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0030Y1 - Airtight container - Google Patents

Airtight contai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0030Y1
KR200430030Y1 KR2020060019169U KR20060019169U KR200430030Y1 KR 200430030 Y1 KR200430030 Y1 KR 200430030Y1 KR 2020060019169 U KR2020060019169 U KR 2020060019169U KR 20060019169 U KR20060019169 U KR 20060019169U KR 200430030 Y1 KR200430030 Y1 KR 2004300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p
container body
container
protrusion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916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전연태
이찬원
Original Assignee
전연태
이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연태, 이찬원 filed Critical 전연태
Priority to KR20200600191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0030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00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0030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65D43/021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only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47J47/08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non-granulated foodstuffs
    • A47J47/10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non-granulated foodstuffs with arrangements for keeping fre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4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064Shape of the outer periphery
    • B65D2543/00074Shape of the outer periphery curved
    • B65D2543/00101Shape of the outer periphery curved square-like or rectangular-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592Snapping means
    • B65D2543/00601Snapping means on the container
    • B65D2543/00611Profiles
    • B65D2543/00648Flange or l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953Sealing means
    • B65D2543/00962Sealing means inserted
    • B65D2543/00981Dis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내부와 외부를 차단할 수 있는 밀폐 용기는 용기 본체와 덮개를 포함한다. 용기 본체는 상단부 둘레를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며 실링지가 부착되는 제1 립(lip) 및 상단부 둘레를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며 제1 립과 이격되어 외측에 위치하는 제2 립을 갖는다. 덮개는 용기 본체와 결합될 때 제1 립의 상부면과 밀착되며, 제2 립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을 가지며, 용기 본체를 밀폐한다. 제1 립은 상부면에 요철을 가지며, 제2 립은 외측 둘레를 따라 제1 돌기를 갖는다. 덮개는 수용홈의 외측 내벽을 따라 제1 돌기와 맞물리는 제2 돌기를 갖는다.The hermetically sealed container capable of blocking the inside and the outside includes a container body and a cover. The container body has a first lip extending upwardly around the upper end and having a sealing lip attached thereto and a second lip extending upwardly along the upper end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lip. The cove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top surface of the first lip when engaged with the container body, has a receiving groove for receiving the second lip, and seals the container body. The first lip has irregularities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second lip has a first protrusion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The cover has a second protrusion engaged with the first protrusion along the outer inner wall of the receiving groove.

Description

밀폐 용기{Airtight container}Airtight container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밀폐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sealed contai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용기 본체를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이다. FIG. 2 is a bottom view for explaining the container body of FIG. 1. FIG.

도 3은 도 1의 Ⅲ-Ⅲ'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 of FIG. 1.

도 4는 도 1의 Ⅳ-Ⅳ'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V-IV ′ of FIG. 1.

도 5는 도 1의 Ⅴ-Ⅴ'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V ′ of FIG. 1.

도 6은 도 1의 용기 본체들이 서로 적층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ontainer bodies of FIG. 1 are stacked on each other.

도 7은 도 1의 Ⅶ-Ⅶ'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I-VII 'of FIG. 1.

도 8은 도 1의 덮개에 용기 본체가 적층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container body is stacked on the lid of FIG. 1. FIG.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밀폐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sealed contai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도 9의 A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10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an enlarged portion A of FIG. 9.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밀폐 용기 102 : 용기 본체100: airtight container 102: container body

104 : 덮개 106 : 실링지104: cover 106: sealing paper

110 : 바닥부 120 : 제1 돌출부110: bottom portion 120: first protrusion

122 : 지지대 130 : 측벽부122: support 130: side wall

132 : 제1 걸림턱 134 : 제2 걸림턱132: first locking jaw 134: second locking jaw

140 ; 제1 립 142 : 요철140; First Lip 142: Unevenness

150 : 제2 립 152 : 제1 돌기150: second lip 152: first projection

160 : 평판부 170 : 제2 돌출부160: plate portion 170: second protrusion

180 : 절곡부 190 : 수용부180: bent portion 190: receiving portion

192 : 수용홈 194 : 제1 가이드192: accommodation groove 194: the first guide

196 : 제2 가이드 198 : 제2 돌기196: 2nd guide 198: 2nd protrusion

본 고안은 밀폐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밀 보관이 요구되는 식품과 같은 물건을 수용하기 위한 밀폐 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rmetically sealed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hermetically sealed container for receiving an object such as food that requires confidential storage.

일반적으로 된장, 고추장 등을 담는 장류용 용기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에 힌지 형태로 결합되어 상기 용기 본체를 덮는 덮개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에 내용물을 수용한 후에는 상기 내용물의 오염이나 변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 실링지가 부착된다. Generally, the container for enteric liquor containing miso, red pepper paste, etc. is composed of a lid covering the container body by being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and the container body in a hinge form. In addition, after receiving the contents inside the container body, a sealing paper is attached along the upper edge of the container body to prevent contamination or deterioration of the contents.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장류용 용기는 상기 덮개의 걸림 돌기가 상기 용기 본체 의 걸림홈에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상기 실링지를 제거한 후 상기 용기 본체 내부가 상기 덮개에 의해 완전히 밀폐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용기 본체 내부의 내용물이 오염되거나 상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However, such a container for longevity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locking projection of the cover is coupled to the locking groove of the container body, and thus the inside of the container body is not completely sealed by the cover after removing the sealing paper. Therefore, a problem arises in that the contents inside the container body are contaminated or damaged.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실링지가 제거되더라도 용기 본체 내부를 밀폐할 수 있는 밀폐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sealed container capable of sealing the inside of the container body even if the sealing paper is removed.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르면, 밀폐 용기는 상단부 둘레를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며 실링지가 부착되는 제1 립(lip) 및 상기 상단부 둘레를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립과 이격되어 외측에 위치하는 제2 립을 갖는 용기 본체 및 상기 용기 본체와 결합될 때 상기 제1 립의 상부면과 밀착되며, 상기 제2 립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을 가지며, 상기 용기 본체를 밀폐하는 덮개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rmetically sealed container extends upwardly along the upper circumference and is extended upwardly along the upp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lip and the upper lip to which the sealing paper is attached. A container body having a second lip spaced apart from the outside and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lip when combined with the container body, having a receiving groove for receiving the second lip, and sealing the container body It includes a cover to be made.

상기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립은 외측 둘레를 따라 제1 돌기를 가지며, 상기 덮개는 상기 수용홈의 외측 내벽을 따라 상기 제1 돌기와 맞물리는 제2 돌기를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lip has a first projection along the outer periphery, the cover may have a second projection to engage with the first projection along the outer inner wall of the receiving groove.

상기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립의 수용을 위해 상기 수용홈의 내측 내벽은 라운드 형상을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inner wall of the accommodating groove may have a round shape for accommodating the second lip.

상기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립 및 제2 립이 연장되는 상기 용기 몸체의 외측면에 상기 용기 본체의 적층시 상기 제1 립에 의해 지지 되는 걸림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턱은 상기 용기 몸체의 외측면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lip and the second lip may further include a locking jaw supported by the first lip when the container body is lamin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is extended; have. The locking jaw may b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ntainer body.

상기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립은 제1 높이를 가지며, 상기 제2 립은 상기 제1 높이보다 낮은 제2 높이를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lip has a first height, the second lip may have a second height lower than the first height.

상기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립은 상부면에 요철을 가질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lip may have an unevenness on the upper surface.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 용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고안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sealed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have various forms,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pecific form disclose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drawings,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similar element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 is shown in an enlarged scale than actual for clarity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 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all not be construed i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 not.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밀폐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sealed contai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밀폐 용기(100)는 크게 용기 본체(102) 및 덮개(104)로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밀폐 용기(100)가 정육면체 형태를 갖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하지만, 상기 밀폐 용기(100)는 직육면체, 원기둥, 타원기둥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sealed container 100 is largely composed of a container body 102 and a cover 104. Hereinafter, the case where the closed container 100 has a cube shape will be described. However, the sealed container 100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a cylinder, an elliptic cylinder.

도 2는 도 1의 용기 본체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용기 본체를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Ⅳ-Ⅳ'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단 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A 영역를 확대한 확대도이다.FIG. 2 is a plan view illustrating the container body of FIG. 1, and FIG. 3 is a bottom view illustrating the container body of FIG. 1.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V-IV ′ of FIG. 2, and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region A of FIG. 4.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용기 본체(102)는 바닥부(110), 제1 돌출부(120), 측벽부(130), 제1 립(140) 및 제2 립(150)을 포함한다. 상기 용기 본체(102)는 내부에 음식물 등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갖는다. 2 to 5, the container body 102 includes a bottom portion 110, a first protrusion 120, a side wall portion 130, a first lip 140, and a second lip 150. do. The container body 102 has a space for accommodating food or the like therein.

상기 바닥부(110)는 정사각 평판 형태를 갖는다.The bottom 110 has a square flat plate shape.

상기 제1 돌출부(120)는 하방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지며, 상기 바닥부(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돌출부(120)는 평면이 정사각 띠 형상을 갖는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돌출부(120)는 단면이 라운드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1 돌출부(120)의 네 모서리에는 'ㄱ'자 형태의 지지대(122)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지지대(122)는 상기 용기 본체(102)가 놓여지는 바닥과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한다.The first protrusion 120 has a shape protruding downward, and is provided along an edge of the bottom portion 110. As shown in FIG. 3, the first protrusion 120 has a square strip shape in plan view. 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the first protrusion 120 has a round cross section. Four corners of the first protrusion 120 are provided with '122' shaped supports 122, respectively. The support 122 minimizes the contact area with the bottom on which the container body 102 is placed.

상기 측벽부(130)는 상기 제1 돌출부(120)에서 상방으로 연장된다. 예를 들면, 상기 측벽부(130)는 외측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상방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측벽부(130)는 위가 넓고 아래가 좁은 형태이다.The side wall portion 130 extends upward from the first protrusion 120. For example, the side wall portion 130 extends upwardly to be inclined in the outward direction. Therefore, the side wall portion 130 has a wide top and a narrow bottom.

상기 제1 립(140)은 상기 측벽부(130)의 상단부 둘레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1 립(140)은 제1 높이를 갖는다. 상기 제1 립(140)의 상부면에는 요철(142)이 형성된다. 상기 요철(142)은 상기 제1 립(140)의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용기 본체(102)와 상기 덮개(104)가 결합될 때, 상기 요철(142)은 상기 제1 립(140)이 상기 덮개(104)에 잘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The first lip 140 extends upward from the circumference of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portion 130. The first lip 140 has a first height. Concave-convex 142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lip 140. The unevenness 142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rst lip 140. When the container body 102 and the cover 104 are combined, the unevenness 142 may allow the first lip 140 to closely adhere to the cover 104.

상기 제2 립(150)은 상기 측벽부(130)의 상단부 둘레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후, 다시 상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2 립(150)은 상기 제1 립(140)과 일정 간격만큼 이격된다. 상기 제2 립(150)은 상기 제1 높이보다 낮은 제2 높이를 갖는다. 상기 제2 립(150)의 외측면 상단부의 둘레를 따라 제1 돌기(152)가 구비된다. 상기 제1 돌기(152)는 상기 용기 본체(102)와 상기 덮개(104)의 결합을 유지시켜 상기 용기 본체(102)와 상기 덮개(104)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second lip 150 extends outward from the periphery of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portion 130 and then upwards again. The second lip 150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lip 140 by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second lip 150 has a second height lower than the first height. A first protrusion 152 is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upper end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lip 150 . The first protrusion 152 maintains the container body 102 and the cover 104 to prevent the container body 102 and the cover 104 from being separated.

상기 제1 립(140)에는 실링지(106)가 부착된다. 상기 제1 립(140)에는 상기 요철(142)이 구비되므로 상기 실링지(106)를 용이하게 정확하게 부착할 수 있다. 상기 실링지(106)는 상기 용기 본체(102)를 내부를 밀폐하므로 상기 용기 본체(102)의 내부에 채워진 내용물이 장시간 보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실링지(106)는 상기 제1 립(140)으로 둘러싸인 면적보다 넓은 면적을 갖는다. 상기 제1 립(140)과 제2 립(150)이 서로 이격되어 있고, 상기 제1 립(140)의 제1 높이보다 상기 제2 립(150)의 제2 높이가 낮으므로, 사용자가 상기 실링지(106)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Sealing paper 106 is attached to the first lip 140. Since the unevenness 142 is provided in the first lip 140, the sealing paper 106 may be easily and accurately attached. Since the sealing paper 106 seals the container body 102, the contents filled in the container body 102 may be stored for a long time. For example, the sealing paper 106 has a larger area than the area surrounded by the first lip 140. Since the first lip 140 and the second lip 15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second height of the second lip 150 is lower than the first height of the first lip 140, the user The sealing paper 106 can be easily removed.

상기 제1 립(140) 및 제2 립(150)이 연장되는 상기 측벽부(130)의 외측면 둘레를 따라 제1 두께를 갖는 제1 걸림턱(132)이 구비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두께는 상기 제1 립(140)의 두께보다 작다. A first latching jaw 132 having a first thickness is provided along a circumference of an outer surface of the sidewall portion 130 from which the first lip 140 and the second lip 150 extend. For example, the first thickness is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irst lip 140.

도 6은 도 2의 Ⅵ-Ⅵ'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VI 'of FIG. 2.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립(140) 및 제2 립(150)이 연장되는 상기 측벽부(130)의 외측면 중 모서리 부분에는 제2 두께를 갖는 제2 걸림턱(134)이 구비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두께는 상기 제1 립(140)의 두께와 같거나 상기 제1 립(140)의 두께보다 두껍다. 상기 용기 본체(102)를 다수개 적층하는 경우, 하부에 위치하는 용기 본체(102)의 상기 제1 립(140)은 상부에 위치하는 용기 본체(102)의 제2 걸림턱(134)을 지지한다. 상기 제2 걸림턱(134)이 각 모서리에만 구비되므로, 상기 다수의 용기 본체(102)는 서로 밀착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다수의 용기 본체(102)가 적층되더라도 서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a second catching jaw 134 having a second thickness is provided at a corner of an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part 130 where the first lip 140 and the second lip 150 extend. do. For example, the second thickness is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first lip 140 or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irst lip 140. When stacking a plurality of the container body 102, the first lip 140 of the container body 102 located at the bottom supports the second locking step 134 of the container body 102 located at the top. do. Since the second locking step 134 is provided only at each corner, the plurality of container bodies 102 are not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refore, even if a plurality of container bodies 102 are stacked, they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each other.

도 7은 도 1의 덮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Ⅷ-Ⅷ'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FIG. 7 is a plan view illustrating the cover of FIG. 1, and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I-VII ′ of FIG. 7.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덮개(104)는 평판부(160), 제2 돌출부(170), 절곡부(180) 및 수용부(190)를 포함한다. 상기 덮개(104)는 상기 용기 본체(102)를 밀폐하여 외부 공기가 상기 용기 본체(102)의 내부로 침투하지 못하게 하며, 상기 용기 본체(102) 내부의 냄새가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게 한다. 7 and 8, the cover 104 includes a flat plate 160, a second protrusion 170, a bent portion 180, and a receiving portion 190. The cover 104 seals the container body 102 to prevent outside air from penetrating in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body 102 and prevents the odor inside the container body 102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상기 평판부(160)는 정사각 평판 형태를 갖는다. 상기 평판부(160)의 크기는 상기 바닥부(110)의 크기 및 제1 돌출부(120)의 크기를 합한 크기보다 약간 큰 크기를 갖는다.The flat plate 160 has a square flat plate shape. The size of the flat plate portion 160 has a size slightly larger than the size of the size of the bottom portion 110 and the size of the first protrusion 120.

상기 제2 돌출부(170)는 상방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지며, 상기 평판부(160)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돌출부(170)는 양측면이 경사진 형태를 갖는다. The second protrusion 170 has a shape protruding upward, and is provided along an edge of the flat plate 160. As shown in FIG. 8, the second protrusion 170 has a shape in which both sides thereof are inclined.

상기 밀폐 용기(100)의 적층시, 상기 용기 본체(102)의 바닥부(110) 및 제1 돌출부(120)가 상기 제2 돌출부(170)에 의해 가이드된다. 따라서, 상기 용기 본체(102)를 상기 덮개(104) 상에 정확하게 적층할 수 있다. When stacking the sealed container 100, the bottom 110 and the first protrusion 120 of the container body 102 are guided by the second protrusion 170. Thus, the container body 102 can be accurately stacked on the lid 104.

도 9는 도 8의 B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FIG. 9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region B of FIG. 8.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절곡부(180)는 상기 제2 돌출부(170)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며, 상기 평판부(160)의 하방으로 절곡된다. 상기 용기 본체(102)와 상기 덮개(104)의 결합시, 상기 절곡부(180)는 상기 제1 립(140)을 가이드하여 상기 용기 본체(102)와 상기 덮개(104)가 정확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Referring to FIG. 9, the bent portion 180 is provided along an edge of the second protrusion 170 and is bent downward of the flat plate portion 160. When the container body 102 and the cover 104 are coupled, the bent portion 180 guides the first lip 140 so that the container body 102 and the cover 104 are accurately coupled. .

상기 수용부(190)는 상기 절곡부(180)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며, 상기 제2 립(150)을 수용한다. 상기 수용부(190)는 상기 제2 립(150)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192)을 한정하는 제1 가이드(194) 및 상기 제1 가이드(194)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 가이드(196)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용홈(192)은 상기 제1 가이드(194)의 외측벽 및 상기 제2 가이드(196)의 내측벽에 의해 한정된다. 상기 제1 가이드(194)의 외측벽 하단은 라운드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용기 본체(102)와 덮개(104)의 결합시, 상기 제2 립(150)은 상기 제1 가이드(194)에 의해 가이드되므로 상기 수용홈(192)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가이드(196)는 내측벽을 따라 제2 돌기(198)를 구비한다. 상기 제2 립(150)이 상기 수용홈(192)에 삽입되면, 상기 제2 립(150)의 제1 돌기(152)와 상기 제2 돌기(198)가 서로 맞물린다. 따라서, 상기 용기 본체(102)와 덮개(104)는 단단하게 결합된다. The accommodating part 190 is provided along an edge of the bent part 180 and accommodates the second lip 150. The accommodating part 190 includes a first guide 194 defining an accommodating groove 192 for accommodating the second lip 150 and a second guide 196 located outside the first guide 194. ). Specifically, the receiving groove 192 is defined by the outer wall of the first guide 194 and the inner wall of the second guide 196. The lower end of the outer wall of the first guide 194 has a round shape. Therefore, when the container body 102 and the cover 104 are coupled, the second lip 150 is guided by the first guide 194 and thus may be easily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192. In addition, the second guide 196 includes a second protrusion 198 along the inner wall. When the second lip 15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192, the first protrusion 152 and the second protrusion 198 of the second lip 150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hus, the container body 102 and the cover 104 is tightly coupled.

또한, 상기 용기 본체(102)와 상기 덮개(104)가 결합할 때, 상기 용기 본체(102)의 제2 립(150)의 내측면이 제1 가이드(194)의 외측벽과 밀착된다. 상기 제2 립(150)이 상기 수용부(190)와 밀착되므로 상기 밀폐 용기(100)의 내부를 효과적으로 밀폐한다.In addition, when the container body 102 and the cover 104 are coupled,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lip 150 of the container body 10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wall of the first guide 194. Since the second lip 15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accommodating part 190, the inside of the airtight container 100 is effectively sealed.

상기 요철(142)을 포함한 제1 립(140)과 제2 립(150)의 높이차가 상기 제1 립(140)과 접촉하는 절곡부(180)와 제2 립(150)을 수용하는 수용부(190)의 높이차보다 약간 크다. 따라서, 상기 제2 립(150)이 상기 수용부(190)에 수용되면, 상기 상기 절곡부(180)가 상기 제1 립(140)을 누른다. 상기 절곡부(180)가 상기 제1 립(140)을 누르는 힘에 의해 상기 요철(142)이 눌려지면서 상기 제1 립(140)과 상기 절곡부(180)는 밀착된다. An accommodation part accommodating a bent portion 180 and a second lip 150 in which a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lip 140 and the second lip 150 including the unevenness 142 contacts the first lip 140. Slightly larger than the height difference of 190. Therefore, when the second lip 150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190, the bent part 180 presses the first lip 140. As the unevenness 142 is pressed by the force of the bent portion 180 pressing the first lip 140, the first lip 140 and the bent portion 180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한편, 상기 제2 가이드(196)를 외측 방향으로 당기면 상기 제1 돌기(152)와 제2 돌기(198)의 맞물림이 느슨해진다. 이 상태에서, 상기 용기 본체(102)와 덮개(104)를 분리하면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second guide 196 is pulled outward, the engagement of the first protrusion 152 and the second protrusion 198 is loosened. In this state, the container body 102 and the cover 104 can be separated easily.

상기와 같은 밀폐 용기(100)는 사용자가 상기 수용부(190)를 위로 잡아당겨 상기 제2 립(150)과 상기 수용홈(192)의 결합을 해제하여 상기 덮개(104)와 상기 용기 본체(102)를 분리한다. 상기 덮개(104)가 분리되면 상기 제1 립(140)에 부착된 실링지(106)가 노출된다. 상기 실링지(106)는 상기 제1 립(140)에서 외측으로 더 돌출된 상태이므로 상기 실링지(106)의 임의의 부분을 사용자가 편의대로 잡아 당겨 상기 제1 립(140)으로부터 이탈시킨다. 이후, 상기 용기 본체(102) 내의 내용물을 원하는 양만큼 퍼내고 덮개(104)를 닫는다. 그러면, 상기 제2 립(150)이 상기 수용부(190)의 수용홈(192)에 끼워지며, 상기 제1 돌기(152)와 제2 돌기(198)가 서로 맞물려 상기 용기 본체(102)와 상기 덮개(104) 사이의 결합이 유지된다.In the sealed container 100 as described above, the user pulls up the accommodating part 190 to release the coupling between the second lip 150 and the accommodating groove 192 so that the cover 104 and the container body ( 102). When the cover 104 is removed, the sealing paper 106 attached to the first lip 140 is exposed. Since the sealing paper 106 is further protruded outward from the first lip 140, a user pulls any portion of the sealing paper 106 for convenience and separates it from the first lip 140. Thereafter, the contents of the container body 102 are scooped out by a desired amount and the lid 104 is closed. Then, the second lip 150 is fit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192 of the receiving portion 190, the first protrusion 152 and the second protrusion 198 is engaged with each other and the container body 102 and The bond between the covers 104 is maintained.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밀폐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A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ealed container according to a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n enlarged view of an enlarged portion A of FIG. 9.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밀폐 용기(200)는 크게 용기 본체(202) 및 덮개(204)로 구성된다. 상기 용기 본체(202)는 바닥부(210), 제1 돌출부(220), 측벽부(230), 제1 립(240) 및 제2 립(250)을 포함한다. 상기 덮개(204)는 평판부(260), 제2 돌출부(270), 절곡부(280) 및 수용부(290)를 포함한다. 9 and 10, the sealed container 200 is largely composed of a container body 202 and a cover 204. The container body 202 includes a bottom portion 210, a first protrusion 220, a side wall portion 230, a first lip 240, and a second lip 250. The cover 204 includes a flat plate portion 260, a second protrusion 270, a bent portion 280, and a receiving portion 290.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 용기(200)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 따른 밀폐 용기(100)의 제1 돌기(152) 및 제2 돌기(198)가 구비되지 않고, 상기 수용홈(292)의 폭이 상기 제1 실시예에 따른 밀폐 용기(100)의 수용홈(192)의 폭과 다른 것을 제외하면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 따른 밀폐 용기(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The sealed containe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provided with the first protrusion 152 and the second protrusion 198 of the sealed container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S. 1 to 8. The sealed contai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S. 1 to 8 except that the width of the receiving groove 292 is different from the width of the receiving groove 192 of the sealed container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 Substantially the same as 100).

따라서, 상기 밀폐 용기(200)는 상기 제2 립(240)의 외측면에 제1 돌기가 구비되지 않고, 제2 가이드(296)는 내측벽에 제2 돌기가 구비되지 않는다.Therefore, the closed container 200 does not have the first protrus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lip 240, and the second guide 296 does not have the second protrusion on the inner wall.

상기 수용부(290)는 상기 절곡부(280)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며, 상기 제2 립(250)을 수용한다. 상기 수용부(290)는 상기 제2 립(250)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292)을 한정하는 제1 가이드(294) 및 상기 제1 가이드(294)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 가이드(296)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용홈(292)은 상기 제1 가이드(294)의 외측벽 및 상기 제2 가이드(296)의 내측벽에 의해 한정된다. 상기 수용홈(292)은 상기 용기 본체(202)의 상기 제2 립(250)과 동일한 폭을 갖는다.The receiving portion 290 is provided along the edge of the bent portion 280 and accommodates the second lip 250. The receiving portion 290 defines a first guide 294 defining a receiving groove 292 for accommodating the second lip 250 and a second guide 296 positioned outside the first guide 294. ). Specifically, the receiving groove 292 is defined by the outer wall of the first guide 294 and the inner wall of the second guide 296. The receiving groove 292 has the same width as the second lip 250 of the container body 202.

상기 용기 본체(202)와 상기 덮개(204)가 결합할 때, 상기 용기 본체(202)의 제2 립(250)의 외측면이 상기 덮개(204)의 제2 가이드(296)의 내측벽과 밀착되고, 상기 제2 립(250)의 내측면이 제1 가이드(294)의 외측벽과 밀착된다. 상기 제2 립(250)이 상기 수용부(290)와 밀착되므로 상기 밀폐 용기(200)의 내부를 효과적으로 밀폐한다.When the container body 202 and the cover 204 are engaged,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lip 250 of the container body 202 is connected with the inner wall of the second guide 296 of the cover 204.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lip 25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wall of the first guide 294. Since the second lip 25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accommodating part 290, the inside of the airtight container 200 is effectively seal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밀폐 용기는 제1 립과 제2 립이 이격되며 높이가 다르므로 상기 제1 립에 부착된 실링지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용기 본체와 덮개의 결합시, 상기 덮개가 상기 제1 립의 상부면에 형성된 요철을 눌러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를 밀폐한다. 따라서, 상기 실링지가 제거되더라도 상기 용기 본체 내부를 밀폐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ealed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sealing paper attached to the first lip because the first lip and the second lip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ddition, when the container body and the cover are combined, the cover seals the inside of the container body by pressing the unevennes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lip. Therefore, even when the sealing paper is removed, the inside of the container body can be kept in a sealed state.

그리고, 상기 용기 본체들의 적층시, 상기 제2 립이 상기 용기 본체 외부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리므로 상기 용기 본체들이 서로 밀착되지 않고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ontainer bodies are stacked, the second lip is caught by a locking jaw formed outside the container body, so that the container bodies may be easily separated without being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실용신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utility model claims I can understand that you can.

Claims (9)

상단부 둘레를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며, 실링지(106)가 부착되는 제1 립(lip, 140) 및 상기 상단부 둘레를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립(140)과 이격되어 외측에 위치하는 제2 립(150)을 갖는 용기 본체(102); 및A first lip extending upward along the upper periphery, the first lip 140 to which the sealing paper 106 is attached, and extending upwardly along the upper periphery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lip 140. A container body 102 having two lips 150; And 상기 용기 본체(102)와 결합될 때 상기 제1 립(140)의 상부면과 밀착되고, 상기 제2 립(150)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192)을 가지며, 상기 용기 본체(102)를 밀폐하는 덮개(104)를 포함하는 밀폐 용기.When coupled with the container body 102 and has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lip 140, having a receiving groove 192 for accommodating the second lip 150, the container body 102 An airtight container comprising a lid 104 for seal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립(140)은 제1 높이를 가지며, 상기 제2 립(150)은 상기 제1 높이보다 낮은 제2 높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용기.The closed container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lip has a first height and the second lip has a second height that is lower than the first heigh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립(140)은 상부면에 요철(142)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용기.The closed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first lip (140) has irregularities (142) on an upper surface thereof.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142)을 포함한 제1 립(140)과 제2 립(150)의 높이차가 상기 제1 립(140)과 접촉하는 상기 덮개(104)의 저면과 상기 수용홈(192)의 높이차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용기.According to claim 3,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lip 140 and the second lip 150 including the unevenness 142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cover 104 and the receiving groove in contact with the first lip 140 An airtight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larger than the height difference of 19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104)는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용기 본체(102)의 저면을 가이드하여 수용하기 위한 돌출부(17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용기.A closed container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the cover (104) has a protrusion (170) for guiding and receiving a bottom of the container body (102) along an edge there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립(150)은 외측면 둘레를 따라 제1 돌기(152)를 가지며, 상기 덮개(104)는 상기 수용홈(192)의 외측 내벽을 따라 상기 제1 돌기(152)와 맞물리는 제2 돌기(198)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용기.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lip 150 has a first protrusion 152 along the outer surface circumference, the cover 104 is the first protrusion along the outer inner wall of the receiving groove (192) 152 with a second projection (198) for engag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립(150)의 수용을 위해 상기 수용홈(192)의 내측 내벽(194)은 라운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용기.The sealed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ner inner wall (194) of the receiving groove (192) has a round shape for accommodating the second lip (15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립(140) 및 제2 립(150)이 연장되는 상기 용기 본체(102)의 외측면에 상기 용기 본체(102)의 적층시 상기 제1 립(140)에 의해 지지되는 걸림턱(13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용기.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lip 140 and the second lip 150 is extended to the first lip 140 when the container body 102 is stack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102 is extended The sealed container further comprising a locking jaw (134) supported by.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134)은 상기 용기 몸체(102)의 외측면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용기.The sealed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locking jaw (134) is dispos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ntainer body (102).
KR2020060019169U 2006-07-14 2006-07-14 Airtight container KR200430030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9169U KR200430030Y1 (en) 2006-07-14 2006-07-14 Airtight contai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9169U KR200430030Y1 (en) 2006-07-14 2006-07-14 Airtight contai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0030Y1 true KR200430030Y1 (en) 2006-11-02

Family

ID=41778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9169U KR200430030Y1 (en) 2006-07-14 2006-07-14 Airtight contai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0030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346168A1 (en) Multipurpose Storage Box
KR200438192Y1 (en) Fruit packing box
KR200439997Y1 (en) Airtight vessel in which a sealing membrane could be installed
JP3203904U (en) Nail divider
KR200430030Y1 (en) Airtight container
JP3200813U (en) Food packaging container
KR20090011014U (en) Packing box
KR20050081341A (en) Variable capacity airtight container
KR200364895Y1 (en) a case for vegetablessalad
KR20110011870U (en) Container
KR200161766Y1 (en) Packing box
JP7054175B2 (en) Inner fitting container for packaging
KR200478597Y1 (en) Container for keeping food
KR101845361B1 (en) Tray container structure
JP7244045B2 (en) packaging container
EP1892196A1 (en) Resealable packaging for sliced foods
KR102096424B1 (en) A package container with increased sealing
KR20220072434A (en) Packing container for food
JP7199175B2 (en) mating container
CA2426739A1 (en) Food container
JP6454042B1 (en) Packaging container
JP6454044B1 (en) Packaging container
JP6484384B1 (en) Packaging container
JP2017077361A (en) container
JP6454043B1 (en) Packaging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