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8862Y1 - 창틀 커버 - Google Patents

창틀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8862Y1
KR200428862Y1 KR2020060020408U KR20060020408U KR200428862Y1 KR 200428862 Y1 KR200428862 Y1 KR 200428862Y1 KR 2020060020408 U KR2020060020408 U KR 2020060020408U KR 20060020408 U KR20060020408 U KR 20060020408U KR 200428862 Y1 KR200428862 Y1 KR 2004288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cover
window
present
ex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04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명
Original Assignee
강성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명 filed Critical 강성명
Priority to KR20200600204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88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88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886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0Coverings, e.g. protecting against weather, for decorative purposes
    • E06B3/301Coverings, e.g. protecting against weather, for decorative purposes consisting of prefabricated profiled members or glass
    • E06B3/305Covering metal frames with plastic or metal profiled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0Coverings, e.g. protecting against weather, for decorative purposes
    • E06B3/301Coverings, e.g. protecting against weather, for decorative purposes consisting of prefabricated profiled members or glass
    • E06B3/306Covering plastic frames with metal or plastic profiled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창문을 닫은 상태의 창틀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에 착탈이 간편하도록 장착되어 특히 동절기의 창틀 청소가 대단히 용이토록 하며, 외풍 및 소음의 유입을 줄여 안락한 실내환경을 조성토록 하는 창틀 커버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창문이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토록 가이드홈 상에 내측과 외측에 가이드레일이 평행설치되는 미닫이식 창틀에 장착되는 커버로서, 창문을 닫았을때 하부 창틀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을 덮어주기 위하여 수평상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평판형태의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의 하방에 창틀 노출부분의 요철에 대응하여 돌출형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창틀 커버{A WINDOW FRAME COVER}
도 1a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
도 1b는 도 1a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설치를 보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장착상태 평면도
도 4는 도 3의 B-B선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도
도 9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도
도 10은 종래 기술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본 고안의 창틀 커버
11: 덮개부 13: 고정부 15: 처마부
17: 손잡이부 20: 창틀 21: 가이드홈
23: 내측 가이드레일 24: 외측 가이드레일
31: 내측 창문 32: 외측 창문 100: 종래기술
본 고안은 창틀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창문을 닫은 상태의 창틀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에 착탈이 간편하도록 장착되어 특히 동절기의 창틀 청소가 대단히 용이토록 하며, 외풍 및 소음의 유입을 줄여 안락한 실내환경을 조성토록 하는 창틀 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문틀구조는 벽체에 일체로 설치되는 창틀과 이 창틀에 개폐가능토록 설치되는 창문으로 구성되며 아파트 등과 같이 주거용 건물에는 대개 미닫이식으로 설치된다.
상기 미닫이식 창틀은 창문의 슬라이딩을 안내하기 위하여 가이드홈 내에 내측 및 외측 레일이 포설된다.
이러한 구조의 창틀은 설치되는 위치적 특성상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에 먼지 및 이물질이 쌓이기 쉬우며 더구나 창문을 닫아두고 지내는 동절기에는 퇴적량이 많아져 이의 제거에 시간과 힘을 많이 들여야 되는 어려움이 있었다.
즉, 가이드홈과 가이드레일로 인하여 홈의 폭이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되고 개구가 상부 외에는 없기 때문에 이 좁은 틈새에 먼지 및 기타 이물질이 일단 퇴적 되면 제거하기가 대단히 어려운 것이다.
한편, 이러한 창틀의 퇴적 이물질 제거를 용이토록 하는 기술로서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0368318호 등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10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틀(20)의 가이드홈 및 가이드레일 요철에 그대로 덧입혀지는 형태로서 창틀(20)의 전 길이에 걸쳐 설치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종래기술(100)은 창틀(20)의 상부 표면을 모두 감싸고 있으므로 이를 창틀(20)로부터 들어내어 세척하고 다시 끼워주면 창틀의 청소가 깨끗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100)은 창틀(20) 위에 덧씌워지고 그 위에서 창문(31)(32)이 슬라이딩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 기존 설치된 창문틀구조에서는 창문 높낮이방향의 공간을 잠식하게 됨으로써 창문이 끼워지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슬라이딩 동작에도 지장을 주게 되어 설치된 창문틀 구조에는 적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창틀구조가 상기 종래기술 설치를 전제로 설계 및 시공된 경우에도 청소시 창문(31)(32)을 모두 창틀(20)로부터 떼어내고 청소 후 다시 장착해야 됨으로써 큰 힘을 쓰지 못하는 가정주부들의 경우에는 엄두가 나지 않는 일이어서 별로 도움이 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창문을 닫은 상태의 창틀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에 착탈이 간편하게 장착되어 특히 동절기의 창틀 청소가 대단히 용이토록 하는 창틀 커버를 제곰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창문 틈새를 통한 외풍 및 소음의 유입을 줄여 안락한 실내환경을 조성토록 하는 창틀 커버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에 따른 창틀 커버는,
창문이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토록 가이드홈 상에 내측과 외측에 가이드레일이 평행설치되는 미닫이식 창틀에 장착되는 커버로서,
창문을 닫았을때 하부 창틀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을 덮어주기 위하여 수평상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평판형태의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의 하방에 창틀 노출부분의 요철에 대응하여 돌출형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창틀 커버에 대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 도 1b는 도 1a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설치를 보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장착상태 평면도, 도 4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창틀 커버(10)는 창문이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토록 가이드홈(21) 상에 내측과 외측에 가이드레일(23)(24)이 평행설치되는 미닫이식 창틀(20)에 장착되는 커버로서, 창문(31)(32)을 닫았을때 하부 창틀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A)을 덮어주기 위하여 수평상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평판형태의 덮개부(11)와, 상기 덮개부(11)의 하방에 창틀 노출부분(A)의 요철에 대응하여 돌출형성되는 고정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부(13)는 창틀의 외측단(25)과 외측 가이드레일(24)을 잡아주도록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덮개부(11)에 결합된 단면형상이 "ㅠ" 자 형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덮개부(11) 양측에는 창틀에 구비된 수직 돌출부 삽입을 위한 절제부(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제부(12)는 덮개부(11)가 창틀의 수직면에 밀착 설치가 가능토록 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부(11) 및 고정부(13)에는 치수조정 절단이 용이토록 하는 절취선(14)이 소정 간격으로 요입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부(11)는 길이방향 양측 선단에 이음연결을 위한 연결단턱(11a)이 형성되거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부(11)는 폭방향 양측 선단에 이음결합을 위한 폭이음단턱(11b)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부에 상기 연결단턱(11a) 및 폭이음단턱(11b)이 동시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덮개부(11)의 상부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15)가 돌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합성수지재로 압출 성형되거나 사출성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을 지닌 본 고안에 따른 창틀 커버(1)의 설치 및 사용상태를 살펴본다.
본 고안은 창틀(20)에서 전체가 아니라 창문(31)(32)을 닫은 상태에서 실외측으로 노출되는 부분에만 덮여진다.
이때 상기 덮개부(11)에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부(13)는 창틀의 외측단(25)과 외부로 드러나는 외측 가이드레일(24) 양쪽에서 잡아주도록 형성됨으로써 풍우에 의하여는 이탈되지 않는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창틀의 규격에 따라 상기 절취선(12)을 이용하여 절단이 용이하며 상기 연결단턱(11a) 또는 폭이음단턱(11b)을 이용하여 길이 또는 폭을 연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창문을 닫은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어 먼지나 이물질이 쌓이는 부분(A)에만 견고하게 장착됨으로써 취급 및 세척이 대단히 용이하다.
대체로 창문을 열고 지내는 계절에는 창틀에 먼지가 퇴적되지 않을 정도로 자주 청소를 하므로 이때에는 본 고안을 굳이 장착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그러나, 동절기와 같이 창문을 닫아두고 지내는 경우, 본 고안(1)을 창틀의 해당부분에 장착해두면 먼지나 이물질이 상기 덮개부(11) 상에 쌓이고 청소시에는 본 고안을 들어내어 닦아주면 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창틀(20)에 대한 착탈이 간편하여 청소가 대단히 용이하며 종래기술에서 수반되었던 창문을 떼어내는 힘들고 번거로운 일이 불필요하다.
또한, 덮개부(11)에 고정부(13)가 하향 돌출되어 창문과 창틀 사이의 틈새를 차단하므로 외풍, 및 소음의 유입을 줄여 안락한 실내환경을 조성하기도 한다.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창틀 커버는 창문을 닫은 상태의 창틀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에 착탈이 간편하게 장착됨으로써 특히 동절기의 창틀 청소가 대단히 용이하도록 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창문과 창틀 사이의 틈새를 차단하므로 외풍 및 소음의 유입을 줄여 안락한 실내환경을 조성하는 이점이 있다.

Claims (7)

  1. 창문이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토록 가이드홈(21) 상에 내측과 외측에 가이드레일(23)(24)이 평행설치되는 미닫이식 창틀(20)에 장착되는 커버로서,
    창문(31)(32)을 닫았을때 하부 창틀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A)을 덮어주기 위하여 수평상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평판형태의 덮개부(11)와, 상기 덮개부(11)의 하방에 창틀 노출부분(A)의 요철에 대응하여 돌출형성되는 고정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커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3)는 창틀의 외측단과 외측 가이드레일(24)을 잡아주도록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덮개부(11)에 결합된 단면형상이 "ㅠ" 자 형태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커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 양측에는 창틀에 구비된 수직 돌출부 삽입을 위한 절제부(12)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커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11) 및 고정부(13)에는 치수조정 절단이 용이토록 하는 절취선(14)이 소정 간격으로 요입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커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11)는 길이방향 양측 선단에 연결이음을 위한 연결단턱(11a)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커버.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11)는 폭방향 양측 선단에 이음결합을 위한 폭이음단턱(11b)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커버.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11)의 상부에는 손잡이부(15)가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커버.
KR2020060020408U 2006-07-28 2006-07-28 창틀 커버 KR2004288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408U KR200428862Y1 (ko) 2006-07-28 2006-07-28 창틀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408U KR200428862Y1 (ko) 2006-07-28 2006-07-28 창틀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8862Y1 true KR200428862Y1 (ko) 2006-10-16

Family

ID=41777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0408U KR200428862Y1 (ko) 2006-07-28 2006-07-28 창틀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886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8796B1 (ko) 2006-09-29 2007-10-19 한화엘앤씨 주식회사 창틀의 폭을 줄인 창호
KR102346373B1 (ko) 2021-01-20 2022-01-03 이정환 먼지 소음 유입 및 먼지 증적 차단용 창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8796B1 (ko) 2006-09-29 2007-10-19 한화엘앤씨 주식회사 창틀의 폭을 줄인 창호
KR102346373B1 (ko) 2021-01-20 2022-01-03 이정환 먼지 소음 유입 및 먼지 증적 차단용 창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72908B2 (ja) レール詰込み形スライディング窓戸装置
KR200428862Y1 (ko) 창틀 커버
KR100720135B1 (ko) 이중창 구조의 창틀
KR100531254B1 (ko) 슬라이드 와이퍼를 이용한 유리 청소창문 구조
KR200480099Y1 (ko) 건물창틀용 빗물받이기구
KR100949182B1 (ko) 무동력 셀프 클리닝 창문
CN205493684U (zh) 带清洁装置的窗户
KR200418504Y1 (ko) 창틀의 배출구 장착용 배출구커버
CN210798688U (zh) 一种防渗漏外窗
KR100949181B1 (ko) 무동력 셀프 클리닝 창문
KR101753037B1 (ko) 기밀성과 방풍기능을 갖는 창틀프레임의 배수구조
KR200405559Y1 (ko) 고정샷시 장착용 물받이샷시
JP4042152B2 (ja) 下枠フラットサッシの下枠上面排水構造
JP3813084B2 (ja) セルフクリーン外壁構造
KR200482824Y1 (ko) 창틀프레임용 이물질 포집부재
JP3893594B2 (ja) 建具
CN218454701U (zh) 一种阳光房移动板块衔接结构
CN105361783A (zh) 一种具有除尘装置的窗户
KR20240000880U (ko) 방충망틀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슬라이딩 유리창 청소구
KR20240000881U (ko) 창틀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슬라이딩 유리창 청소구
JPS6228285Y2 (ko)
KR20140001381A (ko) 슬라이드 개폐형 창틀의 집수 및 드레인 장치
CN211647807U (zh) 一种可拆卸擦洗的玻璃窗户结构
KR200196505Y1 (ko) 창호
KR20210021934A (ko) 무레일 방식의 미닫이 창호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0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