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0432Y1 - 무변압기 충전기를 위한 감전방지용 접속구조 - Google Patents

무변압기 충전기를 위한 감전방지용 접속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0432Y1
KR200430432Y1 KR2020060020792U KR20060020792U KR200430432Y1 KR 200430432 Y1 KR200430432 Y1 KR 200430432Y1 KR 2020060020792 U KR2020060020792 U KR 2020060020792U KR 20060020792 U KR20060020792 U KR 20060020792U KR 200430432 Y1 KR200430432 Y1 KR 2004304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shock
charger
connection
plug
transformer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07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일
Original Assignee
김성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일 filed Critical 김성일
Priority to KR20200600207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04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04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043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20Charging or discharging characterised by the power electronics converter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무변압기 충전기를 위한 감전방지용 접속구조는 몸체의 내부공간 하부면에 지지판을 결합하여 지지판에 상부를 개구되도록 형성시킨 홈 내부에 복수개의 전원핀을 내장하고 상기 전원핀의 두께는 상기 홈의 깊이보다 낮게 형성시켜서 상기 전원핀이 상기 홈 속에 숨어 있는 구조를 가진 연결플러그와, 상기 연결플러그의 몸체를 내입시킬 수 있도록 내부에 결합공간을 형성시키고 결합공간의 상부면에는 수직하향으로 복수개의 접속핀을 설치한 접속판을 결합하여 접속핀이 상기 홈 내부의 상기 전원핀과 끼움 결합이 되어 더욱 긴밀하게 상호 접촉되도록 이루어진 커넥터로 구성된다.
충전기, 무변압기, 감전, 접속핀, 전원핀

Description

무변압기 충전기를 위한 감전방지용 접속구조{Connecting structure the use of preventing electric shock for Transformerless charger}
도 1은 본 고안의 무변압기 충전기용의 감전방지용 접속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무변압기 충전기용의 감전방지용 접속구조를 나타낸 결합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무변압기 충전기용의 감전방지용 접속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무변압기 충전기용의 감전방지용 접속구조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결합상태 단면도.
도 5a,b는 본 고안의 감전방지용 접속구조를 무변압기 충전기 및 이차전지를 장착한 전자기기에 적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데이터 통신용 핀 등을 더 포함한 감전방지용 접속구조를 무변압기 충전기에 적용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충전기 110 : 연결플러그
110a : 내부공간 111 : 지지판
111a : 홈 112 : 전원핀
113 : 요홈 114 : 돌출턱
120 : 커넥터 120a : 결합공간
121 : 접속판 122 : 전속핀
130 : 24핀 접속단자 140 : 충전기 몸체
141 : 전원플러그 150 : 전선
160 : 휴대형 전자기기
본 고안은 무변압기 충전기를 위한 감전방지용 접속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감전방지용 연결플러그의 전원 공급용 전원핀과 외부 도체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여 감전의 위험성을 방지하는 동시에 충전기에 적용되는 감전방지용 변압기의 적용을 제외하여 충전기의 부피와 무게를 대폭 절감시켜 휴대성을 향상시킨 무변압기 충전기를 위한 감정방지용 접속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차전지를 장착한 휴대형 전자기기들이 점점 다기능화 되면서 사용전력이 증가하고 이러한 전자기기들에 사용되는 이차전지는 모두 소형이므로 상기 전자기기들의 사용시간이 점점 짧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충전기를 휴대하고 다니면서 필요한 시간에 충전할 수 있는 작고 가벼운 충전기에 대한 소비자들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더불어, 이차전지를 장착한 휴대형 전자기기들은 일반적으로 상용전원에서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별도의 충전기를 필요하게 된다. 하지만, 현재 휴대용 전자기기들에 사용되는 기존의 충전기는 감전방지 및 전압 강하용의 변압기가 일체로 장착되기 때문에 사용자들이 휴대하고 다니기에는 부피가 크고 무게가 무겁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충전기의 무게와 부피를 줄이는 가장 손쉬운 방법으로 변압기가 제외된 전원공급회로(무변압기 전원공급회로라고 칭함.)를 내장한 충전기(무변압기 충전기(transformerless charger)라고 칭함.)를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무변압기 충전기를 사용할 경우 충전기의 몸체와 연결된 연결플러그 자체 또는 거치대에는 감전방지 기능이 추가되어 있어야만 한다.
그러나, 기존 충전기를 위한 기존 연결플러그들 중에서 전원용 잭을 위한 플러그와 USB 플러그와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에서 제시된 24핀 표준규격을 가진 연결플러그의 전원핀은 외부 도체에 의해서 쉽게 접촉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 무변압기 충전기와 연결될 경우 자칫 감전될 위험이 있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더불어, 충전기의 경량 및 소형화를 이루기 위해서는 무변압기 전원공급회로를 사용해야 하는데, 현재 무변압기 전원공급회로들로는 미국특허 US 6,686,702B1의 크세논 전구(Xenon Bulb) 및 미국특허 US 4,973,883의 형광등과 건물 복도 있는 비상등 등을 위해서 제안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무변압기 전원공급회로는 옥외 또는 LED 전광판 등과 같이 사용자가 직접적인 접촉 가능성이 적은 설치장소에 적용되는 분야에 주로 사용됨에 따라 직접적인 감전사고가 발생하는 경우는 적으나, 감전의 위험성을 여전히 내포하고 있어 일반적인 충전기에 적용하기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미국특허 7,023,176B2는 무변압기 전원공급회로를 사용한 충전기이지만 덮개(flip cover)의 개폐에 따라 전원을 공급하고 차단하여 감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추가적인 장치가 더 마련되어야 하고 그 추가장치로 인해서 충전기의 접속구조가 복잡하게 되어 잔고장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기존 충전기에 내장된 전원공급회로는 그 부품들 중에서 부피가 큰 변압기와 주로 평활용으로 사용되는 기존 콘덴서류들 때문에 소형의 휴대용 전자기기들의 내부 기판회로에 기존의 충전기의 전원공급회로를 모두 내장하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또한 무변압기 충전기에 내장되는 무변압기 전원공급회로에는 아직도 평활용의 기존 콘덴서류 등의 회로부품들이 적용됨에 따라 무변압기 전원공급회로의 실질적 소형화를 이룰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주 목적은 무변압기 충전기를 위한 감전방지용 접속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의한 연결플러그는 전원 공급용 전원핀을 지지판의 홈 속에 소정의 깊이로 숨어있도록 하여 내부의 전원핀이 외부 도체와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못하도록 하도록 하여 감전방지 기능을 가지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안전한 접속구조를 가진 연결플러그와 이것과 연결된 무변압기 충전기를 제공하여 충전기의 휴대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다.
더불어, 상기 무변압기 전원공급회로의 부품들 중에서 기존 평활용 콘덴서류들 대신에 칩형 콘덴서류를 실장하여 충전기의 부피와 무게를 대폭 더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데이터 통신용 핀 등을 더 포함한 감전방지용 연결플러그를 무변압기 충전기에 연결하여 무변압기 충전기의 활용도를 크게 넓히는데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연결플러그와 커넥터에 각각 요홈과 돌출턱을 선택적으로 형성시켜 연결플러그와 커넥터의 오접속을 방지하고 접속작동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무변압기 충전기를 위한 감전방지용 접속구조는 몸체의 내부공간 하부면에 지지판이 결합되고 그 지지판의 상부가 개구되도록 형성시킨 복수개의 홈 내부에 전원핀을 각각 위치시키고 상기 전원핀의 두께는 상기 홈의 깊이보다 낮게 형성시켜서 상기 전원핀이 상기 홈의 내부에 숨어 있게 되어 외부에서 임의로 도체를 끼워 넣어도 상기 전원핀과 직접적으로 접촉하기 어려운 구조를 가지고 무변압기 충전기에 연결되는 연결플러그와, 상기 연결플러그의 몸체를 내입시킬 수 있도록 내부에 결합공간을 형성시키고 결합공간의 상부면에는 수직하향으로 복수개의 접속핀이 설치된 접속판이 결합되어 상기 접속핀이 상기 홈 내부에 위치한 상기 전원핀과 끼움 결합에 의해 더욱 긴밀하게 상호 접촉되도록 이루어지고 전자기기에 내장되는 커넥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몸체의 내부공간 상.하부면에 지지판이 각각 결합되고 그 지지판에 각각 상호 대응되도록 형성시킨 복수개의 홈 내부에 전원핀을 각각 위치시키고 상기 전원핀의 두께는 상기 홈의 깊이보다 낮게 형성시켜서 전원핀이 상기 홈 속에 숨어 있도록 하여서 외부에서 임의로 도체를 끼워 넣어도 전원핀과 직접적으로 접촉하기 어려운 구조를 가지고 무변압기 충전기에 연결되는 연결플러그와, 상기 연결플러그의 몸체를 내입시킬 수 있도록 내부에 결합공간을 형성시키고 그 결합공간의 상.하부에서 이격되어 중앙에 위치시킨 접속판과 그 접속판의 상.하부에 각각 접속핀이 구비되어 이 접속핀이 상기 홈의 내부에 위치한 상기 전원핀과 끼움 결합에 의해 더욱 긴밀하게 상호 접촉되고 전자기기에 내장되는 커넥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연결플러그의 지지판이 내부공간 끝부분에서 소정 깊이 안쪽방향으로 내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더 포함하여 외부의 도체를 통한 감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전원핀이 내장되는 상기 홈의 폭은 전원핀이 적정 전류의 통전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되도록 폭을 좁은 상태로 형성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여 외부에서 임의로 도체를 연결플러그 내부로 삽입하여도 전원핀과 접촉하지 않게 하여 감전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커넥터의 접속판이 내입되어 상기 연결플러그와 상호 접속되는 연결플러그 내부공간은 위와 아래사이의 간격을 좁게 하는 것을 더 포함하여 외부에서 도체를 임의로 상기 연결플러그에 끼워 넣기 어렵도록 하여 감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연결플러그 및 커넥터는 몸체의 내부면 또는 외부면에 상호 끼움 결합되는 요홈과 돌출턱을 각각 선택적으로 형성시켜 연결플러그와 커넥터가 오접속 없이 용이하게 접속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감전방지용 또는 감압용으로 사용되는 무겁고 큰 부피를 차지하던 변압기가 제외된 무변압기 전원공급회로를 내장하고 그 한 측면에 상용전 원과 접속되는 전원플러그가 장착되어서 경량 및 소형화된 무변압기 충전기의 몸체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의 몸체 후방에 직접적으로 접속시키거나 전선을 통하여 통전 가능하도록 연결된 상기 감전방지용 연결플러그와, 이차전지를 장착한 전자기기들에 내장되어 상기 연결플러그와 통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기 커넥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연결플러그의 상기 지지판에는 상기 전원핀과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는 데이터 통신용 또는 핸즈프리용 또는 충전용 또는 기타 용도를 위한 핀들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고 이와 함께 커넥터의 접속판에 이에 상응하는 핀들을 더 포함하도록 하여 이것들이 상기 무변압기 충전기와 상기 전자기기들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무변압기 전원공급회로에는 부피가 큰 평활용의 전해 콘덴서 등의 기존 콘덴서류 대신에 소형의 칩형 콘덴서류로 바꾸어 실장하여 무변압기 충전기의 부피를 대폭 더 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무변압기 충전기용의 감전방지용 접속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무변압기 충전기용의 감전방지용 접속구조를 나타낸 결합상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무변압기 충전기용의 감전방지용 접속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무변압기 충전기용의 감전방지용 접속구조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며, 도 5a,b는 본 고안의 감전방지용 접속구조를 무변압기 충전기 및 전자기기에 적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무변압기 충전기를 24핀 표준 접속단자에 적용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무변압기 충전기를 위한 감전방지용 접속구조는 몸체의 내부공간(110a) 하부면에 지지판(111)을 결합하고 그 지지판(111)의 상부가 개구되도록 형성시킨 복수개의 홈(111a) 내부에 전원핀(112)을 위치시키고 상기 전원핀(112)의 두께는 상기 홈(111a)의 깊이보다 낮게 형성시켜서 상기 전원핀(112)이 상기 홈(111a) 속에 숨어 있도록 하여서 외부에서 임의로 도체를 끼워 넣어도 이것이 상기 전원핀(112)과 직접적으로 접촉하기 어려운 구조를 가지고 무변압기 충전기에 연결되는 연결플러그(110)와, 상기 연결플러그(110)를 내입시킬 수 있도록 내부에 결합공간(120a)을 형성시키고 결합공간(120a)의 상부면에는 수직하향으로 복수개의 접속핀(122)이 설치된 접속판(121)을 결합하여 접속핀(122)이 상기 홈(111a) 내부의 상기 전원핀(112)과 끼움 결합이 되어 더욱 긴밀하게 상호 접촉되도록 이루어지고 전자기기에 내장되는 커넥터(120)로 구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무변압기 충전기용의 감전방지용 접속구조에 대한 다른 실시예는 몸체의 내부공간(110a) 상.하부면에 지지판(111)을 각각 결합하고 각각의 그 지지판(111)에 상호 대응되게 형성시킨 복수개의 홈(111a) 내부에 전원핀(112)을 각각 위치시키고 상기 전원핀(112)의 두께는 상기 홈(111a)의 깊이보다 낮게 형성시켜서 상기 전원핀(112)이 상기 홈(111a) 속에 숨어 있도록 하여서 외부에서 임의로 도체를 끼워 넣어도 이것이 상기 전원핀(112)과 직접적으로 접촉하기 어려운 구조를 가지고 무변압기 충전기에 연결되는 연결플러그(110)와, 상기 연결플러그(110)를 내입시킬 수 있도록 내부에 결합공간(120a)을 형성시키고 결합공간(120a)의 상.하부에 이격되어 중앙에 위치한 접속판(121)과 그 접속판의 상.하부에 각각 접속핀을 구비하여 상기 접속판(121)이 상기 홈(111a)의 내부에 위치한 상기 전원핀(112)과 끼움 결합이 되어 더욱 긴밀하게 상호 접촉되도록 이루어지고 전자기기에 내장되는 커넥터(12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플러그(110)와 커넥터(120)는 몸체를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시키고 그 내부가 비어있는 관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연결플러그(110)의 지지판(111)이 내부공간(110a)의 끝부분에서 소정 깊이 안쪽에 위치하도록 구성한 것을 더 포함하여 외부의 도체를 내부공간(110a)에 임의로 삽입하여도 전원핀(112)과 쉽게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감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전원핀(112)을 내장하는 홈(111a)의 폭은 전원핀(112)이 적정 전류의 통전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되도록 그 폭을 좁은 상태로 형성시켜 외부에서 임의로 도체를 연결플러그(110) 내부로 삽입할 경우에도 전원핀(112)과의 접촉이 어렵도록 하여 감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커넥터의 접속판이 내입되어 상기 연결플러그와 상호 접속되는 연결플러그 내부공간의 위와 아래사이의 간격을 좁게 하는 것을 더 포함하여 외부에서 도체를 임의로 상기 연결플러그에 끼워 넣기 어렵도록 하여 감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더불어, 상기 전원핀(112)을 제외한 연결플러그(110)의 모든 구성부품들은 부도체 재질로 적용하는 것을 더 포함하여 감전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플러그(110) 및 커넥터(120)의 몸체는 그 내부면 또는 외부면에 상호 끼움 결합되는 요홈(113)과 돌출턱(124)을 각각 선택적으로 형성시켜 연결플러그(110)와 커넥터(120)가 오접속 없이 용이하게 상호 접속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구성되는 무변압기 충전기(100)를 위한 감전방지용 접속구조는 연결플러그(110)를 커넥터(120)의 내주면에 위치시키고 커넥터(120)의 내주면에 있는 돌출턱(124)과 연결플러그(110)의 외주면에 형성시킨 요홈(113)을 상호 일치시켜 연결플러그(110)를 커넥터(120)의 결합공간(120a) 내부로 내입시킨다.
상기 요홈(113)과 돌출턱(124)에 의해 연결플러그(110)와 커넥터(120)의 오접속이 발생하지 않으며, 이들의 직진성을 향상시켜 접속핀(122)이 전원핀이 결합된 홈(111a)의 단차 내부로 인입되면서 전원핀(112)과 접속되어 통전이 가능하게 한다.
더불어, 무변압기 충전기(100)용의 감전방지용 접속구조에 대한 다른 실시예는 연결플러그(110) 내부의 상, 하면에 각각 전원핀(112)을 대응되게 위치시킨 다 음 커넥터(120)의 중앙부에 접속판(121) 위치시키고 상기 연결플러그(110)가 상기 커넥터(120)의 결합공간 안으로 들어가면서 서로 결합할 때 상기 접속판(121)의 상, 하면에 결합된 접속핀(122)이 전원핀(112)을 내장함 홈(111a)의 단차 부분에 결합되면서 접속핀(122)과 전원핀(112)을 접촉시켜 통전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이, 무변압기 충전기(100)를 위한 감전방지용 접속구조는 상기 연결플러그(110)의 전원핀(112)을 홈(111a)의 내부에 숨어있도록 하는 동시에 전원핀이 내입된 홈(111a)의 폭을 정격전압의 인가 가능한 범위까지 축소시켜 전원핀(112)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시키고 외부에서 임의로 도체를 연결플러그(110) 안으로 넣어도 서로 접촉이 되지 않도록 하여 감전의 위험을 최대한 억제시킬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본 고안의 무변압기 충전기(100)용의 감전방지용 접속구조를 이차전지를 장착한 전자기기에 접속하기 위한 충전기에 적용을 할 경우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또한, 감전방지용 또는 감압용의 무겁고 큰 부피를 차지하는 변압기가 제외된 무변압기 전원공급회로를 내장하고 그 한 측면에 상용전원과 접속되는 전원플러그가 장착되어 있는 충전기 몸체(140)로 이루어진 무변압기 충전기(100)의 접속구조는 상기 충전기 몸체(140)의 후방에 직접적으로 접속시키거나 전선(150)을 통하여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감전방지용 상기 연결플러그(110)와, 이차전지를 장착한 전자기기(160)의 내부에 내장되어 연결플러그(110)와 통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넥터(12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충전기 몸체(140)에 내장된 무변압기 전원공급회로 부품들 중에서 부피가 큰 평활용의 전해 콘덴서류 등의 기존 콘덴서류들 대신에 소형의 칩형 콘덴서류들로 바꾸어 실장하는 것을 더 포함하여 무변압기 충전기의 부피와 무게를 대폭 더 줄 일 수 있도록 한다.
이와 함께, 상기 연결플러그의 지지판에는 상기 전원핀과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는 데이터 통신용 또는 핸즈프리용 또는 충전용 또는 오디오용 또는 기타 용도를 위한 핀들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고 이와 함께 커넥터의 접속판에 이에 상응하는 핀들을 더 포함한다.
즉, 본 고안에 의한 감전방지용 접속구조가 국가의 표준규격 인터페이스로 채택될 경우 무변압기 충전기의 사용범위가 극대화되어 충전기의 휴대성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충전기의 가격을 크게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면, 상기 충전기는 현재 상용화된 휴대폰, MP3, PMP 및 휴대용 게임기 등의 이차전지를 장착한 모든 전자기기에 적용이 가능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면도기 등과 같은 이차전지를 장착한 전자기기들에도 본 고안에 의한 접속단자가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무변압기 충전기를 위한 안정적인 접속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저렴한 무변압기 충전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안전한 접속구조를 가진 연결플러그와 이것과 연결된 무변압 기 충전기를 제공하여 충전기의 부피와 무게를 대폭 절감시켜서 휴대성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무변압기 전원공급회로에서 부피가 큰 기존 콘덴서류들을 기판에 실장이 가능한 칩형의 콘덴서류들로 바꾸어 부피를 더 줄인 무변압기 충전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의 무변압기 충전기를 위한 감전방지용 접속구조는 연결플러그와 커넥터에 각각 요홈과 돌출턱을 선택적으로 형성시켜 연결플러그와 커넥터의 오접속을 방지하고 접속작동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무변압기 충전기를 위한 감전방지용 접속구조가 국가표준으로 채택될 경우 충전기의 휴대성이 크게 증가될 뿐만 아니라 충전기의 가격을 크게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들 및 첨부된 도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Claims (9)

  1. 몸체의 내부공간 하부면에 지지판이 결합되고 그 지지판의 상부가 개구되도록 형성시킨 복수개의 홈 내부에 전원핀을 각각 위치시키고 상기 전원핀의 두께는 상기 홈의 깊이보다 낮게 형성시켜서 상기 전원핀이 상기 홈의 내부에 숨어 있게 되어 외부에서 임의로 도체를 끼워 넣어도 상기 전원핀과 직접적으로 접촉하기 어려운 구조를 가지고 무변압기 충전기에 연결되는 연결플러그와,
    상기 연결플러그의 몸체를 내입시킬 수 있도록 내부에 결합공간을 형성시키고 결합공간의 상부면에는 수직하향으로 복수개의 접속핀이 설치된 접속판이 결합되어 상기 접속핀이 상기 홈 내부에 위치한 상기 전원핀과 끼움 결합에 의해 더욱 긴밀하게 상호 접촉되도록 이루어지고 전자기기에 내장되는 커넥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변압기 충전기를 위한 감전방지용 접속구조.
  2. 몸체의 내부공간 상.하부면에 지지판이 각각 결합되고 그 지지판에 각각 상호 대응되도록 형성시킨 복수개의 홈 내부에 전원핀을 각각 위치시키고 상기 전원핀의 두께는 상기 홈의 깊이보다 낮게 형성시켜서 전원핀이 상기 홈 속에 숨어 있도록 하여서 외부에서 임의로 도체를 끼워 넣어도 전원핀과 직접적으로 접촉하기 어려운 구조를 가지고 무변압기 충전기에 연결되는 연결플러그와,
    상기 연결플러그의 몸체를 내입시킬 수 있도록 내부에 결합공간을 형성시키 고 그 결합공간의 상.하부에서 이격되어 중앙에 위치시킨 접속판과 그 접속판의 상.하부에 각각 접속핀이 구비되어 이 접속핀이 상기 홈의 내부에 위치한 상기 전원핀과 끼움 결합에 의해 더욱 긴밀하게 상호 접촉되고 전자기기에 내장되는 커넥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변압기 충전기를 위한 감전방지용 접속구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플러그의 지지판이 내부공간 끝부분에서 소정 깊이 안쪽방향으로 내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더 포함하여 외부의 도체를 통한 감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변압기 충전기를 위한 감전방지용 접속구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핀이 내장되는 상기 홈의 폭은 전원핀이 적정 전류의 통전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되도록 폭을 좁은 상태로 형성시킨 것을 더 포함하여 외부에서 임의로 도체를 연결플러그 내부로 삽입하여도 전원핀과의 접촉하지 않게 하여 감전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변압기 충전기를 위한 감전방지용 접속구조.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접속판이 내입되어 상기 연결플러그와 상호 접속되는 연결플러그 내부공간은 위와 아래사이의 간격을 좁게 하는 것을 더 포함하여 외부에서 도체를 임의로 상기 연결플러그에 끼워 넣기 어렵도록 하여 감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변압기 충전기를 위한 감전방지용 접속구조.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플러그 및 커넥터는 몸체의 내부면 또는 외부면에 상호 끼움 결합되는 요홈과 돌출턱을 각각 선택적으로 형성시켜 연결플러그와 커넥터가 오접속 없이 용이하게 접속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변압기 충전기를 위한 감전방지용 접속구조.
  7. 감전방지용 또는 감압용으로 사용되는 무겁고 큰 부피를 차지하던 변압기가 제외된 무변압기 전원공급회로를 내장하고 그 한 측면에 상용전원과 접속되는 전원플러그가 장착되어서 경량 및 소형화된 무변압기 충전기의 몸체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의 몸체 후방에 직접적으로 접속시키거나 전선을 통하여 통전 가능하도록 연결된 상기 감전방지용 연결플러그와,
    이차전지를 장착한 전자기기들에 내장되어 상기 연결플러그와 통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기 커넥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변압기 충전기를 위한 감전방지용 접속구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플러그의 상기 지지판에는 상기 전원핀과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는 데이터 통신용 또는 핸즈프리용 또는 충전용 또는 오디오용 또는 기타 용도를 위한 핀들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고 이와 함께 커넥터의 접속판에 이에 상응하는 핀들을 더 포함하도록 하여 이것들이 상기 무변압기 충전기와 상기 전자기기들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변압기 충전기를 위한 감전방지용 접속구조.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무변압기 전원공급회로에는 부피가 큰 평활용의 전해 콘덴서 등의 기존 콘덴서류 대신에 소형의 칩형 콘덴서류로 바꾸어 실장하여 무변압기 충전기의 부피를 대폭 더 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변압기 충전기를 위한 감전방지용 접속구조.
KR2020060020792U 2006-08-02 2006-08-02 무변압기 충전기를 위한 감전방지용 접속구조 KR2004304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792U KR200430432Y1 (ko) 2006-08-02 2006-08-02 무변압기 충전기를 위한 감전방지용 접속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792U KR200430432Y1 (ko) 2006-08-02 2006-08-02 무변압기 충전기를 위한 감전방지용 접속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3068A Division KR20080012071A (ko) 2006-08-02 2006-08-02 무변압기 충전기를 위한 감전방지용 접속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0432Y1 true KR200430432Y1 (ko) 2006-11-13

Family

ID=41778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0792U KR200430432Y1 (ko) 2006-08-02 2006-08-02 무변압기 충전기를 위한 감전방지용 접속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043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6309B1 (ko) 다기종 배터리 사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US8944845B2 (en) Power plug, electrical plug assembly and electrical charger assembly
US9462242B2 (en) Smartphone and external micro projector thereof
KR200469779Y1 (ko) 휴대폰용 보조배터리 충전기
KR101307073B1 (ko) 충전용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US20090079392A1 (en) Portable power supply module with winding unit
CN105991801A (zh) 一种可扩展功能的智能终端配件系统
US20110057614A1 (en) Power Supply Adapter
CN103872718A (zh) 名片盒式移动电源
CN102118047B (zh) 供电装置
CN105958283B (zh) 嵌入式快充插座
KR101141187B1 (ko) Usb 충전모듈 내장형 콘센트
KR200448194Y1 (ko) 보조배터리를 내장한 휴대폰 젠더
US9705347B2 (en) Charging socket
WO2008078851A1 (en) The portable emergency battery
KR200430432Y1 (ko) 무변압기 충전기를 위한 감전방지용 접속구조
CN112311040A (zh) 一种多功能无线充电器
KR20130125914A (ko) 인터넷 충전카드를 포함한 다기능 휴대폰 보조 장치
KR20080012071A (ko) 무변압기 충전기를 위한 감전방지용 접속구조
KR101658200B1 (ko) 모바일 단말을 위한 휴대용 무선 충전 장치
KR101290321B1 (ko) 유에스비 포트와 충전회로를 구비한 배터리
CN105577865B (zh) 多充电/数据接口的电子设备保护壳及与其匹配的插接件
EP2278669A2 (en) Power supply adapter
CN205864010U (zh) 移动电子设备充电装置
KR20150073471A (ko) 보조배터리가 내장된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