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5876Y1 - 차량용 분사 소독기 - Google Patents

차량용 분사 소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5876Y1
KR200425876Y1 KR2020060017044U KR20060017044U KR200425876Y1 KR 200425876 Y1 KR200425876 Y1 KR 200425876Y1 KR 2020060017044 U KR2020060017044 U KR 2020060017044U KR 20060017044 U KR20060017044 U KR 20060017044U KR 200425876 Y1 KR200425876 Y1 KR 2004258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sterilizer
check valve
disinfectant
sp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70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상철
Original Assignee
배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상철 filed Critical 배상철
Priority to KR20200600170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58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58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587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2Phase substances, e.g. smokes, aerosols or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 B60S3/044Hand-held cleaning arrangements with liquid or gas distribu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차량용 분사 소독기는, 본체에 설치된 소독액 저장탱크의 유출구에 가압펌프를 설치하고, 분사건에 결합되며 자가 개폐압 조절이 가능한 체크밸브를 연결호스를 통해 상기 가압펌프에 연결되게 구성하되, 상기 가압펌프가 제1 압력으로 상기 소독액을 펌핑하고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제1 압력보다 높은 제2 압력이 상기 연결호스 내부를 통해 가해짐에 따라 개방 작동하여서 상기 분사건으로 고입자상태의 소독액이 분사되도록 구성한다.
소독기, 분사, 가압펌프, 체크밸브

Description

차량용 분사 소독기{INJECTION STERILIZER FOR CARS}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분사 소독기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단면 구성도.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체크밸브의 부분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분사 소독기의 회로블록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소독기 (10)-- 하부본체
(14)-- 저장탱크 (16)-- 가압펌프
(17)-- 연결관체 (18)-- 필터
(19)-- 제1 연결호스 (20)-- 상부본체
(24)-- 제2 연결호스 (26)-- 호스릴
(27)-- 가이드롤러 (28)-- 히터
(30)-- 히터제어부 (31)-- 온도센서
(32)-- 타이머설정부 (34)-- 코인감지부
(35)-- 코인투입구 (36)-- 램프
(38)-- 감지체 (39)-- 부구
(40)-- 제어부 (42)-- 체크밸브
(44)-- 분사건 (46)-- 볼
(48)-- 스프링 (50)-- 개폐압 조정나사
본 고안은 소독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차량의 실내 또는 매트 등에 소독액을 고입자상태로 분사하도록 한 차량용 분사 소독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을 세차하기 위해서는 셀프 세차장이나 주유소의 세차장 등을 대체로 많이 이용한다. 세차장에는 매트세척기나 진공청소기 등도 설치되어 있어 사용자는 편리하게 차량 내부의 시트나 매트를 세척할 수 있다.
하지만 매트세척기나 진공청소기를 이용한 청소나 세척은 곰팡이와 같은 세균들을 제거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어 여전히 매트나 좌석시트에는 세균들이 번식을 하게되므로 차량 내부의 청결함을 떨어뜨린다.
차량 실내의 악취나 세균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일부 운전자는 소독액 분무기 등을 이용하여 분무 소독을 행하지만, 이 경우 사용자가 직접 수동 분사하므로 차량 실내를 일일이 소독하고 꼼꼼히 소독하기가 결코 쉽지 않다.
이에 따라 차량 실내를 간편하게 소독할 수 있는 소독기가 요구되고 있었으며, 그 해결의 일 예로서 실용신안등록 제373680호의 “나노실버를 이용한 차량 내부용 소독기”가 있다.
실용신안등록 제373680호의 “나노실버를 이용한 차량 내부용 소독기”는, 나노실버 콜로이드 용액과 압축공기가 각각의 전자 개폐기와 각 호스를 통해 분사건에 인입되게 하고 분사건을 통해서 혼입 분사되도록 한 것을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실용신안등록 제373680호는 공기와 용액의 혼합에 따른 소독액의 분사입자가 균일하지 못하여 시트나 매트로의 침투성이 약하므로 제대로 소독이 이루어지지 않아 그 효율성이 떨어진다. 또한 압축공기와 소독액을 이송하도록 연결된 각각의 호스들이 분사건에 결합되어 있는 등으로 그 구조가 복잡하고, 또한 사용상의 불편함도 있다. 더욱이 공기압축을 위해 공기압축기를 장치함에 따라 소독기 자체의 부피가 크고 작동소음도 큰 단점이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차량용 소독액이 차량내의 시트나 매트 등에 균일하게 침투되게하여 작은 양으로도 소독의 효율성을 보다 높여 줄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분사 소독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에 따라, 본 고안은, 차량 소독기에 있어서, 본체에 설치된 소독액 저장탱크의 유출구에 가압펌프를 설치하고, 분사건에 결합되며 자가 개폐압 조절이 가능한 체크밸브를 연결호스를 통해 상기 가압펌프에 연결되게 구성하되, 상기 가압펌프가 제1 압력으로 상기 소독액을 펌핑하고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제1 압력보다 높은 제2 압력이 상기 연결호스 내부를 통해 가해짐에 따라 개방 작동하여서 상기 분사건으로 고입자상태의 소독액이 분사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분사 소독기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도 1의 측단면 구성이며,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체크밸브의 부분 결합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분사 소독기의 회로블록 구성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분사 소독기(100)는 하부본체(10)의 상부에 상부본체(20)가 조립구성되어 본체부를 구성하되, 사용자가 사용하기 편리할 정도의 높이를 가진다. 그 높이는 대략 사용자의 눈높이 정도가 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본체(10)내에는 소독액(13)이 저장되는 소독액 저장탱크(14)와 소독액(13)을 가압 펌핑하는 가압펌프(16)가 구비된다. 가압펌프(16)는 소독액 저장탱크(14)의 저부면에 장착되며, 소독액 저장탱크(14)내부의 유출구에는 필터(18)가 설치된다. 상기 필터(18)를 통해 필터링된 소독액은 가압펌프(16)에 인입된다. 가압펌프(16)의 일 예로는 전자펌프, 기어펌프 등이 있으며 대체로 크기가 작은 소형의 펌프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압펌프(16)의 출구에는 제1 연결호스(19)가 연결되며, 상기 제1 연결 호스(19)는 소독액 저장탱크(14)에 관통 형성된 연결관체(17)를 통해 상부본체(20)내에 장치된 호스릴(26)에 연결된다. 호스릴(26)은 호스를 권취 및 권출할 수 있는 장치부이다.
상기 하부본체(4)와 하부본체(4)내의 소독액 저장탱크(14) 및 연결관체(17)는 모두 일체화 구성되므로 하부본체(4)의 부피가 줄어줌과 동시에 본체 제작도 용이하도록 해준다. 특히 저장탱크(14)를 관통하게 형성된 연결관체(17)로는 연결호스(19)뿐만 아니라 기타 다른 전선들도 지나갈 수 있으므로, 연결호스(19)나 기타 배선 등이 외부로 불필요하게 노출되지 않도록 해주는 이점을 제공한다.
도 2에서, 소독액 저장탱크(14)내 참조번호 "39"가 지칭하는 것은 부구이다.
부구(39)는 저장탱크(14)에 저장된 소독액의 수면상에 띄워지며, 부구(39)가 위치가 미리 설정된 최저수면까지 내려가게 되면 감지체(도 2 및 도 4의 38)를 작동시켜서 상부본체(20)의 외면에 장착된 램프(36a)(36b)들중 적색램프(36a)를 적색점등시킨다. 저장탱크(14)에 소독액이 정상적으로 채워져 있게되면 감지체(38)에 의해서 적색램프(36a)는 소등되고 녹색램프(36b)가 녹색점등된다.
한편 상부본체(20)의 외관을 구성함 있어, 정면부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인투입구(35)와 적색 및 녹색램프(36a)(36b)가 구비되며, 사용자에게 이용되는 분사건(44)이 설치된다.
분사건(44)에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자가 개폐조절이 가능한 체크밸브(42)가 결합되고, 체크밸브(42)의 단부에는 상부본체(20)내 호스릴(26)에 감겨져 있는 제2 연결호스(24)가 연결된다. 제2 연결호스(24)는 가이드롤러(27)에 의해 안 내되며, 상부본체(20)내에 설치된 호스릴(26)로부터 권출되어 사용자가 사용하기에 편리할 만큼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연결호스(24)는 사용자가 다 사용한 경우에는 가이드롤러(27)의 안내를 받으며 호스릴(26)에 다시 권취되어질 수 있다.
상부본체(20)내에 장치된 호스릴(26)은 사용자가 힘으로 제2 연결호스(24)를 당기면 권출되어지게 감긴 호스를 풀어지고 이용 후에는 자동이나 수동으로 풀어진 호스들이 권취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구조가 바람직하게 구현된다. 자동으로 다시 권취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의 일 예로는 코일스프링의 복원 탄발력을 이용하는 방법이나 별도의 호스 권취용 모터가 구비되게 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상부본체(20)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스릴(26)의 상방에 히터제어부(30), 타이머설정부(32), 제어부(40)를 포함하는 각종 회로부품들이 장착된다. 또한 호스릴(26)의 측부에는 히터(28)가 장치된다.
도 4에서는 도 2의 각종 회로부품을 포함하는 회로블록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주제어부(40)는 차량용 분사 소독기(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며, 특히 가압펌프(16)의 작동을 제어한다.
히터제어부(30)는 주제어부(40)의 제어 하에 히터(28)의 온도를 제어한다. 온도감지센서(31)는 상부본체(20)의 내부에 온도를 감지하여 주제어부(40)로 출력한다. 히터 제어부(30), 히터(28), 온도감지센서(31)의 구성요소는 주로 겨울철과 같은 추운 날씨로 인해 상부본체(20)의 내실에 장치된 호스릴(26)의 권취 호스와 그 내부에 잔류된 소독액이 동결되지 않도록 해주는 수단이다. 히터제어부(30)에 연결된 작동스위치 SW는 온/오프 스위치이다. 여름철과 같은 경우에는 관리자가 작동스위치 SW를 오프시켜서 히터제어부(30)에 공급되는 동작전원이 차단되도록 해준다.
타이머 설정부(32)는 관리자가 가압펌프(16)의 작동시간을 설정하면 설정된 타이머값을 주제어부(40)에 제공하고, 코인 감지부(34)는 코인투입구(35)를 통해서 코인이 투입되면 이를 감지하여 주제어부(40)로 출력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압축공기를 이용하지 않고 소독액 펌핑압력만으로 소독액이 분사될 수 있도록 구현하는데, 이를 위해 주제어부(40)는 가압펌프(16)가 제1 압력으로 저장탱크(14)의 소독액을 펌핑하도록 제어하고, 분사건(44)에 결합된 체크밸브(42)에서는 상기 제1 압력보다 높은 제2 압력이 연결호스(19,24)를 통해 가해짐에 따라 개방 작동되도록 구성되어진다. 예컨대, 상기 제1 압력은 3㎏/㎠정도이고, 제2 압력은 5㎏/㎠정도가 바람직하다.
분사건(44)에서 5㎏/㎠정도의 압력은 매우 높은 고압이 되며, 이러한 고압분사에 의해서 분사건(44)의 미세 노즐공을 통한 미세한 입자분사 및 균일한 확산분사를 가능케 해준다. 미세하게 고입자분사(㎛ 내지 nm단위임)되고 균일하게 확산분사된 입상의 분무 소독액은 매트 곳곳에 서식하고 있는 균들 거의 모두를 감싸 포획하여 사멸시킬 수 있게된다.
상기에서 언급한 제1,제2 압력은 본 고안의 일예이므로 본 고안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 이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여진다.
상기 체크밸브(42)는 자가개폐압 조절이 가능한 체크밸브로서, 도 3에 도시와 같은 구성을 갖는다.
도 3을 참조하면, 체크밸브(42)는 내부의 볼(46)을 개폐하도록 지지하는 탄지스프링(48)이 분사건(44)의 후부에 돌출형성된 개폐압 조정나사(50)의 죄임에 의해 압축 탄지되게 내부결합되어 있다. 상기 개폐압 조정나사(50)는 가압펌프(16)에서의 가압(제1 압력)보다는 상대적으로 높은 일정 압력범위내에서 조정될 수 있으며, 작업자나 사용자에 의해서 조정되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체크밸브(42)는 미리 설정된 제2 압력이 되기전까지는 분사건(44)을 통해서 소독액의 누출이나 분사가 전혀 발생되지 않도록 해주고, 제2 압력이 되어지면 밸브 개방이 되어져서 분사건(44)에서 고압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해준다. 이러한 체크밸브(42)의 구조는 적은 양의 소독액으로만으로도 상대적으로 넓은 소독영역을 감당할 수 있도록 해주므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분사 소독기는 비록 고가의 소독액이라도 이용할 수 있다.
이제 상기한 구성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자동차 매트 등을 소독하려고 하는 사용자는 차량 매트 등과 같이 소독 대상물이 있는 위치까지 제2 연결호스(24)를 당겨낸 다음 차량용 분사 소독기(100)의 코인투입구(35)를 통해 코인을 투입하게 된다.
코인투입구(35)로 코인이 투입되면 코인감지부(34)가 이를 감지하여 주제어 부(40)로 알려준다. 그에 따라 주제어부(40)는 가압펌프(16)를 작동하도록 제어한다. 가압펌프(16)가 제1 압력으로 펌핑작동하게 되면, 저장탱크(14)에 저장된 소독액은 펌핑되므로 필터(18)를 거쳐 가압펌프(16)로 유입된다. 그후 가압펌프(16) 후단의 제1 연결호스(19)로 배출되어진다.
이때 분사건(44)에 결합된 체크밸브(42)는 미리 설정된 제2압력이 인가되지 않으므로 개폐되지 않으며, 그에 따라 제1,제2 연결호스(19)(24)의 내부압력은 가압펌프(16)의 가압펌핑에 의해서 점차 증가하게된다. 그래서 제1,제2 연결호스(19)(24)의 내부압이 제2 압력까지 증가하게 되면 체크밸브(42)는 결국 개방되어지고, 제1,제2 연결호스(19)(24)에서 가압된 소독액은 분사건(44)를 통해서 분사되어질 수 있게된다.
분사건(44)에는 방아쇠가 바람직하게 구비되며, 사용자가 분사건(44)의 방아쇠를 당기게 되면 분사건(44)의 분사노즐들로부터 고입상의 소독액이 분사되어진다.
분사건(44)으로부터 소독액이 분사되어짐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매트와 같은 대상물을 소독할 수 있게 된다. 분사건(44)으로부터 분사되는 소독액은 미세한 입자분사 및 균일한 확산분사가 되어져서 차량의 실내 또는 매트의 속까지 침투하게된다. 그래서 차량 실내나 매트 곳곳에 서식하고 있는 균들 대부분을 사멸되게 해준다.
한편 주제어부(40)는 타이머설정부(32)에서 설정해준 타이머값만큼 가압펌프(16)를 작동시킨다. 만약 타이머가 만료되어지면 주제어부(40)는 가압펌프(16)의 작동을 중지시키게 되므로 차량용 분사소독기(100)의 작동은 멈추게된다.
상기 가압펌프(16)의 작동이 중지되면 제1,제2 연결호스(19)(24)의 내부압이 떨어지게 되고, 그 내부압이 제2 압력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체크밸브(42)는 자동으로 닫혀지게 된다. 즉 제1,제2 연결호스(19)(24)의 내부압이 제2 압력이 이하로 떨어지면 체크밸브(42)의 탄지스프링(48)의 탄발력에 밀려서 볼(40)이 밸브구멍을 닫아버리게 된다. 이러한 체크밸브(42)의 자동 개폐작동은 잔여 내부압에 의해서 소독액이 분사건(44)을 통해서 누출되거나 약하게 분사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어 소독액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상술한 본 고안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가지 변형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세차 후 차량의 실내 또는 매트 등에 고입자상태의 소독액을 분사되게 하므로써 소독의 효율을 높여 주도록 하고, 분사되는 소독액을 낭비를 줄여주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차량 소독기에 있어서,
    본체에 설치된 소독액 저장탱크의 유출구에 가압펌프를 설치하고, 분사건에 결합되며 자가 개폐압 조절이 가능한 체크밸브를 연결호스를 통해 상기 가압펌프에 연결되게 구성하되, 상기 가압펌프가 제1 압력으로 상기 소독액을 펌핑하고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제1 압력보다 높은 제2 압력이 상기 연결호스 내부를 통해 가해짐에 따라 개방 작동하여서 상기 분사건으로 고입자상태의 소독액이 분사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분사 소독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는 내부 볼을 압축 탄지하는 탄지스프링의 타측이 개폐압 조정나사에 지지되게 내부결합 구성하여, 상기 개폐압 조정나사를 통해 상기 자가 개방압 정도가 조정되어지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분사 소독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독액 저장탱크 내부의 소독액 유출구에 필터를 설치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분사 소독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분사 소독기가, 하부본체와 상부본체가 조립된 본체부로 구성하고, 상기 하부본체내에는 상기 소독액 저장탱크와 가압펌프가 설치되게 하고, 상기 상부본체에는 상기 소독액 저장탱크에 형성된 연결관체를 통과하여 나온 제1 연결호스를 연결하며 단부에 상기 분사건과 체크밸브가 설치된 제2 연결호스가 권취 및 권출될 수 있도록 하는 호스릴이 장치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분사 소독기.
KR2020060017044U 2006-06-23 2006-06-23 차량용 분사 소독기 KR2004258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7044U KR200425876Y1 (ko) 2006-06-23 2006-06-23 차량용 분사 소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7044U KR200425876Y1 (ko) 2006-06-23 2006-06-23 차량용 분사 소독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7080A Division KR20070122074A (ko) 2006-06-23 2006-06-23 차량용 분사 소독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5876Y1 true KR200425876Y1 (ko) 2006-09-19

Family

ID=41774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7044U KR200425876Y1 (ko) 2006-06-23 2006-06-23 차량용 분사 소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587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896B1 (ko) * 2006-10-31 2007-09-14 허문회 농축산 차량용 방역 소독장치
KR102224108B1 (ko) * 2020-07-13 2021-03-05 이우범 차량 소독을 위한 키오스크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896B1 (ko) * 2006-10-31 2007-09-14 허문회 농축산 차량용 방역 소독장치
KR102224108B1 (ko) * 2020-07-13 2021-03-05 이우범 차량 소독을 위한 키오스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02133B2 (en) Fluid dispenser
US8375476B2 (en) Odor removal system
CN102691346B (zh) 卫生清洗装置
KR200425876Y1 (ko) 차량용 분사 소독기
KR20070122074A (ko) 차량용 분사 소독기
CN108431339A (zh) 自清洗马桶组件和系统
CA2545168A1 (en) Air purifying vacuum cleaner system
US20070187530A1 (en) Process of controlled injection of fluid into air movement systems
CN210520885U (zh) 一种杀菌除臭马桶盖组件
KR102149127B1 (ko) 애완동물용 팻카라반
CN109532772A (zh) 一种分体式可自由组合的互联网智能自助洗车机
US7076812B2 (en) Sanitary cleansing apparatus and process
CN217435473U (zh) 空气消毒蒸发器
CN211143216U (zh) 一种具备超声波雾化熏香功能的智能马桶
US11473286B2 (en) Filtration assembly for reducing malaodors in air and aerosolized waste from toilets
CN208606312U (zh) 一种环保厕所空气净化消毒系统
CN111558074A (zh) 一种用于车载的消毒喷洒机构
KR20170031934A (ko) 공기청정기
JP2000301939A (ja) 自動車用除菌消臭システム
KR200373680Y1 (ko) 나노실버를 이용한 차량 내부용 소독기
KR200364237Y1 (ko) 자동차 내부 청소기
KR200404862Y1 (ko) 자동차의 공조 유니트 살균 세척장치
KR20060041120A (ko) 나노실버를 이용한 차량 내부용 소독기
CN215133871U (zh) 一种自动调节杀菌方式的轿厢杀菌装置
CN215062609U (zh) 一种高压微雾加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2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