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6616Y1 - 파레트 보호대 - Google Patents

파레트 보호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6616Y1
KR200426616Y1 KR2020060013812U KR20060013812U KR200426616Y1 KR 200426616 Y1 KR200426616 Y1 KR 200426616Y1 KR 2020060013812 U KR2020060013812 U KR 2020060013812U KR 20060013812 U KR20060013812 U KR 20060013812U KR 200426616 Y1 KR200426616 Y1 KR 2004266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
crossbar
pallet
fitting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38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수
Original Assignee
최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병수 filed Critical 최병수
Priority to KR20200600138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66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66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661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65D19/385Frames, corner posts or pallet converters, e.g. for facilitating stacking of charged pal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2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 B65D19/06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547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팔레트의 네 귀에 결합되는 포스트와 그 상부에 결합되는 크로스바로 이루어지는 팔레트 보호대를 구성함에 있어서 포스트와 크로스바를 간편하게 분해하고 조립할 수 있도록 한 팔레트 보호대를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팔레트 보호대를 구성하는 각 포스트와 각 크로스바가 맞춤부에 의해 분해 조립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맞춤부는 각 크로스바 양단에 형성되는 상 하부 관통형의 끼움홈과, 각 포스트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끼움홈의 하단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스토퍼로 구성되어 크로스바의 상하 구분없이 사용될 수 있도록 한 팔레트 보호대를 제시한다.
팔레트, 보호대, 절첩구

Description

파레트 보호대 {Pallette guard}
도1은 본 고안의 구성도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맞춤부의 확대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맞춤부의 내부 구성도
도 4는 크로스바가 조립된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조립 상태도
*주요부호의 설명
100. 팔레트 110. 포스트결합구멍
10. 포스트 20. 크로스바
30. 맞춤부 31. 끼움홈
32. 스토퍼
본 고안은 목재 또는 플라스틱 팔레트에 적용되어 다층 적재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팔레트 보호대에 관한 것이며, 상세히는 팔레트의 네 귀에 결합되는 포스트와 그 상부에 결합되는 크로스바로 이루어지는 팔레트 보호대를 구성함에 있어서 포스트와 크로스바를 간편하게 분해하고 조립할 수 있도록 한 팔레트 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목재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팔레트는 화물의 단순 적재를 목적으로 평판형태로 구성되는 것으로 다층적재를 위해서는 상부의 화물 무게를 하부의 팔레트에 전달하고 화물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대를 사용하여야 한다.
통상 보호대는 팔레트의 네 귀에 결합되는 금구와, 상기 금구에 고정결합되는 포스트와, 2개의 포스트를 상부에서 대각선으로 연결하는 크로스바로 이루어진다. 이것은 2개의 포스트와 1개의 크로스바를 강결하여 라멘형태를 갖는 부재2개를 X자형태로 교차시켜 팔레트 하부에 결합되는 금구의 포스트공에 결합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전체적으로 튼튼하고 단순한 장점이 있으나 운반 및 보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 때문에 크로스바의 양단에 결합되는 포스트를 접을 수 있도록 한 구조가 제시되고 이것은 포스트 삽입구가 형성된 금구에 양 포스트를 삽입하면 크로스바가 X형태로 교차하면서 팔레트 상에 설치되고 분리 시에는 크로스바에 대하여 양 포스트를 접어줌으로써 부피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하였다.
그러나 상기 구조는 포스트와 크로스바를 펴서 팔레트에 결합할 때는 조립 부분에서 충분한 강도가 요구되고, 접었을 때는 크로스바와 포스트가 서로 포개어 져 부피 감소효과를 얻을 수 있어야 하나 한 개의 크로스바와 2개의 포스트가 한 세트로 이루어져 서로 포개어 접을 때 접철부의 구조적 제한 때문에 완벽하게 접어지지 않고 포스트의 양끝이 벌어지는 경향이 있으며, 특히 포스트를 원형 파이프로 구성한 경우에는 앵글로 구성한 경우에 비하여 이러한 현상이 더욱 문제시된다.
또한 상기 구조는 2개의 세트를 X자형으로 교차시켜 보호대를 구성하고, 교차부에서 두께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원형 파이프나 각형 파이프를 1/2 높이로 프레싱한 구조를 갖기 때문에 상하 구분이 있다. 그에 따라 하부 보호대 세트와 상부 보호대 세트로 구분하여 사용하여야 하며, 보관 및 운반 또는 사용 과정 중에 짝을 이루는 세트가 훼손, 분실 또는 짝이 흐트러질 경우에 나머지 세트도 사용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팔레트 보호대를 구성함에 있어서 보관 및 회수 시에 부피를 최소화함으로써 물류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하고, 어느 한 요소의 훼손이나 분실의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게 하며, 특히 크로스바의 경우에 상하 구분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유지 관리뿐만 아니라 사용이 편리하고, 제작을 용이하게 할 목적으로 안출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팔레트 보호대를 구성하는 각 포스트와 각 크로스바가 맞춤부에 의해 분해 조립되도록 구성하여 사용시 각 부재를 조립하여 사용하고, 보관이나 회수시에는 각 부재를 분해할 수 있도록 한 팔레트 보호대를 제시한다.
또한, 본 고안은 크로스바를 상하 구분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맞춤부를 구성함에 있어서 크로스바 양단에 상하로 관통되는 끼움홈을 형성하고, 상기 끼움홈에 결합되는 포스트에는 스토퍼를 형성하여 조립상태에서 크로스바와 포스트의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팔레트 보호대를 제시한다.
상기 구조는 포스트를 원형이나 각형 또는 앵글로 구성하고, 크로스바는 원형 또는 각형으로 구성한 경우에 모두 적용가능한 것으로 맞춤부를 각각의 부재 형상에 맞게 구성함으로써 분리 결합이 자유롭게 이루어지고, 크로스바는 상하구분 없는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한 실시 예에 의해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을 앵글형 포스트와 원형 파이프로 된 크로스바에 적용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며, 각각 팔레트(100)의 네 귀에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각기 독립된 4개의 포스트(10)와, 상기 마주보는 포스트의 상단에 결합되는 2개의 크로스바(20)로 이루어지고, 상기 크로스바와 포스트는 각기 맞춤부(30)에 의해 맞춤결합되어 각 크로스바가 그 중심에서 X형으로 교차하는 구조로 팔레트 보호대가 이루어진다.
상기한 포스트(10)는 팔레트 적층 시에는 상부 하중을 지지하고, 팔레트 상부 공간을 확보하여 적재물을 보호하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도시된 실시 예는 앵글 형상을 실시 예로 하였으나 원형 및 각형 파이프 또한 가능한 구조이며, 팔레트의 4 모서리에 미리 형성한 포스트 결합구멍(110)을 사용하거나 별도의 보호대 결합을 위한 금구를 사용하여 팔레트에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크로스바(20)는 포스트와 함께 보호대의 틀 체를 구성하여 팔레트의 적층 및 화물 운반시에 격자형의 안정된 구조를 가질 수 있도록 작용하는 것으로 도시된 실시 예는 원형 파이프로 구성하였으나 각형 파이프 또한 적용가능한 구조이다.
맞춤부(30)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나 본 고안은 크로스바의 양단에 포스트바를 끼울 수 있는 상하 관통형의 끼움홈(31)을 형성하고, 포스트바의 상단에 상기 끼움홈의 하단이 걸리는 스토퍼(32)를 형성한 구성으로 하여 크로스바의 상하 구분없이 사용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홈(31)의 하측부로 스토퍼(32)가 수직끼움되어 스토퍼의 하부(32c)가 걸림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끼움홈(31)은 사용되는 포스트의 형상에 따라 끼움홈의 형상이 달라질 수 있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앵글형 포스트를 사용한 경우에는 크로스바의 양단에 삼각형의 끼움홈을 형성한 구조이며, 원형이나 각형 포스트를 사용한 경우에는 그에 맞게 끼움홈을 원형 또는 각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끼움홈은 상하부 관통형으로 구성함으로써 뒤집은 상태에서도 포스트 상단에 끼워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크로스바의 상하구분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포스트에 형성하는 스토퍼(32)는 포스트에 결합되는 크로스바가 더 이상 흘러 내지지않고 고정되어 크로스바를 통하여 가해지는 상부하중을 포스트가 지지할 수 있도록 작용한다. 상기 스토퍼는 포스트의 상부에 단순히 형성한 돌기로 구성될 수 있고, 각형 또는 원형 파이프형 포스트를 사용한 경우에는 크로스바의 끼움홈이 어느 정도 끼워 맞춤 된 후 더 이상 흘러 내지지 않도록 차단하는 단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앵글형 포스트를 적용한 스토퍼의 바람직한 형상을 도시한 것으로 포스트의 안쪽에 상부(32a)가 고정되고 측면(32b) 및 하부(32c)는 포스트에 대하여 분리되며, 하부는 포스트에 대하여 이격되는 구성의 탄력 구조로 스토퍼를 형성한 구조를 갖는다. 상기 구조는 자체 탄력을 갖는 구조로 구성되어 포스트와 크로스바의 결합시 맞춤부에서 다소 유격이 있는 경우에도 결합되는 과정에서 스토퍼의 탄력에 의해 유격이 해소되어 전체적으로 견고하고 흔들림 없는 틀체를 구성하게 된다.
본 고안에서 크로스바는 그 양단에 형성한 상하 관통형 끼움홈(31)과 포스트에 형성한 스토퍼(32) 구조에 의해 상하 구분이 없는 구조가 된다.
즉 종래의 크로스바(20)에서 그 중심부에 형성된 교차부(21)는 상대 크로스바와의 접촉면이 상부로 향하는 것은 하부 크로스바를 구성하고 하부로 향하는 것은 상부 크로스바를 구성하도록 포스트와의 결합 구조에 의해 제한되었으나 본 고안에서는 맞춤부에 의해 전체 요소가 각기 분해 조립되고 맞춤부의 구조가 크로스바의 양단에 형성한 상 하부 관통형 끼움홈과 포스트의 상부에 형성한 스토퍼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크로스바의 상 하부 구분없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임으로 선택한 크로스바를 상하 구분없이 사용할 수 있어 조립이 용이하고, 상 하부를 따로 관리할 필요가 없으며, 훼손된 경우에도 쉽게 대 체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4는 크로스바의 결합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5는 합성수지 팔레트에 본 발명을 적용한 구성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면 중 미설명 부호 40 및 41은 크로스바의 교차부 고정을 위해 사용하는 핀과 핀공을 도시한 것이다.
이상의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은 팔레트 보호대를 구성하는 포스트 및 크로스바가 각기 따로 분리되고 조립됨으로써 보관 및 회수 시에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어 물류 비용이 절감되고, 크로스바는 상하 구분없이 사용할 수 있어 어느 한 요소의 훼손이나 분실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어 보호대의 유지 관리와 사용이 용이하고 제작이 간편한 장점을 갖는다.

Claims (3)

  1. 팔레트 보호대를 구성하는 각 포스트와 각 크로스바가 맞춤부에 의해 분해 조립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레트 보호대
  2. 제 1항에 있어서, 맞춤부는 각 크로스바 양단에 형성되는 상 하부 관통형의 끼움홈과, 각 포스트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끼움홈의 하단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스토퍼로 구성되어 크로스바의 상하 구분없이 사용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레트 보호대.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포스트는 앵글형으로 구성되고, 크로스바는 원형 파이프로 이루어지며, 맞춤부는 크로스바의 양단에 형성되는 상하 관통형의 삼각형 끼움홈과 포스트에 형성되는 스토퍼로 구성되고, 상기 스토퍼는 포스트의 안쪽에 상부가 고정되고 측면 및 하부는 포스트에 대하여 분리되며 하부가 포스트에 대하여 이격되는 구조를 갖는 탄력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레트 보호대.
KR2020060013812U 2006-05-23 2006-05-23 파레트 보호대 KR2004266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3812U KR200426616Y1 (ko) 2006-05-23 2006-05-23 파레트 보호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3812U KR200426616Y1 (ko) 2006-05-23 2006-05-23 파레트 보호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6616Y1 true KR200426616Y1 (ko) 2006-09-19

Family

ID=41775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3812U KR200426616Y1 (ko) 2006-05-23 2006-05-23 파레트 보호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661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02070B2 (en) Bed frame
US2815130A (en) Shelving unit
US8511239B2 (en) Reinforced plastic pallet
US7779765B2 (en) Pallet with telescoped leg assemblies
US8770115B2 (en) Pallet assembly
US3994241A (en) Removable stacking frame assembly for pallets
KR102196121B1 (ko) 해체 가능한 자가-조립 구조물
US7267229B2 (en) Foldable container device
US10661944B2 (en) Pallet with inset deck
US9409674B2 (en) Configurable, repairable, and recyclable cargo pallet
US6418861B1 (en) Modular pallet construction
US20140137775A1 (en) Plastic pallet
US10538360B2 (en) Nestable pallet with runners
US3301200A (en) Folding pallet
USRE24535E (en) - shelving unit
KR200464149Y1 (ko) 파렛트 적재 랙
CN105683052A (zh) 托盘
KR200426616Y1 (ko) 파레트 보호대
KR200360095Y1 (ko) 조립식 파렛트
KR100860330B1 (ko) 파렛트용 지지틀
WO2013154415A1 (en) Fast assembly plastic pallet
JP7442188B2 (ja) 輸送パレットの段積み用サポートフレーム
KR20090000315U (ko) 조립식 탁자
JP4557255B2 (ja) 合成樹脂製パレット
JP5188919B2 (ja) 折り畳み式コンテ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