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9230Y1 - 핸즈프리 및 방수스위치 및 통신기구 - Google Patents

핸즈프리 및 방수스위치 및 통신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9230Y1
KR200429230Y1 KR2020060011492U KR20060011492U KR200429230Y1 KR 200429230 Y1 KR200429230 Y1 KR 200429230Y1 KR 2020060011492 U KR2020060011492 U KR 2020060011492U KR 20060011492 U KR20060011492 U KR 20060011492U KR 200429230 Y1 KR200429230 Y1 KR 2004292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s
free
plug
waterproof switch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14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오
Original Assignee
김선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오 filed Critical 김선오
Priority to KR20200600114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92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92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923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통신기구의 핸즈프리에 관한 것으로 다른업무와 동시에 통신기구의 송수신을 자유롭게 하기 위한 것이다.
자신의 호출 및 송신이 수시로 발생하는 통신기구의 송수신시 명확하고 간편하고 신속하게 조작할수 있도록하기 위해 스피커세트와 마이크세트로 구성된 이어마이크를 귀와 얼굴에 취부하여 계속되어지는 수신을 항시 인지하고 있다가 자신이 필요한 내용이 있을시 즉각적으로 송신할수 있도록 방수스위치세트를 별도로 인출하여 항상 손에 파지할수 있도록 하였으며 오토바이 운전시 방수스위치세트를 핸들에 탈착이 가능하게 하여 운전중 송수신시 핸들에서 손을 떼지않고도 신속하고 간편하게 방수스위치세트를 조작할수 있어 사고방지에 도움이 되었고, 헬멧을 탈착할시에도 전혀 지장을 받지않으며 특히 우천시 습기로 인한 전기적 쇼트를 없애고자 스위치를 방수처리하였다.
핸즈프리, 무전기, 오토바이, 이어폰, 방수스위치

Description

핸즈프리 및 방수스위치 및 통신기구{andsfree and water proof switch and communications apparatus}
도1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의 사시도
도2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의 착용도
도3의 A는 종래의 통신기구(4) 회로도의 일부회로도
도3의 B는 본 고안의 송수신부(1), 방수스위치부(2), 플러그홀더(100b)와 플러그홀더(200b)와 연결플러그(300a)로 구성되어 연결된 연결부(3)의 핸즈프리 회로도와 종래의 통신기구(4)에 플러그홀더(300b)를 추가 및 변경하여 플러그홀더(300b)의 b접점(300b-b) 2개로 핸즈프리와 통신기구(4)의 마이크(10,47)와 스피커(14,48) 각각을 전환하도록 연결한 일실시 예의 회로도
도3의 C는 본 고안의 송수신부(1), 방수스위치부(2)의 핸즈프리 회로도와 종래의 통신기구에 플러그홀더(100b)와 플러그홀더(200b)를 추가 및 변경하여 플러그홀더(100b)의 b접점(100b-b) 2개로 핸즈프리와 통신기구(4)의 마이크(10,47)와 스피커(14,48) 각각을 전환하도록 연결한 일실시 예의 회로도
도3의 D는 본 고안의 송수신부(1), 방수스위치부(2)의 핸즈프리 회로도와 플러그홀더(100b)및 플러그홀더(200b)로 구성되어 연결된 연결부(3)를 외장하고 종래의 통 신기구에 연결 및 변경하여 플러그홀더(100b)의 b접점(100b-b) 2개로 핸즈프리와 통신기구(4)의 마이크(10,47)와 스피커(14,48) 각각을 전환하도록 연결한 일실시 예의 회로도
도3의 E와 도1,도2는 본 고안의 송수신부(1), 방수스위치부(2)의 핸즈프리 회로도와 플러그홀더(100b)및 플러그홀더(200b)및 푸쉬버튼스위치(36)로 구성되어 연결된 연결부(3)를 외장하고 종래의 통신기구에 연결 및 변경하여 푸쉬버튼스위치(36)의 a접점 2개와 푸쉬버튼스위치(36)의 b접점 2개로 핸즈프리와 통신기구(4)의 마이크(10,47)와 스피커(14,48) 각각을 전환하도록 연결한 일실시 예의 회로도
도4의 A는 방수스위치세트(20)의 평면도.
도4의 B는 방수스위치세트(20)의 정면도.
도4의 C는 방수스위치세트(20)의 배면도.
도4의 D는 도4의 A를 a와 b의 경계로 잘라 화살표방향의 각도로 본 방수스위치세트(20)의 단면결합도 중에서 볼트(20-9)와 너트(20-1)을 분리한 결합도.
도5의 A는 방수스위치세트(20)의 평면조립도.
도5의 B는 도4의 A를 a와 b의 경계로 잘라 화살표방향의 각도로 본 방수스위치세트(20)의 단면조립도.
도6의 A는 스피커세트(14)의 평면도.
도6의 B는 스피커세트(14)의 정면도.
도6의 C는 스피커세트(14)의 우측면도.
도6의 D는 스피커세트(14)의 배면도.
도7의 A는 스피커세트(14)의 평면조립도.
도7의 B는 스피커세트(14)의 정면조립도.
도7의 C는 도6 A를 a와 b의 경계로 잘라 화살표방향의 각도로 본 스피커세트(14)의 단면조립도.
도8의 A는 마이크세트(10)의 평면도.
도8의 B는 마이크세트(10)의 정면도.
도8의 C는 마이크세트(10)의 우측면도.
도9의 A는 마이크세트(10)의 평면조립도.
도9의 B는 마이크세트(10)의 정면조립도.
도10의 A는 연결부케이스(30)의 평면도.
도10의 B는 연결부케이스(30)의 정면도.
도10의 C는 연결부케이스(30)의 후면도.
도10의 D는 연결부케이스(30)의 배면도.
도11의 A는 연결부케이스(30)의 평면조립도.
도11의 B는 연결부케이스(30)의 정면조립도.
도12의 A,B,C,D는 각각의 방수의 예.
도13의 A는 방수의 예.
도13의 B는 상판(20-8)과 하판(20-2)의 결합방법에 따른 평면조립도의 예.
도13의 C는 B의 정면 및 측면조립도의 예.
도14,도15는 도10,도11에서 푸쉬버튼스위치(36), 푸쉬버튼스위치 조작홈(30-2c) 푸 쉬버튼스위치 조작홈(30-4a)을 제외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송,수신부.
2. 방수스위치부.
3. 연결부.
4. 통신기구
10. 마이크세트.
10-2. 상판.
10-2a. 하판과의결합용돌출부.
10-2b. 음성인입구.
10-4. 마이크.
10-4a. 마이크다리.
10-6. 하판.
10-6a. 전선인입구.
10-6b. 상판과의결합용홈.
10-7. 절연필름.
10-7a. 절연필름구멍.
10-8. 마이크소켓.
10-8a. 마이크다리결합용홈.
10-10. 기판.
10-10a. 기판구멍.
12. 투명테이프
14. 스피커세트
14-1. 상판
14-1a. 하판과의결합용홈
14-1b. 하판과의결합용돌출부
14-1c. 전선인입구
14-1d. 공기구멍
14-2. 하판
14-2a. 상판과의결합용돌출부
14-2b. 상판과의결합용홈
14-2c. 고무커버와의 결합용홈
14-3. 스피커
14-3a. 스피커단자
14-4. 고무커버
14-4a. 하판과의결합용돌출부
15. 내부도체
16. 전선16
16a. 철심
17. 스프링모양
18. 전선18
19. 심선
20. 방수스위치세트
20-1. 너트
20-2. 하판
20-2a. 볼트구멍
20-2b. 택트스위치고정용 돌출부
20-2c. 택트스위치하단돌출부결합용 홈
20-2d. 오토바이핸들에따른 곡면
20-2e. 고무링 결합용 홈
20-2f. 전선보호대결합용 홈
20-2g. 너트결합용 홈
20-h. 갈고리 모양의 홈
20-3. 택트스위치
20-3a. 택트스위치하단 돌출부
20-3b. 택트스위치단자
20-4. 고무링
20-4a. 고무링
20-4b. 고무링양단
20-5. 전선보호대
20-5a. 고무링인입용 홈
20-6. 고무막
20-6a. 상판과의접착부위
20-6c. 고무막
20-6d. 고무막
20-6e. 고무막
20-6f. 보턴결합용 구멍
20-6g. 보턴과의접착부위
20-7. 보턴
20-7a. 고무막과의접착부위
20-7c. 이탈방지용 돌출부
20-8. 상판
20-8a. 볼트구멍
20-8b. 전선보호대결합용 홈
20-8c. 고무링압착용 돌출부
20-8d. 보턴돌출용 구멍
20-8e. 갈고리 모양의 돌출부
20-8f. 고무막과의접착부위
20-9. 볼트
20-10. 볼트용고무링
22a. loop벨크로테이프
22b. hook벨크로테이프
23. 핸들
24. 전선24
30. 연결부케이스
30-2. 하판
30-2a. 전선인입구
30-2b. 볼트구멍.
30-2c. 푸쉬버튼스위치 조작홈
30-2d. 30-2e. 연결플러그인입용홈
30-4. 상판
30-4a. 푸쉬버튼스위치 조작홈
30-4b. 너트용홈 및 볼트구멍
30-4c. 연결플러그인입용홈
32. 전선32
36. 푸쉬버튼스위치
36a. 푸쉬버튼스위치(36)의 a접점.
36b. 푸쉬버튼스위치(36)의 b접점.
36-1. 푸쉬버튼스위치단자.
43. 스위치연결단자
44. 마이크연결단자
45. 스피커연결단자
46. 스위치
47. 마이크
48. 스피커
100a, 200a. 연결플러그
100b, 200b. 플러그홀더
100b-1. 플러그홀더단자.
200b-1. 플러그홀더단자.
100a, 200a, 300a. 연결플러그
100b, 200b, 300b. 플러그홀더
100b-b. 플러그홀더(100b)의 b접점.
300b-b. 플러그홀더(300b)의 b접점.
본 고안은 오토바이 및 자가용 운전시 및 비운전시에도 다른업무를 하면서 항시 나오는 통신기구의 수신신호를 듣고 있다가 자신의 호출 또는 송신의 필요시 즉각적 으로 응답을 해야하는 자를 대상으로한 핸즈프리이다.
기존의 핸즈프리는 전선의 일단에는 스피커가 중간에는 마이크와 스위치가 부착되고 전선의 반대편 일단에는 플러그가 부착되어 오토바이운전시 도로위의 자동차소음 및 바람소리가 마이크로유입되어 송신소리가 안들림으로 인해 손으로 붙잡고 입 가까이 위치시켜 송수신을 하므로 오토바이 운전시 사고위험 때문에 정차하여 송수신하게 되며, 그러하더라도 도로의 소음으로 한손으로 마이크를 입 가까이 위치시키고 송수신을 하며 또는 핸즈프리없이 직접 통신기구를 사용하게 되므로 손의 사용이 필수적이고 즉각적인 송수신이 불가능한 핸즈프리가 주종을 이루고 있었으며,
헬멧의 안쪽에 스피커와 마이크를 설치하여 탈착이 가능하게하고 스위치를 핸들에 고정시켜 운전중 사용이 가능토록 고안된 것도 있지만 비운전시에는 스위치는 분리되어 핸들에 고정되며 송수신부 또한 분리되나 휴대가 안되므로 핸즈프리의 사용이 안되어 휴대폰만으로 송수신을 할 수밖에 없다. 또한 직업적으로 사용하는 사람은 비운전이 자주 발생하는 경우 헬멧의 탈착이 자주 발생하므로 핸즈프리 및 스위치의 잦은 탈착으로 인한 고장의 원인이 생길수가 있으며, 헬멧 안쪽으로 송수신부를 탈착할수 있게 만듬으로 탈착하기가 번거로와 진다. 또한 우천시 이상과 같이 고안된 핸즈프리는 스위치가 습기로 인한 전기적 숏트로 오작동은 물론 휴대폰 고장의 원인이 되므로 직업적인 오토바이 운전자로서는 커다란 장애가 된다.
또한 핸즈프리와 연결되는 통신기구는 운전시 및 평상시 즉각적으로 동작시킬 스위 치를 별도로 인출시킬수 있도록 방법이 강구된 것이 없으며 방수 용도의 스위치는 전무하다.
상기와 같은 문제로 본 고안은 도1 및 도2와 같이 스피커세트(14)와 마이크세트(10)가 귀와 얼굴에 부착되어 빠르고 뚜렷한 송수신이 가능하고 헬멧의 탈착시에도 핸즈프리의 탈착조작을 안해도되므로 고장이 적고 또한 탈착도 가능하며 비운전시라도 핸즈프리기능을 그대로 유지할수 있으며 방수스위치세트(20)가 별도로 인출되어 핸들에 부착된 hook벨크로테이프(22b)와 방수스위치세트(20)에 부착된 loop벨크로테이프(22a)로서 방수스위치세트(20)를 핸들에 탈착할수 있으며 운전중 송수신시 핸들을 놓치는 일이 없이 간단하고도 즉각적인 방수스위치세트(20) 조작으로 사고의 위험을 줄이며 한손으로도 간단하게 탈착이 가능해지며 비운전시라도 방수스위치세트(20)를 항상 손에 파지할수 있어 또한 즉각적인 송수신이 가능하며, 방수스위치세트(20)의 방수처리로 우천시 오동작 및 고장을 방지함.
또한 본 고안의 방수스위치세트(20)는 핸즈프리외에도 습기가 있는 곳, 외부에 노출된곳 등 에 설치된 전기 및 전자회로의 스위칭에 편리하게 사용할수 있게 되었고, 이상의 핸즈프리와 연결될수 있는 통신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도1 및 도2 및 도3의 B,C,D,E에 따라
전선16(16)의 일단에는 마이크세트(10)가 입부위에 위치하여 투명테이프(12)로 부착되고 반대편에는 스피커세트(14)가 사용자의 귀에 위치하여 투명테이프(12)로 부착되나 투명테이프(12) 없이도 귓속에 고정이 되며 헬멧의 탈착에도 지장이없어서 고장이 적으며 또한 간단히 탈착할수 있으며 빠르고 뚜렷한 송수신이 되었고 비운전시에도 그대로 유지한체 다른일을 보면서도 즉각적인 송수신을 할 수가 있으며 스피커세트(14)에서 다시 전선18(18)이 인출되어 스프링모양(17)으로 만들어 머리의 움직임에 유동성을 주었고 끝에는 연결플러그(100a)가 연결된 송수신부(1).
전선24(24)의 일단에는 핸들(23)에 접착시킨 hook벨크로테이프(22b)와의 연결을 위하여 loop벨크로테이프(22a)를 밑면에 접착한 방수스위치세트(20)가 연결되어 오토바이 승하차시 탈착이 쉽도록하였으며 운전시 핸들에 부착하여 핸들을 놓지않은 상태에서 송수신을 간단하고 신속하게 할수있으며 비운전시에도 손에 파지하여 즉각적인 송수신을 할수 있으며 방수스위치세트(20)와 연결된 전선24(24)의 일단에는 연결플러그(200a)가 연결된 방수스위치부(2).
도3의 B에 따른 일실시예로
상기 송수신부(1)과 방수스위치부(2)와의 연결을 위해 전선32(32)의 일단에는 통신기구(4)와 연결할수 있는 연결플러그(300a)가 연결되었고 반대편에는 각각 전선18(18),전선24(24)로 나뉘어 송수신부(1)의 연결플러그(100a) 및 방수스위치부(2) 의 연결플러그(200a)와 결합되는 각각의 플러그홀더(100b, 200b)가 연결되어 연결부케이스(30)내에 조립된 연결부(3).
연결부(3)와의 연결을 위해 A회로의 종래의 통신기구(4)가 B회로의 통신기구(4)와 같이 2개의 b접점(300b-b)이 내장된 플러그홀더(300b)가 설치되어 연결부(3)의 연결플러그(300a)가 탈착할수 있도록하고 플러그홀더(300b)의 단자들이 각각 통신기구(4)의 스위치,마이크,스피커연결단자(43,44,45)와 연결되고,
스위치연결단자(43)와 스위치(46)가 연결되어 통신기구(4)의 스위치(46) 및 핸즈프리의 방수스위치세트(20)를 사용가능하게 만들고,
마이크연결단자(44)와 마이크(47)의 사이에 b접점(300b-b)이 직렬연결되고 스피커연결단자(45)와 스피커(48)의 사이에 또 하나의 b접점(300b-b)이 직렬연결되어 연결플러그(300a)가 연결될시 b접점(300b-b) 2개가 동시에 동작하여 통신기구(4)의 마이크(47)및 스피커(48) 사용을 중단시키고 핸즈프리의 마이크(10) 및 스피커(14)를 사용가능하게 한 통신기구(4).
도3의 C에 따른 일실시예로
상기 송수신부(1)과 방수스위치부(2)와의 연결을 위해 A회로의 종래의 통신기구(4)가 C회로의 통신기구(4)와 같이 플러그홀더(200b)가 설치되어 방수스위치부(2)의 연결플러그(200a)가 탈착할수 있도록 하고 플러그홀더(200b)의 단자들이 각각 통신기구(4)의 스위치연결단자(43)와 연결되어 통신기구(4)의 스위치(46) 및 핸즈프리 의 방수스위치세트(20)를 사용가능하게 만들고,
b접점(100b-b)이 2개가 내장된 플러그홀더(100b)가 설치되어 송수신부(1)의 연결플러그(100a)가 탈착할수 있도록 하고 플러그홀더(100b)의 단자들이 각각 통신기구(4)의 마이크,스피커연결단자(44,45)와 연결되고,
마이크연결단자(44)와 마이크(47)의 사이에 b접점(100b-b)이 직렬연결되고 스피커연결단자(45)와 스피커(48)의 사이에 또 하나의 b접점(100b-b)이 직렬연결되어 연결플러그(100b)가 연결될시 b접점(100b-b) 2개가 동시에 동작하여 통신기구(4)의 마이크(47) 및 스피커(48)의 사용을 중단시키고 핸즈프리의 마이크(10) 및 스피커(14)를 사용가능하게 한 통신기구(4).
도3의 D에 따른 일실시예로
상기 송수신부(1)과 방수스위치부(2)와의 연결을 위해 플러그홀더(200b)와 플러그홀더(100b)가 연결부케이스(30)에 설치되고 플러그홀더(200b)는 방수스위치부(2)의 연결플러그(200a)가 탈착될수 있고 플러그홀더(200b)의 단자들이 각각 통신기구(4)의 스위치연결단자(43)와 연결되어 통신기구(4)의 스위치(46) 및 핸즈프리의 방수스위치세트(20)를 사용가능하게 만들고,
b접점(100b-b)이 2개가 내장된 플러그홀더(100b)는 송수신부(1)의 연결플러그(100a)가 탈착될수 있고 플러그홀더(100b)의 단자들이 각각 통신기구(4)의 마이크,스피커연결단자(44,45)와 연결되고,
마이크연결단자(44)와 마이크(47)의 사이에 b접점(100b-b)이 직렬연결되고 스피커연결단자(45)와 스피커(48)의 사이에 또 하나의 b접점(100b-b)이 직렬연결되어 연결플러그(100b)가 연결될시 b접점(100b-b) 2개가 동시에 동작하여 통신기구(4)의 마이크(47) 및 스피커(48)의 사용을 중단시키고 핸즈프리의 마이크(10) 및 스피커(14)를 사용가능하게 한 연결부(3)를 외장한 통신기구(4).
도1,도2,도3의 E에 따른 일실시예로
상기 송수신부(1)과 방수스위치부(2)와의 연결을 위해 플러그홀더(200b)와 플러그홀더(100b) 및 푸쉬버튼스위치(36)가 연결부케이스(30)에 설치되고 플러그홀더(200b)는 방수스위치부(2)의 연결플러그(200a)가 탈착될수 있고 플러그홀더(200b)의 단자들이 각각 통신기구(4)의 스위치연결단자(43)와 연결되어 통신기구(4)의 스위치(46) 및 핸즈프리의 방수스위치세트(20)를 사용가능하게 만들고,
플러그홀더(100b)는 송수신부(1)의 연결플러그(100a)가 탈착될수 있고 플러그홀더(100b)의 단자들과 통신기구(4)의 마이크,스피커연결단자(44,45)와의 사이에 푸쉬버튼스위치(36)의 a접점(36a)2개가 각각 직렬연결되고,
마이크연결단자(44)와 마이크(47)의 사이에 푸쉬버튼스위치(36)의 b접점(36b)이 직렬연결되고 스피커연결단자(45)와 스피커(48)의 사이에 또 하나의 b접점(36b)이 직렬연결되어 연결플러그(100b)가 연결된 상태에서 푸쉬버튼스위치(36)를 눌러서 PUSH된 상태에는 접점 4개가 동시에 동작하여 통신기구(4)의 마이크(47) 및 스피커(48)의 사용을 중단시키고 핸즈프리의 마이크(10) 및 스피커(14)를 사용가능하게 하고 반대로 푸쉬버튼스위치(36)를 또한번 눌러서 UP된 상태에는 접점 4개가 동시에 동작하여 PUSH된 상태의 반대 상태가 되어 핸즈프리의 마이크(10) 및 스피커(14)의 사용을 중단시키고 통신기구(4)의 마이크(47) 및 스피커(48)를 사용가능하게 하는 연결부(3)를 외장한 통신기구(4).
세부적으로
도1,도2,도3의B,C,D,E에 따른 마이크세트(10)는 도8,도9와 같이 설계하였으며 상판(10-2)과 하판(10-6)은 일반적인 플라스틱 재질이며
도9의 A에서 상판(10-2)에는 음성인입구(10-2b)를 구성하였고 하판(10-6)과의 결합을 위한 하판과의 결합용돌출부(10-2a)를 구성하였다.
다음 하판에는 도8의 C 및 도9의 B와 같이 상판과의결합용홈(10-6b)를 구성하였고 전선16을 인입하기위해 전선인입구(10-6a)를 구성하였다.
다음 도9에서 표면이 절연되지않고 금속마감상태인 마이크(10-4)의 하부에 마이크 다리(10-4a) 2개가 각각 절연필름구멍(10-7a)에 결합되어 다시 마이크소켓결합용홈(10-8a)에 결합되고 마이크소켓이 기판구멍(10-10a)에 결합되고 또 하판(10-6)의 전선인입구(10-6a)로 인입된 전선16(16)에서 나온 심선(19) 2가닥 각각의 내부도체(15)가 같이 결합되서 납땜되고 전선16(16)에서 나온 철심(16a)은 나머지 2개의 기판구멍(10-10a)에 인입인출되어 고정되고,
철심의 일측은 스피커세트와 연결하여 고정되고 가요성이 있는 철심으로 인해 거취를 자유롭게 하였고, 또 마이크소켓(10-8)의 사용으로 기판(10-10)과의 탈착이 가능해진 마이크(10-4)는 고장시 간단하게 수리가 가능하게 되었다.
다음으로 도1,도2,도3의B,C,D,E에 따른 스피커세트(14)는 도6,도7와 같이 설계하였으며 상판(14-1)과 하판(14-2)은 일반적인 플라스틱 재질이며
도7의 B에서 하판(14-2)의 일편에는 전선16(16)과 전선18(18)이 인입될수 있도록 상판(14-1)과 결합하면 둥근 원통모양을 하였으며 이를 위해 상판과의결합용돌출부 및 홈(14-2a,14-2b)을 구성하였고 반대편에는 도7의 C에 따라 스피커(14-3)가 내장될수 있도록 고깔모양을 하고있으며 고무커버와의결합용홈(14-2c)을 구성하였다.
다음 상판(14-1)은 둥근원통모양의 반을 자른 반원통모양을 하고 있으며 하판(14-2)와의 결합을 위해 하판과의결합용홈 및 돌출부(14-1b,14-1a)를 구성하여 하판(14-2)의 결합시 홈에따라 슬라이딩하여 결합하게 하였고 스피커의 동작에 따른 공기의 유동을 위해 공기구멍(14-1d)를 구성하였다.
다음 고무커버(14-4)는 탄력이 있는 고무재질로 하판(14-2)에 내장된 스피커(14-3)를 덮어서 고정시키기 위해 하판(14-2)와 결합할수 있도록 하판과의결합용돌출부(14-4a)를 구성하였다.
도7의 C에서 인입된 전선18(18)에서 나온 심선(19) 4가닥중 2가닥은 각각의 내부도체(15)가 스피커단자(14-3a)와 함께 납땜이 되었고 나머지 2가닥은 철심(16a)과 함께 우레탄수지 등의 피복 처리되어 도9의 마이크세트(10)와 연결이 되며, 철심(16a)의 끝은 하판(14-2)을 지지삼아 구부러져 고정되었고, 전선18(18)의 일측에는 연결플러그(100a)가 연결되었으며, 연결플러그(100a)는 음성입력 2선과 음성출력 2선을 각각 분리하여 연결할수있도록 4극용으로 하였고 통신기구에 따라 음성입력 1선 음성출력 1선 공통 1선으로 구성되더라도 지장이 없도록 되고, 스피커(14-3)의 고장시 고무커버(14-4)를 분리하여 스피커(14-3)를 교환할수있게 되었다.
다음으로 도1,도2,도3의B,C,D,E에 따른 방수처리가 된 방수스위치세트(20)는 도4,도5와 같이 설계하였으며 도5의 A 및 B에 따라
하판(20-2), 상판(20-8), 보턴(20-7)은 일반적으로 가공이 쉬운 프라스틱재질이며 먼저 하판(20-2)은 중앙에 택트스위치(20-3)를 위치시켜 고정되도록 접착제로 고 정하거나, 택트스위치고정용 돌출부(20-2b)를 4곳에 돌출하였으며 이 돌출부가 없더라도 택트스위치 하단돌출부(20-3a)가 있는것을 감안하여 택트스위치 하단 돌출부결합용 홈(20-2c)을 4곳에 만들었으며, 하판(20-2)의 밑면은 오토바이핸들과의 접촉효율을 높이기 위해 핸들의 곡면에 따라 곡면처리(20-2d)를 하였고, 하판(20-2)과 상판(20-8)과의 접속부위의 방수를 위해 탄력이 있는 고무링(20-4)이 결합될수 있는 고무링결합용 홈(20-2e)을 만들었으며, 전선의 인입부에는 전선을 보호할수 있는 전선보호대(20-5)가 반이 결합되도록 전선보호대결합용 홈(20-2f)을 만들었으며, 너트(20-1)가 결합될수있도록 너트결합용 홈(20-2g)을 4곳에 만들었으며, 너트(20-1)와 볼트가 결합될 수 있는 통로로 볼트구멍(20-2a)을 4곳에 만들어 구성하였다.
다음 상판(20-8)에는 보턴(20-7)이 내부에서 외부쪽으로 돌출될수있도록 보턴돌출용 구멍(20-8d)을 만들었으며, 볼트(20-9)가 통과할수 있도록 볼트구멍(20-8a)을 4곳에 만들었으며, 전선의 인입부에는 하판(20-2)와 마찬가지로 전선을 보호할수 있는 전선보호대(20-5)가 나머지 반이 결합되도록 전선보호대결합용 홈(20-8b)을 만들었으며, 하판(20-2)의 방수를 위한 고무링결합용 홈(20-2e)에 결합된 고무링(20-4)을 압착할수 있도록 하판과는 반대로 고무링압착용 돌출부(20-8c)를 구성하였다.
다음 전선보호대(20-5)는 탄력이 있는 고무재질로 고무링인입용 홈(20-5a)을 양쪽 2곳에 만들어 고무링양단(20-4b)을 인입시킨후 접착하였고 전선보호대의 내부공간 으로 전선24(24)를 통과시켜 접착하며 전선24(24) 내부의 심선(19) 2가닥이 나와 각각의 내부도체(15)가 택트스위치단자(20-3b)와 함께 납땜이 되었다.
다음 보턴(20-7)에는 이탈을 방지하기위해 상판(20-8)의 보턴돌출용 구멍(20-8d)보다 넓도록 이탈방지용 돌출부(20-7c)가 보턴(20-7)의 주위로 둘리도록 만들었으며, 고무막과의접착부위(20-7a)는 고무막(20-6)의 보턴과의접착부위(20-6g)와 접착하도록 구성하였다.
다음 고무막(20-6)에는 보턴(20-7)과 상판(20-8)이 결합된 보턴돌출용 구멍(20-8d) 사이의 방수를 위해 얇고 신축성이 좋은 재질의 고무막(20-6)의 중앙에 보턴하단결합용구멍(20-6f)을 만들었고, 보턴과의 접착부위(20-6g)는 보턴(20-7)의 고무막과의 접착부위(20-7a)와 접착하고 고무막(20-6)의 주변에 상판과의접착부위(20-6a)와 상판(20-8)의 고무막과의접착부위(20-8f)와 접착하여 방수가 되도록 구성하였다.
위와 같이 조립완성된 상태에서 도4의 D와 같이 볼트(20-9)와 너트(20-1)만 분리됐을 때 고무링(20-4)와 전선보호대(20-5)의 높이 때문에 상판(20-8)과 하판(20-2)사이가 X간격만큼 벌어지게 되며, 이 간격만큼을 볼트(20-9)와 너트(20-1)를 이용 탄성이 좋은 고무재질의 고무링(20-4)와 전선보호대(20-5)를 압착하여 상판(20-8)과 하판사이를 밀착하므로 외부로부터 밀폐되어서 완전한 방수가 되었다.
다음 동작은 도4의 D의 보턴(20-7)의 하단이 택트스위치(20-3)의 상단을 눌리지 않토록 맞닿아 있으며 전기적으로는 택트스위치(20-3)가 A접점 상태이고 보턴(20-7)을 손으로 누르면 택트스위치(20-3)의 상부가 눌리어 스위칭작용이 일어나며
손을 뗄시에는 도5의 B를 참고로 택트스위치(20-3)의 원상복원력으로인해 보턴(20-7)이 자동으로 올라가지만 혹시 택트스위치(20-3) 및 기타스위치가 원상복원력이 보턴(20-7)의 무게 및 마찰력보다 미약할시를 위해 보턴을 안눌렀을 때 고무막(20-6)과 접착되는상판(20-8)과 보턴(20-7)의 접착위치의 높이를 수평적으로 같게 함으로써 신축특성이 좋은 고무막(20-6)이 보턴을 누르면 늘어나고 반대로 보턴에서 손을 떼면 수축력으로 원상태로의 회복이 가능하여 보턴이 올라간다. 또한 택트스위치(20-3) 및 다른종류의 스위치 또한 본 고안의 방수스위치세트(20)의 내부에 설치하여서 방수처리가 가능하게 되었고 택트스위치(20-3) 및 내부의 단선으로 인한 고장시 볼트(20-9)와 너트(20-1)를 분리하여 수리가 가능하게 하였다.
다음으로 도1,도2,도3의 E에 따른 연결부케이스(30)는 도10과 도11와 같이 설계하였으며 일반적인 플라스틱재질이며
도11의 A에서 하판(30-2)에는 볼트(20-9)가 통과할 볼트구멍(30-2b)를 4곳에 구성하였고 도1과 도2의 전선32(32)가 인입될 전선인입구(30-2a)가 구성되었고 연결플러그인입용홈(30-2d, 30-2e) 및 푸쉬버튼스위치조작홈(30-2C)이 구성되었다.
다음 상판(30-4)에는 너트용홈 및 볼트구멍(30-4b)를 구성하였고 푸쉬버튼스위 치(36)를 측면에서도 조작하기위한 푸쉬버튼스위치 조작홈(30-4a) 및 연결플러그인입용홈(30-4c)을 구성하였다.
다음 상판(30-4)과 하판(30-2)의 내부에는 플러그홀더(100b,200b)와 푸쉬버튼스위치(36)가 구성되었다.
연결부케이스(30)의 다른 방법으로는 도3의 B,D에 따라 도14와 도15와 같이 설계하였으며 일반적인 플라스틱재질이며 도10과 도11에서 푸쉬버튼스위치(36), 푸쉬버튼스위치조작홈(30-2C), 푸쉬버튼스위치 조작홈(30-4a) 3가지 구성을 제외하여 구성되었다.
방수스위치세트(20)는 방수의 다른 방법으로 상기 고안 중 도5의 A 및 B에서 상판(20-8)과 보턴(20-7)사이의 방수로 사용된 고무막(20-6)을 이용한 방법을 변형하면
도12의 A는 고무막(20-6c)을 상판(20-8)의 위쪽에서 덮어서 측면까지 내려온 상판과의 접착부위(20-6a)를 상판(20-8)의 고무막과의접착부위(20-8f)에 접착하였고
도12의 B는 고무막(20-6d)을 상판(20-8)의 위쪽에서 덮어서 상판과의 접착부위(20-6a)를 상판(20-8)의 고무막과의접착부위(20-8f)에 접착하였고
도12의 C는 고무막(20-6a)을 상판(20-8)의 아래쪽에서 상판과의 접착부위(20-6a)를 상판(20-8)의 고무막과의접착부위(20-8f)에 접착하였고
도12의 D와 도13의 A는 도5의 A 및 B에서와 같이 방수기준으로 봤을 때 외부에서 조립하게 구성된 볼트구멍(20-8a,20-2a)이 도12의 D와 도13의 A같이 내부에서 구성되었때 상판(20-8)과 하판(20-2)사이의 방수로 사용된 도5의 A와 B의 고무링(20-4)을 이용한 방법을 도12의 D와 도13의 A의 고무링(20-4a)과 같이 단면을 H모양으로하여 그 사이에 상판(20-8)과 하판(20-2)을 결합하였고 고무링양단(20-4b)은 전선보호대(20-5)와 접착하였고 상판(20-8)과 하판(20-2)의 볼트구멍(20-8a,20-2a)사이는 둥근모양에 가운데가 볼트구멍이 난 볼트용고무링(20-10)을 사용하여 구성하였다.
방수스위치세트(20)는 조립의 다른방법으로
도12의 A에서 상판(20-8)과 하판(20-2) 사이를 볼트를 대신해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하였고 이로인한 측면방수도 해결되었다.
도13의 B와 C에서 상판(20-8)의 밑면을 갈고리 모양의 돌출부(20-8e)를 4곳에 구성하였고
하판(20-2)에 이와반대로 갈고리모양의 홈(20-2h)를 구성하여 조립할수 있게 하였다.
언제 어느상황에서라도 즉시 송수신이 가능해지고 오토바이나 자동차 운전시 핸들 에서 손을 떼지 않고도 방수스위치세트(20) 조작이 되므로 사고의 위험을 줄일수 있으며 평상시 및 간단한 짐을 운반시에도 방수스위치세트(20)을 항상손에 파지할수 있으므로 즉각적인 송수신응답을 할 수 있고 방수처리된 방수스위치세트(20)로 인해 우천시에도 오토바이운전중 사용이 가능해졌다. 또한 오토바이 승하차시 및 헬멧 탈착시에 전혀 지장을 받지않으며 또한 자유로이 탈착하여 사용할수 있으므로 더욱편리하고 수시로 탈착할 일이 없으므로 고장발생이 줄어든다.

Claims (22)

  1. 마이크(10-4)와 스피커(14-3)와 연결플러그(100a)를 전선으로 연결한 핸즈
    프리에 있어서,
    마이크(10-4)는 플라스틱 재질의 상판(10-2)과 하판(10-6)의 하우징 내에
    구성되고, 절연필름(10-7)과 마이크소켓(10-8)과 기판(10-10)에 차례로 결
    합되어 전선에 연결되며
    스피커는 플라스틱 재질의 하판(14-2)의 하우징과 고무커버(14-4)사이에 결
    합되고 상판(14-1)과 하판(14-2)의 하우징 사이로 인입된 전선에 연결되며
    마이크(10-4)와 스피커(14-3)에 연결된 전선의 반대편은 4극으로된 연결플
    러그(100a)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핸즈프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추가로
    프라스틱재질의 하판(20-2), 상판(20-8)의 하우징이 구성되며 상판의 구멍
    으로 보턴(20-7)이 내부에서 외부쪽으로 돌출되며 보턴의 하측으로 택트스
    위치(20-3)가 맞닿아 있으며 택트스위치(20-3)에 연결된 전선이 상,하판 하
    우징사이로 인출되는 곳에는 전선보호대(20-5)가 구성되며 전선의 반대쪽에
    는 연결플러그(200a)가 연결되어 구성된 방수스위치를 더 구비한 핸즈프리.
  3. 삭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추가로
    송수신부 및 방수스위치를 포함하며 연결플러그(100a,200a)가 탈착될수있도록 플러그홀더(100b, 200b)가 내장된 연결부케이스(30)와 통신기구(4)와 연결할수 있는 연결플러그(300a)가 전선으로 연결된 연결부(3)가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추가로
    핸즈프리의 연결플러그(300a)가 탈착시 핸즈프리와 통신기구와의 송수신장치를 선택하도록 동작되는 b접점(300b-b)두개가 내장된 플러그홀더(300b)가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6. 청구항 2에 있어서 추가로
    송수신부의 연결플러그(100a)가 탈착시 핸즈프리와 통신기구와의 송수신장치를 선택하도록 동작되는 b접점(100b-b)두개가 내장된 플러그홀더(100b)와 방수스위치부의 연결플러그(200a)가 탈착할수 있는 플러그홀더(200b)가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7. 청구항 2에 있어서 추가로
    송수신부의 연결플러그(100a)가 탈착시 핸즈프리와 통신기구와의 송수신장치를 선택하도록 동작되는 b접점(100b-b)두개가 내장된 플러그홀더(100b)와 방수스위치부의 연결플러그(200a)가 탈착할수 있는 플러그홀더(200b)가 연결부케이스(30)에 외장되어 이것이 통신기구와 전선으로 연결되어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8. 청구항 2에 있어서 추가로
    송수신부의 연결플러그(100a)와 방수스위치부의 연결플러그(200a)가 탈착될수 있는 플러그홀더(100b) 및 플러그홀더(200b)와 핸즈프리와 통신기구와의 송수신장치를 선택하도록 동작되는 a접점(36a)두개와 b접점(36b)두개로 구성된 푸쉬버튼스위치(36)가 연결부케이스(30)에 외장되어 이것이 통신기구와 전선으로 연결되어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9. 청구항1에 있어서 마이크(10-4)가 탈착이 가능하게 마이크소켓(10-8)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10. 청구항1에 있어서 연결플러그(100a)는 2선의 음성입력과 2선의 음성출력을 수용할수있는 4극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11. 청구항1에 있어서 마이크세트(10)와 스피커세트(14) 사이의 전선에는 가요성이 있는 철심이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는 핸즈프리.
  12. 청구항1에 있어서 4극으로된 연결플러그(100a)를 사용하여 핸즈프리와 연결되는 장치와의 탈착이 가능하게 된것을 특징으로하는 핸즈프리.
  13. 청구항2에 있어서 오토바이핸들과 방수스위치세트(20)와의 탈착이 가능하도록 핸들(23)과 방수스위치세트(20)의 밑면에 hook벨크로테이프와 loop벨크로테이프(22a)를 사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핸즈프리.
  14. 청구항2에 있어서 방수스위치세트(20)의 하판(20-2)의 하우징 밑면은 곡면처리(20-2d)를 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핸즈프리.
  15. 청구항2에 있어서 방수스위치(20)의 방수를 위해 상판(20-8)과 하판(20-2)의 하우징 사이에 고무링(20-4)을 상판(20-8)과 보턴(20-7)의 사이에 고무막(20-6)을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16. 청구항2에 있어서 방수스위치(20)의 상판(20-8)과 보턴(20-7)의 하우징 사이의 방수를 위해 상판(20-8)의 위쪽에서 측면까지 덮은 고무막(20-6c)을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17. 청구항2에 있어서 방수스위치(20)의 상판(20-8)과 보턴(20-7)의 하우징 사이의 방수를 위해 상판(20-8)의 위쪽을 덮은 고무막(20-6d)을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18. 청구항2에 있어서 방수스위치(20)의 상판(20-8)과 보턴(20-7)의 하우징 사이의 방수를 위해 상판(20-8)의 안쪽에서 보턴(20-7)에 따라 위쪽으로 돌출된 고무막(20-6e)을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19. 청구항2에 있어서 방수스위치(20)의 상판(20-8)과 하판(20-2)의 하우징 사이의 방수를 위해 단면이 H모양을 한 고무링을 이용하고, 볼트구멍(20-8a,20-2a)사이는 둥근모양에 가운데가 볼트구멍이 난 볼트용고무링(20-10)을 사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20. 청구항2에 있어서 방수스위치(20)와 연결되는 장치와의 탈착을 위하여 연결플러그(200a)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한는 핸즈프리.
  21. 청구항2에 있어서 방수스위치세트(20)의 다른 조립방법으로 상판(20-8)과 하판(20-2)의 하우징 사이를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22. 청구항2에 있어서 방수스위치세트(20)의 다른 조립방법으로 상판(20-8)의 밑면을 갈고리 모양의 돌출부(20-8e)를 4곳에 구성하였고 하판(20-2)에 이와반대로 갈고리모양의 홈(20-2h)를 구성하여 조립할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KR2020060011492U 2006-04-28 2006-04-28 핸즈프리 및 방수스위치 및 통신기구 KR2004292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1492U KR200429230Y1 (ko) 2006-04-28 2006-04-28 핸즈프리 및 방수스위치 및 통신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1492U KR200429230Y1 (ko) 2006-04-28 2006-04-28 핸즈프리 및 방수스위치 및 통신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9230Y1 true KR200429230Y1 (ko) 2006-10-19

Family

ID=41777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1492U KR200429230Y1 (ko) 2006-04-28 2006-04-28 핸즈프리 및 방수스위치 및 통신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923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5432B1 (ko) * 2004-12-09 2007-02-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s-lcd와 cf-lcd에 겸용되는 백라이트 유닛을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5432B1 (ko) * 2004-12-09 2007-02-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s-lcd와 cf-lcd에 겸용되는 백라이트 유닛을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78034B2 (en) Helmet headset mounting assembly and method
CN102017653B (zh) 带有集成开关的有线耳机
US7130654B2 (en) Wireless headset having a local area communication module and being detachable from a communication device
CN102484754B (zh) 用于电子设备的附件控制器
US7804886B2 (en) Wearable system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7616774B2 (en) Clampless headset mounting assembly
EP0963667B1 (en) Microphone attachment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microphone and audio circuit of a flip-type radio phone with a mechanical contact device
CN100476984C (zh) 输入装置
US20130308787A1 (en) Accessory Button Controller Assembly
CN106253926A (zh) 多功能车载蓝牙收发器
GB2296157A (en) Multifunction hands-free cellular telephone adaptor
KR200429230Y1 (ko) 핸즈프리 및 방수스위치 및 통신기구
KR100772985B1 (ko) 휴대폰 및 휴대용 음향기기의 이어폰 세트
US9659723B2 (en) Accessory controller with switch module
JP3769215B2 (ja) 乗車用ヘルメットの外部導線接続構造
CN220191007U (zh) 一种显示组件及应用该显示组件的蓝牙运动音箱
KR200446161Y1 (ko) 차량용 블루투스 핸즈프리 내장형 마이크 어셈블리
KR200235210Y1 (ko) 마그네틱 잭
CN218215108U (zh) 电子智能轻触开关
JP2756055B2 (ja) 無線端末装置の外部インタフェース用コネクタ
KR100551698B1 (ko) 스피커 내장형 안테나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
CN216697799U (zh) 一种带灯光的车充蓝牙重低音播放器
CN215645084U (zh) 一种方向盘柔性扁平线束结构
CN2588688Y (zh) 携带型可切换扩音及耳机式免持听筒
TWM524085U (zh) 內建耳機之毛線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1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