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8137Y1 - 차량용 컵 거치대 - Google Patents

차량용 컵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8137Y1
KR200428137Y1 KR2020060018519U KR20060018519U KR200428137Y1 KR 200428137 Y1 KR200428137 Y1 KR 200428137Y1 KR 2020060018519 U KR2020060018519 U KR 2020060018519U KR 20060018519 U KR20060018519 U KR 20060018519U KR 200428137 Y1 KR200428137 Y1 KR 2004281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ody
cup holder
vehicle
cup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85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건우
Original Assignee
박건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건우 filed Critical 박건우
Priority to KR20200600185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81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81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813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42Bus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 B60N3/10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with adjustable clamp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양측면이 외부와 관통된 관통부를 갖는 반원형으로 형성되고, 일측 말단에는 톱니모양을 갖는 걸림부가 후방에 위치된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이동되게 내장된 지지몸체와; 상기 지지몸체와 결합되어 하나의 링을 이루도록 반원형으로 형성되고, 일측단이 상기 지지몸체의 타측 말단과 흰지에 의해 결합되어 관통부를 통과하여 연속적으로 회전되며, 타측단 외측면에는 걸림부와 대응되는 모양의 톱니부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가변몸체와; 지지몸체의 일측에 장착되어 차량의 좌석 후면에 설치하기 위한 고정부;로 구성된 차량용 컵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상기 컵 거치대는 컵이 삽입되어 거치되는 링의 모양과 직경을 가변적으로 변형되도록 하여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컵도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다.
지지몸체, 관통부, 걸림부, 스프링, 가변몸체, 흰지, 톱니부, 고정부

Description

차량용 컵 거치대{A cup-supporter for car}
도 1은 종래 차량용 컵 거치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차량용 컵 거치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
10 : 지지몸체
11 : 관통부 12 : 걸림부
13 : 스프링
20 : 가변몸체
21 : 흰지 22 : 톱니부
30 : 고정부
본 고안은 차량용 컵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컵을 지지하 는 링의 직경이 가변적으로 변형되도록 하여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컵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차량용 컵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버스를 비롯한 차량의 좌석 후면에는 커피나 차, 음료가 담긴 컵이 운행중 흔들림에도 내용물이 쏟아지지 않도록 안전하게 거치할 수 있는 컵 거치대가 구비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차량용 컵 거치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차량 컵 거치대는 차량용 좌석(100)의 후면에 적당한 간격을 두고 지지대(101)가 좌·우 양쪽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지지대(101)에는 그 내측에서 링형의 거치부(102)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종래 차량용 컵 거치대는 평소엔 접혀 올라가 좌석(100)에 밀착되어 있던 링형의 거치부(102)를 지지대(101)로부터 회전시켜 수직방향으로 위치시킨 다음, 거치부(102) 내에 컵을 삽입하도록 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종이컵은 상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지는 형태를 갖고 있어, 거치부(102) 내에 삽입시키면 어느 정도의 위치에서 더 이상 삽입되지 못하고 고정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컵 거치대는 컵이 삽입되는 거치부의 링의 경우 형태나 크기의 변형이 안 되고 그 직경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통상적인 규격의 종이컵에 대해서는 사용이 가능하나, 그 외 다른 크기나 형태의 컵은 사용이 용이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구성된 것으로, 컵을 지지하는 링의 직경이 가변적으로 변형되도록 하여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컵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차량용 컵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양측면이 외부와 관통된 관통부를 갖는 반원형으로 형성되고, 일측 말단에는 톱니모양을 갖는 걸림부가 후방에 위치된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이동되게 내장된 지지몸체와;
상기 지지몸체와 결합되어 하나의 링을 이루도록 반원형으로 형성되고, 일측단이 상기 지지몸체의 타측 말단과 흰지에 의해 결합되어 관통부를 통과하여 연속적으로 회전되며, 타측단 외측면에는 걸림부와 대응되는 모양의 톱니부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가변몸체와;
지지몸체의 일측에 장착되어 차량의 좌석 후면에 설치하기 위한 고정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 거치대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는 하나, 본 고안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고안의 차량용 컵 거치대에 관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컵 거치대는 반원형의 지지몸체(10)와, 상기 지지몸체(11)와 결합되어 하나의 링을 형성하는 가변몸체(20)와, 차량의 좌석에 설치하기 위한 고정부(30)로 구성된다.
먼저, 지지몸체(10)는 그 형상이 양측면이 외부와 관통된 관통부(11)를 갖는 반원형으로서, 일측 말단에는 톱니모양을 갖는 걸림부(12)가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부(12) 후방에는 스프링(13)이 위치되어, 상기 스프링(13)의 탄성력에 의해 걸림부(12)는 전·후 방향으로 탄성을 갖고 이동된다.
가변몸체(20)는 역시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몸체(10)와 결합되면 하나의 링을 이루게 되고, 일측단은 지지몸체(10)의 타측 말단과 흰지(21)에 의해 결합되어 지지몸체(10)의 내측면인 관통부(11)를 통과하여 연속적으로 회전되며, 타측단 외측면에는 걸림부(12)의 톱니모양과 대응되는 모양의 톱니부(22)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30)는 컵 거치대를 차량의 좌석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지지몸체(10)의 일측에 장착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지지몸체(10)의 걸림부(12)가 내장된 바로 후면에 장착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컵 거치대는 지지몸체(10)와 가변몸체(20)가 흰지에 의해 결합되어 수갑의 원리와 같이 지지몸체(10)에 대해 가변몸체(20)가 회전되는 구조를 갖는다.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컵 거치대는 지지몸체(10)의 걸림부(12)에 가변몸체(20)의 톱니부(22)가 걸려 하나의 링을 이루며 고정된 상태에서, 가변몸체(20)를 지지몸체(10)의 내부방향으로 밀게 되면 톱니부(22)가 걸림부(12)를 후방으로 밀어내면서 지지몸체(10)의 관통부(11)를 통과하면서 한바퀴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회전된 가변몸체(20)는 그 톱니부(22)가 다시 가변몸체(10)의 걸림부(12)에 걸리게 되며, 톱니부(22)의 길이만큼 지지몸체(10)와 가변몸체(20)에 의해 형성된 링의 모양 및 직경을 변경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컵 거치대에 소정의 컵을 거치하기 위해 지지몸체(10)의 걸림부(12)에 가변몸체(20)의 톱니부(22)의 끝단이 걸리도록 하여 최대한 큰 직경을 갖는 링을 이루도록 한 후, 거치하고자 하는 컵을 상기 링에 적당한 부위에 위치되도록 삽입하고 가변몸체(20)를 회전시켜 컵의 외벽이 지지몸체(10)와 가변몸체(20)에 밀착되어 거치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컵이 삽입되어 거치되는 링의 모양과 직경을 가변적으로 변형되도록 하여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컵도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차량용 컵 거치대는 컵이 삽입되어 거치되는 링의 모양과 직경을 가변적으로 변형되도록 하여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컵도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Claims (1)

  1. 양측면이 외부와 관통된 관통부를 갖는 반원형으로 형성되고, 일측 말단에는 톱니모양을 갖는 걸림부가 후방에 위치된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이동되게 내장된 지지몸체와;
    상기 지지몸체와 결합되어 하나의 링을 이루도록 반원형으로 형성되고, 일측단이 상기 지지몸체의 타측 말단과 흰지에 의해 결합되어 관통부를 통과하여 연속적으로 회전되며, 타측단 외측면에는 걸림부와 대응되는 모양의 톱니부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가변몸체와;
    지지몸체의 일측에 장착되어 차량의 좌석 후면에 설치하기 위한 고정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 거치대.
KR2020060018519U 2006-07-07 2006-07-07 차량용 컵 거치대 KR2004281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8519U KR200428137Y1 (ko) 2006-07-07 2006-07-07 차량용 컵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8519U KR200428137Y1 (ko) 2006-07-07 2006-07-07 차량용 컵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8137Y1 true KR200428137Y1 (ko) 2006-10-09

Family

ID=49297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8519U KR200428137Y1 (ko) 2006-07-07 2006-07-07 차량용 컵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813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503Y1 (ko) 2017-03-03 2018-01-16 황성화 차량 통풍구 거치형 일회용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503Y1 (ko) 2017-03-03 2018-01-16 황성화 차량 통풍구 거치형 일회용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2200414B2 (en) Cover coupling structure
USD593695S1 (en) Lighting device
JP2009184615A (ja) 車両用シートのテーブル
EP1393966A3 (en) Child seat mounting structure
JP2013503725A (ja) 絵画用ハンガ
RU2008100245A (ru) Устройство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откидного вилочного захвата для автопогрузчиков
TW200523494A (en) Fastener for a pipe or similar object
JP2006314739A (ja) コップホルダー
FR2796822B1 (fr) Appuie-tete perfectionne et siege muni de cet appuie-tete
KR200428137Y1 (ko) 차량용 컵 거치대
JP2007273723A5 (ko)
FR3045530A1 (fr) Tablette arriere d’un dossier de siege automobile, agencement de siege automobile et vehicule associe
GB2358793B (en) Seat for high-chair with simplified device for its inclination
EP2457766A1 (fr) Dispositif de fixation de coiffe d&#39;habillage et d&#39;empiècement de masquage, pour un siège de véhicule
US20110240816A1 (en) Universal crib clamp and method of use
US20160368428A1 (en) Bag holding bracket
JP2014502906A5 (ko)
USD441202S1 (en) Clothes hanger
EP1975054A3 (en) Bicycle bottom bracket hanger
USD542629S1 (en) Elastic bracket for support of conduit, cable, wire and the like on a hanger body
FR3072917A1 (fr) Dispositif de fixation sur un dossier de siege de vehicule et siege de vehicule comprenant un tel dossier
FR2814709A1 (fr)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JP6463964B2 (ja) 手すりブラケット
JP2010263708A (ja) 易解体ホルダークリップ
FR3072915B1 (fr) Dispositif de maintien solidarise sur un dossier de siege de vehicule et siege de vehicule comprenant un tel doss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1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