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7074Y1 - 홀소우 - Google Patents

홀소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7074Y1
KR200427074Y1 KR2020060017219U KR20060017219U KR200427074Y1 KR 200427074 Y1 KR200427074 Y1 KR 200427074Y1 KR 2020060017219 U KR2020060017219 U KR 2020060017219U KR 20060017219 U KR20060017219 U KR 20060017219U KR 200427074 Y1 KR200427074 Y1 KR 2004270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ll
saw blade
saw
blade body
fit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72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일
Original Assignee
박찬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찬일 filed Critical 박찬일
Priority to KR20200600172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70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70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707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04Drills for trepan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04Drills for trepanning
    • B23B51/05Drills for trepanning for cutting discs from she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CPLANING, DRILLING, MILLING, TURNING OR UNIVERSAL MACHINE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 B27C3/00Drilling machines or drilling devices; Equipment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Drilling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목재로 이루어진 것에 비교적 직경이 큰 구멍을 뚫는데 사용되는 홀소우(1)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톱날(12)이 형성된 톱날몸체(10)와 드릴(22)이 결합된 드릴끼움몸체(20)로 결합 구성된 공지의 홀소우(1)에 있어서, 중앙 상부로 결합홀(14)이 형성되고 둘레부로 고정홈(16)이 형성되며, 다수의 톱날(12)을 형성한 톱날몸체(10)와, 상기 결합홀(14)에 대응하여 드릴(22)이 끼움 결합되며, 둘레부로 고정봉(26)이 구비된 고정부재(24)가 형성된 드릴끼움몸체(20)로 결합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으로, 톱날몸체(10)와 드릴끼움몸체(20)를 나사결합하고, 톱날몸체(10)의 중앙 상부로 형성된 고정홈(16)으로 드릴끼움몸체(20)의 둘레부로 끼움 형성된 고정봉(26)이 끼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고정홈(16)에 안착 고정되는 고정봉(26)의 끼움에 의해 톱날몸체(10)와 드릴끼움몸체(20)가 일체로 회전하도록 결합된 것으로, 장시간의 드릴작업에 의해서도 드릴끼움몸체(20)에 가해지는 부하가 톱날몸체(10)의 결합홀(14)에 직접적으로 가해지지 않도록 하며, 드릴끼움몸체(20)의 회전시에 발생하는 열이 덜 전달되어 결합홀(14)이 달라 붙는 것을 방지하여 톱날몸체(10)의 교체시에 드릴끼움몸체(20)와 톱날몸체(10)의 풀림 및 착탈 교환을 쉽게 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홀소우{HOLE SAW}
도1은 본 고안의 홀소우를 보인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홀소우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톱날몸체와 드릴끼움몸체를 결합하기 전상태의 A-A선단면도.
도4a는 본 고안의 톱날몸체와 드릴끼움몸체를 결합한 상태의 B-B선 단면도.
도4b는 본 고안의 톱날몸체에 형성된 고정홈에 드릴끼움몸체에 구비된 고정봉을 끼움시켜 고정한 상태의 B-B선 단면도.
도5는 종래의 홀소우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6은 종래의 홀소우의 톱날몸체와 드릴끼움몸체를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홀소우 10 톱날몸체
12 톱날 14 결합홀
16 고정홈 20 드릴끼움몸체
20a 걸림홈륜 20b 수직면
21 나사결합부 22 드릴
24 고정부재 25a 멈춤볼
25b 스프링 25c 볼트
26 고정봉 27 고정볼트
본 고안은 목재로 이루어진 것에 비교적 직경이 큰 구멍을 뚫는데 사용되는 홀소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톱날이 형성된 톱날몸체와 드릴이 결합된 드릴끼움몸체로 결합 구성된 공지의 홀소우에 있어서, 중앙 상부로 결합홀이 형성되고 둘레부로 고정홈이 형성되며, 다수의 톱날을 형성한 톱날몸체와, 상기 결합홀에 대응하여 드릴이 끼움 결합되며, 둘레부로 고정봉이 구비된 고정부재가 형성된 드릴끼움몸체로 결합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으로, 톱날몸체와 드릴끼움몸체를 나사결합하고, 톱날몸체의 중앙 상부로 형성된 고정홈으로 드릴끼움몸체의 둘레부로 끼움 형성된 고정봉이 끼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고정홈에 안착 고정되는 고정봉의 끼움에 의해 톱날몸체와 드릴끼움몸체가 일체로 회전하도록 결합된 것으로, 장시간의 드릴작업에 의해서도 드릴끼움몸체에 가해지는 부하가 톱날몸체의 결합홀에 직접적으로 가해지지 않도록 하며, 드릴끼움몸체의 회전시에 발생하는 열이 덜 전달되어 결합홀이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여 톱날몸체의 교체시에 드릴끼움몸체와 톱날몸체의 풀림 및 착탈 교환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홀소우는 도4 및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수의 톱날(112)을 형성한 톱날몸체(110)의 중앙 상부로 형성된 결합홀(114)에 대응하여 드릴(122)이 끼움 결합된 드릴끼움몸체(120)를 나사결합시켜 구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홀소우(101)는 톱날몸체(110)와 드릴끼움몸 체(120)를 각각 별도로 착탈 결합이 가능하도록 형성하여 사용시에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드릴(122)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쉽게 훼손되거나 닳게 되는 톱날(112)을 교체 사용이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톱날몸체(110)와 드릴끼움몸체(120)가 착탈 결합되어 사용되는 종래의 홀소우(101)는 톱날몸체(110)와 드릴끼움몸체(120)가 일체로 나사결합된 상태로 회전하는 것으로, 드릴(122)이 끼움 고정된 드릴끼움몸체(120)가 회전함에 따라 톱날몸체(110)의 결합홀(114) 부위에 부하가 많이 가해져 열이 발생하게 되어 결합홀(114) 부위가 달라붙게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다.
이와 같이 결합홀(114) 부위가 달라붙게 되면 톱날(112)이 닳거나 파손되어 교체하여야 할 경우에 쉽게 풀리지 않아 드릴끼움몸체(120)가 결합된 상태로 버려야 하는 비경제적인 결점이 있었다.
만일, 톱날몸체(110)와 드릴끼움몸체(120)을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별도의 도구나 장비를 이용하여 강제적으로 풀어 분리 교환을 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음은 물론, 분리된 후에 새로운 톱날몸체(110)를 결합하려 해도 드릴끼움몸체(120)의 나사결합부(121)가 열에 의해 나사산이 훼손되어 제대로 나사결합이 되지 못하고 불안전하게 결합되어 사용중에 안전하지 못한 결점이 있었던 것이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고자 한 것으로, 톱날몸체의 중앙 상부로 고정홈을 형성하여 상기 고정홈으로 드릴끼움몸체의 둘레부로 끼움 형성된 고정 봉(26)이 끼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고정홈에 안착 고정되는 고정봉에 의해 드릴끼움몸체와 톱날몸체가 일체화로 회전함은 물론 장시간의 드릴작업에 의해서도 톱날몸체와 드릴끼움몸체가 결합되는 결합홀 부위가 열에 의하여 일체로 달라 붙지 않아 톱날몸체의 착탈 교환이 용이한 홀소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홀소우를 보인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홀소우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3은 고안의 톱날몸체와 드릴끼움몸체를 결합하기 전상태의 A-A선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다수의 톱날(12)이 형성된 톱날몸체(10)와 드릴(22)이 결합된 드릴끼움몸체(20)로 결합 구성된 공지의 홀소우(1)에 있어서,
중앙 상부로 결합홀(14)이 형성되고 둘레부로 고정홈(16)이 형성되며, 다수의 톱날(12)을 형성한 톱날몸체(10)와, 상기 결합홀(14)에 대응하여 드릴(22)이 끼움 결합되며, 둘레부로 고정봉(26)이 구비된 고정부재(24)가 형성된 드릴끼움몸체(20)로 결합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결합 구성된 고안의 홀소우(1)는 도1 및 도4a 내지 도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톱날몸체(10)와 드릴끼움몸체(20)를 나사결합하고, 톱날몸체(10)의 중앙 상부로 형성된 고정홈(16)으로 드릴끼움몸체(20)의 둘레부로 끼움 형성된 고정봉(26)이 끼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고정홈(16)에 안착 고정되는 고정봉(26)에 의해 드릴끼움몸체(20)와 톱날몸체(10)가 일체화로 회전함은 물론 장시간 의 드릴작업에 의해서도 톱날몸체(10)와 드릴끼움몸체(20)가 결합되는 결합홀(14) 부위가 열에 의하여 일체로 달라 붙지 않아 톱날몸체(10)의 착탈 교환이 용이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 내지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톱날몸체(10)와 드릴끼움몸체(20)가 나사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톱날몸체(10)는 중앙 상부로 나사부가 형성된 결합홀(14)이 형성되며, 둘레부의 양측으로는 고정홈(16)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톱날몸체(10)의 중앙 상부로 형성된 결합홀(14)로 드릴(22)이 결합된 드릴끼움몸체(20)가 끼움되어 나사 결합된다.
상기의 나사 결합되는 드릴끼움몸체(20)는 하부로 드릴(22)이 끼움되어 상기 드릴끼움몸체(20)의 둘레부 일측으로 끼움되는 고정볼트(27)로서 일체화로 고정된다,
또한, 상기의 드릴끼움몸체(20)의 하부에는 나사결합부(21)와 걸림홈륜(20a)이 형성되며, 둘레부 양측으로는 수직면(20b)이 형성되어 상기 수직면(20b)으로 고정봉(26)이 형성된 고정부재(24)가 끼움 결합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끼움 결합된 고정부재(24)의 일측 둘레부로는 멈춤볼(25a)과 스프링(25b)이 삽입되어 볼트(25c)로 나사결합된 것으로, 상기의 멈춤볼(25a)은 고정부재(24)가 수직면(20b)을 따라 하부로 슬라이딩 이동할 때, 걸림홈륜(20a)에 걸림되어 상기 고정부재(24)가 상,하 이동되지 않도록 일시적으로 고정 시키며, 고정부재(24)를 잡고 상부 방향으로 강제적인 힘을 가하게 되면, 멈춤볼(25a)은 걸림홈륜(20a)부에 형성된 경사면을 타고 걸림홈륜(20a)으로부터 이탈되어 고정부재(24)의 일시적인 고정을 해제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드릴끼움몸체(20)의 둘레부로 고정부재(24)가 끼움 결합된 상태로 하여 상기 톱날몸체(10)의 중앙 상부로 형성된 결합홀(14)로 드릴끼움몸체(20)가 나사 결합됨으로써 일체화로 고정되어 홀소우(1)가 구성된다.
이와 같이 일체화로 결합 구성된 홀소우(1)는 톱날몸체(10)에 드릴끼움몸체(20)의 결합시에 도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드릴끼움몸체(20)의 둘레부로 끼움 결합된 고정부재(24)를 수직면(20b)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드릴(22)이 끼움 고정된 드릴끼움몸체(20)의 나사결합부(21)를 톱날몸체(10)의 중앙 상부로 형성된 결합홀(14)의 내측으로 나사 결합시키되, 강제적으로 완전히 나사 결합할 필요없이 약간의 헐거운 상태로 나사결합시킨다.
상기와 같이 약간 헐겁게 결합한 상태에서 도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드릴끼움몸체(20)의 둘레부로 끼움 형성된 고정부재(24)를 하방으로 밀어줌으로써, 톱날몸체(10)의 고정홈(16)에 고정봉(26)이 안착 고정되며, 상기의 고정부재(24)의 일측 둘레부로 삽입 형성된 멈춤볼(25a)이 걸림홈륜(20a)에 걸림된 상태로 일시적인 고정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봉(26)의 끼움에 의해 톱날몸체(10)와 드릴끼움몸체(20)가 일체로 회전하도록 결합된 것으로, 장시간의 드릴작업에 의해서도 드릴끼움몸체(20)에 가해지는 회전력이나 부하가 톱날몸체(10)의 결합홀(14)에 직접적으로 가 해지지 않도록 하며, 드릴끼움몸체(20)의 회전시에 발생하는 열이 덜 전달되어 결합홀(14)가 달라 붙는 것을 방지하여 톱날몸체(10)의 교체시에 드릴끼움몸체(20)와 톱날몸체(10)의 풀림 및 착탈 교환이 쉽게 이루어 지도록 한 것이다.
한편, 상기의 톱날몸체(10)의 하부로 형성된 다수의 톱날(12)은 상기 톱날(12)을 형성하는 경사면이 톱날몸체(10)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하여 내측방향, 외측방향, 원주방향의 순서가 되도록 순차적으로 배열한 것으로, 드릴작업시에 톱날몸체(10)가 회전하면서 톱날(12)의 두께로 원을 그리며 절삭되는 피가공물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된 톱날(12)이 각기 다른 역할 즉, 경사면이 내측방향으로 형성된 톱날(12)은 원형으로 절삭되는 절삭홈부의 외측부를 절삭하면서 회전을 하게 되며, 외측방향으로 형성된 톱날(12)은 원형으로 절삭되는 절삭홈부의 내측부를 절삭하면서 회전을 하게 되며,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톱날(12)은 원형으로 절삭되는 절삭홈부의 중간부를 절삭하면서 회전을 하게 되는 것으로 각각의 톱날(12)에 가해지는 부하가 적게 걸리게 되어 절삭작업을 쉽고 능률적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톱날몸체와 드릴끼움몸체를 나사결합하고, 톱날몸체의 중앙 상부로 형성된 고정홈으로 드릴끼움몸체의 둘레부로 끼움 형성된 고정봉이 끼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고정홈에 안착 고정되는 고정봉의 끼움에 의해 톱날몸체와 드릴끼움몸체가 일체로 회전하도록 하여 장시간의 드릴작업에 의해서도 드릴끼움몸체에 가해지는 부하가 톱날몸체의 결합홀에 직접적으로 가해지지 않도록 하며, 드릴끼움몸체의 회전시에 발생하는 열이 덜 전달되어 결합홀이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여 톱날몸체의 교체시에 드릴끼움몸체와 톱날몸체의 풀림 및 착탈 교환을 쉽게 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다수의 톱날(12)이 형성된 톱날몸체(10)와 드릴(22)이 결합된 드릴끼움몸체(20)로 결합 구성된 공지의 홀소우(1)에 있어서,
    중앙 상부로 결합홀(14)이 형성되고 둘레부로 고정홈(16)이 형성되며, 다수의 톱날(12)을 형성한 톱날몸체(10)와, 상기 결합홀(14)에 대응하여 드릴(22)이 끼움 결합되며, 둘레부로 고정봉(26)이 구비된 고정부재(24)가 형성된 드릴끼움몸체(20)로 결합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홀소우.
  2. 제1항에 있어서,
    톱날몸체(10)에 형성된 다수의 톱날(12)은 상기 톱날(12)을 형성하는 경사면이 톱날몸체(10)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하여 내측방향, 외측방향, 원주방향의 순서가 되도록 순차적으로 배열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홀소우.
KR2020060017219U 2006-06-27 2006-06-27 홀소우 KR2004270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7219U KR200427074Y1 (ko) 2006-06-27 2006-06-27 홀소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7219U KR200427074Y1 (ko) 2006-06-27 2006-06-27 홀소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7770A Division KR20080000182A (ko) 2006-06-27 2006-06-27 홀소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7074Y1 true KR200427074Y1 (ko) 2006-09-20

Family

ID=41775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7219U KR200427074Y1 (ko) 2006-06-27 2006-06-27 홀소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707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55568A (zh) * 2017-10-30 2018-03-30 吴冬刚 组合刀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55568A (zh) * 2017-10-30 2018-03-30 吴冬刚 组合刀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84641B2 (en) Locking hole saw collar
US7878094B2 (en) Tool with extendable handle
US7594455B2 (en) Fastener removing tool
KR101285962B1 (ko) 블레이드 착탈 장치
JP5587799B2 (ja) ホールカッタのためのアーバ
EP3305448A1 (en) Hole saw arbor assembly
JP2007521146A5 (ko)
US20060150428A1 (en) Quick-change tools
CA2531164A1 (en) Arbor for hole cutter and related method of use
US9821380B1 (en) Quick release hole saw
BR102014025491A2 (pt) aparelho e método de perfuração
US6637756B2 (en) Power drill chuck
US20090269155A1 (en) Alignment Structure for a Wood Flat Drill Bit
JP5480239B2 (ja) 迅速交換型アーバ、ホールカッタ、および方法
CA2485935C (en) Arbor apparatus for rotary tools
KR200427074Y1 (ko) 홀소우
JP5190130B2 (ja) ボルト及びボルト締め付け具
US7059216B2 (en) Fastener removal apparatus
KR20080000182A (ko) 홀소우
JPWO2011099100A1 (ja) 回転工具の着脱装置と該回転工具
US20050161263A1 (en) Core bit for use with a core drill
KR20130017970A (ko) 절삭헤드가 분리가능한 드릴공구
KR101918586B1 (ko) 공구홀더용 콜릿너트
JP5255688B2 (ja) ナット及びナット締め付け具
CN110695923B (zh) 一种用于取出断裂螺栓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