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7110Y1 - A windshield wiper device for a side door of motor vehicles - Google Patents

A windshield wiper device for a side door of motor vehic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7110Y1
KR200427110Y1 KR2020060018622U KR20060018622U KR200427110Y1 KR 200427110 Y1 KR200427110 Y1 KR 200427110Y1 KR 2020060018622 U KR2020060018622 U KR 2020060018622U KR 20060018622 U KR20060018622 U KR 20060018622U KR 200427110 Y1 KR200427110 Y1 KR 2004271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per
vehicle
side door
wiper device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8622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철응
Original Assignee
김철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철응 filed Critical 김철응
Priority to KR20200600186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7110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71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7110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5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other parts or devices than front windows or windscreens
    • B60S1/56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other parts or devices than front windows or windscreens including wip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사이드 도어용 와이퍼 장치는, 승용차 측면 도어의 유리창틀 외측 하부 가장자리면에 부착되는 접착면을 구비한 고정 보드와, 상기 고정 보드의 상기 접착면의 반대면에 일단부가 고정 결합된 관절 연결부와, 내부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을 구비하여 상기 하우징 외측면 일 지점에 상기 관절 연결부의 타 단부가 고정 결합되며, 일정 각도 구간에서의 왕복 회동력을 발생시키는 전동 모터부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고정 본체와, 상기 고정 본체에 대해 일정 각도 구간에서 왕복 회동 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 본체의 상기 전동 모터부로부터 연장된 동력 전달 수단에 연결된 회동 본체 및, 긴 막대 형태로 형성되어, 길이 방향을 따라 측면부로부터 돌설된 와이퍼 블레이드를 구비하며, 일 단부가 상기 회동 본체의 측면상에 고정 결합된 와이퍼암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사이드 도어의 유리창 외측면에 맺힌 물방울이나 흡착된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반 영구적인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iper device for a side door of a vehicle includes a fixing board having an adhesive surface attached to an outer lower edge surface of a window frame of a passenger vehicle side, and one end of which is fixedly coupled to an opposite surface of the adhesive surface of the fixing board. The joint connection part and the housing having an inner space therein, and the other end of the joint connection part is fixedly coupled to one poin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an electric motor part for generating a reciprocating rotational force in a predetermined angle section is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It is formed in the form of a long rod, and a rotating body connected to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extending from the electric motor portion of the fixed body, so that it can be reciprocated in a predetermined angle section with respect to the fixed bod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wiper blade protruding from the side portion, the one end of which is fixed on the side of the pivot body;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emi-permanent means for removing water droplets or adsorbed contaminants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window of the side door, including a combined wiper arm.

승용차, 차량 악세사리, 와이퍼, 와이퍼 장치, 서보모터 Car, Vehicle Accessories, Wiper, Wiper Device, Servo Motor

Description

차량의 사이드 도어용 와이퍼 장치 {A WINDSHIELD WIPER DEVICE FOR A SIDE DOOR OF MOTOR VEHICLES} WIPER DEVICE FOR SIDE DOORS IN CARS {A WINDSHIELD WIPER DEVICE FOR A SIDE DOOR OF MOTOR VEHICLES}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사이드 도어용 와이퍼 장치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iper device for a side door of a vehic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와이퍼 장치의 분해 사시도,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iper device of FIG. 1, FIG.

도 3은 도 1의 와이퍼 장치의 고정 보드의 측단면도,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xing board of the wiper device of FIG. 1, FIG.

도 4는 도 1의 와이퍼 장치의 관절 연결부의 부분 확대도,4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a joint connection of the wiper device of FIG. 1, FIG.

도 5는 도 1은 와이퍼 장치의 와이퍼암의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iper arm of the wiper device.

<도면 주요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Drawing Major Symbols>

10: 고정 보드 15: 절곡홈10: fixing board 15: bending groove

20: 관절 연결부 21: 부시20: joint connection 21: bush

22: 연결축 25: 고정 수단22: connecting shaft 25: fixing means

30: 고정 본체 35: 동력 전달 수단30: fixed body 35: power transmission means

40: 회동 본체 50: 와이퍼암40: rotation body 50: wiper arm

51: 파이프형 막대 52: 삽입 막대51: pipe rod 52: insertion bar

53: 수용홈 55,56: 와이퍼 블레이드53: receiving groove 55,56: wiper blade

60: 전력 전달 수단60: power transmission means

본 고안은 승용차의 차량 부속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운행중에 비가 내리는 등의 경우 차량 사이드 도어에 장착된 측면 유리의 외측면에 맺힌 물기나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한 차량의 사이드 도어용 와이퍼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accessory device for a passenger car, and more particularly, a wiper for a side door of a vehicle for removing moisture or contaminant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glass mounted on the vehicle side door in case of rain or the like during driving. Relates to a device.

운전자의 시야에 의존하여 운행 및 작동을 제어하도록 되어있는 승용차량의 경우, 안전은 물론 운행을 위한 기본적인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시야 확보가 필수적이다.In the case of a passenger vehicle that is configured to control driving and operation depending on the driver's field of view, visibility is essential to satisfy basic conditions for driving as well as safety.

즉, 통상의 승용차의 경우 운전자의 전방, 좌우 측방, 후방에 걸쳐 유리 재질의 투명한 창을 구비함으로써 360°에 걸쳐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데, 우천의 경우 등에는 상기 투명한 유리창의 외측면에 물방울이 맺히는 등의 원인으로 인하여 차량 운행을 위한 시야 확보에 큰 지장을 받게 된다.That is, in the case of a normal passenger car, a transparent window made of a glass material is provided over the driver's front,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rear, so that the driver's field of view can be secured over 360 °. Due to the cause of water droplet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vehicle will be greatly hindered to secure the field of view for driving the vehicle.

따라서, 현재 제조되고 있는 거의 모든 차량이 운전자의 전방 시야 확보를 위한 전방 유리용 와이퍼를 장착한 상태로 제공되므로, 비나 눈이 내리는 등의 경우에는 상기 전방 유리용 와이퍼를 작동시킴으로써 운전자 전방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Therefore, almost all vehicles currently manufactured are provided with a windshield wiper for securing the driver's front view, so in the case of rain or snow, the windshield wiper is operated to operate the windshield. It is configured to be secured.

한편, 도로상에서 운행 중 차선 변경을 하는 등의 경우 시야가 가장 먼저 확보되어야 하는 방향은 차량의 측후방으로서, 이러한 방향은, 통상 도어 미러라고도 불리며, 차량 외측면에 설치되는 사이드 미러에 의해 확인되도록 구성되는데, 유사한 용도로 과거에 사용되던 차량 앞쪽의 펜더 부분에 설치하는 펜더 미러와는 달리, 사이드 미러는 차량의 사이드 도어에 설치된 측방 유리창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changing lanes while driving on the road,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eld of view should be secured first is the rear and rear of the vehicle. Such a direction is generally called a door mirror and is confirmed by a side mirror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vehicle. Unlike the fender mirror, which is installed in the front part of the vehicle, which is used in the past for a similar purpose, the side mirror is installed at a position that can be seen through the side glass window installed in the side door of the vehicle.

따라서, 측방 유리창, 특히 사이드 미러 확인을 위한 측방 유리창의 일정 부분은 항상 깨끗하고 투명하게 유지되어야함에도 불구하고, 우천 등의 경우에 측방 유리창의 물방울이나 오염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차량의 측후방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적절한 수단이 제공되어 오고 있지 않으며, 이로 인해 안전 운행이 큰 위협을 받고 있는 현실이다.Therefore, although a certain part of the side glass windows, especially the side glass windows for checking the side mirrors, should always be kept clean and transparent, in the case of rainy weather, the side and rear view of the vehicle is secured by removing water droplets or contaminants on the side glass windows. The proper means for doing so have not been provided, and the safety operation is a serious threat.

이를 위하여 특수 성분으로 구성된 유리면 코팅제 등을 이용하여 물방울이 유리 표면에 맺히지 않고 흘러내리게 하는 등의 방법이 제안되기도 하였으나, 코팅제 등의 경우 일정 시간이 지나면 그 성분이 제거되어 그 효과가 금새 미약해져 버리는 단점이 있었으며, 그 밖의 방법으로 표면을 아무리 특수 가공 처리하더라도 차량을 사용함에 따라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미세한 흠집 들은 이러한 가공을 무용하게 만들어 버리는 경우 역시 허다하였다.To this end, a method of using a glass surface coating agent composed of a special component to flow down the glass surface without condensation has been proposed.However, in the case of the coating agent, the component is removed after a certain time and its effect is weakened. No matter how special the surface was treated by other methods, the minute scratches naturally occurring with the use of the vehicle also made such processing useless.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 의 사이드 도어에 장착된 측방 유리창에 흡착된 물방울, 오염물질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반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특수 구조를 갖춘 차량의 사이드 도어용 와이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vised to overcom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can effectively remove water droplets, contaminants, etc. adsorbed on the side glass window mounted on the side door of the vehicle, and also have a special structure that can be used semi-permanent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per device for a side door of a vehicle.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기존의 차량에 범용적으로 부착이 용이한 차량의 사이드 도어용 와이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per device for a side door of a vehicle that can be easily attached to an existing vehicle in general.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와이퍼 블레이드가 차량의 유리면에 밀착되도록 보다 정밀하게 장착할 수 있는 사이드 도어용 와이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per device for a side door that can be more precisely mounted so that the wiper blades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glass surface of the vehicle.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필요에 따라 유리면의 닦여지는 범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사이드 도어용 와이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per device for a side door that can arbitrarily adjust the wiping range of the glass surface as neede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사이드 도어용 와이퍼 장치는, 승용차 측면 도어의 유리창틀 외측 하부 가장자리면에 부착되는 접착면을 구비한 고정 보드와, 상기 고정 보드의 상기 접착면의 반대면에 일단부가 고정 결합된 관절 연결부와, 내부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을 구비하여 상기 하우징 외측면 일 지점에 상기 관절 연결부의 타 단부가 고정 결합되며, 일정 각도 구간에서의 왕복 회동력을 발생시키는 전동 모터부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고정 본체와, 상기 고정 본체에 대해 일정 각도 구간에서 왕복 회동 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 본체의 상기 전동 모터부로부터 연장된 동력 전달 수단에 연결된 회동 본체 및, 긴 막대 형태로 형성되어, 길이 방향을 따라 측면부로부터 돌설된 와이퍼 블레이드를 구비하며, 일 단부가 상기 회동 본체의 측면상에 고정 결합된 와이퍼암을 포함하여 구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wiper device for a side door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ixing board having an adhesive surface attached to the outer lower edge surface of the window frame of the passenger car side door, and the adhesive surface of the fixing board One end portion is fixedly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joint and the inner space is provided with a housing formed with the other end of the joint portion is fixedly coupled to one point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generating a reciprocating rotational force in a certain angle section A fixed body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a rotating body connected to a power transmission means extending from the electric motor part of the fixed body so that the fixed body can be reciprocated in a predetermined angle section with respect to the fixed body, and a long rod form And a wiper blade protruding from the side por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one end of And a wiper arm fixedly coupled to the side of the pivot body.

더욱이, 상기 고정 보드는, 금, 은, 구리 등 고연성의 금속, 고분자 합성수지 등 가요성이 우수한 소재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m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xing board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excellent flexibility, such as high ductility metals such as gold, silver, and copper, and polymer synthetic resin.

이때, 상기 고정 보드에는, 상기 접착면 또는 반대면 상에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직선형 절곡홈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or more straight bent grooves are formed in the fixing board, arranged side by side on the adhesive surface or the opposite surface.

더욱이, 상기 관절 연결부는, 구(球)형체를 내부에 수용하는 볼케이스 및 상기 볼케이스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개구부가 형성된 두 개의 부시와, 양 단부에 형성된 구(球)형 접속구가 상기 볼케이스 내에 삽입된 형태로 양 단부가 상기 두 개의 부시와 각각 접속된 연결축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joint connection portion, the ball case for receiving a sphere (sphere) inside, and the two bushes formed with an opening for communicating the ball case and the outside, and the spherical connector formed at both ends of the ball case It is preferable that both ends are configured to include connecting shaft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two bushes in the form inserted therein.

이때, 상기 부시에는, 상기 볼케이스 내에 위치한 상기 연결축의 구(球)형 접속구의 움직임을 고정, 해제하기 위한 고정 수단이 장착된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bush is equipped with fixing means for fixing and releasing the movement of the spherical connector of the connection shaft located in the ball case.

더욱이, 상기 와이퍼암은, 길이의 신장, 축소가 가능한 모노폴 안테나의 구조와 유사하게, 직경이 큰 파이프의 내주에 직경이 작은 막대가 삽입된 구조로, 파이프형 막대를 포함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막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wiper arm has a structure in which a small diameter rod is inserted into an inner circumference of a large diameter pipe, similar to the structure of a monopole antenna capable of extending and contracting a length. It is preferable to comprise.

이때, 상기 와이퍼암은, 직경이 큰 하나의 파이프형 막대와, 상기 파이프형 막대의 내주에 삽입될 수 있는 형태의 외주를 구비한 삽입 막대의 두 개의 막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한편, 상기 삽입 막대의 외주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측면부로부터 1겹의 와이퍼 블레이드가 돌설되며, 상기 파이프형 막대는, 상기 삽입 막대가 상기 파이프형 막대의 내주에 완전 삽입된 경우 상기 삽입 막대의 와이퍼 블레 이드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파이프형 막대의 내, 외주면을 관통하는, 길이 방향에 나란하게 형성된 수용홈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수용홈의 양측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각각 나란하게 돌설된 2겹의 와이퍼 블레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wiper arm includes two rods of one pipe-shaped rod having a large diameter and an insertion rod having an outer circumference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pipe-shaped rod, while the insertion ro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one-piece wiper blade protrudes from the side along its longitudinal direction, the pipe rod receiving the wiper blade of the insertion rod when the insertion rod is fully inserted into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pipe rod. To include a receiving groove formed in paralle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penetrating the inn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shaped rod, and at the same time includes a two-ply wiper blades protruding side by side adjacent to both edges of the receiving groove It is preferred to be configured.

이하, 상술한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사이드 도어용 와이퍼 장치의 구성을,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wiper device for a side door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hown.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사이드 도어용 와이퍼 장치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iper device for a side door of a vehic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상기 구성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의 와이퍼 장치는, 차량 사이드 도어의 측방 유리창틀 외측 하부 가장자리면에 부착되어 장치를 지지하는 고정 보드(10), 상기 고정 보드(10)에 관절 연결부(20)를 경유하여 연결되는 고정 본체(30), 상기 고정 본체(3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동 본체(40) 및 상기 회동 본체(40)로부터 연장된 형태로 설치되는, 와이퍼 블레이드(55,56)를 구비한 와이퍼암(50)으로 구성된다.As shown, the wiper device as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ed board 10, the fixed board 10, which is attached to the outer lower edge surface of the side windowpane of the vehicle side door to support the device, A wiper blade installed in a form extending from the fixed body 30 connected to the joint connecting portion 20, the rotating body 40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xed body 30, and the rotating body 40. It consists of the wiper arm 50 provided with 55,56.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 보드(10)는 차량 본체에 부착되어 와이퍼 장치 전체를 고정, 지지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차량면에 부착되는 접착면을 구비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와이퍼 장치는 기존의 다양한 형태의 차량에도 범용적으로 부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특수한 재질 또는 형태로 형성된 고정 보드(1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3을 통하여 후에 상술한다.As described above, the fixing board 10 is attached to the vehicle body to fix and support the entire wiper device, and has an adhesive surface attached to the vehicle surface. On the other hand, the wip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fixed board 10 formed of a special material or shape in order to be universally attached to the existing various types of vehicles, mor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Through 3 will be described later.

측방 유리창면에 밀착되는 와이퍼암(50)이 유리창 표면에 맺힌 물방울이나 흡착된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와이퍼암(50) 및 와이퍼암(50)이 결합된 회동 본체(40)가 일정 각도 구간에서 회동 될 수 있어야 하는데, 이는 고정 본체(30)와의 연결에 의해 구현된다.In order to remove the water droplets and the adsorbed contaminants formed on the glass window surface, the wiper arm 50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window surface, the rotating body 40 is coupled to the wiper arm 50 and the wiper arm 50 It should be able to rotate in a certain angle section, which is implemented by the connection with the fixed body (30).

고정 본체(30)는, 내부 공간에 일정한 구조를 갖추기 위한 하우징을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 내부에, 와이퍼암(50) 및 와이퍼암(50)이 고정되는 회동 본체(40)의 회동 운동의 동력원이 되는 전동 모터부가 장착된다.The fixed main body 30 has a housing for having a predetermined structure in the inner space, and a power source for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rotational main body 40 to which the wiper arm 50 and the wiper arm 50 are fixed is provided inside the housing. The electric motor unit is mounted.

전동 모터부는, 와이퍼암(50)이 일정 각도 구간 내에서 왕복 회동을 반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캠 장치나 기어 등의 조합을 이용한 기계적 구성에 의해 왕복 회동력을 발생시키는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장치의 부피를 줄이고 효율적인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값에 의해 일정 각도 구간 만을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알고리즘, 회로 등과 결합된 형태의 동력 발생 장치인 서보모터(SERVOMOTOR)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enable the wiper arm 50 to repeat the reciprocating rotation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section, the electric motor unit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a reciprocating rotational force by a mechanical configuration using a combination of a cam device or a gear. In order to reduce the volume of the device and enable efficient operation, it is preferable to use a servo motor (SERVOMOTOR), which is a power generating device combined with an algorithm, a circuit, and the like, capable of rotating only a predetermined angle section by a preset value.

이러한 서보모터 등으로 구성된 전동 모터부는 그 작동을 위해 전력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와이퍼 장치는, 도 1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 전달 수단(60)을 통해 외부의 전력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고정 본체(30)의 하우징 내에 배터리 등의 휴대용 전원이 장착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electric motor unit composed of such a servo motor needs to be supplied with electric power from a power source for its operation. For this purpose, the wip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is provided through a power transmission means 60. It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power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or may be configured in a structure in which a portable power source such as a battery may be mounted in a housing of the fixed body 30.

전자의 경우, 플렉서블한 소재로 이루어진 전선 등의 전력 전달 수단의 단부 가 차량 내의 시거잭 등에 연결되도록 하는 한편, 전선상의 일 지점에 on/off 스위치 등을 설치함으로써 차량 내부에서 운전자가 자유롭게 본 고안에 따른 와이퍼 장치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후자의 경우, 리모트 콘트롤 스위치 등을 별도로 구성함으로써 차 내에서 와이퍼 장치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In the former case, an end of a power transmission means such as a wir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is connected to a cigar jack in a vehicle, and an on / off switch or the like is installed at a point on the wire to allow a driver to freely move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wiper device, and in the latter case, it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wiper device in the car by separately configuring a remote control switch or the like.

도 2는 고정 본체(30)와 회동 본체(40)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로서, 전술한 전동 모터부로부터 연장된 동력 전달 수단(35)이 회동 본체(40)에 회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삽입, 연결됨으로써, 회동 본체(40) 및 와이퍼암(50)이 고정 본체(3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조의 일례를 도시한다.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fixed body 30 and the rotating body 40, and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35 extending from the electric motor unit described above may transmit the rotating force to the rotating body 40. An example of a structure in which the pivoting body 40 and the wiper arm 50 are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xed body 30 by being inserted and connected so as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is shown.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장치 중 고정 보드(10)의 측단면도이다.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xing board 10 of the wiper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와이퍼 장치는 기존의 다양한 형태의 차량에도 범용적으로 부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을 갖추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하여서는, 다양한 형태의 곡면을 가진 차량 사이드 도어의 유리창틀 외측 하부 가장자리 면에 접착면이 밀착될 수 있도록, 고정 보드(10)를 금, 은, 구리, 알루미늄 합금 등 고연성의 금속이나 고분자 합성 수지 등 가요성이 우수한 소재로 제조하거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보드(10)의 상면이나 하면에 일정 간격의 절곡홈(15)을 형성함으로써, 고정 보드(10) 차량의 굴곡면에 따라 자연스럽게 휘어 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mentioned above, the wip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equipped with a configuration to be universally attached to the existing various types of vehicles, for this purpose, the vehicle side door having a curved surface of various forms The fixing board 10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excellent flexibility, such as high ductility metals such as gold, silver, copper, aluminum alloys, or polymer synthetic resin, so that the adhesive surface may be closely attached to the outer edge of the window frame, or FIG. 3. As shown in, by forming the bent groove 15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fixed board 10, it is preferable that the fixed board 10 is configured to be able to bend naturally close to the curved surface of the vehicle. .

한편, 고정 보드(10)의 접착면에는, 접착제, 접착 테이프 등 접착을 위한 종 래의 다양한 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conventional adhesive means such as adhesive, adhesive tape, etc. may be applied to the adhesive surface of the fixing board 10.

기존의 다양한 형태의 차량에 장착되도록 구성되는 특성상, 본 고안에 따른 와이퍼 장치는 와이퍼 암(50) 등을 측방 유리창 면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갖추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고정 본체(30)와 고정 보드(10)를 연결시키는 관절 연결부(20)에 의해 실현된다.Due to the nature of being configured to be mounted on a variety of existing vehicles, it is preferable that the wip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that allows the wiper arm 50 and the like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glass window surface, which is fixed to the body 30. It is realized by the joint connection part 20 which connects the stationary board 10.

도 1에 나타난 관절 연결부(20)에 대한 부분 확대도인 도 4에는 관절 연결부(20)의 바람직한 구성이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다.In FIG. 4, which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the joint connector 20 shown in FIG. 1, a preferred configuration of the joint connector 20 is illustrated in detail.

기본적으로, 고정 본체(30) 및 이에 연결된 회동 본체(40) 등을 유리창면으로 접근, 밀착시키기 위해서는, 고정 본체(30)와 고정 보드(10)를 연결하는 연결부가 상호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형이어서는 곤란하며, 상호 위치를 일정 범위에서 변동시킬 수 있는 관절부를 포함한 관절 연결부(20)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Basically, in order to access and close the fixed main body 30 and the rotating main body 40 and the like connected to the glass window surface, the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fixed main body 30 and the fixed board 10 fixes a mutual position. Subsequently, it is difficult, and it is preferable that it is comprised by the joint connection part 20 containing the joint part which can fluctuate mutually in a certain range.

즉, 도 4는 이러한 관절 연결부(20)에 대한 구성예로서, 구(球)형 접속구를 양 단부에 구비한 연결축(22)과 상기 연결축(22)의 양 단부가 삽입되는 두개의 부시(21)로 이루어진 관절 연결부(20)를 도시한다.That is, FIG. 4 is a configuration example of the joint connection portion 20, and includes a connecting shaft 22 having spherical connectors at both ends and two bushes at which both ends of the connecting shaft 22 are inserted. An articulation connection 20 consisting of 21 is shown.

두 부시(21)의 내부에는 연결축(22)의 구형 접속구를 수용할 수 있는 형태의 볼케이스가 형성되며, 상기 구형 접속구는 부시(21)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볼케이스 내로 안착됨으로써 연결축(22)과 부시(21)의 접속이 이루어진다.Inside the two bushes 21 is formed a ball case of the shape that can accommodate the spherical connector of the connecting shaft 22, the spherical connector is seated into the ball case through the opening of the bush 21, the connecting shaft ( 22 and the bush 21 are connected.

즉, 양 단부의 부시(21)가 각각 고정 보드(10) 및 고정 본체(30) 하우징의 일면에 고정됨으로써 관절 연결부(20)가 고정 보드(10) 및 고정 본체(30)를 상호 연결하게 되는데, 부시(21)의 볼케이스 내에서 구형 접속구가 자유로이 회전될 수 있으므로, 상기 고정 보드(10)에 대한 고정 본체(30)의 위치 변동 역시 일정 반경 내에서 자유롭게 일어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bush 21 at both ends is fixed to one surface of the housing of the fixed board 10 and the fixed body 30, respectively, so that the joint connecting portion 20 connects the fixed board 10 and the fixed body 30 to each other. Since the spherical connector can be freely rotated in the ball case of the bush 21, the positional change of the fixed body 30 with respect to the fixed board 10 may also occur freely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더욱이, 고정 보드(10) 등에 연결된 와이퍼암(50)의 유리창 면과의 밀착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상술한 형태의 관절 연결부(20)에는 일정 상태에서 부시(21)와 연결축(22)과의 위치를 상호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고정 수단(25)이 더욱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bushing 21 and the connecting shaft 22 in the above-described joint connection portion 20 in a predetermined state to stably maintain the close contact with the window surface of the wiper arm 50 connected to the fixing board 10 or the like.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fixing means 25 to be able to fix the position with).

이러한 고정 수단(25)의 예로서, 도 4에는 부시(21)의 측면부에 형성된 암나사산을 갖춘 관통공을 통하여 수나사 형태의 고정 수단(25)을 나사 연결함으로써, 나사 조임에 의해 부시(21) 내부에 있는 구형 접속구를 압박하여 부시(21)와 구형 접속구의 상대적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구성이 도시된다. 더욱이, 이러한 형태의 고정 수단(25)의 경우 고정 수단(25)의 잠금, 해제가 용이한 구조이므로 필요에 따라 고정 보드(10)와 고정 본체(30) 등과의 위치관계를 자유로이 변동시킬 수 있게된다.As an example of such a fixing means 25, in Fig. 4, the bush 21 is screwed by screwing the male screw-type fixing means 25 through a through hole having a female thread formed in the side portion of the bush 21. A configuration is shown in which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bush 21 and the spherical splices can be fixed by pressing the spherical splices therein. Furthermore, in the case of the fixing means 25 of this type, since the locking and unlocking of the fixing means 25 is easy,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fixing board 10 and the fixing body 30 may be freely changed as necessary. do.

한편, 상기한 형태의 관절 연결부(20)의 경우, 인력을 가하거나 압박을 가함으로써 부시(21)와 구형 접속구의 해제, 접속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이용할 경우 필요에 따라 고정 보드(10) 만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차량으로부터 착탈 가능하도록 본 고안에 따른 와이퍼 장치가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joint connection portion 20 of the above-described type, since the bush 21 and the spherical connector can be configured to enable the release, connection by applying a force or pressure, when using this fixed board as needed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wip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the vehicle except for (10).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장치의 와이퍼암(50)의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iper arm 50 of the wiper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와이퍼암(50)의 측면으로 돌설된 부분이 와이퍼 블레이드(55,56)로서, 유리창 면에 직접 닿아 물방울 등을 닦아내는 부분이므로, 와이퍼 블레이드(55,56)는 탄성이 좋은 천연이나 합성 고무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다.The wiper blades 55 and 56 protrude to the side of the wiper arm 50, and the wiper blades 55 and 56 directly touch the surface of the window to wipe off water droplets. It is preferable that it consists of.

한편, 유리창 면의 닦여지는 범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와이퍼암(50)은 도 1 등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전체 길이를 신장, 축소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be able to arbitrarily adjust the wiping range of the glass window surface, the wiper arm 50 is preferably configured to have a structure that can extend, reduce the entire length as shown in FIG.

즉, 측방 유리창 면은 실질적으로는 차량의 사이드 미러에 대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만큼의 범위만이 닦여져도 충분하기 때문에, 유리창 면 전체를 커버할 정도 길이의 와이퍼암(50)은 불필요하며, 차량에 따른 사이드 미러의 크기, 장착 위치 등의 차이에 따라 닦여지는 면의 범위를 적절히 조절할 필요가 있는 경우,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와이퍼 장치의 와이퍼암(50)의 경우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That is, since the side glass window surface may be cleaned only as much as it can substantially secure the field of view of the side mirror of the vehicle, the wiper arm 50 of the length enough to cover the entire window surface is unnecessary, If it is necessary to properly adjust the range of the surface to be wiped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the size, mounting position, etc. of the side mirror according to the vehicle, for this purpose, the length of the wiper arm 50 of the wip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be adjustable It is desirable to be.

이를 위한 와이퍼암(50)의 구조는 텔레비전 안테나 등으로도 흔히 사용되는 모노폴 안테나의 구조와도 유사하게, 직경이 큰 파이프의 내주에 직경이 작은 막대가 삽입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때에는 두 개 이상의 막대가 포함된 2단 이상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The structure of the wiper arm 50 for this purpose is similar to the structure of the monopole antenna which is also commonly used as a television antenna, it may be made of a structure in which a small diameter rod is inserted into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large diameter pipe, It may be formed of a structure of two or more stages containing more than one bar.

한편, 이와 같은 모노폴 안테나 구조에서도 와이퍼 블레이드(55,56)의 적절한 결합 구조를 확보하기 위한 구성이 도 5에 도시되어 있다.Meanwhile, even in such a monopole antenna structure, a configuration for securing an appropriate coupling structure of the wiper blades 55 and 56 is illustrated in FIG. 5.

즉, 직경이 큰 파이프형 막대(51)의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 막대(52)는, 그 측면으로 돌설된 와이퍼 블레이드(55)를 구비하는데, 삽입 막대(52)가 파이프형 막 대(51)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는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55)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53)이 파이프형 막대(51)의 측면에서 내, 외측면을 관통하여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야 한다.That is, the insertion rod 52 inserted into the large diameter pipe-like rod 51 has a wiper blade 55 protruding to the side thereof, and the insertion rod 52 has a pipe-like rod 51. When fully inserted into the inside, the receiving groove 53 for accommodating the wiper blade 55 should b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rough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at the side of the pipe-shaped rod 51 as shown.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도시된 바대로 수용홈(53) 양 가장자리의 사이에 삽입 막대(52)의 와이퍼 블레이드(55)가 개재된 형태가 되는데, 이에 더하여, 파이프형 막대(51)의 외측면에는 상기 삽입 막대(52)의 와이퍼 블레이드(55)와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된 와이퍼 블레이드(56)가 수용홈(53) 가장자리에 인접하도록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rough this configuration, the wiper blade 55 of the insertion rod 52 is interposed between the edges of the receiving groove 53 as shown, in addition, the outer surface of the pipe-shaped rod 51 The wiper blade 56 protruding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wiper blade 55 of the insertion rod 52 is preferably mounted adjacent to the edge of the receiving groove (53).

상기한 구성에 의해, 본 고안에 따른 와이퍼 장치의 와이퍼암(50)은, 유리창 면의 닦여지는 범위의 선택을 위한 길이 조절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면서도 전체 길이에 걸쳐 와이퍼 블레이드(55,56)가 효과적으로 유리창 면을 닦아낼 수 있도록 구성된다.By the above configuration, the wiper arm 50 of the wip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o that the length adjustment for the selection of the wiping range of the window surface is freely made, the wiper blades 55 and 56 over the entire length. It is configured to effectively wipe the window surface.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면에 의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도시되고 설명 된 실시예에 의한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illustrated and described embodiment. Rather,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all such suitable change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should be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사이드 도어용 와이퍼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By the above configuration, the wiper device for the side door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유리창 면에 코팅제 등을 적용하는 종래의 경우와는 달리, 본 고안에 따른 와이퍼 장치에 의해 유리창 외측면에 맺힌 물방울이나 흡착된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반 영구적인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First, unlike the conventional case of applying a coating or the like to the window surfac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emi-permanent means for removing water droplets or adsorbed contaminant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window by the wip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둘째, 기존의 차량에 범용적으로 장착 가능한 구조이므로, 복잡한 설치 작업 없이 손쉽게 장착이 가능하다.Second, since the structure can be universally mounted on an existing vehicle, it can be easily installed without complicated installation work.

셋째, 차량의 유리창 면에 밀착,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므로 보다 효과적힌 물방울, 오염물질의 제거가 가능하다.Third, since it has a structure that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fixed to the window surface of the vehicle it is possible to remove water droplets, pollutants more effective.

넷째, 접속, 해제가 용이한 구조로 관절 연결부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필요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장치를 차량으로부터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다.Fourth, since it is possible to configure the joint connection in a structure that is easy to connect, release, it is possible to easily detach th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vehicle, if necessary.

다섯째, 와이퍼암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차량의 구조적 차이나 운전자의 선호 등에 따라 유리면의 닦여지는 범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Fifth, since it is possible to configure a structure that can adjust the length of the wiper arm, it is possible to arbitrarily adjust the wiping range of the glass surface according to the structural difference of the vehicle or the preference of the driver.

Claims (7)

승용차 측면 도어의 유리창틀 외측 하부 가장자리면에 부착되는 접착면을 구비한 고정 보드(10)와;A fixed board (10) having an adhesive surface attached to an outer lower edge of the window frame of the passenger car side door; 상기 고정 보드(10)의 상기 접착면의 반대면에 일단부가 고정 결합된 관절 연결부(20)와;A joint connection part 20 having one end fixedly coupled to an opposite surface of the adhesive surface of the fixing board 10; 내부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을 구비하여 상기 하우징 외측면 일 지점에 상기 관절 연결부(20)의 타 단부가 고정 결합되며, 일정 각도 구간에서의 왕복 회동력을 발생시키는 전동 모터부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고정 본체(30)와;The other end of the joint connection portion 20 is fixedly coupled to one poin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with a housing having an inner space, and an electric motor unit for generating a reciprocating rotational force in a predetermined angle section is provided in the housing. 30; 상기 고정 본체(30)에 대해 일정 각도 구간에서 왕복 회동 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 본체(30)의 상기 전동 모터부로부터 연장된 동력 전달 수단(35)에 연결된 회동 본체 및;A rotation main body connected to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35 extending from the electric motor part of the fixed main body 30 so as to be reciprocated in a predetermined angle section with respect to the fixed main body 30; 긴 막대 형태로 형성되어, 길이 방향을 따라 측면부로부터 돌설된 와이퍼 블레이드(55,56)를 구비하며, 일 단부가 상기 회동 본체의 측면상에 고정 결합된 와이퍼암(5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사이드 도어용 와이퍼 장치.And a wiper blade (55, 56) protruding from the side por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ing one end fixedly coupled to the side of the pivot body (50). A wiper device for a side door of a vehic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보드(10)는, 금, 은, 구리 등 고연성의 금속, 고분자 합성수지 등 가요성이 우수한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사이드 도어용 와이퍼 장치.2. The vehicle side door wiper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xing board (10)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excellent flexibility, such as high ductility metals such as gold, silver, and copper, and polymer synthetic resin.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보드(10)에는, 상기 접착면 또는 반대면 상에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직선형 절곡홈(1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사이드 도어용 와이퍼 장치.The vehicle according to claim 1 or 2,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board (10) is formed with at least one straight bent groove (15) arranged side by side on the adhesive or opposite surface. Wiper device for the side do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 연결부(20)는, 구(球)형체를 내부에 수용하는 볼케이스 및 상기 볼케이스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개구부가 형성된 두 개의 부시(21)와, 양 단부에 형성된 구(球)형 접속구가 상기 볼케이스 내에 삽입된 형태로 양 단부가 상기 두 개의 부시(21)와 각각 접속된 연결축(22)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사이드 도어용 와이퍼 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joint connection portion 20 is formed in both ends and two bushes 21 formed with a ball case for accommodating a spherical body therein and an opening for communicating the ball case and the outside; A wiper device for a side door of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a spherical connector is inserted into the ball case and includes connecting shafts 22 connected at both ends to the two bushes 21, respectively.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부시(21)에는, 상기 볼케이스 내에 위치한 상기 연결축의 구(球)형 접속구의 움직임을 고정, 해제하기 위한 고정 수단(25)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사이드 도어용 와이퍼 장치.5. The vehicle according to claim 4, characterized in that the bush (21) is equipped with fixing means (25) for fixing and releasing the movement of the spherical connector of the connecting shaft located in the ball case. Wiper device for side do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암(50)은, 길이의 신장, 축소가 가능한 모노폴 안테나의 구조와 유사하게, 직경이 큰 파이프의 내주에 직경이 작은 막대가 삽입된 구조로, 파이프형 막대를 포함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막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사이드 도어용 와이퍼 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wiper arm 50 is similar to the structure of the monopole antenna that can be extended, reduced in length, a small rod is inserted into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large diameter pipe, the pipe rod A wiper device for a side door of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two rods including.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암(50)은, 직경이 큰 하나의 파이프형 막대(51)와, 상기 파이프형 막대(51)의 내주에 삽입될 수 있는 형태의 외주를 구비한 삽입 막대(52)의 두 개의 막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한편,The wiper arm (50)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wiper arm (50) includes an insertion rod having one pipe-shaped rod (51) having a large diameter and an outer circumference of a shape that can be inserted into an inner circumference of the pipe-shaped rod (51). 52, comprising two bars, 상기 삽입 막대(52)의 외주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측면부로부터 1겹의 와이퍼 블레이드(55)가 돌설되며,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insertion rod 52, one wiper blade 55 protrudes from the side portion along its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파이프형 막대(51)는, 상기 삽입 막대(52)가 상기 파이프형 막대(51)의 내주에 완전 삽입된 경우 상기 삽입 막대(52)의 와이퍼 블레이드(55)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파이프형 막대(51)의 내, 외주면을 관통하는, 길이 방향에 나란하게 형성된 수용홈(53)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수용홈(53)의 양측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각각 나란하게 돌설된 2겹의 와이퍼 블레이드(56)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사이드 도어용 와이퍼 장치.The pipe rod 51 is adapted to receive the wiper blade 55 of the insertion rod 52 when the insertion rod 52 is fully inserted into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pipe rod 51. Two-layered wiper blades having accommodation grooves 53 formed in paralle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penetrating the inner an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51 and protruding side by side adjacent to both edges of the accommodation groove 53, respectively. A wiper device for a side door of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56).
KR2020060018622U 2006-07-10 2006-07-10 A windshield wiper device for a side door of motor vehicles KR200427110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8622U KR200427110Y1 (en) 2006-07-10 2006-07-10 A windshield wiper device for a side door of motor vehic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8622U KR200427110Y1 (en) 2006-07-10 2006-07-10 A windshield wiper device for a side door of motor vehicl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7110Y1 true KR200427110Y1 (en) 2006-09-22

Family

ID=41775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8622U KR200427110Y1 (en) 2006-07-10 2006-07-10 A windshield wiper device for a side door of motor vehicl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7110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17923B (en) Windscreen wiper device
KR101254582B1 (en) Wiper device
CN101624042B (en) A windscreen wiper device
US20080263805A1 (en) Camper shell windshield wiper unit
US9090231B2 (en) Wiper blade apparatus including fool-proof assembly structure
CN109415035A (en) Windshield wiper device
US20070220696A1 (en) Wiper for an automobile rear-view mirror
KR200427110Y1 (en) A windshield wiper device for a side door of motor vehicles
CN213831515U (en) Improved windscreen wiper for rearview mirror and rearview mirror
EP1839974A2 (en) Automobile side window wiper
CN108437935B (en) Drive device for driving a wiper arm, in particular a panoramic windscreen, in rotation
US5673456A (en) Windscreen wiper device for a motor vehicle provided with a covering shroud
WO2001005634A3 (en) Device for mounting a windshield wiper on a vehicle body
CN213502204U (en) A wiper device for rear-view mirror
US11628808B1 (en) Wiper arm head dual knuckle
CN1951738B (en) A wiper apparatus with sub-wiper blade of vehicle
CN214822925U (en) Automobile front door rearview mirror bracket
KR100397002B1 (en) Wiper arm for an automobile
KR101494536B1 (en) Wiper device
US20180297528A1 (en) Side view mirror wiper system
CN107415897B (en) Adapter for connecting a windscreen wiper unit to an actuating arm
KR100974702B1 (en) Automobile Wiper Blade Apparatus
KR0115716Y1 (en) A pivot cap structure of wiper arm for vehicle
CN115195596A (en) Outside rear-view mirror and car
KR100293790B1 (en) Wiper blade for use in an automob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