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6109Y1 - 평판디스플레이 거치대 - Google Patents

평판디스플레이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6109Y1
KR200426109Y1 KR2020060016190U KR20060016190U KR200426109Y1 KR 200426109 Y1 KR200426109 Y1 KR 200426109Y1 KR 2020060016190 U KR2020060016190 U KR 2020060016190U KR 20060016190 U KR20060016190 U KR 20060016190U KR 200426109 Y1 KR200426109 Y1 KR 2004261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t panel
panel display
cradle
bolt
fl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61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은석기
최병열
Original Assignee
은석기
최병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은석기, 최병열 filed Critical 은석기
Priority to KR20200600161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61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61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610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2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16M11/121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constituted of several dependent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18Heads with mechanism for moving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47Electrical details of casings, e.g. terminals, passages for cables or wi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8Foot or support b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나의 거치대에 복수의 평판디스플레이를 거치할 수 있도록 한 평판디스플레이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받침판(100)과; 상기 받침판(100) 수직으로 설치되는 승강관(200)과; 상기 승강관(200)의 상단에 결합된 다관절슬라이딩가로대(300)와; 상기 다관절슬라이딩가로대(300)에 장착되어 평판디스플레이(800)를 고정시키는 다축거치대(400)와; 평판디스플레이(800)에 연결되는 전선류를 정리하는 케이블클립조립체(500)과; 거치대를 상하로 연결하는 연결판조립체(600)로 구성된 평판디스플레이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받침판, 승강관, 다관절슬라이딩가로대, 다축거치대, 케이블클립조립체, 연결판조립체

Description

평판디스플레이 거치대 {A Multiple Flat Panel Display Desk Mount}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평판디스플레이 거치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평판디스플레이 거치대의 승강관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평판디스플레이 거치대의 다관절슬라이딩가로대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평판디스플레이 거치대의 다축거치대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평판디스플레이 거치대의 케이블클립조립체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평판디스플레이 거치대의 연결판조립체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평판디스플레이 거치대의 볼트조립체의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평판디스플레이 거치대의 승강관의 측단면도 및 제1관의 횡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평판디스플레이 거치대의 볼플런저의 분 해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평판디스플레이 거치대의 사시도
도 11, 12, 13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평판디스플레이 거치대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받침판
200. 승강관
300. 다관절슬라이딩가로대
400. 다축거치대
500. 케이블클립조립체
600. 연결판조립체
700. 볼트조립체
800. 평판디스플레이
본 고안은 평판디스플레이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하나의 거치대에 복수의 평판디스플레이를 거치할 수 있도록 하여,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된 평판 디스플레이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개인용 컴퓨터(이하 컴퓨터)의 성능이 향상됨에 따라 한대의 컴퓨터로 복수 의 영상 신호를 출력할 수 있어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를 연결할 수 있으나 복수의 평판디스플레이를 책상 위에 배열하게 되면 평판디스플레이의 개별 거치대로 인해 작은 공간 점유라는 평판디스플레이의 장점이 적어지게 되고 배열할 수 있는 평판디스플레이의 수에도 제한이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근본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하나의 거치대에 평판디스플레이를 복수 배치시킬 수 있어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평판디스플레이 거치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받침판(100)과 상기 받침판(100) 수직으로 설치되는 승강관(200)과 상기 승강관(200)의 상단에 결합된 다관절슬라이딩가로대(300)와 상기 다관절슬라이딩가로대(300)에 장착되어 평판디스플레이(800)를 고정시키는 다축거치대(400)와 평판디스플레이(800)에 연결되는 전선류를 정리하는 케이블클립조립체(500)과 거치대를 상하로 연결하는 연결판조립체(600)로 구성된다.
상기 승강관(200)은 상기 받침판(100)에 볼트1(101)에 의해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1관(201), 상부에 암사각나사가 형성된 제2관(202)과 조절노브(209), 조절노브고정핀(210), 스냅링(207), 베어링(208), 수사각나사(204), 스토퍼(205), 스토퍼고정핀(206)이 내장되는 제3관(203)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관절슬라이딩가로대(300)는 상기 제3관(203)에 용접 결합되는 중앙가로대1(301)과 중앙가로대1(301)의 양단 상하부에 형성된 체결구멍에 제1가로대(302)와 볼트2(701), 평와셔1(702), 평와셔2(703), 스프링와셔1(704) 및 테이퍼너트(705)로 구성된 볼트조립체(700)로 체결되며 가로대중앙1(301)와 제1가로대(302)의 관절부는 평판디스플레이(800)의 크기 및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각도 조절이 가능하며 가로대의 수를 늘림으로써 평판디스플레이(800)의 수를 늘릴 수 있는 복수의 가로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관절슬라이딩가로대(300)와 평판디스플레이(800) 사이에는 평판디스플레이(800)의 회전, 상하 각도 조절 및 좌우각도 조절이 가능토록 하는 다축거치대(400)가 구비되며, 상기 다축거치대(400)는 상기 다관절슬라이딩가로대(300)의 제1가로대(302)의 凹 부위에 결합되며 하나의 다축거치대(400)는 평판디스플레이(800)가 체결되는 거치대1(401)과 거치대2(402)가 볼트3(405), 평와셔3(406), 스프링와셔2(407), 평와셔(408) 및 너트1(409)로 체결되어 평판디스플레이(800)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며 거치대2(402)의 하부에 체결되는 볼플런저(411)의 압축스프링(411b)의 탄성에 의한 강철구(411c)의 작용으로 평판디스플레이(800)의 90도 회전마다 고정되며, 거치대2(402)는 거치대3(403)과 볼트조립체(700)로 각각의 양단에 형성된 체결구멍을 통해 체결되어 평판디스플레이(800)의 상하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거치대3(403)은 거치대4(404)와 볼트조립체(700)로 각각의 양단에 형성된 체결구멍을 통해 체결되어 평판디스플레이(800)의 좌우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거치대4(404)의 배면 凸 부위는 제1가로대(302)의 凹 부위에 슬라이딩노브(410)로 체결하며 평판디스플레이(800)의 좌우 이동이 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블클립조립체(500)는 받침판(100)에 볼트5(506)으로 체결되는 지지대1(502), 지지대2(503), 케이블클립(501) 및 케이블클립(501)의 폐구부를 지지대2(503)의 회전축에 고정하는 볼트4(504)와 평와셔5(505), 케이블클립(501)의 개구부를 지지대1(502)에 고정하는 볼트4(50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판조립체(600)은 가로대중앙1(301)의 체결구멍에 볼트6(604)으로 체결되는 지지대3(602) 및 연결판(601)을 지지대3(602)에 고정하는 볼트7(60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평판디스플레이 거치대(이하 거치대)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의 승강관(200)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의 다관절슬라이딩가로대(300)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의 다축거치대(400)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의 케이블클립조립체(500)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7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의 볼트조립체(700)의 단면도이고, 도 8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의 승강관(200)의 측단면도 및 제1관(201)의 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받침판(100)과 상기 받침판(100) 수직으로 설치되어 평판디스플레이(800)의 높이를 조절하는 승강관(200)과 상기 승강관(200)의 상단에 결합어 평판디스플레이(800) 간의 거리를 조절하는 다관절슬라이딩가로대(300)와 상기 다관절슬라이딩가로대(300)에 장착되어 평판디스플레이(800)의 상하, 좌우 각도를 조하고 평판디스플레이(800)를 거치대에 고정시키는 다축거치대(400)와 평판디스플레이(800)에 연결되는 전선류를 정리하는 케이블클립조립체(500)과 거치대를 상하로 연결하는 연결판조립체(600)로 구성된다.
상기 받침판(100)은 복수의 디스플레이(8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제작된다.
상기 승강관(200)는 상기 다관절슬라이딩가로대(300)를 지지하며 평판디스플레이(800)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으로, 상기 받침판(100)에 볼트1(101)에 의해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1관(201), 상부에 암사각나사가 형성된 제2관(202)과 제2관(202)의 암사각나사와 맞물려 조절노브(209)를 돌려줌으로써 평판디스플레이(800)의 높이를 승강시키는 수사각나사(204), 조절노브(209), 조절노브(209)를 수사각나사(204)에 고정하는 조절노브고정핀(210), 베어링(208), 제3관(206) 내부에 형성된 홈에 끼워져 베어링(208)을 고정하는 스냅링(207), 수사각나사(204)의 상승한계를 정하는 스토퍼(205), 스토퍼(205)를 수사각나사(204) 하부에 형성된 홈에 고정하는 스토퍼고정핀(206)이 내장되는 제3관(203)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승강관(200)은 도8과 같은 단면을 가지며 평판디스플레이(800), 다관절슬라이딩가로대(300)와 제3관(203)이 회전하지 않도록 키홈(201a)와 키(203a)를 구비한다.
상기 다관절슬라이딩가로대(300)는 평판디스플레이(800)의 하중을 지지하도 록 상기 제3관(203)의 체결턱하(203a)에 중앙가로대1(301)의 체결구멍하(203a), 체결턱하(203b)에 중앙가로대1(301)의 체결구멍하(203b)가 용접 체결되는 구조를 가지며, 평판디스플레이(800) 간의 간격과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관절을 가진 것으로, 중앙가로대1(301)은 거치되는 평판디스플레이(800)가 짝수 개일 경우에는 종단면 “ㄷ”의 폐구부가 전방을 향하며 홀수 개일 경우에는 “ㄷ”의 폐구부가 후방을 향한다. 또한 중앙가로대1(301)은 양단부의 체결구멍(301a)에 후술하는 볼트조립체(700)에 의해 제1가로대(302)의 체결구멍(302a)에 체결되어 평판디스플레이(800) 간의 간격과 각도를 조절하는 관절을 이루며, 제1가로대(302)에 형성된 凹 부위에는 후술되는 다축거치대(400)의 거치대4(404) 배면의 凸 부위가 슬라이딩노브(410)로 체결되어 평판디스플레이(800)의 좌우 이동이 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다관절슬라이딩가로대(300)와 평판디스플레이(800) 사이에는 평판디스플레이(800)의 회전, 상하 각도 조절 및 좌우각도 조절이 가능토록 하는 다축거치대(400)가 구비되며, 상기 다축거치대(400)는 상기 다관절슬라이딩가로대(300)의 제1가로대(302)의 凹 부위에 결합되며 하나의 다축거치대(400)는 평판디스플레이(800)가 체결되는 거치대1(401)과 거치대2(402)가 볼트3(405), 평와셔3(406), 스프링와셔2(407), 평와셔(408) 및 너트1(409)로 체결되어 평판디스플레이(800)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며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2(402)의 하부에 체결되는 볼플런저(411)의 압축스프링(411b)의 탄성에 의한 강철구(411c)의 작용으로 평판디스플레이(800)의 90도 회전마다 고정되며, 거치대2(402)는 거치대3(403)과 후술하는 볼트조립체(700)로 각각의 양단에 형성된 체결구멍을 통해 체결되어 평판디스플레이(800)의 상하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거치대3(403)은 거치대4(404)와 볼트조립체(700)로 각각의 양단에 형성된 체결구멍을 통해 체결되어 평판디스플레이(800)의 좌우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거치대4(404)의 배면 凸 부위는 제1가로대(302)의 凹 부위에 슬라이딩노브(410)로 체결하며 평판디스플레이(800)의 좌우 이동이 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케이블클립조립체(500)는 받침판(100)에 볼트5(506)으로 체결되는 지지대1(502), 지지대2(503), 케이블클립(501) 및 케이블클립(501)의 폐구부(501a)를 지지대2(503)의 회전축(503a)에 고정하는 볼트4(504)와 평와셔5(505), 케이블클립(501)의 개구부(501b)를 지지대1(502)에 고정하는 볼트4(504)로 구성되어 평판디스플레이(800)에 연결되는 전원케이블, 알지비케이블, 디브이아이케이블, 비디오케이블 등의 케이블 다발을 정리할 수 있도록 하며 케이블클립(501)의 폐구부(501a)는 지지대2(503)의 회전축(503a)을 축으로 전후 이동 및 회전하며 케이블 다발의 굵기에 따라 내부 공간의 조절이 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케이블클립(501)의 개구부(501b)는 지지대(502, 503)에 체결하는 볼트(504)를 조금만 풀어도 케이블클립(501)의 이동, 회전이 가능하도록 그 일단이 터진 구조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판조립체(600)은 가로대중앙1(301)의 체결구멍에 볼트6(604)으로 체결되는 지지대3(602) 및 또 다른 열의 거치대의 추가가 가능토록 상기 승강관(200)의 제1관(201)이 볼트1(101)로 체결되는 연결판(601)을 지지대3(602)에 고정하는 볼트7(603)로 구성된다. 또한 연결판(601)에는 상기 케이블클립 조립체(500)의 체결이 가능토록 체결 구멍을 구비한다.
상기 볼트조립체(700)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2(701), 평와셔1(702), 평와셔2(703), 스프링와셔1(704) 및 테이퍼너트(705)로 구성되며 다관절슬라이딩가로대(300)의 관절 부위와 다축거치대(400)의 상하, 좌우 각도조절 부위에 구비되며 재질은 볼트2(701), 스프링와셔1(704) 및 테이퍼너트(705)는 철재, 평와셔1(702), 평와셔2(703)는 황동, 철 또는 MC Nylon 등의 기계적 강도가 강한 합성수지를 사용한다. 또한 상기 테이퍼너트(705)는 제작시 조립성을 고려하여 밑둥부터 상단까지 테이퍼구조(705a)를 가지며 볼트2(701)를 조이거나 풀 때 헛돌기를 방지하는 고정턱(705b)을 구비한다.
<실시예 2>
도 6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의 연결판조립체(600)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는 상기 연결판조립체(600)에 의해 하나의 거치대 위에 복수의 거치대를 거치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 11, 12,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는 중앙가로대2(304), 제2가로대(303), 제3가로대(304)와 같이 가로대를 추가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평판디스플레이 (800)을 거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평판디스플레이 거치대에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거치할 수 있으므로, 작업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거치된 각각의 디스플레이를 작업자의 원하는 방향 및 각도로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받침판(100)과; 상기 받침판(100) 수직으로 설치되는 승강관(200)과; 상기 승강관(200)의 상단에 결합된 다관절슬라이딩가로대(300)와; 상기 다관절슬라이딩가로대(300)에 장착되어 평판디스플레이(800)를 고정시키는 다축거치대(400)와; 평판디스플레이(800)에 연결되는 전선류를 정리하는 케이블클립조립체(500)과; 거치대를 상하로 연결하는 연결판조립체(600)로 구성된 평판디스플레이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100)에 볼트1(101)에 의해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1관(201), 상부에 암사각나사가 형성된 제2관(202)과 조절노브(209), 조절노브고정핀(210), 스냅링(207), 베어링(208), 수사각나사(204), 스토퍼(205), 스토퍼고정핀(206)이 내장되는 제3관(203)으로 구성된 승강관(20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디스플레이 거치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관(203)에 체결되어 중앙가로대1(301), 제1가로대(302), 볼트조립체(700)로 구성된 다관절슬라이딩가로대(20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디스플레이 거치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관절슬라이딩가로대(300)의 제1가로대(302)의 凹 부위에 체결되어 거치대1(401), 거치대2(402), 볼트3(405), 평와셔3(406), 스프링와 셔2(407), 평와셔(408) 및 너트1(409), 볼플런저(411), 거치대3(403), 볼트조립체(700), 거치대4(404), 슬라이딩노브(410)로 구성된 다축거치대(40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디스플레이 거치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스프링(411b)의 탄성에 의한 강철구(411c)의 작용으로 평판디스플레이(800)의 90도 회전마다 고정하는 볼플런저(41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거치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100)과 연결판(601)에 체결되는 지지대1(502), 지지대2(503), 케이블클립(501) 및 케이블클립(501)의 폐구부를 지지대2(503)의 회전축에 고정하는 볼트4(504)와 평와셔5(505), 케이블클립(501)의 개구부를 지지대1(502)에 고정하는 볼트4(504)로 구성된 케이블클립조립체(50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디스플레이 거치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대중앙1(301)에 체결되어 볼트6(604)으로 체결되는 지지대3(602), 연결판(601), 볼트7(603)로 구성된 연결판조립체(60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디스플레이 거치대.
KR2020060016190U 2006-06-16 2006-06-16 평판디스플레이 거치대 KR2004261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6190U KR200426109Y1 (ko) 2006-06-16 2006-06-16 평판디스플레이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6190U KR200426109Y1 (ko) 2006-06-16 2006-06-16 평판디스플레이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6109Y1 true KR200426109Y1 (ko) 2006-09-14

Family

ID=41774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6190U KR200426109Y1 (ko) 2006-06-16 2006-06-16 평판디스플레이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6109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65562A1 (en) * 2012-05-02 2013-11-07 Milestone Av Technologies Llc Telescoping rail mounting assembly and multiple display mount system
KR101423314B1 (ko) * 2012-01-18 2014-07-24 (주)이오시스템 측량기 고정장치
KR101475490B1 (ko) * 2007-10-05 2014-12-23 삼성전자주식회사 지지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듀얼 디스플레이장치
USD805523S1 (en) 2014-06-06 2017-12-19 Innovative Office Products, Llc Support apparatu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5490B1 (ko) * 2007-10-05 2014-12-23 삼성전자주식회사 지지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듀얼 디스플레이장치
KR101423314B1 (ko) * 2012-01-18 2014-07-24 (주)이오시스템 측량기 고정장치
WO2013165562A1 (en) * 2012-05-02 2013-11-07 Milestone Av Technologies Llc Telescoping rail mounting assembly and multiple display mount system
US9803795B2 (en) 2012-05-02 2017-10-31 Milestone Av Technologies Llc Telescoping rail mounting assembly and multiple display mount system
USD805523S1 (en) 2014-06-06 2017-12-19 Innovative Office Products, Llc Support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10773B2 (en) Support arm structure with elastic force adjustment arrangement
US20060273231A1 (en) Support arm for a monitor
US7530542B2 (en) Locking mounting assembly
US8919716B2 (en) Tilter for positioning an electronic device
US6609691B2 (en) Arm apparatus for mounting electronic devices with cable management system
KR200426109Y1 (ko) 평판디스플레이 거치대
US9803795B2 (en) Telescoping rail mounting assembly and multiple display mount system
US8408508B2 (en) Support structure for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using same
JP2014524041A (ja) 表示装置及び他の対象物用の支持装置
US20080197247A1 (en) Stand apparatus
US8632042B2 (en) Tilt and swivel mounting for monitors and other devices
US11658383B2 (en) Antenna mounting assembly of base station antenna
US20070284492A1 (en) Mounting bracket system capable of mounting a monitor between adjacent walls
US20220069447A1 (en) Mounting assemblies and mounting kit for base station antennas
CA2578606A1 (en) Stand apparatus
US8593797B2 (en) Display device
EP1475487B1 (en) Point-joint type mounting for glass curtain wall
US20140211424A1 (en) Hinged connector and modular video display assembly containing same
US20070279851A1 (en) Flexible enclosure for a motorized mount
US20120033362A1 (en) Flat-panel display monitor
CN210050545U (zh) 一种桌式圆孔固定显示器支架
CN109828341B (zh) 一种铝合金走线架以及使用方法
JP3700146B2 (ja) 薄型ディスプレイ用スタンド
US20130153727A1 (en) Infinite axial adjustment mount
US20090095877A1 (en) Adjustable supporting device with movable telescopic leg uni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2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