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8779Y1 - 고효율 증류기 - Google Patents

고효율 증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8779Y1
KR200428779Y1 KR2020060019563U KR20060019563U KR200428779Y1 KR 200428779 Y1 KR200428779 Y1 KR 200428779Y1 KR 2020060019563 U KR2020060019563 U KR 2020060019563U KR 20060019563 U KR20060019563 U KR 20060019563U KR 200428779 Y1 KR200428779 Y1 KR 2004287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oling
tube
preheating
cooling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95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우
허만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우, 허만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우
Priority to KR20200600195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87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87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877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02F1/0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 Heat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효율 증류기에 관한 것으로서,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 내에 마련되며, 공급된 물을 예열하는 예열냉각관; 상기 예열냉각관에서 미리 예열된 물을 제공받아 가열하여 액체 상태의 물을 기체 상태의 수증기로 상변화시키는 보일러; 상기 예열냉각관 내에 마련되며, 수냉식에 의해 상기 보일러를 통해 최종적으로 형성된 기체 상태의 수증기가 액체 상태의 증류수로 액화되는 수증기 응축관; 상기 예열냉각관의 일측에 배치되어 공랭식에 의해 상기 수증기 응축관 내에서 유동하는 수증기를 액화시키는 냉각팬; 상기 수증기 응축관의 하부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수증기 응축관 내에서 형성된 상기 증류수를 모으는 저수통; 및 상기 저수통과 연결되고 상기 본체부의 외측에 마련되어 상기 증류수를 선택적으로 배출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물꼭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공랭식의 단점인 소음 발생문제와, 수냉식의 단점인 물 소비량 증가문제를 적절하게 해소하고, 이에 더하여 물을 가열하는데 따른 전기 사용량을 줄이면서도 증류의 효율을 종래보다 현격하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증류기, 고효율, 공랭, 수냉, 공용

Description

고효율 증류기{High effectiveness distiller}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증류기에 대한 이미지,
도 2는 도 1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증류기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부 10 : 필터
11 : 공급관 15 : 예열냉각관
17 : 수증기 응축관 19 : 보일러 물 보충관
21 : 유리 이중관 22 : 저수통 유입관
23 : 보일러 25 : 히터
27 : 보일러 고정대 33 : 보일러 스위치
35 : 냉각팬 37 : 냉각팬 고정대
39 : 저수통 43 : 물꼭지
50 : 보조저수통
본 고안은, 고효율 증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랭식의 단점인 소음 발생문제와, 수냉식의 단점인 물 소비량 증가문제를 적절하게 해소하고, 이에 더하여 물을 가열하는데 따른 전기 사용량을 줄이면서도 증류의 효율을 종래보다 현격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고효율 증류기에 관한 것이다.
물은 가열하면 온도가 100℃가 될 때까지 올라가고, 계속 가열하면 끓는점을 상회하여 수증기로 상변화한다. 이 때, 상변화된 수증기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면서 수증기의 온도보다 낮게 유지하면 다시 물방울(물)이 되는데, 이를 증류수라 한다.
물론, 이러한 일련의 동작에서, 기압의 차이에 따라 증발된 후에 다시 물방울로 응결되는 온도에는 차이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증류수는 살균/소독의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인체의 신진대사 작용에도 도움을 주는 것을 알려져 있다. 이에, 증류수를 제조하기 위한 일련의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증류수를 만드는 방법은 크게 공랭식과 수냉식으로 나눌 수 있다.
공랭식은 보일러에서 물을 가열한 다음, 증발된 수증기를 일정한 관을 통과하게 하고 그 관에 팬으로 바람을 일으켜 냉각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공랭식의 방식은 관에 대한 팬의 공기마찰로만 수증기를 물방울로 냉각해야 하므로 고용량의 팬을 사용할 수밖에 없는 바, 소음을 많이 발생시키는 단점이 있다.
수냉식은 공랭식과 마찬가지로 보일러에서 물을 가열하여 수증기를 일정한 관을 통과하게 하고, 그 관 외부에 물을 채워 냉각을 하거나 관 안쪽으로 물관을 만들어 차가운 물이 물관을 통과하여 수증기와 관의 외부 표면과 접촉하여 수증기를 냉각하여 증류수를 만드는 방식이다.
하지만 이러한 수냉식의 방식은 물의 수증기를 냉각시키기 위해 물이 계속 소비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즉, 물 소비량이 증가할 수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공랭식의 단점인 소음 발생문제와, 수냉식의 단점인 물 소비량 증가문제를 적절하게 해소하고, 이에 더하여 물을 가열하는데 따른 전기 사용량을 줄이면서도 증류의 효율을 종래보다 현격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증류기에 대한 기술 개발이 요구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공랭식의 단점인 소음 발생문제와, 수냉식의 단점인 물 소비량 증가문제를 적절하게 해소하고, 이에 더하여 물을 가열하는데 따른 전기 사용량을 줄이면서도 증류의 효율을 종래보다 현격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고효율 증류기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 내에 마련되며, 공급된 물을 예열하는 예열냉각관; 상기 예열냉각관에서 미리 예열된 물을 제공받아 가열하여 액체 상태의 물을 기체 상태의 수증기로 상변화시키는 보일러; 상기 예열냉각관 내에 마련되며, 수냉식에 의해 상기 보일러를 통해 최종적으로 형성된 기체 상태의 수증기가 액체 상태의 증류수로 액화되는 수증기 응축관; 상기 예열냉각관의 일측에 배치되어 공랭식에 의해 상기 수증기 응축관 내에서 유동하는 수증기를 액화시키는 냉각팬; 상기 수증기 응축관의 하부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수증기 응축관 내에서 형성된 상기 증류수를 모으는 저수통; 및 상기 저수통과 연결되고 상기 본체부의 외측에 마련되어 상기 증류수를 선택적으로 배출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물꼭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증류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예열냉각관으로 제공되는 물을 필터링(Filtering)하는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에서 상기 예열냉각관으로 공급되는 물은 상기 예열냉각관의 하부영역으로 공급되고, 상기 예열냉각관에서 상기 보일러로 향하는 물은 상기 예열냉각관의 상부영역으로부터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 내에 마련되며, 공급된 물을 예열하는 예열냉각관; 상기 예열냉각관에서 미리 예열된 물을 제공받아 가열하여 액체 상태의 물을 기체 상태의 수증기로 상변화시키는 보일러; 상기 예열냉각관 내에 마련되며, 수냉식에 의해 상기 보일러를 통해 최종적으로 형성된 기체 상태의 수증기가 액체 상태의 증류수로 액화되는 수증기 응축관; 상기 수증기 응축관의 하부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수증기 응축관 내에서 형성된 상기 증류수를 모으는 저수통; 일단은 상기 저수통에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본체부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통공관; 상기 통공관의 노출 단부 영역에 마련되며, 상기 본체부 내에서 증류수로 형성되지 않은 수증기가 상기 통공관을 통해 배출되는 과정에서 외기와의 접촉에 의해 증류수로 바뀔 경우, 상기 증류수를 모으는 보조저수통; 및 상기 저수통과 연결되고 상기 본체부의 외측에 마련되어 상기 증류수를 선택적으로 배출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하나의 물꼭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증류기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증류기에 대한 이미지이고, 도 2는 도 1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증류기는, 크게, 본체부(1), 필터(10), 예열냉각관(15), 보일러(23), 수증기 응축관(17), 냉각팬(35), 저수통(39) 및 물꼭지(43)를 포함한다.
본체부(1)는 본 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증류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부분이다. 도 1을 참조할 때, 본체부(1)는 사각통 형상을 취하나, 여타의 다각형상 또는 원통형상을 형성해도 무방하다.
필터(10)는 외부에서 본체부(1) 내로 유입되는 물을 1차로 필터링(정화)하는 부분이다. 헤파필터, 프리필터 등 어떠한 것이 적용되어도 좋다.
이러한 필터(10)의 선단에는 유입되는 물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온오프(On/Off)하는 솔레노이드 밸브(13)가 갖춰져 있다. 솔레노이드 밸브(13)는 본체부(1)에 갖춰진 도시 않은 제어 버튼들에 의해 전자식으로 제어될 수 있다.
필터(10)에 의해 1차로 필터링된 물은, 공급관(11)을 통해서 예열냉각관(15)으로 향한다. 따라서 공급관(11)의 양단은 필터(10)와 예열냉각관(15)에 각각 연통되어 있다.
이 때, 예열냉각관(15)에 연통하는 공급관(11)의 일단은, 예열냉각관(15)의 하부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필터(10)를 통해서 예열냉각관(15)으로 향하는 물은 예열냉각관(15)의 하부영역으로 충전되고, 점차 상측으로 차 오르는 형태가 된다.
예열냉각관(15)은 필터(10)측에서 공급한 물이 일시 저장될 뿐만 아니라 그 내부의 수증기 응축관(17)을 수냉식으로 액화시키는 부분이다.
관 내에는 항상 물이 차 있을 뿐만 아니라 보일러(23)로 물을 보충하는 역할을 겸한다. 이를 위해, 예열냉각관(15)의 상부영역에는 보일러(23)로 물을 보충하는 보일러 물 보충관(19)이 연결되어 있다. 결국, 보일러(23)로 보충되는 물은 예열냉각관(15)의 상부영역에서 향하게 된다.
도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예열냉각관(15)에는 별도의 히터가 갖춰져서 필터(10)측에서 제공된 물을 미리 예열하는 역할을 한다. 대략 80℃ 이상으로 가열될 수 있기 때문에, 보일러(23)에서 물이 가열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고, 소비되는 전기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보일러(23)는 예열냉각관(15)에서 미리 예열된 물을 제공받아, 더 가열하여 최종적으로 수증기를 형성시키는 부분이다. 따라서 보일러(23)에는 물을 가열하는 히터(25)가 마련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예열냉각관(15)에서 대략 80℃로 물을 가열한 후, 보일러(23)로 보냈기 때문에 히터(25)에 의해 보일러(23) 내의 물은 대략 20℃ 정도만 가열하면 된다. 따라서 물의 가열 시간이나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보일러(23)는 보일러 고정축(29)에 결합된 별도의 보일러 고정대(27)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보일러 고정대(27)의 타측에는 보일러 추(31)와 보일러 스위치(33)가 더 구비되어 있다.
수증기 응축관(17)은 그 대부분이 예열냉각관(15) 내에 마련되어 있다. 일단부 영역에는 보일러(23)에서 제공되는 수증기의 유입 통로를 형성하되 보일러 물 보충관(19)과는 분리되는 유리 이중관(21)이 형성되어 있고, 타단부 영역에는 증류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저수통(39)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저수통 유입관(39)이 형성되어 있다.
수증기응축관(17)은 그 길이가 길면 길수록 수증기의 액화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의 경우, 수증기응축관(17)의 길이를 1.5 미터(m) 이상으로 설계하고 있으며, 열전달이 용이한 재질로 제작되고 있다.
한편, 수증기 응축관(17)이 예열냉각관(15) 내에 마련됨으로써 수증기 응축관(17)의 내부로 유동하는 수증기가 수냉식에 의해 증류수로 형성된다 하더라도, 예열냉각관(15) 내에 충전된 물만으로는 수증기를 모두 증류수로 만들기 어렵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수냉식 외에도 공랭식의 방식을 더 활용하고 있는 것이다. 공랭식을 활용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냉각팬(35)이 더 구비된다.
냉각팬(35)은 예열냉각관(15)의 일측에 배치되어 수증기 응축관(17) 내에서 유동하는 수증기를 액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냉각팬(35)은 냉각팬 고정대(37)에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냉각팬(35)은 최소한의 소음 유발을 위해 분당회전수(rpm)가 1000 rpm 이하인 저용량으로 채용된다. 따라서 종래의 소음 문제를 해소하기에 충분하다.
뿐만 아니라 본 증류기는 수증기를 액화시키는 과정에서 물을 계속 공급해야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물 소비량 증가문제 역시 적절하게 해소할 수 있다.
다만, 냉각팬(35)의 효율을 최대한으로 높여 수증기가 낭비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서, 냉각팬(35)과 예열냉각관(15) 간의 거리는 적어도 20 mm이하로 설계될 수 있다.
결국, 수증기 응축관(17)을 따라 유동하는 기체 상태의 수증기는, 그 바깥쪽의 예열냉각관(15)에 충전되어 있는 물에 의한 수냉식에 의해 일부가 액화되고, 나머지는 냉각팬(35)에 의한 공랭식에 의해 액화되어 증류수로 형성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서는 수냉식과 공랭식을 혼용함으로써 증류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소음 문제와 물 소비량 증가문제 역시 적절하게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저수통(39)은 수증기 응축관(17)과 연통된 저수통 유입관(22)의 단부측에 마련되어 수증기 응축관(17)에서 형성된 증류수를 모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저수 통(39)의 하부에는 수압 스위치(41)가 더 마련되어 있다.
수압 스위치(41)는 저수통(39) 내에 모아진 증류수의 양을 측정하여, 일정의 한계치 이상에 도달되면 증류수 제조과정이 정지되도록 할 수 있다.
실제로 저수통(39)은 증류수를 모으는 장소이기는 하지만, 항상 뜨거운 수증기가 일부 덜 응축된 상태로 저수통(39)으로 향한 후, 저수통(39)에서 응축되기도 하므로 저수통(39)은 항상 100℃에 가까운 수증기가 순환된다.
이처럼 저수통(39)에는 항상 고온의 수증기가 접하고 있으므로, 기존 정수기의 단점인 저수통(39) 오염의 문제를 함께 해소할 수 있다. 즉, 언제든지 저수통(39)의 물을 전부 비우고 새로 증류기를 가동시키면 저수통(39)이 증기로 소독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저수통(39)의 일측에는 통공관(45)이 결합되어 있다. 통공관(45)은 저수통(39) 내의 수증기 압력에 의해 저수통(39)이 팽창되는 것이 저지되도록 저수통(39)과 외부를 상호 연통시키는 역할을 한다.
물꼭지(43)는 저수통(39)에 모인 증류수를 선택적으로 배출시키는 수단이다. 도면에는 본체부(1)의 전면에 한 개 마련되어 있지만, 경우에 따라 2개 이상 결합시켜도 좋다.
물꼭지(43)의 하부영역에는 물받이부(44)가 더 형성되어 있다. 물받이부(44)는 착탈식으로 되어 있으며, 증류수를 배출시키는 과정에서 낙하하는 증류수에 의해 본체부(1)의 주변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고효율 증류기의 동작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솔레노이드 밸브(13)의 동작에 의해 증류기로 제공된 물은 필터(10)로 유입된 후, 1차로 필터링(정화)된다.
정화된 물은 필터(10)와 연결되어 있는 공급관(11)을 통해 예열냉각관(15)의 하부영역으로 유입된다.
예열냉각관(15)의 하부영역으로 유입된 물이 예열냉각관(15) 내에서 계속 차오르면, 예열냉각관(15)의 상부영역에 형성된 보일러 물 보충관(19)을 통해 배출되고 유리 이중관(21)을 경유하여 보일러(23)로 향한다.
보일러(23)에 물이 보충되면, 보일러(23)에 마련된 히터(25)가 가동되어 보일러(23) 내로 보충된 물을 가열한다.
이 때,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예열냉각관(15)으로 유입된 물은 예열냉각관(15)에서 이미, 대략 80℃ 이상으로 가열된 후, 보일러(23)로 향하게 됨으로써, 보일러(23)에 갖춰진 히터(25)는 대략 20℃ 정도만 물의 온도를 높여주면 물이 완전히 가열되어 수증기로 변할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서는 열을 이중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기 사용량에 비해 증류의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액체 상태의 물이 보일러(23) 내에서 가열되어 수증기의 기체 상태로 상변화되면, 기체 상태의 수증기는 다시 보일러(23) 상부의 유리 이중관(21)을 통해 예열냉각관(15)의 내부에 위치한 수증기 응축관(17)으로 향하여 수증기 응축관(17)의 내부를 따라 유동하게 된다.
이 때, 수증기 응축관(17)은 예열냉각관(15) 내에서 필터(10)에서 제공되는 상온의 물에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수증기 응축관(17) 내로 유동하는 수증기는 다시 액화되어 액체 상태의 물(증류수)로 상변화한다.
물론, 필터(10)를 통해서 급수되는 물 정도만으로 모든 수증기가 액체 상태로 상변화하기는 힘들다. 즉, 수냉식으로는 모든 수증기를 액화하기 어렵다.
이를 위해, 수증기 응축관(17)의 주변에 위치한 냉각팬(35)이 동작하여 예열냉각관(15)으로 향하게 됨으로써, 예열냉각관(15) 내에 위치한 수증기 응축관(17)의 냉각 작용을 도모한다.
결국,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증류수의 형성을 위한 방법으로 냉각 공기 분사에 의한 공랭식을 함께 적용되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예열냉각관(15) 내의 물에 의한 수냉식 및 냉각팬(35)의 공기에 의한 공랭식이 함께 병행됨으로써 수증기 응축관(17) 내로 유동하는 수증기는 액체 상태의 물로 상변화된 후 증류수로 바뀌게 된다.
이 후, 증류수는 저수통 유입관(22)을 통해 저수통(39)으로 저장될 수 있게 되며, 사용자는 물꼭지(43)를 동작시킴으로써 저수통(39)에 모아진 증류수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공랭식의 단점인 소음 발생문제와, 수냉식의 단점인 물 소비량 증가문제를 적절하게 해소하고, 이에 더하여 물을 가열하는데 따른 전기 사용량을 줄이면서도 증류의 효율을 종래보다 현격하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증류기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이 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통공관(45) 노출단부 영역에는 저수통(39)과 유사한 형태의 보조저수통(50)이 더 형성되어 있다. 보조저수통(50)은 저수통(39)으로부터 통공관(45)을 통해 외부로 그냥 흘러나오는 수증기가 모아지는 역할을 한다.
도 3과 같을 경우, 보조저수통(50) 및 통공관(45)의 일부가 본체부(1)의 외측에 배치되어 외기와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보조저수통(50)으로 향한 수증기는 외기의 접촉에 의해 증류수로 바뀔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술한 실시예의 냉각팬(35)은 구비될 필요가 없다.
즉, 냉각팬(35)이 구비되지 않음으로 해서, 모든 수증기가 증류수로 형성되어 저수통(39)에 모이지는 않는다. 일부는 증류수로 변하지만 나머지는 수증기의 형태로 저수통(39)으로 향한다.
그리고는 통공관(45)을 통해 보조저수통(50)으로 향하게 되는데,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보조저수통(50) 및 통공관(45)의 일부가 본체부(1)의 외측에 배치되어 외기와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보조저수통(50)으로 향한 수증기는 외기의 접촉에 의해 증류수로 바뀔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 3과 같이, 보조저수통(50)을 별도로 더 설치하는 대신에 냉각팬(35)을 없애는 구성 역시 본 고안의 범주 내에 있게 된다.
참고로, 도 3의 도면에는 보조저수통(50)이 작게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도면의 편의를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보조저수통(50)의 크기는 저수통(39)의 크기에 비해 더 크게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도 3에는 도면의 편의를 위해 본체부(1) 의 상부 영역에 보조저수통(50)을 도시하고 있으나, 보조저수통(50)의 위치는 본체부(1)의 외측이면 어떠한 곳이라도 좋다. 특히, 보조저수통(50)이 본체부(1)에 착탈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공랭식의 단점인 소음 발생문제와, 수냉식의 단점인 물 소비량 증가문제를 적절하게 해소하고, 이에 더하여 물을 가열하는데 따른 전기 사용량을 줄이면서도 증류의 효율을 종래보다 현격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 내에 마련되며, 공급된 물을 예열하는 예열냉각관;
    상기 예열냉각관에서 미리 예열된 물을 제공받아 가열하여 액체 상태의 물을 기체 상태의 수증기로 상변화시키는 보일러;
    상기 예열냉각관 내에 마련되며, 수냉식에 의해 상기 보일러를 통해 최종적으로 형성된 기체 상태의 수증기가 액체 상태의 증류수로 액화되는 수증기 응축관;
    상기 예열냉각관의 일측에 배치되어 공랭식에 의해 상기 수증기 응축관 내에서 유동하는 수증기를 액화시키는 냉각팬;
    상기 수증기 응축관의 하부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수증기 응축관 내에서 형성된 상기 증류수를 모으는 저수통; 및
    상기 저수통과 연결되고 상기 본체부의 외측에 마련되어 상기 증류수를 선택적으로 배출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물꼭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증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열냉각관으로 제공되는 물을 필터링(Filtering)하는 필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필터에서 상기 예열냉각관으로 공급되는 물은 상기 예열냉각관의 하부 영역으로 공급되고, 상기 예열냉각관에서 상기 보일러로 향하는 물은 상기 예열냉각관의 상부영역으로부터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증류기.
  3.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 내에 마련되며, 공급된 물을 예열하는 예열냉각관;
    상기 예열냉각관에서 미리 예열된 물을 제공받아 가열하여 액체 상태의 물을 기체 상태의 수증기로 상변화시키는 보일러;
    상기 예열냉각관 내에 마련되며, 수냉식에 의해 상기 보일러를 통해 최종적으로 형성된 기체 상태의 수증기가 액체 상태의 증류수로 액화되는 수증기 응축관;
    상기 수증기 응축관의 하부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수증기 응축관 내에서 형성된 상기 증류수를 모으는 저수통;
    일단은 상기 저수통에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본체부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통공관;
    상기 통공관의 노출 단부 영역에 마련되며, 상기 본체부 내에서 증류수로 형성되지 않은 수증기가 상기 통공관을 통해 배출되는 과정에서 외기와의 접촉에 의해 증류수로 바뀔 경우, 상기 증류수를 모으는 보조저수통; 및
    상기 저수통과 연결되고 상기 본체부의 외측에 마련되어 상기 증류수를 선택적으로 배출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하나의 물꼭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증류기.
KR2020060019563U 2006-07-20 2006-07-20 고효율 증류기 KR2004287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9563U KR200428779Y1 (ko) 2006-07-20 2006-07-20 고효율 증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9563U KR200428779Y1 (ko) 2006-07-20 2006-07-20 고효율 증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8779Y1 true KR200428779Y1 (ko) 2006-10-16

Family

ID=41777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9563U KR200428779Y1 (ko) 2006-07-20 2006-07-20 고효율 증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877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897Y1 (ko) 2013-07-24 2014-10-27 이상호 고효율 증류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897Y1 (ko) 2013-07-24 2014-10-27 이상호 고효율 증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7249760B2 (en) Multipurpose adiabatic potable water production apparatus and methods
US6113744A (en) Water distillation apparatus
ES2302224T3 (es) Proceso de desalinizacion por destilacion msf y aparato.
US20120037487A1 (en) Distillation-Type Drinking Fountain and Energy-Saving Heating Unit Thereof
JP2021112741A (ja) 改良された空調機ユニット
CN103300721A (zh) 反渗透空气能热泵饮水机
KR200428779Y1 (ko) 고효율 증류기
KR200474897Y1 (ko) 고효율 증류기
CN104888479B (zh) 一种模块化mvr热泵蒸发装置
KR200474898Y1 (ko) 음용 증류수 및 온수를 제조할 수 있는 저탕식 온수보일러
KR102670633B1 (ko) 냉수 및 온수생성장치
EP0253029A1 (en) A distilled drinking water fountain
KR200488815Y1 (ko) 스케일 제거기를 구비한 증류수 제조장치
KR200279678Y1 (ko) 열전반도체를 이용한 냉각부와 가열부가 일체형인 증류기
CN100595484C (zh) 余热锅炉及其汽包
CN201145260Y (zh) 余热锅炉及其汽包
US20130269372A1 (en) Waste oil based water production system
KR20190000926U (ko) 스케일 제거기
KR20010090210A (ko) 자체냉각방식 증류생수기.
KR20150000517U (ko) 고효율 증류기의 보일러 물보충 조절구조
KR100487799B1 (ko) 냉장고의 디스펜서용 히팅장치
CN209819857U (zh) 一种饮用热水与水冷空调一体机
JP2012110866A (ja) 温泉水殺菌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温泉水供給システム、並びに、温泉水殺菌方法およびこれを用いた温泉水供給方法
CN209276490U (zh) 蒸馏器容器
CN208933320U (zh) 蒸馏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