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3379Y1 - 열풍기의 집열 및 열기 분사장치 - Google Patents

열풍기의 집열 및 열기 분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3379Y1
KR200423379Y1 KR2020060011843U KR20060011843U KR200423379Y1 KR 200423379 Y1 KR200423379 Y1 KR 200423379Y1 KR 2020060011843 U KR2020060011843 U KR 2020060011843U KR 20060011843 U KR20060011843 U KR 20060011843U KR 200423379 Y1 KR200423379 Y1 KR 2004233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air
heat
circular
hol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18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써니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써니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써니스텍
Priority to KR20200600118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33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33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337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4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 F24H3/0488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flu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52Details for air heaters
    • F24H9/0057Guiding means
    • F24H9/0068Guiding means in combustion gas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54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air heaters
    • F24H9/187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 F24H9/188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using flu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6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air heaters
    • F24H9/2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air heaters using fluid fu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rect Air Heating By Heater Or Combustion Ga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열풍기의 집열 및 열기 분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료탱크와 연소실 본체 및 콘트롤러를 구비한 열풍기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 본체의 전방부에 형성된 토출구에 집열 및 분사판을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되, 상기 집열 및 분사판은 외주연에 연소실 본체의 토출구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에서 스크류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편이 일체로 절곡 형성된 원판형의 캡 형상을 갖도록 형성하고, 상기 집열 및 분사판의 중앙에는 전방부를 향해 반구형으로 돌출되는 만곡부를 형성하며, 상기 만곡부에는 원형의 통공들과 내측으로 반원형 띠가 절곡 형성되도록 프레스 가공함으로 인해 랜싱공과 사각형 홈부들이 방사형으로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버너의 연소에 의해 1차 가열된 열기를 토출시키기에 앞서 토출구측에 설치된 집열 및 분사판을 통해 2차 가열시킨 후 전방부 및 측방부로 분사하여 토출시킬 수 있어 하나의 열풍기를 이용한 난방 면적을 대폭 넓힐 수 있고, 불완전 연소에 의한 냄새 및 가스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난방효율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어 제품의 신뢰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열풍기, 토출구, 버너, 송풍기, 집열 및 분사판,

Description

열풍기의 집열 및 열기 분사장치 {COLLECTOR AND HEAT INJECTOR OF A HOT WIND GENERATOR}
도 1은 풍향각도 조절장치가 구비된 종래 열풍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장치가 구비된 열풍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장치가 구비된 열풍기의 조립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장치가 구비된 열풍기의 일부 절취 측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 장치 중 집열 및 분사판의 평면도.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 및 일부 확대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연료탱크 2 : 연소실 본체
2a : 열기 토출구 3 : 콘트롤러
4 : 버너 5, 5a : 송풍팬
6 : 집열 및 분사판 7 : 단열부재
61 : 만곡부 62 : 원형 통공
63 : 사각형 홈부 64 : 반원형 띠
64a : 랜싱공 65 : 고정편
66 : 스크류
본 고안은 열풍기의 집열 및 열기 분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경유나 등유를 연료로 사용하여 각종 축사나 실,내외에서 간단히 열풍 난방을 실시할 수 있도록 제작된 휴대용 열풍기의 열기 토출구에 집열 및 분사판을 설치하여 버너의 연소열을 집열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불완전 연소를 방지하고, 또 열풍을 전방부 및 측방부로도 분사시킬 수 있도록 하여 난방 면적 및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제품의 신뢰도 자체를 증진시킬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유나 등유를 연료로 사용하여 각종 축사나 실,내외에서 간단히 열풍 난방시킬 수 있는 휴대용 열풍기로는 국내 실용신안등록 출원 제 97-11754, 11755, 11756 및 11757호 등 다 수의 선출원이 이루어진 바 있다.
그런데, 대부분의 열풍기는 열기 토출구가 개구된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어 열풍이 전방부로 직접 토출되어 버리므로 난방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한 국내 실용신안등록 출원 중 제 97-11754호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과 같이,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탱크(A1)와; 상기한 연료탱 크(A1)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한 연료탱크(A1)내의 연료를 공급받아 연소되어 화력을 발생하는 연소실 본체(A2)와; 점화/소화 및 작동시간 등을 조작하는 콘트롤부(A3)와; 상기한 연소실 본체(A3)의 배면에 형성되어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흡입하는 흡입구(A4)와; 상기한 연소실 본체(A2)의 정면에 형성되어 연소된 화력을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구(A5)로 이루어진 적외선 열풍기에 있어서, 상기한 토출구(A5)의 내경 선단부에 루버(A6;louver)를 설치하되, 상기한 루버(A6)는 회동 가능하도록 양측을 힌지(A7)로 결합하고, 상기한 힌지(A7)의 외측단은 돌출되도록 길게 연장하여 그 끝단에 열전도성이 없는 합성수지재의 조작레버(A8)를 설치하여 열풍기의 풍향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연소실의 열기 토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열기의 방향을 힌지로 축지된 루버의 각도 조절을 통해 어느 정도 조절할 수는 있으나, 이 경우 열기의 배출방향을 좌,우 방향으로는 조절할 수 없고 단순히 상,하부로만 조절이 가능하므로 좌,우측 방향에 대한 난방효율을 높이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버너의 연소열에 의해 가열된 열기가 연소실 내에서 어느 정도 정체되는 상태에서 충분히 가열된 후 배출되지 않고, 이 역시도 루버의 경사각에 대응하여 토출 방향만 상,하부로 조절될 뿐 열기 자체가 토출구를 통해 그대로 배출되므로 불완전 연소에 따른 연기 및 냄새가 배출될 수 있음은 물론 연소실을 통과한 공기의 온도가 충분히 가열되기도 전에 토출구를 통해 배출되므로 난방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버너의 연소에 의해 1차 가열된 열기를 토출시키기에 앞서 토출구측에 설치된 집열 및 분사판을 통해 2차 가열시킨 후 전방부 및 측방부로도 분사시켜 토출시키는 방식을 통해 난방 면적을 넓힐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불완전 연소에 따른 냄새 및 가스의 배출을 방지하고, 난방효율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신뢰도 자체를 증진시킬 수 있는 열풍기의 집열 및 열기 분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장치는, 연료탱크와, 내부에 버너 및 송풍팬을 구비한 연소실 본체 및 콘트롤러로 구성된 열풍기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 본체의 전방부에 형성된 토출구에 집열 및 분사판을 착탈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집열 및 분사판은 외주연에 연소실 본체의 토출구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에서 스크류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편이 일체로 절곡 형성된 원판형의 캡 형상을 갖는 것으로, 그의 중앙에는 전방부를 향해 반구형으로 돌출되는 만곡부를 형성하고, 상기 만곡부에는 원형의 통공들과 내측으로 반원형 띠가 절곡 형성되도록 프레스 가공을 통해 형성시킨 반달형의 랜싱공과 사각형 홈부들을 방사형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원형 통공을 통해서는 열기가 수평으로 토출되고, 상기 사각형 홈부를 통해서는 배출되는 공기가 만곡부에 부딪힌 후 반원형 띠의 좌,우측 랜 싱공을 통해 그 배면부에 형성된 사각형 홈부로 유도되어 측면부측으로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형 통공은 지름을 2.5-3.5mm로 천공하고, 사각형 홈부는 가로 세로가 7.5mm X 5.0mm를 갖도록 형성하여 2.5-3.5mm로 천공한 상기 원형 통공의 기공 면적 비율 대비 1 : 2.5의 비율을 가지도록 하되, 상기 원형 통공은 집열 및 분사판의 전체 면적 대비 2.5%를 갖도록 천공하고, 상기 반원형 띠의 양측부로 형성되는 반달형의 랜싱공은 집열 및 분사판의 전체 면적 대비 6.4%를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집열 및 분사판은 열풍기의 난방 가열 작동시 버너의 불꽃에 의해 직접 가열되어 벌겋게 달궈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 장치가 구비된 열풍기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고안 장치가 구비된 열풍기의 조립상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본 고안 장치가 구비된 열풍기의 일부 절취 측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고안 장치 중 집열 및 분사판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 및 일부 확대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고안 장치는, 연료탱크(1)와, 내부에 버너(4) 및 송풍팬(5) 을 구비하고 전면부에는 열기 토출구(2a)가 형성된 연소실 본체(2) 및 콘트롤러(3)로 구성된 열풍기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 본체(2)의 전방부에 형성된 토출구(2a)에 집열 및 분사판(6)을 착탈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집열 및 분사판(6)은 외주연에 연소실 본체(2)의 토출구(2a)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에서 스크류(66)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편(65)이 일체로 절곡 형성된 원판형의 캡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집열 및 분사판(6)의 중앙에는 전방부를 향해 반구형으로 돌출되는 만곡부(61)가 형성되고, 상기 만곡부(61)에는 원형 통공(62)들과 내측으로 반원형 띠(64)가 절곡 형성되도록 프레스 가공을 통해 반달형의 랜싱공(64a)과 사각형 홈부(63)들이 방사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원형 통공(62)을 통해서는 열기가 전방부로 토출되고, 상기 반원형 띠(64)의 양측부에 형성된 반달형의 랜싱공(64a)과 그 배면으로 형성된 사각형 홈부(63)를 통해서는 만곡부(61)에 부딪힌 공기가 반원형 띠(64)에 의한 좌우 랜싱(Lancing)공(64a)을 통해 유도되어 그의 배면부에 형성된 사각형 홈부(63)를 통해 측방부로 토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형 통공(62)은 지름을 2.5-3.5mm로 천공하고, 사각형 홈부(63)는 가로 세로가 7.5mm X 5.0mm를 갖도록 형성하여 2.5-3.5mm로 천공한 상기 원형 통공(62)의 기공 면적 비율 대비 1 : 2.5의 비율을 가지도록 하되, 상기 원형 통공(62)은 집열 및 분사판(6)의 전체 면적 대비 2.5%를 갖도록 천공하고, 상기 반원형 띠(64)의 양측부로 형성되는 반달형의 랜싱공(64a)은 집열 및 분사판(6)의 전체 면적 대비 6.4%를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집열 및 분사판(6)은 열풍기의 난방 가열 작동시 버너(4)의 불꽃에 의해 직접 가열되어 벌겋게 달궈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 장치가 적용된 열풍기는 크게 연료탱크(1)와 연소실 본체(2) 및 콘트롤러(3)로 구성되는데, 이때 상기 연소실 본체(2)는 내부 열기가 외부로 전달되지 않게 하기 위하여 내통(22)과 외통(21)으로 구성되는 2중 구조를 가짐은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내통(22)과 외통(21) 사이의 공간부 또는 내통(22)의 내측으로 세라믹 울로 용기 형상을 갖도록 성형된 단열부재(7)를 설치한 구성을 갖는다.
뿐만 아니라, 상기 연소실 본체(2)의 내통(22) 후방부에는 점화 플러그(8)를 포함하는 버너(4)와 송풍팬(5)이 설치되고, 외통(21)의 상방부에는 휴대를 위한 손잡이(9)가 설치되며, 토출구(2a)의 외부에는 보호망(10)이 설치된 구성을 갖는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외통(21)과 내통(22)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로 공기를 불어 넣어주어 외통(21)이 버너 열에 의해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송풍팬(5a)이 더 구비된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주요 기술 요소는 상기 연소실 본체(2)의 전방부에 형성된 토출구(2a)에 내열 스테인레스스틸 판을 이용하여 원판형 캡 형상을 갖도록 절곡 형성한 집열 및 분사판(6)을 착탈 가능하게 설치한 것으로, 실제에 있어서 상기 집 열 및 분사판(6)은 토출구(2a)가 형성된 내통(22)의 단부에 스크류(66) 통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한 구성을 갖는다.
이때, 상기 집열 및 분사판(6)은 외주연에 연소실 본체(2)의 토출구(2a)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고정편(65)이 절곡 형성되어 있어 상기 고정편(65)이 스크류(66)를 통해 연소실 본체(2)의 내통(22) 단부에 고정되는 형태를 갖는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원통형 캡의 형상을 가지는 상기 집열 및 분사판(6)의 중앙에는 만곡부(61)가 반구형으로 절곡 형성되어 전방부를 향해 돌출되는 형태를 갖게 되는데, 이때 상기 만곡부(61)에는 도 5 및 도 6과 같이 수개의 원형 통공(62)들과, 프레스 가공을 통해 반원형의 띠(64)가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도록 함으로 인해 상기 반원형 띠(64)의 양측으로 반달형의 랜싱공(64a)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반원형 띠(64)의 배면으로 수개의 사각형 홈부(63)들이 중심점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형으로 형성된 형태를 갖게 된다.
즉, 상기 집열 및 분사판(6)에 형성된 반원형의 만곡부(61)에는 중심점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열되게 수개의 원형 통공(62)과 양측으로 랜싱공(64a)이 구비되는 반원형 띠(64)의 형성을 통해 사각형 홈부(63)들을 구비하게 된다.
상기에 있어서 원형 통공(62)은 버너(4)에 의해 가열되어 송풍팬(5)을 통해 송풍되어 오는 열기가 도 4의 화살표와 같이 열풍기의 전방부를 향해 수평으로 통과되도록 하고, 상기 사각형 홈부(63)는 만곡부(61)에 부딪힌 공기가 반원형 띠(64)의 좌,우측에 형성된 랜싱공(64a)을 통해 상기 반원형 띠(64)의 배면부 측으로 유도된 후 사각형 홈부(63)를 통해 열풍기의 사방 측방부로 토출되도록 하게 된 다.
이때, 상기 원형 통공(62)과 랜싱공(64a) 및 사각형 홈부(63)의 크기나 개수 및 면적은 난방하고자 하는 장소의 면적 및 열풍기의 난방력 등을 감안하여 결정하게 되는데, 본 고안에서는 상기 원형 통공(62)의 지름을 2.5-3.5mm가 되도록 천공하고, 사각형 홈부(63)는 가로 세로가 7.5mm X 5.0mm를 갖도록 형성하여 상기 원형 통공(62)의 기공 면적 비율 대비 1 : 2.5의 비율을 가지도록 하되, 상기 원형 통공(62)은 집열 및 분사판(6)의 전체 면적 대비 2.5%를 갖도록 천공하고, 상기 반원형 띠(64)의 양측으로 형성된 랜싱공(64a)은 집열 및 분사판(1)의 전체 면적 대비 6.4%를 갖도록 형성하여 상기 원형 통공(62) 및 랜싱공(64a)의 천공 면적이 상기 집열 및 분사판(6)의 전체 면적(즉, 100%) 대비 8.9%를 갖도록 하였다.
상기에 있어서 원형 통공(62)의 지름을 2.5mm로 천공하면 열기의 토출량이 적어 전방측으로의 난방 효율이 낮고 3.5mm로 천공하면 전방측으로의 열기 배출량이 너무 많아 측방부로의 난방 효율이 낮으므로 바람직하게는 지름이 3.0mm가 되도록 상기 원형 통공(62)을 천공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버너(4)에 의해 가열되어 송풍팬(5)을 통해 송풍되어 오는 열기의 일부는 원형 통공(62)을 통해 곧바로 전방부로 토출되고, 나머지 열기는 만곡부(61)에 부딪힌 후 반구형 띠(64)의 랜싱공(64a)을 통해 유도된 다음 사각형 홈부(63)를 통해 측방부로 토출된다.
즉, 상기 송풍팬(5)의 송풍력에 부응하여 열풍기에서 배출되는 열기는 상기 집열 및 분사판(6)을 통과하며 원형 통공(62)을 통한 전방과, 랜싱공(64a) 및 사각 형 홈부(63)를 통한 사방 측방부로 분산되어 폭 넓게 배출되므로 하나의 열풍기를 이용하여 난방을 실시할 수 있는 난방면적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에서 열기를 측면부측으로 최종 배출시켜 주는 사각형 홈부(63)를 형성할 때 그대로 천공시키지 않고 만곡부(61)의 배면으로 양측에 랜싱공(64a)이 형성되는 반원형 띠(64)가 돌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집열 및 분사판(6)의 반원형 만곡부(61)에 대한 집열 면적이 반원형 띠(64)들의 단면적 및 체적만큼 커지게 되므로 집열 및 분사판(6)의 집열 효율을 그만큼 대폭 증대할 수 있어 난방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연소실 본체(2)의 토출구(2a)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집열 및 분사판(6)과 실제 버너(4)와의 거리는 매우 짧은 상태에 있어 버너(4)의 불꽃 끝이 상기 집열 및 분사판(6)을 직접 가열시키는 상태가 되어 상기 집열 및 분사판(6)은 열풍기의 난방 가열 작동시 버너(4)의 불꽃에 의해 벌겋게 달궈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버너(4)에 의해 연소되지 않은 일부의 연료는 상기와 같이 벌겋게 달구어진 상태에 있는 상기 집열 및 분사판(6)에 의해 재차 연소되므로 불완전 연소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가스 및 냄새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송풍팬(5)에 의해 발생된 공기가 연소실 본체(2)의 내부를 통과하며 버너(4)의 열기에 의해 1차 가열된 다음 토출구(2a)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집열 및 분사판(6)의 원형 통공(62)과 랜싱공(64a) 및 사각형 홈부(63)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집열 및 분사판(6)의 반원형 만곡부(61) 내면에 부딪히며 정체되는 사이에 고온으로 가열된 상태에 있는 집열 및 분사판(6)에 의해 2차 가열된 후 원형 통공(62)과 랜싱공(64a) 및 사각형 홈부(63)를 통과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집열 및 분사판(6)의 원형 통공(62)과 랜싱공(64a) 및 사각형 홈부(63)를 통과한 열기의 온도는 집열 및 분사판(6)이 설치되지 않아 토출구(2a)를 그대로 통과할 경우에 비해 매우 높은 온도를 갖게 됨은 물론 연료가 완전 연소되므로 상기와 같은 집열 및 분사판(6)이 설치되어 있지 않는 종래의 열풍기에 비하여 난방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경유나 등유를 연료로 사용하여 각종 축사나 실,내외에서 간단히 열풍 난방을 실시할 수 있도록 제작되는 열풍기의 열기 토출구에 집열 및 분사판을 설치하여 줌으로써 버너의 연소에 의해 1차 가열된 열기를 토출시키기에 앞서 토출구측에 설치된 상기 집열 및 분사판을 통해 2차 가열시킨 후 전방부 및 측면 방형으로 분사시켜 토출시킬 수 있어 하나의 열풍기를 이용한 난방 면적을 대폭 넓힐 수 있고, 불완전 연소에 따른 냄새 및 가스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난방효율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어 제품의 신뢰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9)

  1. 연료탱크와 연소실 본체 및 콘트롤러를 구비한 열풍기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 본체의 전방부에 형성된 토출구에 집열 및 분사판을 착탈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기의 집열 및 열기 분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집열 및 분사판은 외주연에 연소실 본체의 토출구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에서 스크류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편이 일체로 절곡 형성된 원판형의 캡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기의 집열 및 열기 분사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집열 및 분사판의 중앙에는 전방부를 향해 반구형으로 돌출되는 만곡부가 절곡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기의 집열 및 열기 분사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에는 원형의 통공들과, 내측으로 반원형 띠를 절곡 형성시킴으로 인해 반달형의 랜싱공과 사각형 홈부들이 방사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기의 집열 및 열기 분사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원형 통공을 통해서는 열기가 전방부로 토출되고, 상기 반원형 띠의 양측으로 형성된 랜싱공과 그 배면부로 형성된 사각형 홈부를 통해서는 열기가 측방부로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기의 집열 및 열기 분사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원형 통공은 지름을 2.5-3.5mm로 천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기의 집열 및 열기 분사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사각형 홈부는 가로 세로가 7.5mm X 5.0mm를 갖도록 형성하여 원형 통공의 기공 면적 비율 대비 1 : 2.5의 비율을 가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기의 집열 및 열기 분사장치.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원형 통공과 랜싱공은 상기 집열 및 분사판의 전체 면적 대비 각각 2.5% 및 6.4%를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기의 집열 및 열기 분사장치.
  9.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집열 및 분사판은 열풍기의 난방 가열 작동시 버너의 불꽃에 의해 직접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기의 집열 및 열기 분사장치.
KR2020060011843U 2006-05-03 2006-05-03 열풍기의 집열 및 열기 분사장치 KR2004233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1843U KR200423379Y1 (ko) 2006-05-03 2006-05-03 열풍기의 집열 및 열기 분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1843U KR200423379Y1 (ko) 2006-05-03 2006-05-03 열풍기의 집열 및 열기 분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3379Y1 true KR200423379Y1 (ko) 2006-08-07

Family

ID=41771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1843U KR200423379Y1 (ko) 2006-05-03 2006-05-03 열풍기의 집열 및 열기 분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337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8774B1 (ko) 2012-06-12 2012-10-15 주식회사 산주에너지 열풍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8774B1 (ko) 2012-06-12 2012-10-15 주식회사 산주에너지 열풍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1748B1 (ko) 펠렛난로
US5988116A (en) Low NOx gas burner and method of operation
RU2293253C1 (ru) Котел пульсирующего горения (варианты)
KR200423379Y1 (ko) 열풍기의 집열 및 열기 분사장치
KR200386233Y1 (ko) 2차 가열식 화목 보일러
KR200394941Y1 (ko) 열풍기용 버너
US7213348B2 (en) Gas burner and air heater assembly for a gas clothes dryer
KR20200059728A (ko) 가스 온풍기
KR200189229Y1 (ko) 벙커씨유, 경유, 석유, 폐유 연소장치 보일러
KR200371234Y1 (ko) 소각보일러의 배기가스 재 연소장치
KR101103417B1 (ko) 벽난로 점화장치
US5479913A (en) Direct contact water heater
RU223349U1 (ru) Теплогенератор на пеллетах
JP3731633B2 (ja) 排気筒付遠赤外線暖房機
KR100416789B1 (ko) 가스 및 액체연료 겸용 온풍기
KR100290848B1 (ko) 가스온풍기의 버어너구조
KR200397963Y1 (ko) 난방장치
KR200423046Y1 (ko) 열풍기의 연소실 단열구조
KR200185602Y1 (ko) 숯불구이기
KR100405332B1 (ko) 가스 및 액체연료 겸용 온풍기
JPH0120511Y2 (ko)
JP3922291B2 (ja) 遠赤外線暖房機の熱交換構造
JP2005257185A (ja) ガスコンロ
JP3615354B2 (ja) 輻射式暖房機
KR200242215Y1 (ko) 가스 및 액체연료 겸용 온풍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