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8453Y1 - 기만신호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기만신호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8453Y1
KR200428453Y1 KR2020060019364U KR20060019364U KR200428453Y1 KR 200428453 Y1 KR200428453 Y1 KR 200428453Y1 KR 2020060019364 U KR2020060019364 U KR 2020060019364U KR 20060019364 U KR20060019364 U KR 20060019364U KR 200428453 Y1 KR200428453 Y1 KR 2004284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bit
deception
clock signal
recei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93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훈
김소연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20200600193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84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84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845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38Jamming means, e.g. producing false echo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본 클럭신호를 발생시키는 클럭발생기; 상기 기본 클럭신호 및 기본 클럭신호를 나누기 위한 비트 데이터를 입력받아 분주된 클럭신호를 출력하는 레이트 멀티플라이어; 상기 분주된 클럭신호를 입력받아 5비트 신호를 출력하는 5비트 카운터; 및 상기 5비트 신호를 입력받아 지속파의 위상을 180도 변이시키는 디지털 위상변이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만신호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르면, 지속파의 주파수를 양 방향으로 이동시킨 기만신호를 생성할 수 있어, 기만신호 수신장치 즉 레이더 또는 미사일 탐색기에 대한 전파교란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기만신호, 5비트 카운터

Description

기만신호 발생장치{Deception Signal Generator}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기만신호 발생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기만신호 발생장치의 5비트 카운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및 5비트 카운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타이밍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기만신호 발생장치에 입력되는 지속파의 스펙트럼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기만신호 발생장치로부터 출력되는 기만신호의 스펙트럼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기만신호 발생장치로부터 출력되는 기만신호의 주파수 스펙트럼을 누적시켜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의 부호에 대한 설명>
100 : 디지털신호처리장치 DSP 101 : 비트 데이터
110 : 클럭 발생기 111 : 기본 클럭신호
120 : 레이트 멀티플라이어 121 : 저주파 클럭신호
130 : 5비트 카운터 140 : 5비트 신호
150 : 지속파 160 : 기만신호
170 : 디지털 위상변이기 180 : 제어신호
본 고안은 기만신호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지속파의 주파수를 양 방향으로 이동시킨 기만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기만신호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미사일을 이용하여 표적을 명중시키고자 할 때, 표적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레이더는 지속파를 방사한다.
미사일이 발사된 후, 상기 레이더로부터 방사된 지속파는 미사일 후면신호로서 미사일의 후면부에 수신되고, 또한 표적에 반사되어 미사일 전면신호로서 미사일의 전면부에 수신된다. 미사일은 상기 두 신호, 즉 미사일 후면신호 및 미사일 전면신호의 차이를 이용하여 표적의 이동속도를 파악한다.
미사일은 미사일 후면신호 및 전면신호를 비교하여 도플러 주파수를 측정하기 위한 도플러 필터 뱅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표적을 추적하던 미사일은 도플러주파수가 0(Zero)이 될 때 또는 근접신관을 사용하여 표적에 접근했을 때 폭발한다.
전파교란이 없으면 도플러 필터뱅크의 한 출력부분에서 도플러 주파수가 검출되어 표적에 대한 정보가 탐지되지만, 기만신호에 의한 전파교란이 발생하면 도 플러 필터뱅크의 각각의 출력부분에서 도플러 주파수가 검출되어 표적에 대한 정보 탐지가 불가능하게 되므로, 위협 미사일 또는 레이더로부터 아군의 항공기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전파교란을 일으켜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위협 미사일 또는 레이더에 기만신호를 보내야 한다.
종래기술에 따른 기만신호 발생장치는 전파교란을 위해 입력된 지속파에 대해 주파수가 증가하는 방향 또는 감소하는 방향으로 주파수를 이동시켜 기만신호를 발생시켰다.
다만, 주파수가 증가하는 방향 또는 감소하는 방향 중 어느 하나을 택일하여 기만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은 전파교란의 효과가 크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주파수가 증가하는 방향 및 감소하는 방향 즉, 양방향으로 기만신호를 발생시켜 레이더 또는 미사일 탐색기에 대한 전파교란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기만신호 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기본 클럭신호를 발생시키는 클럭발생기; 상기 기본 클럭신호 및 기본 클럭신호를 나누기 위한 비트 데이터를 입력받아 분주된 클럭신호를 출력하는 레이트 멀티플라이어; 상기 분주된 클럭신호를 입력받아 5비트 신호를 출력하는 5비트 카운터; 및 상기 5비트 신호를 입력받아 지속파의 위상을 180도 변이시키는 디지털 위상변이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만신호 발생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도플러 주파수 기만신호 발생장치는 상기 기본 클럭신호를 나누기 위한 비트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디지털신호처리장치 DSP(Digital Signal Processor)를 추가로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기만신호 발생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기만신호 발생장치는 클럭 발생기(110), 디지털신호처리장치 DSP(100), 레이트 멀티플라이어(Rate Multiplier, 120), 5비트 카운터(130) 및 디지털 위상 변이기(Digital Phase Shifter, 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클럭 발생기(110)는 기본 클럭신호(111)를 발생시켜, 레이트 멀티 플라이어(120)에 공급한다. 상기 클럭 발생기(110)로부터의 기본 클럭신호(111)는 멀티 플라이어(120)에 공급되어 기준 신호로 이용된다.
디지털신호처리장치 DSP(Digital Signal Processor, 100)는 1(msec)마다 데이터(101)를 출력하여 레이트 멀티플라이어(120)에 공급한다.
레이트 멀티플라이어(120)는 상기 클럭 발생기(110)로부터의 기본 클럭신호(111)를 클럭신호로서 공급받고, 상기 디지털신호처리장치 DSP(Digital Signal Processor, 100)로부터의 비트 데이터(101)를 상기 기본 클럭신호(111)를 나누기 위해 공급받아, 이들을 서로 곱한 후 낮은 주파수의 클럭신호(121)를 출력한다.
이 때, 기본 클럭신호(111)의 주파수가 fc이고, 비트 데이터(101)가 n비트로서 십진수로 M(0 ~ 2n-1)이고, 레이트 멀티플라이어(120)의 값이 N이라면, 레이트 멀티 플라이어(120)에서 출력되는 클럭신호(121)의 주파수(fm)는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결정된다.
Figure 112006051128401-utm00001
5비트 카운터(130)는 상기 레이트 멀티플라이어(120)로부터의 저주파 클럭신호(121)을 공급받아, 디지털 위상변이기(170)를 제어하기 위한 5비트 신호(140)를 출력한다.
이 때, 상기 5비트 카운터(130)로부터의 5비트 신호(140) 중 어느 한 비트의 신호만 디지털 위상변이기(170)의 위상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로 사용되고, 나머지 4비트 신호는 외부로부터의 제어신호(180)에 의해 디지털 위상 변이기(170)의 위상을 제어하지 않는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기만신호 발생장치의 5비트 카운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140) 및 5비트 카운터(13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14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18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타이밍도이다.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기만신호 발생장치의 5비트 카운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140)는 한 신호 주기(T)의 반이 되도록 출력되고, 상기 신호 주기(T)는 한 주기 내에서 점차 작아진다.
상기 신호 주기(T)를 점차 작게 함으로써, 기만신호(160)가 입력되는 지속파(150)의 주파수에 대해 증가하는 방향 및 감소하는 방향으로 동시에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5비트 카운터(13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14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180)는 한주기 동안 로우 레벨을 유지하도록 인가한다. 상기 로우 레벨의 제어신호(180)는 5비트 신호(140) 중 디지털 위상 변이기(170)의 위상을 제어하지 않는 4비트 신호 각각과 함께 4 개의 AND 게이트에 인가된다. AND 게이트는 4비트 신호에 관계없이 로우 레벨의 제어신호(180)에 의해 어떤 신호도 출력하지 않으므로, 4비트 신호는 상기 디지털 위상 변이기(170)의 위상을 제어할 수 없게 된다.
양방향으로 발생하는 기만신호의 주파수 간격(Fn)은 디지털 위상변이기(170)의 180도 제어신호로 입력되는 신호(140)의 최하비트의 주기(T)의해 결정되며, 하기 수학식 2에 따른다.
Figure 112006051128401-utm00002
상기 수학식 2에서 n은 정수이고, A는 입력신호의 세기를 나타낸다.
디지털 위상변이기(170)는 상기 5비트 카운터(130)로부터 5비트 신호(140)를 입력받아, 수신안테나로 입력된 지속파(150) 위상을 180도 변이시킨 후, 양 방향으로 기만신호(160)를 발생시킨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기만신호 발생장치에 입력되는 지속파의 스펙트럼을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기만신호 발생장치로부터 출력되는 기만신호의 스펙트럼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만신호 발생장치에 입력되는 지속파(150)는 어느 한 주파수를 가지나, 도 4에서 알 수 있듯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만신호 발생장치로부터 출력되는 기만신호(160)는 지속파(150)의 주파수에 대해 증가하는 방향(160a) 및 감소하는 방향(160b)으로 동시에 발생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기만신호 발생장치로부터 출력되는 기만신호의 주파수 스펙트럼을 누적시켜 도시한 것이다.
도 5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만신호 발생장치로부터 출력되는 기만신호(160)를 누적시켜 나타내면, 지속파(150)의 주파수에 대해 증가하는 방향 및 감소하는 방향 즉 양방향으로 기만신호(160)가 동시에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고안에 따르면,
기만신호 발생장치로 입력되는 지속파의 주파수에 대해 주파수가 증가하는 방향 및 감소하는 방향으로 동시에 기만신호를 발생시킴에 따라, 레이더와 같은 기만신호 수신장치에 대한 전파교란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Claims (5)

  1. 기본 클럭신호를 발생시키는 클럭발생기;
    상기 기본 클럭신호 및 상기 기본 클럭신호를 나누기 위한 비트 데이터를 입력받아 분주된 클럭신호를 출력하는 레이트 멀티플라이어;
    상기 분주된 클럭신호를 입력받아 5비트 신호를 출력하는 5비트 카운터; 및
    상기 5비트 신호를 입력받아 지속파의 위상을 180도 변이시키는 디지털 위상변이기를 포함하여 이루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만신호 발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만 신호 발생장치는,
    상기 기본 클럭신호를 나누기 위한 비트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디지털신호처리장치 DSP(Digital Signal Processor)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만신호 발생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신호처리장치 DSP(Digital Signal Processor)는,
    1(msec)마다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만신호 발생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5비트 카운터는,
    상기 5비트 신호의 한 신호 주기(T)의 반(T/2)이 되도록 출력되고,
    상기 신호 주기(T)는 한 주기 내에서 점차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만신호 발생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5비트 신호는,
    상기 신호중의 1비트의 신호만 디지털 위상변이기의 위상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로 이용되고,
    나머지 4비트 신호는 외부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디지털 위상 변이기의 위상을 제어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만신호 발생장치.
KR2020060019364U 2006-07-19 2006-07-19 기만신호 발생장치 KR2004284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9364U KR200428453Y1 (ko) 2006-07-19 2006-07-19 기만신호 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9364U KR200428453Y1 (ko) 2006-07-19 2006-07-19 기만신호 발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8453Y1 true KR200428453Y1 (ko) 2006-10-12

Family

ID=41776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9364U KR200428453Y1 (ko) 2006-07-19 2006-07-19 기만신호 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845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258B1 (ko) 2008-11-14 2011-06-09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운동체의 유도 장치 및 방법
KR101159648B1 (ko) 2011-07-29 2012-06-25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제트엔진이 탑재된 미사일 기만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258B1 (ko) 2008-11-14 2011-06-09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운동체의 유도 장치 및 방법
KR101159648B1 (ko) 2011-07-29 2012-06-25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제트엔진이 탑재된 미사일 기만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535703B (zh) 用于频率调制连续波雷达高度计的信号干扰防止系统
JP4392409B2 (ja) レーダ装置
CN107526062B (zh) 雷达信号处理装置和方法
KR102084210B1 (ko) 전자교란을 위한 동기식 부엽 재밍 방법
US20070018884A1 (en) Single transmit multi-receiver modulation radar, multi-modulation receiver and method
US1010143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of vehicle radar
US11073607B2 (en) Wideband radar systems, apparatuses, and methods
US20170074973A1 (en) Coherent integration of fill pulses in pulse doppler type sensors
Hague et al. The generalized sinusoidal frequency modulated waveform for continuous active sonar
KR200428453Y1 (ko) 기만신호 발생장치
US3727222A (en) Pseudo-random coded doppler tracking and ranging
US6525686B2 (en) Receiving/transmitting apparatus and radar equipment
EP2153244B1 (en) Tracking waveform selection for multifunction radar
RU2408028C1 (ru) Способ обзора зоны радиолокационной станции
WO2016194044A1 (ja) 目標検出装置および目標検出方法
JP7242227B2 (ja) レーダ装置及びレーダ装置のpriの制御方法
JP2747360B2 (ja) 追尾レーダ装置
RU2501036C1 (ru) Высотомер
RU2170444C1 (ru) Радиолокационная станция
RU2533659C1 (ru) Автономное радиолока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елекции воздушной цели
RU2296342C1 (ru) Самолетный радиолокатор
JPS5912372A (ja) 近距離レ−ダ
KR100536190B1 (ko) 속도잡음 발생장치
RU2515610C1 (ru) Загоризонтный радиолокатор
RU2471138C1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защитного боеприпаса, подлежащего пуску,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вариант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1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