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0892Y1 - 낚싯대 조립체 - Google Patents

낚싯대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0892Y1
KR200430892Y1 KR2020060021652U KR20060021652U KR200430892Y1 KR 200430892 Y1 KR200430892 Y1 KR 200430892Y1 KR 2020060021652 U KR2020060021652 U KR 2020060021652U KR 20060021652 U KR20060021652 U KR 20060021652U KR 200430892 Y1 KR200430892 Y1 KR 2004308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rod
fishing
ring
reel
guide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16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낙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낙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낙스
Priority to KR20200600216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08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08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089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2Connecting devices for parts of the ro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낚싯대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손잡이 역할을 하는 메인 낚싯대; 이 메인 낚싯대의 연결부에 일체로 마련되어 릴을 고정하며, 선단에 연결부가 돌출 형성된 릴시트; 이 릴시트의 연결부에 삽입되도록 후방에 결합공이 형성되며, 뽑기식으로 인출되는 다단의 뽑기식 낚싯대; 상기 릴시트의 연결부에 꽂기식으로 결합되는 다단의 꽂기식 낚싯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하면, 메인 낚싯대에 뽑기식과 꽂기식의 낚싯대를 수시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낚시인들의 기호에 따라 낚싯대를 조립하여 필요에 따라 2종류의 낚시 방식을 즐길 수 있게 된다.
낚싯대, 뽑기식 낚싯대, 꽂기식 낚싯대, 릴시트

Description

낚싯대 조립체{Fishing Rod Assembly}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메인 낚싯대에 뽑기식 낚싯대가 결합되는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뽑기식 낚싯대의 안내링을 보인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메인 낚싯대에 꽂기식 낚싯대가 결합되는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메인 낚싯대 11 ; 릴시트
12 ; 고정링 13 ; 조임구
14 ; 연결부 20 ; 뽑기식 낚싯대
21,21' ; 안내링 22,22' ; 지지편
23,23' ; 결합링 24 ; 연장편
24a ; 변위홈 30 ; 꽂기식 낚싯대
본 고안은 낚싯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낚시 장소에 따라 사용자가 낚시 형태를 바꿀 수 있도록 뽑기식과 꽂기식을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 뽑기식 및 꽂기식 겸용 낚싯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여과활동으로 많은 인구가 낚시를 즐기고 있으며, 낚시의 목적이나 장소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낚싯대가 개발되어 있다.
통상 낚싯대는 그 사용장소와 목적에 따라 단절(30~40㎝)과, 중절(60㎝ 전후) 및 장절(1m) 등의 여러 가지로 구분되는데, 이러한 낚싯대는 그 구조상 다단으로 인출되거나, 또는 꽂기식 형태로 상호 결합 가능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낚시의 장소나 목적에 따라 사용자는 다양한 종류의 낚싯대 세트를 구비해야 다양한 낚시의 즐거움을 만끽할 수 있지만, 보통의 여가활동을 위한 일반인들에게 그 많은 종류의 낚싯대 세트를 구입한다는 건 경제적인 부담을 가중시키는 한편 보관 및 운반에 있어서도 간편하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의 메인 낚싯대에 뽑기식과 꽂기식으로 이루어진 낚싯대를 각각 체결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뽑기식 및 꽂기식 겸용 낚싯대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손잡이 역할을 하는 메인 낚싯대; 이 메인 낚싯대의 연결부에 일체로 마련되어 릴을 고정하며, 선단에 연결부가 돌출 형성된 릴시트; 이 릴시트의 연결부에 삽입되도록 후방에 결합공이 형성되며, 뽑기식으로 인출되는 다단의 뽑기식 낚싯대; 상기 릴시트의 연결부에 꽂기식으로 결합되는 다단의 꽂기식 낚싯대를 포함하는 낚싯대 조립체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낚싯대 조립체를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낚싯대 조립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1개의 메인 낚싯대(10)를 구비하며, 이 메인 낚싯대(10)의 선단에는 릴시트(11)가 일체로 결합된다.
상기 메인 낚싯대(10)는 내부가 빈 중공체로 이루어지며, 통상적인 낚싯대와 마찬가지로 선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낚싯대(10)는 셋트 조립시 손잡이 역할을 하기 때문에 그 외주면은 사용자가 잡았을 때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EVA(Ethylene vinyl acetate) 등의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릴시트는 메인 낚싯대(10)의 선단에 일체로 결합되는데, 이 릴시트(11) 의 선단에는 뽑기식(20) 및 꽂기식 낚싯대(30)가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연결부(14)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릴시트(11)의 외주면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2개의 고정링(12)이 마련되고, 일측 고정링(12)에는 조임구(13)가 밀착 구비되어 릴받침대(도시 생략)를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릴시트(11)의 외주면에는 나사산(11a)가 형성되어 조임구(13)의 회전 방향에 따라 고정링(12)의 슬라이딩 방향을 조절하여 릴받침대(도시 생략)를 고정 또는 분리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상기 릴시트(11)의 연결부(14)에 도 1과 같은 별도의 뽑기식(20) 또는 도 3과 같은 꽂기식 낚싯대(3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뽑기식 낚싯대(20)는 순차적으로 출몰 가능하도록 다단으로 이루어지며, 그 후방에 상기 릴시트(11)의 연결부(14)가 삽입 결합되도록 결합공이 형성된다. 이러한 뽑기식 낚싯대(20)들은 통상 테이퍼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인출된 상태에서 상호 단부가 압입되므로 인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꽂기식 낚싯대(30)는 적당한 길이를 가진 다수의 낚싯대가 상호 조립되도록 구성되며, 선단으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감소하도록 이루어지고, 후방에는 상기 연결부(14)가 삽입되도록 결합공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뽑기식(20) 및 꽂기식 낚싯대(30)의 외측에는 낚시줄을 안내하도록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안내링(21)이 결합되어 낚시줄이 꼬이는 것을 방지한 다.
여기서, 상기 안내링(21)은 지지편(22)에 의해 결합링(23)과 결합되는데, 상기 결합링(23)은 낚싯대의 외경보다 조금 더 크게 형성하여 낚싯대의 외주면을 타고 비교적 자유롭게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상기 안내링(21')이 연결된 결합링(23')을 낚싯대에 고정된 상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안내링(21')과 결합링(23')은 적어도 2개 이상의 지지편(22')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이때, 상기 결합링(23')의 하측에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가진 연장판(24')이 마련되고, 이 연장판(24')에는 일단과 타단의 높이차가 존재하도록 변위홈(24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안내링(21')과 결합링(23')을 연결시켜 주는 지지편(22') 중 어느 하나는 연장판(24)에 힌지축(22a')으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다른 하나는 변위홈(24a')에 삽입된 가변축(22b')과 결합되어 안내링(21')이 절첩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안내링(21')을 절첩 가능하게 함으로써 낚싯대의 운반이나 휴대시 전체적인 부피를 줄여 줌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해 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낚싯대 조립체는 상술한 바와 같이 2가지 형태의 낚시 방식을 가질 수 있다.
즉, 잡고자 하는 물고기의 종류나 낚시 방식에 따라 뽑기식 낚싯대(20)를 사 용할 경우 뽑기식 낚시대(20)의 결합공(20a)에 메인 낚싯대(10)의 연결부(14)를 삽입한 후, 다단으로 이루어진 뽑기식 낚싯대(20)를 인출하여 사용하면 된다.
또한, 꽂기식 낚싯대(30)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다단의 꽂기식 낚시대를 상호 조립한 다음 최후방에 위치된 꽂기식 낚싯대(30)의 결합공(30a)에 메인 낚싯대(10)의 연결부(14)를 삽입하여 사용하면 된다.
이와 같이 하나의 메인 낚싯대(10)에 뽑기식(20)이나 꽂기식 낚싯대(30)를 임의로 적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낚시 목적이나 장소에 따라 낚시 방식을 달리 선택하여 다양한 방식의 낚시를 즐길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겸용 낚싯대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메인 낚싯대에 뽑기식과 꽂기식 낚싯대를 수시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기호나 낚시 장소에 따라 낚싯대를 조립하여 필요에 따라 2종류의 낚시 방식을 즐길 수 있게 된다.
둘째, 별도의 낚싯대를 구매하지 않아도 되는 경제적인 이점이 있고,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여 누구라도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4)

  1. 손잡이 역할을 하는 메인 낚싯대;
    이 메인 낚싯대의 연결부에 일체로 마련되어 릴을 고정하며, 선단에 연결부가 돌출 형성된 릴시트;
    이 릴시트의 연결부에 삽입되도록 후방에 결합공이 형성되며, 뽑기식으로 인출되는 다단의 뽑기식 낚싯대;
    상기 릴시트의 연결부에 꽂기식으로 결합되는 다단의 꽂기식 낚싯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뽑기식 및 꽂기식 낚싯대에는 각각 소정 간격을 두고 낚시줄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링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링은 지지편에 의해 결합링과 결합되며, 상기 결합링은 낚싯대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낚싯대의 외주면을 타고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조립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링은 낚싯대에 고정된 결합링과 적어도 2개 이상의 지지편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결합링의 하측에는 일단과 타단의 높이가 상이하도록 변위홈이 형성된 연장판이 마련되고, 상기 안내링과 결합링을 연결시켜 주는 지지편 중 어느 하나는 연장판에 힌지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다른 하나는 변위홈에 삽입된 가변축과 결합되어 안내링이 절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조립체.
KR2020060021652U 2006-08-11 2006-08-11 낚싯대 조립체 KR2004308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1652U KR200430892Y1 (ko) 2006-08-11 2006-08-11 낚싯대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1652U KR200430892Y1 (ko) 2006-08-11 2006-08-11 낚싯대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0892Y1 true KR200430892Y1 (ko) 2006-11-13

Family

ID=41779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1652U KR200430892Y1 (ko) 2006-08-11 2006-08-11 낚싯대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089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1090A (ko) 2020-08-13 2022-02-22 이정휴 조립 구조가 개선된 낚시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1090A (ko) 2020-08-13 2022-02-22 이정휴 조립 구조가 개선된 낚시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93842B2 (en) Cord management sleeve
US10264736B2 (en) Radially slotted annular coupling system
US6298775B1 (en) Pan with a foldable handle
KR200265280Y1 (ko) 낚싯대용 손잡이
KR101586279B1 (ko) 웜루어 원터치 샷
KR200430892Y1 (ko) 낚싯대 조립체
US3245169A (en) Foldable fishing rod
KR101362350B1 (ko) 루어낚시대
US2724610A (en) Golf ball retriever
KR200430650Y1 (ko) 뽑기식 및 꽂기식 겸용 낚싯대 조립체
US3986291A (en) Fishing lure
US2862325A (en) Fishing lures
KR20200002457U (ko) 캠핑용품 설치용 폴대
US20060080886A1 (en) Reconfigurable fishing lure
KR20220001530U (ko) 낚싯대용 무게중심 캡
JP4910074B1 (ja) 吹矢の矢
WO2004030449A1 (en) The supporter of fishing rod
CN221104528U (zh) 一种可延长的鱼竿
KR200176844Y1 (ko) 인사이드, 아웃사이드 겸용 릴낚시대
CN211211059U (zh) 一种适用于不同技术阶段的软、硬一体黄鳝钓具
CN215836643U (zh) 一种钓鱼天平以及钓鱼线组
CN218418066U (zh) 免调型铜吊坠
EP3964058B1 (en) A catapult for dispensing bait for fishing
KR100395435B1 (ko) 낚시받침대용 각도조절장치
KR200303950Y1 (ko) 줌 기능을 갖는 낚시용구의 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0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