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7479Y1 - 스크랩북 앨범용 내지 - Google Patents

스크랩북 앨범용 내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7479Y1
KR200427479Y1 KR2020060019433U KR20060019433U KR200427479Y1 KR 200427479 Y1 KR200427479 Y1 KR 200427479Y1 KR 2020060019433 U KR2020060019433 U KR 2020060019433U KR 20060019433 U KR20060019433 U KR 20060019433U KR 200427479 Y1 KR200427479 Y1 KR 2004274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
main body
scrapbook
exposure hole
pi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94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춘
Original Assignee
박영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춘 filed Critical 박영춘
Priority to KR20200600194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74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74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747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42D1/08Alb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5/00Sheets and objec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Means therefor; Alb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PINDEXING SCHEME RELATING TO BOOKS, FILING APPLIANCES OR THE LIKE
    • B42P2201/00Books or filing appliances for special documents or for special purposes
    • B42P2201/02Books or filing appliances for special documents or for special purposes for photographic documents, e.g. prints, negativ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진이나 그림 등으로 장식하여 스크랩북 앨범에 끼워지는 시트형상의 본체를 갖는 스크랩북 앨범용 내지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본체의 배면에 사진이나 그림을 부착시킨 경우, 그 사진이나 그림을 상기 본체의 표면에서도 볼 수 있도록 사진노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랩북 앨범용 내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크랩북 앨범용 내지{Paper for scrab-book album}
도 1은 종래의 스크랩북용 내지에 사진을 부착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랩북용 내지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본체부에 사진을 부착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스크랩북용 내지에 사진을 부착시킨 상태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기호의 설명 **
1 : 본체 10 : 제1본체부
20 : 제2본체부 31 : 제1사진노출공
32 : 제2사진노출공 40 : 양면테잎
50 : 프레임
본 고안은 스크랩북 앨범용 내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진을 부착하기 위한 사진노출공이 형성되어 있어서, 종래에 비하여 스크랩북용 내지를 꾸미기가 용이하고, 더욱 아름답게 꾸밀 수 있는 스크랩북용 내지에 관한 것이다.
스크랩북 앨범용 내지란 스크랩북 앨범을 만들기 위한 속지인데, 스크랩북 앨범용 내지에 사진이나 그림을 부착하고, 글씨나 그림, 스티커 등으로 장식을 한 후에 스크랩북 앨범에 끼우는 방법으로 스크랩북 앨범을 만들게 된다.
도 1에는 종래의 스크랩북 앨범용 내지에 사진을 부착하는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종래에는 스크랩북 앨범용 내지에 사진을 부착할때, 사진의 뒷면에 풀칠을 하거나 양면테잎을 붙여서 스크랩북 앨범용 내지에 부착하였다. 이러한 방법에 의하여 사진을 붙이는 경우에는 사진의 두께로 인하여 스크랩북 앨범용 내지 위에 사진이 튀어나와 있는 형상이 되어 미관상 바람직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스크랩북 앨범을 제작한 경험이 별로 없는 초보자의 경우에는 사진의 위치를 선택하기 위해서 많은 고민을 하게 되며, 그로 인해 스크랩북 앨범 제작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진을 붙이는 경우에도 스크랩북 앨범용 내지 상에 인쇄된 듯한 느낌을 제공하여 미관상 뛰어나고, 사진을 붙이는 위치에 대한 고민을 할 필요가 없는 스크랩북 앨범용 내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사진이나 그림 등으로 장식하여 스크랩북 앨범에 끼워지는 시트형상의 본체 를 갖는 스크랩북 앨범용 내지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본체의 배면에 사진이나 그림을 부착시킨 경우, 그 사진이나 그림을 상기 본체의 표면에서도 볼 수 있도록 사진노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랩북 앨범용 내지를 제공한다.
상기 본체는, 각각 상기 사진노출공이 형성된 제1본체부와 제2본체부를 서로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본체부의 상기 사진노출공과 상기 제2본체부의 상기 사진노출공은 그 갯수를 달리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의 배면에는 상기 사진노출공의 테두리를 따라 양면테잎이 접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진노출공은 원형 또는 다각형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 표면의 상기 사진노출공의 테두리에는, 상기 사진노출공의 테두리의 형상과 동일한 띠형상의 프레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구성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랩북용 내지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본체부에 사진을 부착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스크랩북용 내지에 사진을 부착시킨 상태의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크랩북 앨범용 내지는 시트형상의 본체(100)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0)는 제1본체부(10)와 제2본체부(20)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1본체부(10)와 제2본체부(20)는 서로 연결하여 본체(100)가 이루어지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본체부(10)와 제2본체부(20)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100)에는 배면(12)에 사진이나 그림을 부착시키는 경우 그 사진이나 그림을 본체(10)의 표면에서도 볼 수 있도록 하는 구멍인 사진노출공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에에서는 본체(100)가 제1본체부(10)와 제2본체부(20)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하에서는 편의상 제1본체부(10)에 형성된 사진노출공을 제1사진노출공(31)이라 하고, 제2본체부(20)에 형성된 사진노출공을 제2사진노출공(32)이라 하기로 한다.
제1본체부(1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사진노출공(31)이 형성되어 있다. 제1사진노출공(31)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서 하나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본체부(10)의 배면(12)에 사진(100)을 부착시키는 것으로 한다.
제1본체부(10)의 배면(12)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면테잎(40)이 접착되어 있어서, 양면테잎(40)의 일면은 제1본체부(10)의 배면(10)에 부착되고, 양면테잎(40)의 타면은 사진(100)에 부착된다. 양면테잎(40)의 사진이 부착될 면은 커버(41)에 의해 보호되며, 커버(41)를 제거하면 접착성분이 도포된 양면테잎(40)의 타면이 노출되며, 그 양면테잎(40)의 타면에 사진(100)을 부착할 수 있다.
제1본체부(10)의 표면(11)의 상기 제1사진노출공(31)의 테두리에는 상기 사 진노출공(31)의 형상과 동일한 띠형상의 프레임(5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50)은 제1본체부(10)의 표면(11)에 인쇄될 수도 있고, 별도 제작된 프레임을 부착시켜 형성할 수도 있다.7
제2본체부(20)에는 제2사진노출공(32)이 형성되어 있다. 제2사진노출공(32)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형상이며, 제1사진노출공(31)과 달리 두 개가 형성되어 있다. 도면 상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2본체(20)의 배면(22)에도 사진이나 그림을 부착할 수 있다.
제2본체부(20)의 배면(22)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면테잎(40)이 접착되어 있으며, 그 구성은 제1본체부(10)에 부착된 양면테잎(40)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2본체부(20)의 표면(21)의 상기 제2사진노출공(32)의 테두리에는 상기 사진노출공(32)의 형상과 동일한 띠형상의 프레임(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상세한 설명 역시 제1본체부(10)에 형성된 프레임(50)과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설명한 실시예의 기능,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본체부에 사진을 부착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스크랩북용 내지에 사진을 부착시킨 상태의 정면도이다.
제1본체부(10)의 배면(12)에 사진(100)을 붙이기 위해서는, 우선 제1본체 부(10)의 배면(12)에 마련된 양면테잎(40)의 커버(41)를 제거한다. 양면테잎(40)의 커버(4`\1)를 제거하면 양면테잎(40)의 접착제가 도포된 타면이 노출되며, 도 3에 도면 기호 40으로 표시된 부분이 커버(41)가 제거된 양면테잎(40)의 타면이다. 양며테잎(40)의 타면이 노출되면, 사진(100)을 양면테잎(40)에 부착한다.
상술한 방법으로 사진(100)을 제1본체부(10)의 배면(12)에 부착시킨 상태에서 제1본체부(10)의 표면(11)을 보는 상태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사진(100)을 제1본체(10)의 배면(12)에 부착하는 경우 표면(11)에 부착하는 경우에 비하여 보다 제1본체(10)와 사진(100)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는 느낌을 주게 되어서 미적효과가 뛰어난 스크랩북 앨범을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진을 부착시킬 위치에 대한 고민 없이 사진을 붙일 수 있어서, 스크랩북 제작 초보자에게는 훨씬 편리한 장점도 가지고 있다.
제1본체(10)의 제1사진노출공(31)은 한 개이고, 제2본체부(20)의 제2사진노출공(32)은 두 개가 형성되어 있어서, 그 갯수가 다른데, 제1사진노출공(31)과 제2사진노출공(32)의 갯수가 같은 경우 너무 단순한 형상일 수 있으므로, 그 수를 달리하여 장식적인 효과를 증대시키는 것이다.
제1본체(10)의 제1사진노출공(31)과 같이 원형을 취하는 경우에는 장식적 효과가 보다 뛰어난 장점이 발생한다. 사진에 따라 사진이 원형인 경우에 보다 스크랩북용 내지에 보다 잘 매칭이 될 수 있다. 사진을 원형으로 오리기는 아주 힘든데, 원형의 사진노출공이 형성되어 있으면, 원형의 사진을 붙이는 효과를 나타내게 되어 장식적 효과가 우수한 스크랩북 앨범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생기는 것이 다.
또한, 본체의 배면에 양면테잎(40)이 접착되어 있어서, 간단하게 사진이나 그림을 부착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아무래도 본체의 배면 등에 풀칠을 하거나 직접 양면테잎을 접착시키는 것보다는 양면테잎(40)이 본체의 배면에 부착되어 있으면 편리하게 사진이나 그림을 부착시킬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는 것이다.
한편, 본체의 표면에는 프레임이 형성되어 있어서, 마치 액자에 사진이 끼워져 있는 듯한 시각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체가 제1본체부와 제2본체부가 서로 연결되어 이루어진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두 개의 본체부를 서로 연결해야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에서는 제1본체부의 사진노출공의 갯수와 제2본체부의 사진노출공의 갯수를 달리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그 갯수가 동일한 경우에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위배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어긋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스크랩북 앨범용 내지로 구현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사진을 붙이는 경우에도 스크랩북 앨범용 내지 상에 인쇄된 듯한 느낌을 제공하여 미관상 뛰어나고, 사진을 붙이는 위치 에 대한 고민을 할 필요가 없는 스크랩북 앨범용 내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Claims (6)

  1. 사진이나 그림 등으로 장식하여 스크랩북 앨범에 끼워지는 시트형상의 본체를 갖는 스크랩북 앨범용 내지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본체의 배면에 사진이나 그림을 부착시킨 경우, 그 사진이나 그림을 상기 본체의 표면에서도 볼 수 있도록 사진노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랩북 앨범용 내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각각 상기 사진노출공이 형성된 제1본체부와 제2본체부를 서로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랩북 앨범용 내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본체부의 상기 사진노출공과 상기 제2본체부의 상기 사진노출공은 그 갯수를 달리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랩북 앨범용 내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배면에는 상기 사진노출공의 테두리를 따라 양면테잎이 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랩북 앨범용 내지.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노출공은 원형 또는 다각형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랩북 앨범용 내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표면의 상기 사진노출공의 테두리에는, 상기 사진노출공의 테두리의 형상과 동일한 띠형상의 프레임이 형상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랩북 앨범용 내지.
KR2020060019433U 2006-07-19 2006-07-19 스크랩북 앨범용 내지 KR2004274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9433U KR200427479Y1 (ko) 2006-07-19 2006-07-19 스크랩북 앨범용 내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9433U KR200427479Y1 (ko) 2006-07-19 2006-07-19 스크랩북 앨범용 내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7479Y1 true KR200427479Y1 (ko) 2006-09-28

Family

ID=41776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9433U KR200427479Y1 (ko) 2006-07-19 2006-07-19 스크랩북 앨범용 내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747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042150A1 (en) Two dimensional fishing lure
US10021998B2 (en) Picture mounting apparatus, system and method
KR200427479Y1 (ko) 스크랩북 앨범용 내지
JP3123061U (ja) 2枚の紙で作る簡単スタンド
JP3130788U (ja) アルバム
JP2008030409A (ja) 写真アルバム及びその製造方法
KR920001531Y1 (ko) 앨범대지
JP2005274778A (ja) 穴開き粘着シール
JP3154715U (ja) 印刷用はくり紙及びカバー
KR960005318Y1 (ko) 앨범용 마트지
JP3147095U (ja) 写真書類等の掲示固定具
TWI664083B (zh) 可拼接出單一圖樣的膠帶
KR200367771Y1 (ko) 사진 앨범
JP3133158U (ja) 2枚の紙で作る簡単スタンド
JP2540459Y2 (ja) 写真アルバム
KR200263165Y1 (ko) 앨범
KR200387290Y1 (ko) 스케치북
US20090117295A1 (en) Pressure sensitive adhesive photo mount system
JP2004230575A (ja) 写真等の個別真空ファイル用の額縁付きカード,ルーズリーフおよび写真立て
KR20010002367U (ko) 앨범의 가장자리장식테이프
KR0120145Y1 (ko) 앨범용 대지
KR890002452Y1 (ko) 코너 겸용 사진봉투
KR200332254Y1 (ko) 자착식 앨범 내지
JP3145683U (ja) アルバム
KR200413758Y1 (ko) 사진틀이 구비된 책표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