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1467Y1 - 전파를 이용한 전력 에너지 무선 전송을 위한 수신단의 안테나 일체형 무선 전원 공급 집적 미세장치 - Google Patents

전파를 이용한 전력 에너지 무선 전송을 위한 수신단의 안테나 일체형 무선 전원 공급 집적 미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1467Y1
KR200431467Y1 KR2020060014204U KR20060014204U KR200431467Y1 KR 200431467 Y1 KR200431467 Y1 KR 200431467Y1 KR 2020060014204 U KR2020060014204 U KR 2020060014204U KR 20060014204 U KR20060014204 U KR 20060014204U KR 200431467 Y1 KR200431467 Y1 KR 2004314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integrated
chip
wireless
antenn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42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명식
Original Assignee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200600142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14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14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146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2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microwaves or radio frequency waves

Abstract

본 고안은 무선 공중파(RF파, 마이크로파 및 밀리미터파를 포함)를 통해 전력 에너지를 송수신하는 시스템(송신단과 수신단을 포함하는 시스템)의 수신단의 전력 공급 장치를 수행하기 위한 안테나 일체형 전력 공급 장치의 단일 IC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전력 에너지 무선 송수신 시스템은 송신단에서 안테나를 통해 특정 무선 주파수를 갖는 전자기파의 송신 안테나 출력을 조절하여 전력 에너지를 전자기파의 형태로 송신할 수 있으며 이 전자기파를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여 수신 전자기파의 전력을 원하는 형태로 변환하고 이를 통해 수신부의 전력 에너지를 공급하는 시스템적 특징을 갖는다.
이러한 전력 공급선이나 접촉 없이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시스템의 수신단에 필수적인 수신 전력 변환 및 이를 통한 수신부의 전력 공급 장치로서 안테나 일체형 단일 칩 구조를 갖는 IC칩 구조에 대한 고안이며 이러한 단일 IC칩 구조는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는 전기 및 전자 기기들과 이동 및 휴대용 전자/전기 기기 및 바이오-전자 센서들의 전원이 차지하는 공간을 극소화하며, 손쉽게 삽입 연결함으로써 전원 공급 주장치, 전원 공급 보조 장치 및 전원 공급 충전기 장치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단위 IC칩 구조를 직·병렬연결을 통해 어레이(array) 형태로 구현하면 충분히 원하는 크기의 전력 형태를 공급 받을 수 있으며 이를 단일 ASIC칩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는 다른 구조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Figure 112006504259746-utm00001
전력 에너지, 전자기파, 무선 전송, 전력 에너지 무선 전송, 무선 전력 전송, 전파 송신기, 전파 수신기, IC칩, 전파 수신 IC칩, 무선 전원 IC칩

Description

전파를 이용한 전력 에너지 무선 전송을 위한 수신단의 안테나 일체형 무선 전원 공급 집적 미세장치 {Wireless Power Integrated Device with an Antenna for a Receiver Supplying the Power in Wireless Transfer of Electric Power Energy Using the Electromagnetic Waves}
도 1은 RF 전파를 이용한 전력 에너지 무선 전송 시스템 구성도.
도 2a는 본 고안의 따른 하나의 단위 셀로 단위 전력을 형성하는 안테나 일체형 무선 전원 IC칩의 기능 회로 작용 구성도
도 2b는 본 고안을 위해 반도체 집적회로 공정으로 제작한 무선 전원 IC칩의 단면 기능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무선 전원 IC칩을 단위 셀로 하여 어레이(array) 배열 형태로 연결하여 단위 셀 보다 큰 전력을 얻기 위한 어레이 배열형 무선 전원 IC칩의 기능 구성도.
〈주요 도면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0 : 송신단 110 : 수신단
200 : 무선 전원 공급부 210 : 안테나
220 : 전력수신부/전력변환부 230 : 전력검출부/전력제어부
240 : 전력저장부
400 : 베어칩 형태의 무선 전원 IC칩 410: 연결부 또는 연결단자
420 : IC칩을 패키징에 고정 접합시키기 위한 패드 층(예 본드 접합)
430 : IC칩 지지를 위한 유전기판 층
440 : 마이크로 스트립 회로나 마이크로 스트립 안테나 구성일 경우 공통 접지 역할의 금속 층
450 : 반도체 기판 층(Si, SiGe, Ge, SOI, GaAs 등의 반도체 기판)
460 : IC칩 내부의 집적회로 공정상의 연결 도선(금속 배선)
465 : 외부 단자와의 와이어 본딩된 금속 배선
470 : 전력저장소자
480 : 절연체인 IC 보호막 역활의 패시베이션(passivation) 층
490 : 마이크로 스트립 회로 구성이나 마이크로 스트립 안테나 구성시 공통 접지와의 배선 연결을 위한 비아홀(via hole)을 통한 금속 배선
500 : 반도체 기판상에 금속 패턴으로 구현된 안테나와 분포소자로 이루어진 전력수신부
510 : 반도체 기판상에 집적회로로 구현된 전력변환부/전력제어부
520 : 반도체 집적회로와 동시에 구현된 하나 이상의 전력저장소자로 이루어진 전력저장부
600 : 400으로 표기된 베어칩을 단위 셀로 하여 어레이 형태로 배열 연결하여 보다 더 큰 전력을 집속하기 위한 어레이 배열형 무선 전원 IC칩
610 : 무선 전원 단위셀 ON/OFF 제어 신호 발생부를 갖지 않고 Wired Logic 으로 연결된 형태의 어레이 배열형 무선 전원 IC칩
620 : 전력집속부
630 : ROM, EPROM, 또는 EEPROM과 같은 메모리와 디지털 제어신호를 갖는 무선 전원 단위 셀 ON/OFF 제어 신호 발생부
640 : 무선 전원 단위 셀 ON/OFF 제어 신호 발생부에 프로그램을 위한 디지털 입력신호 연결
641 : 스위칭 소자를 가져 무선 전원 단위 셀 ON/OFF 제어 신호 발생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단위 셀을 선택하는 가로줄 주소부
642 : 스위칭 소자를 가져 무선 전원 단위 셀 ON/OFF 제어 신호 발생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단위 셀을 선택하는 세로줄 주소부
650 : 전력 공급 연결 배선
[종래기술의 문헌 정보]
[문헌1] 윤동기, 능동안테나를 이용한 Microwave-DC 변환효율 분석에 관한연구, 박사학위논문, 경남대학교, 1999년 12월.
[문헌2] US 6127799 A (Krishnan, Rajesh)) 2003.10.03
본 고안은 도 1에 보인 바와 같은 무선 공중파(RF) 전력 에너지를 안테나를 통해 공중으로 방사하고 그 전자기파를 수신하여 전력변환을 수행하여 수신단의 응 용회로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이하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수신단의 전원 공급 장치로서의 안테나 일체형 IC칩(이하 무선 전원 IC칩)에 관한 것이다. 수신단에서 전자기파 전력을 수신 변환하면 수신단의 응용회로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원 공급선을 사용하지 않는 무선 전력 전송 기술은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하나는 유도 코일 방식이며, 따른 하나는 공기 중을 통하는 전자기파 송수신에 의한 전력 에너지 전송 방식이다.
첫 번째 방식인 코일을 이용하는 전자기 유도 결합 방식은 접촉 없이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으나 수신단 구조의 크기 및 전송 거리가 30cm 이내로 짧다는 단점을 갖는다. 두 번째 방식의 전자기파를 이용한 전력 에너지 무선 전송 방식은 수 km의 원거리에서도 전력 송수신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지만 전력 변환 효율이 낮고 높은 전력을 송신하는 경우에는 인체에 미칠 전자기파의 유해성에 대한 전파 전계 강도에 대한 제한 규약을 갖고 있어 주로 인공위성에서 태양 전지로 전기를 발생 저장한 후 마이크로파를 이용해 무인도나 사람의 인체 유해성이 없는 곳에서 전기를 수집하여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려는 대형 및 대전력 에너지 공급 시스템 사업에 관련된 것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근래에는 휴대폰이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노트북 등 많은 휴대기기들과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의 각종 센서기기, 홈 네트워크의 각종 클라이언트 기기들이 전력 공급선 없이 이동성 및 편리성을 강조한 휴대용으로 사용될 필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다. 충전 건전지 기술의 발달로 어느 정도는 휴대성 및 이동성 의 편리함을 확보하였지만 여전히 충전기를 통해 충전을 하여야 하며, 휴대하여 기기를 사용하는 시간의 제약을 받는다.
본 고안은 위에서 언급한 두 번째 방식의 전자기파 전력 에너지 전송 방식으로서 특정 주파수를 갖는 전자기파(RF파 또는 마이크로파, 혹은 밀리미터파)를 이용한 원거리에서의 전력 에너지 무선 송수신 시스템에서의 수신단 전력 에너지 수신 변환장치로서의 안테나 일체형 수신 전력 변환 IC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통해 미소한 전력 에너지를 전자기파를 통해 수신하여 충전 변환함으로써 수신단의 전원 공급 장치로서 사용하는 수신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력 변환 단일 IC칩인 무선 전원 IC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관련 기술들은 송신된 전자기파를 수신하는 안테나와 PCB에 제작된 수신 전력 변환 회로 장치들이 단일 칩 형태의 일체형이 아니라 분리되어 있어 안테나와 전력 변환 모듈(IC칩이거나 PCB 기판에 구현된 RF 칩 모듈) 중간에 안테나와의 임피던스 매칭 회로를 삽입 구성해야 하는 기술적 어려움과 번거로움이 있고, 그 수신단의 크기에 있어 차지하는 공간이 커서 휴대용 전자기기 등에 간단히 삽입 연결하여 전원 장치로 사용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제약들로 인해 전자기파를 이용한 무선 전력 전송 송수신 장치는 실험실 등에서 주로 실험용으로 구현되어 이루어졌으며 상용화되어 판매되어지는 무선 전원 IC칩 형태는 없었다. 또한 이러한 단점을 갖는 수신단은 충전기를 충전하기 위한 장치로서만 활용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여 휴대기기들의 휴대성을 극대화하고 무선 전력 전송이라는 전력산업의 새로운 수익 모델을 창출 구현하기 위해 원거리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수신단의 전자 및 전기 기기의 상시 전원 공급 장치 및 충전을 위한 전원 공급 장치로서의 안테나 일체형 단일 ASIC칩 구조 형태의 무선 전원 IC칩 형태(베어 칩) 및 패키징된 모듈 형태(무선 전원 IC칩을 내장하고 패키징된 개별 IC 부품)로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파를 이용한 전력 에너지 무선 전송 시스템에서 송신기에서 공중 방사된 RF 전파 전력을 원거리에서 수신하여 수신단 전기/전자기기의 전원 공급 장치로 처리하기 위한 안테나 일체형 무선 전원 IC칩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무선 전원 공급 기능(상시 주전원, 보조전원 및 충전 전원 공급)을 제공하는 무선 전원 IC칩의 형태는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무선 전원 IC칩을 하나의 단위 셀로 하여 하나 이상 연결 조합하여 어레이(array) 형태로 배열한 패키징이 되지 않은 베어 칩(이하 무선 전원 베어 칩)이거나 이러한 무선 전원 베어 칩을 단위로 하여 하나 이상 PCB 기판위에 금속 배선을 통해 연결 조합하여 패키징이 되지 않은 일체형으로 만든 형태(이하 무선 전원 모듈)이거나 하나의 단위 셀 무선 전원 베어 칩이나 무선 전원 모듈을 어레이 배열 형태로 반도체 기판 상에 집적한 원칩 형태의 어레이 배열 IC칩 형태(이하 어레이형 무선 전원 베어 칩)이거나 이들 각각을 내장하여 패키징한 개별 IC 부 품 형태들(위의 서술된 순서대로 각각 무선 전원 IC 부품, 무선 전원 모듈 부품, 어레이형 전원 IC 부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무선 전원을 공급 하는 장치로서의 각각의 IC칩, 모듈, IC 부품, 모듈 부품을 하나의 단위 전원 장치로 하여 하나 이상의 어레이 배열을 통해 새로운 대전력 장치(칩, 모듈, 부품 형태)를 구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여기서 칩과 모듈은 패키징이 되지 않은 베어 칩이나 베어 모듈 형태를 말하며 이들을 내장하여 패키징한 형태를 부품으로 구분하여 서술하였으며 이하에서는 이 구분을 사용하여 서술한다.
또한, 상기 서술한 원거리로부터 송신된 무선 공중파 전력 에너지를 수신하여 전력변환을 통해 수신단 기기의 전원 장치로 사용하고, 일체형 집적회로 칩 형태의 미세 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단위 무선 전원 IC칩(이하 단위 셀)의 연속 기능 구성은; 안테나; 전력수신부; 전력변환부; 전력검출부; 전력제어부; 전력저장부; 연결부; 기능 구성들을 포함하며 상기 서술한 연속 기능을 일체형 집적회로로 구현한 단위 ASIC 원칩이나 그 단위 ASIC 원칩을 하나 이상 PCB 금속 배선이나 집적회로 배선을 통해 연결 조합하고 패키징한 부품의 형태로 제공된다는 데 그 특징을 갖는다.
또한, 상기 서술한 본 고안의 단위 무선 전원 장치 셀의 연속 기능부들은 원거리에서 공중 방사된 전자기파의 전력 에너지를 수신하는 작용을 하는 안테나; 특정 주파수를 선택 통과시키고 반사파로 인한 주변 전자파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한 주파수필터 작용을 하는 전력수신부; 과전압을 제한하여 이후 IC 회로를 보호하기 위한 전압제한 기능과 정류 기능을 갖는 소자를 통해 DC 전력으로 변환하는 작용을 하는 전력변환부; DC 전력변환 출력을 검출 비교하여 전압 또는 전류로 인한 과충전 및 전력신호가 없을 시에 안테나 쪽으로의 역방전을 막아서 이어지는 전력저장부의 전력충전 보호 회로로 작용하는 전력제어부; 연속파로 전송되는 전자기파 전력신호가 상시 전원으로 기능하기 위해 전력을 일시 저장하여 디지털 데이터 전송의 버퍼처럼 사용하기 위한 전력 에너지 임시 저장 버퍼로 작용하는 전력저장부; 외부 회로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컨넥터 단자 작용의 연결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무선 전원 IC칩의 사용 즉, 전력 에너지 무선 수신 후 원하는 형태의 전력변환을 통해 수신단의 응용회로나 충전 건전지에 DC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장치로서의 기능 작용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상기 서술한 각 기능들을 다음 순서로 연속 처리하여 얻어진다. 각 기능의 연속 순서는 안테나부→전력수신부→전력변환부→전력제어부→전력저장부→연결부의 순으로 전력에너지를 변환/처리/제어하고 연결부를 통해 외부 회로나 충전장치에 연결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연속 구성으로 구현된 무선 전원 IC칩의 작용은 위에서 언급한 연속 처리 순서대로 전력저장부를 포함하는 연결부를 통한 외부 응용회로에 연결하는 연속 구성에서는 상시 전원을 외부 응용회로에 공급하는 작용이거나 위에서 언급한 연속 구성 중에서 연결부를 통해 충전장치에 연결되는 다른 하나의 연속 구성은 전력저장부를 생략하고 전력제어부에서 연결부를 통해 충전 장치에 바로 연결하는 구성은 충전기장치에 충전 전원 공급 장치로서 작용을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무선 전원 IC칩의 두 가지 구성에 따른 무선 전원 IC칩의 작용에 따른 용도들은, 즉 위에서 언급한 연속 구성 작용에 따라 상시 전원 공급용과 충전기 전원 공급용으로 구분된 무선 전원 IC칩 제작 실시예를 포함하며 다른 또 하나의 실시예는 집적회로 제작 시 전력저장부 구성 회로는 그대로 연결부에 연결하여 외부 장치에 접속 구성하고 전력제어부와 전력저장부 사이의 연결선에서 병렬 바이패스 연결 선로를 만들어 연결부에 이 연결에 의해 생긴 상시 전원용 병렬 단자 두개를 추가 제작 구성하여 상시 전원 용도와 충전 전원 용도를 동시에 구현하는 연결 구성 또한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다른 무선 전원 공급 IC칩 장치의 상세한 기능 작용을 설명한다.
도 1은 전력 에너지 무선 전송 시스템을 보이는 RF 전파(RF파, 마이크로파, 밀리미터파를 포함하는 전자기파) 방식의 전력 에너지 무선 전송 시스템이며 무선 전원 공급부에서 전력을 수신/변환/제어하여 수신단의 응용회로나 충전장치의 충전용 건전지와 연결된다.
도 2a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다른 무선 전원 공급 IC칩의 구성을 보이는 기능블록도로서, 외부에서 공중파를 통해 방사된 전자기파를 수신하는 안테나(210), 안테나에 수신된 특정 주파수를 선택하기 위한 전력수신부(220)와 전력을 원하는 형태로 변환하기 위한 전력변환부(220), 그리고 전력 변환된 전력을 검출하기 위한 전력검출부(230), 검출된 전력을 비교하여 제어하기 위한 검출 제어부(230), 그리고 전력을 저장하기 위한 전력저장부(240), 그리고 외부 응용회로나 충전용 건전지 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410)로 구성되어 있고 이들을 일체화한 베어칩(400)이나 이것을 패키징한 개별 부품(400과 410을 포함하여 컨넥터 단자를 갖는 개별 단품)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전력수신부는 안테나와 주파수필터 회로로 동시에 구성될 수 있으며, 전력변환부는 전압제한회로와 정류회로로 구성된다. 또한 전력 검출부는 전압, 전류, 전력저장부의 온도를 검출하며, 이들을 설정된 비교 전압이나 전류, 온도와 증폭 비교하여 전압/전류/온도를 전력제어부에서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 작용이외에 전력 제어부의 방전 방지회로는 전자기파가 더 이상 수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 전력저장부의 전력저장 소자로부터 안테나 쪽으로 전류가 방전될 수 있으므로 다이오도와 같은 소자를 이용해 역방전을 막는 회로를 포함한다. 전력저장부는 전력을 저장할 수 있는 소자로 이루어지고 재충전용 소자로 구성되며 연결부의 단자들을 통해 외부 응용회로나 충전용 건전기에 연결된다.
수신 안테나는 특정 주파수를 선택하기 위한 인덕터와 커패시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분포소자들과 집적되어 안테나에 임피던스 매칭을 완료한 금속 패턴으로 동시에 구현 가능하며 이것을 담당하는 것이 주파수 필터 회로이다. 주파수 필터링에 의해 특정 주파수를 갖는 전자기파의 전력은 이어지는 IC칩을 파괴할 수 있는 큰 전압을 유기할 수도 있으므로 이러한 과전압으로부터 IC칩을 보호하기 위해 전압제한회로가 필요하며 전압제한 회로에 의해 제한된 전압이 정류소자를 거쳐 DC전압으로 정류된다. 이러한 회로를 정류 회로에서 담당하게 된다.
본 고안의 무선 전원 IC칩이 상시 전원을 공급하는 경우에 전력저장부의 전 력저장버퍼는 하나이상의 전력을 충전하는 소자로 구현되며 전력 충전을 통해 일시적으로 안테나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지 못하는 경우에도 기기를 계속 동작시키고 전원이 공급되지 않음을 경고 안내하는 기능을 갖는 회로를 포함한다.
연결부는 외부 회로와 연결하기 위한 단자들이며, 이들이 칩의 형태인 경우에는 PCB나 집적회로상의 금속 배선일 수 있으며, 패키징된 경우에는 금속배선과 연결된 단자들을 포함하는 패키징된 커넥터 형태이다.
도 2b는 반도체 공정 및 MEMS(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공정을 이용해 집적회로로 구현된 본 고안의 무선 전원 IC칩을 절단한 후 절단면을 본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안테나가 마이크로 스트립의 예를 들어 설명한다. 아래로부터 칩을 지지하기 위한 유전체 기판(430); 마이크로 스트립의 공통 접지 금속(440), 반도체기판(450); 금속 패턴을 갖는 안테나 금속(210); 전력저장 소자를 구현하기 위한 전력저장 층(470); 반도체 집적회로 및 전력저장 소자를 보호하기 위한 패시베이션(passivation) 절연층(480); 이들을 연결하기 위한 반도체 공정을 위한 금속 배선(460); 신호 안테나와 접지 금속과의 연결을 보여주는 비아홀(via hole) 금속 배선(490); 외부 단자와의 연결을 위한 와이어 본딩(465); 그리고 외부 단자와 연결하기 위한 금속 배선 단자(410)들을 보여 주고 있다.
본 고안의 무선 전원 칩은 위에서 언급한 반도체 공정이나 MEMS 공정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PCB에 구현 일체화된 형태, 즉 통상적 모듈 타입으로 구현된 것을 포함한다.
도 3은 상기 언급한 본 고안에 따른 단위 무선 전원 IC칩을 이용해 필요한 전력을 칩셋의 직·병렬접속 형태로 얻을 수 있는 방법에 대한 도면이다. 직·병렬접속은 다양한 어레이 배열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는 단위 칩셋의 기본적인 출력을 직·병렬접속에 의해 다양한 전력으로 변환하여 집속하고 원하는 전력을 얻을 수 있다.
단위 무선 전원 IC칩을 구동시키기 위한 무선 전원 단위 셀 ON/OFF 제어 신호 발생부(630); 이들을 Wired Logic으로 연결 배열하는 금속 배선(612); 이들의 연결로 원하는 전력 출력을 만들기 위한 전력집속부(620); 이들 전력 접속 결합을 외부와 연결하는 연결부(410)로 이루어진다.
무선 전원 단위 셀 ON/OFF 제어 신호 발생부는 디지털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신호 발생기와 메모리로 구성되며 이 메모리는 ROM, EPROM, EEPROM 등의 형태를 갖는다. 무선 전원 단위셀 ON/OFF 제어 신호부가 생략된 형태인 경우에는 단위 셀인 무선 전원 IC칩은 Wired Logic 연결을 통해 집속되어 전력 결합부에서 원하는 전력을 연결부 단자를 통해 전원을 공급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1면에 의해 한정된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본 고안의 장점은 안테나를 포함하는 일체형 IC칩으로 구현되어 무선 전원 공급 미세장치로 작용하므로 수신단의 휴대기기/전자기기/전기기기의 전원 부가 차 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여 이에 따른 기기 장치들의 집적도를 높이는 장점을 가지며, 또한 송수신 거리를 늘리기 위해 충전 전원을 필요로 하는 RFID 및 RFIC나 무선 전력 전송기가 설치되어 있는 원격 근거리 지역 내에서의 휴대폰, 노트북 컴퓨터, PDA,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등의 휴대기기/전자기기/전기기기들의 원격 무선 상시 전원 공급 장치로 구현 실시될 수 있으므로 무선 전원을 사용하는 각 기기들의 전원 장치를 없애 부피 및 무게를 줄이는 장점과 본 고안에 따른 무선 전송 IC칩을 충전 장치에 여분의 보조 장치로 연결하면 공중파 RF 전력을 수신 받아 충전기 장치를 계속 충전하면서 휴대기기는 충전건전지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아 동작하면 되므로 충전기를 이용해 충전하지 않아도 장시간 휴대기기/전자기기/전기기기 등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들을 갖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에서 서술한 본 고안의 무선 전원 IC칩의 장점 중에서 휴대기기나 바이오-전자 센서 등의 상시 전원 장치로 사용할 수 있게 무선 전원 IC칩을 베어 칩 형태로 휴대기기/전자기기/전기기기 업체에 공급하여 이 기기들에 내장 장착토록 한다면 접촉에 의한 유선 충전 장치를 없애고 무선 전력 송신기를 각 가정이나 사무실 및 옥외 장소에 설치하는 실시예 또한 가능하다. 휴대/전자/전기 기기들에 내장하지 않는 경우에는 동글 타입의 모듈 부품으로 제공하여 각 기기의 전원 컨넥터 연결부에 접촉 연결한다면 무선 전력 송신기에서 보내는 연속파 형태의 공중파 전력 에너지를 받아 상시 전원 장치의 기능과 충전 보조 장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므로 장시간 기기를 무선으로 작동할 수 있어 휴대성, 이동성 및 편리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5)

  1. 공중파를 통해 전력 에너지를 송수신 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수신측에서 공중으로 방사된 전자기파를 수신하여 전력을 변환하여 수신단의 휴대기기/전자기기/전기기기의 전원으로 사용하려는 목적으로 안테나를 가지고 무선 전자기파 전력 변환 회로를 포함하여 수신단에 전원을 공급하려는 안테나 일체형 집적 미세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무선 전자기파 전력 변환 회로는 안테나, 전력수신회로, 전력변환회로, 전력제어회로, 연결부로 구성된 일체형 집적 미세 장치; 및 안테나, 전력수신회로, 전력변환회로, 전력제어회로, 전력저장부, 연결부들로 구성된 일체형 집적 미세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의 일체형 미세장치는
    안테나와 전력 변환 회로를 포함하여 무선 전력 수신 기능과 수신단 기기의 전원 공급 기능을 갖기 위해 안테나부와 청구항 제 2항에서 요구하는 전력변환회로를 반도체 집적회로 공정이나 MEMS 공정을 사용해 제작한 ASIC칩 형태의 IC칩; 및 PCB에 연결 집적한 모듈 형태의 일체형 집적 미세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일체형 집적 미세장치는 하나의 무선 전원 일체형 집적 미세장치(이하 단위 미세장치) 구성; 및 이러한 단위 미세장치들을 Wired Logic으로 직·병렬로 연결하여 원하는 형태의 전력을 집속하는 전력집속부를 갖는 미세장치(이하 어레이 배열형 미세장치) 구성; 및 이러한 어레이 배열형 미세장치의 단위 미세장치들이 스위칭 제어회로로 스위칭되어 원하는 전력을 결합 집속하는 미세장치 구성을 포함하여 원하는 전력을 얻을 수 있는 구조의 ASIC 칩으로의 IC칩; 및 PCB에 단위 미세장치들을 직·병렬로 연결 배열 구성한 RF 모듈 형태의 일체형 집적 미세장치.
  5. 청구항 제 3항이나 제 4항에서의 일체형 집적 미세장치는 베어 IC칩 형태; 및 RF 모듈 형태; 및 원하는 기기와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기위한 커넥터를 갖고 패키징된 외장 개별 장치(동글) 형태를 갖는 일체형 집적 미세장치.
KR2020060014204U 2006-05-24 2006-05-24 전파를 이용한 전력 에너지 무선 전송을 위한 수신단의 안테나 일체형 무선 전원 공급 집적 미세장치 KR2004314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4204U KR200431467Y1 (ko) 2006-05-24 2006-05-24 전파를 이용한 전력 에너지 무선 전송을 위한 수신단의 안테나 일체형 무선 전원 공급 집적 미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4204U KR200431467Y1 (ko) 2006-05-24 2006-05-24 전파를 이용한 전력 에너지 무선 전송을 위한 수신단의 안테나 일체형 무선 전원 공급 집적 미세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3838A Division KR100751875B1 (ko) 2006-05-12 2006-05-12 전파를 이용하여 전력 에너지를 수신하는 안테나 일체형 무선 전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1467Y1 true KR200431467Y1 (ko) 2006-11-23

Family

ID=41779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4204U KR200431467Y1 (ko) 2006-05-24 2006-05-24 전파를 이용한 전력 에너지 무선 전송을 위한 수신단의 안테나 일체형 무선 전원 공급 집적 미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146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6811B1 (ko) * 2015-06-09 2018-08-08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모바일 기기의 rf 에너지 하비스팅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6811B1 (ko) * 2015-06-09 2018-08-08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모바일 기기의 rf 에너지 하비스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1875B1 (ko) 전파를 이용하여 전력 에너지를 수신하는 안테나 일체형 무선 전원 장치
KR101804410B1 (ko) 무선 전력 송신기를 위한 송신 코일 모듈
US9225195B2 (en) Wireless power receiver for increased charging efficiency
KR101910194B1 (ko) 멀티 충전이 가능한 무선 전력 송수신 시스템
KR101110325B1 (ko) 공진 및 자기장 통신을 이용한 무선 충전 시스템
CN103828174A (zh) 具有用于电池组的无线通信装置的独立能量供给装置的电池组
JP2010503368A (ja) ハイブリッドパワー取り出しおよび方法
KR101769050B1 (ko) 무선 전력 송신기를 위한 송신 코일 모듈
TW201517743A (zh) 用於行動裝置之太陽能集電保護套與太陽能集電背蓋
KR102452017B1 (ko)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Meile et al. Wireless power transmission powering miniaturized low power IoT devices: A Revie
CN107370252B (zh) 无线互充装置及无线充电装置
KR20170016147A (ko) 휴대용 무선 듀얼 충전 배터리 팩
CN106329618B (zh) 充电器端usb充电控制电路和终端usb充电控制电路
CN107733105A (zh) 无线电力传输装置
KR101022760B1 (ko) 무선 전자파 발전 시스템
KR200431467Y1 (ko) 전파를 이용한 전력 에너지 무선 전송을 위한 수신단의 안테나 일체형 무선 전원 공급 집적 미세장치
KR101791176B1 (ko) 무선 전력 송신기를 위한 송신 코일 모듈
Popovic Far-field wireless power delivery and power management for low-power sensors
CN209861174U (zh) 一种无源室内分布系统
Meile et al. Radio frequency power transmission for self-sustaining miniaturized IoT devices: Survey and experimental evaluation
KR102099444B1 (ko) 무선 전력 송신기를 위한 송신 코일 모듈
CN207603310U (zh) 无线电力传输装置
CN1385971A (zh) 无线电能传输系统
CN105429317B (zh) 无线输电系统、发射装置、接收装置及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