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4223Y1 - A separation type neck tie - Google Patents

A separation type neck ti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4223Y1
KR200424223Y1 KR2020060009372U KR20060009372U KR200424223Y1 KR 200424223 Y1 KR200424223 Y1 KR 200424223Y1 KR 2020060009372 U KR2020060009372 U KR 2020060009372U KR 20060009372 U KR20060009372 U KR 20060009372U KR 200424223 Y1 KR200424223 Y1 KR 2004242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e
knot
exposed
neck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9372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윤채
Original Assignee
김윤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채 filed Critical 김윤채
Priority to KR20200600093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4223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42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4223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Neckties
    • A41D25/02Neckties with ready-made knot or bow, with or without bands
    • A41D25/022Neckties with ready-made knot or bow, with or without bands with knot simulated by a ring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Neckties
    • A41D25/02Neckties with ready-made knot or bow, with or without bands
    • A41D25/04Bands; Fastening devices for the b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분리형 매듭구가 구비된 넥타이에 관한 것으로서, 넥타이의 착용이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함께 노출이 이루어지는 부위의 부분 교체를 통해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ie provided with a detachable knot, and to allow the wearing of the tie more easily, and to create a variety of atmospheres through partial replacement of the exposed parts.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착용자의 목부분에 안착 고정되는 목고정부와, 전면측에 노출되는 노출 타이부, 상기 목고정부 및 노출 타이부가 결합 지지되어질 수 있도록 다수의 지지봉이 수평형태를 이루는 가운데 상하로 배열된 매듭구가 상호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is, while the neck portion is fixed to the neck portion of the wearer, the exposed tie portion exposed to the front side, while the plurality of support rods to form a horizontal form so that the neck portion and the exposed tie portion can be combined and supported The knots arranged up and down are mutually removable.

넥타이, 매듭, 분리, 타이, 지지봉 Tie, Knot, Isolate, Tie, Support Rod

Description

분리형 매듭구가 구비된 넥타이{A SEPARATION TYPE NECK TIE}Tie with detachable knot {A SEPARATION TYPE NECK TIE}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넥타이의 분해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i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듭구에 목고정부가 결합된 상태도.Figure 2 is a state in which the neck portion is coupled to the knot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듭구에 노출 타이부가 결합된 상태도.3 is a state in which the exposed tie portion is coupled to the kn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넥타이의 실시 상태도.Figure 4 is an embodiment of a ti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 실시예의 응용예에 따른 매듭구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Figure 5 as showing a knot sphere structure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는 지지봉 분리 상태도.5a is a support rod detached state diagram.

5b는 지지봉 요부 단면도.5b is a sectional view of the main bar.

5c는 지지봉 결합상태 단면도.5c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upporting rod.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듭구 부품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of a knotted pa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넥타이 실시 상태도.7 and 8 is a tie st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10' : 목고정부 11,11': 착용부10,10 ': Mokgo Government 11,11': Wearing Department

12,12': 조절부 20 : 노출 타이부12,12 ': adjusting part 20: exposed tie part

21 : 체결용 고리 30,40 : 매듭구21: fastening ring 30,40: knot

31 : 분할턱 32 : 측벽31: split chin 32: side wall

33 : 수평 지지봉 33a: 탄성핀33: horizontal support bar 33a: elastic pin

33b: 걸림턱 33c: 스프링33b: engaging jaw 33c: spring

34,44 : 체결홈 35 : 이격공간34,44 fastening groove 35: spaced apart

41 : 체결단 43 : 수직 지지봉41: fastening end 43: vertical support rod

본 고안은 넥타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목부분에 착용되는 넥타이를 별도의 매듭구를 이용하는 분리형태의 구조로 이룸으로서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ie, and more particularly,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use by forming a tie worn on the neck portion in a separate form using a separate knot.

일반적으로 넥타이는 정장차림시 품위와 예의를 갖추기 위해 착용하는 것이었으나, 현대사회에서는 정장차림 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의복에도 개선이나 미려함을 연출하기 위해 착용하고 있다.In general, a tie is worn for dignity and courtesy in formal attire, but in modern society, it is worn not only in formal attire but also for improvement or beauty in ordinary clothing.

이러한 넥타이는 양쪽의 폭이 다른 긴 띠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서, 착용하는 방법은 개인의 취향이나 습성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기본적으로는 동일한 매듭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매듭 형성 과정은 양손을 사용하면서 앞쪽의 길이가 너부 길거나 짧아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기 때문에, 매번 적지 않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형성되는 매듭모양도 항상 다르게 된다.These ties form a long band with different widths on both sides, and the way of wearing varies slightly depending on the taste and habit of the individual, but basically the same knot method is used. However, the knot forming process is careful not to be too long or short in the front while using both hands, not only takes a lot of time every time, but also the knot shape is always different.

따라서, 형성된 매듭모양이 미려하지 못하거나 넥타이 길이가 잘못 조절된 경우 몇 번씩 반복하여 매듭을 형성해야 함으로 귀중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if the formed knot shape is not beautiful or the length of the tie is incorrectly adjust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takes valuable time because the knot should be repeatedly formed several times.

한편, 최근에는 매듭을 신속하며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매듭이 미리 형성되어 있고 치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지퍼가 마련된 넥타이가 시판되고 있으나, 이와 같은 종래 넥타이는 매듭의 형태 및 색깔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쉽게 식상하게 되고 지퍼 고장시 수리가 어려워 전체 넥타이를 폐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in recent years, knots are pre-formed to quickly and simply form knots, and ties provided with zippers for adjusting dimensions are commercially available. However, such a conventional tie is fixed in shape and color of the knot. Was easily eaten and difficult to repair in case of zipper failur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entire tie must be discarded.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전체적인 결합구조를 단순화 하여 사용이 간편하며 고장시 수리 또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propos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in the prior art, it is an object to simplify the overall coupling structure to be easy to use and to be easily repaired in case of failure.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매듭부위와 타이부분이 분리 및 체결이 가능하도록 하여 부분 교체를 통한 다양한 디자인 및 색상을 연출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the knot portion and the tie portion to be separated and fastened to produce a variety of designs and colors by replacing parts.

상기 목적은, 착용자의 목부분에 안착 고정되는 목고정부와, 전면측에 노출되는 노출 타이부 및 상기 목고정부 및 노출 타이부가 지지되어질 수 있도록 다수의 지지봉이 수평형태를 이루는 가운데 상하로 배열된 매듭구가 상호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매듭구가 구비된 넥타이 구조를 통해 이룰 수 있게 된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knot arranged to be fixed to the neck of the wearer, the exposed tie portion exposed to the front side and a plurality of knots arranged vertically while the support rod is formed horizontally so that the neck portion and the exposed tie portion are supported. It is possible to achieve through the tie structure provided with a detachable knot, characterized in that the sphere is configured to be removable.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 1 <The first 실시예Example >>

먼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넥타이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착용자의 목부위에 착용되어질 수 있도록 타이의 일단이 중단에 봉합되어 형성된 착용부(11)와 상기 착용부(11)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어져 착용부(11)의 크기를 가변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12)로 이루어진 목고정부(10)와, 일정 길이를 이루며 전면측으로 노출되는 노출 타이부(20)와, 상기 목고정부(10)의 조절부(12) 및 노출 타이부(20)가 각각 체결 지지되는 가운데 정형화된 기존의 매듭 형상을 이루는 매듭구(30)로 이루어진다.First, referring to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ti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ures 1 to 5, one end of the tie is sutured to the stop so that the wearer can be worn on the neck of the wearer and the It is formed extending to one side of the wearing portion 11, the neck fixing portion (10) consisting of an adjusting portion 12 for varying the size of the wearing portion 11, and exposed tie portion 20 to form a predetermined length exposed to the front side ), And the adjusting portion 12 and the exposed tie portion 20 of the neck fixing portion 10 are formed by knots 30 forming a conventional knot shape.

특히, 본 실시예에서의 매듭구(30)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목고정부(10)의 체결시 양측으로 분할되는 것을 안내하기 위해 상부에 형성된 분할턱(31)과, 양측에서 후방측으로 연장 형성된 측벽(32)이 일체형의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상부 양측에는 목고정부(10)를 안내하기 위한 이격공간(35)이 소정 높이(d)로 이격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측벽(32)에는 양단이 고정되는 다수의 지지봉(33)이 상하방향으로 배열 구성되었다.In particular, the knot 30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is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divided jaw 31 formed to guide the division to both sides when the neck fastener 10 is fastened, and is formed extending from both sides to the rear side The side wall 32 forms an integrated structure, and spaced spaces 35 for guiding the neck fixing part 10 are formed at predetermined heights 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ide, and both ends are fixed to the side wall 32. A plurality of supporting rods 33 are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또한, 노출 타이부(20) 상단에는 지지봉(33)에 체결 가능하도록 체결용 고리(21)가 구성되어져 있다.In addition, the hook 21 for fastening is configured at the upper end of the exposed tie portion 20 so as to be fastened to the support bar 33.

한편, 도 5에서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넥타이의 응용가능한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32)의 내측면에 양측에서 쌍을 이루는 체결홈(34)을 형성시킴과 함께 지지봉(33)은 일단에 탄성핀(33a)이 걸림턱(33b)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도록 구비할 수 있으며, 지지봉(33) 내부에는 탄성핀(33a)을 탄성 지 지하는 스프링(33c)이 내재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Figure 5 shows the applicable configuration of the ti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s shown in the support rod 33 while forming a pair of fastening grooves 34 to be paired on both side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32 The elastic pin (33a) at one end may be provided to prevent the departure by the locking step (33b), the support rod 33, the spring 33c is elastically supporting the elastic pin (33a) is embedded.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1은 목고정부(10)의 가변 조절을 위해 매듭형태로 형성되어진 조절 매듭부를 나타낸다.In the figure, reference numeral 11 denotes an adjustment knot formed in a knot shape for variable adjustment of the neck fixing portion 10.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일 실시예에 따른 넥타이의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The effect of the ti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constituting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본 고안의 매듭구(30)에 목고정부(10)를 도 2에서와 같은 형태로 결합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조절부(12)의 일측을 매듭구(30)의 양측 측벽(32)에 지지되고 있는 다수개의 수평 지지봉(33)상에 교번하는 형태로 번갈아 끼워줌으로서 매듭구(30)와 목고정부(10)간의 체결상태를 이루게 되며, 착용부(11)는 분할턱(31)에 의해 양측으로 분할되어지는 동시에 이격공간(35)에 안내되어 안정적인 체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First, the neck fixing portion 10 is coupled to the knots 30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wherein one side of the adjusting part 12 is connected to both side walls 32 of the knots 30. By alternately fitting in a plurality of horizontal support rods 33 being supported to form a fastening state between the knots 30 and the neck fixing portion 10, the wearing portion 11 to the split jaw (31) By being divided into both sides at the same time is guided to the separation space 35 to maintain a stable fastening state.

그리고, 노출 타이부(20)와 매듭구(30)간의 결합은 도 3에서와 같이 노출 타이부(20)의 상단에 구비된 체결용 고리(21)를 상기 수평 지지봉(33)에 체결시킴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And, the coupling between the exposed tie portion 20 and the knot 30 is made by fastening the fastening ring 21 provided on the top of the exposed tie portion 20 to the horizontal support rod 33 as shown in FIG. It becomes possible.

따라서, 본 고안의 넥타이는 도 4에서와 같이 체결이 완료된 상태 또는 분리된 상태로 보관이 이루어지게 되며, 넥타이를 착용코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목고정부(10)의 착용부(11)를 자신의 목부위에 걸고서 조절부(12)를 당기면 착용부(11)가 부분적으로 매듭구(30)측에 유입되면서 착용부(11)의 크기가 적절하게 조절되고, 이에 따라 신속하면서 용이한 착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ti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tored in a state in which the fastening is completed or separated as shown in FIG. 4, and when the user wants to wear a tie, the user attaches the wearing part 11 of the neck fixing portion 10 to his neck. Pulling the adjusting part 12 on the part, the wearing part 11 is partially introduced into the knot 30, so that the size of the wearing part 11 is appropriately adjusted, thereby making quick and easy wearing. It will be possible.

특히, 목고정부(10)가 본 고안 매듭구(30)의 수평 지지봉(33)에 의해 안정적 인 결합상태를 유지하므로 착용상태에서 흘러내리거나 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되며, 넥타이의 착용 또는 분리시에는 조절부(12) 또는 매듭구(30)를 잡아당기는 동작으로 편리한 이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됨을 알 수 있다.Particularly, since the neck fixing portion 10 maintains a stable coupling state by the horizontal support rod 33 of the present invention knot 30, there is no problem such as flowing down in a worn state, and wearing a tie or When separating, it can be seen that the convenient use can be made by the operation of pulling the control unit 12 or the knot 30.

또한, 목고정부(10)와 노출 타이부(20) 그리고 매듭구(30)가 별도의 분리 가능한 구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목고정부(10)는 하나만 구입한 상태에서 매듭구(30)나 노출 타이부(20)를 색상이나 디자인별로 다수개로 구비하여 교대로 사용함으로서 저비용으로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neck portion 10, the exposed tie portion 20 and the knot 30 form a separate structure, the user knots the neck portion 10, which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purchased only one By using a plurality of spheres 30 or exposed tie portion 20 by color or design alternately to use it will be able to produce a variety of atmospheres at low cost.

한편, 본 실시예의 매듭구(30)는 도 5a에서와 같이 수평 지지봉(33)의 분리가 가능한 탄성핀(33a) 및 체결홈(34) 구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관리가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knot 30 of the present embodiment forms the structure of the elastic pin 33a and the fastening groove 34 which can be separated from the horizontal support bar 33 as shown in Figure 5a can be managed more efficiently. .

즉, 도 5c에서와 같이 체결홈(34)에 체결되어져 있는 상태의 수평 지지봉(33)에 일측으로 가압력을 가하게 되면, 탄성핀(33a)이 도 5b에서와 같이 눌려지게 됨으로 수평 지지봉(33)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부품의 불량 발생에 따른 관리 및 수리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That is, when a pressing force is applied to one side of the horizontal support rod 33 which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groove 34 as shown in FIG. 5C, the elastic pin 33a is pressed as shown in FIG. 5B so that the horizontal support rod 33 is pressed. Separation can be easily made to reduce the management and repair costs caused by defective parts.

<제 2 <Second 실시예Example >>

도 6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넥타이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그중 매듭구(40)는 도 6에서와 같이 노출 타이부(20)의 체결용 고리(21)가 체결되어지는 체결단(41)과 함께 다수의 수직 지지봉(43)이 배면측에 일정 간격으로 구성되어져 있으며, 목고정부(10')는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목부위에 착용이 이루어지는 착용부(11')와 길이 조절을 위한 조절부(12')가 벨트형태의 구성을 이루게 된다.6 to 8 show a tie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knot 40 is fastened to which the fastening ring 21 of the exposed tie portion 20 is fastened as shown in FIG. 6. Along with the end 41, a plurality of vertical support rods 43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back side, and the neck fixing portion 10 'is worn on the neck as shown in Figs. 7 and 8 (11'). ) And the adjusting portion 12 'for adjusting the length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belt.

특히, 조절부(12')는 벨트의 일단(12b)이 체결되어지는 고리부(12a)와 상기 고리부(12a)에 체결이 이루어진 벨트 일단(12b)을 지지하는 지지고리(12c)로 구성하였다. 미설명 부호 44는 수직 지지봉(43)의 착탈용 체결홈을 나타낸다.In particular, the adjusting portion 12 'is composed of a ring portion 12a to which one end 12b of the belt is fastened and a support ring 12c supporting the belt end 12b to which the ring portion 12a is fastened. It was. Reference numeral 44 denotes a detachable fastening groove of the vertical support bar 43.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넥타이는 목고정부(10')중 착용부가 매듭구(40)의 수직 지지봉(43)에 수평방향으로 교번하는 형태로 결합이 이루어짐과 함께 노출 타이부(20)가 체결용 고리(21)에 의해 매듭구(40)에 체결되어 하나의 넥타이 구성을 이루는 상태에서 착용이 이루어지게 된다.The ti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ing such a configuration is coupled to the wearing portion of the neck fixing portion (10 ') in the form of alternat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the vertical support bar 43 of the knot (40) and exposed tie Part 20 is fastened to the knot 40 by the fastening ring 21 is made to wear in a state forming a tie.

즉, 착용부(11')를 목부위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조절부(12')의 조절을 통해 자신의 목부위에 벨트형태의 목고정부(10')를 밀착시킴으로서 본 고안 넥타이의 착용이 완료될 수 있으며, 이 역시 필요에 따라 매듭구(40) 또는 노출 타이부(20)를 교체함으로서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by wearing the neck portion fixing portion 10 'in close contact with the neck of the neck through the adjustment of the adjustment portion 12' in a state where the wearing portion 11 'is positioned on the neck, the wear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ie is completed. This may also be to create a variety of atmosphere by replacing the knots 40 or exposed tie portion 20 as needed.

그리고, 상기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의 넥타이 매듭구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In addition, although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nd illustrated above, it is obvious that the tie kno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탄성핀을 이용한 수평 지지봉의 탄성핀 구조가 제1실시예 에서만 응용예로 나타내었으나, 이러한 탄성핀 구조는 제2실시예의 수직 지지봉 일단에도 동일하게 적용되어질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in the above embodiment, the elastic pin structure of the horizontal support rod using the elastic pin is shown as an application example only in the first embodiment, but this elastic pin structure can be equally applied to one end of the vertical support rod of the second embodiment. .

또한, 수평 또는 수직형태로 구성되는 지지봉이 도면상에는 3개로 도시되었 으나 지지봉의 갯수 또한 필요에 따라 가감되어질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lthough three supporting rods configured in a horizontal or vertical form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the number of supporting rods may also be added or subtracted as necessary.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Therefore, such modified embodiment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the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ed embodiments shall fall within the appended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다수개의 결합 및 지지용 지지봉이 배열 구비된 매듭구의 활용으로 인해 넥타이의 착용 및 사용이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due to the utilization of the knot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upling and support rods arranged,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wear and use of the tie.

특히, 전면에 노출되어지는 넥타이 부분만 별도로 교체가 가능한 착탈식 구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해당 부위의 부분 교체를 통해 다양한 색상 및 분위기를 연출할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In particular, since only a tie portion that is exposed to the front has a removable structure that can be replaced separately,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produce a variety of colors and atmosphere through the partial replacement of the portion.

또한, 부품별 분리형 구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제품 손상시 손상이 이루어진 부품만을 교체 또는 수리할 수 있게 됨으로 구입 및 관리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separate structure for each part can be replaced or repaired only damaged parts when the product is damage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urchase and management costs.

Claims (9)

착용자의 목부분에 착용되는 착용부와, 상기 착용부의 크기조절을 위해 일측으로 연장되어진 조절부로 이루어지는 목고정부와;A neck fixing part comprising a wearing part worn on a wearer's neck and an adjusting part extending to one side for adjusting the size of the wearing part; 전면측에 노출되는 노출 타이부;An exposed tie portion exposed on the front side; 상기 목고정부의 조절부 및 노출 타이부가 결합 지지되어질 수 있도록 다수의 수평 지지봉이 배면측에서 수평형태를 이루는 가운데 상하로 배열되어져 있는 매듭구;가 상호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매듭구가 구비된 넥타이.Separate knots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horizontal support rods are arranged up and down in a horizontal form on the back side so that the adjustment portion and the exposed tie portion of the neck fixing portion is supported horizontally; Stocked tie.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매듭구의 상부에는 목고정부를 양측으로 분할 지지하기 위한 분할턱이 일체로 구비되어져 있으며, 분할턱의 양측 하부에는 목고정부를 안내하기 위한 이격공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매듭구가 구비된 넥타이.The upper part of the knot is provided with a split jaw to integrally support the neck fixing portion on both sides, the lower side of the split jaw is provided with a separate knot, characterized in that the separation space for guiding the neck fixing portion is formed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매듭구는 양측에서 후면측으로 연장된 측벽이 일체로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양측벽에는 각 지지봉의 체결이 가능하도록 체결홈이 양측에서 쌍을 이루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매듭구가 구비된 넥타이.The knot has a side wall extending from both sides to the back side is integrally formed, the both sides of the tie is provided with a detachable knot,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grooves are formed in pairs on both sides so that each support rod can be fastened. 청구항 3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상기 지지봉은 길이 가변이 가능하도록 내부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탄성핀이 일단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매듭구가 구비된 넥타이.The support rod is a tie provided with a detachable knot, characterized in that the elastic pin is elastically supported at one end by the inner spring to enable the variable length.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노출 타이부는 지지봉과의 체결이 가능하도록 체결용 고리가 상단에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매듭구가 구비된 넥타이.The exposed tie is a tie provided with a detachable knot, characterized in that the fastening ring is configured at the top to enable fastening with the support rod. 착용자의 목부분에 착용되는 착용부와, 상기 착용부의 크기 조절을 위해 일단에 구비된 조절부로 이루어지는 목고정부와;A neck fixing part comprising a wearing part worn on a wearer's neck and an adjusting part provided at one end for adjusting the size of the wearing part; 상기 목고정부가 결합 지지되어질 수 있도록 다수의 수직 지지봉이 배면측에서 수직형태를 이루는 가운데 좌우로 배열된 매듭구;A plurality of vertical support rods arranged at right and left in a vertical form at the rear side such that the neck fixing portion is coupled and supported; 상기 매듭구는 노출 타이부의 체결용 고리가 체결되어질 수 있도록 체결단이 배면측 상단에 구비된 것The knot is provided with a fastening end on the upper end of the rear side so that the fastening ring of the exposed tie portion can be fastened 상기 매듭구와의 착탈을 위한 체결용 고리가 상단에 구성되어 전면측에 노출되는 노출 타이부;Exposed tie portion that is configured on the upper end for the attachment and detachment with the knots exposed on the front side; 상기 체결용 고리가 체결되어질 수 있도록 매듭구의 배면측 상단에 구비된 체결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매듭구가 구비된 넥타이.The tie provided with a detachable kno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fastening end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rear side of the knot so that the fastening ring can be fastened. 청구항 6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매듭구는 각 수직 지지봉의 착탈이 가능하도록 체결홈이 쌍을 이루어 수직 지지봉의 양단 대향부위에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매듭구가 구비된 넥타이.The knot is a tie provided with a detachable knot,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grooves are formed in pairs at opposite ends of the vertical support rods so that each vertical support rod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청구항 7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상기 수직 지지봉은 길이 가변이 가능하도록 내부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탄성핀이 일단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매듭구가 구비된 넥타이.The vertical support bar is a tie provided with a detachable knot, characterized in that the elastic pin which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inner spring at one end so as to be variable in length. 삭제delete
KR2020060009372U 2006-04-07 2006-04-07 A separation type neck tie KR20042422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9372U KR200424223Y1 (en) 2006-04-07 2006-04-07 A separation type neck ti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9372U KR200424223Y1 (en) 2006-04-07 2006-04-07 A separation type neck ti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4223Y1 true KR200424223Y1 (en) 2006-08-22

Family

ID=41772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9372U KR200424223Y1 (en) 2006-04-07 2006-04-07 A separation type neck ti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4223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2193B1 (en) 2009-10-19 2011-06-20 최보규 Neckti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2193B1 (en) 2009-10-19 2011-06-20 최보규 Neckti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170523A1 (en) Multi-style wig
US9468253B2 (en) Adjustable shoe
KR20180109630A (en) Mask comprising strap-adjustable loop unit
JP2015517885A (en) Interchangeable strap fastening system for footwear
KR200438005Y1 (en) Mask
US9210958B1 (en) Necktie
US20080264435A1 (en) Adjustable wig
KR200424223Y1 (en) A separation type neck tie
KR102232316B1 (en) Hook band for mask
KR101037337B1 (en) Skirt for Length modulation
CN107549906A (en) A kind of wig combination hair piec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US20020116947A1 (en) Jewelry chain with removable decorative pieces
WO2013152133A1 (en) Dual comb hair accessory having planar stretch elements with embedded decorative designs
US20150140898A1 (en) Reversible brassiere straps with double sliding adjusting buckle
KR102254490B1 (en) a bind together for muffler
KR200442308Y1 (en) Necktie
CN107865491A (en) Slip slide fastener and its product applied
KR20000007716A (en) Shoe laces attached with ornaments
US9526283B1 (en) Method of securing a necktie using a tie link
KR200481235Y1 (en) Bag with changeable strap
KR200420747Y1 (en) Belt for a suit for military arts
US20190350332A1 (en) Hair accessory
KR200468407Y1 (en) Goggle
US20150216282A1 (en) Head band with pierced earrings
KR200254297Y1 (en) A separation and combination type neckti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1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