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9940Y1 - 슬라이딩 장식부재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장식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9940Y1
KR200429940Y1 KR2020060022583U KR20060022583U KR200429940Y1 KR 200429940 Y1 KR200429940 Y1 KR 200429940Y1 KR 2020060022583 U KR2020060022583 U KR 2020060022583U KR 20060022583 U KR20060022583 U KR 20060022583U KR 200429940 Y1 KR200429940 Y1 KR 2004299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surface member
decorative member
display unit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25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석호
Original Assignee
현석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석호 filed Critical 현석호
Priority to KR20200600225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99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99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994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슬라이딩이 가능한 휴대용 장식부재에 관한 것으로, 일측에 고리부가 구비되어 결속부재가 연결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면에 결합되는 클리너부와, 상기 몸체의 상면에 구비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상면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는 수용부가 구비된 상면부재와, 상기 상면부재와 밀착되어 슬라이딩 되고 상기 클리너부가 접착되는 하면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상면에 표시부가 구비되어 사진, 또는 광고물을 수용시킬 수가 있고, 하면에는 클리너부가 구비되어 휴대기기 및 안경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두 부재 중 어느 하나의 부재를 일측 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표시부의 내용물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가 있다.
휴대, 장식부재, 악세사리, 클리너, 표시부, 휴대기기

Description

슬라이딩 장식부재{SLIDING ADORNMENTS}
도 1은 본 고안의 슬라이딩 장식부재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슬라이딩 장식부재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결합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슬라이딩 장식부재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슬라이딩 장식부재의 제2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슬라이딩 장식부재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슬라이딩 장식부재의 제3실시예에 사용 상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장식부재 100 : 몸체
110 : 상면부재 111 : 수용부
112 : 삽입홀 113 : 개구부
113' : 하부개구부 114 : 걸림턱
115 : 슬라이딩홈 120 : 하면부재
140 : 가이드돌기 150 : 가이드홈
151 : 고정돌기 200 : 표시부
210 : 보호층 300 : 클리너부
400 : 위치고정부재
본 고안은 슬라이딩 장식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측면에 표시부가 구비되고, 타측면에 클리너가 구비되어 휴대기기 및 열쇠고리에 결속되고, 어느 하나의 부재가 일측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 장식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식부재는 개인이 휴대할 수 있는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CDP(Compact Disc Player), MP3(MPEG Audio Layer-3), MD(Mini Disk Player), 디지털 카메라(DC;Digital Camara) 등 다양한 휴대기기에 결속되거나, 각종 키(key)를 휴대할 수 있도록 열쇠고리에 결속되는 악세사리이다.
한편, 휴대기기에 결속끈으로 연결되는 장식부재는 매우 다양한 것들이 제공되고 있다. 즉, 이러한 장식부재는, 소형의 캐릭터 및 인형 또는 특정 회사의 로고가 새겨진 얇은 판 형상의 장식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이 밖에도 최근에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이 링 형상의 장식부재이다. 이 링 형상의 장식부재는 손가락에 끼운 상태에서 휴대기기를 동작시킬 수 있는 점에서 매우 큰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장식부재들은 휴대기기에 결속되는 단순한 형태 및 악세사리의 기능만을 제공하고 있었다. 특히, 휴대폰을 사용할 경우 화장을 하는 여성은 휴대폰의 액정 부분이 얼굴에 닿게 되어 휴대폰의 액정에 화장이 묻게 된다. 그리고, 여름철에는 얼굴에 묻은 땀이 통화시에 휴대폰의 액정에 묻게되고, 번질거림이나 각종 이물질 등이 액정화면에 묻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인형과 같은 소형의 캐릭터로 닦게 될 경우 이 인형을 수시로 떼어 내어 세탁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장식부재를 인형으로 구비하는 연령층은 주로 10대 위주의 여성에게 국한되어 그 활용도가 매우 미약한 실정이다.
따라서, 휴대기기에 묻게 되는 화장과 땀, 그리고 각종 이물질들을 옷이나 휴지로 제거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었다.
그러므로, 최근에 등장한 것이 휴대기기에 결속시킬 수 있는 클리너가 구비된 장식부재이다. 상기 장식부재는 그 일면에 극세사천이 결합되어 상기 극세사천으로 LCD창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클리너가 구비된 장식부재는 결속끈으로 휴대기기에 묶여지기 때문에 반듯이 휴대기기에만 결속시킬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즉, 종래에 제공된 장식부재들은 하나의 부재에 극세사천이 함침된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극세사천이 함침되는 몸체는 얇은 합성수지재로 구성된다. 따라서, 열쇠고리에 상기 장식부재를 결속시킬 수 없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단순히 휴대기기에 구비된 LCD창에 묻은 이물질만을 제거하는 역할만 갖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결속끈의 유무에 따라 휴대기기나 열쇠고리에 결속시킬 수 있는 슬라이딩 장식부재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일면에는 클리너부가 구비되고, 타면에는 표시부가 구비되어 LCD창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함과 동시에 각종 광고 및 사진 등을 수용시킬 수 있는 슬라이딩 장식부재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어느 하나의 부재가 슬라이딩 되어 표시부를 수시로 교체할 수 있는 슬라이딩 장식부재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슬라이딩 장식부재는, 일측에 고리부가 구비되어 결속부재가 연결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하면에 결합되는 클리너부, 상기 몸체의 상면에 구비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상면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는 수용부가 구비된 상면부재; 상기 상면부재와 밀착되어 슬라이딩 되고, 상기 클리너부가 접착되는 하면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고안의 슬라이딩 장식부재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하면부재 중 어느 하나의 부재에 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돌기와 대응되는 가이드홈이 상기 상·하면부재 중 어느 하나의 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상·하면부재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일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된다.
본 고안의 슬라이딩 장식부재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의 일측 끝단부에 형성된 고정돌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돌기가 상기 고정돌기에 위치되어 상기 상·하면부재의 슬라이딩을 억제한다.
본 고안의 슬라이딩 장식부재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면부재와 상기 하면부재 중 어느 하나의 부재에 형성된 슬라이딩홈;을 더 포함하되, 상기 슬 라이딩홈은 단면이 'ㄷ'의 형상을 갖고, 상기 상·하면부재 중 상기 슬라이딩홈과 대응되는 어느 하나의 부재 양측이 상기 슬라이딩홈과 밀착된다.
본 고안의 슬라이딩 장식부재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면부재와 상기 하면부재의 표면이 도색 처리된다.
본 고안의 슬라이딩 장식부재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면부재와 상기 하면부재는, 금속, 합성수지, 목재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합성수지는, 우레탄, 고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카보네이트이다.
본 고안의 슬라이딩 장식부재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표시부의 상측에 위치되는 투명한 재질의 보호층;이 더 구비된다.
본 고안의 슬라이딩 장식부재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광고물, 인쇄물, 사진, 그림, 문자, 문양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구비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휴대용 장식부재의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내지 도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휴대용 장식부재(10)는 상면부재(110)와 하면부재(120)로 구분된 몸체(100), 상기 몸체의 상면에 구비된 표시부(200), 상기 몸체(100)의 하면에 구비된 클리너부(300)로 크게 구분된다.
상기 몸체(100)는 금속, 합성수지, 목재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구성된다. 특히, 합성수지는 우레탄(urethane), 고무,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 렌(polypropylene),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폴리카보네이트(poly carbonate) 중 하나가 선택되어 채용된다.
또한, 상기 몸체(100)는 사각, 원형, 다각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몸체(100)는 사각의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몸체(100)의 외측면에는 전체적으로 도색처리된다. 즉, 상기 몸체(100)가 금속으로 구성될 경우 부식 및 스크래치의 발생을 억제시키는 것이고, 합성수지 및 목재로 구성될 경우 금속과 같은 느낌을 주도록 도색처리가 되는 것이다.
상기 몸체(100)는 상면부재(110)와 하면부재(120)로 분리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100)의 일측에 고리부(미도시)를 형성시켜 결속끈(미도시)을 결속시키거나 열쇠고리를 결속시킬 수 있다.
상기 상면부재(110) 내부에 상기 표시부(200)가 위치될 수 있도록 수용부(11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111)의 일측에는 삽입홀(112)이 형성되어 상기 표시부(200)를 상기 수용부(111)에 삽입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면부재(110)에 형성된 상기 수용부(111)의 상부는 외부로 노출되는 개구부(11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111)와 상기 개구부(113) 사이에는 걸림턱(114)이 형성되어 상기 표시부(200)가 상기 개구부(113)의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는다.
상기 하면부재(120)는 상기 상면부재(110)의 하측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상면부재(110)에 대하여 일측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구조를 갖는다.
즉, 상기 상면부재(110)와 상기 하면부재(120) 중 어느 하나의 부재가 다른 부재에 대하여 횡 방향 또는 종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것이다.
상기 상면부재(110)와 상기 하면부재(120) 중 어느 하나의 부재에는 가이드돌기(140)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돌기(140)와 대응되는 다른 부재에는 가이드홈(150)이 형성된다.
도시된 도면에서는 상기 상면부재(110)에 가이드돌기(140)가 형성되고, 상기 하면부재에 가이드홈(150)이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다. 그러나, 상기 가이드돌기(140)와 상기 가이드홈(150)은 서로 반대된 위치에 구성될 수도 있으며, 각각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가이드돌기(140)와 상기 가이드홈(150)은 상기 상면부재(110)와 상기 하면부재(120)의 밀착면에 각각 형성된다. 또한, 일측 방향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홈(150)은 상기 상면부재(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대략 절반 정도의 길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체적인 길이방향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가이드홈(150)의 길이에 따라 상기 상면부재(110)와 상기 하면부재(120)의 슬라이딩 영역이 설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이드홈(150)의 일측 끝단에는 고정돌기(151)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돌기(151)는 상기 가이드홈(150) 내에 위치되며 상기 가이드홈(150)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즉, 상기 가이드돌기(140)의 위치를 잡아주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가이드돌기(140)는 상기 가이드홈(150)의 대응되는 부재에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150)을 따라 왕복 운동되는 구성을 갖는다. 즉, 상기 상면부재(110)를 일측 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켰을 때 상기 가이드돌기(140)는 상기 가이드홈(150) 내에서 위치 이동되고, 상기 상면부재(110)가 슬라이딩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면부재(110)를 원위치로 복귀시킬 때는 상기 상면부재(110)와 상기 하면부재(120)가 완전히 밀착되기 직전에 상기 가이드돌기(140)가 상기 고정돌기(151)와 밀착되어 상기 가이드홈(150)의 끝단부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상면부재(110)와 상기 하면부재(120)가 자연적인 힘에 의해서 슬라이딩 되는 것을 방지하고, 인위적인 힘에 의해서만 슬라이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면부재(110)와 상기 하면부재(120) 중 어느 하나의 부재에는 슬라이딩홈(115)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시된 도면에서는 상기 슬라이딩홈(115)이 상기 상면부재(110)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다.
상기 슬라이딩홈(115)은 상기 상면부재(11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 그 형상은 단면이 'ㄷ'의 형상을 갖는다. 즉, 상기 상면부재(110)의 양측은 각각 '⊂', '⊃'을 갖거나,'[', ']'의 형상을 갖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면부재(120)의 양측은 각각 상기 슬라이딩홈(115) 내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하면부재(120)가 상기 슬라이딩홈(115)을 따라 일측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표시부(200)는 광고물, 인쇄물, 사진, 그림, 문자, 문양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표시부(200)는 개인 및 가족 등의 사진을 삽입시킬 수 있고, 특정 회사 및 기업 등의 광고, 홍보용 인쇄물이 위치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표시부(200)의 상측에는 투명한 재질의 보호층(210)이 더 구비된다. 상기 보호층(210)은 상기 개구부(113)에 억지끼움되어 상기 표시부(200)가 외부 환경에 의해서 변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클리너부(300)는 상기 하면부재(120)의 하측면에 위치된다. 상기 하면부재(120)의 하면에 수용홈을 형성시켜 상기 클리너부(300)를 위치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클리너부(300)와 상기 하면부재(120)는 동일한 표면 높이를 갖게 된다.
상기 클리너부(300)는 각종 휴대기기의 액정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안경 등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매우 부드러운 소재로 구성된다. 즉, 극세사천(융)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클리너부(300)는 접착물질을 이용하여 상기 하면부재(120)에 접합시켜 고정시킨다.
이상과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휴대용 장식부재(10)의 사용상태 설명은 다음과 같다.
상면부재(110)의 개구부(113)에 보호층(210)을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보호층(210)은 상기 개구부(113)에 억지끼움으로 고정된다. 또한, 상기 상면부재(110)의 수용부(111)에 표시부(200)를 위치시킨다. 상기 표시부(200)는 상기 수용부(111)의 일측에 형성된 삽입홀(112), 또는 상기 수용부(111)의 하측에서 넣는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200)는 상기 보호층(210)의 하면에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보호층(210)은 투명한 소재로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표시부(200)가 외부로 표시되는 것이다.
상기 몸체(100)는 상면부재(110)와 하면부재(120)로 이루어지고, 두 부재 중 어느 한 부재가 일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된다.
즉, 상기 상면부재(110)와 상기 하면부재(120)의 밀착면에는 각각 가이드돌기(140)와 가이드홈(150)이 형성되어 어느 하나의 부재를 일측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면부재(110)에 슬라이딩홈(115)이 형성되어 상기 하면부재(120)가 상기 슬라이딩홈(115)에서 일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된다.
한편, 상면부재(110)에 삽입홀(112)이 형성된 경우 상기 삽입홀(112)을 통해 표시부(200)를 교체할 수가 있다. 그러나, 상기 삽입홀(112)이 형성되지 않을 경우, 상기 상면부재의 하측에 구비된 하부개구부(113')를 통해 수용부(111)에 위치시켜야만 한다.
따라서, 상기 삽입홀(112)이 형성되지 않을 경우에는 어느 하나의 부재를 슬라이딩시켜 표시부(200)를 교체해야하기 때문에, 상기 상면부재(110)에 형성된 수용부에 별도의 위치고정부재(40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위치고정부재(400)는 얇은 두께를 갖는 표시부(200)의 위치를 고정해주는 것이며, 상기 표시부(200)의 하측에 위치되면서 상기 수용부(111)에 억지끼움된다. 이러한 소재는 탄성소재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슬라이딩 장식부재는 크게 3가지 형태의 실시예로 구성되어 어느 하나의 부재가 일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구조를 갖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를 갖는 본 고안의 휴대용 장식부재(10)는 그 하면에 클리너부(300)가 구비되어 휴대기기의 액정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안경 등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휴대용 장식부재(10)는 결속끈을 이용하여 각종 휴대기기에 결속시킬 수도 있으며, 열쇠를 결속시키는 열쇠고리에 체결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휴대용 장식부재는 상면에 표시부가 구비되어 광고 또는 사진 등을 수용시킬 수가 있고, 하면에는 클리너부가 구비되어 LCD창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몸체에 고리부가 구비되어 결속끈을 연결시킨 후 휴대기기에 체결하거나, 상기 고리부를 열쇠고리에 직접 연결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몸체는 상면부재와 하면부재로 분리되어 어느 하나의 부재를 일측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면부재에 구비된 수용부에 표시부를 수용시킬 수가 있다.
뿐만 아니라, 표시부에는 별도의 보호층이 구비되어 몸체 및 표시부 내부로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8)

  1. 일측에 고리부가 구비되어 결속부재가 연결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하면에 결합되는 클리너부;
    상기 몸체의 상면에 구비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상면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는 수용부가 구비된 상면부재;
    상기 상면부재와 밀착되어 슬라이딩 되고, 상기 클리너부가 접착되는 하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장식부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면부재 중 어느 하나의 부재에 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돌기와 대응되는 가이드홈이 상기 상·하면부재 중 어느 하나의 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상·하면부재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일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장식부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의 일측 끝단부에 형성된 고정돌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돌기가 상기 고정돌기에 위치되어 상기 상·하면부재의 슬라이딩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장식부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부재와 상기 하면부재 중 어느 하나의 부재에 형성된 슬라이딩홈;을 더 포함하되,
    상기 슬라이딩홈은 단면이 'ㄷ'의 형상을 갖고, 상기 상·하면부재 중 상기 슬라이딩홈과 대응되는 어느 하나의 부재 양측이 상기 슬라이딩홈과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장식부재.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부재와 상기 하면부재의 표면이 도색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장식부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부재와 상기 하면부재는,
    금속, 합성수지, 목재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합성수지는,
    우레탄, 고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카보네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장식부재.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표시부의 상측에 위치되는 투명한 재질의 보호층;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장식부재.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광고물, 인쇄물, 사진, 그림, 문자, 문양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장식부재.
KR2020060022583U 2006-08-23 2006-08-23 슬라이딩 장식부재 KR2004299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2583U KR200429940Y1 (ko) 2006-08-23 2006-08-23 슬라이딩 장식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2583U KR200429940Y1 (ko) 2006-08-23 2006-08-23 슬라이딩 장식부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9738A Division KR100709989B1 (ko) 2006-08-23 2006-08-23 슬라이딩 장식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9940Y1 true KR200429940Y1 (ko) 2006-10-30

Family

ID=41778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2583U KR200429940Y1 (ko) 2006-08-23 2006-08-23 슬라이딩 장식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994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19055B2 (en) Method for forming a two-piece case with black or dark colored opening for camera and flash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205813770U (zh) 用于装饰物品的设备
US6950316B2 (en) Electronic device with a slidable cover member
US9897818B2 (en) Ocular frame for stereoscopic image viewer
US20140103789A1 (en) Case With Interchangeable Back Plate
US10218828B2 (en) Attachable supplemental battery for mobile device
KR20120117367A (ko) 휴대용 단말기 보호케이스
US20060165230A1 (en) Holder for portable communications devices and associated methods
WO2005112732A9 (en) Compact cleaning apparatus
WO2009035270A2 (en) A case having double structure for portable apparatus
KR200429941Y1 (ko) 휴대용 장식부재
KR200429940Y1 (ko) 슬라이딩 장식부재
KR100709989B1 (ko) 슬라이딩 장식부재
KR200426083Y1 (ko) 휴대 가능한 다기능 액정 클리너
KR100741386B1 (ko) 휴대용 장식부재
KR10104147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와 휴대용 케이스의 결합구조
KR100774333B1 (ko) 휴대 단말기용 접착식 케이스
KR20150004448U (ko) 포켓 클리너
US20110017634A1 (en) Protective cover for electronic books and electronic media devices
KR200424233Y1 (ko) 크리너가 부착된 휴대용 액세서리
KR200427023Y1 (ko) 커버가 구비된 휴대용 클리너
KR101201923B1 (ko) 터치입력기능을 가지는 전자기기용 보호커버
KR200409101Y1 (ko) 핑거 클리너
KR100767041B1 (ko) 휴대폰 악세사리
KR200413031Y1 (ko) 착탈이 가능한 장식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