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7459Y1 - 회전용 방열기용접장치 - Google Patents

회전용 방열기용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7459Y1
KR200427459Y1 KR2020060018887U KR20060018887U KR200427459Y1 KR 200427459 Y1 KR200427459 Y1 KR 200427459Y1 KR 2020060018887 U KR2020060018887 U KR 2020060018887U KR 20060018887 U KR20060018887 U KR 20060018887U KR 200427459 Y1 KR200427459 Y1 KR 2004274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radiator
connector
wir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88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정구
Original Assignee
장정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정구 filed Critical 장정구
Priority to KR20200600188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74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74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745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02Seam welding; Backing means; Inserts
    • B23K9/028Seam welding; Backing means; Inserts for curved planar seams
    • B23K9/0282Seam welding; Backing means; Inserts for curved planar seams for welding tube 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76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for working on or in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2Automatic feeding or moving of electrodes or work for spot or seam welding or cutting
    • B23K9/124Circuits or methods for feeding welding wi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 We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회전용 방열기용접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변압기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하기 위한 방열기를 변압기 케이스와 연결하기 위해 파이프형태의 연결관을 방열기 돌출부의 연결공에 끼우고 상기 돌출부와 연결관의 이음부를 용접할 때,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판을 구비하여 연결관이 삽입된 방열기가 회전하도록 하고 방열기가 회전하는 동안 연결관과 방열기의 이음부에 아르곤용접을 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방열기를 변압기 케이스와 연결하기 위해 파이프형태의 연결관을 방열기 돌출부의 연결공에 끼우고 상기 돌출부와 연결관의 이음부를 용접하는 것에 있어서, 회전축의 일측과 연결되고 상기 회전축의 단부측에는 모터를 구성하여 상기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장방형의 회전판, 상기 회전판의 상단과 하단의 양측에 구비되고 끝단에 나사산을 형성하는 원주형의 고정부, 일단에 통공을 구비하여 상기 고정부에 끼워지는 판상의 고정판, 내부에 암나사산을 구비하여 상기 고정부의 나사산과 대응하여 결속하는 고정너트, 필러와이어를 공급하는 와이어공급기와 와이어를 용융하는 용접토오치로 구성되며, 용접면의 산화와 표면결함을 제거하고 용접물을 직접회전하여 용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방열기용접, 아르곤용접, 회전식 용접장치

Description

회전용 방열기용접장치 {radiator welding device for turning}
도 1은 본 고안 회전용 방열기용접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회전용 방열기용접장치와 방열판의 연결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회전판의 회전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회전용 방열기용접장치의 용접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방열기와 변압기케이스가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방열기 11 : 돌출부
12 : 연결공 20 : 연결관
30 : 모터 40 : 변압기케이스
50 : 회전축 100 : 회전판
200 : 고정부 210 : 나사산
300 : 고정판 400 : 고정너트
500 : 와이어공급기 600 : 용접토오치
610 : 스프링
본 고안은 회전용 방열기용접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변압기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하기 위한 방열기를 변압기 케이스와 연결하기 위해 파이프형태의 연결관을 방열기 돌출부의 연결공에 끼우고 상기 돌출부와 연결관의 이음부를 용접할 때,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판을 구비하여 연결관이 삽입된 방열기가 회전하도록 하고 방열기가 회전하는 동안 연결관과 방열기의 이음부에 아르곤용접을 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용 방열기용접장치에 관한 것이다.
변압기는 전자기유도작용(電磁氣誘導作用)을 이용하여 교류전압이나 전류의 값을 바꾸는 장치로서, 고압의 전력을 저압으로 바꿔주는 장치이다.
주상변압기는 전기를 공급하는 전선을 연결하는 전신주에 설치하며, 또한 고전압을 저전압으로 변환하여 일반가정 또는 공장 등의 사업장에 공급되는 것으로 변압기는 고압의 전력을 저압의 전력으로 바꾸는 과정에서 많은 열이 발생하고 단시간 내에 많은 량의 전기를 사용하게 되면 고열과 고압의 부하가 걸리게 되어 폭발의 위험성이 있어 변압기의 본체 내에 공간부를 만들고 있으며 그 공간부 내에는 절연유와 변압부재 등을 수용하여 사용하는데 절연유 트랜스가 가열되어 팽창하고 폭발의 위험성이 있어 변압기에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여 냉각하는 방열기가 필수적으로 설치되고 있으며, 변압기 케이스에는 공기와 접촉면적을 크게 하여 변압기의 냉각효과를 크게 하기 위하여 방열기를 설치하여 왔고, 방열기 설치 방법에는 나사나 체인 등의 체결수단을 통한 조립설치와 용접결합이 주로 사용되어 왔다.
또한, 상기 용접결합의 경우에는 방열기와 변압기 케이스의 사이에 중공의 연결파이프를 접촉하도록 구비하여 연결파이프의 일측과 방열기, 연결파이프의 타측과 변압기 케이스가 접촉되는 접촉부를 용접하여 설치하였으며, 이때 방열기와 연결파이프의 용접이 우선적으로 시행되어 왔다.
상기와 같이 방열기를 변압기 케이스와 연결하기 위해 파이프형태의 연결관을 방열기 돌출부의 연결공에 끼우고 상기 돌출부와 연결관의 이음부를 용접하였으며, 종래의 용접방법에는 방열기가 고정된 상태에서 와이어와 용접 토오치를 수동으로 회전시켜 용접을 시행하여 왔고 대부분 산소용접으로 이루어진다.
산소용접은 산소아세틸렌용접을 의미하고, 산소와 아세틸렌이 화합했을 때에 발생하는 높은 열을 이용해서 금속을 용접·절단하는 방법으로 산소수소용접이 있는데 합하여 산소용접이라고도 한다. 산소와 아세틸렌을 섞은 가스에 불을 붙이면 높은 열을 내면서 타게 되므로 이 불꽃을 녹이고자 하는 금속에 대고 용접을 하고 이 불꽃의 온도는 3,500℃나 되며, 산소수소의 불꽃보다도 높은 온도이고 용접만이 아니라 강판을 달구어 절단하는 데에 흔히 사용되며 이러한 목적에 사용하기 위한 아세틸렌은 봄베(Bombe) 속에 넣어서 운반하는데 너무 고압의 것은 폭발의 위험이 있으므로, 아세톤에 녹여서 넣으며, 이 용접법은 불꽃이 생길 때의 화학반응에 의해서 이산화탄소와 물이 생기므로, 활성이 강한 금속의 용접에는 사용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산소용접을 통해 방열기와 연결관을 용접하는 경우에는 용접면이 쉽게 산화되어 부식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용접이 진행되는 동안 발생하는 스파크로 인하여 방열판이나 연결관의 표면에 불꽃이 튀어 결함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활성가스를 사용하여 용접을 시행하게 되면 활성가스의 특성상 고온의 아크에서는 산화성이 크고 용착금속의 산화가 심하여 기공 및 그 밖의 결함이 생기기 쉬우므로 망간(Mn)이나 규소(Si) 등의 탈산제를 함유한 와이어를 사용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이에따라 상기 산소용접에 의해 산화, 표면결함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연결관과 방열기를 연결하는 용접방법의 보급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에는 방열기와 연결관을 연결하기 위하여 연결관의 외주연을 따라 용접기를 회전하여 용접이 시행되어져 왔으며,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용접을 시행하였던 경우에는 용접자세와 위치가 불안정하여 용접불량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에 따라 용접기가 고정되고 용접하고자 하는 물체가 직접 회전하는 용접기의 보급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방열기에 연결관을 용접할 때, 용접기가 회전하지 않고 방열기가 회전하여 용접이 이루어 지도록 하여 용접성을 높이고, 산소용접에 따른 표면결함이나 산화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아르곤용접을 시행하는 회전용 방열기용접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방열기를 변압기 케이스와 연결하기 위해 파이프형태의 연결관을 방열기 돌출부의 연결공에 끼우고 상기 돌출부와 연결관의 이음부를 용접하는 것에 있어서, 회전축의 일측과 연결되고 상기 회전 축의 단부측에는 모터를 구성하여 상기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장방형의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상단과 하단의 양측에 구비되고 끝단에 나사산을 형성하는 원주형의 고정부와, 일단에 통공을 구비하여 상기 고정부에 끼워지는 판상의 고정판과, 내부에 암나사산을 구비하여 상기 고정부의 나사산과 대응하여 결속하는 고정너트와, 필러와이어를 공급하는 와이어공급기와, 와이어를 용융하는 용접토오치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용 방열기용접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용접토오치는 단부측에 스프링을 구비하여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연결관과 길이조절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용 방열기용접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른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회전용 방열기용접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회전용 방열기용접장치와 방열판의 연결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회전판의 회전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 회전용 방열기용접장치의 용접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5는 방열기와 변압기케이스가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 회전용 방열기용접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축(50)에 의해 모터(30)와 연결된 장방형의 회전판(100), 상기 회전판(100)의 상단과 하단의 양측에 구비되고 끝단에 나사산(210)을 형성하는 원주형의 고정부(200), 일단에 통 공을 구비하여 상기 고정부(200)에 끼워지는 판상의 고정판(300), 내부에 암나사산을 구비하여 상기 고정부(200)의 나사산(210)과 대응하여 결속하는 고정너트(400), 필러와이어(510)를 공급하는 와이어공급기(500), 필러와이어(510)를 용융하는 용접토오치(600)로 구성된다.
회전판(100)은 방열기(10)를 고정하여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회전판(100)은 상기 방열기(10)보다 큰 사이즈로 구비되어 일면에 방열기(10)를 위치시키고, 회전판(100)에 의해 방열기(10)는 연결관(20)과 회전하게 되며 와이어공급기(500)나 용접토오치(600)는 정지된 상태에서 용접을 시행할 수 있게 된다.
회전판(100)의 재질은 용융점이 높고 적절한 강도를 구비한 다양한 종류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이유는 방열기(10)의 용접을 시행할 때 불꽃이 튀거나 용융된 필러와이어(510)가 회전판(100)에 접촉하였을 경우 용융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고 방열기(10)를 회전판(100)에 고정할 때 적절한 강도를 구비하여 회전판(100)이 휘어지거나 부서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회전축(500)은 일측이 회전판(100)과 연결되고 타측이 모터(50)와 연결괴어 상기 모터(50)의 회전력을 회전판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의 기능을 하고, 뒤틀림이나 외력에 대한 내구성을 구비한 강도높은 재료를 사용한다.
고정부(200)는 상기 회전판(10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양쪽에 한 쌍으로 구비되는 긴 원주의 형태로 회전판(100)과 연결되는 부분의 반대쪽 끝단에는 소정의 길이만큼 나사산(21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200)는 회전판(100)에 용접되어 결합되거나 기타 다른 수단을 이용하여 고정되어 있으며, 방열기(10)가 회전판(100)과 결속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고정부(200) 사이에 방열기(10)를 위치시킨다.
상기 회전판(100)과 마찬가지로 고정부(200)의 재질은 용융점이 높고 적절한 강도를 구비한 다양한 종류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이유는 방열기(10)의 용접을 시행할 때 불꽃이 튀거나 용융된 필러와이어(510)가 회전판(100)에 접촉하였을 경우 용융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고 방열기(10)를 회전판(100)에 고정할 때 적절한 강도를 구비하여 고정부(200)가 휘어지거나 부서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고정판(300)은 상기 고정부(200)에 끼워지는 것으로, 일측에 상기 고정부(200)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통공을 구비하는 구성이고, 상기 고정부(200) 사이에 위치한 방열판이 고정될 수 있도록 가압하는 역할을 하며 고정부(200) 사이에 연결공(12)이 노출되도록 방열기(10)를 위치하고 양측 고정부(200)에 각각 고정판(300)을 끼운다.
또한, 상기 고정판(300)의 재질도 고정부(200)나 회전판(100)의 재질과 마찬가지로 용융점이 높고 적절한 강도를 구비한 다양한 종류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고정너트(400)는 내측에 상기 고정부(200)의 나사산(210)과 대응하는 암나사산을 형성시킨것으로 통상의 너트를 사용하며, 상기 고정지지력이 없으므로 고정부(200)의 끝단에 구비된 나사산(210)과 고정너트(400)의 내측에 형성된 암나사와 차례로 결속하여 고정판(300)을 가압하여 방열기(10)가 고정되도록 하고 용접이 끝 나면 고정너트(400)를 해제하여 방열기(10)를 고정판(300)과 회전판(100) 사이에서 분리되도록 한다.
와이어공급기(500)는 필러와이어(510)를 공급하는 장치로서, 적어도 멀티-와이어의 롤재가 여러개 준비되어 있고, 스폿 웰딩기쪽으로 멀티-와이어를 가지런히 모아서 공급해 주는 피딩부와, 상기 피딩부로부터 공급받은 멀티-와이어를 모재에 웰딩하는 스폿 웰딩부와, 상기 스폿 웰딩부로 부터의 멀티-와이어를 원하는 각도만큼 벤딩한 후 최종 커팅하는 벤딩/커팅부를 포함하는 와이어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딩부는, 와이어를 가지런히 모아주고 또한 와이어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기 위해 상기 와이어가 들어갈수 있게끔 홈을 형성시킨 가이드판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공급 장치 또는 와이어 공급장치에 있어서, 와이어는 인도휘일에 대해 복수의 가압 로울러에 의해 가압되고 상기 가압 로울러는 상기 인도휘일의 한 측면에 설치되고 복수의 보조휘일은 상기 가압 로울러의 대향측면에 설치되고 와이어가 인도휘일내에 놓이기 위하여 에지상에 외주요홈이 구비된 인도휘일과, 상기 인도휘일의 에지에 대하여 와이어를 가압하기 위하여 상기 인도휘일의 오른쪽 상부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가압로울러와, 상기 인도 휘일의 축을 어느 측면으로도 경사지지 않게 유지하도록 조력하기 위하여 상기 인도휘일에 대해 가압하기 위한 상기 인도휘일의 왼쪽 하부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보조 휘일과, 와이어를 다이안으로 또는 다이를 따라 곧게 이동하도록 하기 위한 평탄 후면부와 상기 인도휘일이 접촉되도록 뾰족한 팁과 상기 인도휘일의 요홈내에 결합될 돌출에지가 구비된 상기 인도휘일의 왼쪽 측면에 설치된 안내블럭과, 와이어가 상기 인도휘일의 요홈내로 잡아당겨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재와 복수의 안내휠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공급 장치와 같이 종래에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와이어 공급장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콘트롤 박스의 노브를 통하여 선택한 고전압이 토오치로 공급되도록 하고 브라켓의 회전축에 보빈의 축공을 끼운 상태에서 같이 회전하는 중에 보빈에 감긴 필러 와이어가 이송되도록 한 아르곤 용접기의 필러 와이어 공급장치에 있어서,상기 필러 와이어는 인입용 스프링(610)의 중앙을 통과하여 구동축의 외면에 원주상으로 형성된 고무층과 접하면서 공급관으로 공급되어 상기 토오치의 끝단에 굴곡되게 형성한 와이어 토출기로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면서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회전축은 콘트롤러의 타이머와 리세트 스위치 및 족답 스위치에 의해 적절한 상태로 구동하는 모터(30)의 구동에 따라 같이 회전하면서 고무층에 접하는 필러 와이어를 적절한 속도로 이송시키도록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아르곤 용접기의 필러 와이어 공급장치와 같이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와이어 공급장치 역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용접토오치(600)는 가연성 가스와 지연성 가스가 혼합되어 용접 가스를 형성하는 혼합실과 상기 혼합실에서 혼합된 용접가스가 외기와 혼합되어 분출되도록 하는 인젝터와 상기 인젝터에서 외기와 혼합된 용접가스를 분사시켜 불꽃이 점화되면 용접 불꽃을 발생시키는 화구와 상기 혼합실 내부에 용접 작업 중 발생되는 역화 및 역류를 방지하는 역화 방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토오치(600)와 같이 종래에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용접토오치(600)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회전용 방열기용접장치는 아르곤 용접을 시행하게 된다.
불활성가스인 알곤이나 헬륨을 사용하는 경우에 불활성 가스금속 아크 용접(inert gas metal arc welding; MIG)이라 하고 불활성 아크 용접(inert gas arc welding) 여기에는 비소모성 전극인 텅스텐 봉을 사용하는 가스 텅스텐 아크 용접(gas tungsten arc welding; GTAW)또는 불활성 가스텅스텐 아크 용접(inert gas tungsten arc welding; TIG)과 소모성 전극인 비피복 금속 용접봉을 사용하는 가스 금속 아크 용접(gas metal arc welding; GMAW)이 두 가지이다. 일반적으로 GTAW는 0.6∼8mm의 박판, 중판에, GMAW는 6mm이상의 두꺼운 판(후판)에 사용되며 후자가 전자에 비하여 효율이 높다. GMAW용접은 자세히 말하자면 불활성가스를 사용하여 용융금속의 산화,질화를 방지하고 용가재인 전극 와이어(용접봉)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면서 아크를 발생시키는 자동 및 반자동 용접법이고 이 용접법은 피복아크용접이나 산소용접으로 불가능한 알루미늄합금, 마그네슘합금, 스테인레스스틸강, 구리합금, 저합금강, 고장력강 등의 두꺼운 판재를 용접한다. 보호가스는 주로 아르곤(Ar), 헬륨(He)이 사용되고 아르곤가스에 산소나 탄산가스를 혼합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GMAW용접법은 전극이 소모성이므로 연속적으로 전극 와이어를 공급해 주어야 하고 따라서 이들은 가스 및 냉각수 송급장치, 금속와이어를 일정한 속도로 송급하는 장치, 전원장치 및 전극와이어, 전류, 가스 및 냉각수의 송급속도를 조절하는 제어장치로 되어 있다. 이 장치의 용접토오치 중앙으로 전극와이어가 송급되어 아크를 형성하면서 용융지로 녹아들어 가고 이 전극 주위로 헬륨, 알곤, 이산화 탄소, 질소등의 가스가 흐르게 되며 전극와이어의 성분은 대개 모재와 같게 만들어져 있고 전기적 접촉과 녹을 방지하기 우해 구리가 코팅되어 있다. 용가재인 전극와이어는 산화방지제(deoxidizer)가 들어 있는데 강철 용가제에는 망간, 실리콘, 알 루미늄이, 니켈 합금 용가재에는 티타늄, 실리콘이, 구리합금 용가제에는 티타늄, 실리콘, 인이 산 화방지제로 포함되어 있다. 불활성 가스 금속 아크용접법중 MIG방식은 용가재인 전극와이어를 연 속적으로 송급하여 아크를 발생시키는 방법으로 TIG에 비해 용착율이 빠르다. 전원은 직류식이며 와이어를 양극으로 하는 역극성으로 작업한다. MIG용접의 보호가스로는 순수 아르곤, 아르곤과 헬륨을 혼합한 가스가 사용되된다. 건(gun)은 전극와이어, 용접전류와 보호가스를 와이어 송급기로부터 아크 영역으로 이송하는데 사용되는 부분을 일컫는다. 불활성 가스금속 아크 용접은 제거할 슬래그가 없으므로 피복아크용접에 비해 작업주기가 빠른 특징이 있다.
연결관(20)과 방열기(10)의 연결공(12)의 용접이 끝나고 반대측 방열기(10)의 연결공(12)과 연결관(20)을 용접하고자 할 때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토오치(600)와 필러와이어는 원위치로 복귀되며 상기 고정너트(400)를 회전하여 고정판(300)과 방열기(10)를 분리하고 바로 아랫부분으로 빼고 아랫쪽에 구비된 고정부(200)와 고정너트(400)로 고정시키고 같은 방법으로 용접을 시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용접토오치(600)는 단부측에 스프링(610)을 구비하여 상기 스프링(610)의 탄성력에 의해 연결관(20)과 길이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용접토오치(600)와 필러와이어(510)가 회전판(100)에 고정된 방열기(10)와 연결관(20)을 용접하고자 할때, 용접토오치(600)가 먼저 연결관(20)의 일측에 용접토오치(600)의 일부가 끼워지는 형태로 위치하고 접촉된 후에도 연결관(20)으로 이동하려는 용접토오치(600)는 스프링(610)의 길이조절로 인하여 정지하게 된다.
따라서, 용접토오치(600)와 필러와이어(510)가 연결관(20)과 접촉할 때. 필요 이상의 접착력에 의해 용접토오치(600)나 필러와이어(510)가 파손되거나 이로 인하여 용접불량이 발생하는 원인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고정판(300)은 상기 고정부(200)에 끼워지는 것으로, 내측에 상기 고정부(200)의 나사산(210)과 대응하는 암나사산을 형성시킨 통공을 구비하여 상기 고정부(200)와 결속될 수 잇으며,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방열기(10)를 회전판(100)에 고정시킬 때에 고정너트(400)가 필요하지 아니하고 곧바로 고정판(300)을 통해 고정시킬 수 있으며, 고정너트(400)를 동해 다시 한번 고정할 수 있는 구성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고안이 속하는 해당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당업자는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방열기에 연결관을 용접할 때, 용접기가 회전하지 않고 방열기가 회전하여 용접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용접자세 및 와이어의 공급상태를 양호하도록 하여 용접성능을 향상시키고 산소용접을 시행하였을 때 이에 따른 표면결함이나 산화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아르곤용접을 시행하여 표면결함이나 산화 의 문제를 해결하며 숙련되지 않은 용접사의 기량부족에 따른 용접불량을 최소화하여 생산률 증가와 더불어 원가 절감에 따른 고도의 생산효율을 구비한 방열기를 생산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방열기(10)를 변압기 케이스(40)와 연결하기 위해 파이프형태의 연결관(20)을 방열기(10) 돌출부(11)의 연결공(12)에 끼우고 상기 돌출부(11)와 연결관(20)의 이음부를 용접하는 용접장치에 있어서,
    회전축(50)의 일측과 연결되고 상기 회전축(50)의 단부측에는 모터(30)를 구성하여 상기 모터(30)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장방형의 회전판(100);
    상기 회전판(100)의 상단과 하단의 양측에 구비되고 끝단에 나사산(210)을 형성하는 원주형의 고정부(200);
    일단에 통공을 구비하여 상기 고정부(200)에 끼워지는 판상의 고정판(300);
    내부에 암나사산을 구비하여 상기 고정부(200)의 나사산(210)과 대응하여 결속하는 고정너트(400);
    필러와이어(510)를 공급하는 와이어공급기(500);
    필러와이어(510)를 용융하는 용접토오치(60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용 방열기용접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토오치(600)는 단부측에 스프링(610)을 구비하여 상기 스프링(610)의 탄성력에 의해 연결관(20)과 길이조절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용 방열기용접장치.
KR2020060018887U 2006-07-12 2006-07-12 회전용 방열기용접장치 KR2004274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8887U KR200427459Y1 (ko) 2006-07-12 2006-07-12 회전용 방열기용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8887U KR200427459Y1 (ko) 2006-07-12 2006-07-12 회전용 방열기용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7459Y1 true KR200427459Y1 (ko) 2006-09-27

Family

ID=41776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8887U KR200427459Y1 (ko) 2006-07-12 2006-07-12 회전용 방열기용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745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79271B1 (en) Double wire gmaw welding torch assembly and process
JP7452973B2 (ja) 溶接又はアディティブ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用二重ワイヤ駆動システム
US20150048057A1 (en) Semi-automatic welding system, conversion adapter kit, and welding torch
AU2006202633A1 (en) Tig welding or braze-welding with metal transfer via a liquid bridge
US10730130B2 (en) Field former for use in welding applications
JP2004130387A (ja) 溶接用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の調製
US11389889B2 (en) Arc welding method and arc welding arrangement with first and second electrodes
CA2836808A1 (en) Flux cored arc welding system with high deposition rate and weld with robust impact toughness
KR200427459Y1 (ko) 회전용 방열기용접장치
KR101092774B1 (ko) 협 개선 수동 가스 텅스텐 아크 용접용 토치
Holliday Gas-metal arc welding
JP5200624B2 (ja) 多電極サブマージアーク溶接機
US11198192B2 (en) Welding or additive manufacturing dual wire drive system
US11504787B2 (en) Welding or additive manufacturing dual wire drive system
US11426813B2 (en) Welding or additive manufacturing dual wire drive system
Conrardy Gas metal arc welding
EP3862122A1 (en) Welding or additive manufacturing dual wire drive system
US2013010438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rting a mig welder into a carbon-arc cutter
JP3947422B2 (ja) チタン又はチタン合金のmig溶接方法
JP2024053876A (ja) 多層盛り溶接方法
CN112809137A (zh) 空心钨极同轴mig/mag复合焊接装置的焊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