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1002Y1 - 크기 조절이 가능한 우산 - Google Patents

크기 조절이 가능한 우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1002Y1
KR200431002Y1 KR2020060023673U KR20060023673U KR200431002Y1 KR 200431002 Y1 KR200431002 Y1 KR 200431002Y1 KR 2020060023673 U KR2020060023673 U KR 2020060023673U KR 20060023673 U KR20060023673 U KR 20060023673U KR 200431002 Y1 KR200431002 Y1 KR 2004310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slider
sliders
motor housing
umbrella cl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36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욱
Original Assignee
한상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욱 filed Critical 한상욱
Priority to KR20200600236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10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10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100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9/00Special folding or telescoping of umbrellas
    • A45B19/06Special folding or telescoping of umbrellas with telescopic rib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02Umbrella frames

Landscapes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필요에 따라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우산에 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크기 조절이 가능한 우산은, 바 형태로 형성되고, 상부에 모터 하우징(12)이 형성되는 우산대(10); 원통형을 갖고 길이방향으로 슬릿(21a)(22b)이 형성되는 복수의 슬라이더(21)(22)(23)를 구비하여, 하나의 슬라이더(21)(22) 내측에 인접하여 다른 슬라이더(22)(23)가 삽입되도록 배치하고, 상기 모터 하우징(12)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의 슬라이더 어셈블리(20); 상기 모터 하우징(12)의 내부에 수용되는 구동 모터(31)와 상기 구동 모터(31)의 회전에 의해 감기거나 풀리고 선단부가 가장 내측의 슬라이더(23)에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더 어셈블리(20)를 신축시키는 와이어(33)를 구비하는 슬라이더 신축부(30); 및 상기 슬라이더(21)(22)(23)의 상단에서 돌출되어 슬라이더(21)(22)(23)와 평행하게 형성되어 상기 슬릿(21a)(22a)의 내부에서 슬라이딩되는 우산천 서포트(44)(45)(46)와, 소정의 높이를 갖고 상기 각각의 우산천 서포트(44)(45)(46)에 각각 상단과 하단이 연결되는 복수의 우산천(41)(42)(43)을 구비하는 우산천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우산, 슬라이더, 크기 조절

Description

크기 조절이 가능한 우산 { Umbrella having variable size }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기 조절이 가능한 우산의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기 조절이 가능한 우산의 작동관계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기 조절이 가능한 우산의 요부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 : 우산 10 : 우산대
11 : 손잡이 12 : 모터 하우징
20 : 슬라이더 어셈블리 21, 22, 23 : 슬라이더
21a, 22a :슬릿 30 : 슬라이더 신축부
31 : 구동 모터 32 : 롤러
33 : 와이어 34 : 작동 스위치
40 : 우산천 어셈블리 41, 42, 43 : 우산천
44, 45, 46 : 우산천 서포트
본 고안은 우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필요에 따라 면적을 조절할 수 있는 크기 조절이 가능한 우산에 대한 것이다.
우산은 펴고 접을 수 있는 프레임에 직물로된 우산천을 고정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비가 올 때에는 사용자가 이를 펼쳐서 받침으로써, 사용자에게 비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생활용품이다.
이러한 우산은 여러 가지 형태로 제공되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우산은 프레임에 고정된 우산천을 단지 펴고 접을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바, 우산천에 의해서 가려지는 면적을 조정할 수 없었다. 즉, 우산을 편 상태에서는 그 면적이 항상 일정하게 되어 사용자가 우산의 크기를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예를 들어, 우산을 혼자 사용하는 경우에는 우산의 폭이 좁아도 되나, 2인 이상이 우산을 사용하거나 비가 많이 오는 경우에는 우산의 폭이 넓어야 한다. 우산을 혼자서 사용하는 경우에 지나치게 그 크기가 크게 되면 통행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우산을 혼자 사용하는 경우에는 우산에 의해서 가려지는 면적이 좁아도 된다. 그러나, 여러 명이 우산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우산에 의해서 가려져야 하는 면적이 넓어야 하고, 혼자 사용하더라도 비가 많이 오는 경우에는 들이치는 비를 막기 위해서 우산에 의해서 가려져야 하는 면적이 넓을수록 좋다.
하지만, 상기의 경우를 가정하여, 사용자가 크기가 작은 우산과, 크기가 큰 우산을 동시에 휴대할 수는 있으나, 이는 매우 번거롭고 보관이 용이하지 않으며 사용하지 않는 우산은 쉽게 유실될 수 있는 문제점을 유발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우산에 의해서 가릴 수 있는 면적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크기 조절이 가능한 우산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크기 조절이 가능한 우산은, 바 형태로 형성되고, 상부에 모터 하우징이 형성되는 우산대; 원통형을 갖고 길이방향으로 슬릿이 형성되는 복수의 슬라이더를 구비하여, 하나의 슬라이더 내측에 인접하여 다른 슬라이더가 삽입되도록 배치하고, 상기 모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의 슬라이더 어셈블리; 상기 모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는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에 의해 감기거나 풀리고 선단부가 가장 내측의 슬라이더에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더 어셈블리를 신축시키는 와이어를 구비하는 슬라이더 신축부; 및 상기 슬라이더의 상단에서 돌출되어 슬라이더와 평행하게 형성되어 상기 슬릿의 내부에서 슬라이딩되는 우산천 서포트와, 소정의 높이를 갖고 상기 각각의 우산천 서포트에 각각 상단과 하단이 연결되는 복수의 우산천을 구비하는 우산천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크기 조절이 가능한 우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크기 조절이 가능한 우산의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우산의 작동관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요부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크기 조절이 가능한 우산은 바 형태를 갖고 상부에 모터 하우징(12)이 형성되는 우산대(10)와, 복수의 슬라이더(21)(22)(23)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납되는 슬라이더 어셈블리(20)와, 모터 하우징(12)에 구비되는 구동 모터(12)와 상기 구동 모터(12)가 감기고 선단부가 상기 슬라이더중에서 가장 내측의 슬라이더(23)에 체결되는 와이어(33)를 구비하여 상기 슬라이더 어셈블리(20)를 신축시키는 슬라이더 신축부(30)와, 상기 슬라이더(21)(22)에 길이방향으로 슬릿(21a)(22b)을 형성하여 상기 슬릿(21a)(22a)에서 슬라이딩되고 상기 슬라이더(21)(22)(23)의 상단에서 연장되는 우산천 서포트(44)(45)(46)와 상기 우산천 서포트(44)(45)(46)에 상단과 하단에 각각 연결되는 우산천(41)(42)(43)을 구비하는 우산천 어셈블리(40)를 포함한다.
우산대(10)는 바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타 구성요소가 구비되도록 하고, 사용자가 우산대(10)의 하부에 구비되는 손잡이(11)를 이용하여 휴대하거나, 우산(1)을 받칠 수 있도록 한다.
우산대(10)의 상단에는 후술되는 슬라이더 신축부(30)를 수용하기 위한 모터 하우징(12)이 구비된다. 모터 하우징(12)을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마련되어 그 내부에 슬라이더 신축부(30)가 구비된다.
슬라이더 어셈블리(20)는 원통형의 형태를 갖는 복수의 슬라이더(21)(22)(23) 들이 서로 삽입되어 구성된다. 슬라이더 어셈블리(20)는 어느 하나 의 슬라이더(21)(22)의 내측에 상기 슬라이더(21)(22)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다른 슬라이더(22)(23)가 삽입되는 구조가 반복되어 마치 안테나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어서, 슬라이더 어셈블리(20)는 신축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슬라이더 어셈블리(20)를 복수로 마련하여 우산대(10)에 소정의 간격으로 두고 복수로 구비하여 각각 상기 모터 하우징(12)의 둘레에 힌지연결하고, 각각의 슬라이더 어셈블리(20)를 우산대(10)에 대하여 펼침으로써, 사용자가 비를 피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게 된다.
이때, 각 슬라이더(21)(22)에는 각각 길이방향으로 슬릿(21a)(22a)이 형성되도록 한다. 각각의 슬라이더(21)(22)에 형성되는 슬릿(21a)(22a)은 후술되는 우산천 서포트(45)(46)가 지나가는 통로가 된다.
슬라이더 신축부(30)는 상기 모터 하우징(12)에 구비되는 구동 모터(31)와, 상기 구동 모터(31)에 의해서 회전하는 롤러(32) 및 상기 롤러(32)에 감기고 선단이 상기 슬라이더 어셈블리(20)중에서 가장 내측의 슬라이더(23)에 고정되는 와이어(33)를 포함한다.
구동 모터(31)는 전원에 연결되고 작동 스위치(34)에 의해서 정/역회전이 가능하게 구비된다.
롤러(32)는 상기 구동 모터(31)의 회전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와이어(33)는 상기 롤러(32)가 감기어 극 선단부가 상기 슬라이더 어셈블리(20) 중에서 가장 내측의 슬라이더(23)에 체결되도록 구비된다. 와이어(33)는 소정의 강성을 갖도록 이루어져 있어서, 와이어(33)가 롤러(32)에서 감기거나 풀릴 때, 슬라이더 어셈블리(20)의 슬라이더(21)(22)(23) 들을 밀어내거나 당기게 된다.
슬라이더 신축부(30)는 복수로 구비되는 슬라이더 어셈블리(20)와 동수로 마련되어 각각의 슬라이더 어셈블리(20)를 신축시키도록 한다.
우산천 어셈블리(40)는 비를 막아주는 직물로 된 복수의 우산천(41)(42)(43)과, 슬라이더(21)(22)(23)의 신축시 우산천(41)(42)(43)을 견인하도록 우산천(41)(42)(43)이 연결되는 우산천 서포트(44)(45)(46)가 포함된다.
우산천(41)(42)(43)은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띠형태로 형성되고,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슬라이더 어셈블리(20)에 의해서 연결된다. 우산천(41)(42)(43)은 그 높이가 대략 상기 슬라이더(21)(22)(23)의 길이에 해당하도록 형성되고, 각각의 우산천(41)(42)(43)이 각 슬라이더(21)(22)(23)의 상단과 하단부분에 연결되도록 하여, 슬라이더 어셈블리(20)의 신축에 따라 우산천(41)(42)(43) 들이 바깥쪽으로 밀려나와 펼쳐지거나 안쪽으로 밀려들어가 겹쳐지는 구조가 된다.
이때, 상기 우산천(41)(42)(43) 들은 서로 중첩되게 배치되는데, 상부에 위치하는 우산천(41)(42)의 하단이 하부에 위치하는 우산천(42)(43)의 상단을 덮도록 배치되어 빗물이 외부로 흘러내리도록 한다.
한편, 상기 우산천(41)(42)(43)을 상기 슬라이더 어셈블리(20)를 구성하는 각각의 슬라이더(41)(42)(43)에 체결시키고, 우산천(41)(42)(43)이 상기 슬라이더 어셈블리(20)의 신축에 따라서 펼쳐지거나 접힐 때 우산천(41)(42)(43)을 견인하기 위해서 우산천 서포트(44)(45)(46)가 구비된다.
우산천 서포트(44)(45)(46)는 상기 슬라이더 어셈블리(20)를 구성하는 슬라 이더(21)(22)(23)와 같은 수로 마련되고, 우산천 서포트(44)(45)(46)는 그 상단이 각각의 슬라이더(21)(22)(23)의 상단에 연결되어, 슬라이더(21)(22)(23)와 나란하게 구비된다. 즉, 우산천 서포트(44)(45)(46)는 각 슬라이더(21)(22)(23)의 상단에서 돌출되어 슬라이더(21)(22)(23)와 평행하게 구비되는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우산천 서포트(44)(45)(46)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우산천(41)(42)(43)의 상단과 하단을 연결시킨다. 우산천 서프트(44)(45)(46)의 상단과 우산천(41)(42)(43)의 상단의 연결에 의해서 슬라이더 어셈블리(20)가 압축되어 우산의 크기가 줄어드는 경우에 우산천 서포트(44)(45)(46)의 이동에 따라 우산천(41)(42)(43)이 겹쳐지도록 견인하고, 우산천 서포트(44)(45)(46)의 하단과 우산천(41)(42)(43)의 하단의 연결에 의해서 슬라이더 어셈블리(20)가 신장하여 우산의 크기가 늘어나는 경우에 우산천 서포트(44)(45)(46)의 이동에 따라 우산천(41)(42)(43)이 펼쳐지도록 우산천(41)(42)(43)을 견인한다.
또한, 우산천 서포트(44)(45)(46)의 상단이 슬라이더(21)(22)(23)에 연결되고 있는데, 우산천 서포트(44)(45)(46)와 슬라이더(21)(22)(23)가 연결된 부분은, 그 상부에 위치하는 슬라이더(21)(22)(23)에 형성된 슬릿(21a)(22a) 내부에서 이동하게 배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크기 조절이 가능한 우산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가 우산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우산대(10)에 대하여 슬라이더 어셈블리(20)를 펼친다. 휴대를 위해서 우산대(10)와 같은 방향으로 위치하고 있는 슬라 이더 어셈블리(20)에서 최외곽의 슬라이더(21)의 상단은 모터 하우징(12)에 힌지연결되어 있으므로, 우산을 펼치면 슬라이더 어셈블리(20)는 모터 하우징(12)에서 회전하면서 펼쳐지게되고, 지지대(13)에 의해서 지지되고 있는 상태이다.
이는 자동 우산에서와 같이 자동으로 우산대(10)에 대하여 슬라이더 어셈블리(20)가 펼쳐지도록 할 수도 있고, 수동 우산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직접 슬라이더 어셈블리(20)를 펼칠 수도 있다.
이 상태에서는 휴대를 위하여 슬라이더 어셈블리(20)가 압축된 상태로 우산에 의해서 비를 피할 수 있는 영역이 최소인 상태이다. 만약 혼자서 사용하는 경우라면, 슬라이더 어셈블리(20)가 압축된 상태로 우산대(10)에서 펼치기만 해도 사용은 가능하다.
하지만, 비가 많이 오는 경우라던가, 여러 명이 같이 우산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우산에 의해서 비를 피할 수 있는 면적을 확대시켜야 한다.
사용자가 작동 스위치(34)를 이용하여 구동 모터(31)를 회전시키면, 도 2에 도시된 상태에서, 구동 모터(31)가 회전하면서 롤러(32)에 권취된 와이어(33)는 서서히 외부로 인출된다. 와이어(33)가 약간의 강성을 발휘할 수 있기 때문에, 와이어(33)는 롤러(32)에서 풀려지면서, 슬라이더 어셈블리(20)의 가장 내측에 위치하는 슬라이더(23)부터 밀어내어 슬라이더 어셈블리(20)가 신장되도록 한다.
슬라이더 어셈블리(20)가 신장되면서, 슬라이더 어셈블리(20)를 구성하는 각각의 슬라이더(21)(22)(23)들이 외부로 배출되면서 우산천 서포트(44)(45)(46)도 같이 외부로 배출된다. 우산천 서포트(44)(45)(46)는 상단과 하단에 각각 우산 천(41)(42)(43)과 결합되어 있는 바, 슬라이더(21)(22)(23)가 이동하면 이와 동시에 우산천 서포트(44)(45)(46)도 함께 이동하고 우산천 서포트(44)(45)(46)에 우산천(41)(42)(43)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우산천 서포트(44)(45)(46)가 우산천(41)(42)(43)을 견인하여 우산천(41)(42)(43)이 슬라이더 어셈블리(20)가 신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된다.
이렇게 슬라이더 어셈블리(20)의 신장에 의해서 우산천(41)(42)(43)이 펼쳐져 도 3과 같은 상태가 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의하여 우산에 의해서 가려지는 면적이 확대된다. 우산에 의해서 가려지는 면적이 확대됨으로써, 비가 많이 오는 경우라던가, 여러 명이 우산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에 간단한 조작으로 우산의 크기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의 경우와 반대로 도 3의 상태에서 슬라이더 어셈블리(20)를 압축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작동 스위치(34)를 이용하여 구동 모터(31)를 반대로 회전시킨다. 구동 모터(31)가 슬라이더(21)(22)(23)를 신장시킬 때와 반대로 회전하면, 와이어(33)가 롤러(32)에 감기게 된다.
와이어(33)가 롤러(32)에 감기면, 와이어(33)는 최하단의 슬라이더(23)부터 당기게 되어서 슬라이더 어셈블리(20)는 압축된다. 슬라이더 어셈블리(20)가 압축되면서 가장 내측의 슬라이더(23)부터 다른 슬라이더(21)(22))의 내부로 삽입되기 시작한다. 슬라이더(21)(22)(23)가 삽입되는 방향(도 2의 상태에서 도 3의 상태가 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각 우산천 서포트(44)(45)(46)의 상단이 우산천(41)(42)(43)을 견인하게 되어 우산천(41)(42)(43)이 서로 겹쳐지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서 그 크기, 즉 우산에 의해 비를 피할 수 있는 면적이 넓어졌던 우산은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로 그 면적이 줄어들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와이어(33)가 풀리거나 감기는 것에 의해서 신축하는 슬라이더 어셈블리(20)가 신축하고, 슬라이더 어셈블리(20)에 연결된 우산천(41)(42)(43)이 펼쳐지거나 겹치면서 우산에 의해서 비를 피할 수 있는 공간, 즉 우산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크기 조절이 가능한 우산에 따르면, 우산에 의해서 비를 피할 수 있는 영역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우산을 사용하는 사람의 수 또는 내리는 비의 양에 따라, 간단한 조작으로 우산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모든 사용자가 비를 맞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

  1. 바 형태로 형성되고, 상부에 모터 하우징이 형성되는 우산대;
    원통형을 갖고 길이방향으로 슬릿이 형성되는 복수의 슬라이더를 구비하여, 하나의 슬라이더 내측에 인접하여 다른 슬라이더가 삽입되도록 배치하고, 상기 모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의 슬라이더 어셈블리;
    상기 모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는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에 의해 감기거나 풀리고 선단부가 가장 내측의 슬라이더에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더 어셈블리를 신축시키는 와이어를 구비하는 슬라이더 신축부; 및
    상기 슬라이더의 상단에서 돌출되어 슬라이더와 평행하게 형성되어 상기 슬릿의 내부에서 슬라이딩되는 우산천 서포트와, 소정의 높이를 갖고 상기 각각의 우산천 서포트에 각각 상단과 하단이 연결되는 복수의 우산천을 구비하는 우산천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기 조절이 가능한 우산.
KR2020060023673U 2006-09-01 2006-09-01 크기 조절이 가능한 우산 KR2004310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3673U KR200431002Y1 (ko) 2006-09-01 2006-09-01 크기 조절이 가능한 우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3673U KR200431002Y1 (ko) 2006-09-01 2006-09-01 크기 조절이 가능한 우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1002Y1 true KR200431002Y1 (ko) 2006-11-14

Family

ID=41779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3673U KR200431002Y1 (ko) 2006-09-01 2006-09-01 크기 조절이 가능한 우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100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2868B1 (ko) 2009-09-18 2011-09-08 김종은 우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2868B1 (ko) 2009-09-18 2011-09-08 김종은 우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56573B2 (en) Freestanding collapsible shelter
US20180080242A1 (en) Eave structure and tent frame having same
RU2407868C2 (ru) Покрывающая система
US7523759B2 (en) Parasol
AU1893400A (en) Frame assembly for folding tents
AU2013404505A1 (en) Car roof tent
US4022233A (en) Venetian umbrella
US5690131A (en) Umbrella
US20140360542A1 (en) Covering System with Canopeum Deployment
US7509965B2 (en) Ventilated umbrella
KR200431002Y1 (ko) 크기 조절이 가능한 우산
KR20210095542A (ko) 롤 방식으로 접혀지는 자동 우산
KR101170823B1 (ko) 자동 접이식 우산
KR100706638B1 (ko) 휴대용 텐트의 차양막 고정구조
KR100913419B1 (ko) 휴대용 콤팩트 우산
WO2020074380A1 (en) Umbrella
KR200404998Y1 (ko) 폭가변형 파라솔
DK2809192T3 (en) Umbrella
KR100631196B1 (ko) 편심 파라솔
EP2159350A1 (en) Collapsible shelter
TWI824973B (zh) 捲收網體平整的結構
KR101997041B1 (ko) 다단식 자동 펼침 우산
KR200254306Y1 (ko) 차양 면적을 조절할 수 있는 파라솔
TWI540980B (zh) 擴大傘裝置
CN211632050U (zh) 自动伞蜂巢和自动伞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