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5684Y1 - Safety Concentric Plug - Google Patents
Safety Concentric Plu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25684Y1 KR200425684Y1 KR2020060015713U KR20060015713U KR200425684Y1 KR 200425684 Y1 KR200425684 Y1 KR 200425684Y1 KR 2020060015713 U KR2020060015713 U KR 2020060015713U KR 20060015713 U KR20060015713 U KR 20060015713U KR 200425684 Y1 KR200425684 Y1 KR 200425684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plug
- case
- switch
- insertion groov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1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the switch being a safety switch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Abstract
본 고안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어린 아이들이 콘센트의 단자 구멍에 전도체를 끼운 상태로 장난하더라도 감전되지 않게 2중으로 안전장치를 구비한 안전 콘센트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utlet for supplying power,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afety outlet equipped with a double safety device so as to prevent electric shock even when children play with a conductor inserted in the terminal hole of the outle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안전 콘센트는 플러그가 삽입되도록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의 안쪽 바닥면에는 플러그 단자가 삽입될 수 있게 2개의 삽입구멍이 형성된 케이스 상판과, 케이스 하판이 결합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로 연장된 케이블을 포함하는 안전 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삽입구멍에 삽입된 상기 플러그 단자와 접촉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고정된 플러그 접촉단자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케이블이 연결되어 전류가 흐르는 전원 공급단자와, 상기 케이스 상판을 관통해 상기 삽입홈의 안쪽으로 돌출되어 나와 있으며 상기 삽입홈에 끼워진 상기 플러그에 의해 눌려져 이동하는 스위치의 둘레를 감싸며, 상기 스위치의 이동에 따라 상기 플러그 접촉단자와 상기 전원 공급단자를 접속하거나 탈락하는 스위치 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Safety outle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he insertion groove is formed so that the plug is inserted into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the upper case of the case formed with two insertion holes so that the plug terminal can be inserted, the lower case A safety socket including a coupled case and a cable extending to the case, the plug contact terminal fixed inside the case to be in contact with the plug terminal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and positioned inside the case; The cable is connected to a current supplying power supply terminal, and penetrates around the switch which is pushed out by the plug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and protrudes into the insertion groove through the upper case of the cas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plug contact terminal and the power supply terminal or And that is configured to include a lock switch terminal according to the technical features.
안전 콘센트, 플러그, 플러그 접촉단자, 스위치, 스위치 단자, 전원공급단자 Safety outlet, plug, plug contact terminal, switch, switch terminal, power supply terminal
Description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afety out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안전 콘센트의 케이스 하판 내부를 나타낸 평면도이고,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case bottom plate of the safety outlet shown in Figure 1,
도 3a은 도 1에 도시된 안전 콘센트에 플러그를 꼽기 이전에 단면도이고,3A is a cross sectional view prior to plugging into the safety outlet shown in FIG. 1, FIG.
도 3b는 도 3a의 상태에서 플러그를 꼽았을 때에 안전 콘센트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3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safety outlet when the plug is plugged in the state of FIG. 3A.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안전 콘센트에 긴 전도체를 삽입하고 기울였을 때에 관계를 나타낸 평면도이다.4 is a plan view showing the relationship when the long conductor is inserted and tilted in the safety outlet shown in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플러그 5 : 플러그 단자1: plug 5: plug terminal
100 : 콘센트 101 : 케이스 100: outlet 101: case
105 : 삽입홈 107 : 삽입구멍105: insertion groove 107: insertion hole
110 : 플러그 접촉단자 120 : 스위치 단자110: plug contact terminal 120: switch terminal
130 : 전원 공급단자 140 : 스위치130: power supply terminal 140: switch
141 : 블록 143 : 누름봉141: block 143: push bar
145 : 코일스프링 150 : 판스프링145: coil spring 150: leaf spring
본 고안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어린 아이들이 콘센트의 단자 구멍에 전도체를 끼운 상태로 장난하더라도 감전되지 않게 2중으로 안전장치를 구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utlet for supplying power, and in particular, it is equipped with a double safety device so as to prevent electric shock even when children play with a conductor inserted in the terminal hole of the outlet.
가정 또는 사무실 등과 같이 사람이 머물 수 있는 곳에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콘센트가 벽에 고정되어 위치한다. 이와 같은 전원 콘센트에는 사람이 감전되어 사망할 수 있을 정도의 고압 전류가 흐르는데, 자칫 어린 아이들이 콘센트의 구멍에 못, 젓가락 등과 같은 전도체를 삽입시켜 감전되는 사고가 종종 발생한다.Where people can stay, such as homes or offices, power outlets that supply power are fixed to the wall. Such a power outlet has a high-voltage current that can cause a person to be electrocuted and die. Often, an electric shock occurs when a small child inserts a conductor such as a nail or chopstick into a hole in the outlet.
이와 같은 안전사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고안으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397590호(고안의 명칭 : 안전 콘센트)에 기술된 안전 콘센트는 콘센트의 안쪽 내면에 한 쌍의 스위치가 위치하여 플러그의 단자를 콘센트의 삽입 구멍에 끼운 상태에서 플러그로 한 쌍의 스위치를 눌러야만 전원이 공급되도록 구성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such a safety accident, the safety outlet described in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375590 (designation name: safety outlet) has a pair of switches located on the inner inner side of the outlet, Is pressed into the insertion hole of the outlet and the power is supplied only by pressing a pair of switches with a plug.
따라서 어린 아이가 전도체를 콘센트의 삽입 구멍에 전도체를 끼우더라도 한 쌍의 스위치를 누르지 않으면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 감전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종래의 안전 콘센트에는 스위치라는 1차적인 안전장치가 포함되어 있다.Therefore, even if a child inserts a conductor into the insertion hole of the outlet, the power is not supplied unless a pair of switches are pressed, and thus electric shock is not provided. As such, the conventional safety outlet includes a primary safety device called a switch.
하지만, 이와 같은 1차적인 안정장치에도 불구하고, 어린 아이들이 콘센트의 양 삽입구멍에 전도체를 각각 삽입하고, 한 쌍의 스위치를 눌렀을 경우에는 전원이 공급되어 감전될 수 있다.However, in spite of the primary stabilization device, when children insert conductors into both insertion holes of the outlet and press a pair of switches, electric power may be supplied and electric shock may occur.
본 고안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콘센트의 양 삽입구멍에 전도체를 각각 삽입하고, 한 쌍의 스위치를 누르고자 전도체를 기울이면 콘센트 내부의 전원단자와 전도체가 탈락되어 스위치를 누르더라도 전원공급이 이루어지지 않게 구성한 2중 안전장치를 구비한 안전 콘센트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conductor is inserted into each of the insertion hole of the outlet, respectively, tilt the conductor to press a pair of switches, the power terminal and the conductor inside the outlet is droppe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afety outlet equipped with a double safety device that is configured so that the power supply is not made even if the switch is press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안전 콘센트는 플러그가 삽입되도록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의 안쪽 바닥면에는 플러그 단자가 삽입될 수 있게 2개의 삽입구멍이 형성된 케이스 상판과, 케이스 하판이 결합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로 연장된 케이블을 포함하는 안전 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삽입구멍에 삽입된 상기 플러그 단자와 접촉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고정된 플러그 접촉단자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케이블이 연결되어 전류가 흐르는 전원 공급단자와, 상기 케이스 상판을 관통해 상기 삽입홈의 안쪽으로 돌출되어 나와 있으며 상기 삽입홈에 끼워진 상기 플러그에 의해 눌려져 이동하는 스위치의 둘레를 감싸며, 상기 스위치의 이동에 따라 상기 플러그 접촉단자와 상기 전원 공급단자를 접속하거나 탈락하는 스위치 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Safety outle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he insertion groove is formed so that the plug is inserted into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the upper case of the case formed with two insertion holes so that the plug terminal can be inserted, the lower case A safety socket including a coupled case and a cable extending to the case, the plug contact terminal fixed inside the case to be in contact with the plug terminal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and positioned inside the case; The cable is connected to a current supplying power supply terminal, and penetrates around the switch which is pushed out by the plug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and protrudes into the insertion groove through the upper case of the cas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plug contact terminal and the power supply terminal or And that is configured to include a lock switch terminal according to the technical features.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플러그 접촉단자는 판상구 조로서, 상기 하판에 형성된 걸림턱에 끼워져 수직하게 세워져 위치함에 따라 상기 플러그 단자와 선접촉하며, 상기 플러그 단자와 접하는 일측으로 개방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삽입홈으로 돌출된 누름봉과, 상기 스위치 단자가 감싸는 절연체인 블록 및, 상기 블록을 밀어내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플러그 접촉단자가 개방된 부위와는 상기 절연체인 블록이 대응하여 위치하고, 상기 삽입홈의 안쪽에는 끼워진 플러그를 가압하도록 판스프링이 위치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g contact terminal is a plate-like structure, is inserted into the engaging jaw formed in the lower plate vertically in contact with the plug terminal as the vertical position, to one side in contact with the plug terminal The switch is open, and the switch includes a push rod protruding into the insertion groove, a block that is an insulator wrapped by the switch terminal, and a coil spring for pushing the block, and a block that is insulated from the open portion of the plug contact terminal. The corresponding spring is positioned, and the leaf spring is positioned to press the plug inserted inside the insertion groove.
아래에서, 본 고안에 따른 안전 콘센트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In the following,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a safety out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면에서,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안전 콘센트의 케이스 하판 내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3a은 도 1에 도시된 안전 콘센트에 플러그를 꼽기 이전에 단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상태에서 플러그를 꼽았을 때에 안전 콘센트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안전 콘센트에 긴 전도체를 삽입하고 기울였을 때에 관계를 나타낸 평면도이다.In the drawings, Figure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afety out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lower case of the safety outlet shown in FIG. And Figure 3a is a cross-sectional view before plugging the plug into the safety outlet shown in Figure 1, Figure 3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safety outlet when plugged in the state of Figure 3a, Figure 4 is a safety shown in Figure 1 This is a plan view showing the relationship when the long conductor is inserted into the outlet and tilted.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센트(100)에는 한 쌍을 이룬 삽입구멍(107)이 2개 형성되고, 내부에는 각 삽입구멍(107)에 대해 플러그 접촉단자(110)와 스위치 단자(120) 및 전원 공급단자(130)가 각각 위치하되, 스위치 단자(120)가 상하로 이동하면서 플러그 접촉단자(110)와 전원 공급단자(130)를 연결 또는 탈락시킨다.1 and 2, the
그리고 원기둥 형태의 플러그 단자(5)는 콘센트(100)의 삽입구멍(107)에 꼽 힌 상태에서, 플러그 접촉단자(110)와 선접촉 상태로 위치한다.And the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안전 콘센트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afety outle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센트(100)의 케이스(101)는 상판(101H)과 하판(101L)으로 구분되며, 상판(101H)과 하판(101L)이 체결된다. 상판(101H)에는 2개의 플러그(1)를 각각 꼽을 수 있는 삽입홈(105)이 2개 형성되며, 각 삽입홈(105) 안쪽 바닥면에는 플러그 단자(5)가 삽입되는 2개의 삽입구멍(107)이 형성되며, 한 쌍의 삽입구멍(107) 바깥측에는 스위치(140)의 누름봉(143)이 돌출되어 위치한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이와 같이 구성된 콘센트(100)의 케이스(101)에 있어서, 한 쌍의 삽입구멍(107)에 플러그 단자(5)를 각각 끼우면, 플러그(1) 몸체(3)가 삽입구멍(107)의 바깥측에 위치한 스위치 누름봉(143)을 누르도록 구성된다.In the
한편, 2개의 삽입홈(105)이 형성된 케이스(101)의 내부에는 4개의 플러그 접촉단자(110)와 4개의 스위치 단자(120) 및 2개의 전원 공급단자(130)가 내장되는데, 4개의 플러그 접촉단자(110) 및 4개의 스위치 단자(120)는 각 삽입구멍(107)에 대응하여 위치하고, 2개의 전원 공급단자(130)는 다른 쌍을 이루지 않으며 나란하게 위치한 다른 스위치 단자와 접속되거나 탈락되는 지점에 위치하며, 2개의 전원 공급단자(130)에는 각각 전원 케이블(131)이 연결된다.Meanwhile, four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접촉단자(110)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직사각형 동판을 길이방향으로 두 지점에서 절곡하여 'ㄷ'형으로 절곡한 후에 평행한 두 변을 다시 안쪽으로 절곡한 모양으로서, 평행한 두 변을 안쪽으로 절곡함에 있 어서는 어느 한 변은 끝단부를 절곡하고 다른 한 변은 중간부를 절곡하여 평행한 두 변의 길이가 서로 다르게 구성한다.As shown in FIG. 1, the
여기에서 플러그 접촉단자(110)를 케이스(101)의 하판(101L)에 장착하였을 때에, 중간부를 절곡하여 길이가 짧은 변(111)의 절곡부가 하판에 형성된 걸림턱(103)들 사이에 끼워져 안정적으로 위치한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변(113)의 안쪽에도 걸림턱(103)이 위치하여 플러그 접촉단자(110)는 케이스(101)의 하판(101L)에 안정적으로 위치한다. Here, when the
또한 플러그 접촉단자(110)는 한 쌍을 이루어 플러그 단자(5)에 각각 접촉하게 되는데, 플러그 접촉단자(110)의 짧은 변(111)과 긴 변(113)을 연결하는 폐쇄변(115)의 안쪽이 플러그 단자(5)와 접하게 된다.In addition, the
이와 같이 하판(101L)에 형성된 걸림턱(103)들에 의해 지지된 플러그 접촉단자(110)는 다수 회 절곡되어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위치하며 플러그 접촉단자(110)의 폐쇄변(115) 안쪽이 개방된 형태를 갖는다.As such, the
한편 플러그 접촉단자(110)의 측부에는 스위치 단자(120)가 위치한다. 스위치 단자(120)는 하판(101L)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상하 이동하게 구성된 스위치(140)에 고정된다.On the other hand, the
구체적으로, 스위치 단자(120)는 스위치(140)의 둘레에 고정된 상태로 스위치(140)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데, 하향으로 이동하면 플러그 접촉단자(110)에 접하게 되고, 반대로 상향으로 이동하면 플러그 접촉단자(110)와 떨어지게 된다. 여기에서 스위치(140)는, 스위치 단자(120)가 감싸인 블록(141)과, 상기 블록(141)의 상면에 위치한 원기둥 형태의 누름봉(143)과, 블록(141)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블록(141)이 상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스프링(145)을 포함한다. 따라서 플러그 단자(5)가 삽입구멍(107)에 꼽히면 플러그 몸체(3)에 의해 누름봉(143)이 눌려 스위치 단자(120)가 하향으로 이동하면서 플러그 접촉단자(110)와 접하게 된다. 여기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 단자(120)는 블록(141)을 완전히 감싸는 것이 아니고, 상하이동함에 따라 플러그 접착단자(110)와 전원 공급단자(130)를 연결할 수 있는 부분만 감싸 위치한다.Specifically, the
이와 같이 스위치 단자(120)가 상하로 이동하면서 플러그 접촉단자(110)와 접하듯이, 스위치 단자(120)는 전원 공급단자(130)와 접하거나 탈락된다. 전원 공급단자(130)는 플러그 접촉단자(110)와 떨어져 위치하며 스위치 단자(120)가 이들 플러그 접촉단자(110)와 전원 공급단자(130)를 연결하거나 탈락시킨다. As the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안전 콘센트에 플러그를 꼽았을 때에 작동관계에 대해 설명한다.The following describes the operation relationship when the plug is plugged into the safety outle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1) 상면에 형성된 삽입구멍(107)에 플러그 단자(5)를 꼽으면, 2개의 플러그 단자(5)는 케이스(101)의 내부에 위치한 2개의 플러그 접촉단자(110)의 폐쇄변(115) 내측에 접하게 되고, 플러그 몸체(3)는 2개의 삽입구멍(107) 바깥측에 위한 누름봉(143)을 누른다.As shown in FIGS. 3A and 3B, when the
플러그 접촉단자(110)와 플러그 단자(5)가 접한 상태에서 스위치(140)가 하향이동하여 플러그 접촉단자(110)와 스위치 단자(120) 및 전원 공급단자(130)가 접하면 플러그 단자(5)로 전류가 흘러 전원이 공급된다.When the
이 상태에서 플러그(1)를 콘센트(100)에서 뽑으면, 플러그 단자(5)가 플러그 접촉단자(110)에서 탈락되면서 스위치 단자(120)도 코일스프링(145)의 탄성력에 의해 상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전류는 전원 공급단자(130)까지만 흐르게 된다.When the plug 1 is removed from the
이와 같이 작동하는 안전 콘센트(100)에 있어서, 어린 아이가 가늘고 긴 전도체를 삽입구멍에 끼웠을 때에 1차적으로 누름봉(143)을 누르지 않으면 전류는 전도체까지 흐르지 않게 된다. 더욱이, 전류가 인체까지 흐르게 되려면, 어린 아이가 전도체를 두 개의 플러그 접촉단자(110)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2개의 스위치 누름봉(143)을 함께 눌러야 한다. 따라서 1차적인 안전장치 즉 스위치(140)를 갖는 안전 콘센트만으로도 안전하지만, 본 고안의 안전 콘센트(100)는 어린 아이가 인위적이든 고의적이든 스위치의 누름봉(143)을 누르기 위해서는 전도체가 플러그 접촉단자(110)와 탈락될 수 밖에 없는 구조를 갖는다.In the
즉, 2개의 삽입구멍(107)에 못, 젓가락과 같은 가늘고 긴 2개의 전도체를 각각 삽입하여 플러그 접촉단자(110)의 폐쇄변(115) 내측에 접촉된 상태에서, 누름봉(143)을 누르기 위해서는 삽입한 전도체의 상부를 서로 가까운 쪽으로 이동시켜야 한다. 즉 삽입구멍(107) 바깥측에 위치한 누름봉(143)을 누르기 위해서는 삽입구멍(107)에 삽입시킨 한 쌍의 전도체 상단은 가깝게 기울어야 누름봉(143)을 누를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That is, pressing the
이와 같이 전도체의 상단을 상호 가까운 쪽으로 기울이게 되면, 도 4에 보이듯이, 전도체의 하단은 반대로 상호 벌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플러그 접촉단자(110)와 떨어져 탈락된다. 이 상태에서 누름봉(143)을 누르더라도 전도체 하 단은 플러그 접촉단자(110)에서 떨어져 스위치(140)의 블록(141)에 접하게 된다. 블록(141)은 절연체인 플라스틱으로서 전도체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아 안전하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upper ends of the conductors are inclined toward each other, as shown in FIG. 4, the lower ends of the conductors are separated from the
반대로, 전도체의 상단을 멀어지는 쪽으로 벌리면 전도체의 하단은 플러그 접촉단자(110)의 폐쇄변(115) 내측에 접한 상태를 유지하지만, 스위치(140)의 누름봉(143)을 누를 수 없어 전원 공급이 차단된다.On the contrary, when the upper end of the conductor is opened away from the conductor, the lower end of the conductor remains in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한편, 원기둥 형태의 플러그 단자(5)와 판상 구조를 세워둔 플러그 접촉단자(110)는 선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삽입구멍(107)에 끼워진 플러그 단자(5)를 잡아주는 힘이 없다. 이에 반해, 스위치(140)의 코일스프링(145)은 플러그(1)가 뽑히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기 때문에, 플러그(1)를 콘센트(100)에 꼽은 상태에서 시간이 지나면 코일스프링(145)의 탄성력에 의해 플러그(1)가 점차 뽑히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콘센트(100)에는 판스프링(150)이 장착되어 코일스프링(145)에 의해 플러그(1)가 밀려나는 것을 방지한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판스프링(150)은 'ㄷ'자 형태로서, 평행한 두 변의 안쪽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형태로서, 판스프링(150)의 폐쇄변은 케이스(101)의 상판과 하판 사이에 위치하고, 판스프링(150)의 양 두 변은 케이스(101)의 삽입홈(105)을 관통해 삽입홈(105) 안쪽에 위치한다. 그리고 판스프링(150)의 폐쇄변은 케이스의 하판을 돌아서 위치하며, 볼트가 상기 폐쇄변을 관통해 하판에 체결 고정된다.The
이와 같이 판스프링(150)의 양 변이 삽입홈(105) 안쪽에 돌출되어 있어, 플러그(1)를 삽입홈(105)에 끼웠을 때에 판스프링(150)의 양 변에 형성된 볼록부가 플러그 몸체(3) 양측면을 가압하여 코일스프링(145)의 탄성력에 의해 플러그(1)가 뽑히는 것을 막을 수 있다.As such, both sides of the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안전 콘센트는 1차적인 안전장치로서 스위치가 구비되어 있으며, 2차적으로는 플러그 접촉단자에 플러그 단자가 선접촉함에 따라 어린 아이들이 전도체를 수직하게 꼽지 않을 경우에는 전도체와 플러그 접촉단자의 접촉이 떨어져 스위치를 눌러 전원을 공급하더라도 전도체까지 전류가 흐르지 않게 구성하고 있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afety outl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switch as a primary safety device, and secondly, when a young child does not plug the conductor vertically as the plug terminal is in line contact with the plug contact terminal. The contact between the conductor and the plug contact terminal is separated so that the current does not flow to the conductor even when the power is supplied by pressing the switch.
따라서 2중적인 안전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어린 아이의 감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by providing a double safety devic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prevent the electric shock of young children in advance.
이상에서 본 고안의 안전 콘센트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e technical idea of the safety so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is is only illustrative of the be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15713U KR200425684Y1 (en) | 2006-06-12 | 2006-06-12 | Safety Concentric Plu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15713U KR200425684Y1 (en) | 2006-06-12 | 2006-06-12 | Safety Concentric Plug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25684Y1 true KR200425684Y1 (en) | 2006-09-19 |
Family
ID=41774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15713U KR200425684Y1 (en) | 2006-06-12 | 2006-06-12 | Safety Concentric Plu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25684Y1 (en)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43153B1 (en) * | 2009-07-28 | 2010-02-22 | 장우현 | Outlet for preventing electrical shock |
KR100993480B1 (en) * | 2010-04-28 | 2010-11-10 | 영동테크윈 주식회사 | Connecting apparatus for power |
KR101205712B1 (en) * | 2010-10-08 | 2012-11-28 | 전자부품연구원 | Receptacle and method for self standby power cut OFF |
KR101233411B1 (en) * | 2010-07-13 | 2013-02-15 | (주)마이크로디지탈 | Power controllable electric outlet and power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same |
KR101476703B1 (en) * | 2014-06-10 | 2014-12-26 | (주)대성 | Safety electric outlet |
KR101760794B1 (en) * | 2015-12-11 | 2017-07-24 | 손성락 | Safety electric outlet |
-
2006
- 2006-06-12 KR KR2020060015713U patent/KR200425684Y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43153B1 (en) * | 2009-07-28 | 2010-02-22 | 장우현 | Outlet for preventing electrical shock |
KR100993480B1 (en) * | 2010-04-28 | 2010-11-10 | 영동테크윈 주식회사 | Connecting apparatus for power |
KR101233411B1 (en) * | 2010-07-13 | 2013-02-15 | (주)마이크로디지탈 | Power controllable electric outlet and power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same |
KR101205712B1 (en) * | 2010-10-08 | 2012-11-28 | 전자부품연구원 | Receptacle and method for self standby power cut OFF |
KR101476703B1 (en) * | 2014-06-10 | 2014-12-26 | (주)대성 | Safety electric outlet |
WO2015190827A3 (en) * | 2014-06-10 | 2016-02-04 | (주)대성 | Safety socket |
KR101760794B1 (en) * | 2015-12-11 | 2017-07-24 | 손성락 | Safety electric outle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385588B1 (en) | Safe electrical outlet | |
KR200425684Y1 (en) | Safety Concentric Plug | |
JP2012507127A (en) | Terminal for connecting the end of the lead wire | |
EP3059807B1 (en) | Connection terminal | |
US4148540A (en) | Electrical coupling devices | |
US9130296B2 (en) | Power jack with a movable socket cover | |
KR20120105383A (en) | Wire-to-wire connector | |
CN102934287A (en) | Contact element for plug arrangement | |
KR101301250B1 (en) | Insulation socket of apartment house for prevents accident by a electric shock | |
JPH10134857A (en) | Connecting member | |
US3467941A (en) | Duplex socket contact with breakoff tab | |
WO2004015823A1 (en) | An electrical connector for a wireless electrical apparatus | |
MY117442A (en) | Socket for electrical parts with guide wall section to keep lever members from coming off | |
KR20110065800A (en) | (multi-tap concentic plug) | |
WO2013073118A1 (en) | Cable connection terminal and wiring fixture equipped with same | |
CN103972742B (en) | Anti-electric shock socket | |
CN102318145B (en) | Electrical outlet with lateral connection | |
KR200340351Y1 (en) | A safety appartus for concent | |
KR200311290Y1 (en) | Opening and Shutting Equipment for Plug Hole of Plug Socket Assembly | |
KR101850145B1 (en) | Module Apparatus to Connect Wires easily and Switch Apparatus using thereof | |
KR200346211Y1 (en) | Plug socket for easily separating a plug | |
KR101355864B1 (en) | Socket | |
WO2001004996A1 (en) | Electric receptacle | |
CN217062591U (en) |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and corresponding connector kit | |
KR102530388B1 (en) | Safety cover also using as power outle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90827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