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1718Y1 - 체외 충격파 치료기용 실린더 - Google Patents

체외 충격파 치료기용 실린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1718Y1
KR200431718Y1 KR2020060022256U KR20060022256U KR200431718Y1 KR 200431718 Y1 KR200431718 Y1 KR 200431718Y1 KR 2020060022256 U KR2020060022256 U KR 2020060022256U KR 20060022256 U KR20060022256 U KR 20060022256U KR 200431718 Y1 KR200431718 Y1 KR 2004317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ck wave
compressed air
housing
air supply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22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도연
조찬연
Original Assignee
조도연
조찬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도연, 조찬연 filed Critical 조도연
Priority to KR20200600222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17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17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171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17/225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xtracorporeal shock wave lithotripsy [ESWL], e.g. by using ultrasonic wa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53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pneumatically or hydraulically operated
    • A61B2017/0054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pneumatically or hydraulically operated pneumatical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병변이 있는 환부에 충격파 에너지를 전달하여 치료하는 체외 충격파 치료기용 실린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파이프관 외연 또는 하우징 내연 일정지점에 영구자석을 결합함으로써 영구자석에서 지속적이고 균일하게 발생되는 자력을 이용하여 충격파발생체를 초기위치로 신속하게 복귀시킴과 동시에 그 위치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줌에 따라 충격파에너지의 발생을 원하는 강도(Force)과 빠르기(Hz)로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압축공기의 배출력을 최대한 이용할 수 있으며, 내부파이프관 전방부 또는 하우징 전방부에 제 2압축공기공급관을 결합하여 내부로 압축공기를 인입함으로써 충격파발생체의 복귀를 보다 원활하게 하는 체외 충격파 치료기용 실린더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캡과 몸체로 구성되며 중공을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캡에 내입되는 충격파전달체와; 상기 하우징에 내삽되며 충격파전달체와 밀착되는 중공의 내부파이프관과; 상기 내부파이프관 후방부와 전방부에 각각 결합되는 제 1압축공기공급관, 제 2압축공기공급관과; 상기 내부파이프관에 내삽되어 제 1압축공기공급관으로 인입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전방으로 발사되어 충격파전달체에 충돌하며 제 2압축공기공급관으로 인입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후방으로 회귀하는 충격파발생체와; 상기 내부파이프관 외연 후방부에 결합되어 충격파전달체에 충돌하여 회귀하는 충격파발생체를 목적 위치로 정위치시키는 영구자석;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체외 충격파 치료기, 체외 충격파, 충격파 치료기, 충격파, 영구자석, 특수 실린더, 실린더

Description

체외 충격파 치료기용 실린더{Cylinder Used in Extracorporeal Radial Shock Wave Medical Device}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체외 충격파 치료기용 실린더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A부분 확대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외 충격파 치료기용 실린더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우징 11 : 캡
11a : 캡단턱 12 : 몸체
20 : 충격파전달체 21 : 제 1고무링
22 : 제 2고무링 30 : 내부파이프관
31 : 토출홀 40 : 충격파발생체
40a : 단턱 50 : 영구자석
60 : 제 1압축공기공급관 61 : 제 2압축공기공급관
70 : 부싱 71 : 제 1부싱
71a, 72a : 관통홀 72 : 제 2부싱
본 고안은 충격파를 병변이 있는 환부에 충격파 에너지를 전달하여 치료하는 체외 충격파 치료기용 실린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파이프관 외연 또는 하우징 내연 일정지점에 영구자석을 결합함으로써 영구자석에서 지속적이고 균일하게 발생되는 자력을 이용하여 충격파발생체를 초기위치로 신속하게 복귀시킴과 동시에 그 위치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줌에 따라 충격파에너지의 발생을 원하는 강도(Force)과 빠르기(Hz)로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압축공기의 배출력을 최대한 이용할 수 있으며, 내부파이프관 전방부 또는 하우징 전방부에 제 2압축공기공급관을 결합하여 내부로 압축공기를 인입함으로써 충격파발생체의 복귀를 보다 원활하게 하는 체외 충격파 치료기용 실린더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야구, 축구, 골프, 수영, 마라톤 선수등 오랫동안 과도한 운동을 무리하게 하여 관절 및 힘줄, 인대부위의 염증 또는 손상을 자주 입게되는 스포츠 선수들은 물론, 이외에도 갑자기 과도한 운동을 하거나 무리한 일을 함으로 인해 관절과 근육의 통증을 느끼게 되는 일반인들에 이르기까지, 물리치료, 약물치료, 한방치료등 보존적 요법으로 쉽게 호전되지 않는 질환들과 만성통증을 수술 없이 간단히 치료 할수 있는 방법이 바로 체외 충격파 치료 요법이다.
이러한 충격파 치료 요법은, 통증을 느끼는 시술 부위에 충격파 치료기를 접촉시켜 충격파를 체내로 전달함으로써 혈관의 재형성을 촉진하고 힘줄의 석회질을 제거하며, 건 및 그 주위 조직을 자극하거나 재활성화시켜, 그 결과 통증의 감소와 기능의 개선을 얻을 수 있는 효과적인 치료법이다.
이러한 충격파 치료요법에 사용되는 충격파 치료기는 실린더 내로 압축공기를 배출하는 압축공기 공급관과 실린더 내에 압축공기의 토출에 의해 전방부로 발사되는 충격파발생체 및 상기 충격파발생체와의 충돌로 생성되는 충격에너지를 인체의 환부로 전달 해주는 충격파전달체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압축공기는, 일정 압력에 이를 때 까지 공기를 압축해서 저장해주는 별도의 에어콤프레셔와,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토출압력으로 조정하여 공기를 공급해주는 에어레귤레이터, 그리고 필요한 시기에 필요한 양 만큼의 압축공기를 토출시켜주는 전자식 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압력을 가진 공기가 1초에 1회에서 10회 내외 까지 혹은,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시기마다 분사되게 되는데, 1회의 압축공기 분사시 충격파발생체는 전방으로 발사되어 충격파전달체와 충돌하여 충격파에너지를 발생시키게 되며, 이때 다음번 발사를 위해서는 충격파발생체가 발사전의 초기위치로 재빨리 복귀 되어져야만 한다.
이에 따라 압축공기가 다시 분사되면 위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충격에너지를, 원하는 세기(Force)와 빠르기(Hz)로 병변이 있는 환부에 가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상기 충격파발생체가 단순히 충격파전달체와의 충돌에 의한 반발력에 의존하여 초기위치로 정확하고 신속하게 복귀되어 지기는 상당히 힘들다.
치료기의 총구가 향하는 방향이 중력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되는 하늘방향 혹은 지면을 향하고 있는지, 중력의 영향이 보통인 수평방향인지에 따라 상당한 질량을 가진 금속으로 이루어진 충격파발생체의 초기위치가 불균일해질 수밖에 없다.
이는 충격파의 균일한 강도(Force)과 빠르기(Hz)를 기대하기 힘들게 되어 시술상의 많은 어려움이 따르게 될 것이며, 설령 어느정도의 초기위치복귀가 가능하다 하더라도, 다음번 공기 분사 직전까지 충격파발생체를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줄 수 있는 무엇인가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내부파이프관 외연 또는 하우징 내연 일정지점에 영구자석을 결합함으로써 영구자석에서 지속적이고 균일하게 발생되는 자력을 이용하여 충격파발생체를 초기위치로 신속하게 복귀시킴과 동시에 그 위치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줌에 따라 충격파에너지의 발생을 원하는 강도(Force)과 빠르기(Hz)로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압축공기의 배출력을 최대한 이용할 수 있으며, 내부파이프관 전방부 또는 하우징 전방부에 제 2압축공기공급관을 결합하여 내부로 압축공기를 인입함으로써 충격파발생체의 복귀를 보다 원활하게 하는 체외 충격파 치료기용 실린더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는 캡과 몸체로 구성되며 중공을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캡에 내입되는 충격파전달체와; 상기 하우징에 내삽되며 충격파전달체와 밀착되는 중공의 내부파이프관과; 상기 내부파이프관 후방부와 전방부에 각각 결합되는 제 1압축공기공급관, 제 2압축공기공급관과; 상기 내부파이프관에 내삽되어 제 1압축공기공급관으로 인입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전방으로 발사되어 충격파전달체에 충돌하며 제 2압축공기공급관으로 인입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후방으로 회귀하는 충격파발생체와; 상기 내부파이프관 외연 후방부에 결합되어 충격파전달체에 충돌하여 회귀하는 충격파발생체를 목적 위치로 정위치시키는 영구자석;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충격파발생체는 제 2압축공기공급관으로 인입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전방부에 단턱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하우징 내에는 내부파이프관을 고정시키기 위해 내부파이프관 외연에 결합되고 하우징 내연에 밀착되는 부싱이 더 설치되되, 상기 부싱은 내부파이프관 전방부 외연에 결합되는 제 1부싱과, 내부파이프관 후방부 외연에 결합되는 제 2부싱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 1부싱 및 제 2부싱에는 일측부와 타측부가 연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내부파이프관 내로 인입된 압축공기가 외부로 원활히 토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내부파이프관에는, 내부파이프관 내로 인입되었던 압축공기를 외부로 신속하게 토출해주기 위하여 내부파이프관의 전방 단부로부터 일정거리 이격 된 지점에 토출홀이 형성되며, 상기 영구자석은 제 1부싱과 제 2부싱 사이의 내부파이프관 외연에 결합하되 제 2부싱과 밀착되도록 결합된다.
아울러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는 캡과 몸체로 구성되며 중공을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캡에 내입되는 충격파전달체와; 상기 하우징의 몸체 후방부와 전방부에 각각 결합되는 제 1압축공기공급관, 제 2압축공기공급관과; 상기 하우징의 몸체에 내삽되어 제 1압축공기공급관으로 인입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전방으로 발사되어 충격파전달체에 충돌하며 제 2압축공기공급관으로 인입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후방으로 회귀하는 충격파발생체와; 상기 하우징 내연 후방부에 결합되어 충격파전달체에 충돌하여 회귀하는 충격파발생체를 목적 위치로 정위치시키는 영구자석;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충격파발생체는 제 2압축공기공급관으로 인입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전방부에 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몸체에는, 하우징 내로 인입되었던 압축공기를 외부로 신속하게 토출해주기 위하여 하우징의 전방 단부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지점에 토출홀이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체외 충격파 치료기용 실린더 구조에 대하여 첨 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체외 충격파 치료기용 실린더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A부분 확대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린더는 크게 캡(11)과 몸 체(12)로 구성되며 중공을 가지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캡(11)에 내삽되되 일정부분이 외측으로 돌출되는 충격파전달체(20)와, 상기 하우징(10)에 내삽되며 상기 충격파전달체(20)와 밀착되는 중공의 내부파이프관(30)과, 상기 내부파이프관(30) 후방부와 전방부에 각각 결합되어 충격파전달체(20)를 발사 또는 회귀시키는 제 1압축공기공급관(60), 제 2압축공기공급관(61)과, 상기 내부파이프관(30)에 내삽되어 제 1압축공기공급관(60)으로 인입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전방으로 발사되어 충격파전달체(20)에 충돌하며 제 2압축공기공급관(61)으로 인입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후방으로 회귀하는 충격파발생체(40)와, 상기 내부파이프관(30) 외연 후방부에 결합되어 충격파전달체(20)에 충돌하여 회귀하는 충격파발생체(40)를 자력으로 당겨 목적 위치로 정위치시키는 영구자석(5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0)은 캡(11)과 몸체(12)로 이루어지며 캡(11)은 충격파전달체(20)를 수용하고 몸체(12)는 내부파이프관(30) 및 부싱(70)을 수용한다.
상기 몸체(12)의 후방부에는 압축공기가 인입되는 제 1, 2압축공기공급관(60, 61)이 내입되는데, 이는 몸체(12)에 내삽되는 내부파이프관(30)의 후방부와 전방부에 각각 연통된다.
또한 몸체(12)와 캡(11)은 분리구성 없이 일체로 하우징(10)을 형성하여도 무방할 것이나, 각각 내연과 외연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나사결합 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몸체(12)와 캡(11)을 분리하여 나사결합 되도록 설계한 것은 사용 도중 발생할 수도 있는 내부부품의 파손에 따른 교체 및 수리의 용이함과, 또한 치료부위와 치료목적에 따른 캡(11)의 교환 결합 등의 작업이 원활히 수행되도록 하 기 위함이며,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캡(11)에 수용되되 일측이 돌출되는 충격파전달체(20)는, 후술될 내부파이프관(30)내의 충격파발생체(40)가 충격파전달체(20)에 충돌하는 순간 발생된 충격파에너지를 병변이 있는 환자의 환부에 전달하게 된다.
이는 충격파전달체(20)의 돌출부위가 환부에 직접 접촉됨으로써 전달 되어지며, 얇은 옷의 바깥에서 접촉하거나 맨 살에 직접 접촉하거나 혹은 전달 되어지는 충격파에너지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환부에 젤 형태의 크림을 바른 후 충격파를 가하기도 한다.
상기 충격파발생체(40)와 충격파전달체(20)는 잦은 충돌로 인하여 파손이 우려되므로 강도가 매우 우수하여야 하는데, 충격파발생체(40)의 경우 순간가속도에 의한 충격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단위 부피당 비교적 비중이 높은 금속 계열의 재질 선택이 불가피할 것이며, 영구자석(50)의 자력에 의한 충격파발생체(40)의 초기위치 복귀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자력의 영향을 받아들일수 있는 연강 또는 철(Fe)이 함유된 합금속 재질이 적합할 것이다.
또한 충격파전달체(20)의 경우, 충격파발생체(40)와는 달리 고정된 위치에서 충격을 당하게 되는 부품이므로, 단위 부피당 비중보다는 충격에 강한 재질의 선택이 우선시 되어져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같은 금속끼리의 충돌로 인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금속 계열의 재질이 아닌, 아세탈과 같은 고강도 합성수지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외에도 강도가 우수하여 잦은 충격을 견딜 수 있는 재질이면 본 고안에 따 른 충격파전달체(20)로서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충격파전달체(20)에는 일정 지점의 외연에 다수개의 제 1고무링(21)과 제 2고무링(22)이 결합되는데, 제 1고무링(21)은 캡(11)의 내부에 위치하는 충격파전달체(20)가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정확한 중심(Center)에 위치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충격파발생체(40)와의 충돌시 정확하게 면과 면이 부딪히도록 함으로써, 충격파에너지의 손실을 최대한 줄여주어 환부에 전달되어 지는 충격파를 최대화시켜주기 위한 구조이며, 충격파발생체(40)의 충돌시 제 2고무링(22)의 미세한 압축과 이완에 의해 발생하는 간극만큼 캡(11) 내부에서 원활히 움직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 2고무링(22)은 충격파발생체(40)가 매우 빠른 속도로 충격파전달체(20)와 충돌할 때, 이와 거의 같은 속도로 제 2고무링(22)의 미세한 압축과 이완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의 그 미세한 간극만큼의 순간 떨림에 의해 충격에너지가 환부에 원할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충격파발생체(40)의 충격시 캡(11) 내부의 캡단턱(11a) 부위에 충격파전달체(20)가 직접 충돌함으로써 발생할 수도 있는 부품파손을 방지하기 위함이기도 하다.
한편 상기 내부파이프관(30)은 일정 지점의 외연에 부싱(70)이 결합되어 하우징(10)내에 고정 설치되며, 일측은 제 1압축공기공급관(60)과 연통되어 내부로 압축공기가 인입되어 충격파발생체(40)가 전방으로 발사되도록 구성되며, 타측은 제 2압축공기공급관(61)과 연통되어 내부로 압축공기를 인입, 충격파전달체(20)와 충돌한 충격파전달체(20)를 다시 초기위치로 회귀시키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일정 시간차를 두고 인입되는 제 1압축공기공급관(60)과 제 2압축공기공급관(61)의 압축공기에 의해 충격파발생체(40)는 발사와 회귀를 반복하게 되며 이와 일정시간간격을 두고 계속해서 충돌하는 충격파전달체(20)에는 일정 파장을 가지는 충격에너지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내부파이프관(30)의 재질로는 내구성 및 내부식성이 우수한 동파이프 또는 스테인리스합금 재질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부싱(70)은 내부파이프관(30) 전방부 외연에 결합되는 제 1부싱(71)과, 내부파이프관(30) 후방부 외연에 결합되는 제 2부싱(72)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 1부싱(71) 및 제 2부싱(72)에는 일측부와 타측부가 연통되는 관통홀(71a, 72a)이 형성되어 내부파이프관(30) 내로 인입된 압축공기가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와 함께, 내부파이프관(30) 내로 인입되는 압축공기를 외부로 신속하게 토출해주기 위하여 내부파이프관(30)의 전방 단부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지점에 토출홀(31)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통홀(71a, 72a) 및 토출홀(31))의 구성은 압축공기에 의해 전방으로 발사되는 충격파발생체(40)가 원활하게 충격파전달체(20)와 충돌하고 이와 동시에 초기 위치로 원활하게 복귀하기 위한 필수 기술 구성이다.
또한 제 1부싱(71)과 제 2부싱(72) 사이의 내부파이프관(30) 외연에 결합하 되 제 2부싱(72)과 밀착되도록 결합되며 충격파 전달체(20)와 충돌 후 그 자리에 머무르게 되는 충격파발생체(40)를 초기의 목적 위치로 정위치(이동) 시킴과 동시에, 충격파발생체(40)를 안정적으로 고정 시켜주는 기능을 하는 영구자석(50)의 역할은 다음과 같이 크게 2가지를 들 수 있다.
첫째로는 압축공기의 최초 인입에 의해 충격파발생체(40)가 충격파매개체(20)와 최초 충돌후, 제 2압축공기공급관(61)에 의해 회귀하는 충격파발생체(40)를 초기의 목적위치로 정확하게 위치될 수 있도록 인력(자력)을 발생시키는 것이며, 둘째로는 초기위치로 복귀된 충격파발생체(40)가 다음번 압축공기가 인입되기 직전까지 안정적으로 대기할 수 있도록 고정시켜 주는 역할이 그것이다.
종래의 경우 충격파발생체(40)가 충격파전달체(20)와의 충돌에 의한 단순 반발력에 의해 후방으로 복귀하였으나, 이는 실린더가 향하는 방향(하늘, 수평, 땅)에 따라 충격파발생체(40) 자체의 질량에 의한 중력의 영향 때문에 그 복귀시점이 불규칙하였다.
이에 따라 발생되는 충격에너지 또한 그 크기가 불규칙하여 시술요법으로 적합하지 않았다.
또한 복귀한 충격파발생체(40)가 다음번 압축공기의 인입 이전에 재차 반발력에 의해 전방으로 다시 이동하게 됨에 따라, 충격파발생체(40)의 이동거리(Stroke) 감소와 이에 따른 순간 가속도의 감소로 인해 충분한 양의 충격파 에너지를 얻을 수 없는 문제점 또한 발생하게 되었던 바, 본 고안에 따라 영구자석의 구비에 의해 이러한 문제점이 개선되는 것이다.
아울러 전술하였듯이 영구자석(50)과 더불어 전방으로 발사된 충격파발생체(40)를 초기위치로 회귀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이 제 2압축공기공급관(61)인데, 이는 내부파이프관(30)의 전방부에 결합되어 내부로 압축공기를 인입한다.
이에 따라 충격파발생체(40)의 전방부에 형성된 단턱(40a)에 압축공기가 가압하여 충격파발생체(40)는 원활히 내부파이프관(30)의 후방부로 회귀된다.
아울러 충격파발생체(40)를 발사 또는 회귀시키기 위하여 마련되는 제 1압축공기공급관(60) 및 제 2압축공기공급관(61)은 별도로 설치되는 에어레귤레이터, 전자식 솔레노이드 밸드 등과 결합되어 공기를 압축해서 저장하고, 목적하는 토출압력으로 조정하여 압축공기를 공급해주며 토출공기가 목적하는 시기에 배출되도록 압축공기의 배출을 단속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외 충격파 치료기용 실린더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는 크게 캡(11)과 몸체(12)로 구성되며 중공을 가지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캡(11)에 내입되는 충격파전달체(20)와, 상기 하우징의 몸체(12) 후방부와 전방부에 각각 결합되는 제 1압축공기공급관(60), 제 2압축공기공급관(61)과, 상기 하우징의 몸체(12)에 내삽되어 제 1압축공기공급관(60)으로 인입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전방으로 발사되어 충격파전달체(20)에 충돌하며 제 2압축공기공급관(61)으로 인입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후방으로 회귀하는 충 격파발생체(40)와, 상기 하우징의 몸체(12) 내연 후방부에 결합되어 충격파전달체에 충돌하여 회귀하는 충격파발생체(40)를 목적 위치로 정위치시키는 영구자석(50)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의 하우징(10) 및 내부파이프관(30)으로 이루어지는 이중구조와는 달리 단일구조의 하우징(10) 만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전술한 실시예 보다 구성이 보다 간단하여 제작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실린더의 총 외경을 줄일 수 있어, 침(Needle) 요법을 주로 이용하는 "한방용 치료기(실린더)"의 제작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와 부싱(70)과 내부파이프관(30)의 구성이 상이할 뿐 다른 구성은 동일하여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기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내부파이프관 외연 또는 하우징 내연 일정지점에 영구자석을 결합함으로써 영구자석에서 지속적이고 균일하게 발생되는 자력을 이용하여 충격파발생체를 초기위치로 신속하게 복귀시킴과 동시에 그 위치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줌에 따라 충격파에너지의 발생을 원하는 강도(Force)과 빠르기(Hz)로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압축공기의 배출력을 최대한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내부파이프관 전방부 또는 하우징 전방부에 제 2압축공기공급관을 결합하여 내부로 압축공기를 인입함으로써 충격파발생체의 초기위치 복귀를 보다 원활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캡과 몸체로 구성되며 중공을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캡에 내입되는 충격파전달체와;
    상기 하우징에 내삽되며 충격파전달체와 밀착되는 중공의 내부파이프관과;
    상기 내부파이프관 후방부와 전방부에 각각 결합되는 제 1압축공기공급관, 제 2압축공기공급관과;
    상기 내부파이프관에 내삽되어 제 1압축공기공급관으로 인입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전방으로 발사되어 충격파전달체에 충돌하며 제 2압축공기공급관으로 인입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후방으로 회귀하는 충격파발생체와;
    상기 내부파이프관 외연 후방부에 결합되어 충격파전달체에 충돌하여 회귀하는 충격파발생체를 목적 위치로 정위치시키는 영구자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외 충격파 치료기용 실린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파발생체는 제 2압축공기공급관으로 인입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전방부에 단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외 충격파 치료기용 실린더.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에는 내부파이프관을 고정시키기 위해 내부파이프관 외연에 결합되고 하우징 내연에 밀착되는 부싱이 더 설치되되,
    상기 부싱은 내부파이프관 전방부 외연에 결합되는 제 1부싱과, 내부파이프관 후방부 외연에 결합되는 제 2부싱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 1부싱 및 제 2부싱에는 일측부와 타측부가 연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내부파이프관 내로 인입된 압축공기가 외부로 원활히 토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외 충격파 치료기용 실린더.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파이프관에는, 내부파이프관 내로 인입되었던 압축공기를 외부로 신속하게 토출해주기 위하여 내부파이프관의 전방 단부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지점에 토출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외 충격파 치료기용 실린더.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자석은 제 1부싱과 제 2부싱 사이의 내부파이프관 외연에 결합하되 제 2부싱과 밀착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외 충격파 치료기용 실린더.
  6. 캡과 몸체로 구성되며 중공을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캡에 내입되는 충격파전달체와;
    상기 하우징의 몸체 후방부와 전방부에 각각 결합되는 제 1압축공기공급관, 제 2압축공기공급관과;
    상기 하우징의 몸체에 내삽되어 제 1압축공기공급관으로 인입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전방으로 발사되어 충격파전달체에 충돌하며 제 2압축공기공급관으로 인입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후방으로 회귀하는 충격파발생체와;
    상기 하우징 내연 후방부에 결합되어 충격파전달체에 충돌하여 회귀하는 충격파발생체를 목적 위치로 정위치시키는 영구자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외 충격파 치료기용 실린더.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파발생체는 제 2압축공기공급관으로 인입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전방부에 단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외 충격파 치료기용 실린더.
  8.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몸체에는, 하우징 내로 인입되었던 압축공기를 외부로 신속하게 토출해주기 위하여 하우징의 전방 단부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지점에 토출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외 충격파 치료기용 실린더.
KR2020060022256U 2006-08-19 2006-08-19 체외 충격파 치료기용 실린더 KR2004317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2256U KR200431718Y1 (ko) 2006-08-19 2006-08-19 체외 충격파 치료기용 실린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2256U KR200431718Y1 (ko) 2006-08-19 2006-08-19 체외 충격파 치료기용 실린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1718Y1 true KR200431718Y1 (ko) 2006-11-24

Family

ID=41780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2256U KR200431718Y1 (ko) 2006-08-19 2006-08-19 체외 충격파 치료기용 실린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171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411260B (zh) 高压弹道体外冲击波设备、系统及使用方法
KR102000971B1 (ko) 체외 치료기
US10080906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tissue treatment using mechanical stimulation and electromagnetic field
KR100792513B1 (ko) 체외 충격파 치료기
US10549109B2 (en) Aesthetic method of biological structure treatment by magnetic field
US8535249B2 (en) Pressure pulse/shock wave apparatus for generating waves having plane, nearly plane, convergent off target or divergent characteristics
KR101583630B1 (ko) 볼탄도식 체외 충격파 치료기
US20060036195A1 (en) Pressure pulse/shock wave therapy methods for organs
JP2002504840A (ja) 生体組織治療用医療器具
CN102202734A (zh) 用于处理生物组织的器械以及在这样的器械内产生冲击波状的压力波的方法
KR100864310B1 (ko) 인장스프링을 이용한 이차 충격파 발생 실린더
CN105107095A (zh) 一种冲击波治疗仪
KR100771216B1 (ko) 체외 충격파 치료기용 실린더
KR20190028411A (ko) 초점 조절이 용이한 체외 치료기
KR200431910Y1 (ko) 체외 충격파 치료기용 실린더
KR200431718Y1 (ko) 체외 충격파 치료기용 실린더
KR200427261Y1 (ko) 체외 충격파 치료기용 실린더 구조
KR20190090366A (ko) 체외 치료기
US20060100549A1 (en) Pressure pulse/shock wave apparatus for generating waves having nearly plane or divergent characteristics
KR100738490B1 (ko) 체외 충격파 치료기
KR200452618Y1 (ko) 충격파 미용기기
KR101967355B1 (ko) 초점 조절이 용이한 체외 치료기
KR200442602Y1 (ko) 이차 충격파 발생 실린더
KR102277559B1 (ko) 체외충격파치료기
KR101610770B1 (ko) 에어건 피에조핸드피스 복합치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