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7453Y1 - 핵폐기물 운반용 대차의 전원공급장치 - Google Patents

핵폐기물 운반용 대차의 전원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7453Y1
KR200427453Y1 KR2020060018773U KR20060018773U KR200427453Y1 KR 200427453 Y1 KR200427453 Y1 KR 200427453Y1 KR 2020060018773 U KR2020060018773 U KR 2020060018773U KR 20060018773 U KR20060018773 U KR 20060018773U KR 200427453 Y1 KR200427453 Y1 KR 2004274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olley
power
power supply
space
nuclear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87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무진기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무진기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무진기연
Priority to KR20200600187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74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74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745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3/00Feeding power to supply lines in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s; Arrangements for consuming regenerative power
    • B60M3/02Feeding power to supply lines in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s; Arrangements for consuming regenerative power with means for maintaining voltag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한 쌍의 선로가 밀폐된 어느 공간과 인접한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와 간섭되지 않도록 양측 공간에 설치된 선로가 소정거리로 이격되게 단선되고, 이 선로의 단선된 부분을 통과하는 핵폐기물이 밀봉된 드럼이 적재된 대차에 전원을 공급하는 핵폐기물 운반용 대차의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어느 하나의 공간에 설치된 일측 선로의 내, 외측면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며, 외부 전원에 접속되는 제1접속단자와; 상기 제1접속단자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으며, 일측 선로의 타측 끝단까지 연장설치되는 제1트롤리바와; 상기 공간과 인접한 공간에 설치된 타측 선로의 내, 외측면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며, 외부 전원에 접속되는 제2접속단자와; 상기 제2접속단자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으며, 타측 선로의 일측 끝단까지 연장설치되는 제2트롤리바와; 상기 대차의 하부에 설치되어 전원공급부와 연결되며, 제1, 제2트롤리바의 단선된 거리 보다 비교적 짧은 이격거리로 접점이 형성되어 제1, 제2트롤리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름접촉하면서 제1, 제2트롤리바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접점을 통하여 전원공급부로 전원이 공급되게 하는 콜렉터를 포함한다.
따라서, 어느 하나의 공간과 인접한 공간이 도어에 의해 폐쇄됨에 따라 인접한 공간으로 대차를 안내하는 선로가 단선되더라도 제1, 제2트롤리바와 콜렉터를 통하여 대차의 전원공급부로 전원을 공급하여 대차의 동력이 가동될 수 있게 함으로써 대차의 안전운행 및 안정된 전기공급이 유지되게 하는 핵폐기물 운반용 대차 의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핵폐기물 운반용 대차의 전원공급장치{Power supply of cart for nuclear waste separation transportation}
도 1은 핵폐기물 분리이송 시스템을 일부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의 구성으로서, 상부 도면은 평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하부도면은 측면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선로 102 : 도어
103 : 대차 104 : 제1접속단자
105 : 제1트롤리바 106 : 제2접속단자
107 : 제2트롤리바 108 : 콜렉터
109 : 제1탄성부재 110 : 제2탄성부재
111 : 크레인
본 고안은 한 쌍의 선로가 밀폐된 어느 공간과 인접한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와 간섭되지 않도록 양측 공간에 설치된 선로가 소정거리로 이격되게 단선되고, 이 선로의 단선된 부분을 통과하는 핵폐기물이 밀봉된 드럼이 적재된 대차에 전원을 공급하는 핵폐기물 운반용 대차의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어느 하나의 공간과 인접한 공간이 도어에 의해 폐쇄됨에 따라 인접한 공간으로 대차를 안내하는 선로가 단선되더라도 제1, 제2트롤리바와 콜렉터를 통하여 대차의 전원공급부로 전원을 공급하여 대차의 동력이 가동될 수 있게 함으로써 대차의 안전운행 및 안정된 전기공급이 유지되게 하는 핵폐기물 운반용 대차의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핵 폐기물은 핵무기 실험과 핵발전소 운영의 결과 배출되는 폐기물로서, 방사능 물질로 되어 있어서 인간건강에 치명적를 주고 있다.
핵실험에 의해 발생하는 방사능 낙진은 대기 중에 확산되어 환경을 오염시키고, 핵 발전소에서 나오는 사용 후 연료를 비롯한 방사성 폐기물 역시 바람과 물을 통해 급속히 환경에 전파됨으로서 조금만 노출되어도 인간에게 위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방사성 물질은 화학변화에 의해 없어지지 않기 때문에 원자핵 붕괴로 인해 자연적으로 소멸되기를 기다릴 수밖에 없으며, 따라서 일단 방출되면 장기적인 오염이 불가피하다.
핵 폐기물은 자연적으로 분해되는 데 수십만년 또는 수백만년이 걸리기 때문에 이를 안전하게, 영구적으로 처리하는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 커다란 과제로서 제기되고 있다.
현재로서 대부분의 국가들이 추진하고 있는 방식은 밀봉하여 땅속 깊이 매장 하는 하는 것이지만, 이들이 자연분해될 때까지 땅속에서 안전하게 남아있게 된다는 보장이 없기 때문에 이 문제를 둘러싸고 끊임없이 논란이 일고 있다.
원래 핵실험은 군사적 목적에서 시작된 것이지만 현재 핵 폐기물은 군사적 폐기물보다 민간원자로에서 발생하는 양이 훨씬 많으며 누적되는 총량도 빠른 속도로 늘어나고 있다.
이미 선진국가에서 만든 폐기물 저장소 중 낡은 것은 방사능이 유출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핵무기나 핵발전소의 불완전한 설비는 앞으로 방사성 폐기물이 점증하게 될 잠재적인 문제를 안고 있다.
최근에 화석연료의 사용에 따른 온실효과기체의 방출을 억제하기 위해 대체에너지로서 핵발전소를 확대하려는 움직임이 있으나, 이를 확정 짓기 전에 먼저 해결되어야 할 것은 원자로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의 처리 문제이다
상기한 핵폐기물 처리 문제는 최근 사회적으로 자주 제기되는 것으로, 그 근본에는 핵 폐기 시설의 안정성에 대한 의문이 바탕이 되고 있다.
실제로 핵폐기물 시설의 사고로 인해 처리장 주변의 환경이 크게 위협 받았던 사례가 있었고, 이러한 사례를 접했던 사람들에게 핵폐기물 처리장은 당연히 혐오스럽게 인식되었을 것이다.
현재 원자력발전을 통해 전기를 생산하고 사용하는 현실에서는 어떤 방식으로든 핵폐기물을 처리할 시설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어떠한 환경적인 피해도 발생하지 않도록 핵 처리 시설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기술력이 우선적으로 갖추어져야 하며 건설 이후의 사후 관리에도 만전을 기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인의 동일자 실용신안등록출원 제?????????????호에서는 핵폐기물 분리이송(처리) 시 핵폐기물이 밀봉된 드럼을 레일을 따라 이송시키되, 이송 시 서로 다른 밀폐된 공간을 기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송됨으로 인하여, 각 공간을 밀폐하는 도어에 의하여 레일이 단선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핵폐기물 시설 중 전원을 공급받아 동력을 가동시킴으로써 레일을 따라 이송하는 대차가 인접한 밀폐공간 사이에 설치되는 도어부분(단선된 레일부분)을 통과할 때 전원공급이 중단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하고 안정된 핵폐기물 이송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은, 한 쌍의 선로(101)가 밀폐된 어느 공간과 인접한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102)와 간섭되지 않도록 양측 공간에 설치된 선로(101)가 소정거리로 이격되게 단선되고, 이 선로(101)의 단선된 부분을 통과하는 핵폐기물이 밀봉된 드럼(103a)이 적재된 대차(103)에 전원을 공급하는 핵폐기물 운반용 대차의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의 공간에 설치된 일측 선로(101)의 내, 외측면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며, 외부 전원에 접속되는 제1접속단자(104)와; 상기 제1접속단자(104)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으며, 일측 선로(101)의 타측 끝단까지 연장설치되는 제1트롤리바(105)와; 상기 공간과 인접한 공간에 설치된 타측 선로(101)의 내, 외측면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며, 외부 전원에 접속되는 제2접속단자(106)와; 상기 제2접속단자(106)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으며, 타측 선로(101)의 일측 끝단까지 연장설치되는 제2트롤리바(107)와; 상기 대차(103)의 하부에 설치되어 전원공급부(도시하지 않음)와 연결되며, 제1, 제2트롤리바(105)(107)의 단선된 거리 보다 비교적 짤은 이격거리로 접점(108a)(108b)이 형성되어 제1, 제2트롤리바(105)(107)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름접촉하면서 제1, 제2트롤리바(105)(107)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접점(108a)(108b)을 통하여 전원공급부(도시하지 않음)로 전원이 공급되게 하는 콜렉터(10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핵폐기물 운반용 대차의 전원공급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제2접속단자(104)(106)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결합되어 제1, 제2트롤리바(105)(107)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된 제1, 제2탄성부재(109)(11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핵폐기물이 밀봉된 드럼(103a)은 크레인(111)에 의하여 대차(103)에 적재된다.
상기 대차(103)는 다수개의 밀폐된 공간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바닥에 설치된 한 쌍의 선로(101)상에 이송가능토록 설치되어 있으며, 이 선로(101)는 각각의 밀폐된 공간에서 대차(103)가 이동하여야 할 경로에 마추어 설치된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공간은 도어(102)에 의하여 차단되거나 개방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도어(102)가 차단되는 위치의 선 로(101)는 도어(102)와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도어(102)의 간격보다 비교적 넓게 이격되도록 단선된 상태로 설치된다.
따라서, 드럼(103a)이 적재된 대차(103)가 인접한 다른 공간으로 이동할 경우, 대차(103)가 도어(102)에 근접하면 도어(102)가 개방되며, 이때, 단선된 선로(101)는 본 출원인이 동일자로 출원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호에 의한 연결부재에 의하여 선로(101)가 연결되므로, 그 상부로 대차(103)가 안전하게 통과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선로(101)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대차(103)는 선로(101) 또는 별개의 전원공급라인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대차(103)의 내장된 동력을 가동하여 이동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핵폐기물 처리설비의 특성상 각각의 공간은 방사능의 유출이 발생할 경우 외부와 완전 격리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설계를 기본으로 설비되기 때문에 도어(102)의 폐쇄에 의해서 완벽하게 방사능 유출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어느 하나의 공간에 제공되는 전원과 인접한 다른 공간에 제공되는 전원은 각각 별개로 운용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일측 공간과 타측 공간에서 각각 운용되는 전원을 일측 공간의 선로(101) 내, 외측면 중 어느 하나에 제1트롤리바(105)를 설치하여 전원이 제1트롤리바(105)로 항상 공급되는 상태를 갖게 한다.
즉, 상기 선로(101)의 내, 외측면 일측방에는 외부 전원과 접속하는 제1접속단자(104)를 설치하고, 이 제1접속단자(104)와 제1트롤리바(105)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외부 전원이 제1트롤리바(105)에 공급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접속단자(104)의 일단에는 제1탄성부재(109)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하여 하절기와 동절기의 온도차에 의한 제1트롤리바(105)의 팽창과 수축에 대응하여 탄성력이 제공되게 함으로써, 안정된 전원공급과 설치고정상태가 계절에 관계없이 유지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일측 공간과 인접한 타측 공간에 설치되는 타측 선로(101)의 타측방 내, 외측면 중 어느 하나에도 외부 전원과 접속하는 제2접속단자(106)를 결합시키고, 이 제2접속단자(106)의 일단에는 제2트롤리바(107)가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외부 전원이 항상 제2트롤리바(107)로 공급되는 상태를 갖게 한다.
여기서도, 상기 제2접속단자(106)의 타단에는 제2탄성부재(110)가 결합되어 탄성력이 제2트롤리바(107)로 제공될 수 있게 함으로써 계절변화에 따른 온도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 제2트롤리바(105)(107)는 양측 선로(101)의 단선 거리와 대응되는 위치까지 각각 일측 선로(101)의 타단과 타측 선로(101)의 일단까지 연장형성되어 도어(102)와 간섭되지 않게 한다.
상기 일측 선로(101) 상에서 타측 선로(101) 상으로 이동하는 대차(103)의 하부에는 대차(103)의 전원공급부와 연결되는 콜렉터(108)가 하향설치되는 바, 이 콜렉터(108)는 한 쌍의 접점(108a)(108b)이 선로(101)의 단선거리 보다 비교적 짧은 거리로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일측 선로(101) 상에서 한 쌍의 접점(108a)(108b)이 모두 구름접촉하는 상태에서 대차(103)가 이동할 때에는 제1트롤리바(105)와 양측 접 점(108a)(108b)을 통하여 전원을 대차(103)의 전원공급부로 공급함으로써, 대차(103)의 동력을 가동할 수 있으며, 타측 선로(101) 상에서 한 쌍의 접점(108a)(108b)이 모두 구름접촉할 경우에는 제2트롤리바(107)와 양측 접점(108a)(108b)을 통하여 전원을 대차(103)의 전원공급부로 공급할 수 있게 됨으로써, 각각의 공간에서 대차(103)의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 대차(103)가 양측 선로(101)의 단선된 부분을 일측방에서 타측방으로 통과할 때에는 콜렉터(108)의 타측 접점(108b)은 제1, 제2트롤리바(105)(107) 사이의 빈 공간에 위치함에도 불구하고 콜렉터(108)의 일측 접점(108a)은 제1트롤리바(105)에 접촉하고 있으므로 제1트롤리바(105)로 공급되는 전원과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게 되어 전원이 일측 접점(108a)을 통하여 대차(103)의 전원공급부로 공급된다.
아울러, 상기한 상태에서 대차(103)가 타측방으로 조금 더 이동하게 되면 콜렉터(108)의 타측 접점(108b)은 제2트롤리바(107)에 접촉하게 됨과 동시에 일측 접점(108a)은 제1, 제2트롤리바(105)(107) 사이의 빈 공간에 위치하게 되어 타측 접점(108b)으로만 전원이 공급되므로 전원공급부에서는 대차(103)의 동력을 가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제2트롤리바(105)(107)에 콜렉터(108)의 접점(108a)(108b)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반드시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게 함으로써, 도어(102)의 간섭에 의해 형성되는 양측 공간으로의 전기적인 단절상태는 극복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핵폐기물 분리이송 또는 처리 시 요구되는 각각의 공간이 방사능 유출 방지를 위해 도어에 의하여 각 공간이 밀폐되도록 함에 따라 각각의 공간 상호간에 전원연결이 곤란하여 핵폐기물을 운반하는 대차(103)의 이동 및 제어가 곤란하였던 문제가 공간이 이격된 상태에서도 제1, 제2트롤리바와 콜렉터의 이격된 한 쌍의 접점에 의하여 항상 대차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게 함으로써, 대차의 이동 및 제어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2)

  1. 한 쌍의 선로(101)가 밀폐된 어느 공간과 인접한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102)와 간섭되지 않도록 양측 공간에 설치된 선로(101)가 소정거리로 이격되게 단선되고, 이 선로(101)의 단선된 부분을 통과하는 핵폐기물이 밀봉된 드럼(103a)이 적재된 대차(103)에 전원을 공급하는 핵폐기물 운반용 대차의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의 공간에 설치된 일측 선로(101)의 내, 외측면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며, 외부 전원에 접속되는 제1접속단자(104)와;
    상기 제1접속단자(104)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으며, 일측 선로(101)의 타측 끝단까지 연장설치되는 제1트롤리바(105)와;
    상기 공간과 인접한 공간에 설치된 타측 선로(101)의 내, 외측면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며, 외부 전원에 접속되는 제2접속단자(106)와;
    상기 제2접속단자(106)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으며, 타측 선로(101)의 일측 끝단까지 연장설치되는 제2트롤리바(107)와;
    상기 대차(103)의 하부에 설치되어 전원공급부와 연결되며, 제1, 제2트롤리바(105)(107)의 단선된 거리 보다 비교적 짧은 이격거리로 접점(108)이 형성되어 제1, 제2트롤리바(105)(107)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름접촉하면서 제1, 제2트롤리바(105)(107)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접점(108)을 통하여 전원공급부로 전원이 공급되게 하는 콜렉터(10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핵폐기물 운반용 대차의 전원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접속단자(104)(106)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결합되어 제1, 제2트롤리바(105)(107)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된 제1, 제2탄성부재(109)(1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핵폐기물 운반용 대차의 전원공급장치.
KR2020060018773U 2006-07-11 2006-07-11 핵폐기물 운반용 대차의 전원공급장치 KR2004274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8773U KR200427453Y1 (ko) 2006-07-11 2006-07-11 핵폐기물 운반용 대차의 전원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8773U KR200427453Y1 (ko) 2006-07-11 2006-07-11 핵폐기물 운반용 대차의 전원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7453Y1 true KR200427453Y1 (ko) 2006-09-27

Family

ID=41776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8773U KR200427453Y1 (ko) 2006-07-11 2006-07-11 핵폐기물 운반용 대차의 전원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745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3166B1 (ko) 2009-07-16 2011-12-12 주식회사 신원 비상전원공급부가 구비된 산업용 로봇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3166B1 (ko) 2009-07-16 2011-12-12 주식회사 신원 비상전원공급부가 구비된 산업용 로봇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89407A (zh) 超安全并且可简易拆除的核电厂
KR200427453Y1 (ko) 핵폐기물 운반용 대차의 전원공급장치
KR200426918Y1 (ko) 핵폐기물 분리이송용 선로 연결장치
Fattah et al. The interface between nuclear safeguards and radioactive waste disposal: Emerging issues
Fang et al. Radiation protection calculation and optimization for shielding design around the refueling pipelines of HTR-PM
RU2222839C2 (ru) Подземная атомная теплоэлектростанция на базе судовых реакторных установок
Fauquet-Alekhine et al. Robot-Assisted Nuclear Disaster Response: determinants of performance
Moore Robots join the nuclear workforce
Hong et al. Long-term Integrity of Plasma Torch Melting Facility for Radioactive Waste
Leslie et al. Comparison of irradiated fuel handling machines for dry vaul storage
Kuldjanov et al. Management of uranium legacy sites in Uzbekistan: recent international activity
Lee et al. Technical Review of Historical Site Assessment Experiences at US Nuclear Power Plants
RU24981U1 (ru) Пост контроля подвижного состава
Marinceu et al. Automated Buffer Box Assembly Cell Concept for the Canadian Used Fuel Packing Plant
Deregel et al. Regulatory Case Studies and Western Experience Concerning Nuclear Legacy: Site experience from Centre de Cadarache, CEA, France
RU92739U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перегрузки радиоактивных веществ
Nyström Encapsulation plant at Forsmark
Dilling Facility and site needs for the FIRE project
McAffee et al. Robotics and remote handling concepts for disposal of high-level nuclear waste
Ferraro EPAs mercury report to Congress: A basis for decision-making?
Kirby Remediation of 130 mSv/hr. Soil Contamination Under a Hot Cell-17301
Laughton Challenges and progress designing deep shafts and wide-span caverns
Zhou The impact of electric vehicles on power system transient stability
Fajurally et al. PRELIMINARY DECOMMISSIONING PLAN-PICKERING GENERATING STATIONS A & B
Snider Development of a remotely maintainable radio-frequency module for the Compact Ignition Tokama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1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