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2722Y1 - Door switch for home appliance - Google Patents

Door switch for home applian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2722Y1
KR200422722Y1 KR2020060013038U KR20060013038U KR200422722Y1 KR 200422722 Y1 KR200422722 Y1 KR 200422722Y1 KR 2020060013038 U KR2020060013038 U KR 2020060013038U KR 20060013038 U KR20060013038 U KR 20060013038U KR 200422722 Y1 KR200422722 Y1 KR 2004227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panel
door
door switch
switch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3038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형철
정현주
Original Assignee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177135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422722(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130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2722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27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2722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01H13/0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01H13/18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adapted for actuation at a limit or other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path of a body, the relative movement of switch and body being primarily for a purpose other than the actuation of the switch, e.g. door switch, limit switch, floor-levelling switch of a lif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2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12Household appliance

Landscapes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전기기용 도어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가전기기의 도어 측 패널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기 위한 가전기기용 도어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패널에 장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이동가능하게 수용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에 따라 상기 하우징 외부로 돌출된 돌출위치와, 상기 하우징 내부로 수용된 수용위치 사이에서 왕복이동되는 이동로드와; 상기 이동로드에 연동되어 접점이 스위칭되는 스위칭부와; 상기 스위칭부를 상기 패널로부터 소정 간격으로 이격시켜 상기 패널 외부의 수분이나 습기가 상기 스위칭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침습(浸濕)방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switch for home appliances, the door switch for home appliances for detecting the opening of the door is installed on the door side panel of the home appliance, the housing mounted to the panel; A movable rod movably received in the housing and reciprocating between a protruding position protruding out of the housing and an accommodation position accommodated in the housing according to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A switching unit which contacts with the moving rod to switch contacts;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nvasion prevention member spaced apart from the panel at predetermined intervals to prevent moisture or moisture outside the panel from penetrating into the switching unit.

이에 의해, 가전기기 내의 물기나 습기가 패널을 통하여 스위칭부로 침투하는 것을 막을 수 있으므로, 침습(浸濕)에 의한 내전압의 상승이나 접점단자 사이의 단락 등에 의해 발생하는 도어스위치의 작동불능이나 오작동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As a result, moisture and moisture in the home appliance can be prevented from penetrating into the switching unit through the panel.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malfunction or malfunction of the door switch caused by an increase in the breakdown voltage due to invasion or short circuit between the contact terminals. It can prevent it beforehand.

Description

가전기기용 도어스위치{DOOR SWITCH FOR HOME APPLIANCE}Door switch for home appliance {DOOR SWITCH FOR HOME APPLIANCE}

도 1은 종래 가전기기용 도어스위치가 장착된 세탁기의 전면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ont appearance of a washing machine equipped with a door switch for a conventional home appliance;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전기기용 도어스위치의 단면도,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oor switch for home appliances shown in Figure 1,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가전기기용 도어스위치의 내부를 보인 단면도, Figure 3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door switch for home applianc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가전기기용 도어스위치에서 이동로드가 수용위치로 이동된 것을 나타낸 작동도, Figure 4 is an operation showing that the moving rod is moved to the receiving position in the door switch for home appliances shown in Figure 3,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가전기기요 도어스위치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home appliance door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 : 가전기기용 도어스위치 10 : 하우징 1: Door switch for home appliances 10: Housing

10a : 제1하우징 10b : 제2하우징 10a: first housing 10b: second housing

10c : 제3하우징 10c: third housing

14 : 개구부 15 : 연결부 14 opening 15 connecting portion

20 : 이동로드 25 : 탄성부재 20: moving rod 25: elastic member

30 : 스위칭부 31 : 레버 30: switching unit 31: lever

32 : 누름쇠 33 : 접점단자 32: Push 33: Contact terminal

33a : 공통단자 33b : 제1단자33a: common terminal 33b: first terminal

33c : 제2단자 33c: second terminal

34 : 접점판 50 : 침습방지부재34: contact plate 50: invasion prevention member

51 : 격벽 53 : 배수부 51: bulkhead 53: drain

81 : 본체케이스 82 : 세탁조 81: main body case 82: washing tank

83 : 도어 84 : 전면개구 83: door 84: front opening

85 : 조작부 87 : 패널 85: control panel 87: panel

본 고안은 가전기기용 도어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세탁기와 같은 가전기기에 있어서, 물기/습기 등의 침습(浸濕)에 의한 단락 또는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가전기기용 도어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switch for a home applian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home appliance, such as a washing machine, to a door switch for a home appliance that can prevent a short circuit or malfunction due to invasion such as water / humidity.

일반적으로 세탁기, 냉장고, 전자렌지 등과 같은 가전기기에는 기기의 작동 중 도어가 개방되어 발생되는 각종 안전사고 또는 에너지소비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어스위치가 마련되어 있다. In general, home appliances such as washing machines, refrigerators, and microwave ovens are provided with door switches to prevent various safety accidents or energy consumption caused by the door being opened during operation of the appliance.

일 예로서, 도 1에는 전술한 도어스위치(100)가 장착된 드럼식 세탁기가 도시되어 있다. As an example, FIG. 1 shows a drum type washing machine equipped with the door switch 100 described above.

도면을 참조하면, 드럼식 세탁기는 본체케이스(81) 내부에 마련된 세탁조(82)에 세탁물 및 세탁용수를 수용하여 각종 세제와 함께 세탁하는 기기로서, 세탁 조건을 선택/조작하기 위한 조작부(85)가 마련된 전면 패널(87)과, 세탁물을 세 탁조(82)의 내외부로 수용 및 제거할 수 있도록 패널(87)에 형성된 전면개구(84)를 개폐하는 도어(83)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drum type washing machine is a device that accommodates laundry and washing water in a washing tank 82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case 81 and washes them with various detergents. An operation unit 85 for selecting / operating washing conditions is provided. The provided front panel 87 and a door 83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ront opening 84 formed in the panel 87 to accommodate and remove the laundry into and out of the washing tub 82.

도어스위치(100)는 도어(83)와 접촉될 수 있는 패널(87)의 일측에 마련되는데, 일반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다. The door switch 10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panel 87 that can be in contact with the door 83, and generally has a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의 가전기기용 도어스위치(100)는 도어(83)의 개폐에 따라 왕복이동하는 이동로드(120)와, 이동로드(120)에 연동하여 스위칭되는 스위칭부(130)와, 이동로드(120) 및 스위칭부(130)를 수용하고 패널(87)에 장착되는 하우징(110)을 포함하여, 이동로드(120)의 위치에 따라 도어(83)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도록 하고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door switch 100 for a home applianc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ncludes a moving rod 120 reciprocating according to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83, and a switching unit 130 switched in conjunction with the moving rod 120. The housing 110 includes a housing 110 mounted on the panel 87 to accommodate the moving rod 120 and the switching unit 130, and detects whether the door 83 is opened or clos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moving rod 120. have.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가전기기용 도어스위치(100)는 가전기기 내부의 물기 또는 습기에 빈번하게 노출되는바, 패널(87)과 스위칭부(130)의 접점단자(133) 사이의 거리가 너무 짧아서, 패널(87)과 하우징(110) 사이의 틈새 또는 이동로드(120)와 하우징(110)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물기 또는 습기가 침투하는 경우, 접점단자 사이의 단락 또는 내전압의 상승이 자주 발생하였다. However, the conventional door switch 100 for home appliances is frequently exposed to moisture or moisture in the home appliance, so the distance between the panel 87 and the contact terminal 133 of the switching unit 130 is too short. When water or moisture penetrates through a gap between the panel 87 and the housing 110 or a gap between the movable rod 120 and the housing 110, a short circuit between the contact terminals or an increase in the breakdown voltage frequently occurs. .

이러한 단락 또는 내전압의 상승은 도어스위치의 오작동 또는 작동불능을 야기하여, 도어의 개폐여부를 감지할 수 없게 함으로써, 이로 인한 안전사고 및 에너지소비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Such a short circuit or an increase in the withstand voltage causes a malfunction or inoperability of the door switch, making it impossible to detect whether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thereby causing a safety accident and energy consumption.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침습(浸濕)에 의한 내전압의 상승이나 단락 등에 의해 발생하는 도어스위치의 작동불능이나 오작동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가전기 기용 도어스위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oor switch for home appliances that can prevent malfunction or malfunction of a door switch caused by an increase in internal voltage or short circuit due to invas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가전기기의 도어 측 패널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기 위한 가전기기용 도어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패널에 장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이동가능하게 수용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에 따라 상기 하우징 외부로 돌출된 돌출위치와, 상기 하우징 내부로 수용된 수용위치 사이에서 왕복이동되는 이동로드와; 상기 이동로드에 연동되어 접점이 스위칭되는 스위칭부와; 상기 스위칭부를 상기 패널로부터 소정 간격으로 이격시켜 상기 패널 외부의 수분이나 습기가 상기 스위칭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침습(浸濕)방지부재를 포함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a door switch for home appliances for detecting the opening of the door is installed on the door side panel of the home appliance, the housing mounted to the panel; A movable rod movably received in the housing and reciprocating between a protruding position protruding out of the housing and an accommodation position accommodated in the housing according to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A switching unit which contacts with the moving rod to switch contacts; And an invasion prevention member that separates the switching unit from the panel at predetermined intervals to prevent moisture or moisture outside the panel from penetrating into the switching unit.

여기서, 상기 침습방지부는 상기 패널과 상기 하우징 사이에 마련되는 격벽으로 마련될 수 있다. Here, the invasion prevention unit may be provided as a partition wall provided between the panel and the housing.

바람직하게는, 상기 격벽의 두께는 2 ~ 6 mm 로 마련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partition wall may have a thickness of 2 to 6 mm.

상기 격벽은 상기 하우징에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The partition wall may be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housing.

바람직하게는, 상기 격벽에 관통되어 형성되어, 상기 패널을 통하여 침투된 습기 또는 물기를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안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배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it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drains formed through the partition wall to guide moisture or water penetrated through the panel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여기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이동로드의 왕복이동에 연동하여 회동하는 레버와, 상기 레버에 의해 누름 및 해제되는 누름쇠와, 본체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3개의 접점단자와, 상기 누름쇠의 누름 및 해제에 따라 상기 3개의 접점단 자 중 어느 2개의 접점단자를 선택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접점판을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switching unit, a lever that rotates in conjunction with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moving rod, a pusher pressed and released by the lever, three contact terminal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control unit, the press and the press According to the release may include a contact plate for selectively electrically connecting any two of the three contact terminals.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패널을 향하는 일측에 형성된 개방부와, 상기 개방부로부터 상기 하우징 내부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이동로드의 왕복이동을 안내하는 슬라이드홈이 마련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housing may be provided with an opening formed on one side facing the panel, and a slide groove extending from the opening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to guide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moving rod.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라이드홈에 마련되어 복원력에 의해 상기 이동로드를 상기 수용위치로부터 상기 돌출위치로 이동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slide groove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member for moving the moving rod from the receiving position to the protruding position by a restoring forc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가전용 도어스위치(1)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에 왕복이동이 가능하게 마련된 이동로드(20)와, 이동로드(20)에 연동되어 스위칭되는 스위칭부(30)와, 스위칭부(30)를 패널(87)로부터 소정간격 이격시켜 패널(87) 외부의 수분이나 습기가 스위칭부(30)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침습방지부재(5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3, the home appliance door switch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rlocked with a housing 10, a moving rod 20 provided to reciprocate in the housing 10, and a moving rod 20. An invasion preventing member 50 that prevents moisture or moisture outside the panel 87 from penetrating the switching unit 30 by separating the switching unit 30 and the switching unit 30 from the panel 87 at a predetermined interval. ).

여기서, 침습방지부재(5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격벽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격벽에는 습기 또는 물기를 하우징(10)의 외부로 안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배수부(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invasion preventing member 50 may be provided as a partition wall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the partition wall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drains 53 for guiding moisture or moisture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 have.

이하, 구성별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설명에 앞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도 1에 도시된 드럼식 세탁기를 예를 들어 설명하나, 본 고안의 적용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냉장고, 전자렌지 등 다양한 가전기기에 적용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Prior to the description, in describing the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drum type washing machine shown in Figure 1 for example, 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it can be applied to various home appliances, such as a refrigerator, a microwave oven Make sure you know.

하우징housing (10) 및 10 and 이동로드Moving rod (20)20

하우징(10)은 스위칭부(30) 및 이동로드(20)를 내부에 수용하며 세탁기의 도어(83) 측 패널(87)에 장착된다. The housing 10 accommodates the switching unit 30 and the moving rod 20 therein and is mounted on the door 87 on the side panel 87 of the washing machine.

하우징(10)은 다양한 형상 및 크기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0)은 패널(87)의 외부를 향하며 이동로드(20)가 수용되는 개구부(14, 도 5참조)가 형성된 제1하우징(10a)과, 스위칭부(30)를 내부에 수용하며 일측에는 이동로드(20)의 왕복이동을 가이드하는 슬라이드홈(13)이 형성된 제2하우징(10b)과, 제2하우징(10b)의 상부에서 결합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제3하우징(10c, 도 5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The housing 10 may be provided in various shapes and sizes. For example, the housing 10 has a first housing 10a having an opening 14 (refer to FIG. 5) to which the moving rod 20 is accommodated, facing the outside of the panel 87, and the switching unit 30. And a second housing 10b formed at one side thereof and having a slide groove 13 for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moving rod 20, and a third housing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housing 10b to form an exterior. 10c, see FIG. 5).

제2하우징(10b)은 침습방지부재(50)를 사이에 두고, 패널(87)의 내측으로 마련된다. The second housing 10b is provided inside the panel 87 with the invasion preventing member 50 therebetween.

제2하우징(10b)에는 제1하우징(10a)의 개구부(14)에 연장된 일측에 이동로드(20)의 왕복이동을 위한 슬라이드홈(13)이 형성된다. A slide groove 13 for reciprocating the moving rod 20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second housing 10b extending to the opening 14 of the first housing 10a.

이 경우, 슬라이드홈(13)의 일측 단부, 즉, 개구부(14)의 반대측에는 이동로드(20)를 수용위치(B)로부터 돌출위치(A)로 이동시키는 탄성부재(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case, one end of the slide groove 13, that is, the opposite side of the opening 14 further includes an elastic member 25 for moving the moving rod 20 from the receiving position (B) to the projecting position (A) Can be.

탄성부재(25)는 도어(83)가 개방될 때 이동로드(20)를 수용위치(B)로부터 돌출위치(A)로 복귀시킴으로써, 이동로드(20)에 의해 눌려 있던 레버(31)가 해제될 수 있도록 한다. The elastic member 25 returns the movable rod 20 from the receiving position B to the protruding position A when the door 83 is opened, thereby releasing the lever 31 pressed by the movable rod 20. To be possible.

탄성부재(25)는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연고무, 합성고무 등과 같은 탄성소재로 마련될 수도 있고, 판스프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The elastic member 25 may be provided in various kinds, for example, as shown in Figure 3, may be provided as a coil spring, as shown in Figure 2, elastic, such as natural rubber, synthetic rubber It may be provided as a material, or may be provided as a leaf spring.

제2하우징(10b)의 타측에는 스위칭부(30)의 각 접점단자(33)가 외부의 본체제어부(미도시)와 연결되는 연결부(15)가 마련될 수 있다.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housing 10b may be provided with a connecting portion 15 to which each contact terminal 33 of the switching unit 3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main body controller (not shown).

이동로드(20)는 하우징(10)에 이동가능하게 수용되어 도어(83)의 개폐에 따라 하우징(10)의 외부로 돌출된 돌출위치(A)와, 하우징(10)의 내부로 수용된 수용위치(B) 사이에서 왕복이동되도록 마련된다. The moving rod 20 is movably accommodated in the housing 10 and protrudes a position protruding out of the housing 10 as the door 83 opens and closes, and an accommodation position accommodated in the housing 10. It is provided to reciprocate between (B).

이동로드(20)는 도어(83)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탄성부재(25)에 의해 돌출위치(A)로 이동되며, 도어(83)가 폐쇄될 때에는 도어(83)에 의해 눌려져 하우징(10) 내부로 수용되는 수용위치(B)로 이동된다. The moving rod 20 is moved to the protruding position A by the elastic member 25 when the door 83 is opened, and is pressed by the door 83 when the door 83 is closed, so that the housing 10 is moved. It is moved to the accommodation position (B) accommodated therein.

이동로드(20)는 상기와 같은 왕복이동을 하면서 슬라이드홈(13)의 내부로 돌출된 레버(31)를 회동시켜 스위칭부(30)에서 도어(83)의 개폐상태에 따라 접점단자가 스위칭되도록 한다. The moving rod 20 rotates the lever 31 protruding into the slide groove 13 while reciprocating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contact terminal is switched in accordance with the opening / closing state of the door 83 in the switching unit 30. do.

이동로드(20)는 다양한 형상을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봉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각봉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The moving rod 20 may be provided in various shapes.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5, the movable rod 20 may be provided in a circular rod shape or may be provided in an angular rod shape.

스위칭부Switching unit (30)(30)

스위칭부(30)는 이동로드(20)에 연동되어 접점이 스위칭되도록 마련된다. The switching unit 30 is interlocked with the moving rod 20 so that the contact point is switched.

스위칭부(30)는 이동로드(20)가 수용위치(B)에 있는지 돌출위치(A)에 있는지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전기적신호를 발생하여 본체제어부로 송신함으로써 본체제어부가 도어(83)의 개폐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The switching unit 30 generates and transmits different electric signals to the main body control unit according to whether the moving rod 20 is at the receiving position B or the protruding position A, and thus the main body control unit opens and closes the door 83. It can detect whether or not.

스위칭부(30)는 다양한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로드(20)의 왕복이동에 연동하여 회동하는 레버(31)와, 레버(31)에 의해 누름 및 해제되는 누름쇠(32)와, 본체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3개의 접점단자(33)와, 누름쇠(32)의 누름 및 해제에 따라 3개의 접점단자(33) 중 어느 2개의 접점단자(33)를 선택적으로 전기적 연결시키는 접점판(34)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witching unit 30 may be provided in various configuration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the lever 31 that rotates in conjunction with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moving rod 20, the depressor 32 pressed and released by the lever 31, and the main body control unit. Three contact terminals 33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contact plate 34 for selectively electrically connecting any two contact terminals 33 of the three contact terminals 33 according to the pressing and releasing of the clamp 32. ) May be included.

레버(31)는 일단은 하우징(10)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이동로드(20)에 접촉되어 회동하도록 마련된다.One end of the lever 31 is hinged to the housing 10 and the other end is provided to rotate in contact with the moving rod 20.

레버(31)의 일측에는 누름쇠(32)가 마련되어 있어서, 레버(31)의 회동에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접점판(34)을 이동시킨다. One side of the lever 31 is provided with a pusher 32, and moves the contact plate 34 while moving left and right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lever 31.

접점단자(33)는 하우징(10)의 내부로부터 연결부(15)를 통하여 외부의 본체제어부에 연결된다. The contact terminal 33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main body control unit through the connection unit 15 from the inside of the housing 10.

접점단자(33)는 다양한 개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접점판(34)의 일측이 전기적으로 상시 연결된 공통단자(33a)와, 접점판(34)의 타측이 레버(31)의 회동에 따라 연결 또는 해제되는 제1단자(33b) 및 제2단자(33c)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act terminals 33 may be provided in various numbers. For example, one side of the contact plate 34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mmon terminal 33a, and the other side of the contact plate 34 may be connected to the lever 31. It may include a first terminal 33b and a second terminal 33c connected or released according to the rotation.

공통단자(33a)는 접점판(34)에 상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 있으며, 제2단자(33b)는 이동로드(20)가 돌출위치에 있는 경우, 즉, 도어(83)가 개방상태가 되면 접점판(34)과 전기적 연결되며, 이동로드(20)가 수용위치, 즉, 도어(83)가 개방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접점판(34)과 전기적으로 해제된다. The common terminal 33a is always in an electrically connected state to the contact plate 34, and the second terminal 33b is in the case where the moving rod 20 is in the protruding position, that is, the door 83 is in an open state. The contact plate 34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act plate 34, and the movable rod 20 is electrically released from the contact plate 34 when the movable rod 20 is in a receiving position, that is, the door 83 is in an open state.

한편, 제1단자(33b)는 이동로드(20)가 돌출위치에 있는 경우, 접점판(34)과 전기적으로 해제되며, 이동로드(20)가 수용위치에 있는 경우, 접점판(34)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On the other hand, the first terminal 33b is electrically released from the contact plate 34 when the moving rod 20 is in the protruding position, and the contact plate 34 and the contact plate 34 when the moving rod 20 is in the accommodation position. Electrically connected.

이에, 세탁기가 작동되어 도어(83)가 폐쇄된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공통단자(33a)를 통하여 흘러들어온 전류가 제1단자(33b)를 통해 흘러나가게 되나, 도어(83)가 개방되는 경우에는 공통단자(33a)를 통해 흘러들어온 전류가 제2단자(33c)를 통해 흘러나가게 되므로, 본체제어부는 이러한 전류 흐름의 차이를 감지하여 도어(83)의 개방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Thus, when the washing machine is operated and the door 83 is in a closed stat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common terminal 33a flows out through the first terminal 33b, but when the door 83 is opened. Since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common terminal 33a flows out through the second terminal 33c, the main body controller detects the difference in the current flow and determines whether the door 83 is opened.

여기서, 전술한 마이크로 스위치 타입의 스위칭부(30)는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다양한 구성으로의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Here, the above-described micro switch type switching unit 30 is only one embodiment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of course, it can be modified in various configurations.

침습(Invasion 浸濕浸濕 )) 방지부재Prevention member (50)50

침습방지부재(50)는 스위칭부(30)를 패널(87)로부터 소정 간격으로 이격시켜 패널(87) 외부의 수분이나 습기가 스위칭부(30)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된다. The invasion preventing member 50 is provided to prevent the moisture from entering the switching unit 30 to the switching unit 30 by separating the switching unit 30 from the panel 87 at predetermined intervals.

침습방지부재(50)는 예를 들어, 패널(87)과 하우징(10) 사이에 마련되는 격벽(51)일 수 있다. The invasion preventing member 50 may be, for example, a partition wall 51 provided between the panel 87 and the housing 10.

격벽(51)은 제1하우징(10a)과 제2하우징(10b) 사이에 마련되어, 제2하우징(10b)에 수용된 스위칭부(30)를 패널(87)로부터 차단하는 차단막의 기능을 한다. The partition wall 51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housing 10a and the second housing 10b to function as a blocking film to block the switching unit 30 accommodated in the second housing 10b from the panel 87.

이에 의해, 종래의 가전기기용 도어스위치(1)의 경우에는 패널(87)과 스위칭부(30)사이의 거리를 소정 간격 이상으로 이격시킴으로써, 패널(87) 외부로부터의 습기/물기가 스위칭부(30)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Thus, in the case of the door switch 1 for a home applianc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by separa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panel 87 and the switching unit 30 by a predetermined interval or more, moisture / moisture from outside the panel 87 is switched. It becomes possible to prevent the infiltration into (30).

여기서, 격벽(51)의 두께는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으나, 2 ~ 6 mm 의 범위 내에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격벽(51)의 두께가 너무 두꺼우면 도어스위치(1) 자체의 폭이 길어져 패널(87) 내부에 장착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으며, 반대로 두께가 너무 얇은 경우에는 격벽(51)이 차단막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기 때문이다. Here, the thickness of the partition 51 may be provided in various ways, it is preferably provided in the range of 2 ~ 6 mm. Because, if the thickness of the partition wall 51 is too thick, the width of the door switch 1 itself is long, so it is not easy to mount it inside the panel 87. On the contrary, when the wall thickness is too thin, the partition wall 51 functions as a barrier. This can't be done properly.

더욱 바람직하게는, 격벽(51)의 두께는 3 ~ 4 mm의 범위 내에서 마련될 수 있다. More preferably, the thickness of the partition wall 51 may be provided in the range of 3 to 4 mm.

배수부(53)는 격벽(51)에 관통되며 형성되어, 패널(87)을 통하여 침투된 습기 또는 물기를 하우징(10)의 외부로 안내하도록 마련된다. The drain 53 is formed to penetrate the partition 51 and is provided to guide moisture or water penetrated through the panel 87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

배수부(53)는 개구부(14)와 이동로드(20) 사이의 틈새 또는 패널(87)과 하우 징(10)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침습한 물기 또는 습기를 외부로 안내함으로써 하우징(10)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The drain portion 53 guides the invasive moisture or moisture through the gap between the opening 14 and the movable rod 20 or the gap between the panel 87 and the housing 10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 To prevent penetration.

배수부(53)의 방향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배수부(53)에 집수된 물기가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낙하될 수 있도록 중력방향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배수부(53)는 비스듬히 경사지게 마련될 수도 있다. The direction of the drain 53 may be formed in various directions as necessary, but preferably, the water collected in the drain 53 is provided in a gravity direction so that water collected in the drain 53 may fall downward by its own weight. Of course, the drain 53 may be provided to be inclined obliquely.

배수부(53)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격벽(51)내에 1개로 마련될 수도 있고,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로 마련될 수도 있으며, 3개 이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The drain 53 may be provided in various numbers as necessary. For example, one may be provided in the partition 51, as shown in Figures 3 to 5, may be provided in two, may be provided in three or more.

이 경우, 배수부(53)가 복수 개로 마련되는 경우에는 집수면적 즉, 침투된 물기 또는 습기가 물방울로 맺히는 면적이 늘어나게 되므로 방습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In this case, when a plurality of drainage portions 53 are provided, the water collecting area, that is, the area where the infiltrated moisture or moisture is formed by water droplets is increased, so that the moisture-proof effect can be improved.

침습방지부재(50)는 하우징(10)과 동일한 재질을 이용하여 일체로 마련될 수도 있다. Invasion prevention member 50 may be provided integrally using the same material as the housing 10.

이하, 전술한 구조를 갖는 본 고안의 따른 전자기기용 도어스위치(1)의 작동과정을 도 1에 도시된 드럼식 세탁기에 적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door switch 1 for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will be described by applying to the drum type washing machine shown in FIG. 1.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가전기기용 도어스위치(1)는 도어(83)가 장착된 본체케이스(81)의 전방 패널(87)의 일측에 설치된다. First, referring to Figure 1, the door switch 1 for home applianc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ront panel 87 of the main body case 81, the door 83 is mounted.

패널(87)의 외부에 제1하우징(10a)이 노출되어 있으며, 제1하우징(10a)의 전방 일측에는 이동로드(20)가 하우징(10)으로부터 외부를 향하여 돌출된 돌출위치(A, 도 3참조)에 위치하고 있다. The first housing 10a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anel 87, and at the front side of the first housing 10a, the movable rod 20 protrudes outward from the housing 10 to the outside (A, FIG. 3).

사용자는 세탁조(82)에 세탁물과 세제를 넣고, 도어(83)를 닫은 다음 조작부(85)를 조작하여 세탁을 수행한다. The user puts laundry and detergent into the washing tank 82, closes the door 83, and then operates the manipulation unit 85 to perform washing.

도 4는 도어(83)가 폐쇄된 상태의 도어스위치(1)의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이동로드(20)는 도어(83)에 의해 화살표 방향으로 눌려져 하우징(10)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 이동로드(20)가 하우징(10)의 내부로 수용될 때 이동로드(20)와 접촉된 레버(31)는 오른쪽으로 회동하면서 누름쇠(32)를 이동시키며, 누름쇠(32)와 연동된 접점판(34)은 제2단자(33c)와 해제되어 제1단자(33b)에 접촉되어 있다.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oor switch 1 with the door 83 closed.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moving rod 20 is press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by the door 83 is accommodated inside the housing 10. When the moving rod 20 is received into the housing 10, the lever 31 in contact with the moving rod 20 moves the depress 32 while rotating to the right, and is interlocked with the depress 32. The contact plate 34 is released from the second terminal 33c and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terminal 33b.

이에, 공통단자(33a)로부터 흘러들어온 전류는 제1단자(33b)를 거쳐 본체제어부로 흘러들어가게 된다. Therefore, the current flowing from the common terminal 33a flows into the main body control unit via the first terminal 33b.

도 3은 도어(83)가 개방된 상태의 도어스위치(1)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이동로드(20)를 누르고 있던 도어(83)가 해제되면, 이동로드(20)는 탄성부재(25)에 의해 수용위치(B)에서 돌출위치(A)로 복귀하게 된다.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oor switch 1 in the state in which the door 83 is opened. Referring to the drawings, when the door 83 holding the moving rod 20 is released, the moving rod 20 is returned from the receiving position B to the protruding position A by the elastic member 25.

이동로드(20)가 돌출위치(A)로 복귀하면 이동로드(20)와 연동된 레버(31) 역시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누름쇠(32) 및 접점판(34)이 따라서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When the moving rod 20 returns to the protruding position A, the lever 31 interlocked with the moving rod 20 also moves to the left side, and the pusher 32 and the contact plate 34 move to the left side accordingly. do.

여기서, 레버(31), 누름쇠(32) 및 접점판(34)의 복귀는 접점판(34)에 마련된 별도의 탄성부재(25)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점판(34)을 판스프 링으로 마련하여 이동로드(20)로부터 레버(31)가 해제되는 경우, 접점판(34)이 제1단자(33b)와 접촉된 위치로 복귀하면서 누름쇠(32) 및 레버(31)를 이동시키도록 마련할 수도 있다. Here, the return of the lever 31, the pressing 32 and the contact plate 34 can be implemented using a separate elastic member 25 provided in the contact plate 34. For example, when the contact plate 34 is provided with a leaf spring and the lever 31 is released from the moving rod 20, the contact plate 34 returns to the position where the contact plate 34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terminal 33b. The presser 32 and the lever 31 may be provided to move.

도어(83)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접점판(34)이 제1단자(33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공통단자(33a)를 통하여 흘러들어온 전류가 제1단자(33b)를 통하여 흘러나가게 되므로, 본체제어부는 이러한 전류 흐름의 차이를 감지하여 도어(83)의 개방을 감지하게 되고, 필요한 경우 세탁기의 작동을 정지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한다. In the state in which the door 83 is opened, since the contact plate 34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33b,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common terminal 33a flows out through the first terminal 33b. Therefore, the main body control unit detects the difference in the current flow to detect the opening of the door 83, and if necessary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washing machine to prevent the safety accident in advance.

여기서, 세탁이 수행되는 동안 세탁기 내부는 세탁조에 채워진 세탁수에 의해 물기나 습기가 많은 상태에 있게 된다. 이렇게 세탁조에 채워진 물기는 패널(87)과 하우징(10)의 사이 또는 이동로드(20)와 하우징(10)의 사이 틈새를 통하여 패널(87) 내부로 스며들게 된다. Here, while the washing is performed, the inside of the washing machine is in a wet or damp state by the washing water filled in the washing tank. The water filled in the washing tank is permeated into the panel 87 through the gap between the panel 87 and the housing 10 or between the moving rod 20 and the housing 10.

그러나, 본 고안에 따른 전자기기용 도어스위치(1)는 격벽(51)에 의해 패널(87) 틈새와 스위칭부(30)가 소정 간격 이상으로 이격된 채로 차단되어 있으므로, 물기가 스위칭부로 침투하는 것을 막을 수 있으므로, 침습에 의한 내전압의 상승이나 접점단자 사이의 단락 등에 의해 발생하는 도어스위치의 작동불능이나 오작동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However, the door switch 1 for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locked by the partition wall 51 and the gap between the panel 87 and the switching unit 30 by more than a predetermined interval, so that water can penetrate the switching unit.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prevent malfunction or malfunction of the door switch caused by an increase in withstand voltage due to invasion or short circuit between the contact terminals.

또한, 격벽(51) 내에 배수부(53)를 마련하는 경우에는, 패널(87) 틈새를 통하여 스며든 물기나 습기를 배수부(53)에서 집수하여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낙하하 게 할 수 있어, 침습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providing the drainage portion 53 in the partition wall 51, water and moisture that have soaked through the gap of the panel 87 can be collected in the drainage portion 53 and fall downward due to its own weight. In addition, the invasive effect can be further improved.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전자기기용 도어스위치는 침습에 의한 도어스위치의 오작동이나 고장등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전자기기 작동 중에 도어가 개방되어 발생하는 안전사고 또는 에너지소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Therefore, since the door switch for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a malfunction or failure of the door switch due to invas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safety accidents or energy consumption caused by the door being open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본 고안에 따른 전자기기용 도어스위치는 격벽에 의해 패널 틈새와 스위칭부가 소정 간격 이상으로 이격된 채로 차단되어 있으므로, 물기가 스위칭부로 침투하는 것을 막을 수 있어, 침습에 의한 내전압의 상승이나 접점단자 사이의 단락 등에 의해 발생하는 도어스위치의 작동불능이나 오작동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The door switch for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locked with a gap between the panel gap and the switching part by more than a predetermined interval by the partition wall, thereby preventing water from penetrating into the switching part, thereby increasing the withstand voltage due to invasion or between contact terminals. The malfunction or malfunction of door switch caused by short circuit can be prevented.

또한, 격벽 내에 배수부를 마련하는 경우에는, 패널 틈새를 통하여 스며든 물기나 습기를 배수부에서 집수하여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낙하하게 할 수 있어, 침습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when providing the drainage part in a partition, the water and moisture which permeated through the panel gap can be collected by the drainage part, and it can fall down by self weight, and an invasion effect can be improved further.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전자기기용 도어스위치는 침습에 의한 도어스위치의 오작동이나 고장등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전자기기 작동 중에 도어가 개방되어 발생하는 안전사고 또는 에너지소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Therefore, since the door switch for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a malfunction or failure of the door switch due to invas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safety accidents or energy consumption caused by the door being open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Claims (8)

가전기기의 도어 측 패널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기 위한 가전기기용 도어스위치에 있어서, In the door switch of the home appliance is installed in the door switch for home appliances for detecting the opening of the door, 상기 패널에 장착되는 하우징과;A housing mounted to the panel; 상기 하우징에 이동가능하게 수용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에 따라 상기 하우징 외부로 돌출된 돌출위치와, 상기 하우징 내부로 수용된 수용위치 사이에서 왕복이동되는 이동로드와; A movable rod movably received in the housing and reciprocating between a protruding position protruding out of the housing and an accommodation position accommodated in the housing according to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상기 이동로드에 연동되어 접점이 스위칭되는 스위칭부와; A switching unit which contacts with the moving rod to switch contacts; 상기 스위칭부를 상기 패널로부터 소정 간격으로 이격시켜 상기 패널 외부의 수분이나 습기가 상기 스위칭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침습(浸濕)방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용 도어스위치. And an invasion preventing member that separates the switching unit from the panel at predetermined intervals to prevent moisture or moisture outside the panel from penetrating into the switch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침습방지부는 상기 패널과 상기 하우징 사이에 마련되는 격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용 도어스위치. The intrusion preventing unit is a door switch for home appliances, characterized in that the partition wall provided between the panel and the housing. 제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격벽의 두께는 2 ~ 6 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용 도어스위치. The thickness of the partition wall switch for home appliances, characterized in that 2 ~ 6 mm. 제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격벽은 상기 하우징에 일체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용 도어스위치. The partition wall is a door switch for home appliances, characterized in that integrally provided in the housing.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상기 격벽에 관통되어 형성되어, 상기 패널을 통하여 침투된 습기 또는 물기를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안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배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용 도어스위치. And at least one drainage part formed through the partition wall to guide moisture or water penetrated through the panel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이동로드의 왕복이동에 연동하여 회동하는 레버와, 상기 레버에 의해 누름 및 해제되는 누름쇠와, 본체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3개의 접점단자와, 상기 누름쇠의 누름 및 해제에 따라 상기 3개의 접점단자 중 어느 2개의 접점단자를 선택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접점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용 도어스위치. The switching unit includes a lever that rotates in conjunction with a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moving rod, a pusher pressed and released by the lever, three contact terminal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control unit, and a pusher and a releaser of the pusher. The door switch for home appliance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act plate for selectively electrically connecting any two contact terminals of the three contact terminals.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패널을 향하는 일측에 형성된 개방부와, 상기 개방부로부터 상기 하우징 내부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이동로드의 왕복이동을 안내하는 슬 라이드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용 도어스위치. The housing is provided with an opening formed on one side facing the panel, and a slide groove extending from the opening into the housing to guide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moving rod is provided. 제6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슬라이드홈에 마련되어 복원력에 의해 상기 이동로드를 상기 수용위치로부터 상기 돌출위치로 이동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용 도어스위치. And an elastic member provided in the slide groove to move the movable rod from the receiving position to the protruding position by a restoring force.
KR2020060013038U 2006-05-16 2006-05-16 Door switch for home appliance KR200422722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3038U KR200422722Y1 (en) 2006-05-16 2006-05-16 Door switch for home appli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3038U KR200422722Y1 (en) 2006-05-16 2006-05-16 Door switch for home applian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2722Y1 true KR200422722Y1 (en) 2006-07-31

Family

ID=41771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3038U KR200422722Y1 (en) 2006-05-16 2006-05-16 Door switch for home applian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2722Y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61776B2 (en) 2007-09-04 2012-04-24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machine and door switch thereof
KR101729631B1 (en) * 2015-01-05 2017-04-24 전영환 Return switch having moistureproof structure
WO2021149934A1 (en) * 2020-01-23 2021-07-29 삼성전자(주) Refrigerato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61776B2 (en) 2007-09-04 2012-04-24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machine and door switch thereof
KR101729631B1 (en) * 2015-01-05 2017-04-24 전영환 Return switch having moistureproof structure
WO2021149934A1 (en) * 2020-01-23 2021-07-29 삼성전자(주) Refrigera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29528B2 (en) Door lock for a domestic electrical appliance with a movably arranged locking member
CN111315927B (en) Anti-contamination electrical latch
KR102500617B1 (en) Door lock with safety system
KR101606725B1 (en) Lid locker of washing machine
US11859337B2 (en) Tamper resistant appliance latch
KR200422722Y1 (en) Door switch for home appliance
KR101036469B1 (en) Assembly for Door Switch Preventing Soaking in Water in Dryer
US6743986B2 (en) Door lock
US20200115923A1 (en) Appliance lock with repelling magnetic sensing switch actuation in a hydrophobic enclosure
EP3808888B1 (en) Improved door locking device
EP3129539B1 (en) Hidden dryer door switch
US9443670B2 (en) Contamination resistant push button switch
CN1239771C (en) Lid locking device of washer
US9217217B2 (en) Door-locking device for a household appliance, door arrangement comprising a door-locking device and method for locking a door of a household appliance
KR100809357B1 (en) A door-lock equipment of an electric household appliance
US9607788B2 (en) Compact contamination resistant push button switch
ATE521748T1 (en) ELECTRONIC CONTROL DEVICE FOR A HOUSEHOLD ELECTRICAL APPLIANCE WITH ACCESS DOOR
KR101940243B1 (en) Laundry treatment machine
GB2118266A (en) Door lock control means in a front-loading washing machine
KR20090024466A (en) A door switch for laundry treatment machine
KR19990012992U (en) Washing machine safety switch
KR20050047769A (en) Washing machine
SI21967A (en) Electromotor dri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washing powder drawer of washing machi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11025

Effective date: 2012062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