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2507Y1 - 미세기포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미세기포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2507Y1
KR200422507Y1 KR2020060013350U KR20060013350U KR200422507Y1 KR 200422507 Y1 KR200422507 Y1 KR 200422507Y1 KR 2020060013350 U KR2020060013350 U KR 2020060013350U KR 20060013350 U KR20060013350 U KR 20060013350U KR 200422507 Y1 KR200422507 Y1 KR 2004225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tank
air
pump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33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드림일렉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드림일렉트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드림일렉트론
Priority to KR20200600133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25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25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250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2Bathing devices for use with gas-containing liquid, or liquid in which gas is led or generated, e.g. carbon dioxide bath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2Bathing devices for use with gas-containing liquid, or liquid in which gas is led or generated, e.g. carbon dioxide baths
    • A61H2033/022Bathing devices for use with gas-containing liquid, or liquid in which gas is led or generated, e.g. carbon dioxide baths with control means for regulating the air volume aspirated by a water j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단이 저수조 내의 액체 유로인 액체 흡입라인과 대기의 공기 유로인 기체 흡입라인으로 분기되는 흡입라인의 타단이 흡입구에 연결되어 공기 및 저수조 내의 액체를 펌핑하고, 상기 공기를 상기 액체에 용해시켜 토출구를 통해 토출하는 펌프; 상부에 연결된 공급라인을 통해 상기 펌프로부터 상기 액체를 공급받고, 내부에 복수의 세라믹 볼을 가지고 있으며, 하부에 배출라인이 연결되어 있고, 합성수지로 형성된 탱크; 상기 액체 흡입라인의 타끝단에 연결되고, 상기 저수조 내의 액체를 흡입하는 흡입노즐; 및 상기 배출라인의 타끝단에 연결되고, 상기 탱크에 저장된 액체를 외부로 분출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미세기포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저수조 내의 액체를 순환시키면서 공기를 혼합시켜 음이온에 해당하는 미세기포를 발생시킴으로써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세정 효과, 피부 미용 효과를 가진다.
미세기포, 세정, 펌프, 탱크

Description

미세기포 발생장치{Micro-bubble generating device}
도 1은 종래 기포를 발생시키기 위한 기포발생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배출노즐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의 배출노즐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4의 메쉬체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미세기포에 의한 세정 효과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저수조
100 : 흡입노즐
110 : 펌프
120 : 탱크
130 : 배출노즐
140 : 온수히터
본 고안은 미세기포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정 공간 내의 탕수 내에 세정효과, 미용효과 등의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미세기포(micro-bubble)를 발생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미세기포 발생장치는 기포를 인공적으로 발생시키고 물속에 기포를 공급하여 용존산소량을 높이고자 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포를 발생시키기 위한 기포발생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펌프(1)는 수조 내의 물(3)을 흡입하는 흡입구(4)와, 흡입구(4)를 통해 흡입한 물을 가압하여 다시 수조 내로 송출하기 위한 토출구(5)를 구비하고 있으며, 토출구(5)에는 배출관(6)이 접속 연장되어 있다. 배출관(6)에는 외부 공기 도입관(7)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고, 외부 공기 도입관(7)의 타단은 수조 밖의 수면위에 돌출되어 대기와 연통하게 된다.
수조 속에 잠겨 작동하는 펌프(1)가 가동되면, 물 도입관(8)을 통해 수조 내의 물(3)이 펌프 흡입구(4)를 거쳐 펌프 본체 내부로 유입되어 가압된 후 배출관(6)을 통해 다시 수조 내로 배출되어진다. 이때 물 도입관(8)을 통해 펌프(1)로 유입되는 물은 단면적이 갑자기 좁아지는 교축부(10)를 통과하면서 유속이 상승되고 관 내부의 압력이 저하되어 대기와 연통된 또 다른 외부 공기 도입관(9)을 통하 여 공기가 유입되어 물속에 기포 형태로 확산되면서 물과 함께 펌프(1) 내로 유입된다. 기포를 함유한 물은 고속 회전하는 임펠러(2)에 충돌하고 그 충격력으로 인해 기포가 산산히 부서져 미세 기포를 발생시키고, 물 배출관(6)을 통해 수조 내로 송출한다. 이 때 외부 공기 도입관(7)을 통해 공기가 또다시 유입되어 물속에 추가적으로 흡입되고 수조 내로 송출된다.
전술한 구성의 기포 발생 장치는 수조 내에 위치하고 있으면서, 공기만을 이용하여 기포를 발생하는 장치로서, 물 속에 용존산소량을 증대시키고자 할 뿐 마사지 효과나 세정 효과, 피부 치료 및 미용 효과 등 다양한 기능을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저수조 내의 액체를 순환시키면서 공기를 혼합시켜 음이온에해당하는 미세기포를 발생시킴으로써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세정 효과를 가지는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음이온을 가지는 미세기포 발생시 소음이 적게 발생하고 미세기포 발생량의 조절가능한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일단이 저수조 내의 액체 유로인 액체 흡입라인과 대기의 공기 유로인 기체 흡입라인으로 분기되는 흡입라인의 타단이 흡입구에 연결되어 공기 및 저수조 내의 액체를 펌핑하고, 상기 공기를 상기 액체에 용해시켜 토출구를 통해 토출하는 펌프; 상부에 연결된 공급라인을 통해 상기 펌프로부터 상기 액체를 공급받고, 내부에 복수의 세라믹 볼을 가지고 있으며, 하부에 배출라인이 연결되어 있고, 합성수지로 형성된 탱크; 상기 액체 흡입라인의 타끝단에 연결되고, 상기 저수조 내의 액체를 흡입하는 흡입노즐; 및 상기 배출라인의 타끝단에 연결되고, 상기 탱크에 저장된 액체를 외부로 분출하는 배출노즐을 포함하는 미세기포 발생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펌프는 속도 조절이 가능한 브러시리스 직류모터(BLDC motor)에 의해 내부 압력을 변화시켜 상기 액체에 용해되는 상기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입노즐은 복수의 공극을 가지고 있어 통과되는 상기 공기가 용해된 액체에 미세기포를 발생시키는 하나 이상의 음이온 필터를 포함하되, 상기 미세기포가 음이온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노즐은, 하우징; 상기 액체의 부유물을 걸러주는 필터; 하나 이상의 분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노즐판; 하나 이상의 공극을 가지고, 상기 액체에 용해된 기포를 미세하게 하는 메쉬체; 하나 이상의 분출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 내로 상기 액체를 분출하는 노즐캡; 및 상기 하우징 내의 액체를 외부로 분출하는 바디캡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탱크는 내부가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탱크는 나노 실버가 함유된 합성수지의 재질로 사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탱크는 상기 공급라인 및 상기 배출라인과 분리되어 교체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펌프로부터 상기 공기가 용해된 액체를 공급받고, 열을 가하여 상기 액체가 소정의 온도를 가지도록 하며, 상기 액체를 상기 탱크의 공급라인으로 배출하는 온수 히터를 더 포함하거나, 혹은 상기 탱크로부터 상기 공기가 용해된 액체를 공급받고, 열을 가하여 상기 액체가 소정의 온도를 가지도록 하며, 상기 액체를 상기 배출라인을 통해 배출하는 온수 히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미세기포 발생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동일 또는 유사한 개체를 순차적으로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배출노즐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배출노즐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메쉬체를 확대 도시한 단 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미세기포 발생장치는 흡입노즐(100), 펌프(110), 탱크(120), 배출노즐(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필요에 따라 온수히터(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펌프(110)는 흡입구와 토출구를 가지고 있으며, 흡입구에는 흡입라인(106)이 연결되어 있다. 흡입라인(106)은 펌프(110)와 연결된 일단 외의 타단에서 저수조(200) 내의 액체를 흡입하기 위한 유로인 액체 흡입라인(102)과, 대기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유로인 기체 흡입라인(104)로 분기된다.
흡입라인(106)으로부터 분기되는 액체 흡입라인(102)의 일단의 반대편 타끝단에는 흡입노즐(100)이 장착된다. 흡입노즐(100)은 저수조(200) 내의 액체를 흡입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또한, 흡입노즐(100)은 음이온 필터를 포함하고 있어, 액체의 흡입과 동시에 액체가 음이온을 가지도록 한다. 따라서, 흡입노즐(100) 안에 부착되어 있는 음이온 필터는 단위면적(㎠)당 약 2,000개, 필터 1개당 약 30,000개의 음이온을 방사한다.
펌프(110)는 펌핑 동작을 수행하여 저수조(200) 내의 액체를 펌프(110) 내의 공간으로 흡입한다. 저수조(200)의 액체는 액체 흡입라인(102) 및 흡입라인(106)을 거쳐 펌프(110) 내로 유입된다. 여기서, 액체가 유입되는 속도에 따라 흡입라인(106)의 라인 내부 압력이 변화하며, 이에 따라 공기 흡입라인(104)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의 양이 변화한다. 즉, 액체 유입 속도를 조절하여 흡입되는 공기의 양도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흡입라인(106)을 통해 액체 및 공기가 동시에 펌프(110) 내 로 유입되고, 공기는 기포 상태로 액체 내에 용해되게 된다.
액체 유입 속도는 펌프(110)의 내부 압력에 따라 변화하게 되며, 펌프(110)의 내부 압력은 펌프(110)에 연결된 모터(미도시)에 의해 조절된다. 본 고안에서 펌프(110)에 연결된 모터는 브러시리스 직류모터(BLDC motor)인 것이 바람직하다.
브러시리스 직류모터는 일반적인 직류(DC)모터에서 정류자(commutator) 역할을 하는 브러시(brush)를 제거하고 직류모터의 성질은 그대로 유지하도록 고안된 것으로, 회전자의 위치를 검출함과 동시에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검출센서의 유무에 따라 센서타입(sensor type)과 센서리스타입(sensorless type)으로 구분된다. 브러시리스 직류모터는 고정자가 권선이고 회전자가 자석으로 되어 있으며, 고정자에 인가되는 전류에 따라 형성되는 회전자계에 의해 회전자가 회전하는 원리로 동작한다.
브러시리스 직류모터는 교류모터에 비하여 권선의 영향을 받지 않아 소음이 감소하고, 회전속도(RPM)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회전속도를 조절함에 따라 펌프(110) 내부의 압력을 여러 단계로 변화시킬 수 있게 된다. 펌프(110) 내부의 압력 변화에 따라 저수조(200) 내의 액체 유입 속도가 변화하고, 그에 따른 기체 흡입라인(104)을 통한 공기 흡입량도 변화하여 내부의 발생되는 기포의 수를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브러시리스 직류모터는 교류모터에 비하여 소음이 매우 적은 장점도 있어, 본 고안에 따른 미세기포 발생장치가 주로 사용될 욕실, 베란다 등의 저소음이 요구되는 환경에 적합하다.
펌프(110) 내부에서 흡입라인(106)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액체에 기포 상태 로 용해되고, 토출구를 통해 토출된다. 펌프(110)의 토출구에는 탱크(120)의 상부에 일단이 연결된 공급라인(122)의 타단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탱크(120)는 공급라인(122)을 통해 공기가 용해된 액체를 공급받는다. 탱크(120) 내부에는 복수의 세라믹 볼(ceramic ball, 126)이 구비되어 있다. 세라믹 볼(126)은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사용 기능을 가지고 있다.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사용 기능성 볼이란, 원적외선 방사는 물론 음이온(Anion)이 다량 방출되는 소재에 대한 조성물 및 그 조성물에 의한 소결체를 볼(ball) 형태로 구성한 것을 말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사용 기능성 조성물에는 토르마린(tourmalin)과 맥반석, 식철석, 백점토 등의 5종 천연 물질이 있다. 토르마린은 약 1만년 이상 전에 화산 폭발에 의해 용출된 마그마가 고온 고압에서 이루어진 결정체이며, 토르마린의 경우 구성 성분에 따라 대략 11종류가 있다. 일반적인 토르마린의 경우 화학 성분은 철ㅇ마그네슘ㅇ알칼리금속 등과 알루미늄의 복잡한 붕규산염이다. 대개는 6각 또는 9각 때로는 3각 주상(柱狀)을 이루며, 주(柱)의 상하에서 결정형을 달리하는 경우도 있다. 또 상하가 편평한 능면체나 침상(針狀)ㅇ모상(毛狀)을 나타내며, 때로는 입상(粒狀)ㅇ괴상(塊狀)을 이루기도 한다. 이러한 토르마린의 경우 주로 산업적인 면 보다는 현재 생활용품 등으로만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사용 기능성 볼로써 토르마린, 맥반석,식철석, 백점토 등의 5종의 천연물질을 볼형태로 구성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라믹 볼(126)은 탱크(120)에 공급된 액체를 정화시키고,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방사하여 액체 내에 기포가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가지도록 한다.
탱크(120) 내의 상부로 공급된 액체는 탱크(120) 내부의 세라믹 볼(126)과 마찰 동작을 통해 전술한 원적외선 및 음이온이 방사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탱크(120) 내부면과 세라믹 볼(126)이 잦은 충돌을 일으키게 되어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본 고안에서 탱크(120)는 합성수지 재질의 사출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스테인리스 재질인 경우 세라믹 볼(126)과의 충돌에 의해 심한 소음이 발생하게 되지만, 합성수지 재질인 경우 세라믹 볼(126)과의 충돌에 대해서 그 충격을 탱크(120)가 흡수하게 되고, 또한 외부로 방사되는 충격에 의한 소음도 줄어들게 된다.
또한, 탱크(120)의 재질은 소음 감소를 위해 합성수지를 기본으로 하며, 공급받은 액체의 살균, 멸균 처리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나노 실버(nano silver)가 함유될 수 있다. 합성수지는 ABS 수지(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수지:ABS resin) 등이 가능하며, 나노 실버와 원착하여 사출함으로써 자체적으로 원적외선 및 나노 실버 효과를 가지는 탱크(120)를 제작한다. ABS 수지는 인장 강도가 높고 조립 결합이 간편하며, 수위 조절이 가능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탱크(120)는 내부가 원기둥 형상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라믹 볼(126)은 그 형상이 구체이므로, 탱크(120)의 내부가 육면체 등 다수의 각이 형성되어 있는 형상보다 원기둥, 구 등의 형상을 가지는 것이 세라믹 볼(126)과 탱크(120) 내부면의 충돌을 줄이게 되고 소음을 줄일 수 있게 된다.
탱크(120)의 하부에 배출라인(124)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어 세라믹 볼(126) 및 탱크(120)의 내부면과의 마찰에 의해 원적외선, 나노 실버 성분을 가지는 기포를 포함하는 액체가 배출된다.
또한, 탱크(120)는 합성수지 사출물로 형성되기 때문에 공급라인(122) 및 배출라인(124)과 분리될 수 있으며, 교체되는 것이 가능하다. 탱크(120)는 내부에 세라믹 볼(126)을 구비하고 있는 바 일정 시간 동안 사용한 후에는 세라믹 볼(126)에 의한 전술한 다양한 효과가 줄어들게 되고, 탱크(120)를 교체함으로써 내부의 세라믹 볼(126)도 동시에 교체되어 살균, 멸균 효과, 나노 실버 효과, 원적외선 방사, 음이온 방사 등이 지속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배출라인(124)의 타단에는 배출노즐(130)이 연결되어 있으며, 배출노즐(130)은 배출라인(124)을 통해 탱크(120)에 저장된 액체를 외부(예를 들어, 저수조(200) 등)로 분출한다.
배출노즐(130)의 하우징(310)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착홈부(311)와, 안착홈부(311)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된 캡홈부(312)가 형성되어 있다.
안착홈부(311)에는 오링(320)과, 필터(330)와, 노즐판(340)과, 오링(35)과, 메쉬체(360)가 차례로 안착된다.
필터(330)는 외부로 분출되기 전에 액체 내의 부유물, 찌꺼기 등을 걸러주는 역할을 한다. 노즐판(340)에는 하나 이상의 분출공(341)이 형성되어 있다.
메쉬체(360)의 가운데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간부(361)이 형성되어 있고, 이 공간부(361)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메쉬(mesh; 362, 363)가 형성되어 있다. 메쉬(362, 363)에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입구측의 메쉬(362)는 와이어 메쉬이고, 출구측 메쉬(363)는 합성수지 메쉬로 구성되어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다.
상기와 같이, 오링(320)과, 필터(330)와, 노즐판(340)과, 오링(35)과, 메쉬체(360)가 차례로 안착홈부(311)에 안착된 후 노즐캡(370)의 일단이 결합된다.
노즐캡(37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안착홈부(311)의 내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 결합된다. 또는 안착홈부(311)의 내면에 형성된 홈에 노즐캡(370)의 외주면 볼록 부분이 들어갈 수 있게 만들어져 삽구(揷口) 이음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이렇게 노즐캡(370)의 일단은 안착홈부(311)에 결합된다. 노즐캡(370)의 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분출공(371)이 형성되어 있다.
캡홈부(312)에는 오링(380) 및 바디캡(390)이 결합되어 있다. 바디캡(390)의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캡홈부(312)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 결합된다. 또는 삽구 이음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바디캡(390)은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 외부로 음이온의 미세기포를 가지는 액체를 분출한다.
메쉬체(360)는 복수의 공극(즉, 메쉬)을 가지고 있으며, 메쉬체(360)를 통과하는 액체에 용해된 기포가 공극에 의해 더욱더 작은 미세기포가 된다.
여기서, 도 4의 화살표는 배출노즐(130) 내에서의 액체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미세기포를 함유한 액체는 배출라인(124)을 통해 필터(330), 노즐판(340), 메쉬체(360)를 통과하고, 노즐캡(370)의 분출공(371)을 통해 하우징(310) 내로 분출된 후 바디캡(390)을 통해 최종적으로 외부로 분출된다.
음이온은 배출노즐(130) 안에 부착되어 있는 메쉬체(360)와 탱크(120) 안의 세라믹 볼(126)에 의해 방사되고, 공기와 액체에 혼합된 미세기포가 모터(120)와 배출노즐(130)의 메쉬체(360)에 의해 더 미세하게 방출되어 진다.
또한, 메쉬체(360)를 통과하는 액체의 유속을 빠르게 함으로써, 메쉬체(360)에 의해 생성되는 미세기포의 크기가 더욱 미세하고, 많은 수의 기포를 발생시킬 수 있다.
메쉬체(360)를 통과하며 발생하는 미세기포는 직경 1 내지 수십 ㎛의 크기를 가지며, 음이온을 가지게 됨에 따라 마이너스(-)에 대전하게 되어 플러스(+)에 대전하는 오염물질에 대한 흡착능력이 뛰어 나게 된다. 그리고 미세기포는 부력이 작아 수중에서 장시간 머무는 것이 가능하며, 단위체적당 표면적이 넓어져 액체에 용해되기 쉬워지고 용존산소율이 높아진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미세기포 발생장치는 온수히터(140)를 더 포함한다. 온수히터(140)는 흡입노츨(100), 펌프(110), 탱크(120) 및 배출노즐(130)을 거치는 액체가 소정의 온도를 가지도록 한다. 즉, 전류의 열 작용에 의해 액체를 가열하기 위해 액체가 지나가는 파이프를 외부에서 직접 데우거나, 파이프 내에 니크롬선 등을 내입하여 직접 가열하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할 수 있다. 온수히터(140)는 펌프(110)와 탱크(120) 사이 혹은 탱크(120)와 배출노즐(13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온수히터(140)는 액체의 목표 온도를 조절 할 수 있으며, 목표 온도에 이르기까지의 시간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저수조(200) 내의 액체를 활용하게 되는 바, 미세기포 발생장치에 구비되는 전원 공급부(미도시)에는 별도의 누전 차단기가 설치될 수 있다.
도 6은 미세기포에 의한 세정 효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저수조(200)는 욕조인 것을 가정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미세기포(620)는 피부(600)의 모공(610) 내부에 침투가 가능할 정도로 그 크기가 작으므로, 피부(600) 외부의 오래된 각질은 물론, 모공(610) 깊숙이 쌓여있는 노폐물과 찌꺼기의 제거가 가능하다. 이로 인한 세정 효과 및 피부 미용 효과가 있다.
또한, 저수조(200) 내에서 미세기포가 미세진동을 하여 부드럽게 전신을 자극하고 뭉쳐있던 근육을 이완시키고 신진대사를 촉진시키는 등 피로 회복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미세기포 발생장치는 저수조와 분리되어 액체 흡인라인과 배출라인을 저수조에 투입함으로써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저수조와 일체로 형성되어 사용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미세기포 발생장치는 저수조 내의 액체를 순환시키면서 공기를 혼합시켜 음이온에 해당하는 미세기포를 발생시킴으로써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세정 효과, 피부 미용 효과를 가진다.
또한, 음이온을 가지는 미세기포 발생시 합성수지 재질이고 내부면이 원기둥 모양을 가지는 탱크를 이용함으로써 소음이 적게 발생하고, 펌프의 내부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액체의 흡입 속도를 조절하여 흡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고, 노즐을 통해 외부로 분출할 때의 유속을 조절함으로써 미세기포의 발생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9)

  1. 일단이 저수조 내의 액체 유로인 액체 흡입라인과 대기의 공기 유로인 기체 흡입라인으로 분기되는 흡입라인의 타단이 흡입구에 연결되어 공기 및 저수조 내의 액체를 펌핑하고, 상기 공기를 상기 액체에 용해시켜 토출구를 통해 토출하는 펌프;
    상부에 연결된 공급라인을 통해 상기 펌프로부터 상기 액체를 공급받고, 내부에 복수의 세라믹 볼을 가지고 있으며, 하부에 배출라인이 연결되어 있고, 합성수지로 형성된 탱크;
    상기 액체 흡입라인의 타끝단에 연결되고, 상기 저수조 내의 액체를 흡입하는 흡입노즐; 및
    상기 배출라인의 타끝단에 연결되고, 상기 탱크에 저장된 액체를 외부로 분출하는 배출노즐을 포함하는 미세기포 발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속도 조절이 가능한 브러시리스 직류모터(BLDC motor)에 의해 내부 압력을 변화시켜 상기 액체에 용해되는 상기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미세기포 발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노즐은 복수의 공극을 가지고 있어 통과되는 상기 공기가 용해된 액체에 미세기포를 발생시키는 하나 이상의 음이온 필터를 포함하되,
    상기 미세기포가 음이온을 가지도록 하는 미세기포 발생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노즐은,
    하우징;
    상기 액체의 부유물을 걸러주는 필터;
    하나 이상의 분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노즐판;
    하나 이상의 공극을 가지고, 상기 액체에 용해된 기포를 미세하게 하는 메쉬체;
    하나 이상의 분출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 내로 상기 액체를 분출하는 노즐캡; 및
    상기 하우징 내의 액체를 외부로 분출하는 바디캡을 포함하는 미세기포 발생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는 내부가 원기둥 형상을 가지는 미세기포 발생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는 나노 실버가 함유된 합성수지의 재질로 사출되는 미세기포 발생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는 상기 공급라인 및 상기 배출라인과 분리되어 교체되는 것이 가능한 미세기포 발생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로부터 상기 공기가 용해된 액체를 공급받고, 열을 가하여 상기 액체가 소정의 온도를 가지도록 하며, 상기 액체를 상기 탱크의 공급라인으로 배출하는 온수 히터를 더 포함하는 미세기포 발생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로부터 상기 공기가 용해된 액체를 공급받고, 열을 가하여 상기 액체가 소정의 온도를 가지도록 하며, 상기 액체를 상기 배출라인을 통해 배출하는 온수 히터를 더 포함하는 미세기포 발생장치.
KR2020060013350U 2006-05-18 2006-05-18 미세기포 발생장치 KR2004225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3350U KR200422507Y1 (ko) 2006-05-18 2006-05-18 미세기포 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3350U KR200422507Y1 (ko) 2006-05-18 2006-05-18 미세기포 발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2507Y1 true KR200422507Y1 (ko) 2006-07-27

Family

ID=41771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3350U KR200422507Y1 (ko) 2006-05-18 2006-05-18 미세기포 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250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46759B2 (en) Microbubble therapy method and generating apparatus
CA2689797C (en) Microbubble therapy method and generating apparatus
KR101826750B1 (ko) Led 디스플레이 기능을 구비한 진동 샤워기
WO2006088207A1 (ja) オゾン水生成装置、オゾン水生成装置に用いる気液混合構造、オゾン水生成方法及びオゾン水
KR101015477B1 (ko) 미세거품 형성장치
US9060916B2 (en) Microbubble therapy method and generating apparatus
EP2226056B1 (en) Microbubble generating apparatus
KR20060128761A (ko) 미세기포 발생장치
JP4187747B2 (ja) オゾン水生成装置、オゾン水生成方法及びオゾン水
CN102976430A (zh) 微泡发生器
US8322634B2 (en) Microbubble therapy method and generating apparatus
CA2825572C (en) Microbubble therapy method and generating apparatus
KR200440223Y1 (ko) 미세기포 발생 장치
KR200422507Y1 (ko) 미세기포 발생장치
EP2675250A1 (en) Plasma generator, cleaning and purifying device using the plasma generator, and small-sized electrical apparatus
JP3133304U (ja) 酸素水製造装置
KR101227586B1 (ko) 미세기포 발생장치 및 방법
KR102139574B1 (ko) 마이크로버블 및 초음파 발생이 가능한 욕조
KR101416976B1 (ko) 온수공급장치 및 온수공급장치의 펌프 제어 방법
KR20050091151A (ko) 산소수 제조장치
KR100714236B1 (ko) 테라피 요법을 위한 욕조
KR102550186B1 (ko) 나노버블발생장치
TW202007658A (zh) 水處理系統
KR102515903B1 (ko) 나노버블시스템
KR100679409B1 (ko) 월풀욕조용 펌프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