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9674Y1 - A wagon for harvest - Google Patents

A wagon for harves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9674Y1
KR200429674Y1 KR2020060020644U KR20060020644U KR200429674Y1 KR 200429674 Y1 KR200429674 Y1 KR 200429674Y1 KR 2020060020644 U KR2020060020644 U KR 2020060020644U KR 20060020644 U KR20060020644 U KR 20060020644U KR 200429674 Y1 KR200429674 Y1 KR 2004296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air
crops
basket
eas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0644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하영득
신봉학
Original Assignee
담양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담양군 filed Critical 담양군
Priority to KR20200600206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9674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96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9674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90/00Vehicles for carrying harvested crops with means for selfloading or unloading
    • A01D90/12Vehicles for carrying harvested crops with means for selfloading or unloading with additional devices or imp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1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provisions for nesting or stacking, e.g. shopping trolleys
    • B62B3/1492Wheel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지지대에 설치된 4개의 바퀴를 밭고랑과 밭고랑에 배치함으로서 힘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안정되게 고정되어 작업자는 농작물의 수확작업에만 집중할 수 있으며, 수확한 농작물의 이동작업에 있어서도 안정된 수레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며, 또한, 상판 및 지지보에 다수의 바구니를 착,탈이 가능하도록 안치할 수 있게 하여 적은 횟수의 이동으로 수확할 수 있는 농작물의 양을 많게 하고, 수확한 농작물을 저장고 등으로 이동시켜 농작물이 채워진 바구니를 탈착하여 저장고 등에 저장할 수 있어 수확한 농작물의 이동 및 저장작업이 용이한 수레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rrange the four wheels installed on the support in the furrows and furrows so that it is fixed stably without any force, so that the worker can concentrate only on the harvesting work of the crops, and the stable wagon in the transporting work of the harvested crop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lace a large number of baskets on the top plate and the support to be attached and detached, to increase the amount of crops that can be harvested in a small number of movements, and to harvest the harvested crops It is to provide a cart that is easy to move and store the harvested crops can be removed by removing the basket filled with crops and stored in storage.

즉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상면에 바구니를 안치할 수 있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밑면의 모서리 주변부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대와, 상기 한 쌍의 지지대 사이에 체결되는 바퀴와, 전,후 지지대의 외주연에 부착되는 한쌍의 지지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수확이 용이한 수레에 의해 달성한다.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op plate for placing the basket on the upper surface for the above purpose, a pair of supports are formed integrally with the edge peripheral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top plate, and the wheel fastened between the pair of supports and It is achieved by a wheelbarrow that is easy to harvest crop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pair of support beams attach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front and rear supports.

상판, 지지대, 지지보, 바퀴, 바구니 Tops, Supports, Supports, Wheels, Baskets

Description

농작물 수확이 용이한 수레{A WAGON FOR HARVEST}Crops for easy crop harvesting {A WAGON FOR HARVEST}

도 1은 본 고안의 농작물 수확이 용이한 수레의 측면도, 1 is a side view of a wheelbarrow that is easy to harvest the crop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농작물 수확이 용이한 수레의 평면도, 2 is a plan view of a wheelbarrow that is easy to harvest crop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농작물 수확이 용이한 수레의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of a wheelbarrow that is easy to harvest crop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농작물 수확이 용이한 수레의 정면도,4 is a front view of a wheelbarrow that is easy to harvest crop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바퀴덮개를 구성한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a wheel cover is configured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상판의 넓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se configured to adjust the width of the top plate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지지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se configure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support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고안의 농작물 수확이 용이한 수레의 사용상태도. 8 is a state of use of the wheelbarrow easy to harvest the crop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상판 11 : 상판틀10: top plate 11: top plate frame

12 : 덮개판 13 : 안치홀12: cover plate 13: enclosed hole

20 : 지지대 30 : 바퀴20: support 30: wheels

40 : 지지보 50 : 바구니40: support 50: basket

본 고안은 농작물 수확이 용이한 수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지대에 4개의 바퀴를 구성하여 밭고랑을 따라 안정되게 이동할 수 있으며, 상판 및 지지보에 바구니를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수확한 농작물을 용이하게 저장할 수 있는 농작물 수확이 용이한 수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heelbarrow that is easy to harvest crops, and in particular, four wheels on the support can be moved stably along the furrows, and the basket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top plate and the support beam to easily harvest the harvested crops. The invention relates to a wagon for easy harvesting of crops that can be stored.

통상적으로, 딸기 등 농작물의 수확을 위해 작업자가 밭고랑을 따라 이동하면서 수작업으로 농작물을 따서 자신이 들고 있는 바구니에 저장하거나, 또는 1개의 바퀴가 달린 손수레를 이용하여 손수레를 밭고랑을 따라 밀면서 농작물을 따서 손수레에 저장하는 방식이 사용되어 왔다.Typically, a worker moves along a furrow for harvesting a crop such as a strawberry, and manually picks the crop and stores it in a basket he holds, or pushes a wheelbarrow along a furrow using a wheelbarrow to pick up the crop. Storing in carts has been used.

그러나, 작업자가 직접 바구니를 들고 밭고랑을 따라 이동하면서 농작물을 수확하는 경우 작업자 1인이 수확할 수 있는 농작물의 양에 한계가 있고, 이러한 한계로 인해 바구니가 채워지면 저장고 등으로 이동하여 농작물을 저장시켜 놓고 다시 동일한 작업을 반복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when a worker harvests crops while moving along a furrow with a basket, there is a limit to the amount of crops that a worker can harvest. There is a problem that you have to repeat the same operation again.

또한, 바퀴가 1개 달린 손수레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중심을 잡기가 어려울 것이므로 작업자는 수확작업 중에도 손수레를 잡고 있어야 하므로 수확작업이 용이하지 않으며, 바퀴가 1개 달린 손수레의 경우도 그 저장량에 있어서는 한계가 있으 므로 손수레가 채워지면 저장고 등으로 이동하여 농작물을 저장시켜 놓고 다시 동일한 작업을 반복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when using a wheelbarrow with one wheel, it will be difficult to center, so the worker must hold a wheelbarrow during the harvesting operation, so harvesting is not easy, and even a wheelbarrow with a wheel is limited in its storage capacity. Therefore, when the cart is fill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ame operation must be repeated again after storing the crops by moving to the storage.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지지대에 설치된 4개의 바퀴를 밭고랑과 밭고랑에 배치함으로서 힘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안정되게 고정되어 작업자는 농작물의 수확작업에만 집중할 수 있으며, 수확한 농작물의 이동작업에 있어서도 안정된 수레를 제공하고자 한다.Therefor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rrange the four wheels installed in the support in the furrow and furrows are securely fixed without applying force, so that the worker can concentrate only on the harvesting work of the crops, and is stable even in the transport work of the harvested crops. We want to provide a cart.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상판 및 지지보에 다수의 바구니를 착,탈이 가능하도록 안치할 수 있게 하여 1번의 이동으로 수확할 수 있는 농작물의 양을 많게 하고, 수확한 농작물을 저장고 등으로 이동시켜 농작물이 채워진 바구니를 탈착하여 저장고 등에 저장할 수 있어 수확한 농작물의 이동 및 저장작업이 용이한 수레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a large number of baskets to be attached and detached on the top plate and the support beam to increase the amount of crops that can be harvested in one move, and to move the harvested crops to storage, etc. By removing the basket filled with crops to be stored in storage, etc. to provide a cart that facilitates the movement and storage of harvested crops.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목적은, 상면에 바구니를 안치할 수 있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밑면의 모서리 주변부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대와, 상기 한 쌍의 지지대 사이에 체결되는 바퀴와, 전,후 지지대의 외주연에 부착되는 한쌍의 지지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수확이 용이한 수레에 의해 달성된다. The purpose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plate that can hold the basket on the upper surface, a pair of supports are formed integrally with the edge peripheral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late, the wheel fastened between the pair of supports, Afterwards, the crop is harvested by an easy cart,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pair of support beams attach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support.

또한, 상기 상판에는 복수의 안치홀을 구성하여 바구니를 용이하게 착, 탈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op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easily attach, detach the basket by configuring a plurality of settling holes.

또한, 상기 한 쌍의 지지보는 각각 상기 한 쌍의 지지대의 외주연에 부착되고, 한 쌍의 지지보 사이에 바구니를 용이하게 착, 탈할 수 있도록 각각 대향하는 복수의 반원형상의 굴곡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air of support beams are attach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pair of support beams, respectively, and form a plurality of semicircular curvatures facing each other so as to easily attach and detach the basket between the pair of support beams. It is done.

또한, 상기 한쌍의 지지대 사이로서 상기 바퀴의 상부에는 바퀴덮개가 더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upper part of the wheel between the pair of suppor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heel cover is further configured.

또한, 상기 상판은 평평한 판형상으로 구성하되 그 테두리는 "ㄷ"자 형상으로 상호 대향하면서 한 쌍을 이루는 상판틀을 형성하고 상기 각각의 상판틀은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중공에 상판틀의 끝단이 삽입 될 수 있는 체결봉에 의해 각각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op plate is composed of a flat plate shape, the edge of the "c" shaped to form a pair of top plate frame to face each other while forming a pair, each of the top plate frame is formed hollow end of the top frame in the hollow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be fastened respectively by a fastening rod that can be inserted.

또한, 상기 지지대는 2단으로 구성하여 상지지대와 하지지대로 구성하되, 상지지대에는 중공을 형성하여 상기 하지지대를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upport is composed of two stages by the upper support and the lower support,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upport to form a hollow to insert the lower support.

상기 목적 외에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Other obj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above object will be apparen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8.

도 1은 본 고안의 농작물 수확이 용이한 수레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농작물 수확이 용이한 수레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농작물 수확이 용 이한 수레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농작물 수확이 용이한 수레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바퀴덮개를 구성한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상판의 넓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지지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농작물 수확이 용이한 수레의 사용상태도이다.1 is a side view of a wheelbarrow that is easy to harvest the crop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of a wheelbarrow that is easy to harvest the crop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wheelbarrow that is easy to harvest the crop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5 is a front view of a wheelbarrow that is easy to harvest the crop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ase of configuring a wheel cover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can adjust the width of the top plate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se configured to be configured,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se configure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support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state diagram of the use of a wagon easy to harvest the crop of the present invention. .

본 고안은 상면에 바구니(50)를 안치할 수 있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밑면의 모서리 주변부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체결되는 바퀴와, 전,후 지지대의 외주연에 부착되는 지지보를 구성요소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upper plate that can hold the basket 50 on the upper surface, the support is formed integrally with each of the corners of the bottom of the upper plate, the wheels fastened to the support, and the front and rear support The supporting support is a component.

상기 상판(10)은 평평한 판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각형상의 상판틀(11)을 형성하고, 그 상부에 철판, 베니어판 등 평평한 형상의 덮개판(12)을 부착하는 방식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The upper plate 10 may be configured in a flat plate shape, as shown in Figures 1 to 4 to form a rectangular upper plate frame 11, the cover plate 12 of a flat shape such as iron plate, veneer plate on the top It can also be configured by attaching.

상기 상판(10)은 그 상부에 농작물을 저장한 바구니(50)를 안치할 수 있으며, 또한, 상판(10)을 넓게 구성하는 경우에는 이하에서 설명할 지지보(40) 상부에 안치된 바구니에 저장된 농작물이 수직으로 낙하하는 이물질 등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top plate 10 may be placed in the basket 50 storing the crops on the upper portion, and, when the upper plate 10 is configured to be wide, in the basket placed on the support beam 40 to be described later The stored crops are to be protected from foreign matter falling vertically.

또한, 상기 상판(10)에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구니(50)를 용이하게 착,탈 할 수 있도록 복수의 안치홀(13)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안치홀(13)은 상,하가 관통하는 원형형상으로 구성하되, 안치될 바구니(50)의 밑면의 직경보다는 크게 구성하고, 안치될 바구니(50)의 상면의 직경보다는 작게 구성함으로서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방향으로 넓어지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바구니(50)가 삽입됨에 의해 자동적으로 걸리도록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8, the upper plate 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ttling holes 13 to easily attach and detach the basket 50. The settling hole 13 has a circular shape penetrating the upper and lower, but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ket 50 to be placed, and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ket 50 to be placed Figure 8 As can be seen in the basket 50 to form an inclined surface widening in the upward direction can be configured to be automatically caught.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상기 상판(10′)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평평한 판형상으로 구성하되 그 테두리는 "ㄷ"자 형상으로 상호 대향하면서 한 쌍을 이루는 상판틀(11a,b)을 형성하고 상기 각각의 대향하는 상판틀(11a,b)은 2개의 체결봉(14)에 의해 체결되는데, 상기 체결봉(14)에는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봉(14)의 양단에 각각의 상판틀(11a,b)의 끝단이 삽입되어 체결되는데, 상기 체결봉(14)에는 양단의 주변부에 볼트삽입공(15)을 구성함으로서 상기 체결봉(14)의 양단에 삽입된 각각의 상판틀(11a,b)의 끝단을 볼트(도면부호 도시되지 않음.)의 체결력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각각의 상판틀(11a,b)의 상부에는 철판, 베니어판 등 평평한 형상의 덮개판(12a,b)을 각각 부착시켜야 한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서 본 고안의 넓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서 밭고랑과 밭고랑의 넓이에 따라 본 고안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In addition,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p plate 10 'is composed of a flat plate shape as shown in Figure 6, but the edges of the pair "top" frame (11a, b) facing each other in the shape of "c" And each of the opposing upper plate frames 11a and b is fastened by two fastening rods 14, and hollows are formed in the fastening rods 14, respectively, at both ends of the fastening rods 14, respectively. Ends of the upper plate frames (11a, b) of the insertion is fastened, the fastening rods 14, each of the upper plates inserted into both ends of the fastening rods 14 by constituting the bolt insertion hole 15 on the periphery of both ends The ends of the molds 11a and b may be fixed by the fastening force of bolts (not shown). In addition, the cover plates 12a and b having flat shapes, such as iron plates and veneer plates, should be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s of the upper plate frames 11a and b, respectively. By configuring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width of the present invention freely by adjusting the present design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furrow and furrows.

상기 지지대(20)는 도 1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판(10)의 밑면에서 하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상판(10)의 각각의 모서리 주변부에서 한 쌍을 이루면서 일체로 형성된다.As shown in FIGS. 1 to 4, the support 20 is formed dow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late 10, and is integrally formed by forming a pair at each corner peripheral portion of the upper plate 10.

상기 지지대(20)의 길이는 이하에서 설명할 지지보(40)에 안치될 바구니(50)가 밭고랑과 밭고랑 사이의 산부분에 접하지 않을 정도의 길이로 구성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며, 일반인의 평균키보다는 작게 구성하여 작업자가 용이하게 상판(10)에 바구니를 안치할 수 있어야 한다.The length of the support 20 will be reasonable to constitute a length such that the basket 50 to be placed in the support 40 to be described below does not touch the mountain portion between the furrows and furrows, the average of the general public Smaller than the height should be configured so that the operator can easily place the basket on the top plate (10).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상기 지지대(20′)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2단으로 구성하여 상지지대(20a)와 하지지대(20b)로 구성하되, 상지지대(20a)에는 중공을 형성하여 상기 하지지대(20b)를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지지대(20a)의 끝단 주변부에 볼트삽입공(21)을 구성하여 상기 상지지대(20a)의 끝단에 삽입된 상기 하지지대(20b)를 볼트(도면부호 도시되지 않음.)의 체결력으로 고정시킬 수 있게 구성함이 타당하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서 밭고랑과 밭고랑 사이의 산부분의 높이, 작업자의 키 등을 고려하여 본 고안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20 'is composed of two stages as shown in Figure 7 composed of the upper support 20a and the lower support 20b, but the hollow on the upper support (20a) And a bolt insertion hole 21 formed around the end of the upper support 20a to be inserted at the end of the upper support 20a. It is reasonable to configure the base zone 20b to be fixed by a fastening force of a bolt (not shown). By configuring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freely adjust the heigh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onsideration of the height of the mountain portion between the furrows and furrows, the height of the worker.

상기 한 쌍의 지지대(20) 사이에는 바퀴(30)가 구성되는데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4개의 바퀴(30)가 구성되어 각각 전,후 바퀴(30)가 밭고랑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서 작업자가 농작물 수확시 별도로 수레를 잡거나 별도의 장치 없이 안정감 있게 고정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Wheels 30 are configured between the pair of supports 20, as shown in FIGS. 1 to 4, four wheels 30 are configured to move the front and rear wheels 30 in the furrow, respectively. By doing so, the worker can grab the cart separately when harvesting crops or can be securely fixed without a separate device.

상기 한 쌍의 지지대(20) 사이에는 바퀴(30)가 체결되는 것은 공지기술에 해당하는 것으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The wheel 30 is fastened between the pair of supports 20 to correspond to the known art, and a separat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지지대(20) 사이로서 상기 바퀴의 상부에는 바퀴덮개(31)를 더 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바퀴덮개(31)를 더 구성함으로서 작업의 진행됨에 따라 바퀴(30)에 흙 등 이물질이 부착되어 이동작업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고, 바퀴에 부착되어 있던 이물질이 이동작업 중 떨어지면서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heel cover 31 may be further configured between the pair of supports 2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wheel. As the wheel cover 31 is further configured, as the work progresses, foreign matters such as soil are attached to the wheels 30 to prevent the movement work, and the foreign matters attached to the wheels fall off during the movement work and damage to the crops. To prevent giving.

상기 지지보(40)는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한 쌍으로 구성된 막 대형상으로 전, 후의 한 쌍의 지지대(20)의 외주연에 각각 직교하도록 용접 등의 방식에 의해 부착된다.As shown in FIGS. 1 to 4, the support beam 40 is attached by a welding or the like so as to be orthogonal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pair of supports 20 before and after, as a pair of membranes.

상기 지지보(40)의 구성에 의해 상판(10) 및 상기 상판(10)의 상부에 안치되는 농작물이 저장된 바구니의 하중에 의해 상기 지지대(20)에 모멘트가 걸려 좌굴되는 것을 방지하여 줄 수 있다.By the configuration of the support beam 40 can be prevented from buckling the moment to the support 20 by the load of the basket is stored on the top plate 10 and the top of the top plate 10 stored. .

또한, 상기 지지보(40)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지지보(40) 상면에 바구니를 부착하여 작업자가 농작물을 수확하면서 용이하게 농작물을 바구니에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support beam 40 is configured to attach the baske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air of support beam 40 as shown in Figure 1 so that the worker can easily receive the crop in the basket while harvesting the crop.

한편, 상기 지지보(40)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한쌍의 지지보는 각각 상기 한 쌍의 지지대의 외주연에 부착되면서 한 쌍의 지지보 사이에 바구니를 용이하게 착, 탈할 수 있도록 각각 대향하는 복수의 반원형상의 굴곡(41)을 형성할 수 있다. 한쌍의 지지보(40)에 의해 형성되는 대향하는 반원형상의 굴곡(41)에 의해 작업자는 바구니를 용이하게 착, 탈할 수 있게 되며, 대향하는 반원형상의 굴곡(41)은 안치될 바구니의 밑면의 직경보다는 크게 구성하고, 안치될 바구니의 상면의 직경보다는 작게 구성함으로서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방향으로 넓어지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바구니가 삽입됨에 의해 자동적으로 걸리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서 작업자는 밭고랑에서 농작물 수확작업 중에 지지대(40)에 안치된 바구니에 농작물이 가득 차는 경우 이를 탈착하여 상판(10)에 안치하고, 빈 바구니를 지지대(40)에 안치하여 용이하게 수확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4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support beam 40, the pair of support beams are attach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pair of support, respectively, easily attach and detach the basket between the pair of support beams It is possible to form a plurality of semi-circular curves 41 facing each other so as to be able to. The opposing semicircular bends 41 formed by the pair of support beams 40 allow the operator to easily attach and detach the basket, and the opposite semi-circular bends 41 have a diameter of the bottom of the basket to be placed. It may be configured to be configured to be larger, and to be configured to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ket to be settled by being inserted automatically by inserting the basket forming an inclined surface extending upward as shown in FIG. By this configuration, when the crops are filled in the basket placed on the support 40 during the crop harvesting operation in the furrow, the worker detaches it and places it on the top plate 10, and the empty basket is placed on the support 40 to easily harvest the work. You will be able to proceed.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상판(10,10′), 지지대(20,20′), 바퀴(30), 및 지지보(40)로 구성된 수레에 의해 딸기 등 농작물의 수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하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설명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facilitate the harvesting of crops such as strawberries by a wagon composed of a top plate 10, 10 ', a support 20, 20', a wheel 30, and a support beam 40. Hereinafter, a state of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본 고안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밭고랑과 밭고랑에 좌, 우측의 바퀴(30)를 안치하여 밭고랑을 따라 이동하면서 밭고랑과 밭고랑 사이의 산부분의 농작물을 작업자가 수확하게 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harvest the crops of the mountain between the furrows and furrows while moving along the furrows by placing wheels 30 on the left and right in furrows and furrows as shown in FIG. 8.

이때 본 고안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4개의 바퀴(30)에 의해 지탱되므로 안정감 있게 고정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미는 힘 또는 끄는 힘에 의해 용이하게 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At this time, since the present invention is supported by the four wheels 30 as shown in Figure 8 can be fixed in a stable sense, it is easy to move by the operator pushing force or dragging force.

우선, 작업자는 본 고안의 전면에서 끌거나 또는 본 고안의 후면에서 밀면서 농작물을 수확할 수 있는데, 작업자가 밭고랑에 위치하며 산부분의 딸기 등 농작물을 수확하면서 지지보(40) 상에 위치한 바구니(50)에 수확한 농작물을 저장한다. 이렇게 저장한 농작물이 상기 바구니에 채워지면 작업자는 바구니를 탈착하여 상판(10)에 안치된 빈 바구니와 교체하고 작업을 계속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작업을 계속하여 작업자는 본 고안에 안치된 모든 바구니가 농작물로 채워지면 수작업에 의해 상기 농작물을 저장고 등에 안치시킬 필요가 없으며 바구니채로 탈착하여 용이하게 저장고 등에 농작물을 안치할 수 있으므로 수확은 물론 수확된 농작물을 저장고 등에 저장작업에 있어서도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First, the worker can harvest the crops by dragging from the fro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pushed from the back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orker is located in the furrow and the basket located on the support 40 while harvesting crops such as strawberries in the mountain portion ( 50) Save the harvested crops. When the stored crops are filled in the basket, the worker removes the basket, replaces the empty basket placed on the top plate 10, and continues working. As the worker continues to work in this way, when all the baskets plac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filled with crops, the worker does not need to place the crops in the storage room by hand, and the crops can be easily removed and placed in the storage room by the basket. Of course, harvested crops are also easy in storage operations, such as storage.

본 고안은 지지대에 설치된 4개의 바퀴를 밭고랑과 밭고랑에 배치함으로서 힘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안정되게 고정되므로 농작물의 수확작업과 수확한 농작물의 이동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four wheels installed on the support in the furrows and furrows can be secured in a stable state without applying force, thereby facilitating the harvesting operation of the crops and the movement of the harvested crops.

또한, 본 고안은 상판 및 지지보에 다수의 바구니를 착탈이 가능하도록 안치할 수 있으므로 수확한 농작물을 저장고 등으로 이동시켜 농작물이 채워진 바구니를 탈착하여 저장고 등에 저장할 수 있으므로 수확한 농작물의 이동 및 저장작업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laced in the top plate and the support beam so that a large number of baskets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so that the harvested crops can be moved to the storage, etc. The basket filled with the crops can be removed and stored in the storage, etc. Movement and storage of the harvested crops It has the advantage of easy operation.

또한, 본 고안은 넓이와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서 밭고랑과 밭고랑 사이의 넓이, 작업자의 키 등 각기 다른 작업환경에서도 농작물의 수확 및 수확된 농작물을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width and height can be adjusted freely, the width between the furrows and furrows, the height of the worker in the different working environment, such as harvesting and harvesting the crops can be easily moved.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Claims (6)

상면에 바구니를 안치할 수 있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밑면의 모서리 주변부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대와, 상기 한 쌍의 지지대 사이에 체결되는 바퀴와, 전,후 지지대의 외주연에 부착되는 한 쌍의 지지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수확이 용이한 수레.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upper plate that can hold the basket on the upper surface, a pair of supports formed integrally with the edge peripheral portion of the bottom of the upper plate, wheels fastened between the pair of supports, and the front and rear support A crop harvesting cart tha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pair of supporting beams attached.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상판에는 복수의 안치홀을 구성하여 바구니를 용이하게 착, 탈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수확이 용이한 수레.The top plate floats easy to harvest crop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easily attach, detach the basket by configuring a plurality of anchor holes.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한 쌍의 지지보는 각각 상기 한 쌍의 지지대의 외주연에 부착되고, 한쌍의 지지보 사이에 바구니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도록 각각 대향하는 복수의 반원형상의 굴곡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수확이 용이한 수레.The pair of support beams are attach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pair of support beams, respectively, and form a plurality of semicircular curves facing each other so as to easily attach and detach the basket between the pair of support beams. Easy to harvest wagon.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한 쌍의 지지대 사이로서 상기 바퀴의 상부에는 바퀴덮개가 더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수확이 용이한 수레.Wheelbarrow that is easy to harvest crops, characterized in that the wheel cover is further configured between the pair of supports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wheel.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상판은 평평한 판 형상으로 구성하되 그 테두리는 "ㄷ"자 형상으로 상호 대향하면서 한 쌍을 이루는 상판틀을 형성하고 상기 각각의 상판틀은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중공에 상판틀의 끝단이 삽입 될 수 있는 체결봉에 의해 각각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수확이 용이한 수레.The upper plate is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the edges of the "c" shaped to form a pair of upper plate frame facing each other and the upper plate frame is hollow is formed so that the end of the upper plate frame is inserted into the hollow Easy to harvest crops,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fastened by fastening rods, respectively.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지지대는 2단으로 구성하여 상지지대와 하지지대로 구성하되, 상지지대에는 중공을 형성하여 상기 하지지대를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수확이 용이한 수레.The support is composed of two stages consisting of the upper support and the lower support, the upper support to form a hollow, easy to harvest crops,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sert the lower support.
KR2020060020644U 2006-08-01 2006-08-01 A wagon for harvest KR20042967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644U KR200429674Y1 (en) 2006-08-01 2006-08-01 A wagon for harves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644U KR200429674Y1 (en) 2006-08-01 2006-08-01 A wagon for harves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9674Y1 true KR200429674Y1 (en) 2006-10-26

Family

ID=41778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0644U KR200429674Y1 (en) 2006-08-01 2006-08-01 A wagon for harves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9674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36893B2 (en) Strawberry picking cart
US7353635B2 (en) Tree root ball wrapp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same
US6895712B2 (en) Wire cage for nursery items
JP5074173B2 (en) Shelf equipment for cultivation in a greenhouse that can be moved outside the greenhouse
US6598890B2 (en) Seed meter transfer and storing apparatus
KR200429674Y1 (en) A wagon for harvest
US20150181807A1 (en) Device suitable for harvesting fruit hanging from a plant as well as a method for harvesting fruit hanging from a plant
CN108207397A (en) A kind of planter for planting plants
US20140265183A1 (en) Strawberry box cart with worker support
JP2004017858A (en) Flower and ornamental plant conveying carriage
JP4666362B2 (en) Transport device for flexible pot seedling box
KR200459780Y1 (en) A handcart for broccoli harvest
JP3928145B2 (en) Seedling box holding frame
JP2018198588A (en) Diagonal boxing-stand
JP2007029024A (en) Apparatus for transporting agricultural product
JP3698572B2 (en) Nursery container
ES2639783T3 (en) Support structure to support a bag
CN219395683U (en) Potted plant transferring device
CN212289896U (en) Storage and transportation case is collected to grape
KR200225185Y1 (en) handcart for harvest
KR200390118Y1 (en) Saplings carrying frame with foot supporting tool
JP6603735B2 (en) Rack and storage system with pallet function
JPH0445452Y2 (en)
JPH10178918A (en) Seedling box housing rack
JP3733562B2 (en) Shelving pall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