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2055Y1 - Bio worksation - Google Patents

Bio works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2055Y1
KR200422055Y1 KR2020060012265U KR20060012265U KR200422055Y1 KR 200422055 Y1 KR200422055 Y1 KR 200422055Y1 KR 2020060012265 U KR2020060012265 U KR 2020060012265U KR 20060012265 U KR20060012265 U KR 20060012265U KR 200422055 Y1 KR200422055 Y1 KR 2004220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closure
air
workspace
flow path
b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226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영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바이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바이오텍
Priority to KR20200600122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2055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20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2055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38Caps; Covers; Plugs; Pouring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9/00Means for introduction, extraction or recirculation of materials, e.g. pump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37/00Means for sterilizing, maintaining sterile conditions or avoiding chemical or biological contamin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1/00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1/00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 C12M41/12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of temper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1/00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 C12M41/30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of concentration
    • C12M41/34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of concentration of ga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세포를 대상으로 각종 실험 및 관찰을 하는 경우에 작업공간의 환경 조건을 최적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바이오 워크스테이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바이오 워크스테이션은 외부와 격리되도록 내부에 형성되며 세포가 배치되는 작업공간을 가지는 함체와, 함체의 작업공간에 수용된 공기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조절하기 위해 함체의 작업공간으로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는 이산화탄소공급부를 구비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o-workstation with an improved structure to optimally set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of the workspace when performing various experiments and observations on the cells. The bio-works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side to be isolated from the outside and has a work space in which cells are disposed, and supplies carbon dioxide to the work space of the enclosure to control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of the air contained in the work space of the housing. It has a carbon dioxide supply unit.

바이오 워크스테이션, 세포, 현미경, 접안렌즈, 이산화탄소(CO₂) Bio workstation, cell, microscope, eyepiece, carbon dioxide (CO₂)

Description

바이오 워크스테이션{Bio worksation}Bio workstations {Bio worksation}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워크스테이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bio work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Ⅱ-Ⅱ선 단면도이다.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of FIG. 1.

도 3은 도 2의 Ⅲ-Ⅲ선 단면도이다.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II of FIG. 2.

도 4는 도 3의 Ⅳ-Ⅳ선 단면도이다.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V-IV of FIG. 3.

도 5는 도 4의 Ⅴ-Ⅴ선 단면도이다.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V of FIG. 4.

도 6은 도 5의 Ⅵ-Ⅵ선 단면도이다.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VI of FIG. 5.

도 7 은 도 1에 도시된 이동부재의 이동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moving structure of the moving member illustrated in FIG. 1.

도 8은 도 7의 Ⅷ-Ⅷ선 단면도이다.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I-VII of FIG. 7.

도 9 및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접근부를 막는 막이판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9 and 10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membrane plate blocking the access unit shown in FIG.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함체 11...본체10 ... enclosure 11 ... body

12...커버부재 13...힌지부12 ... cover member 13 ... Hinge section

14...막이판 15...이동부재14 ... Shutter plate 15 ... Moving member

21...덕트 22...팬 21 duct 22 fan

23...밸브 30...이산화탄소공급부23 Valve 30 Carbon dioxide supply

31,41...파이프 40...수분공급부31, 41 Pipe 40 Water supply

51...필름히터 52...히터 51 ... film heater 52 ... heater

60...필터부 61...필터부하우징60 ... filter unit 61 ... filter unit housing

70...살균부 100...바이오 워크스테이션 70 ... Sterilizer 100 ... Bio Workstation

111...상면 111a...유입구111.Top 111a ... Inlet

112...하면 112a,114a...유출구112 ... 112a, 114a ... outlet

113...측면 114...배면113 ... side 114 ... back

115...전면 115a...디스플레이부115 ... front 115a ... display section

116...작업공간 117...현미경 116 ... Workspace 117 ... Microscope

117a...경통 117b...접안렌즈117a ... barrel 117b ... eyepiece

117c...대물대 121...접근부 117c ... Objective 121 ... Access

122...관통공 123...슬롯122 ... through 123 ... slot

141...관통슬릿 151...관통구멍141 ... through slit 151 ... through hole

152...돌기 N...너트152 ... N-Nuts

211...제1덕트 211a...제1유로211 ... 1 duct 211a ... 1 euro

212...제2덕트 212a...제2유로 212 ... the second duct 212a ... the second euro

212aa...평행유로부 212ab...제1테이퍼유로부212aa ... parallel flow section 212ab ... first tapered flow section

212ac...제2테이퍼유로부 213...제3덕트212ac ... 2nd taper Euro 213 ... 3rd duct

213a...제3유로 214...유로형성부재213a ... 3rd Euro 214 ... Euroformer

215...브라켓 231...고정단215 Bracket 231

232...자유단232 ... Freedom

본 고안은 바이오 워크스테이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세포를 대상으로 한 각종 실험 및 관찰이 이루어지는 작업공간이 외부와 격리되게 형성된 바이오 워크스테이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o-workst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bio-workstation in which a work space where various experiments and observations with respect to cells are made is isolated from the outside.

바이오 워크스테이션은 그 내부에 세포를 대상으로 한 각종 실험 및 관찰이 이루어지는 작업공간이 형성된 것으로서, 바이오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그 수요가 폭증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복제 기술의 발전에 따라 세포 배양, 세포 복제 등에 바이오 워크스테이션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The bio workstation is a workspace where various experiments and observations are performed inside the cells, and the demand is increasing as biotechnology is developed. In particular, in recent years, bio-workstations have been widely used for cell culture, cell replication, etc. with the development of replication technology.

이러한 바이오 워크스테이션에는, 일반적으로 내부에 형성된 작업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커버부재가 부착되어 있으며, 작업공간의 개방시 외부의 공기가 작업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에어커튼기가 설치되어 있다. The bio workstation is generally attached to a cover member for opening and closing a work space formed therein, and an air curtain device is installed to prevent outside air from entering the work space when the work space is opened.

한편, 바이오 워크스테이션을, 예를 들어 세포 배양 및 세포의 성장 과정 관찰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세포가 수용된 배양기를 작업공간에 넣고 세포를 배양시킨다. 그리고, 작업공간에 현미경을 넣고 접안렌즈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한 후에 세포의 성장과정을 현미경을 통해서 외부에서 관찰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a bio workstation is used, for example, for culturing a cell and observing the growth process of the cell, a culture medium containing the cell is generally placed in a workspace to culture the cell. After the microscope is placed in the workspace, the eyepiece is projected to the outside, and the growth of the cells is observ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microscope.

그런데, 종래의 바이오 워크스테이션은, 작업공간의 환경조건, 예를 들어 작 업공간의 온도, 습도 및 이산화탄소농도 등을 각종 실험에 맞도록 적절하게 조절할 수 없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즉, 작업공간의 환경은 바이오 워크스테이션 외부와 거의 동일하게 형성되므로, 온도, 습도, 특히 이산화탄소농도에 매우 민감한 세포를 대상으로 실험하는 경우에 그 실험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어려웠으며 나아가 실험에 의해 얻어진 결과도 신뢰하기 어려웠었다. By the way, the conventional bio-workstation was configured such that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of the work space, for example, the temperature, humidity and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of the work space could not be properly adjusted to suit various experiments. In other words, since the environment of the work space is formed almost identically to the outside of the bio-workstation, the experiment was difficult to be effectively performed when experimenting on cells that are very sensitive to temperature, humidity, and especially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t was also hard to trust.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세포를 대상으로 각종 실험 및 관찰을 하는 경우에 작업공간의 환경 조건을 최적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바이오 워크스테이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structure of the bio-workstation to optimally set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of the workspace in the case of various experiments and observations on the cells To provid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바이오 워크스테이션은 외부와 격리되도록 내부에 형성되며 세포가 배치되는 작업공간을 가지는 함체와, 상기 함체의 작업공간에 수용된 공기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함체의 작업공간으로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는 이산화탄소공급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bio-works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so as to be isolated from the outside and the enclosure having a workspace in which cells are disposed, and to adjust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of the air contained in the workspace of the enclos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carbon dioxide supply for supplying carbon dioxide to the working space of the enclosure.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워크스테이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Ⅲ-Ⅲ선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Ⅳ-Ⅳ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2의 Ⅴ-Ⅴ선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2의 Ⅵ-Ⅵ선 단면도이며, 도 7 은 도 1에 도시된 이동부재의 이동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8은 도 7의 Ⅷ-Ⅷ선 단면도이며, 도 9 및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접근부를 막는 막이판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bio work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of FIG. 1,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of FIG. 2,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V-IV of FIG. 2,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V of FIG. 2,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VI of FIG. 2, and FIG. 7 illustrates a moving structure of the moving member shown in FIG. 1.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I-VII of FIG. 7, and FIGS. 9 and 10 are views for explain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membrane plate blocking an access part illustrated in FIG. 1.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바이오 워크스테이션(100)은 함체(10)와, 순환수단과, 이산화탄소공급부(30)와, 수분공급부(40)와, 가열부와, 필터부(60)와, 살균부(70)와, 이동수단을 구비한다. 1 to 10, the bio workstation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housing 10, a circulation unit, a carbon dioxide supply unit 30, a water supply unit 40, a heating unit, and a filter unit ( 60, a sterilizing unit 70, and a moving unit.

상기 함체(10)는 본체(11)와, 커버부재(12)를 구비한다. The enclosure 10 includes a main body 11 and a cover member 12.

상기 본체(11)는 상면(111)과, 하면(112)과, 배면(113)과, 양 측면(114)과, 전면(115)을 가지며, 전체적으로 박스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본체의 양 측면(114)이 투명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10)에는 작업공간(116)과, 유출구(112a,114a)와, 유입구(111a)와, 디스플레이부(115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작업공간(116)은 상기 본체(11)의 내부에 상기 본체(11)의 외부와 격리되도록 형성된 빈 공간이다. 상기 작업공간(116)에는 세포를 대상으로 각종 실험 및 관찰이 이루어지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작업공간(116)에는 세포 배양을 위한 배양기, 세포 관찰을 위한 현미경(117)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작업공간(116)은 전방으로 개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면(115)은 상기 양 측면(113) 사이를 막을 수 없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작업공간(116)은 후술하는 커버부재(12)에 의해 개방되거나 폐쇄된다. The main body 11 has an upper surface 111, a lower surface 112, a rear surface 113, two side surfaces 114, and a front surface 115, and is generally box-shaped. In this embodiment, both side surfaces 114 of the main body are formed to be transparent. The main body 10 has a work space 116, outlets 112a and 114a, an inlet 111a, and a display 115a. The work space 116 is an empty space formed to be isolated from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1 in the main body 11. In the workspace 116, various experiments and observations are made on the cells. For example, the work space 116 may be provided with an incubator for cell culture, a microscope 117 for cell observation, and the like. The workspace 116 is open to the front.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ront surface 115 is formed so as not to block between the both side surfaces 113, and thus the work space 116 is opened or closed by the cover member 12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유출구(112a,114a)는 상기 함체의 하면(112) 및 배면(114)에 각각 복수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출구(112a,114a)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하면(112)의 전방측 및 상기 배면(114)의 하방측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 유출구(112a,114a)는 슬릿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함체의 작업공간(116)에 수용된 공기는, 후술하는 순환수단에 의해 상기 유출구들(112a,114a)을 통해서 유출된다. A plurality of outlets 112a and 114a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112 and the rear surface 114 of the enclosure, respectively.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outlets 112a and 114a are formed at the front side of the lower surface 112 and the lower side of the rear surface 114 as shown in FIGS. 4 and 5. Each outlet 112a, 114a has a slit shape. Air received in the workspace 116 of the enclosure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s 112a and 114a by circulation means described later.

상기 유입구(111a)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함체의 상면(111)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출구들(112a,114a)을 통해서 유출된 공기는 후술하는 순환수단에 의해 상기 유입구(111a)를 통해 다시 상기 작업공간(116)으로 유입된다. The inlet 111a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111 of the enclosure as shown in FIG. 6. The air flowing out through the outlets 112a and 114a flows back into the work space 116 through the inlet 111a by the circulation means described later.

상기 디스플레이부(115a)는 액정소자(LCD, liquid crystal display)로 이루어지며, 상기 작업공간(116)의 환경조건이 표시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15a)에는 온도, 습도 및 이산화탄소농도가 표시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5a)는 상기 본체의 전면(115)에 배치되어 있다. The display 115a is formed of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of the workspace 116 are display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splay 115a displays temperature, humidity, and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The display 115a is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115 of the main body.

상기 커버부재(12)는 상기 작업공간(116)을 개폐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커버부재(12)는 도 2에 도시된 힌지부(13)를 회전중심축으로 개방위치와 폐쇄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11)에 결합된다. 상기 개방위치에서는 상기 커버부재(12)가 도 2에 가산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배치되어 상기 작업공간(116)이 개방되며, 상기 폐쇄위치에서는 상기 커버부재(12)가 도 2에 실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배치되어 상기 작업공간(116)이 폐쇄된다. 그리고, 상기 작업공간(116)의 개방시, 외부의 공기가 상기 작업공간(116)으로 유입되는 것 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본체(11)에 에어커튼기(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커버부재(12)는 상기 작업공간이 외부에서 보이도록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커버부재(12)에는 접근부(121)와, 관통공(122)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The cover member 12 is installed to open and close the work space 116. The cover member 12 is coupled to the main body 11 so as to be rotatable between the open and closed positions of the hinge portion 13 shown in FIG. In the open position, the cover member 12 is arranged as shown by the addition line in FIG. 2 so that the work space 116 is opened, and in the closed position the cover member 12 is in solid line in FIG. Placed as shown, the workspace 116 is closed. In addition, when the work space 116 is opened, an air curtain machine (not shown) is installed in the main body 11 to prevent outside air from flowing into the work space 116. The cover member 12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working space is visible from the outside. The cover member 12 has an access portion 121 and a through hole 122 formed therethrough.

상기 접근부(121)는 상기 커버부재(12)에 관통 형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사용자의 양 손이 넣어질 수 있도록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한 쌍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커버부재(12)의 전면에는, 상기 각 접근부(121)를 막기 위한 복수의 막이판(14)이 결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막이판(14)은 한 쌍이 마련되며, 서로 적층되어 있다. 상기 각 막이판(14)은 평판형상으로서 합성수지로 이루어지져 있다. 상기 각 막이판(14)에는 관통 형성된 관통슬릿(141)이 복수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슬릿(141)들은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각 막이판(14)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며, 전체적으로 방사형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관통슬릿(141)들은 상기 각 막이판(14)의 중앙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막이판(14)들은 상기 각 막이판(14)에 형성된 관통슬릿(141)들이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도록 적층되어 있다. 즉, 상기 막이판(14)들 중 어느 하나의 막이판의 관통슬릿(141)들은 각각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다른 하나의 막이판(14)의 관통슬릿(141)들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막이판(14)들이 그 막이판 각각의 관통슬릿(141)이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상기 관통슬릿(141)들로 손을 넣어서 상기 작업공간(116)에 접근하는 경우에도 외부의 공기가 상기 작업공간(116)으로 침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The access unit 121 is formed through the cover member 12, in this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pair as shown in Figure 1 so that both hands of the user can be put.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over member 12, a plurality of membrane plates 14 for blocking the respective access portions 121 is coupled. In the present embodiment, a pair of the membrane plates 14 are provided and stacked on each other. Each of the membrane plates 14 is made of synthetic resin in a flat plate shape. A plurality of through slits 141 formed through the membrane plates 14 are formed. As shown in FIG. 9, the through slits 141 are formed by cutting a portion of each of the membrane plates 14 and are disposed to have a radial shape as a whole. The through slits 14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t the center of each of the membrane plates 14. The membrane plates 14 are stacked such that the through slits 141 formed in the membrane plates 14 are alternately disposed. That is, the through slits 141 of any one of the diaphragms 14 are disposed between the through slits 141 of the other diaphragm 14,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10. have. In this way, the diaphragms 14 are arranged so that the through slits 141 of each of the diaphragms alternate with each other, so that the user approaches the work space 116 by putting his hand into the through slits 141.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outside air from penetrating into the workspace 116.

상기 관통공(122)은 현미경(117)의 경통(117a)을 끼우기 위해 마련되어 있다. 상기 현미경(117)은 상기 작업공간(116)에 배치되며, 상기 경통(117a)의 단부에는 접안렌즈(117b)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관통공(122)에 상기 현미경의 경통(117a)을 끼우게 되면 상기 현미경의 접안렌즈(117b)가 외부에 배치되게 된다. 따라서, 외부에서도 상기 현미경의 대물대(117c)에 배치되는 대상물, 예를 들어 세포를 관찰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현미경(117)에는 상기 접안렌즈(117b)가 한 쌍 마련되어 있다. 상기 관통공(122)은 상기 현미경의 경통(117a)의 크기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있으며, 특히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관통공(122)을 통해서 외부의 공기가 상기 작업공간(116)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커버부재(12)의 전면에는 상기 관통공(122)을 막도록 이동부재(15)가 결합된다. The through hole 122 is provided for fitting the barrel 117a of the microscope 117. The microscope 117 is disposed in the work space 116, and the eyepiece 117b is disposed at the end of the barrel 117a, so that the microscope barrel 117a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22. When it becomes wet, the eyepiece 117b of the microscope is disposed outside. Therefore, the object, for example, the cell, which is disposed on the objective 117c of the microscope, can be observed from the outsid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icroscope 117 is provided with a pair of eyepieces 117b. The through hole 122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size of the barrel 117a of the microscope. In particular, the through hole 122 has a quadrangular shape as shown in FIG. 7. 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the outside air from flowing into the work space 116 through the through hole 122, the moving member 15 to block the through hole 122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over member 12. ) Are combined.

상기 이동부재(15)에는 상기 현미경의 경통(117a)이 끼워지는 관통구멍(151)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현미경의 경통(117a)에 대응되도록 상기 관통구멍(151)이 한 쌍 마련되어 있다. 상기 이동부재(15)는 상기 커버부재(12)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15)는 도 7에 실선 및 가상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이러한 점은 후술하는 이동수단을 설명하는 부분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이동부재(15)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이동부재(15)의 움직임에 연동되어 상기 이동부재(15)에 끼워진 현미경의 경통(117a)도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The through member 151 through which the barrel 117a of the microscope is fitted is formed in the movable member 15.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embodiment, a pair of the through holes 151 is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barrel 117a of the microscope. The movable member 15 is slidable with respect to the cover member 12.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ovable member 15 is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shown by the solid line and the imaginary line in FIG. 7,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moving means. . When the movable member 15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barrel 117a of the microscope fitted to the movable member 15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movable member 15 also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순환수단은 상기 함체의 작업공간(116)에 수용된 공기를 순환시킨다. 상기 순환수단은 덕트(21)와, 팬(22)과, 밸브(23)를 구비한다. The circulation means circulates the air received in the workspace 116 of the enclosure. The circulation means comprises a duct 21, a fan 22, and a valve 23.

상기 덕트(21)는, 상기 함체의 하면(112)에 결합되는 제1덕트(211)와, 상기 제1덕트(211)와 연결되며 상기 함체의 배면(114)에 결합되는 제2덕트(212)와, 상기 제2덕트(212)와 연결되며 상기 함체의 상면(111)에 결합되는 제3덕트(213)를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덕트(21)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그 단면이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1덕트(211)에 형성된 제1유로(211a)와, 상기 제2덕트(212)에 형성된 제2유로(212a)와, 상기 제3덕트(213)에 형성된 제3유로(213a)는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 유로(211a,212a,213a)에서는 공기가 유동 가능하다. 상기 제1덕트(211) 및 제2덕트(212)는 상기 함체의 유출구(112a,114a)와 각각 연결된다. 상기 제3덕트(213)는 상기 함체의 유입구(111a)와 연결된다. The duct 21 may include a first duct 211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112 of the enclosure and a second duct 212 connected to the first duct 211 and coupled to the rear surface 114 of the enclosure. And a third duct 213 connected to the second duct 212 and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111 of the enclosure. Accordingly, the duct 21 has a U-shape in its cross section as shown in FIG. The first flow path 211a formed in the first duct 211, the second flow path 212a formed in the second duct 212, and the third flow path 213a formed in the third duct 213 are provided. It is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ir can flow in these flow paths 211a, 212a, and 213a. The first duct 211 and the second duct 212 are connected to the outlets 112a and 114a of the enclosure, respectively. The third duct 213 is connected to the inlet 111a of the enclosure.

상기 제2덕트(212)의 내부에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유로형성부재(214)와, 한 쌍의 브라켓(215)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유로형성부재(214)들에 의해, 상기 제2덕트의 제2유로(212a)는 상기 제2유로에서의 공기의 순환방향, 즉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방을 따라서 폭이 변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제2유로(212a)는, 폭이 일정한 평행유로부(212aa)와, 상기 평행유로부(212aa)의 일측과 연결되며 상방을 따라서 폭이 확장되는 제1테이퍼유로부(212ab)와, 상기 평행유로부(212aa)의 타측과 연결되며 하방을 따라서 폭이 확장되는 제2테이퍼유로부(212ac)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3, a pair of flow path forming members 214 and a pair of brackets 215 are installed in the second duct 212. By the flow path forming members 214, the second flow path 212a of the second duct is changed in width along the upward direction as shown in FIG. 6, in the circulation direction of air in the second flow path. Is formed. That is, the second flow path 212a includes a parallel flow path portion 212aa having a constant width, a first tapered flow path portion 212ab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parallel flow path portion 212aa, and having a width extending upward. And a second tapered channel portion 212ac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parallel channel portion 212aa and extending in width along the lower side thereof.

상기 팬(22)은 상기 덕트의 유로(211a,212a,213a) 상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팬(22)은 상기 제2유로의 평행유로부(212aa)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팬(22)은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그 구성이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팬(22)의 회전시, 상기 작업공간(116)의 공기는 도 2 및 도 3에 화살표로 도시된 방향을 따라서 순환하게 되므로, 상기 유출구들(112a,114a)을 통해서 유출된 공기는 상기 덕트(21)로 유입되어 순환된 후에 상기 유입구(111a)를 통해서 상기 작업공간(116)으로 다시 유입되게 된다. The fan 22 is disposed on the flow paths 211a, 212a and 213a of the duct.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an 22 is disposed above the parallel channel portion 212aa of the second channel. Since the fan 22 is for circulating air and its configuration is widely know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When the fan 22 rotates, the air in the workspace 116 circulates along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arrows in FIGS. 2 and 3, so that the air flowing out through the outlets 112a and 114a After being introduced into the duct 21 and circulated, the duct 21 is introduced again into the work space 116 through the inlet 111a.

상기 밸브(23)는 상기 덕트의 유로(211a,212a,213a) 상에 배치되며, 상기 유로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을 조절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밸브(23)는 고무 등과 같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판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밸브는 상기 평행유로부(212aa)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밸브(23)의 일측은 상기 유로형성부재(214)의 내측면에 고정된 고정단(231)이다. 그리고, 상기 밸브의 타측은 상기 팬(22)에 의해 순환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상기 고정단(23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자유단(232)이다. 따라서, 상기 팬(22)의 회전시 상기 밸브(23)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평행유로부(212aa)를 개방하게 되며 공기는 상방으로 순환하게 된다. The valve 23 is disposed on the flow paths 211a, 212a, and 213a of the duct, and regulates the flow of air passing through the flow path.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valve 23 is made of synthetic resin such as rubber, and has a plate shape. The valve is disposed below the parallel channel portion 212aa. One side of the valve 23 is a fixed end 231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low path forming member 214. The other side of the valve is a free end 232 rotatable about the fixed end 231 by the pressure of air circulated by the fan 22. Therefore, when the fan 22 rotates, the valve 23 opens the parallel flow path 212aa as shown in FIG. 3 and air circulates upward.

상기 이산화탄소공급부(30)는 상기 함체의 작업공간(116)에 수용된 공기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이산화탄소공급부(30)는 이산화탄 소(CO2)를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그 구성이 이미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탄소공급부(30)는 상기 제2덕트의 브라켓(215)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이산화탄소공급부(30)에서 발생된 이산화탄소는, 상기 이산화탄소공급부(30)와 연결된 파이프(31)를 통해서 상기 제2유로의 평행유로부(212aa)로 공급되며, 상기 순환수단에 의해 순환되는 공기와 혼합되어 상기 유입구(111a)를 통해서 상기 작업공간(116)에 유입된다. The carbon dioxide supply unit 30 is for adjusting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of the air contained in the workspace 116 of the enclosure. The carbon dioxide supply unit 30 generates carbon dioxide (CO 2 ), and its configuration is already well known,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arbon dioxide supply unit 30 is fixed to the bracket 215 of the second duct. The carbon dioxide generated by the carbon dioxide supply unit 30 is supplied to the parallel channel unit 212aa of the second channel through a pipe 31 connected to the carbon dioxide supply unit 30, and air circulated by the circulation unit. The mixture is introduced into the workspace 116 through the inlet 111a.

상기 수분공급부(40)는 상기 함체의 작업공간(116)에 수용된 공기의 습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수분공급부(40)는 상기 제2덕트의 브라켓(215)에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분공급부(40)는 물을 증발시켜 공기에 수분을 공급하는 가습기이다. 상기 수분공급부(40)에서 발생된 수분은 상기 수분공급부(40)와 연결된 파이프(41)를 통해서 상기 제2유로의 평행유로부(212aa)로 공급되며, 상기 순환수단에 의해 순환되는 공기와 혼합되어 상기 유입구(111a)를 통해서 상기 작업공간(116)에 유입된다. The moisture supply unit 40 is for adjusting the humidity of the air accommodated in the working space 116 of the enclosure. The water supply part 40 is fixed to the bracket 215 of the second duct. In this embodiment, the water supply unit 40 is a humidifier to supply water to the air by evaporating water. Water generated in the water supply unit 40 is supplied to the parallel channel unit 212aa of the second channel through a pipe 41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unit 40 and mixed with air circulated by the circulation means. And flows into the workspace 116 through the inlet 111a.

그리고, 상기 제2유로(212a)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산화탄소공급부(30) 및 수분공급부(40)에서 발생된 이산화탄소 및 수분이 상기 평행유로부(212aa)에 직접 공급되게 되므로, 발생된 이산화탄소 및 수분은 상기 팬의 구동시 상기 공기와 효과적으로 혼합되어 순환되게 된다. In addition, the second channel 212a is formed as shown in FIG. 6, and the carbon dioxide and water generated in the carbon dioxide supply unit 30 and the water supply unit 40 are directly supplied to the parallel channel unit 212aa. Since the generated carbon dioxide and moisture are effectively mixed with the air when the fan is driven to circulate.

상기 가열부는 상기 함체의 작업공간(116)에 수용된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가열부는 상기 작업공간의 공기를 가열하는 필름히터(51)와, 상기 유입구(111a)를 통해서 상기 작업공간(116)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52)를 구비한다. 상기 필름히터(51)는 상기 함체의 하면(112)에 배치되며, 특히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함체의 하면(112)과 후술하는 제1덕트(211)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필름히터(51)에는 상기 함체의 하면에 형성된 각 유출구(112a)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멍(51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필름히터(51)는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전압 인가시 발열하는 것으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4-0089363호 등에 잘 개시되어 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히터(52)는 상기 팬(22)과 상기 유입구(111a) 사이의 상기 덕트의 유로(211a,212a,213a) 상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히터(52)는 전압 인가시 발열하는 열선이다. The heating unit is for adjusting the temperature of the air received in the workspace 116 of the enclosure. The heating unit includes a film heater 51 for heating air in the workspace and a heater 52 for heating air introduced into the workspace 116 through the inlet 111a. The film heater 51 is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112 of the enclosure.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lm heater 51 is disposed between the lower surface 112 of the enclosure and the first duct 211 described later. The film heater 51 is formed with a hole 51a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each outlet 112a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enclosure. The film heater 51 is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and generates heat when a voltage is applied, and since the film heater 51 is well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4-0089363,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heater 52 is disposed on the flow paths 211a, 212a and 213a of the duct between the fan 22 and the inlet 111a. The heater 52 is a heating wire that generates heat when a voltage is applied.

상기 필터부(60)는 상기 공기의 순환 경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함체의 작업공간(116)에 수용된 공기를 정화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60)는 필터부하우징(61)에 수납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필터부(60)는 상기 유입구(111a)의 상측에 배치된 헤파필터이다. 따라서, 상기 작업공간(116)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유입되기 전에 상기 필터부(60)를 통과하여 정화된다. The filter unit 60 is disposed on the air circulation path to purify the air contained in the workspace 116 of the enclosur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lter unit 60 is housed in the filter unit housing 61. In addition, the filter unit 60 is a hepa filter disposed above the inlet 111a. Therefore, the air flowing into the workspace 116 is purified by passing through the filter unit 60 before being introduced.

상기 살균부(70)는 상기 공기의 순환 경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함체의 작업공간(116)에 수용된 공기를 살균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살균부(70)는 상기 팬(22)과 상기 유입구(111a) 사이의 상기 덕트의 제3유로(213a) 상에 배치된 복수의 자외선 램프(70)이다. 따라서, 상기 작업공간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유입되기 전에 상기 자외선 램프(70)들을 통과하여 살균된다. The sterilization unit 70 is disposed on the air circulation path to sterilize the air contained in the workspace 116 of the enclosur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terilization unit 70 is a plurality of ultraviolet lamps 70 disposed on the third passage 213a of the duct between the fan 22 and the inlet 111a. Therefore, the air flowing into the workspace is sterilized through the ultraviolet lamps 70 before being introduced.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이동부재(15)를 상기 커버부재(12)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한다. 상기 이동수단은 슬롯(123)과, 돌기(152)를 포함한다. The moving means makes the movable member 15 slidable with respect to the cover member 12. The moving means includes a slot 123 and a protrusion 152.

상기 슬롯(123)은 상기 커버부재(12)에 한 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롯(123)들 사이에는 상기 관통공(1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 슬롯(123)은 상기 이동부재(15)의 이동방향,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The slot 123 is a pair is formed in the cover member 12. The through hole 122 is formed between the slots 123. Each of the slots 123 is elongated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ving member 15, that is,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is embodiment.

상기 돌기(152)는 상기 이동부재(15)에 한 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기(152)들은 각각 상기 슬롯(123)들에 끼워진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각 돌기(152)는 상기 이동부재(15)에 나사결합되어 고정된 볼트(152)이다. 그리고, 상기 각 볼트(152)에는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너트(N)가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부재(15)는 상기 볼트(152)들이 상기 슬롯(123)들에 끼워져서 상기 슬롯(123)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딩됨에 따라 상기 커버부재(12)에 대해서도 슬라이딩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상기 이동부재(15)를 이동시켜 원하는 위치에 위치시킨 후에는, 상기 너트(N)를 죄여서 상기 커버부재(12)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The protrusion 152 is a pair is formed on the moving member (15). The protrusions 152 are fitted into the slots 123, respectively. In the present embodiment, each of the protrusions 152 is a bolt 152 fixed by screwing to the moving member 15. Each bolt 152 is coupled with a nut N as shown in FIG. 8. Accordingly, the movable member 15 slides with respect to the cover member 12 as the bolts 152 are fitted into the slots 123 and sl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ot 123. In addition, after the moving member 15 is moved to a desired position, the nut N may be tightened to fix the position of the cover member 12.

한편, 상기 바이오 워크스테이션에는 센서부(미도시) 및 제어부(미도시)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작업공간(116)의 온도, 습도 및 이산화탄소 농도를 탐지하고, 그 탐지된 결과를 제어부에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가 탐지한 결과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15a)에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탐지 결과를 토대로 상기 이산화탄소공급부(30), 수분공급부(40) 및 가 열부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작업공간(116)의 온도, 습도 및 이산화탄소 농도를 원하는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한다. The bio workstation is provided with a sensor unit (not shown) and a control unit (not shown). The sensor unit detects the temperature, humidity, and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of the workspace 116 and transmits the detected result to the controller. The control unit displays the detection result of the sensor unit on the display unit 115a. In additio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carbon dioxide supply unit 30, the moisture supply unit 40, and the heating unit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to maintain the temperature, humidity, and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of the workspace 116 at a desired level. do.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바이오 워크스테이션(100)에 있어서는, 종래와 달리 이산화탄소공급부(30), 수분공급부(40) 및 가열부에 의해 작업공간(116)의 이산화탄소 농도, 습도 및 온도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온도, 습도, 특히 이산화탄소농도에 매우 민감한 세포를 대상으로 실험을 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작업환경을 최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신뢰성 높은 실험결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살균부(70) 및 필터부(60)를 통해서 작업공간의 공기를 살균 및 정화할 수도 있게 된다. In the bio workstation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unlike the conventional method,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humidity, and temperature of the work space 116 are appropriately adjusted by the carbon dioxide supply unit 30, the moisture supply unit 40, and the heating unit. Can be controlled. Therefore, even when experimenting with cells that are very sensitive to temperature, humidity, especially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the working environment can be optimally maintained, and thus, highly reliable experimental results can be obtained. In addition, through the sterilization unit 70 and the filter unit 60 it is also possible to sterilize and purify the air in the workspace.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작업공간(116)의 공기를 작업공간의 외부에서 도 2에 화살표 방향으로 순환시킬 수 있게 되므로, 커버부재(12)를 개방하거나 접근부(121)에 손을 넣어서 작업공간(116)에 접근하는 경우 등과 같이 작업공간으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 가능한 상황에 있어서도, 작업공간(116)을 원하는 환경수준으로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작업공간의 공기가 유출구(112a,114a)를 통해서 하방으로 유출되어, 가열, 가습, 살균 및 정화와 이산화탄소 첨가가 이루어진 후 유입구(111a)를 통해서 상방으로 유입되게 되므로, 작업공간(116)에 있어서 상측과 하측 및 그 사이의 공기의 상태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air in the workspace 116 can be circulat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in FIG. 2 from the outside of the workspace, opening the cover member 12 or putting a hand in the access unit 121 Even in a situation in which outside air may flow into the workspace, such as when the workspace 116 is approached, the workspace 116 may be uniformly maintained at a desired environment level. 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air in the workspace flows downward through the outlets 112a and 114a and is heated, humidified, sterilized, and purified and carbon dioxide is added, the air flows upward through the inlet 111a. In the work space 116, the state of the air above and below and between them can be maintained uniformly.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서로 적층된 한 쌍의 막이판(14)들이 각 접근부(14)를 막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하나의 막이판의 관통슬릿(141)들이 각각 다른 하나의 막이판의 관통슬릿(141)들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상기 관통슬릿(141)로 손을 넣어서 작업공간(116)에 접근하는 경우에도 외부의 공기가 상기 작업공간으로 침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In this embodiment, a pair of membrane plates 14 stacked on each other are provided to block the access portions 14, and the through slits 141 of one membrane plate each have a different membrane plate. Since the through slits 141 are disposed between the through slits 141, even when the user approaches the work space 116 by putting his hand into the through slits 141,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outside air from penetrating into the work space. do.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동부재(15)가 커버부재(12)에 대해 상대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작업공간(116)에 현미경(117)을 배치하는 경우에 이동부재에 끼워진 현미경의 경통(117a)의 위치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이동부재(15)에 나사결합된 볼트(152)에 너트(N)를 결합하게 되며, 이동부재(15)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게 되므로, 현미경의 접압렌즈(117b)를 통해서 관찰하는 경우에 보다 안정적으로 관찰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moving member 15 is comprised so that relative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cover member 12 is possible, when the microscope 117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workspace 116, the barrel of the microscope inserted in the moving member The position of 117a can be adjusted suitably. In addition, the nut (N) is coupled to the bolt 152 screwed to the moving member 15, and since the position of the moving member 15 can be fixed, the observation through the contact lens 117b of the microscope In this case, more stable observation is possible.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작업공간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작업공간의 산소 농도도 조절 가능하도록 산소를 발생시키는 산소공급부가 구비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of the workspace is configured to be adjusted, but may be configured to be provided with an oxygen supply unit for generating oxygen to control the oxygen concentration of the workspace.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접근부를 막기 위해 복수의 막이판이 설치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접근부를 막도록 단지 하나의 막이판만이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a plurality of membrane plates are configured to block the access portions, but only one membrane plate may be installed to block the access portions.

상기한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르면, 종래와 달리 이산화탄소공급부, 수분공급 부 및 가열부에 의해 작업공간의 이산화탄소 농도, 습도 및 온도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살균부 및 필터부를 통해서 작업공간의 공기를 살균 및 정화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above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properly control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humidity and temperature of the workspace by the carbon dioxide supply unit, the moisture supply unit and the heating unit unlike the conventional. In addition, through the sterilization unit and the filter unit it is possible to sterilize and clean the air in the workspace.

또한, 작업공간의 공기가 유출구를 통해서 하방으로 유출되어, 가열, 가습, 살균 및 정화와 이산화탄소 첨가가 이루어진 후 유입구를 통해서 상방으로 유입되게 되므로, 작업공간에 있어서 상측과 하측 및 그 사이의 공기의 상태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air in the work space flows downward through the outlet, and is heated, humidified, sterilized, and purified and carbon dioxide is added, the air flows upward through the inlet. The state can be kept uniform.

그리고, 작업공간에 손을 넣는 경우에도 외부의 공기가 작업공간으로 침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even when putting a hand into the workspac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outside air penetrates into the workspace.

또한, 작업공간에 현미경을 배치하는 경우에, 현미경의 접안렌즈의 위치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관찰시 접안렌즈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정할 수도 있게 된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disposing the microscope in the workspace, the position of the eyepiece of the microscope can be properly adjusted and can be fixed to prevent the eyepiece from moving during observation.

Claims (23)

외부와 격리되도록 내부에 형성되며 세포가 배치되는 작업공간을 가지는 함체와, An enclosure formed therein to be isolated from the outside and having a workspace in which cells are disposed; 상기 함체의 작업공간에 수용된 공기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함체의 작업공간으로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는 이산화탄소공급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워크스테이션. And a carbon dioxide supply unit for supplying carbon dioxide to the workspace of the enclosure to control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of air contained in the workspace of the enclosure.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함체의 작업공간에 수용된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워크스테이션. And a circulation means for circulating air contained in the workspace of the enclosure. 제 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함체에는 상기 함체의 작업공간에 수용된 공기가 유출되는 유출구 및 상기 공기가 상기 작업공간으로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The enclosure is formed with an outlet through which the air contained in the workspace of the enclosure is discharged and an inlet through which the air is introduced into the workspace, 상기 순환수단은, 상기 유입구 및 유출구와 각각 연결되며 상기 함체의 작업공간에 수용된 공기가 유동 가능한 유로를 가지는 덕트와, 상기 덕트의 유로 상에 배치되며 상기 공기를 순환시키는 팬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워크스테이션. The circulation means includes a duct connected to the inlet and the outlet, respectively, and having a flow path through which air accommodated in the working space of the enclosure flows, and a fan disposed on the flow path of the duct and circulating the air. Bio workstation. 제 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유출구는 상기 함체의 하면 및 배면에 각각 복수 형성되어 있으며, The outlet is formed in plural on the lower surface and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상기 각 유출구는 슬릿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Each outlet has a slit shape, 상기 유입구는 상기 함체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워크스테이션. The inlet i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enclosure bio workstation. 제 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덕트의 유로는, 상기 공기의 순환방향을 따라서 상기 유로의 폭이 일정하게 형성된 평행유로부와, 상기 평행유로부의 일측과 연결되며 상기 공기의 순환방향을 따라서 상기 유로의 폭이 확장되는 제1테이퍼유로부와, 상기 평행유로부의 타측과 연결되며 상기 공기의 순환방향의 반대방향을 따라서 상기 유로의 폭이 확장되는 제2테이퍼유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워크스테이션. The flow path of the duct may include a parallel flow path part in which a width of the flow path is constant along the circulation direction of the air, and a first passag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parallel flow path part and the width of the flow path is extended along the circulation direction of the air. And a second tapered flow path portion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parallel flow path portion and having a width of the flow path extend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circulation direction of the air. 제 5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덕트의 유로에는 상기 유로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워크스테이션. Bio-works, characterized in that the valve is arranged in the flow path of the duct to control the flow of air passing through the flow path. 제 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밸브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The valve has a plate shape, 상기 밸브는 상기 덕트에 고정된 고정단과, 상기 유로가 개방되도록 상기 팬 에 의해 순환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상기 고정단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자유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워크스테이션. And the valve comprises a fixed end fixed to the duct and a free end rotatable about the fixed end by the pressure of air circulated by the fan so that the flow path is opened. 제 5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팬은 상기 평행유로부 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The fan is disposed on the parallel flow path portion, 상기 이산화탄소공급부는 상기 이산화탄소공급부에서 발생된 이산화탄소가 상기 평행유로부로 직접 공급되도록 상기 덕트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워크스테이션. And the carbon dioxide supply unit is disposed in the duct such that carbon dioxide generated from the carbon dioxide supply unit is directly supplied to the parallel channel unit. 제 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함체의 작업공간에 수용된 공기의 습도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함체의 작업공간에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공급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워크스테이션. And a water supply unit for supplying water to the working space of the housing to control the humidity of the air contained in the working space of the housing. 제 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함체의 작업공간에 수용된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함체의 작업공간에 수용된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워크스테이션. And a heating unit for heating the air contained in the workspace of the enclosure to adjust the temperature of the air contained in the workspace of the enclosure. 제 10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가열부는, 상기 함체의 하면에 배치되며 전압 인가시 발열하는 필름히터와, 상기 팬과 상기 유입구 사이의 상기 덕트의 유로 상에 배치되며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워크스테이션. The heating unit includes a film heater disposed on a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generating heat when a voltage is applied, and a heater disposed on a flow path of the duct between the fan and the inlet and heating the air flowing into the inlet. Bio workstation. 제 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함체의 작업공간에 수용된 공기를 정화하기 위해 상기 공기의 순환 경로 상에 배치된 필터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워크스테이션. And a filter unit disposed on the circulation path of the air to purify the air contained in the workspace of the enclosure. 제 1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필터부는 상기 유입구의 상측에 배치된 헤파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워크스테이션. The filter unit is a bio-works, characterized in that the HEPA filter disposed above the inlet. 제 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함체의 작업공간에 수용된 공기를 살균하기 위해 상기 공기의 순환 경로 상에 배치된 살균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워크스테이션. And a sterilization unit disposed on the circulation path of the air to sterilize the air contained in the workspace of the enclosure. 제 14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살균부는 상기 팬과 상기 유입구 사이의 상기 덕트의 유로 상에 배치된 자외선 램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워크스테이션. And said sterilizing unit is an ultraviolet lamp disposed on a flow path of said duct between said fan and said inlet.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함체는 상기 작업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작업공간을 개폐하기 위해 상기 본체에 결합된 커버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워크스테이션. The enclosure includes a main body in which the work space is formed and a cover member coupled to the main body to open and close the work space. 제 16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작업공간을 개방하는 개방위치와, 상기 작업공간을 폐쇄하는 폐쇄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함체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워크스테이션. And the cover member is coupled to the housing so as to be rotatable between an open position for opening the work space and a closed position for closing the work space. 제 17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커버부재에는, 상기 작업공간에 배치되는 현미경의 접안렌즈가 상기 함체의 외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접안렌즈가 결합된 경통이 끼워지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워크스테이션. The cover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the bio-works workst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through-hole is inserted into the barrel to which the eyepiece is coupled so that the eyepiece of the microscope disposed in the workspace is disposed outside the enclosure. 제 18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8, 상기 관통공은 상기 현미경의 경통의 크기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있으며, The through hole is formed larger than the size of the barrel of the microscope, 상기 현미경의 경통이 끼워지는 관통구멍을 가지며 상기 커버부재의 관통공을 막도록 상기 커버부재에 결합되는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커버부재 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는 이동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워크스테이션.And a moving member having a through hole into which the barrel of the microscope is fitted and coupled to the cover member to block the through hole of the cover member, and a moving means for sliding the moving member relative to the cover member. Featuring a bio workstation. 제 19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커버부재에 상기 관통공을 사이에 두고 일방향으로 각각 길게 형성된 한 쌍의 슬롯과, 상기 이동부재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슬롯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슬롯들에 각각 끼워지는 한 쌍의 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워크스테이션. The moving means may include a pair of slots each formed to extend in one direction with the through hole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slots respectively formed in the moving member to allow the movable member to sl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ot. And a pair of projections fitted respectively to the bio-workstation. 제 20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0, 상기 돌기들은 각각 상기 이동부재에 나사 결합된 볼트이며, The protrusions are each bolted to the moving member, 상기 볼트에는 상기 커버부재를 고정시키기 위한 너트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워크스테이션. And a nut for fixing the cover member to the bolt.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함체에는 관통 형성된 접근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The enclosure is provided with an access portion formed through, 상기 함체에는, 각각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접근부를 막도록 적층된 복수의 막이판이 결합되어 있으며, The housing, each made of a synthetic resin and a plurality of membrane plates stacked to block the access unit is coupled, 상기 각 막이판에는, 상기 함체의 작업공간에 접근 가능하도록 관통 형성된 관통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워크스테이션. And each through-plate has a through slit formed therethrough so as to be accessible to the working space of the enclosure. 제 2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2, 상기 관통슬릿은 상기 각 막이판에 방사형을 이루도록 복수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 막이판에 형성된 관통슬릿들은 각각 일측이 서로 연결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The through slits are formed in plural to form a radial on each of the membrane plates, the through slits formed in each membrane plate are arranged so that one side is connected to each other, 상기 막이판들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상기 막이판 중 어느 하나의 막이판의 관통슬릿들이 각각 다른 하나의 막이판의 관통슬릿들 사이에 배치되도록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워크스테이션. The membranes are bio-works, characterized in that the through-slits of any one of the pair of membranes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are laminated so as to be arranged between the through slits of each other membrane plate .
KR2020060012265U 2006-05-09 2006-05-09 Bio worksation KR20042205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2265U KR200422055Y1 (en) 2006-05-09 2006-05-09 Bio works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2265U KR200422055Y1 (en) 2006-05-09 2006-05-09 Bio worksation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1412A Division KR100700503B1 (en) 2006-06-08 2006-06-08 Device for experiment and observation on cel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2055Y1 true KR200422055Y1 (en) 2006-07-24

Family

ID=41770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2265U KR200422055Y1 (en) 2006-05-09 2006-05-09 Bio works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2055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5341B1 (en) * 2007-02-12 2007-04-09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of updating a serial flash memory device having a parallel flash interfa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5341B1 (en) * 2007-02-12 2007-04-09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of updating a serial flash memory device having a parallel flash interfa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4984B1 (en) incubator
US9464265B2 (en) Incubator for isolator
KR101291498B1 (en) Incubator
US8563300B2 (en) Incubator
US20060257998A1 (en) Supply system for cell culture module
US20080057568A1 (en) Culture apparatus
JP4694489B2 (en) Microscope environmental chamber and environmental control means
US7838286B2 (en) Incubator
JP6062694B2 (en) Veterinary intensive care unit
US9464266B2 (en) Sensor unit and constant-temperature device
JP2004141143A (en) Culturing container for microscopic observation
JP2000166536A (en) Culture device
KR200422055Y1 (en) Bio worksation
US20230085743A1 (en) Chamber environment controlling apparatus for three-dimensional bioprinter
KR100700503B1 (en) Device for experiment and observation on cell
US10918755B2 (en) Housing apparatus
KR20230002312A (en) incubator
KR20150115573A (en) Air purifying apparatus and system window including the same
WO2011010125A2 (en) Gas flow rate and liquid level monitoring apparatus
JP2006166747A (en) Culture apparatus
KR101835422B1 (en) Cell culture plate and cell culture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2017063618A (en) incubator
JP2017063617A (en) Culture apparatus
WO2023176216A1 (en) Incubation device and incubation system
KR102566601B1 (en)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device with UV sterilization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