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9633Y1 - 걷기 쉬운 멀칭 필름 - Google Patents

걷기 쉬운 멀칭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9633Y1
KR200429633Y1 KR2020060018259U KR20060018259U KR200429633Y1 KR 200429633 Y1 KR200429633 Y1 KR 200429633Y1 KR 2020060018259 U KR2020060018259 U KR 2020060018259U KR 20060018259 U KR20060018259 U KR 20060018259U KR 200429633 Y1 KR200429633 Y1 KR 2004296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lching film
present
easy
mulching
cr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82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규학
Original Assignee
한규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규학 filed Critical 한규학
Priority to KR20200600182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9633Y1/ko
Priority to KR1020060101861A priority patent/KR1007423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96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963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62Mulches, i.e. covering material not-pre-formed in mats or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68Mats or sheets, e.g. nets or fabrics
    • A01G13/0275Fil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2013/006Protecting plants with perfo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rotec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걷기 쉬운 멀칭 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농업용 멀칭필름으로서 수거시 여러 갈래로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형성된 탄지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탄지부에 의해 관통되는 타공부가 형성되어 있거나 작업할 때 타공할 수 있도록 제공되어, 타공부의 직경을 상회하는 작물의 재배시에 작물에 의해 수거작업에 방해받지 않고, 탄지부를 중심으로 좌우측으로 분리되어 수작업으로도 수거가 용이한 걷기 쉬운 멀칭 필름을 제시한다.
탄지부, 타공부, 멀칭, 필름, 작물, 직경, 수거, 줄기

Description

걷기 쉬운 멀칭 필름{MULCHING FILM FOR EASY IN TAKE AWAY}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걷기 쉬운 멀칭 필름을 나타내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걷기 쉬운 멀칭 필름을 나타내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걷기 쉬운 멀칭 필름을 사용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걷기 쉬운 멀칭 필름을 수거할 때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0: 멀칭 필름
12, 22: 탄지부
14, 24: 타공부
50: 작물
본 고안은 걷기 쉬운 멀칭 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거가 용이하도록 탄지된 걷기 쉬운 멀칭 필름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멀칭 필름은 작물을 식재하기 위하여 구멍을 뚫어 쓰거나 제조사에서 타공을 해주어 쓰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이 쓰는 멀칭 필름에는 타공부에 씨앗을 심고 작물을 재배한 후 새로운 작물을 심기 위해서는 멀칭 필름을 걷어 내야 한다.
그런데 멀칭 필름의 타공부는 보통은 손가락을 모아 씨앗이나 어린 종묘를 옮겨 심을 수 있을 정도의 크기이고, 멀칭 필름을 수거할 때는 작물이 성숙하여 뿌리가 토양에 견고하게 고착된 상태에 이르게 된다.
멀칭필름은 아래로는 이러한 작물의 뿌리를 덮고 있고, 위로는 작물의 성체가 있어서, 멀칭 필름을 수거하기 위해서는 구경이 작은 타공부가 작물의 줄기를 빠져나와야 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보통은 2줄 또는 서너 줄의 타공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위로는 작물의 성체가 고사되어 있는 경우가 많은데 수작업으로는 멀칭 필름에서 고사된 작물 성체의 줄기가 잘 빠져 나오지 않아 수거가 매우 어렵다. 영세한 수작업에 의해 농업을 하는 경우 트랙터와 같은 대형 기계를 투입하기에도 어려움이 많다.
본 고안은 이러한 상황에서 비록 타공부 위에 작물 성체가 고사되어 있더라도 수거가 용이하도록 구성된 멀칭필름을 고안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타공부 위에서 작물이 고사되어 있더라도 수거에 지장을 받지 않고 용이하게 수거가 되는 멀칭 필름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대형 트랙터와 같이 큰 동력을 이용하지 않고도 간단한 수작업에 의해서도 걷기가 용이한 멀칭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멀칭 필름을 이용하여 작물을 재배한 후에는 작물의 고사체를 제거하는 작업을 따로 하지 않고도 수거가 용이한 멀칭 필름을 제시하여, 농업인에게는 한 작물의 재배가 끝난 후에 다른 작물을 재배하기 위해 밭갈이 할 때에 일손을 덜 수 있도록 해주는 멀칭 필름을 제시해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농업용 멀칭필름으로서 수거시 여러갈래로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형성된 탄지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는, 탄지부가 통과하는 타공부가 더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걷기 쉬운 멀칭 필름을 나타내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보면, 탄지부(12)가 형성되어 있는 멀칭필름(10)이 도시되어 있으며, 탄지부(12)는 타공부(14)를 통과하고 있다. 탄지부(12)의 좌측(16)과 중간(18,19) 및 우측(17)은 탄지부(12)를 중심으로 분리가 용이하다. 타공부(14)에는 작물의 어린 묘목이나 씨앗의 파종이 이루어지는 곳으로서, 손가락을 모아 겨우 들어갈 정도의 구경을 하고 있으며, 작물이 자란 뒤에는 작물의 줄기로 가리게 된다. 이러한 경우 멀칭필름(10)을 수거할 때 타공부는 작물을 빠져나와야 하기 때문에 수거가 곤란하고 힘이 들며, 실제로 멀칭 필름이 찢어지도록 힘을 가하기 전에는 수거가 되기 어려운 작업으로서, 농가에서는 수거가 용이한 멀칭 필름을 매우 필요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다면, 멀칭 필름(10)을 수거할 때 탄지부(14)를 중심으로 하여 좌측(16)과 중간(18,19) 및 우측(17)으로 용이하게 분리되어 수거가 용이하다. 이러한 탄지부는 칼날이나 톱날에 의해서 형성되거나, 열융착에 의해 일정한 간격으로 생성이 될 것이며 외관상으로는 파선으로 보일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걷기 쉬운 멀칭 필름을 나타내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보면, 탄지부(22) 형성되어 있는 멀칭필름(20)이 도시되어 있으며, 타공부는 파종시나 묘목을 옮겨 심을 때 멀칭 필름을 사용하는 사람이 임으로 타공 하도록 되어 있으며, 작물에 따라 상이한 직경을 한 탄지부를 경유하는 타공부를 자유자재로 형성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 개의 멀칭 필름에는 여러 개의 탄지부(22)가 형성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작물이 재배된 후에 타공부 위로 고사되어 있는 작물의 줄기를 수거하는 작업을 하지 않고서도 멀칭필름(20)이 수거시에 탄지부를 기준으로 하여 좌측(23), 중간(24,26) 및 우측(27)으로 용이하게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걷기 쉬운 멀칭 필름을 사용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타공부(34)를 통과하여 자라고 있는 작물(50)이 도시되어 있으며, 작물(50)의 재배가 이루어진 후에는 밭을 갈기 위하여 멀칭 필름(30)을 제거해야 한다. 그러나 작물(50) 줄기의 고사체는 대개는 타공부(34)의 직경보다는 큰 마른 식물로서 거름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에,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따로 제거하는 작업은 불필요하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다면 이랑(60)에 남아 있는 작물(50)의 고사체를 따로 제거하는 작업을 절약하고 멀칭 필름만 따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멀칭 필름(30)을 제거할 때는 좌측(33)과 중간(35) 및 우측(37)로 분리가 이루어지면서 용이하게 제거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걷기 쉬운 멀칭 필름을 수거할 때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보면, 멀칭필름(40) 상에 형성되어 있는 탄지부(42)에 의해 멀칭 필름(40)의 분리가 좌측(43)과 중간(45) 및 우측(47)으로 이루어지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다면 작물(50)을 따로 뽑아 낼 필요가 없으며, 멀칭필름(10)은 탄지부(42)를 좌우로 하여 분리가 이루어지고, 전체적으로는 멀칭필름(40)의 좌측(43)과 중간(45) 및 우측(47)으로 분리가 이루어지며, 탄지 되어 있지 않은 부분을 따라 수거하기 용이하도록 분리가 이루어진다.
통상은 작물(50)이 이랑(60)에 길게 식재가 이루어지므로 탄지부(42)도 그에 따라 길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걷기 쉬운 멀칭 필름은 타공부(44)의 직경을 상회하는 둘레로 성장하는 작물(50)을 재배할 때 수거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데 적당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농업용 멀칭필름으로서 수거시 여러갈래로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형성된 탄지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는, 탄지부가 통과하는 타공부가 더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경작이 끝나고 밭갈이를 위하여 따로 작물 줄기의 고사체를 제거하지 않고도 멀칭 필름의 수거작업이 용이하다.
또한, 멀칭필름을 수거하기 위해서 대형 트랙터와 같은 동력을 동원하지 않고 간단한 수작업으로도 얼마든지 수거작업이 용이한 걷기 쉬운 멀칭 필름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효과는 일부에 불과한 것이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변경실시가 가능하다.

Claims (2)

  1. 농업용 멀칭필름으로서 수거시 여러갈래로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형성된 탄지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걷기 쉬운 멀칭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지부가 통과하는 타공부가 더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걷기 쉬운 멀칭 필름.
KR2020060018259U 2006-07-05 2006-07-05 걷기 쉬운 멀칭 필름 KR2004296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8259U KR200429633Y1 (ko) 2006-07-05 2006-07-05 걷기 쉬운 멀칭 필름
KR1020060101861A KR100742300B1 (ko) 2006-07-05 2006-10-19 걷기 쉬운 멀칭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8259U KR200429633Y1 (ko) 2006-07-05 2006-07-05 걷기 쉬운 멀칭 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9633Y1 true KR200429633Y1 (ko) 2006-10-25

Family

ID=3849945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8259U KR200429633Y1 (ko) 2006-07-05 2006-07-05 걷기 쉬운 멀칭 필름
KR1020060101861A KR100742300B1 (ko) 2006-07-05 2006-10-19 걷기 쉬운 멀칭 필름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1861A KR100742300B1 (ko) 2006-07-05 2006-10-19 걷기 쉬운 멀칭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42963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1441B1 (ko) 2016-09-09 2019-06-20 에스디에스(주) 천연펄프 습강지를 사용한 멀칭필름 제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4944U (ko) * 1988-07-12 1990-01-30
KR200365237Y1 (ko) * 2004-07-27 2004-10-20 김종식 파종 비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2300B1 (ko) 200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429536A (zh) 一种控制番茄根结线虫的栽培方法
EA200801177A1 (ru) Однопроходные плуги
Horowitz Bermudagrass (Cynodon dactylon): A history of the weed and its control in Israel
KR200470481Y1 (ko) 비료공급 및 절개를 위한 멀칭비닐 천공기구
Boydston Managing weeds in potato rotations without herbicides
Isaac et al. Managing Commelina species: Prospects and limitations
KR200429633Y1 (ko) 걷기 쉬운 멀칭 필름
Gunasena et al. Chena cultivation in Sri Lanka
Ghorai et al. Technology for Weed management in jute
Vangessel et al. Impact of timing and frequency of in-row cultivation for weed control in dry bean (Phaseolus vulgaris)
Hulina Wild marigold-Tagetes minuta L., new weed on the island of Hvar, and new contribution to the knowledge of its distribution in Dalmatia (Croatia)
Maia et al. Sustainable weed control in pineapple
RU2569825C1 (ru) Способ борьбы с сорной травянистой растительностью в лесных насаждениях
Singh Nagar Testing of Mechanical and Chemical Methods for Weed Control in Poplar (Populus deltoides Bartr) Nurseries.
Drost Honeydew and Other Winter Melons in the Garden
KR102122207B1 (ko) 농업 경작용 비닐지
Singh et al. Weed management in pulses under mechanized farming
CN206790918U (zh) 一种农作物扦插定植装置
Monostori et al. Review on sweet potato with special focus on Hungarian production II: Agronomy
JP2002027846A (ja) ジャンマルチ。{ミシン目入りビニールマルチ}
Johnson et al. Dynamics of subeconomic threshold populations of sicklepod (Cassia obtusifolia) in a peanut-cotton-corn rotation
Drost et al. Pumpkins in the Garden
Polomski et al. Controlling Weeds by Cultivating and Mulching
Jayalakshmi et al. Diseases of Tobacco (Nicotiana tabacum Linn.) and Their Management
Heflebower et al. Watermelon in the Gard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