전류의 상태는 다음과 같다.In order to charge at 50% duty in the conventional pulse charging method, the duty set voltage is about 3.53V when the pulse power supply is 5V peak, and the state of the current charged in the battery by the above operation is as follows.

즉, 일정 전압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다가 배터리의 완충 전압 부근에서 배터리의 내부 저항 성분을 보상하여 충전하기 위해서 펄스를 빼먹음으로써 배터리에 충전되는 전류를 점차적으로 줄어들도록 한다.That is, while charging the battery at a constant voltage, the current charged in the battery is gradually reduced by skipping pulses to compensate for and charge the internal resistance of the battery near the battery's full charge voltage.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완충 시점까지의 전류를 듀티 50% 정도로 일정하게 배터리에 충전시킴에 따라 배터리의 충전전압이 완충전압까지 도달하는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is conventional technique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takes a long time for the charging voltage of the battery to reach the buffer voltage as the battery is constantly charged with a current of up to 50% duty.

따라서, 1998년 10월 13일자 특허출원 제 1998-0042701호(펄스 충전방식의 배터리 충전 회로)가 제안되어 배터리 완충전압까지 도발하기 위해 펄스 충전하는 온 구간의 듀티를 배터리 전압에 따라 변화시켜 배터리 충전시간을 빠르게 하도록 하였는 바,Accordingly, a patent application No. 1998-0042701 (pulse charging method battery charging circuit) dated October 13, 1998 was proposed to charge the battery by changing the duty of the on-period pulse charging in order to provoke the battery buffer voltage according to the battery voltage To make the time faster,

이는 충전부, 스위칭부, 전파 정류부, 스위칭 구동부 및 스위칭 구동제어부로 구성하되,It consists of a charging unit, a switching unit, a full-wave rectifying unit, a switching driver and a switching drive control unit,

상기 충전부는 입력되는 전류를 충전하도록 하고,The charging unit to charge the input current,

상기 스위칭부는 스위칭 동작을 하여 상기 충전부에 충전되는 전류의 양을 조절하도록 하고,The switching unit performs a switching operation to adjust the amount of current charged in the charging unit,

상기 전파 정류부는 입력 전력을 전파 정류하여 맥류 전원이 출력되도록 하고,The full wave rectifying unit rectifies the input power to output the pulse power.

상기 스위칭 구동부는 상기 전파 전류부의 출력을 비교 전압과 비교하면서 상기 배터리의 전압을 배터리 완충 전압과 비교하여 주 비교값에 따라 출력 신호를 달리하도록 하고,The switching driving unit compares the output of the propagation current unit with the comparison voltage and compares the voltage of the battery with the battery buffer voltage to vary the output signal according to the main comparison value.

상기 스위칭 구동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의 전압을 레벨 시프트하여 상기 비교 전압이 되도록 한 후 상기 스위칭 구동부로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충전부의 전압을 입력으로 하며, 충전부의 전압이 완충 전압이 될 때까지 초기 충전부로 유입되는 전류를 최대치에서 점차 선형적으로 감소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충전부의 전압을 레벨 시프트하여 상기 스위칭부의 듀티 설정 비교 전압이 되도록 하여 배터리 완충 전압까지 배터리의 충전 전류를 최대치에서 점차적으로 줄여가면서 배터리의 충전이 빠른 시간 내에 이루어지도록 하였다.The switching driving control unit inputs the voltage of the charging unit by level shifting the voltage of the battery to be the comparison voltage and outputting the voltage to the switching driving unit, and flows into the initial charging unit until the voltage of the charging unit becomes a buffer voltage. In order to decrease the current gradually increasing linearly from the maximum value, the voltage of the charging unit is level shifted to become the comparison setting voltage of the switching unit so that the charging current of the battery is gradually reduced from the maximum value to the battery buffer voltage. It was done in a short time.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펄스 충전 방식의 배터리 충전 회로에 의하여서는 배터리에 충전전압을 인가할 때 펄스파 형태의 전압으로 인가하여 충전이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지만, 충전과 방전을 계속 반복하는 중에 배터리의 전극판에 산화되어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지 못하게 되고, 상기의 이물질은 내부 저항이 커지도록 하여 배터리의 효율을 크게 저하시키게 되므로 배터리가 노화되어 오래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pulse charging method of the battery charging circuit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harging voltage is applied to the battery, the voltage can be applied in the form of pulse wave to speed up the charging, but the battery is repeatedly charged and discharged continuously. It is not possible to remove the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electrode plate of the oxidized, the foreign matter is to increase the internal resistance to greatly reduce the efficiency of the battery, so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battery is aged and can not be used for a long time.

그에 따라 특허등록 제338897호(배터리의 효율적 사용을 위한 수명연장장치)가 제안되었는 바,Accordingly, Patent Registration No. 338897 (Life Extension Device for Efficient Use of Battery) was proposed.

이는 배터리에 연결되는 수명연장 장치는 상태 감시부와, 상기 상태 감시부를 제외한 나머지의 구성인 펄스 발생부로 구성하되,The life extension device connected to the battery is composed of a state monitoring unit and the pulse generating unit of the remaining configuration except the state monitoring unit,

상기 상태 감시부는 상기 배터리의 보유전압보단 높은 전압이 상기 배터리의 제1,2전원단자(+,-)사이에 인가될 경우에 이를 감지하여 구동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상기 배터리의 제1,2전원단자사이의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검출기와, 상기 전압검출기의 출력 전압이 상기 배터리의 보유전압보다 소정레벨이상 높은 경우에 동작되어 상기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구동스위치로 구성하였다.The state monitoring unit detects when a voltage higher than the battery's holding voltage is appli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ower terminals (+,-) of the battery and generates a driving signal. A voltage detector for detecting a voltage between power supply terminals and a drive switch for operating when the output voltage of the voltage detector is high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level by the battery holding voltage are output.

상기의 전압검출기는 상기 제1전원단자에 순방향으로 연결된 다이오드와, 상기 다이오드에 일단이 연결된 저항과, 상기 저항의 타단과 접지간에 연결된 가변저항으로 구성하였다.The voltage detector includes a diode connected in a forward direction to the first power supply terminal, a resistor connected to one end of the diode, and a variable resistor connecte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resistor and ground.

상기 구동스위치는 베이스가 상기 가변저항에 연결되고 에미터가 접지되며 콜렉터로 상기 구동신호가 제공되는 트랜지스터로 구성하였다.The drive switch includes a transistor having a base connected to the variable resistor, an emitter grounded, and a drive signal supplied to a collector.

상기 펄스발생부는 상기 상태 감시부의 구동신호에 응답하여 직류펄스를 발생하여 상기 배터리의 상기 제1전원단자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구동신호에 응답하여 소정주파수로 발진하는 클럭신호를 생성하는 발진기와, 상기 발진기의 클럭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칭동작을 수행하는 스위치와, 상기 제1전원단자와 상기 스위치의 출력단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스위치의 스위칭동작에 생성되는 코일의 역기전력에 의해 상기 직류 펄스를 발생하는 직류 펄스발생기로 구성하였다.An oscillator for generating a clock signal oscillating at a predetermined frequency in response to the driving signal to generate a DC pulse in response to a driving signal of the state monitoring unit to supply the first power terminal of the battery; A direct current coupled to a switch for performing a switching operation in response to a clock signal of the oscillator, and generated between the first power supply terminal and an output terminal of the switch and generating the direct current pulse by the counter electromotive force generated in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switch. It consisted of a pulse generator.

상기 발진기는 10.1킬로헤르츠 대의 주파수를 발생하는 발진용 집적회로 "4584"로 구성하며, 상기 스위치는 에미터가 접지되고 베이스가 상기 발진기의 출력에 연결되고 콜렉터가 상기 직류펄스 발생기에 연결된 트랜지스터로 구성하였다.The oscillator comprises an oscillating integrated circuit " 4584 " generating a frequency of 10.1 kHz, the switch comprising a transistor having an emitter grounded, a base connected to the output of the oscillator and a collector connected to the DC pulse generator. It was.

상기의 직류펄스 발생기는, 상기 제1전원단자와 상기 스위치의 출력단 사이에 역방향으로 연결된 다이오드와, 상기 다이오드의 캐소드에 일단이 연결된 저항과, 상기 저항의 타단과 접지 사이에 연결된 캐패시터와, 상기 저항의 타단과 상기 스위치의 출력단 사이에 연결된 인덕터 코일로 구성하였다.The DC pulse generator includes a diode connected in a reverse direction between the first power terminal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switch, a resistor connected at one end to the cathode of the diode, a capacitor connecte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resistor and ground, and the resistor. It consists of an inductor coil connected between the other end of and the output end of the switch.

상기와 같이 구성한 종래 배터리의 효율적 사용을 위한 수명연장장치는 시동이 걸리면, 발전기인 제너레이터로부터의 교류전압을 변환한 13.2∼13.8볼트의 직류전압을 출력하였다.The lifespan extension device for efficient use of the conventional battery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outputs a DC voltage of 13.2 to 13.8 volts which is converted from an AC voltage from a generator, which is a generator.

상기의 상태 감시부는 배터리의 제1,2전원단자(+,-)사이에 인가되는 전압이 13.2볼트이상임을 감지하여 구동신호를 발생하고, 트랜지스터는 턴온됨에 따라 이의 콜렉터-에미터로 전류가 흐르게 되어, 펄스 발생부내의 발진기가 턴온되어 발진 동작이 행하였다.The state monitoring unit detects that the voltage appli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ower terminals (+,-) of the battery is 13.2 volts or more, and generates a driving signal. As the transistor is turned on, current flows to its collector-emitter. The oscillator in the pulse generator was turned on to perform the oscillation operation.

그에 따라 스위치인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하이"가 약 10킬로헤르츠의 주기로 인가되어 턴온과 턴오프의 스위칭동작을 번갈아 행하였다.As a result, " high " was applied to the base of the switch-in transistor at a period of about 10 kilohertz, and the switching operation of turn on and off was alternately performed.

그에 따라 직류 펄스발생기 내의 코일에 역기전력이 생성되어 직류펄스로서 상기 배터리의 제1전원단자(+)에 공급되었다.As a result, a counter electromotive force was generated in the coil in the DC pulse generator and supplied to the first power terminal (+) of the battery as a DC pulse.

따라서 약 13.2볼트 이상의 구형파 펄스가 수십 킬로헤르츠로서 상기 배터리의 양극을 통해 양극판에 연속적으로 공급되고, 상기 구형파 펄스가 약 2A의 전류이므로 배터리의 극판에 축적된 결정화된 황산염이 재활성화되어 활성황분자로 되며 이는 배터리 용액인 전해질로 되돌아가도록 하였다.Therefore, the square wave pulse of about 13.2 volts or more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through the positive electrode of the battery as tens of kilohertz, and the square wave pulse is about 2 A current, so the crystallized sulfate accumulated in the positive electrode of the battery is reactivated to activate the active sulfur molecule. This was to return to the electrolyte which is a battery solution.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배터리의 효율적 사용을 위한 수명연장장치에 의하여서는 승용차의 시동이 걸려 제너레이터에 의한 발전이 행하여지는 중에는 계속 상기의 직류 펄스가 인가되므로 불필요하게 지속적인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단점이 있음은 물론, 상기의 스위치인 트랜지스터에 2A의 높은 전류가 흐르게 되므로 트랜지스터가 온/오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동안 열이 발생하게 된다. 더구나 승용차의 시동이 걸린 상태에서는 지속적으로 동작하여야 하므로 트랜지스터가 과열되어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life extension device for efficient use of the conventional battery as described above has the disadvantage that the above-mentioned DC pulse is continuously applied while power generation by the generator is started due to the start of a passenger car. Of course, since a high current of 2A flows through the transistor which is the switch, heat is generated while the transistor repeatedly performs on / off. In addition, the transistor has to be overheated and damaged due to continuous operation in a state where a passenger car is started.

그리고 상기의 스위치인 트랜지스터가 과열로 인해 손상을 입게되어 항시 온상태가 되어도 이를 인식할 수 없으므로 발진기에 의한 주기가 아니라 시동이 걸리지 않은 상태에서도 직류 펄스가 계속 공급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transistor, which is the switch, is damaged due to overheating and cannot be recognized even when it is always on, there is a problem such that the DC pulse is continuously supplied even in a state in which the start is not started, rather than a cycle caused by the oscillator.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배터리의 내부저항을 측정하면서 저항값에 따라 충전시 공급되는 DC전압을 변화시킨 서지성 펄스전압의 레벨이 달라지도록 함으로써 단자에 산화되어 부착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면서 배터리의 성능을 환원시킬 수 있도록 한 배터리의 내부저항에 의한 재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by measuring the internal resistance of the battery, the level of the surge pulse voltage which changed the DC voltage supplied during charging according to the resistance value was change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generation device by the internal resistance of a battery capable of reducing the performance of the battery while effectively removing foreign matters that have been oxidized and attached thereto.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배터리의 내부저항에 의한 재생장치는 배터리의 성능을 복원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서,Regeneration apparatus by the internal resistance of the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o be able to restore the performance of the battery,

배터리에 공급되는 전원선을 통해 공급되는 충전전압이 분할되어 컨트롤러에 전달되도록 하여 배터리의 전압치와 충전되는 전압치를 인식하도록 하는 상태인식부와,A state recognition unit for dividing the charging voltage supplied through the power line supplied to the battery and transferring the charge voltage to the controller so as to recognize the voltage value of the battery and the voltage value being charged;

상기의 상태인식부를 통하여 인식한 배터리의 전압치에 따라 배터리의 양단자간 저항값을 인식하도록 하는 내부저항 인식부와,An internal resistance recognition unit configured to recognize a resistance value between both terminals of the battery according to the voltage value of the battery recognized through the state recognition unit;

상기의 컨트롤러에서 출력되는 출력신호에 의하여 전압표시부에 배터리의 초기전압과 충전전압을 숫자로 표기하도록 하는 BCD 코드 변환부와,A BCD code conversion unit for displaying the initial voltage and the charging voltage of the battery by a number on the voltage display unit by an output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ler;

상기의 충전전압에 의해 충전이 진행되는 상태를 인식한 컨트롤러에서 상기의 내부저항에 따라 다르게 출력되는 구형파의 펄스전압에 의하여 구동전압을 인가하는 구동신호 발생부와,A drive signal generator for applying a drive voltage by a pulse voltage of a square wave which is differently output according to the internal resistance in the controller recognizing a state in which charging is performed by the charge voltage;

상기 구동신호 발생부가 동작함에 따라 배전압된 서지성 펄스전압을 상기의 전원선을 통해 배터리의 전극판에 인가하는 피크-피크 발생부들로 구성함으로써 배터리의 단자간에 산화되어 부착된 이물질의 양에 따라 다른 서지성 펄스전압의 레 벨을 다르게 하여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면서 배터리의 성능을 정상상태로 환원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amount of foreign matter oxidized and attached between the terminals of the battery by configuring the peak-peak generators for applying the surge voltage pulsed by the driving signal generator to the electrode plate of the battery through the power line. By varying the level of different surge pulse voltages,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move foreign substances and reduce battery performance to a normal stat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llustrat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1 schematically shows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의 내부저항에 의한 재생장치은,Regeneration device by the internal resistance of the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배터리(1)에 전원선(2)을 통해 공급되는 충전전압이 분할되어 컨트롤러(3)에 전달되도록 하여 배터리의 초기전압과 충전되는 전압치를 인식하도록 하는 상태인식부(4)와,A state recognition unit 4 for dividing the charging voltage supplied through the power supply line 2 into the battery 1 and transferring the charge voltage to the controller 3 so as to recognize the initial voltage of the battery and the voltage value to be charged;

상기의 상태인식부(4)로 공급되는 전압을 정격전원으로 변환하는 정전압 공급부(5)와,A constant voltage supply unit 5 for converting the voltage supplied to the state recognition unit 4 into a rated power source;

상기의 상태인식부(4)를 통하여 인식한 배터리(1)의 초기전압에 따라 배터리(1)의 +단자와 -단자간의 저항값을 인식하도록 하는 내부저항 인식부(6)와,An internal resistance recognizing unit 6 for recognizing a resistance value between a + terminal and a-terminal of the battery 1 according to the initial voltage of the battery 1 recognized through the state recognizing unit 4;

상기의 컨트롤러(3)에서 출력되는 출력신호에 의하여 전압표시부(8)에 배터리(1)의 초기전압과 충전전압을 숫자로 표기하는 BCD 코드변환부(7)와,A BCD code conversion unit 7 for numerically indicating the initial voltage and the charging voltage of the battery 1 on the voltage display unit 8 by the output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ler 3;

상기의 충전전압에 의해 충전이 진행되는 상태를 인식한 컨트롤러(3)에서 상기 내부저항 인식부(6)로부터의 내부저항에 따라 다르게 출력되는 구형파의 펄스전압에 의하여 구동전압을 인가하는 구동신호 발생부(9)와,Generation of a driving signal for applying the driving voltage by the pulse voltage of the square wave which is differently output according to the internal resistance from the internal resistance recognition unit 6 in the controller 3 that recognizes the charging progress by the charging voltage. Part 9,

상기 구동신호 발생부(9)가 동작함에 따라 내부저항의 측정값에 따라 다른 레벨의 배전압된 서지성 펄스전압을 상기의 전원선을 통해 배터리(1)의 전극판에 인가하는 피크-피크 발생부(10)와,As the driving signal generator 9 operates, peak-peak generation of applying a different level of surge voltage pulsed to the electrode plate of the battery 1 through the power supply line according to the measured value of the internal resistance. Part 10,

상기 구동신호 발생부(9)의 스위칭 소자가 손상된 상태에 따른 신호를 상기의 컨트롤러(3)에 전달하여 구형파의 펄스신호가 출력되지 않도록 하는 보호회로(11)와,A protection circuit 11 for transmitting a signal corresponding to a damaged state of the switching element of the driving signal generator 9 to the controller 3 so that a pulse signal of a square wave is not output;

상기 컨트롤러(3)가 오동작을 일으키거나 전원을 처음 인가할 때 리셋 시켜 내부의 동작을 초기화하는 컨트롤러 보호회로(12)들로 구성한 것이다.The controller 3 is composed of controller protection circuits 12 for initializing the internal operation by resetting when the controller 3 malfunctions or when power is first applied.

도 2는 본 고안의 보다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2 shows a mor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외부의 충전회로에서 배터리에 연결된 전원선(2)에 분할저항(R1)(R2)과 저항(R3) 및 콘덴서(C1)의 상태인식부(4)를 거쳐 입력전압을 전달받는 상기의 컨트롤러(3)는 입력되는 인력전압에 의하여 배터리(2)의 초기 전압치와 충전되는 전압치를 인식하도록 하고,In the external charging circuit, the controller receives the input voltage from the power supply line 2 connected to the battery via the division resistors R1, R2, the resistor R3, and the state recognition unit 4 of the capacitor C1. 3) to recognize the initial voltage value and the charged voltage value of the battery 2 by the input attraction voltage,

상기의 상태인식부(4)로 공급되는 전압은 역전압 방지용 다이오드(D1)와 정전압IC(IC1)의 정전압공급부(5)를 거쳐 컨트롤러(3)에 5V의 구동전압이 공급되도록 하고,The voltage supplied to the state recognizer 4 is supplied with a driving voltage of 5V to the controller 3 via the constant voltage supply unit 5 of the reverse voltage prevention diode D1 and the constant voltage IC IC1,

상기의 상태인식부(4)를 통하여 배터리(1)의 초기전압을 인식하는 컨트롤러(3)에서 배터리(1)의 +단자와 -단자 사이에 접속된 내부저항 인식부(6)의 분할저항(R4)(R5)을 통하여 입력되는 전류값에 의하여 배터리(1)양단 간의 저항값을 인식하도록 하고,In the controller 3 which recognizes the initial voltage of the battery 1 through the state recognition unit 4, the divided resistance of the internal resistance recognition unit 6 connected between the + terminal and the-terminal of the battery 1 Recognize the resistance value between the both ends of the battery 1 by the current value input through R4) (R5),

내부에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가 내장되어 상기의 인력전압의 전압치를 디 지털값으로 인식하는 컨트롤러(3)에서 이를 표시하기 위한 출력신호를 출력하도록 하고,An analog / digital converter is embedded therein so that the controller 3 which recognizes the voltage value of the attraction voltage as a digital value outputs an output signal for displaying it.

상기의 컨트롤러(3)로부터 출력신호를 전달받는 BCD 코드변환부(7)는 전압표시부에 배터리(2)의 초기전압과 충전전압을 숫자로 표시하도록 하고,The BCD code conversion unit 7 receiving the output signal from the controller 3 causes the voltage display unit to display the initial voltage and the charging voltage of the battery 2 numerically.

상기의 충전전압에 의해 충전이 진행되는 상태를 인식하는 상기의 컨트롤러(3)에서 상기의 내부저항 인식부(6)로부터의 내부저항에 따라 발진기(13)로부터 전달되는 발진 주파수에 의하여 변화되는 구형파의 펄스전압을 출력하도록 하고,The square wave which is changed by the oscillation frequency transmitted from the oscillator 13 in accordance with the internal resistance from the internal resistance recognition unit 6 in the controller 3 which recognizes the state where the charging proceeds by the charging voltage. Output pulse voltage of

상기 구형파의 펄스전압을 트랜지스터(TR1)와 인버터군(I1)(I2)(I3)(I4)을 거쳐 게이트에 입력받는 구동신호 발생부(9)의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에서는 상기 구형파의 필스전압이 "H"인 때에만 턴온되도록 하고,In the field effect transistor (FET) of the drive signal generator 9 which receives the pulse voltage of the square wave through the transistor TR1 and the inverter groups I1 (I2) (I3) and I4, the field pulse of the square wave is filled. Turn on only when the voltage is "H",

상기 구동전압 발생부(8)의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의 드레인에 접속된 피크-피크 발생부(10)의 초크코일(CH)과 저항(R6)과 콘덴서(C2) 및 다이오드(D2)에 의하여 배전압된 서지성 펄스전압을 상기의 전원선(2)을 통해 배터리의 전극판에 인가되도록 하고,The choke coil CH, the resistor R6, the capacitor C2, and the diode D2 of the peak-peak generator 10 connected to the drain of the field effect transistor FET of the driving voltage generator 8. The surge voltage pulsed by the voltage is applied to the electrode plate of the battery through the power supply line (2),

상기 구동전압 발생부(9)의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의 드레인에 접속된 역방향 다이오드(D3)와 저항(R7) 및 콘덴서(C3)로 이루어진 보호회로(11)에서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가 손상을 입거나 하여 드레인-소스가 쇼트되면 "L"를 인식하여 컨트롤러(3)에 전달하여 구형파의 펄스신호를 출력하지 않도록 하고,In the protection circuit 11 including the reverse diode D3 connected to the drain of the field effect transistor FET of the driving voltage generator 9, the resistor R7, and the capacitor C3, the field effect transistor FET is formed. When the drain-source is shorted due to damage or damage, the "L" is recognized and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3 so as not to output a square wave pulse signal.

상기 컨트롤러(3)에 접속된 콘덴서(C4)(C5)와 저항(R8)과 다이오드(D4) 및 리셋 IC(IC2)들로 이루어진 컨트롤러 보호회로(12)에서 컨트롤러(3)가 오동작을 일 으키거나 처음 전원을 인가할 때 리셋시키도록 한다.The controller 3 malfunctions in the controller protection circuit 12 composed of the capacitors C4 and C5, the resistor R8, the diode D4, and the reset IC IC2 connected to the controller 3. Or reset the power on the first time.

상기와 같이 구성한 본 고안의 배터리의 내부저항에 의한 재생장치는 상기의 내부저항 인식부(6)에서 인식한 저항값에 의하여 배터리(1)의 단자에 산화되어 부착된 이물질의 양을 판단한 후 그에 따른 피크전압 레벨을 다르게 출력하도록 한 것으로서,The reproducing apparatus using the internal resistance of the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determines the amount of foreign matter oxidized and attached to the terminals of the battery 1 based on the resistance value recognized by the internal resistance recognizing unit 6. To output different peak voltage levels,

외부의 충전회로에서 배터리에 연결된 전원선(2)에 분할저항(R1)(R2)과 저항(R3) 및 콘덴서(C1)의 상태인식부(4)를 거쳐 입력전압을 전달받는 상기의 컨트롤러(3)는 입력되는 인력전압에 의하여 배터리(2)의 초기 전압치와 충전되는 전압치를 인식하도록 한다.In the external charging circuit, the controller receives the input voltage from the power supply line 2 connected to the battery via the division resistors R1, R2, the resistor R3, and the state recognition unit 4 of the capacitor C1. 3) recognizes the initial voltage value and the charged voltage value of the battery 2 by the input attraction voltage.

상기의 상태인식부(4)로 공급되는 전압은 역전압 방지용 다이오드(D1)와 정전압IC(IC1)의 정전압공급부(5)를 거쳐 컨트롤러(3)에 5V의 구동전압이 공급되도록 한다.The voltage supplied to the state recognizing unit 4 is supplied with a driving voltage of 5V to the controller 3 via the reverse voltage preventing diode D1 and the constant voltage supply unit 5 of the constant voltage IC IC1.

상기의 상태인식부(4)를 통하여 배터리(1)의 초기전압을 인식하는 컨트롤러(3)에서 배터리(1)의 +단자와 -단자 사이에 접속된 내부저항 인식부(6)의 분할저항(R4)(R5)을 통하여 입력되는 전류값에 의하여 배터리(1)양단 간의 내부저항값을 인식하도록 한다.In the controller 3 which recognizes the initial voltage of the battery 1 through the state recognition unit 4, the divided resistance of the internal resistance recognition unit 6 connected between the + terminal and the-terminal of the battery 1 The internal resistance value between both ends of the battery 1 is recognized by the current value input through R4) and R5.

상기의 내부저항값이 1,6Ω 이상이면 컨트롤러(3)에서 배터리의 상태가 매우 불량하여 충전 효과가 거의 없는 상태이므로 충전을 수행하지 않으면서 외부에 경보를 발생하도록 한다.If the internal resistance value is 1,6Ω or more, the controller 3 may have a very bad state of the battery and thus have a low charging effect. Thus, an alarm is generated externally without performing charging.

그리고 상기의 컨트롤러(3)에서 상기의 내부저항값이 1.2Ω∼1,6Ω, 0.8Ω∼ 1.19Ω, 0.4Ω∼0.79Ω, 0.01Ω∼0.39Ω의 범위 중에서 어느 범위에 속하는 가를 인식하도록 한다.Then, the controller 3 recognizes whether the internal resistance values fall within a range of 1.2Ω to 1,6Ω, 0.8Ω to 1.19Ω, 0.4Ω to 0.979Ω, and 0.01Ω to 0.39Ω.

내부에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가 내장되어 상기의 인력전압의 전압치를 디지털값으로 인식하는 컨트롤러(3)에서 이를 표시하기 위한 출력신호를 출력하도록 한다.An analog / digital converter is built therein so that the controller 3 which recognizes the voltage value of the attraction voltage as a digital value outputs an output signal for displaying this.

상기의 컨트롤러(3)로부터 출력신호를 전달받는 BCD 코드변환부(7)는 전압표시부에 배터리(2)의 초기전압과 층전전압을 숫자로 표시하도록 한다.The BCD code conversion unit 7 receiving the output signal from the controller 3 causes the voltage display unit to display the initial voltage and the layer voltage of the battery 2 numerically.

상기의 충전전압에 의해 충전이 진행되는 상태를 인식하는 상기의 컨트롤러(3)에서 상기의 내부저항 인식부(6)로부터의 내부저항에 따라 발진기(13)로부터 전달되는 발진 주파수에 의하여 변화되는 구형파의 펄스전압을 출력한다.The square wave which is changed by the oscillation frequency transmitted from the oscillator 13 in accordance with the internal resistance from the internal resistance recognition unit 6 in the controller 3 which recognizes the state where the charging proceeds by the charging voltage. Output pulse voltage of.

상기 구형파의 펄스전압을 트랜지스터(TR1)와 인버터군(I1)(I2)(I3)(I4)을 거쳐 게이트에 입력받는 구동신호 발생부(9)의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는 상기 구형파의 필스전압이 "H"인 때에만 턴온된다.The field effect transistor FET of the driving signal generator 9, which receives the pulse voltage of the square wave through the transistor TR1 and the inverter groups I1, I2, I3, and I4, is filled with the square wave field. It is turned on only when the voltage is "H".

상기 구동전압 발생부(9)의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의 드레인에 접속된 피크-피크 발생부(10)의 초크코일(CH)과 저항(R6)과 콘덴서(C2) 및 다이오드(D2)에 의하여 배전압된 서지성 펄스전압을 상기의 전원선(2)을 통해 배터리의 전극판에 인가되도록 한다.The choke coil CH, the resistor R6, the capacitor C2 and the diode D2 of the peak-peak generator 10 connected to the drain of the field effect transistor FET of the driving voltage generator 9. The surge voltage pulsed by the voltage is applied to the electrode plate of the battery through the power supply line 2.

이때 피크-피크 발생부(10)에서 전극판에 인가되는 서지성 펄스전압은 상기 내부저항 인식부(6)를 통해 인식한 배터리(1)의 내부저항값이 1.2Ω∼1,6Ω의 범위이면 45V의 피크전압 레벨을 갖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surge voltage applied to the electrode plate by the peak-peak generator 10 may be 1.2Ω to 1,6Ω when the internal resistance value of the battery 1 recognized by the internal resistance recognition unit 6 is in the range. Try to have a peak voltage level of 45V.

또한 피크-피크 발생부(10)에서 전극판에 인가되는 서지성 펄스전압은 상기 내부저항 인식부(6)를 통해 인식한 배터리(1)의 내부저항값이 0.8Ω∼1.19Ω의 범위이면 36V의 피크전압 레벨을 갖도록 한다.In addition, the surge pulse voltage applied to the electrode plate by the peak-peak generator 10 is 36V when the internal resistance value of the battery 1 recognized by the internal resistance recognition unit 6 is in the range of 0.8Ω to 1.19Ω. It has a peak voltage level of.

그리고 피크-피크 발생부(10)에서 전극판에 인가되는 서지성 펄스전압은 상기 내부저항 인식부(6)를 통해 인식한 배터리(1)의 내부저항값이 0.4Ω∼0.79Ω의 범위이면 24V이 피크전압 레벨을 갖도록 한다.The surge voltage applied to the electrode plate by the peak-peak generator 10 is 24 V when the internal resistance value of the battery 1 recognized by the internal resistance recognition unit 6 is in the range of 0.4Ω to 0.97Ω. It has this peak voltage level.

피크-피크 발생부(10)에서 전극판에 인가되는 서지성 펄스전압은 상기 내부저항 인식부(6)를 통해 인식한 배터리(1)의 내부저항값이 0.01Ω∼0.39Ω의 범위이면 18V의 피크전압 레벨을 갖도록 한다.The surge pulse voltage applied to the electrode plate by the peak-peak generator 10 is 18V when the internal resistance value of the battery 1 recognized by the internal resistance recognizer 6 is in the range of 0.01Ω to 0.39Ω. Have a peak voltage level.

상기 구동전압 발생부(9)의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의 드레인에 접속된 역방향 다이오드(D3)와 저항(R7) 및 콘덴서(C3)로 이루어진 보호회로(11)에서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가 손상을 입거나 하여 드레인-소스가 쇼트되면 "L"를 인식하여 컨트롤러(3)에 전달하여 구형파의 펄스신호를 출력하지 않도록 한다.In the protection circuit 11 including the reverse diode D3 connected to the drain of the field effect transistor FET of the driving voltage generator 9, the resistor R7, and the capacitor C3, the field effect transistor FET is formed. When the drain-source is shorted due to damage or damage, the "L" is recognized and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3 so as not to output a square wave pulse signal.

상기 컨트롤러(3)에 접속된 콘덴서(C4)(C5)와 저항(R8)과 다이오드(D4) 및 리셋 IC(IC2)들로 이루어진 컨트롤러 보호회로(12)에서 컨트롤러(3)가 오동작을 일으키거나 처음 전원을 인가할 때 리셋시키도록 한다.The controller 3 malfunctions in the controller protection circuit 12 composed of the capacitors C4 and C5, the resistor R8, the diode D4, and the reset IC IC2 connected to the controller 3, or Reset the power on first time.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의 내부저항에 의한 재생장치에 의하여서는 배터리의 내부저항을 측정하면서 저항값에 따라 충전시 공급되는 DC전압을 변화시킨 서지성 펄스전압의 레벨이 달라지도록 함으로써 초기 에는 배터리의 전압을 체크하여 표시하면서 배터리의 이상유무를 판단한 후 배터리가 정상이고 충전이 어느 정도 진행되면 배전안된 서지성 펄스전압을 전원선에 공급하여 전극판에 산화되면서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여 배터리의 노화를 방지하여 초기의 상태로 환원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 배터리의 수명이 연장되어 폐배터리에 의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regeneration device by the internal resistance of the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the level of the surge voltage that changes the DC voltage supplied during charging according to the resistance value while measuring the internal resistance of the battery. By checking and displaying the voltage of the battery at the beginning, it is judged whether the battery is abnormal or not. If the battery is normal and charging is progressed, the undistributed surge pulse voltage is supplied to the power line to remove the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electrode plate. By preventing the aging of the battery can be reduced to the initial state, as well as to extend the life of the battery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by waste batteries.

Claims (2)

배터리(1)에 전원선(2)을 통해 공급되는 충전전압이 분할되어 컨트롤러(3)에 전달되도록 하는 상태인식부(4)에서 배터리의 초기 전압치와 충전되는 전압치를 인식하도록 하고,Recognizing the initial voltage value and the charged voltage value of the battery in the state recognition unit 4 to divide the charge voltage supplied through the power line 2 to the battery 1 to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3, 정전압 공급부(5)를 통한 동작전원을 공급받는 컨트롤러(3)에서 출력되는 구형파의 펄스전압에 의하여 구동신호 발생부(9)에서 구동전압을 인가하도록 하고,The driving signal generator 9 applies the driving voltage by the pulse voltage of the square wave output from the controller 3 receiving the operating power through the constant voltage supply unit 5, 상기 구동신호 발생부(9)가 동작함에 따라 피크-피크 발생부(10)에서 배전압된 서지성 펄스전압을 상기의 전원선을 통해 배터리(1)의 전극판에 인가하도록 한 배터리의 내부저항에 의한 재생장치에 있어서,As the driving signal generator 9 operates, the internal resistance of the battery for applying the surge voltage pulsed by the peak-peak generator 10 to the electrode plate of the battery 1 through the power line. In the reproducing apparatus by 상기의 상태인식부(4)를 통하여 배터리(1)의 초기전압을 인식하는 컨트롤러(3)에서 배터리(1)의 +단자와 -단자 사이에 접속된 분할저항(R4)(R5)을 통하여 입력되는 전류값에 의하여 배터리(1) 양단 간의 내부저항값의 1,6Ω 이상, 1.2Ω∼1,6Ω, 0.8Ω∼1.19Ω, 0.4Ω∼0.79Ω, 0.01Ω∼0.39Ω의 범위 중에서 어느 범위에 속하는 가를 인식하도록 하고,The controller 3 which recognizes the initial voltage of the battery 1 through the state recognition unit 4 is inputted through the split resistors R4 and R5 connected between the + and-terminals of the battery 1. According to the current value, the internal resistance value between the both ends of the battery 1 is not less than 1,6Ω, 1.2Ω-1,6Ω, 0.8Ω-1.19Ω, 0.4Ω-0.79Ω, 0.01Ω-0.39Ω To recognize if you belong, 충전전압에 의해 충전이 진행되는 상태를 인식하는 상기의 컨트롤러(3)에서 상기의 내부저항 인식부(6)로부터의 내부저항에 따라 발진기(13)로부터 전달되는 발진 주파수에 의하여 변화되는 구형파의 펄스전압을 출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의 내부저항에 의한 재생장치.The pulse of the square wave which is changed by the oscillation frequency transmitted from the oscillator 13 in accordance with the internal resistance from the internal resistance recognition unit 6 in the controller 3 which recognizes the charging progress by the charging voltage. A reproducing apparatus by the internal resistance of a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output a voltag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배터리(1)의 내부저항값을 인식한 컨트롤러(3)에서 출력되는 구형파의 펄스전압에 의하여 구동신호 발생부(9) 및 피크-피크 발생부(10)를 통하여 전극판에 인가되는 서지성 펄스전압이 각각 상기의 내부저항값이 1.2Ω∼1,6Ω의 범위이면 45V의 피크전압 레벨, 0.8Ω∼1.19Ω의 범위이면 36V의 피크전압 레벨, 0.4Ω∼0.79Ω의 범위이면 24V의 피크전압 레벨, 0.01Ω∼0.39Ω의 범위이면 18V의 피크전압 레벨을 갖도록 하는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의 내부저항에 의한 재생장치.Surge applied to the electrode plate through the driving signal generator 9 and the peak-peak generator 10 by the pulse voltage of the square wave output from the controller 3 recognizing the internal resistance of the battery 1. When the pulse voltage is within the range of 1.2 Ω to 1,6 Ω, the peak voltage level of 45 V, the peak voltage level of 36 V when the range of 0.8 Ω to 1.19 Ω, and the peak of 24 V when the range of 0.4 Ω to 0.97 Ω, respectively. A regeneration device using an internal resistance of a battery, wherein the battery has a peak voltage level of 18 V when the voltage level is in the range of 0.01? 0.39?.
KR2020060022642U 2006-08-23 2006-08-23 battery KR200431726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2642U KR200431726Y1 (en) 2006-08-23 2006-08-23 bat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2642U KR200431726Y1 (en) 2006-08-23 2006-08-23 battery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9990 Division 2006-08-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1726Y1 true KR200431726Y1 (en) 2006-11-24

Family

ID=41780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2642U KR200431726Y1 (en) 2006-08-23 2006-08-23 batter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1726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6628A (en) * 2010-11-02 2012-05-10 (주)세성유니버스 Recycling device for rechargeable battery
KR101189122B1 (en) 2010-10-15 2012-10-10 김종미 Apparatus and method for recycling and charging simultaneously a battery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9122B1 (en) 2010-10-15 2012-10-10 김종미 Apparatus and method for recycling and charging simultaneously a battery
KR20120046628A (en) * 2010-11-02 2012-05-10 (주)세성유니버스 Recycling device for rechargeable battery
KR101582186B1 (en) * 2010-11-02 2016-01-21 김정욱 Recycling Device For Rechargeable Batter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67554B2 (en) Power storage device
EP1300054B1 (en) El driver with lamp discharge monitor
JP2010178421A (en) Power supplying device
CN111564960A (en) Control device of switch power supply
JP2019198134A (en) Switching power supply apparatus
KR20000006763A (en) Life span lengthening device for efficient use of battery
KR200431726Y1 (en) battery
KR10114410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starting faculty of automobiles
US7180271B2 (en) Vehicle generator regulating apparatus
JPH0990482A (en) Flashing device
CN110651422A (en) Ignition device for GTAW welding equipment
EP1983600A1 (en) Electrical circuit for decomposing and removing a solid material from a secondary battery
KR20120019779A (en) Apparatus for extending life cycle of low voltage battery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378696B1 (en) Apparatus for restoring capability of a secondary battery
CN101060743B (en) Resonance inverter
KR200326797Y1 (en) Battery charging voltage compensation stabilization circuit
KR200434218Y1 (en) battery
JPH0779505A (en) Output controller of dc-dc converter for electric vehicle
JP6513479B2 (en) Power supply and control method of power supply
JP3343123B2 (en) Electronic switch mode power supply for powering storage batteries
WO2004068914A1 (en) Discharge tube operation device
JP2005515743A (en) Battery charge stabilization circuit
JP2001037219A (en) Power source unit and its control method
KR100585426B1 (en) Device for lengthening life span of storage battery by adjusting amplitude of pulse current according to storage power status
JPH08107669A (en) Step-up chopper regul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