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6259Y1 - 용기받침 - Google Patents

용기받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6259Y1
KR200426259Y1 KR2020060010672U KR20060010672U KR200426259Y1 KR 200426259 Y1 KR200426259 Y1 KR 200426259Y1 KR 2020060010672 U KR2020060010672 U KR 2020060010672U KR 20060010672 U KR20060010672 U KR 20060010672U KR 200426259 Y1 KR200426259 Y1 KR 2004262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ontainer
inclined portion
soup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06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현
Original Assignee
안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현 filed Critical 안현
Priority to KR20200600106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62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62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625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4Supports for cooking-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65D25/24External fittings for spacing bases of containers from supporting surfaces, e.g. le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용기를 기울여 지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용기에 담긴 국이나 찌개 등을 먹을 때 용기를 별도로 기울일 필요없이 편리하게 소량의 국물까지도 떠먹을 수 있고, 뒤집어 사용이 가능하므로 접지면이 울퉁불퉁하거나 평평하지 않은 곳에서도 안정되게 바닥에 접지될 수 있으며, 용기의 미끄러짐 현상을 방지할 뿐 아니라, 원형의 용기를 포함하여 사각형과 같이 각진 용기를 받치기 용이하여 생활용품에서부터 그 밖의 다양한 용도로 활용 가능한 용기받침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용기받침은 합성수지, 목재, 금속 등의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진 판재로서, 일 측 단부에서 중앙부로 비스듬히 기울어진 형상으로 경사면이 형성된 경사부; 타 측 단부에서 중앙부로 평평하게 형성된 받침면과 환형으로 형성된 굴곡부를 포함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서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경사부와 맞닿도록 경사면이 형성된 지지경사부로 이루어진 받침부;로 일면이 구성되며, 상기 판재의 타면은 평평한 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용기받침

Description

용기받침{vessel prop}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측면도.
도 3a, 3b, 3c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a, 4b, 4c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도 5,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 : 통기공 7 : 받침면
8 : 수용물 9 : 용기본체
10 : 경사부 11 : 고부
12 : 저부 20 : 받침부
21 : 받침면 22 : 굴곡부
23 : 지지부 24 : 지지경사부
100 : 용기받침
본 고안은 용기받침에 관한 것으로서, 용기받침으로 사용되는 판재의 일면은 경사면을 형성하고 지지부를 구비하여 용기를 경사진 면에 접하게 올려놓고 지지부로 지지하여, 용기에 담긴 국이나 찌개를 먹을 때, 편리하게 소량의 국물까지도 떠먹을 수 있으며, 판재의 타면은 평평하게 형성하여 뒤집어 사용가능한 등의 장점이 많은 용기받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국이나 찌개 등의 액체와 고체 등을 담는 사기나 스테인리스 스틸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용기는 그 하부에 용기받침을 이용하여 안정되게 지지되어 바닥에 접지되고, 뜨겁거나 차가운 용기 내의 열에너지가 직접 식탁 등의 접지면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호하는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또한 일상생활에서 쓰이는 생활용품으로서의 용기받침에서부터 액체와 고체뿐만 아니라 기체까지 포함하는 용기, 즉 실험실에서 쓰이는 기자재를 받치는 용기받침에 이르기까지 그 용도는 상당히 넓은 범위를 가지며 확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례로 국을 먹을 때, 용기 내에 가득 담긴 내용물은 처음에는 큰 불편함 없이 숟가락 등을 이용하여 먹을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음식물을 거의 다 먹어 소량의 국물만이 용기 내에 잔존해 있을 경우에는 불가피하게 용기를 손으로 잡고 기울여 남아 있는 국물을 떠야만 했다. 지금까지의 용기받침들은 단순히 용기를 받치는 용도로서만 제작되어 사용되었기 때문에 주로 양면이 평평한 면으로 이루어져, 용기를 기울여 지지할 수 없는 구조를 갖는 것들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용기를 기울여 지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용기에 담긴 국이나 찌개 등을 먹을 때 용기를 별도로 기울일 필요없이 편리하게 소량의 국물까지도 떠먹을 수 있고, 뒤집어 사용이 가능하므로 접지면이 울퉁불퉁하거나 평평하지 않은 곳에서도 안정되게 바닥에 접지될 수 있으며, 용기의 미끄러짐 현상을 방지할 뿐 아니라, 원형의 용기를 포함하여 사각형과 같이 각진 용기를 받치기 용이하여 생활용품에서부터 그 밖의 다양한 용도로 활용 가능한 용기받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합성수지, 목재, 금속 등의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진 판재로서, 일 측 단부에서 중앙부로 비스듬히 기울어진 형상으로 경사면이 형성된 경사부; 타 측 단부에서 중앙부로 평평하게 형성된 받침면과 환형으로 형성된 굴곡부를 포함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서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경사부와 맞닿도록 경사면이 형성된 지지경사부로 이루어진 받침부;로 일면이 구성되며, 상기 판재의 타면은 평평한 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받침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상기 굴곡부는 중앙부가 각을 이루도록 요입된 형태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받침이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용기받침(100)은 합성수지, 목재, 금속 등의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진 판재로서, 일 측 단부에서 중앙부로 비스듬히 기울어진 형상으로 경사면이 형성된 경사부(10); 타 측 단부에서 중앙부로 평평하게 형성된 받침면(21)과 환형으로 형성된 굴곡부(22)를 포함하는 지지부(23)와, 상기 지지부(23)에서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경사부(10)와 맞닿도록 경사면이 형성된 지지경사부(24)로 이루어진 받침부(20);로 일면이 구성되며, 상기 판재의 타면은 평평한 면이 형성된다.
상기 용기받침(100)은 다양한 재질로 제작가능하다. 즉, 합성수지, 목재, 금속 등의 재질이 모두 사용가능하여 용도에 맞게 선택할 수 있다. 용기받침(100)의 크기와 형상도 역시 제약을 받지 않아 다양하게 형성가능하다. 용기받침(100)의 크기는 사용목적에 부합하도록 알맞은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고, 용기받침(100)의 형상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으로 제작할 수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이나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각형, 원형, 타원형 이외의 형상으로도 제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용기받침(100)은 소정의 두께를 가진 판재의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고, 판재의 일면에는 경사부(10)와 받침부(20)가 형성되며, 타면에는 매끈한 표면을 갖는 평평한 면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부(10)는 상기 판재의 일면에 형성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경사부(10)는 판재의 일 측 단부에서부터 중앙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때 판재의 단부는 중앙부보다 높게 형성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 부(11)와 저부(12)가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고부(11)의 높이(h1)는 저부(12)의 높이(h3)보다 크게 형성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부(20)는 역시 상기 경사부(10)가 형성된 상기 판재의 일면에 형성된다. 상기 받침부(20)는 상기 경사부(10)의 고부(11)와 마주보는 반대쪽 단부에서부터 중앙부까지 평평하게 형성된 받침면(21)과 환형으로 형성된 굴곡부(22)를 포함하는 지지부(23)와, 상기 지지부(23)에서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경사부(10)와 맞닿도록 경사면이 형성된 지지경사부(24)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23)의 높이(h2)는 상기 경사부(10)의 고부(11)의 높이(h1)와 같도록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23)는 용기가 위에 놓여지도록 형성된 것이고, 용기받침(100)을 뒤집어 사용할 경우에는 바닥과 접하여 지지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지지부(23)의 굴곡부(22)는 환형으로 형성되어 용기가 용기받침(100)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용기를 안정되게 받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지지경사부(24)는 용기를 기울여 받칠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여기서 용기받침(100)의 사용상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3a, 3b, 3c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a, 4b, 4c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3a와 도 4a는 경사부(10)와 받침부(20)가 형성된 용기받침(100)의 일면에 용기본체(9)가 수평으로 놓여진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3a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사부(10)의 고부(11)의 높이(h1)와 상기 지지부(23)의 높이(h2)는 같 기 때문에, 용기본체(9)의 저면이 경사부(10)의 고부(11)와 지지부(23)에 접하여 지지되며, 상기 용기받침(100)의 평평한 타면은 바닥면(7)과 밀착되어, 용기본체(9)는 그 안에 담겨져 있는 수용물(8)과 함께 수평으로 안정되게 받쳐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일 실시 예는 용기받침(100)의 가장 일반적인 사용상태로서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는 예이다.
도 3b와 도 4b는 용기본체(9)가 경사부(10)와 받침부(20)가 형성된 용기받침(100)의 일면에 놓여지고, 용기받침(100)의 타면은 바닥면(7)에 밀착되되, 용기본체(9)의 저면이 상기 경사부(10)의 기울어진 면과 밀착되어 용기본체(9)가 기울어지고, 상기 받침부(20)의 지지경사부(24)가 용기본체(9)를 지지하도록 놓여진 것이다. 도 3b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국이 담긴 용기를 용기받침(100)에 놓고 식사를 할 경우에, 국을 다 먹고 소량의 국물이 용기에 남아있어 불가피하게 용기를 기울여 국을 떠먹어야 하는 상황과 같이, 흔히 용기본체(9)를 용기받침에 놓고 사용할 때, 용기받침(100)에 형성된 경사부(10)와 지지경사부(24)를 통해 용기본체(9)를 기울여 지지할 수 있으므로, 별도로 용기본체(9)를 기울일 필요없이, 편리하게 수용물(8)을 떠먹을 수 있게 되는 편리함이 있다. 따라서, 때로는 뜨거운 국을 수용하게 되는 용기본체(9)를 기울여 국을 먹게 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상의 위험에서 사용자를 안전하게 보호하게 되어 일반가정이나 음식점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게 된다.
도 3c와 도 4c는 경사부(10)와 받침부(20)가 형성된 용기받침(100)의 일면이 바닥면(7)을 향하도록 용기받침(100)을 뒤집어 사용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이때 용기본체(9)는 용기받침(100)의 평평한 면에 밀착되어 용기받침(100)에 의해 받쳐지게 된다. 바닥면(7)이 매끈하게 평평한 면이 아니라 다소 울퉁불퉁한 면일 경우에도, 경사부(10)의 고부(11)와 받침부(20)의 지지부(23)가 바닥면(7)과 접하게 되어, 용기받침(100)은 더욱 안정되게 용기본체(9)와 그 수용물(8)을 받치게 된다. 또한, 용기본체(9)에 담겨 있는 수용물(8)이 뜨겁거나 차가운 경우에는 용기받침(100)과 바닥면(7) 사이의 공기가 미세하게 수축, 팽창하게 되고, 이로 인해 작은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서도 용기본체(9)가 미끄러지거나 불안정하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받침과 바닥면(7) 사이에는 자연스럽게 통기공(6)이 형성되어 이러한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굴곡부(22)는 중앙부가 각을 이루도록 요입된 형태로 형성가능하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굴곡부(22)는 환형 뿐만 아니라, V 자 형상으로, 즉 중앙부가 각을 이루도록 요입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사각형이나 각진 용기를 기울여 받치게 될 때, 상기 굴곡부(22)의 요입된 부분으로 용기가 위치하여 용기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더욱 안정되게 용기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용기받침은 용기를 기울여 지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용기에 담긴 국이나 찌개 등을 먹을 때 용기를 별도로 기울일 필요없이 편리하게 소량의 국물까지도 떠먹을 수 있고, 이로 인해 뜨거운 용기 를 잡고 기울이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상의 위험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하게 된다. 또한, 용기받침을 뒤집어 사용이 가능하므로 접지면이 울퉁불퉁하거나 평평하지 않은 곳에서도 안정되게 바닥에 접지될 수 있고, 자연스럽게 형성된 통기공을 통해 뜨겁거나 차가운 용기의 미끄러짐 현상을 방지할 뿐 아니라, 원형의 용기를 포함하여 사각형과 같이 각진 용기를 받치기 용이하여 생활용품에서부터 그 밖의 다양한 용도로 활용 가능한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용기의 하부에서 용기를 받치는 용기받침에 있어서,
    일 측 단부에서 중앙부로 비스듬히 기울어진 형상으로 경사면이 형성된 경사부(10);
    타 측 단부에서 중앙부로 평평하게 형성된 받침면(21)과 환형으로 형성된 굴곡부(22)를 포함하는 지지부(23)와, 상기 지지부(23)에서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경사부(10)와 맞닿도록 경사면이 형성된 지지경사부(24)로 이루어진 받침부(20);로 일면이 구성되며, 타면은 평평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받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22)는 중앙부가 각을 이루도록 요입된 형태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받침.
KR2020060010672U 2006-04-20 2006-04-20 용기받침 KR2004262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0672U KR200426259Y1 (ko) 2006-04-20 2006-04-20 용기받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0672U KR200426259Y1 (ko) 2006-04-20 2006-04-20 용기받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6259Y1 true KR200426259Y1 (ko) 2006-09-18

Family

ID=41774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0672U KR200426259Y1 (ko) 2006-04-20 2006-04-20 용기받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625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03681B2 (en) Cup holder
US5060820A (en) Plate assembly
US6682034B1 (en) Removable foodstuff container holder
US8087528B1 (en) Stabilizer cup holder
US5259528A (en) Combination food, drink, utensil and napkin tray
US6264026B1 (en) Food, beverage and utility tray
US5234125A (en) Food plate with beverage container holder
US20170137207A1 (en) Insulated bottle holder
US9567136B2 (en) Dip clip
US20150014312A1 (en) Plate with cup attachment
CA2298380A1 (en) Dinner tray
US7360666B1 (en) Portable food, beverage and utensil holder
US20210137294A1 (en) Attachable Beverage Niche Cooperates for a System to manage Food and Drink
US20140224810A1 (en) Multi-Functional Flat Lid
US5984136A (en) Beverage receptacle stabilizer
US9622571B1 (en) Collapsible outdoor table
WO2014133673A2 (en) Party plate
US20070289981A1 (en) Cooking utensil with means of resting on pot, pan, skillet or otherwise
US5938060A (en) Holder for stackable drinking cups
US20170354282A1 (en) Elevated Coaster
US20050023234A1 (en) Clip-on taco holder
WO2006074136A2 (en) Bottle holder
KR200426259Y1 (ko) 용기받침
US20040134919A1 (en) Multi-piece vessel
US20080029671A1 (en) Spill Preven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