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1810Y1 - 흙막이 가시설 - Google Patents

흙막이 가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1810Y1
KR200421810Y1 KR2020060010099U KR20060010099U KR200421810Y1 KR 200421810 Y1 KR200421810 Y1 KR 200421810Y1 KR 2020060010099 U KR2020060010099 U KR 2020060010099U KR 20060010099 U KR20060010099 U KR 20060010099U KR 200421810 Y1 KR200421810 Y1 KR 2004218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vertical
pile
rows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00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승권
김석환
Original Assignee
(주)핸스건설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핸스건설,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핸스건설
Priority to KR20200600100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18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18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181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02D17/083Shoring stru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20/00Temporary installations or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Abstract

본 고안은, 지하구조물의 일방향을 따라 복수열이 배치되고, 그 각각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다수의 세로파일부재와, 상기 세로파일의 최외각열에 배치된 한 쌍의 열의 세로파일들에 상기 지하구조물의 일방향으로 복수열이 배치되는 다수의 띠장부재와, 상기 한 쌍의 열의 세로파일들에 배치된 띠장들 중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띠장에 그 양단부가 각각 지지되며, 상기 일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버팀보부재를 포함하는 흙막이 가시설에 있어서, 상기 중앙파일부재, 버팀보부재, 띠장부재 중의 적어도 하나의 부재는 인장강도가 610Mpa이상의 고강도 강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가시설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지하구조물의 일방향을 따라 복수열이 배치되고, 그 각각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다수의 세로파일부재와, 상기 세로파일의 최외각열에 배치된 한 쌍의 열의 세로파일들에 상기 지하구조물의 일방향으로 복수열이 배치되는 다수의 띠장부재와, 상기 한 쌍의 열의 세로파일들에 배치된 띠장들 중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띠장에 그 양단부가 각각 지지되며, 상기 일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버팀보부재를 포함하는 흙막이 가시설에 있어서, 상기 세로파일부재, 버팀보부재 중의 적어도 하나의 부재는 환형단면을 가진 강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가시설도 아울러 제공한다.

Description

흙막이 가시설{Temporary facilities structure}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가시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흙막이 가시설에 사용되는 부재의 단면2차모멘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흙막이 가시설의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흙막이 가시설을 대체하기 위해 필요한 종래의 방식으로 설계된 흙막이 가시설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기호의 설명 ××
10 : 측부세로파일부재 15 : 중앙세로파일부재
20 : 띠장부재 30 : 버팀보부재
본 고안은 지하철 역사나 지하철도 등의 건설을 위한 굴착공사에 사용되며, 지하구조물의 시공이 완료되면 제거되는 흙막이 가시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흙막이 가시설에 사용되는 세로파일부재, 버팀보부재 또는 띠장 중의 적어 도 일부의 부재로 고강도의 강재를 사용하거나, 그 환형의 단면형상을 가진 강관으로 변경하여 종래에 실시되고 있는 흙막이 가시설에 비하여 시공단가를 낮추고 작업성도 개선한 흙막이 가시설에 관한 것이다.
흙막이 가시설물은, 지하구조물의 일방향을 따라 복수열이 배치되고, 그 각각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다수의 세로파일부재와, 상기 세로파일의 최외각열에 배치된 한 쌍의 열의 세로파일들에 상기 지하구조물의 일방향으로 복수열이 배치되고, 그 각각은 상기 지하구조물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띠장부재와, 상기 한 쌍의 열의 세로파일들에 배치된 띠장들 중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띠장에 그 양단부가 각각 지지되며, 상기 일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버팀보부재와 지하구조물의 양 측부에 설치되어, 지하구조물 내로 토사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토류판, 상기 버팀보부재 또는 세로파일부재의 일부에 설치되는 보강부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흙막이 가시설에 있어서, 상술한 세로파일부재, 버팀보부재, 띠장부재 등으로 거의 일률적으로 H형강이 사용되었다. 더욱이 흙막이 가시설은, 지하철 역사나 지하철도 등의 목적구조물과는 달리 영구구조물이 아니라 목적구조물의 시공을 위해 일시적으로 사용되는 가시설물이라는 이유로 다른 현장에서 사용하던 부재들을 반복사용하는 경향이 많았으며, 흙막이 가시설에 사용되는 H형강을 임대해주는 사업자가 있을 정도로 흙막이 가시설물에 사용되는 H형강을 반복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흙막이 가시설의 설계에 있어서도, 기존에 사용되던 H형강을 반복사용하기 때문에 원래 H형강이 가진 강도의 70% 내지 80% 정도만을 가진 H형강을 사용하는 것으로 간주하여 설계하였으며, 그 단면의 크기와, 강도, 부재의 배치간격 등의 설계요소가 일반화된 범위에서 규격화되어 있었다.
이러한 이유에 의해 흙막이 시설의 설계시에 그 구성요소인 각종 부재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거의 없이 일반화된 설계가 이루어지고, 시공 역시 그러한 설계하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강재의 단면 크기나 강성, 그 배치구조에 대한 면밀한 검토는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시공의 경제성이나 시공성에 대한 상세한 검토 역시 부재하였으므로, 이러한 면에서 불합리한 점이 많았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흙막이 가시설의 일부 부재를 고강도의 강재를 사용하거나, 그 단면형상을 변경시킴으로써 경제성 및 시공성이 향상된 흙막이 가시설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지하구조물의 일방향을 따라 복수열이 배치되고, 그 각각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다수의 세로파일부재와, 상기 세로파일의 최외각열에 배치된 한 쌍의 열의 세로파일들에 상기 지하구조물의 일방향으로 복수열이 배치되는 다수의 띠장부재와, 상기 한 쌍의 열의 세로파일들에 배치된 띠장들 중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띠장에 그 양단부가 각각 지지되며, 상기 일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버팀보부재를 포함하는 흙막이 가시설에 있어서,
상기 중앙파일부재, 버팀보부재, 띠장부재 중의 적어도 하나의 부재는 인장강도가 610Mpa이상의 고강도 강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가시설을 제공한다.
상기 중앙파일부재 또는 띠장부재 중 고강도 강재로 이루어진 부재는 용접구조용 압연강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강도 강재로 이루어진 부재는 환형단면을 가진 강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은, 지하구조물의 일방향을 따라 복수열이 배치되고, 그 각각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다수의 세로파일부재와, 상기 세로파일의 최외각열에 배치된 한 쌍의 열의 세로파일들에 상기 지하구조물의 일방향으로 복수열이 배치되는 다수의 띠장부재와, 상기 한 쌍의 열의 세로파일들에 배치된 띠장들 중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띠장에 그 양단부가 각각 지지되며, 상기 일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버팀보부재를 포함하는 흙막이 가시설에 있어서,
상기 세로파일부재, 버팀보부재 중의 적어도 하나의 부재는 환형단면을 가진 강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가시설을 아울러 제공한다.
상기 환형단면을 가진 강관은 버팀보용 고장력강 강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가시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흙막이 가시설에 사용되는 부재의 단면2차모 멘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흙막이 가시설의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흙막이 가시설을 대체하기 위해 필요한 종래의 방식으로 설계된 흙막이 가시설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가시설은 세로파일부재와 띠장부재(20)와 버팀보부재(30)와 토류판을 포함한다.
상기 세로파일부재는 지하구조물의 방향을 따라 복수열이 배치되고, 그 각각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부재로서, 상기 지하구조물의 양측벽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측부세로파일부재(10)와 지하구조물의 중앙부 즉, 측부세로파일부재(10) 사이에 위치하는 중앙세로파일부재(15)를 포함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측부세로파일부재(10)와 중앙세로파일부재(15)는 일반구조용 압연강재의 일종인 SS400을 사용하며, 그 규격 300×300×10×15인 H형강이다.
상기 띠장부재(20)는 상기 세로파일의 최외각열에 배치된 한 쌍의 열의 세로파일 즉, 상기 측부세로파일부재(10)에 상기 지하구조물의 일방향을 따라 복수열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띠장부재(20)는 용접구조용 압연강재의 일종인 SM490을 사용하며, 그 규격이 300×300×10×15인 H형강이다. 물론 고강도 용접구조용 압연강재를 사용하면 되는 것으로서, 반드시 SM490만을 사용해야 하는 것이 아님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상기 버팀보부재(30)는 상술한 측부세로파일부재(10)에 배치된 띠장들 중 한 쌍의 서로 마주보는 띠장에 그 양단부가 각각 지지되며, 상기 지하구조물의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다수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버팀보부재(30)는 강관의 일종인 버팀보용 고장력강 강관으로 이루어지며, 직경이 406mm 두께가 6mm인 강관이다. 이경우에도 반드시 버팀보용 고장력강 강관을 사용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고장력강 강관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세로파일부재들과 띠장부재(20)들과 버팀보부재(30)의 설치간격은 지하구조물에 미치는 토압 등을 고려하여 결정하게 된다.
상기 토류판(45)은 상기 측부세로파일부재(10)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판으로서, 지하구조물의 측면의 벽을 완전히 덮고 있다.
상술한 세로파일부재, 띠장부재(20), 버팀보부재(30), 토류판(45) 이외에도 버팀보부재(30)의 좌굴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재가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실시예의 각 구성요소들의 기능, 작용 및 효과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세로파일부재 중 측면세로파일부재(10)는 지하구조물을 위한 흙막이 가시설의 최외곽부에 설치되어, 띠장부재(20)와 버팀보부재(30)와 함께 지하구조물을 위해 굴착된 부분에 미치는 토압을 버티는 작용을 하며, 아울러 주형지지보(41), 주형보(42)와 함께 복공판(43)에 미치는 차량 하중 등을 버티는 역할도 하게 된다.
띠장부재(20)와 버팀보부재(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측면세로파일부재(10)와 함께 지하구조물을 위해 개착된 부분에 미치는 토압을 버티는 작용을 한다.
토류판(45)은 측면세로파일부재(10)와 인접하게 설치되어, 굴착된 부분으로 토사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띠장부재가 용접구조용 압연강재인 SM490으로 이루어져 있 으며, 그 강도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일반구조용 압연강재인 SS400에 비해 고강도이므로, 지하구조물을 위해 굴착된 공간의 측면으로 미치는 토압이 동일한 경우에 버팀보부재(30)의 설치간격을 증가시켜 보다 적은 버팀보부재(30)로도 구조적으로 안정적인 흙막이 가시설의 설치가 가능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버팀보부재(30) 역시 버팀보용 고장력강 강관을 사용함으로써 버팀보부재의 간격을 키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버팀보부재(30)는 굴착된 공간의 양 측벽에서 미치는 토압에 저항하는 부재로서 압축력을 받는 부재이다. 그리고, 그 단면에 비해 길이가 커서 좌굴에 취약하다. 압축력에 의해 발생되는 변위는 재료의 고유적인 물성치인 탄성계수(E)와 단면2차모멘트(I)에 의해 결정되는데, 버팀보부재로 버팀보용 고장력강 강관을 쓰는 경우 종래에 버팀보부재로 사용되는 H형강에 비해 고강도이므로, 보다 큰 탄성계수를 가지고 있다. 단면2차모멘트와 관련해서 300×300×10×15인 H형강의 경우 강축의 단면2차모멘트인 Ixx(도 2a 참조)는 20,400cm4인데 반해 약축의 단면2차모멘트인 Iyy는 6,750cm4이다. 본 실시예의 버팀보부재(30)는 직경이 406mm이고 두께가 6mm인 강관인데, 상기 버팀보(30)의 단면2차모멘트(도 2b 참조)는 그 형상의 특성상 Ixx와 Iyy가 동일하며, 그 값은15,128cm4이다. 설계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단면2차모멘트인 Ixx와 Iyy 중 작은 값인데, H형강의 경우 약축의 단면2차모멘트인 Iyy는 6,750cm4 인데 비해 강관형상의 버팀보(30)는 강축과 약축의 단면2차모멘트의 차이가 없으며 15,128cm4으로서 H형강 형태의 버팀보에 비해 그 값이 커서 구조적으로 안정적인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가시설물(이하 '실시예'라 함)의 자재비용과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흙막이 가시설물(이하 '비교예'라 함)의 자재비용을 서로 비교함으로써, 경제적인 효과에 대하여 설명해 보기로 한다. 실시예와 비교예의 자재비용을 서로 비교하기 위해 동일한 규모의 흙막이 가시설에 동일한 토압이 작용하는 경우를 가정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흙막이 가시설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흙막이 가시설을 대체하기 위해 필요한 종래의 방식으로 설계된 흙막이 가시설의 단면도이다.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서로 마주보는 측부세로파일부재(10,110)간의 거리는 20.1미터로 동일하고, 각각의 측부세로파일(10)의 길이는 15.592미터이며, 측부세로파일(10,110)은 지하구조물의 길이방향을 따라 2m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지하구조물의 길이는 비교의 편의상 20m인 경우를 상정하여 20m의 구간에 필요한 흙막이 가시설물 부재들의 자재비를 비교하기로 한다.
아래의 표 1에 실시예와 비교예에 사용되는 각 부재들의 강종, 단면형상, 단면크기, 설치간격이 표시되어 있다.
구 분 비교예 실시예
1. 측부세로파일부재
단면형상 H 형강 H 형강
단면크기 300×300×10×15 300×300×10×15
설치간격 2m
강종 SS400 SS400
2. 중앙세로파일부재
단면형상 H 형강 H 형강
단면크기 250×250×9×14 250×250×9×14
설치간격 2m × 2열 4m × 1열
강종 SS400 SS400
3. 띠장부재
단면형상 H 형강 H 형강
단면크기 300×300×10×15 300×300×10×15
설치간격 2.5m 2.5m
강종 SS400 SM490
4. 버팀보부재
단면형상 H형강 강관
단면크기 300×300×10×15 φ406, 6t
설치간격 2m 4m
강종 SS400 버팀보용 고장력강 강관
표 1. 실시예와 비교예에 사용되는 각 부재요소의 비교
상기 표에 정리된 바와 같이, 측부세로파일부재(10,110)는 동일한 간격으로 동일한 형상과 단면을 가지며, 동일한 강종으로 이루어진 부재들이 사용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지하구조물을 위해 개착된 공간의 최외각열에 각각 위치하는 세로파일 부재들 간의 거리는 20.1m로 동일하다.
중앙세로파일부재(15)는 버팀보부재(30)가 좌굴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보강하기 위한 것이 그 설치의 주목적인데, 실시예에서는 버팀보부재(30)의 단면2차모멘트가 비교예에 사용되는 버팀보부재(130)의 단면2차모멘트에 비해 우수하여, 좌굴에 대한 저항성이 커지므로, 훨씬 자재의 사용량이 현저하게 줄어든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의 경우 굴착공간의 길이방향을 따라 2m 간격으로 2열의 중앙세로파일부재(115)가 필요한데 반해, 실시예에 있어서는 굴착공간의 길이방향을 따라 4m간격으로 1열의 중앙세로파일부재(15)가 필요하므로 산술적으로 약 1/4정도의 자재만 사용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띠장부재(20,120)는 동알한 단면의 H형강이 동일한 간격으로 설치되며,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사용되는 재료의 종류인 강종만이 차이가 있다.
버팀보부재는 단면형상, 단면크기, 설치간격, 강종이 모두 실시예와 비교예가 차이가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는 버팀보부재(30)의 단면형상 및 강종을 개량하여 비교예의 버팀보부재(130)에 비해 굴착공간의 길이방향으로의 설치간격이 훨씬 넓어졌음을 알 수 있다.
표 1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실시예의 흙막이 가시설과 비교예의 흙막이 가시설을 비교해 보면, 동일한 토압과 동일한 규모에 사용되는데도 불구하고 실시예의 흙막이 가시설의 중앙파일부재(15)와 버팀보부재(30)의 설치간격이 현저하게 늘어났음을 알 수 있다. 표 1에 정리된 부재들의 사용량과 그 자재비는 아래의 표 2에 정리되어 있다.
구 분 비교예 실시예
1. 측부세로파일부재
사용량(톤) 27,342 27,342
자재비(원) 8,240,000 8,240,000
2. 중앙세로파일부재
사용량(톤) 20,989 5,245
자재비(원) 5,706,000 1,426,000
3. 띠장부재
사용량(톤) 8,046 8,046
자재비(원) 2,309,000 2,425,000
4. 버팀보부재
사용량(톤) 33,566 10,856
자재비(원) 11,680,000 7,389,000
총액(원) 27,323,000 19,480,000
표 2. 표 1에 정리된 부재들의 사용량과 자재비
표 2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측부세로파일부재는 동일하게 사용되므로, 당연히 자재비 역시 동일하다. 그러나 중앙세로파일부재의 경우 실시예의 자재비가 비교예의 자재비에 비해 약 1/4정도 밖에 소요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버팀보부재(30)의 경우에도 실시예에 있어서의 버팀보부재(30)의 설치간격이 비교예의 버팀보부재(130)의 설치간격에 비해 줄어듦으로 인한 자재비의 감소를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에 사용되는 버팀보부재(30)의 톤당 단가는 비교예에 사용되는 버팀보부재(130)의 톤당 단가에 비해 비싸지만 그 사용량을 현저히 줄임으로써 자재비 역시 40%정도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띠장부재(20)의 경우 사용량은 동일하나, 실시예에 사용되는 강종이 고가의 제품이므로 실시예의 띠장부재(20)만의 자재비는 비교예의 띠장부재(120)의 자재비에 비해 높다.
자재비 총액을 비교하는 경우 비교예에 비해 약 28.7%정도 줄어든 자재비로 실시예의 흙막이 가시설의 시공이 가능한 것을 알 수 있다. 표 2에 나타난 자재비 총액의 차이는 약 800만원정도이나 이는 20m구간을 기준으로 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지하철 공사를 위한 흙막이 가시설에 적용한다고 할 때, 보통 지하철 공사 구간은 수 킬로미터 내지 수십킬로미터에 이르므로 그 자재비의 절약규모는 천문학적인 숫자가 될 수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한편, 자재비의 절감이외에도 설치되는 자재가 현저히 줄어듦에 따라 작업공수 역시 현저히 줄어들게 되어, 그 설치에 필요한 인건비 절감과 함께 공기단축을 이끌어낼 수 있고, 그 제거시에 필요한 인건비 절감 및 제거 공기단축효과도 아울러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버팀보부재나 중앙세로파일부재에 설치되는 보강재를 줄임으로써 작업에 필요한 공기와 설치비를 줄일 수 있으며, 용접작업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의 위험도 현저히 줄어드는 효과가 아울러 발생한다.
고강도 강재의 일종으로 사용되는 용접구조용 압연강재인 SM490 및 버팀보용 고장력강 강관의 톤당 단가는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H형강의 재료인 일반구조용 압연강재인 SS400의 톤당 단가에 비해 비싸다. 따라서 동일한 중량의 자재를 사용한다면 본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가시설물의 자재비용이 당연히 비싸다. 따라서 지금까지는 흙막이 가시설이라고 하면 의례히 일반구조용 압연강재로 이루어진 H형강을 기준으로 설계되었으며, 톤당 단가가 비싼 고강도 강재를 사용한다는 고려는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나, 본 고안의 상기 실시예에서 알 수 있듯이 고강도 강재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되는 강재의 량을 줄일 수 있으므로, 재료의 톤당 단가가 증가되는 것을 상쇄할 수 있으며 오히려 총 재료비의 약 28.7%정도를 절감할 수 있는 결과를 얻어낸 것이다. 즉 흙막이 가시설의 부재로 사용되는 강종을 변경하여 이에 대한 경제적인 측면을 고려함으로써, 종래에 비하여 훨씬 효율적인 흙막이 가시설의 설계가 가능하게 된 것이다.
이상에서는 띠장부재로서 고강도의 강재를 사용하고, 버팀보부재로서 고강도의 환형단면을 가진 강관을 사용하는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세로파일부재의 경우에도 얼마든지 고강도의 강재를 사용하거나, 고강도의 환형단면을 가진 강관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흙막이 가시설에 사용되는 부재의 일부를 고강도의 강재로 이루어진 부재를 사용하거나, 환형단면을 가진 강관을 사용함으로써, 재료비를 절감함과 동시에 그 설치 및 제거에 필요한 인건비 및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생시키는 흙막이 가시설을 제공한다.

Claims (5)

  1. 지하구조물의 일방향을 따라 복수열이 배치되고, 그 각각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다수의 세로파일부재와, 상기 세로파일의 최외각열에 배치된 한 쌍의 열의 세로파일들에 상기 지하구조물의 일방향으로 복수열이 배치되는 다수의 띠장부재와, 상기 한 쌍의 열의 세로파일들에 배치된 띠장들 중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띠장에 그 양단부가 각각 지지되며, 상기 일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버팀보부재를 포함하는 흙막이 가시설에 있어서,
    상기 중앙파일부재, 버팀보부재, 띠장부재 중의 적어도 하나의 부재는 인장강도가 610Mpa이상의 고강도 강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가시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파일부재 또는 띠장부재 중 고강도 강재로 이루어진 부재는 용접구조용 압연강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가시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강도 강재로 이루어진 부재는 환형단면을 가진 강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가시설.
  4. 지하구조물의 일방향을 따라 복수열이 배치되고, 그 각각은 상하방향으로 길 게 배치된 다수의 세로파일부재와, 상기 세로파일의 최외각열에 배치된 한 쌍의 열의 세로파일들에 상기 지하구조물의 일방향으로 복수열이 배치되는 다수의 띠장부재와, 상기 한 쌍의 열의 세로파일들에 배치된 띠장들 중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띠장에 그 양단부가 각각 지지되며, 상기 일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버팀보부재를 포함하는 흙막이 가시설에 있어서,
    상기 세로파일부재, 버팀보부재 중의 적어도 하나의 부재는 환형단면을 가진 강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가시설.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단면을 가진 강관은 버팀보용 고장력강 강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가시설.
KR2020060010099U 2006-04-14 2006-04-14 흙막이 가시설 KR2004218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0099U KR200421810Y1 (ko) 2006-04-14 2006-04-14 흙막이 가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0099U KR200421810Y1 (ko) 2006-04-14 2006-04-14 흙막이 가시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4206 Division 2006-04-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1810Y1 true KR200421810Y1 (ko) 2006-07-18

Family

ID=41770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0099U KR200421810Y1 (ko) 2006-04-14 2006-04-14 흙막이 가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1810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9062B1 (ko) 2007-03-21 2008-05-16 삼성물산 주식회사 콘크리트 압송파이프 지지대 및 이를 이용한 사장교 주탑시공방법
US8117379B2 (en) 2008-04-28 2012-02-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processing hard disk drive
KR101225569B1 (ko) 2010-06-14 2013-01-24 주식회사 힐 엔지니어링 전열·후열 말뚝 연결재
KR101336900B1 (ko) * 2013-01-04 2013-12-16 홍석희 수동날개판과 탄성지지판을 이용한 장경간 흙막이 가시설 시공방법
KR101420782B1 (ko) * 2013-12-30 2014-07-17 광일토건환경 주식회사 흙막이 가시설 시공방법
KR20190000484A (ko) 2017-06-23 2019-01-03 주식회사 승원씨앤디 흙막이 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9062B1 (ko) 2007-03-21 2008-05-16 삼성물산 주식회사 콘크리트 압송파이프 지지대 및 이를 이용한 사장교 주탑시공방법
US8117379B2 (en) 2008-04-28 2012-02-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processing hard disk drive
KR101225569B1 (ko) 2010-06-14 2013-01-24 주식회사 힐 엔지니어링 전열·후열 말뚝 연결재
KR101336900B1 (ko) * 2013-01-04 2013-12-16 홍석희 수동날개판과 탄성지지판을 이용한 장경간 흙막이 가시설 시공방법
KR101420782B1 (ko) * 2013-12-30 2014-07-17 광일토건환경 주식회사 흙막이 가시설 시공방법
KR20190000484A (ko) 2017-06-23 2019-01-03 주식회사 승원씨앤디 흙막이 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1810Y1 (ko) 흙막이 가시설
KR101329440B1 (ko) 연결용 엔클로저를 포함하는 강관버팀보
KR100698878B1 (ko) 강관 버팀보의 와이형 연결구조
EP1954884A1 (en) Apparatus for fixing a wale
EP1595031A1 (en) Prestressed scaffolding system
KR20120055236A (ko) 조립식 버팀보 연결 구조체
KR100908321B1 (ko) 흙막이 가시설용 프리스트레스 합성띠장 시공방법
KR100733719B1 (ko) 길이조정형 강관 버팀보
KR100794677B1 (ko) 대규모 작업공간 확보용 지중 토류벽 구조 및 이의시공방법
KR20070093255A (ko) 압축강관을 이용한 지하 연속벽 흙막이 구조체 및 굴토방법
KR100646178B1 (ko) 강관 가시설 공법
KR100476842B1 (ko) 개착식 토류공법에 있어서 축력에 따라 설치되는 버팀보
US7887247B2 (en) Underground earth retention strut construction method using horizontal frame structure
KR102315382B1 (ko) 버팀대 해체구간 흙막이벽체의 안정성을 위한 선행하중의 감압크기를 결정하는 수치해석 방법
KR100534079B1 (ko) 대단위 굴착공사의 버팀보 시공방법
JP5001813B2 (ja) 遮音壁および同遮音壁に用いる遮音パネル
KR101664668B1 (ko) 무띠장 흙막이 벽체 직접 연결 구조
KR101307821B1 (ko) 작업공간의 확보를 위한 지중 토류벽 구조
KR101958768B1 (ko) 보강봉을 가지는 버팀보를 이용한 토류판 시공 구조물
KR100412162B1 (ko) 트러스식 지보구조에 의한 지반 굴착공법
KR20200012602A (ko) 개량된 매립형 흙막이 띠장 프리스트레스 공법
CN109653243A (zh) 拼舱式多舱地下综合管廊
CN216360732U (zh) 一种仰斜式钢板挡墙及支护系统
KR102483048B1 (ko) 가설 흙막이 공사용 팽창이 가능한 유압식 띠장 설치공법 및 가설 흙막이 공사용 유압식 띠장
KR102047897B1 (ko) 보강구조를 갖는 버팀보 연결구조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