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1822Y1 - 이중 배수전 - Google Patents

이중 배수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1822Y1
KR200421822Y1 KR2020060010494U KR20060010494U KR200421822Y1 KR 200421822 Y1 KR200421822 Y1 KR 200421822Y1 KR 2020060010494 U KR2020060010494 U KR 2020060010494U KR 20060010494 U KR20060010494 U KR 20060010494U KR 200421822 Y1 KR200421822 Y1 KR 2004218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drainage
sewage
strainer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04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인호
Original Assignee
박인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인호 filed Critical 박인호
Priority to KR20200600104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18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18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182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4Separate sieves or similar object-catching inser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C2201/40Arrangement of water treatment devices in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내외에 설치되어 오수 및 생활폐수를 배수구, 하수구로 배출하는 배수전, 맨홀 등에 이중의 걸름통을 설치하여 오수 및 생활폐수와 같이 흘러 들어가는 쓰레기, 흙 등과 같은 이물질을 걸러주어 배수구, 하수구 등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고 수질의 오염을 줄여주게 한 이중 배수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특징은, 배수공(21)이 형성된 뚜껑(20)이 배수전(10)의 받침턱(11) 얹혀져 구성되는 배수전(10)에 있어서, 상기 배수전(10)의 내측 중간에 받침돌기(12)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턱(11)에는 상부에 상부플랜지(31)가 형성된 상부걸름통(30)의 상부플랜지(31)가 얹혀지며, 상기 받침돌기(12)에는 상부에 하부플랜지(36)가 형성된 하부걸름통(35)의 하부플랜지(36)가 얹혀지고, 상기 상하부걸름통(30)(35)은 각각 크기 다른 배수구멍(32)(37)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배수전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배수, 하수, 이물질

Description

이중 배수전{Dual drainer}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전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 분리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배수전 11 : 받침턱
12 : 받침돌기 20 : 뚜껑
21 : 배수공 30 : 상부걸름통
31 : 상부플랜지 32,37 : 배수구멍
33,38 : 그물망 35 : 하부걸름통
36 : 하부플랜지
본 고안은 이중 배수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실내외에 설치되어 오수 및 생활폐수를 배수구, 하수구로 배출하는 배수전, 맨홀 등에 이중의 걸름통을 설치하여 오수 및 생활폐수와 같이 흘러 들어가는 쓰레기, 흙 등과 같은 이물질을 걸러주어 배수구, 하수구 등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고 수질의 오염을 줄여주게 한 이중 배수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수전, 맨홀 등은 오수나 생활폐수를 배수관 또는 하수관으로 흘려보내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배수전 및 맨홀의 뚜껑에서 배수관 또는 하수관으로 오수나 생활폐수와 같이 흘러 들어가는 쓰레기, 머리카락, 흙 등의 이물질을 일차적으로 걸러주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배수전 및 맨홀의 뚜껑에서 걸러주는 오수 및 생활폐수와 함께 흘러 들어가는 대부분의 쓰레기, 머리카락, 흙 등의 이물질을 제대로 걸러주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고, 그로 인해 배수관 및 하수관이 막히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런 배수관 및 하수관의 막힘을 방지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배수관 및 하구관을 청소해주고 있고 그 배수관 및 하수관을 청소하기 위한 관리비용이 막대하게 소요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으로 오수 및 생활폐수와 함께 흘러 들어간 쓰레기, 머리카락, 흙 등의 이물질로 인하여 수질을 오염시켜는 문제점 또한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배수전 및 맨홀에 이중 걸름통을 설치하여 오수 및 생활폐수와 함께 흘러 들어가는 쓰레기, 머리카락, 흙 등의 이물질을 배수전 및 맨홀에서 거의 완전하게 걸러주게 하여 배수관 및 하수관의 막히는 현상을 예방하고, 배수관 및 하수관의 청소주기를 줄여 관리비용을 절감시키며, 수질의 요염을 줄여주게 한 이중 배수전을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배수공(21)이 형성된 뚜껑(20)이 배수전(10)의 받침턱(11) 얹혀져 구성되는 배수전(10)에 있어서, 상기 배수전(10)의 내측 중간에 받침돌기(12)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턱(11)에는 상부에 상부플랜지(31)가 형성된 상부걸름통(30)의 상부플랜지(31)가 얹혀지며, 상기 받침돌기(12)에는 상부에 하부플랜지(36)가 형성된 하부걸름통(35)의 하부플랜지(36)가 얹혀지고, 상기 상하부걸름통(30)(35)은 각각 크기 다른 배수구멍(32)(37)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배수전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부 내측에는 받침 턱(11)이 형성되고, 내측 중간부분에는 받침돌기(12)가 형성되며, 하부는 개방된 배수전(10)을 구성한다.
상기 받침턱(11)에는 상부에 상부플랜지(31)가 형성된 상부걸름통(30)의 상부플랜지(31)가 얹혀져 구성되며, 상기 받침돌기(12)에는 상부에 하부플랜지(36)가 형성된 하부걸름통(35)의 하부플랜지(36)가 얹혀져 구성된다.
상기 상부걸름통(30)의 상부플랜지(31) 상부에는 배수공(21)이 형성된 뚜껑(20)이 얹혀져 구성된다.
상기 상하부걸름통(30)(35)에는 오수 및 생활폐수를 배수시키는 배수구멍(32)(37)을 형성하거나 그물망(33)(38)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부걸름통(30)의 배수구멍(32)이나 그물망(33)이 하부걸름통(35)의 배수구멍(37)이나 그물망(38)보다 크게 형성된다.
한편 하부걸름통(35)은 지름이 1㎜ 이상 되는 입자는 통과할 수 없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른 이중 배수전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이중 배수전을 배수관이나 하수관에 설치하여 사용하면 오수 및 생활폐수가 배수전(10)의 뚜껑(20)을 통해 배수전 안으로 흘러 들어가게 되는 것으로 일차적으로 입자가 끝 오수 및 생활폐수와 함께 흘러 들어가는 쓰레기 등의 이물질들이 뚜껑(20)에 의해 걸러진다.
배수전(10)안으로 오수 및 생활폐수와 함께 흘러 들어간 이물질들은 상부걸 름통(30)으로 모이게 되고 모여진 오수 및 생활폐수와 함께 흘러 들어간 이물질들은 상부걸름통(30)을 통하여 입자가 큰 오수 및 생활폐수와 함께 흘러 들어간 이물질들이 걸러지고 오수 및 생활폐수와 함께 흘러 들어간 입자가 적은 이물질들은 상부걸름통(30)의 배수구멍(32) 또는 그물망(33)을 통하여 배수되어 하부걸름통(35)으로 흐르게된다.
하부걸름통(35)에 도착한 오수 및 생활폐수와 함께 흘러 들어간 입자가 적은 이물질들은 하부걸름통(35)의 배수구멍(37) 또는 그물망(38)을 통하여 오수 및 생활폐수는 배수되어 배수관 또는 하수관으로 흐르고, 적은 입자의 쓰레기, 흙 등의 이물질들은 배수구멍(37) 또는 그물망(38)에 의해 걸러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걸러진 쓰레기, 흙 등의 이물질을 처리 할 때는 배수전(10)의 뚜껑(20)을 열고 상하부걸름통(30)(35)을 배수전(10)에서 꺼내어 처리하고, 상하부걸름통(30)(35)을 배수전(10)의 받침턱(11) 또는 받침돌기(12)에 상하부걸름통(35)의 플랜지(31)(36)를 올려놓고 뚜껑(20)을 닫음으로서 오수 및 생활폐수와 함께 흘러 들어가는 쓰레기, 흙 등의 이물질을 배수관 및 하수관으로 흘려보내지 않고 오수 및 생활폐수로부터 분리하여 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오수 및 생활폐수와 함께 흘러 들어가는 쓰레기, 흙 등의 이물질을 배수관 및 하수관으로 흘려보내지 않고 오수 및 생활폐수로부터 분리하여 처리함으로서, 오수 및 생활폐수와 함께 흘러 들어가는 쓰레기, 흙 등의 이물질 등에 의해 배수관 및 하수관이 막히는 일을 예방할 수 있으며, 배수관 및 하수관에 흘러 들어가는 이물질이 적어 배수관 및 하수관을 청소해주는 주기가 길어지며, 그에 따른 관리비용의 지출을 줄일 수 있어 경제적이며, 흘러 들어가는 이물질에 의해 발생하는 수질오염을 예방할 수 있는 등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배수공(21)이 형성된 뚜껑(20)이 배수전(10)의 받침턱(11) 얹혀져 구성되는 배수전(10)에 있어서,
    상기 배수전(10)의 내측 중간에 받침돌기(12)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턱(11)에는 상부에 상부플랜지(31)가 형성된 상부걸름통(30)의 상부플랜지(31)가 얹혀지며, 상기 받침돌기(12)에는 상부에 하부플랜지(36)가 형성된 하부걸름통(35)의 하부플랜지(36)가 얹혀지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배수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걸름통(30)(35)은 오수 및 생활폐수를 배수시키는 배수구멍(32)(37) 또는 그물망(33)(38)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형성되며, 상부걸름통(30)의 배수구멍(32) 또는 그물망(33)이 하부걸름통(35)의 배수구멍(37) 또는 그물망(38)보다 크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배수전.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걸름통(35)은 지름이 1㎜ 이상 되는 입자는 통과할 수 없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배수전.
KR2020060010494U 2006-04-19 2006-04-19 이중 배수전 KR2004218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0494U KR200421822Y1 (ko) 2006-04-19 2006-04-19 이중 배수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0494U KR200421822Y1 (ko) 2006-04-19 2006-04-19 이중 배수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5285 Division 2006-04-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1822Y1 true KR200421822Y1 (ko) 2006-07-19

Family

ID=41770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0494U KR200421822Y1 (ko) 2006-04-19 2006-04-19 이중 배수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182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0689B1 (ko) 집수구형 비점오염 저감장치
KR101907012B1 (ko) 착탈식 맨홀 멀티 스크린 시스템
KR101683816B1 (ko) 교량용 초기우수 처리장치
KR20030036462A (ko) 도로용 집수구의 초기우수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KR101538439B1 (ko) 교량용 비점오염물질 정화처리장치
KR100683119B1 (ko) 오물수거가 가능한 집수구
KR100845544B1 (ko) 우수 및 오수 겸용 공공물받이
CN208578136U (zh) 一种初期雨水分离装置
KR101098900B1 (ko) 교량용 집수구
KR101710061B1 (ko) 기름 및 음식찌꺼기의 제거가 용이한 오수받이
US6303032B1 (en) Portable multi-strainer
KR200416118Y1 (ko) 우, 오수받이.
KR101202895B1 (ko) 빗물 저류 장치
CN203947566U (zh) 一种下水道用沉沙井内套
KR200421822Y1 (ko) 이중 배수전
KR101081568B1 (ko) 초기우수 처리장치
KR200385529Y1 (ko) 우수 유입용 맨홀의 오물걸름장치
KR200228281Y1 (ko) 빗물받이 집수정의 악취방지 덮개
KR20050095959A (ko) 두개의 필터가 내장된 맨홀
KR20190105307A (ko) 우수의 처리를 위한 여과 장치
KR200431109Y1 (ko) 이물질 거름 기능을 갖는 우수받이
KR20160000121A (ko) 착탈식 여재카트리지를 갖는 빗물받이 삽입형 비점오염저감장치
KR200459877Y1 (ko) 식용기름 및 음식찌꺼기를 분리배출할 수 있는 오수처리트랩
KR200273584Y1 (ko) 냄새역류방지용 u자형 배수관
KR101481449B1 (ko) 비점오염 저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