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1131Y1 - 필터프레스식 탈수장치 - Google Patents

필터프레스식 탈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1131Y1
KR200431131Y1 KR2020060020166U KR20060020166U KR200431131Y1 KR 200431131 Y1 KR200431131 Y1 KR 200431131Y1 KR 2020060020166 U KR2020060020166 U KR 2020060020166U KR 20060020166 U KR20060020166 U KR 20060020166U KR 200431131 Y1 KR200431131 Y1 KR 2004311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watering
sludge
filter press
dehydration
press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01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연선
Original Assignee
(주)태성
차연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태성, 차연선 filed Critical (주)태성
Priority to KR20200600201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11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11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113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5/00Filters formed by clamping together several filtering elements or parts of such elements
    • B01D25/12Filter presses, i.e. of the plate or plate and frame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5/00Filters formed by clamping together several filtering elements or parts of such elements
    • B01D25/30Feeding devices ; Discharg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5/00Filters formed by clamping together several filtering elements or parts of such elements
    • B01D25/32Removal of the filter cak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filter pres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필터프레스식 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탈수수단인 탈수로드 사이의 간격에 슬러지 등이 막히는 현상을 방지하면서 자체적으로 세척이 가능하고, 슬러지 등의 이송 중에 슬러지 등의 압착에 의한 압력에 잘 견디며, 탈수로드 사이의 미세한 간격을 통해 탈수효율을 향상시키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유입된 슬러지를 압축이송수단(40)에 의해 압축 이송시키고 탈수부(50)에 의해 유동성 물질을 탈수시켜 건조된 슬러지를 압출하는 필터프레스식 탈수장치에 있어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30);와 상기 구동모터(30)에 연결되어 유입통(44) 내부에서 슬러지를 압축 이송시키는 압축이송수단(40);와 상기 유입통(44) 다음에 다수의 탈수로드(51)로 형성되어 이송스크류(43)에 의해 이송된 슬러지 중 유동성 물질을 탈수로드(51) 사이로 탈수시키는 탈수부(50);와 상기 탈수부(50) 다음에 형성되어 유동성 물질이 탈수된 슬러지가 밀려서 적체되는 적체부(60);와 상기 적체부(60) 다음에 형성되어 적체되는 슬러지가 몸체 외부로 압출되는 압출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필터프레스식 탈수장치 {DRYER OF USING FILTER PRES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필터프레스식 탈수장치의 제1실시예의 구성상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필터프레스식 탈수장치의 탈수부의 팽창 전후의 단면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필터프레스식 탈수장치의 가열부가 설치된 구성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필터프레스식 탈수장치의 제2실시예의 구성상태도.
도 5는 도 4의 필터프레스식 탈수장치가 다수 설치된 구성상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에 따른 필터프레스식 탈수장치의 제1,2실시예의 탈수로드 내측에 흡수재가 충진된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구동모터 40. 압축이송수단
41. 호퍼 42. 유입공
43. 이송스크류 44. 유입통
45. 스크류기어 46. 스크류블럭
47. 피스톤 50. 탈수부
51. 탈수로드 52. 단부고정관
53. 중간고정관 54. 가열부
55. 배수덮개 56. 배수관
60. 적체부 70. 압출부
본 고안은 슬러지 등에서 수분과 같은 유동성 물질을 분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슬러지 등이 압축이송수단에 의해 압축 이송된 후 탈수부를 통해 유동성 물질을 탈수시키고 탈수 건조된 케익상태의 슬러지 등을 배출하는 필터프레스식 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슬러지 등은 음식물 쓰레기, 축산분뇨, 열가소성 플라스틱, 수분을 함유한 종이 및 섬유, 수분 및 유분을 함유한 식품의 반제품 등을 포함한다. 슬러지 등은 유동성 물질과 고형성 물질로 나눌 수 있다. 유동성 물질은 탈수되는 물질로 수분, 유분과 같은 액체 상태나 유동이 가능한 젤 상태의 물질이다. 고형성 물질은 탈수나 탈수되지 않는 물질로 슬러지 등에서 유동성 물질을 제외한 물질이다.
통상 하수처리장 또는 폐수처리장 등에는 슬러지를 포함하고 있는 하수와 폐수가 발생하게 되는 바, 이를 슬러지와 분리하기 위하여 여과포를 사용하여 슬러지를 수분(하수 또는 폐수)과 분리시키는 방식은 크게 필터프레스방식과 벨트프레스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특히 필터프레스방식에 있어서, 필터는 슬러지의 종류가 매우 다양하고 유동성 물질과 고형성 물질의 비율 및 그 점도 등이 각기 다르기 때문에 각각의 경우에 맞는 필터가 사용된다. 필터는 스틸메쉬 필터, 종이류 필터, 중공사막 필터, 역삼투압 필터와 같은 저압용 필터가 있고, 멤브레인과 같은 고압용 필터가 있다.
상기와 같은 양자 방식의 경우 구멍의 크기를 극히 미세하게 타공하기가 어려워 슬러지 등의 여과효율을 향상시키는 데 한계가 있다. 또한 탈수시 여과포에 형성된 미세한 구멍들이 고형성 물질에 의해 막히는 현상이 발생하므로, 여과포에서 고형성 물질의 제거 후에는 여과포의 막힌 미세한 구멍을 개방하기 위해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한다.
여과포에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하면, 필터가 파손되어 필터를 자주 교체함에 따라 필터의 수명이 짧아진다. 또한 세척수가 오염되어 하천을 지저분하게 할 뿐만 아니라 고압 세척수의 분사에 따른 펌프 등을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상의 불폄함은 물론 경제적인 부담이 과도히 발생한다. 특히 많은 세척수의 낭비와 작업자의 시간적인 손실로 이어져 작업경비를 상승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탈수수단인 봉형상의 탈수로드가 슬러지 등의 이동방향과 나란하게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밀실하게 원형으로 배열 고정되어 탈수를 위한 탈수로드 사이의 간극에 슬러지 등이 막히는 현상을 방지하면서 자체적으로 세척이 가능하게 하는 데 있다.
아울러 슬러지 등의 이송 중에 슬러지 등의 압착에 의한 압력에 잘 견디며, 탈수로드 사이의 미세한 간극을 통해 탈수효율을 향상시키는 필터프레스식 탈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필터프레스식 탈수장치는, 유입된 슬러지를 압축이송수단(40)에 의해 압축 이송시키고 탈수부(50)에 의해 유동성 물질을 탈수시켜 건조된 슬러지를 압출하는 필터프레스식 탈수장치에 있어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30);와 상기 구동모터(30)에 연결되어 유입통(44) 내부에서 슬러지를 압축 이송시키는 압축이송수단(40);와 상기 유입통(44) 다음에 다수의 탈수로드(51)로 형성되어 이송스크류(43)에 의해 이송된 슬러지 중 유동성 물질을 탈수로드(51) 사이로 탈수시키는 탈수부(50);와 상기 탈수부(50) 다음에 형성되어 유동성 물질이 탈수된 슬러지가 밀려서 적체되는 적체부(60);와 상기 적체부(60) 다음에 형성되어 적체되는 슬러지가 몸체 외부로 압출되는 압출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실시예의 압축이송수단(40)은 이송스크류로 이루어지고, 구동모터에 이송스크류 단부가 연결되면서 유입통에 내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프레스식 탈수장치를 제공한다.
제2실시예의 압축이송수단(40)은, 구동모터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스크류기 어(45);와 상기 스크류기어(45) 외측에 치합되어 스크류기어(45)가 회전함에 따라 수평이동하는 스크류블럭(46);와 상기 스크류블럭(46)에 연결되고 유입통 내측에 설치되는 피스톤(4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프레스식 탈수장치를 제공한다.
탈수부(50)는 양측 단부고정관(52) 사이에 다수의 탈수로드(51)가 원형으로 배열되고, 중간고정관(53)에 의해 배열된 탈수로드(51)의 중간부위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프레스식 탈수장치를 제공한다.
단부고정관(52)의 외측에는 가열부(54)가 형성되어 탈수로드(51)에 열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프레스식 탈수장치를 제공한다.
탈수부의 외측에는 배수덮개(55)가 감싸지고, 상기 배수덮개(55)의 하부에는 배수관(5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을 하는 필터프레스식 탈수장치를 제공한다.
탈수부 내측에 흡수재(57)가 충진되어 유동성 물질이 여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프레스식 탈수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필터프레스식 탈수장치는 공급된 슬러지 등이 압축이송수단(40)에 의해 압축 이송되고 슬러지 등에서 유동성 물질을 탈수부(50)에 의해 탈수시켜서 건조된 고형성 물질을 압출하도록 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필터프레스식 탈수장치의 제1실시예의 구성상태를 나 타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필터프레스식 탈수장치의 제1실시예의 탈수부(50)가 압력을 받기 전후의 A-A 단면상태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2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필터프레스식 탈수장치의 제1실시예는, 슬러지 등이 유입되는 유입통(44) 단부에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30)가 설치된다. 여기서 슬러지 등은 유입통(44) 상부에 위치하는 호퍼(41)를 통해 유입통(44)의 유입공(42)으로 유입된다.
제1실시예의 압축이송수단(40)은 이송스크류(43)이다. 이송스크류(43)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스크류날이 비스듬히 형성된 것으로, 유입통(44)에 내설되고 구동모터(30)에 연결되어 슬러지 등을 압축 이송시킨다. 이송스크류(43)의 길이는 유입통(44) 내부에 내설되는 길이로 한정되지 않고 후술되는 탈수부(50)의 일부까지 내설되어도 무방하다.
유입통(44) 다음에 형성되는 탈수부(50)는 도 1 및 도 2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수의 탈수로드(51)로 형성되어 이송스크류(43)에 의해 이송된 슬러지 등 중 유동성 물질을 탈수로드(51) 사이의 간극으로 탈수시킨다.
탈수로드(51)는 원형막대 형상이고, 재질은 스테인레스, SUS 그리고 원통형 렌즈로 표기되는 유리막대, 유리섬유막대, 탄소섬유막대, 카보나이트막대 등으로 이루어진다. 탈수로드(51)는 연마과정을 거친 순수재질의 금속봉이거나 도금 또는 코팅된 봉도 사용가능함은 물론이다. 특히 탈수로드의 표면에 티타늄 도금을 하면 탈수로드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유입통(44) 단부에 단부고정관(52)의 일단이 부착되고 단부고정관(52)의 타 단에 탈수로드(51)의 일단부가 고정된다. 또 다른 단부고정관(52)의 일단에 탈수로드(51)의 타단부가 고정된다. 단부고정관(52)의 내경은 유입통(44)의 내경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부고정관(52)에 고정된 탈수로드(51)들의 외측 길이방향의 중간에는 중간고정관(53)이 탈수로드(51)들을 감싸서 고정한다.
단부고정관(52)과 중간고정관(53)은 탈수로드를 원형으로 배열 고정할 뿐만 아니라 슬러지 등이 적체되어 발생되는 압력에 대해 저항한다. 단부고정관(52)과 중간고정관(53)은 탈수로드 사이의 간극을 조절 유지하고, 압력에 의해 외측으로 팽창되었던 탈수로드가 원상으로 수축되도록 보조역할을 한다.
탈수로드 사이의 간극이 벌어지는 요인은 슬러지 등의 적체에 의한 압력과 슬러지 등의 유입속도와 관련된다. 또한 탈수로드의 단면지름을 작게 하거나 탈수로드의 길이를 길게 하면, 보다 낮은 압력에서도 탈수로드 사이의 간극이 용이하게 벌어진다. 탈수로드의 단면지름과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탈수량을 조정할 수 있다.
탈수로드의 사이 간극을 통해 탈수되는 탈수량은 탈수로드의 간극(0.0001~0.001 mm), 탈수로드의 길이 및 탈수로드의 개수를 모두 곱해서 계산할 수 있다.
단부고정관(52)의 측부에 탈수로드(51)의 양단부의 고정하는 방법은 단부고정관(52)의 측부에 홈을 형성하여 탈수로드(51)의 단부를 끼워 고정하거나 단부고정관(52)의 측부에 용접, 에폭시 등 접합제를 이용한 접합 등의 방법으로 탈수로드(51)의 단부를 부착하여 고정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필터프레스식 탈수장치의 가열부(54)가 설치된 구성 상태를 나타낸다.
단부고정관(52)의 외측에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열부(54)가 형성되어 탈수로드(51)에 열을 공급한다. 탈수로드(51)에 공급된 열은 슬러지 등의 유동성 물질을 증발시키거나, 폐PVC 등의 열에 잘 녹는 불순물을 녹여서 열에 녹는 불순물 외의 물질과 분리시킨다. 여기서 가열부는 온도를 제어할 수 있는 통상적인 가열장치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탈수부(50) 다음에 형성되는 적체부(60)에서는 유동성 물질이 탈수된 슬러지 등이 밀려서 적체된다. 적체부(60) 다음에 형성되는 압출부(70)에서는 적체되는 슬러지 등이 몸체 외부로 압출된다.
한편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필터프레스식 탈수장치의 제2실시예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30)가 구비되고, 구동모터에 압축이송수단(40)이 연결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필터프레스식 탈수장치의 제2실시예의 구성상태를 나타낸다.
제2실시예의 압축이송수단(40)은 구동모터에 스크류기어(45)가 연결되어 회전하고, 스크류기어(45) 외측에 스크류블럭(46)이 치합되어 스크류기어(45)가 회전함에 따라 스크류블럭(46)이 수평이동한다. 스크류블럭(46)에 피스톤(47)이 연결되고 피스톤(47) 일단은 유입통 내측에 설치되어 스크류블럭(46)이 수평이동함에 따라 함께 수평이동한다. 피스톤(47)의 단부는 유입통 뿐만 아니라 탈수부의 내측에도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스크류기어(45)와 스크류블럭(46)은 피스톤(47)을 수평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그 형태를 한정하지 않으며, 피스톤(47)을 수평이동시키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다른 수단(예를 들면 웜기어나 랙피니언기어 등)도 적용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고안에 따른 압축이송수단은 제1,2실시예의 압출이송수단 외에 슬러지 등을 탈수부로 압축이송하여 할 수 있는 수단이면 다른 수단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제2실시예의 경우 유입관과 탈수부의 사이에 유입통과 압축이송수단이 생략되고, 유입관에 탈수부가 바로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슬러지 등의 종류에 따라 슬러지 등이 유입될 때의 저압만으로 슬러지 등을 탈수부 내측으로 압축이송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유입통 상부 일측에는 유입관(41a)이 연결되어 슬러지 등이 유입통으로 유입된다. 유입통(44) 다음에 형성되는 탈수부(50)는 제1실시예와 같은 구조로, 다수의 탈수로드(51)로 형성되어 피스톤(47)에 의해 이송된 슬러지 등에서 유동성 물질을 탈수로드(51) 사이의 간극으로 탈수시킨다. 단부고정관(52)의 외측에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가열부(54)가 형성되어 탈수로드(51)에 열을 공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탈수부의 외측에는 배수덮개(55)가 감싸져 탈수로드의 간극으로부터 배출되는 유동성 물질이 튀는 것을 방지한다. 배수덮개(55)의 하부에는 배수관(56)이 형성되어 배출된 유동성 물질이 배수덮개(55)의 외부로 배출된다. 제1실시예에도 배수덮개(55)와 배수관(56)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탈수부(50) 다음에 형성되는 적체부(60)에서는 유동성 물질이 탈수된 슬러지 등이 밀려서 적체된다. 적체부(60) 다음에 형성되는 압출부(70)에서는 적체되는 슬러지 등이 몸체 외부로 압출된다.
도 5는 도 4의 필터프레스식 탈수장치를 다수 연결한 것이다. 하나의 구동모터에 연결된 스크류기어(45)와 스크류블럭(46)이 구비되고, 스크류블럭(46)에는 다수(도 5상 2개)의 피스톤(47)이 일체 형성된다.
피스톤(47)의 양단부에는 유입통이 설치되어 2개의 피스톤(47)에 4개의 유입통을 설치할 수 있다. 유입통 상부의 유입관(41a)은 하나의 관에서 각각의 유입통에 분기되어 연결됨으로써 슬러지 등을 각각의 유입통에 유입시킨다.
각각의 유입통 다음에는 탈수부, 적체부 및 압출부가 각각 설치된다. 각각의 탈수부의 탈수로드 외측에 배수덮개(55)가 형성되고, 배수덮개(55) 하부의 각각의 배수관(56)은 하나로 합쳐져 탈수로드의 간극으로 배출된 유동성 물질을 하나의 관으로 배출한다.
구동모터에 제어부(도시 생략)가 연결되고, 제어부에 타이머, 리밋스위치 또는 압력스위치(도시 생략)가 연결되어 스크류기어가 교대적으로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피스톤의 양단부에 설치된 탈수부를 효율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에 따른 필터프레스식 탈수장치의 제1,2실시예의 탈수로드 내측에 흡수재가 충진된 상태를 나타낸다.
본 고안에 따른 필터프레스식 탈수장치의 제1,2실시예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탈수부 내측에 흡수재(57)가 충진됨으로써 유동성 물질이 여과되어 탈수로드 의 간극으로 배출된다. 흡수재는 유동성 물질을 흡수하여 걸러주는 수단으로 톱밥을 예로 들 수 있다. 흡수재는 톱밥만으로 한정하지 않고 유동성 물질을 여과시키는 수단이면 다른 수단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여과"의 의미는 유동성 물질을 분리 제거하는 의미의 "탈수"와는 구별되는 의미로써, 유동성 물질에 포함된 미세한 슬러지 등의 입자를 정제하여 맑은 상태의 유동성 물질을 배출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필터프레스식 탈수장치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작용을 살펴보면, 호퍼(41)를 통해 공급된 슬러지 등은 유입공(42)을 통해 유입통(44)으로 유입된다. 유입된 슬러지 등은 압축이송수단(40)인 이송스크류(43)의 스크류날 사이에 공급되어 회전하는 이송스크류(43)에 의해 회전 이송된다. 이송되는 슬러지 등은 탈수부(50)를 지나 적체부(60)로 이송된다. 적체부로 이송되는 슬러지 등은 바로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적체부(60)에 일정시간동안 적체된다.
처음 적체부(60)로 이송된 슬러지 등은 바로 배출되지 못하고 적체부 내부에 적체된다. 이후에 유입통(44)으로 유입되는 슬러지 등은 적체부(60)에 차례로 적체되면서 탈수부(50)까지 적체된다.
그 다음 유입되는 슬러지 등은 계속해서 유입통(44)으로 유입되고 탈수부(50)의 탈수로드(51) 내측의 대부분의 공간을 차지하면서 적체되면, 처음 적체 부(60)로 이송된 슬러지 등은 밀려서 압출부(70)를 통해 배출되고 탈수부(50) 내부에서 적체되는 슬러지 등은 탈수로드(51)들의 외측으로 압력을 작용한다.
탈수부(50) 내부에서 슬러지 등이 압력을 작용하면, 도 2b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탈수로드(51)들은 길이가 팽창하여 단부고정관(52)과 중간고정관(53) 사이의 중간부위가 볼록하게 되면서 탈수로드(51)들의 사이에 간극이 생긴다. 탈수로드(51)들 사이의 간극으로 슬러지 등에 포함된 유동성 물질이 탈수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필터프레스식 탈수장치의 탈수부(50)의 압력받기 전후의 단면상태를 나타낸다.
이때 가열부(54)가 작동되면 열이 공급된 탈수로드(51)에 의해 유동성 물질의 탈수뿐만 아니라 유동성 물질을 증발시켜 슬러지 등에서 유동성 물질을 보다 확실히 제거할 수 있다. 슬러지 등에 열에 녹는 불순물(폐PVC 등)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가열부(54)의 공급열의 온도를 높여 열에 녹는 불순물을 녹여서 배출함으로써 고형성 물질과 분리할 수 있다.
탈수부에서 유동성 물질은 분리되고 고형성 물질은 적체부(60)로 이송되어 적체된다. 그리고 적체되는 고형성 물질은 새로 유입 이송되는 슬러지 등에 의해 밀려서 압출부(7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일련의 과정이 반복된다.
슬러지 등의 이동방향과 탈수로드의 설치방향이 동일한 길이방향으로 이루어져 탈수로드의 간극에 슬러지 등이 막히지 않으므로 탈수로드를 교환하거나 청소할 필요가 없다.
한편 본 고안의 제2실시예의 작용을 살펴보면, 유입관(41a)을 통해 공급된 슬러지 등은 유입통(44)으로 유입된다. 구동모터가 스크류기어(45)에 동력을 전달하면 스크류기어(45)는 회전하고, 그에 따라 스크류블럭(46)이 수평이동하여 피스톤(47)을 수평이동시킨다. 유입된 슬러지 등은 피스톤(47)에 의해 압축 이송된다.
이송되는 슬러지 등은 제1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탈수부(50)를 지나 적체부(60)로 이송된다. 탈수부에서 유동성 물질은 탈수되고, 고형성 물질은 적체부(60)로 이송되어 적체된다. 그리고 적체되는 고형성 물질은 새로 유입 이송되는 슬러지 등에 의해 밀려서 압출부(7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일련의 과정이 반복된다. 유동성 물질의 탈수과정은 기설명된 제1실시예의 작용과 동일하다.
탈수부에서 유동성 물질이 탈수될 때 배수덮개에 의해 유동성 물질이 외부로 튀지 않고 배수관을 통해 배출된다. 탈수로드의 내측에 흡수재를 충진시킨 경우 유동성 물질을 여과하여 맑은 상태의 유동성 물질만 배출한다.
상기와 같은 필터프레스식 탈수장치는 다음의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음식물쓰레기 및 가축분뇨로부터 유동성 물질을 분리하는 경우 가열부(54)를 작동하여 탈수부(50)를 이송하는 중에 수분과 같은 유동성 물질이 탈수와 더불어 증발되어 압축효율도 높아진다.
비닐하우스, 플라스틱 등 폐PVC와 기타 물질을 분리하는 경우 폐PVC와 섞인 모래, 금속, 목재 등 비가소성 물질을 폐PVC를 녹여서 배출함으로써 분리할 수 있다. 이때 사전에 유동성 물질의 분리과정을 할 필요가 없어진다.
가축의 분뇨나 슬러지 등을 이송할 때 스크류 콘베이어를 사용할 경우 스크 류 콘베이어의 외통을 탈수로드로 배열 구성된 탈수부(50)로 설치하여 이송과 분리과정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고안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필터프레스식 탈수장치는 탈수수단인 봉형상의 탈수로드가 슬러지 등의 이동방향과 나란하게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밀실하게 원형으로 배열 고정됨으로써, 탈수를 위한 간극에 슬러지 등이 막히는 현상을 방지하면서 자체적으로 세척이 가능하다. 또한 슬러지 등의 이송 중에 슬러지 등의 압착에 의한 압력에 잘 견디며, 탈수로드 사이의 미세한 간극을 통해 탈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막힘현상이 방지되고 자체 세척기능이 있으며 마모도 일어나지 않아 탈수로드를 교환할 필요가 없고, 탈수로드의 표면에 티타늄을 코팅함으로써 탈수수단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탈수로드의 외측에 배수덮개를 형성하고 배수덮개의 하부에 배수관을 설치함으로써, 유동성 물질이 배출시 튀는 것을 방지하고 별도의 배수관을 통해 유동성 물질을 배출시킬 수 있다.
탈수로드의 내측에 흡수재를 충진한 상태에서 슬러지 등을 탈수함으로써, 유동성 물질을 여과시켜 맑은 상태의 유동성 물질을 배출할 수 있다.

Claims (7)

  1. 유입된 슬러지를 압축이송수단(40)에 의해 압축 이송시키고 탈수부(50)에 의해 유동성 물질을 탈수시켜 건조된 슬러지를 압출하는 필터프레스식 탈수장치에 있어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30);
    상기 구동모터(30)에 연결되어 유입통(44) 내부에서 슬러지를 압축 이송시키는 압축이송수단(40);
    상기 유입통(44) 다음에 다수의 탈수로드(51)로 형성되어 이송스크류(43)에 의해 이송된 슬러지 중 유동성 물질을 탈수로드(51) 사이로 탈수시키는 탈수부(50);
    상기 탈수부(50) 다음에 형성되어 유동성 물질이 탈수된 슬러지가 밀려서 적체되는 적체부(60); 및
    상기 적체부(60) 다음에 형성되어 적체되는 슬러지가 몸체 외부로 압출되는 압출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프레스식 탈수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축이송수단(40)은 이송스크류로 이루어지고, 구동모터에 이송스크류 단부가 연결되면서 유입통에 내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프레스식 탈수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축이송수단(40)은,
    구동모터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스크류기어(45);
    상기 스크류기어(45) 외측에 치합되어 스크류기어(45)가 회전함에 따라 수평이동하는 스크류블럭(46); 및
    상기 스크류블럭(46)에 연결되고 유입통 내측에 설치되는 피스톤(4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프레스식 탈수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탈수부(50)는 양측 단부고정관(52) 사이에 다수의 탈수로드(51)가 원형으로 배열되고, 중간고정관(53)에 의해 배열된 탈수로드(51)의 중간부위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프레스식 탈수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단부고정관(52)의 외측에는 가열부(54)가 형성되어 탈수로드(51)에 열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프레스식 탈수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탈수부의 외측에는 배수덮개(55)가 감싸지고, 상기 배수덮개(55)의 하부에는 배수관(5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을 하는 필터프레스식 탈수장치.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탈수부 내측에 흡수재(57)가 충진되어 유동성 물질이 여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프레스식 탈수장치.
KR2020060020166U 2006-07-26 2006-07-26 필터프레스식 탈수장치 KR2004311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166U KR200431131Y1 (ko) 2006-07-26 2006-07-26 필터프레스식 탈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166U KR200431131Y1 (ko) 2006-07-26 2006-07-26 필터프레스식 탈수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7452A Division KR100678990B1 (ko) 2005-08-23 2005-08-23 필터프레스식 탈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1131Y1 true KR200431131Y1 (ko) 2006-11-23

Family

ID=41779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0166U KR200431131Y1 (ko) 2006-07-26 2006-07-26 필터프레스식 탈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113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59830C (fi) Saett och anordning foer avvattning av suspensioner i roerelse
US7055699B2 (en) Self-cleaning mechanical filter
US8951411B2 (en) Apparatus for waste-water filtration
CN101244349A (zh) 用于废水处理的螺杆压力脱水器
CN114340757B (zh) 对水中异物进行过滤、分离、脱水的多重结构的过滤装置
WO2006080653A1 (en) Self-cleaning filtering system
EP383885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watering and compacting sludge, wastes, pasty materials and liquid suspensions
DK2709840T3 (en) Screw Press
JPH0710440B2 (ja) 固液分離装置
KR100678990B1 (ko) 필터프레스식 탈수장치
CN107080994B (zh) 一种自清洗罐式过滤分离器
US6190569B1 (en) Peristaltic filtration hose apparatus and method
KR200431131Y1 (ko) 필터프레스식 탈수장치
KR101040201B1 (ko) 회전가압식 폐수 처리장치
KR100495982B1 (ko) 원통형 필터프레스식 탈수장치
KR200232305Y1 (ko) 쐐기형 와이어 여과원통에 의한 오물 탈수 여과 장치
KR101437908B1 (ko) 물과 응집 슬러지의 비중 차이를 이용한 수직형 스크류 탈수기
KR20230032695A (ko) 폐수 처리장치
KR100224632B1 (ko) 산업용 여과기
JP4493030B2 (ja) ろ過装置
KR200439958Y1 (ko) 협잡물 여과원통의 세척장치
JP4518500B2 (ja) ろ過装置
CN211255657U (zh) 一种市政用污泥脱水机
JP7198231B2 (ja) スクリュープレスおよびスクリュープレスの洗浄方法
CN114908828B (zh) 一种水利工程中水库的清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Ip right invali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