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0925Y1 - The structure for fixing to speaker a diaphragm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Google Patents

The structure for fixing to speaker a diaphragm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0925Y1
KR200420925Y1 KR2020060009061U KR20060009061U KR200420925Y1 KR 200420925 Y1 KR200420925 Y1 KR 200420925Y1 KR 2020060009061 U KR2020060009061 U KR 2020060009061U KR 20060009061 U KR20060009061 U KR 20060009061U KR 200420925 Y1 KR200420925 Y1 KR 2004209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hragm
frame
speaker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906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성 식 김
Original Assignee
부전전자부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전전자부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부전전자부품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090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0925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09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0925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16Mounting or tensioning of diaphragms or cones
    • H04R7/18Mounting or tensioning of diaphragms or cones at the periphery
    • H04R7/22Clamping rim of diaphragm or cone against sea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통통신 단말기용 스피커의 진동판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aphragm fixing structure of a speaker for a tele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이러한 본 고안의 이동통신 단말기용 스피커의 진동판 고정구조는, 방음구를 구비하면서 양측단이 컷팅된 타원형태의 프레임 내에 요크, 마그네트, 상부플레이트, 보이스코일, 진동판이 설치 구성된 이동통신 단말기용 스피커에 있어서;The diaphragm fixing structure of the speaker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yoke, a magnet, an upper plate, a voice coil, and a diaphragm installed in a frame of an oval shape having both soundproof openings and cut ends. In;

상기 프레임과 진동판의 조립시 프레임으로부터 진동판의 회전에 따른 쏠림이나 동심도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프레임의 양측단 컷팅부와 대응되도록 진동판의 양측단에 걸림수단을 돌출 형성시켜 상기 프레임의 컷팅부에 진동판의 걸림수단이 각각 결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assembling the frame and the diaphragm, protruding means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diaphragm so as to correspond to cuts at both ends of the frame to prevent dropping or concentricity due to rotation of the diaphragm from the fram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means are configured to be bound respectively.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스피커의 진동판 고정구조는, 방음구를 구비하면서 전후 양측단이 컷팅된 타원형태의 프레임 내에 요크, 마그네트, 상부플레이트, 보이스코일, 진동판이 설치 구성된 이동통신 단말기용 스피커에 있어서;In addition, the diaphragm fixing structure of the speaker for anoth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yoke, the magnet, the upper plate, the voice coil, the diaphragm is installed in the frame of the oval shape having both soundproof openings and front and rear ends cut. A speaker for a terminal;

상기 전후 양측단에 형성된 컷팅부와 함께 방음구가 관통 형성된 프레임의 좌우 양측단에 컷팅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전후 양측단과 좌우 양측단에 각기 형성된 컷팅부와 각각 대응되도록 진동판의 전후, 좌우 각 단부에 걸림수단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과 진동판의 조립시 프레임으로부터 진동판의 회전에 따른 쏠림이나 동심도 저하가 방지되도록 상기 프레임의 각 컷팅부에 진동판의 걸림수단이 각각 결착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Cutting parts are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both ends of the frame through which the soundproof opening is penetrated together with the cut parts formed on both front and rear sides, and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iaphragm so as to correspond to the cut parts respectively formed on both front and rear sides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ame, respectively. The locking means protruding at each en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means of the diaphragm is coupled to each cutting portion of the frame so that the frame and the diaphragm are prevented from falling or concentricity due to rotation of the diaphragm from the frame. .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프레임과 진동판의 조립시 종래 프레임으로부터 진동판의 회전에 따른 쏠림이나 동심도 저하로 인해 파생되는 작업성의 번거로움을 간편하게 개선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전체적인 제조 불량률을 크게 저하시켜 생산성 향상에 이바지할 수 있는 등의 탁월한 효과가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ssembling the frame and the diaphragm, it is possible to easily improve the troublesome workability derived from the dropping or concentricity caused by the rotation of the diaphragm from the conventional frame, and further improve the productivity by greatly reducing the overall manufacturing defect rate. It has an excellent effect, such as being able to contribute.

이동통신 단말기, 스피커, 프레임, 컷팅부, 진동판, 걸림수단, 동심도, 쏠림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peaker, frame, cutting part, diaphragm, locking means, concentricity, pull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용 스피커의 진동판 고정구조{The structure for fixing to speaker a diaphragm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The structure for fixing to speaker a diaphragm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용 스피커 중 프레임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rame of a speaker for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2a는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용 스피커 중 진동판의 사시도.Figure 2a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aphragm of the speaker for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2b는 도 1의 프레임 상에 종래 진동판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Figure 2b is a plan view showing a conventional diaphragm coupled to the frame of Figure 1;

도 3은 본 고안의 이동통신 단말기용 스피커 중 프레임의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rame of the speaker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이동통신 단말기용 스피커 중 진동판의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aphragm of the speaker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3의 프레임 상에 본 고안의 진동판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5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aphrag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frame of FIG.

도 6은 도 5의 프레임과 진동판의 또 다른 결합상태를 나타낸 실시예도.Figure 6 is an embodiment showing another coupling state of the frame and the diaphragm of Figure 5;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스피커의 작용 상태도.7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a speaker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30, 30a. 프레임30, 30a. frame

32, 32a. 컷팅부32, 32a. Cutting part

34. 요크34. York

36. 방음구36. Soundproofing

38. 마그네트38. Magnet

40. 상부플레이트40. Upper plate

42, 42a, 42b. 진동판42, 42a, 42b. tympanum

43, 43a. 걸림턱43, 43a. Jam

44. 보이스코일44. Voice coil

46. 상부케이스46. Upper Case

본 고안은 이통통신 단말기 상에 설치되는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케이스 및 프레임, 요크, 마그네트, 보이스코일, 진동판, 상부플레이트로 구성된 통상의 이동통신 단말기용 스피커 중 방음구를 구비하면서 양측단이 동일 길이로 컷팅된 프레임의 컷팅부와 상호 대응되도록 상기 진동판의 양측단에 걸림수단을 돌출 형성시켜 상기 프레임의 컷팅부에 진동판의 걸림수단이 각각 결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프레임과 진동판의 조립시 종래 프레임으로부터 진동판의 회전에 따른 쏠림이나 동심도 저하로 인해 파생되는 작업성의 번거로움을 간편하게 개선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전체적인 제조 불량률을 크게 저하시킬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용 스피커의 진동판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eaker installed on a tele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having a soundproof opening of a speaker for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osed of an upper case and a frame, a yoke, a magnet, a voice coil, a diaphragm, and an upper plate. Assembling the engaging means of the diaphragm in the cutting portion of the frame by forming the engaging means on both sides of the diaphragm so as to correspond to the cutting portion of the frame cut to the same length on both sides, thereby assembling the frame and the diaphragm In the conventional frame, it is possible to easily improve the troublesome workability caused by the tilting or concentricity caused by the rotation of the diaphragm, and furthermore, to the diaphragm fixing structure of the speaker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can greatly reduce the overall manufacturing defect rate. It is about.

일반적으로, 휴대폰으로 대표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상대방으로부터 전송된 전기적인 음향신호를 원래의 음향으로 재생하기 위한 스피커가 적용된다.In general, a speaker for reproducing the electric sound signal transmitted from the other party to the original sound is appli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presented by the mobile phone.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용 스피커의 경우 프레임 중앙에 설치되어 마그네트 와의 자기회로를 형성하기 위한 요크와, 상기 요크와 이격 설치되어 자기회로 형성을 위해 자력이 발생되는 환형의 마그네트와, 상기 마그네트 상단에 설치되는 상부플레이트와, 전자기력에 의해 진동하는 진동판과, 상기 진동판의 일면에 권취되어 진동판의 가진력이 발생되도록 전류가 인가되는 보이스코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 상기 보이스코일의 경우 요크와 마그네트의 사이에 형성된 이격공간에 설치되되, 상기 요크 및 마그네트와 상호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게 된다.In the case of a speaker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yoke for forming a magnetic circuit with a magnet is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frame, and an annular magnet for separating a yoke and generating a magnetic force to form a magnetic circuit, and is installed on the magnet. It consists of an upper plate, a diaphragm vibrating by electromagnetic force, and a voice coil wound on one surface of the diaphragm to apply a current to generate an excitation force of the diaphragm, wherein the voice coil is formed between the yoke and the magnet. It is installed in the separation space, it is to be installed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yoke and the magnet.

따라서, 상기한 이동통신 단말기용 스피커의 경우 보이스코일의 양단에 음향신호에 대응하는 교류형태의 전기신호가 인가되면 그 보이스코일이 여자되면서 상기 마그네트와 플레이트의 사이에 자계회로가 형성됨에 따라 그 보이스코일이 취부된 진동판이 상하 진동하여 음향을 재생하게 된다.Therefore, in the case of the speaker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an AC signal corresponding to an acoustic signal is applied to both ends of the voice coil, the voice coil is excited and the magnetic field circuit is formed between the magnet and the plate. The diaphragm on which the coil is mounted vibrates up and down to reproduce sound.

그러나,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용 스피커 중 프레임의 경우 그 전체적인 면적이 증가되면 진동판의 전체적인 면적도 증가되어 충실한 음향신호의 재생이 가능하게 되는 반면, 그 적용대상이 개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소형화 설계 및 영상표시부인 액정화면의 최대화를 위하여 상기 프레임의 치수가 축소되어야만 바람직하다는 상반적인 설계사양을 갖게 된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frame of the speaker for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overall area is increased, the overall area of the diaphragm is also increased, so that faithful sound signals can be reproduced. In order to maximize the denial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the frame design has to be reduced in size.

이와 같은 상반적인 설계사양에 모두 해당되는 조건 즉, 진동판의 전체적인 면적은 커지면서 프레임의 치수는 축소시킨 상태의 조건으로 본 출원인에 의해 선등록된 전기-음향변환장치(실용신안 등록번호 제 326984 호; 이하 이동통신 단말기용 스피커라 함)가 제안된 바 있는데, 이는 전술한 이동통신 단말기용 스피커의 통상적 구성요소와 동일 구성 즉, 상부케이스(46), 프레임(30), 요크(34), 마그네트 (38), 상부플레이트(40) 및 보이스코일(44)이 권취된 진동판(42)으로 구성되어 있다.Electro-acoustic conversion device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326984; pre-registered by the present applicant) under the condition that corresponds to all such contrary design specifications, that is, the overall size of the diaphragm is reduced while the size of the frame is reduced. In the following, a speaker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been proposed, which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components of the speaker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is, the upper case 46, the frame 30, the yoke 34, and the magnet ( 38) and the diaphragm 42 by which the upper plate 40 and the voice coil 44 were wound.

이 중 상기 프레임(30)의 경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 형상이 타원형상을 이루면서 양측단(단축(短軸) 방향의 양면)엔 진동면적 축소 및 점유면적 최소화를 위해 동일 길이로 컷팅된 컷팅부(32)가 형성되어 상기 단축 방향의 치수가 축소된 형태를 이루게 된다.In the case of the frame 30, as shown in Figure 1, the overall shape is formed in an oval shape and cut to the same length to reduce the vibration area and minimize the occupied area at both ends (both sides of the short axis direction). The cutting portion 32 is formed to form a form in which the dimension in the short axis direction is reduced.

또한, 상기 프레임(30)의 하단 중앙에는 마그네트(38)와의 자기회로 형성을 위한 요크(34)가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30)의 장축(長軸) 방향 양측에는 음향의 출력을 위한 방음구(36)가 관통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yoke 34 for forming a magnetic circuit with the magnet 38 is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end of the frame 30, and sound insulation for outputting sound is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long axis of the frame 30. 36 is penetrated.

그리고, 상기 프레임(30) 내부에 결착되는 진동판(42)의 경우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30)의 형상과 동일한 타원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면서 상기 프레임(30)과 마찬가지로 컷팅부(32)에 위치되는 진동판(42)의 양측단 역시 컷팅되어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diaphragm 42 binding to the inside of the frame 30, as shown in FIG. 2A, the diaphragm 42 has the same elliptical shape as that of the frame 30. Both ends of the diaphragm 42 to be positioned are also cut.

이상과 같이 형성된 프레임(30)과 진동판(42)에 있어, 상기 프레임(30)의 경우 양측단이 컷팅부(32) 형태로 가공되어 단축 방향의 치수가 축소되었다 하더라도 설계상 허용 가능한 최대의 치수 즉, 최대의 설계면적으로 형성된 상태이고, 상기 진동판(42)의 경우 역시 프레임(30)의 최대 설계면적에 따른 최대의 진동면적을 갖게 됨에 따라 음향재생능력이 충실하게 보장되게 되는 장점이 있지만,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동판(42)을 프레임(30) 내부에 결합시키는 조립과정시 상기 프레임(30)과 진동판(42)의 장,단축의 비율에 따라 프레임(30)으로부터 진동판(42)의 회전에 따른 일측방향으로 쏠림현상이 발생하게 되면서 상기 프레임(30)과 진동판(42)간에 동심도가 일치하지 않게 되는 등의 커다란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frame 30 and the diaphragm 42 formed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the frame 30, even if both ends are processed in the form of the cutting portion 32, even if the dimension in the short-axis direction is reduced, the maximum size allowable by design That is, there is a state in which the maximum design area is formed, and the diaphragm 42 also has the maximum vibration area according to the maximum design area of the frame 30, so that the sound reproducing ability is faithfully guaranteed. As shown in FIG. 2B, the diaphragm 42 is coupled to the diaphragm 42 from the frame 30 in accordance with the ratio of the long and short axes of the frame 30 and the diaphragm 42. As the phenomenon occurs in one direction due to the rotation of the concentricity between the frame 30 and the diaphragm 42 there was a big problem, such as not matching.

또한, 상기와 같이 프레임(30)으로부터 진동판(42)의 회전에 따른 쏠림으로 동심도가 저하될 경우 작업자가 다시 프레임(30)과 진동판(42)과의 동심도를 일치시키는 수정작업을 별도로 실행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함께 조립작업에 대한 작업시간 역시 길어지게 되면서 스피커 제조에 대한 생산성이 크게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concentricity is lowered due to the tilting caused by the rotation of the diaphragm 42 from the frame 30 as described above, the operator must separately perform a correction operation to match the concentricity between the frame 30 and the diaphragm 42 again. In addition to the cumbersome work time for the assembly work is also lengthened, there was also a problem such as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productivity of the speaker manufacturing.

그리고, 상기와 같은 프레임(30)과 진동판(42)의 조립작업에서 상기 프레임(30)과 진동판(42)의 동심도를 정확하게 일치시키기 않을 경우 스피커의 음향발생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등 스피커 자체의 제조 불량률이 크게 증가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When the concentricity of the frame 30 and the diaphragm 42 is not exactly matched in the assembling operation of the frame 30 and the diaphragm 42 as described above, the sound of the speaker may not be smoothly generated. There was also a problem such that the manufacturing failure rate is greatly increased.

이와 더불어, 상기 프레임(30)과 진동판(42)의 조립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전원 공급에 따른 진동판(42)의 진동시 상기 프레임(30)과 진동판(42)간의 접착면적이 작아 상호간에 분리된 상태로 진동판(42)의 진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등 스피커의 성능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 역시 있었다.In addition, in the state in which the frame 30 and the diaphragm 42 are assembled, the bonding area between the frame 30 and the diaphragm 42 is small when the diaphragm 42 vibrates due to power supply. There was also a problem that the performance of the speaker is greatly reduced, such as the vibration of the furnace diaphragm 42 is made.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은, 상부케이스 및 프레임, 요크, 마그네트, 보이스코일, 진동판, 상부플레이트로 구성된 통상의 이동통신 단말기용 스피커 중 방음구를 구비하면서 양측단이 동일 길이로 컷팅된 프레임의 컷팅부와 상호 대응되도록 상기 진동판의 양측단에 걸림수단을 돌출 형성시켜 상기 프레임의 컷팅부에 진동판의 걸림수단이 각각 결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프레임과 진동판의 조립시 종래 프레임으로부터 진동판의 회전에 따른 쏠림이나 동심도 저하로 인해 파생되는 작업성의 번거로움을 간편하게 개선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전체적인 제조 불량률을 크게 저하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both sides of the upper case and the frame, yoke, magnet, voice coil, diaphragm, a speaker for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sisting of an upper plate, The locking mean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diaphragm so as to correspond to the cutting parts of the frame cut to the same length, so that the locking means of the diaphragm are respectively fixed to the cutting part of the frame, thereby aligning the frame and the diaphragm. It is possible to easily improve the hassle of workability due to the lowering of the concentricity or pull due to the rotation of the diaphragm from, and further aim to significantly reduce the overall manufacturing failure rate.

또한, 상기와 같이 프레임의 양측단 컷팅부에 진동판의 걸림수단인 걸림턱을 결착시켜 상기 프레임 내에 진동판을 결합시킴으로써, 종래 편심된 프레임과 진동판과의 동심도를 맞추는 별도의 작업을 실행하지 않아도 바로 프레임과 진동판의 동심도가 일치하게 되는 등 작업자에 대한 조립 작업성이 매우 간편해지면서 이로 인한 작업시간 역시 크게 단축되어 생산성 향상에 크게 이바지할 수 있음은 물론, 제조 불량률 역시 저하되면서 이동통신 단말기용 스피커의 성능 향상으로 이어지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by engaging the diaphragm in the frame by engaging the stopper of the diaphragm to the engaging means of the diaphragm in the cut portion on both sides of the frame as described above, the frame does not need to execute a separate operation to match the concentricity between the conventional eccentric frame and the diaphragm The assembly workability for the operator is very simple, such that the concentricity of the diaphragm and the diaphragm are matched, and the working time is also greatly reduced, which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of productivity. It has a different purpose to lead to improvement.

그리고, 본 고안의 스피커 진동판 고정구조에 있어, 상기 프레임의 양측단 컷팅부와 함께 방음구가 형성된 프레임의 좌우 양측단에도 컷팅부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의 전후 양측단과 좌우 양측단에 형성된 컷팅부와 각기 대응되도록 진동판의 전후, 좌우 각 단부에 걸림수단을 돌출 형성시켜 상기 프레임의 각 컷팅부에 진동판의 걸림수단이 각각 결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프레임과 진동판의 결합과정에서 상기 프레임에 대한 진동판의 유동이 거의 전무해지는 고정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프레임과 진동판의 결합상태에서도 보다 정확한 상호간의 동심도를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the speaker diaphragm fix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tting parts are formed at both the left and right both ends of the frame with sound insulation holes together with the both end cutting parts of the frame, and the cutting parts are formed at the front and rear sides and the left and right both ends of the frame. And protruding the locking means at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ends of the diaphragm so as to correspond to each other, so that the locking means of the diaphragm is engaged at each cutting portion of the frame. Another purpose is to achieve a fixed state which is almost completely absent, and to achieve a more accurate concentricity between the frame and the diaphragm.

이와 더불어, 상기와 같이 프레임의 전후 양측단과 좌우 양측단 컷팅부에 진동판의 전후, 좌우 각 단부에 돌출된 걸림수단인 걸림턱을 결착시켜 상기 프레임 내에 진동판을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진동판의 걸림수단인 걸림턱에 의해 프레임으로부터 진동판의 접착면적을 최대화하여 진동시 프레임과 진동판 등 상호간의 접착 면적이 작아 발생될 수 있는 분할진동 역시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engaging means of the diaphragm is engaged by engaging the diaphragm in the frame by engaging the engaging jaw protruding from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ends of the diaphragm, and engaging the diaphragm in the frame as described above.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ximize the adhesion area of the diaphragm from the frame by the jaw to minimize the segmentation vibration that may occur due to the small adhesion area between the frame and the diaphragm.

본 고안의 이동통신 단말기용 스피커의 진동판 고정구조는, 방음구를 구비하면서 양측단이 컷팅된 타원형태의 프레임 내에 요크, 마그네트, 상부플레이트, 보이스코일, 진동판이 설치 구성된 이동통신 단말기용 스피커에 있어서;The diaphragm fixing structure of the speaker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yoke, a magnet, an upper plate, a voice coil, and a diaphragm installed in an oval frame having both soundproof openings and cut ends at both sides. ;

상기 프레임과 진동판의 조립시 프레임으로부터 진동판의 회전에 따른 쏠림이나 동심도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프레임의 양측단 컷팅부와 대응되도록 진동판의 양측단에 걸림수단을 돌출 형성시켜 상기 프레임의 컷팅부에 진동판의 걸림수단이 각각 결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assembling the frame and the diaphragm, protruding means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diaphragm so as to correspond to cuts at both ends of the frame to prevent dropping or concentricity due to rotation of the diaphragm from the fram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means are configured to be bound respectively.

그 다음 본 고안의 또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스피커의 진동판 고정구조는, 방음구를 구비하면서 전후 양측단이 컷팅된 타원형태의 프레임 내에 요크, 마그네트, 상부플레이트, 보이스코일, 진동판이 설치 구성된 이동통신 단말기용 스피커에 있어서;Then, the diaphragm fixing structure of the speaker for anoth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yoke, a magnet, an upper plate, a voice coil, and a diaphragm installed in an oval frame having both soundproof openings and front and rear ends cut. A speaker for a terminal;

상기 전후 양측단에 형성된 컷팅부와 함께 방음구가 관통 형성된 프레임의 좌우 양측단에 컷팅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전후 양측단과 좌우 양측단 에 각기 형성된 컷팅부와 각각 대응되도록 진동판의 전후, 좌우 각 단부에 걸림수단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과 진동판의 조립시 프레임으로부터 진동판의 회전에 따른 쏠림이나 동심도 저하가 방지되도록 상기 프레임의 각 컷팅부에 진동판의 걸림수단이 각각 결착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Cutting parts are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both ends of the frame through which the soundproof opening is penetrated together with the cut parts formed on both front and rear sides, and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iaphragm so as to correspond to the cut parts respectively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ame, respectively. The locking means protruding at each en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means of the diaphragm is coupled to each cutting portion of the frame so that the frame and the diaphragm are prevented from falling or concentricity due to rotation of the diaphragm from the frame. .

이 때, 본 고안의 스피커 진동판 구조와 본 고안의 또 다른 스피커 진동판 구조에 있어 상기 걸림수단은 사각 요철형태의 걸림턱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in the speaker diaphragm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other speaker diaphragm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king mean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step of the square irregularities.

이하, 본 고안의 이동통신 단말기용 스피커의 진동판 고정구조(이하, 스피커의 진동판 고정구조라 함)를 도면과 대비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diaphragm fixing structur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diaphragm fixing structure of a speaker) of a speaker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3은 본 고안의 이동통신 단말기용 스피커 중 프레임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이동통신 단말기용 스피커 중 진동판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5는 도 3의 프레임 상에 본 고안의 진동판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a frame of the speaker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aphragm of the speaker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frame of FIG. Top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aphragm is coupled.

먼저, 본 고안의 스피커 진동판 고정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용 스피커의 구성과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적용하기로 한다.First, before describing the structure of the speaker diaphragm fix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pplied to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of the speaker for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에 따른 본 고안의 스피커 진동판 고정구조는, 크게 진동판(42a) 및 보이스코일(44), 마그네트(38), 상부플레이트(40) 등으로 이루어진 음향발생수단을 내장할 수 있도록 상호 결합되는 상부케이스(46) 및 프레임(30)과; 상기 프레임(30)의 상단에 고정되어 전류가 인가된 코일 주변의 전자기력(자기장)에 의해 상하로 진동하면서 호출음이 발생되도록 하는 진동판(42a)과; 상기 프레임(30) 하단 중앙 에 설치되어 마그네트(38)와의 자기회로를 형성하기 위한 요크(34)와; 상기 요크(34)와 이격 설치되어 자기회로 형성을 위한 자력 발생의 마그네트(38)와; 상기 진동판(42a) 하단에 권선 고정된 상태로 상호 이격된 마그네트(38)와 요크(34)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마그네트(38)와 요크(34) 사이에서 발생된 자기장과의 대응작용을 통해 진동판(42a)의 가진력이 발생되도록 전류가 인가되는 보이스코일(44)과; 상기 마그네트(38)의 상단에 설치되어 자화경로(자로:磁路)를 형성하는 상부플레이트(40)와; 상기 보이스코일(44)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설치되는 PCB(미도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도 7 참조).Accordingly, the speaker diaphragm fix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case coupled to each other such that a sound generating means consisting of a diaphragm 42a and a voice coil 44, a magnet 38, an upper plate 40, and the like may be incorporated. 46 and frame 30; A diaphragm 42a fixed to an upper end of the frame 30 to generate a ringing sound while vibrating up and down by an electromagnetic force (magnetic field) around a coil to which a current is applied; A yoke (34) installed at the bottom center of the frame (30) to form a magnetic circuit with the magnet (38); A magnet (38) for generating magnetic force to be spaced apart from the yoke (34) to form a magnetic circuit; The diaphragm is installed between the magnet 38 and the yoke 34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state in which the winding of the diaphragm 42a is fixed to the bottom of the diaphragm 42a. The diaphragm has a corresponding action with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between the magnet 38 and the yoke 34. A voice coil 44 to which a current is applied to generate an excitation force of 42a; An upper plate 40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magnet 38 to form a magnetization path; It is composed of a PCB (not shown) or the like installed to apply power to the voice coil 44 (see FIG. 7).

여기서, 본 고안의 진동판(42a) 고정구조가 적용된 이동통신 단말기용 스피커 즉, 상부케이스(46) 및 프레임(30), 요크(34), 마그네트(38), 상부플레이트(40), 보이스코일(44), 진동판(42a), PCB로 구성된 이동통신 단말기용 스피커는 본 출원인에 의해 선등록된 전기-음향변환장치(실용신안 등록번호 제 326984 호; 이하, 이동통신 단말기용 스피커라 함)와 동일 구조로 이루어진 것임을 미리 밝혀둔다.Here, the speaker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which the diaphragm 42a fix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at is, the upper case 46 and the frame 30, the yoke 34, the magnet 38, the upper plate 40, and the voice coil ( 44), a speaker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osed of a diaphragm 42a and a PCB is the same as an electric-to-acoustic conversion device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326984;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peaker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e-registered by the present applicant. It is known that the structure is made in advance.

그리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용 스피커의 구성요소 중 프레임(30)의 경우 방음구(36)를 구비하면서 전체 형상이 타원형태로 형성되되, 진동판(42)에 의한 진동면적을 축소시킴과 아울러 이동통신 단말기 내의 점유면적 역시 축소시킬 수 있도록 상기 타원형태의 프레임(30) 양측단 즉, 단축 방향의 양측단을 동일 길이로 컷팅한 컷팅부(32)가 형성되면서 상기 단축 방향의 치수가 축소된 구조의 형태를 이루게 된다.In addition, the frame 30 of the components of the speaker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with a soundproof opening 36, the overall shape is formed in an oval shape, while reducing the vibration area by the diaphragm 42 and mobile communication In order to reduce the occupied area in the terminal, the cutting part 32 is formed by cutting the both ends of the frame 30 of the elliptical shape, that is, the both ends of the short axis direction, in the same length, thereby reducing the dimensions of the short axis direction. Form.

그러나, 상기와 같이 양측단에 컷팅부(32)가 형성된 타원형태의 프레임(30)과 타원형상으로 이루어진 진동판(42)과의 조립시 상기 프레임(30)과 진동판(42)의 장,단축의 비율에 따라 프레임(30)으로부터 진동판(42)의 회전에 따른 일측으로의 쏠림이나 상기 프레임(30)과 진동판(42)간의 동심이 틀어지면서 조립에 대한 작업성의 번거로움과 아울러 이로 인한 제조 불량률이 현격히 증가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들이 발생하게 됨에 따라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스피커 진동판 고정구조를 제안하게 되는데, 이에 대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owever, when assembling the elliptical frame 30 and the elliptical diaphragm 42 having the cut portions 32 formed at both ends as described above, the long and short portions of the frame 30 and the diaphragm 42 are separated. According to the ratio, the concentricity between the frame 30 and the diaphragm 42 or the concentricity between the frame 30 and the diaphragm 42 due to the rotation of the diaphragm 42 is distorted, and the manufacturing defect rate caused by this is increas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such as to increase significantly, the speaker diaphragm fix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posed, which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이에 따른 본 고안의 스피커 진동판 고정구조의 경우 도 3과 같이 형성된 프레임(30) 즉, 방음구(36)를 구비하면서 양측단이 동일 길이로 컷팅된 프레임(30)의 컷팅부(32)와 상호 대응되도록 상기 진동판(42a)의 양측단에 걸림수단을 돌출 형성시켜 상기 프레임(30)의 컷팅부(32)에 진동판(42a)의 걸림수단이 각각 결착되도록 구성한 것으로서, 상기 프레임(30)의 양측단 컷팅부(32)와 진동판(42a)의 양측단 걸림수단과의 결착을 통한 조립시 종래 프레임(30)으로부터 진동판(42a)의 회전에 따른 쏠림이나 동심도 저하로 인해 파생되는 작업성의 번거로움을 간편하게 개선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전체적인 제조 불량률을 크게 저하시킬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speaker diaphragm fix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rame 30 formed as shown in FIG. 3, that is, the sound insulation hole 36 is provided with both cut portions 32 of the frame 30 having both sides cut to the same length. The locking means protrudingly formed at both ends of the diaphragm 42a so as to correspond to the locking means of the diaphragm 42a on the cutting portion 32 of the frame 30, respectively, both sides of the frame 30 However, when assembling through the binding between the cutting portion 32 and the locking means on both sides of the diaphragm 42a, the workability that is derived from the dropping or concentricity due to the rotation of the diaphragm 42a from the conventional frame 30 is reduced. It can be easily improved, and further, the overall manufacturing failure rate can be greatly reduced.

그리고, 상기 진동판(42a)의 경우 프레임(30) 내측에 결합되기 위하여 전체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원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면서 그 양측단 즉, 단축 방향의 양측단에는 프레임(30)의 양측단 컷팅부(32)와 대응 결착될 수 있도록 걸림수단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데, 이 때 상기 걸림수단의 경우 프레임(30)의 컷팅부(32)와 동일 형상인 사각 요철형태의 걸림턱(43)으로 이루어져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diaphragm 42a, the whole of the diaphragm 42a has an elliptical shape as shown in FIG. The locking means protrudes so as to correspond to the cutting portion 32. In this case, the locking means includes a locking jaw 43 having a square uneven shape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cutting portion 32 of the frame 30. consist of.

이와 같이 도 3에 도시된 프레임(30)의 컷팅부(32)에 도 4에 도시된 진동판(42a)의 걸림수단인 걸림턱(43)을 결착시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30) 내에 진동판(42a)을 결합시킬 경우 종래 편심된 프레임(30)과 진동판(42)과의 동심도를 맞추는 별도의 작업을 하지 않아도 바로 프레임(30)과 진동판(42a)의 동심도가 일치하게 되는 등 작업자의 조립작업성이 매우 간편해짐과 아울러 이로 인한 제조 불량률이 크게 저하되면서 제품 즉, 이동통신 단말기용 스피커의 성능 향상으로 이어지게 되는 특징적 효과를 이루게 된다.As such, the locking jaw 43, which is a locking means of the diaphragm 42a shown in FIG. 4, is attached to the cutting portion 32 of the frame 30 shown in FIG. 3, as shown in FIG. When the diaphragm 42a is coupled within the operator, the concentricity between the frame 30 and the diaphragm 42a is immediately matched without a separate work of matching concentricity between the conventional eccentric frame 30 and the diaphragm 42. The assembly work of the very easy and the manufacturing defect rate is greatly reduced thereby resulting in a characteristic effect that leads to the performance improvement of the product, that is, the speaker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6은 도 5의 프레임과 진동판의 또 다른 결합상태를 나타낸 실시예도이다.Figure 6 is an embodiment showing another coupling state of the frame and the diaphragm of FIG.

한편, 본 고안의 또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스피커의 진동판 고정구조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음구(36)를 구비하면서 전후 양측단이 컷팅된 타원형태의 프레임(30a) 내에 요크(34), 마그네트(38), 상부플레이트(40), 보이스코일(44), 진동판(42b)이 설치 구성된 이동통신 단말기용 스피커에 있어, 상기 전후 양측단에 형성된 컷팅부(32)와 함께 방음구(36)가 관통 형성된 프레임(30a)의 좌우 양측단에 진동면적 축소 및 점유면적 최소화를 위한 컷팅부(32a)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30a)의 전후 양측단과 좌우 양측단에 각기 형성된 컷팅부(32,32a)와 각각 대응되도록 진동판(42b)의 전후, 좌우 각 단부에 걸림수단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30a)과 진동판(42b)의 조립시 프레임(30a)으로부터 진동판(42b)의 회전에 따른 쏠림이나 동심도 저하가 방지되도록 상기 프레임(30a)의 각 컷팅부(32,32a)에 진동판(42b)의 걸림수단이 각각 결착되게 구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iaphragm fixing structure of the speaker for anoth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yoke (34) in the frame 30a of the oval shape having a soundproof opening (36) and cut both front and rear ends as shown in FIG. ), A speaker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with a magnet 38, an upper plate 40, a voice coil 44, and a diaphragm 42b, with a cutout 32 formed at both front and rear sides of the soundproof opening ( Cut portions 32a are formed on both left and right ends of the frame 30a through which the oscillation area 36 is penetrated, and cut portions 32a are respectively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ame 30a, respectively. The locking means protrude from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ends of the diaphragm 42b so as to correspond to the 32 and 32a, respectively, so that the diaphragm 42b rotates from the frame 30a when the frame 30a and the diaphragm 42b are assembled. Reduction to prevent dropping or concentricity caused by Engaging means for each cutting unit (32,32a) of the frame (30a) a diaphragm (42b) are configured to be each binder.

또한, 상기 진동판(42b)의 전후, 좌우 각 단부에 돌출 형성된 걸림수단의 경 우 도 4에 도시된 본 고안의 진동판(42a) 구조 중 양측단에 돌출 형성된 걸림턱(43)과 동일 구조로 형성된 사각 요철형태의 걸림턱(43a)으로 이루어져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locking means protruding i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ends of the diaphragm 42b of the diaphragm 42a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4 formed in the same structure as the locking jaw 43 protruding at both ends It consists of a latching jaw (43a) of the square irregularities.

이와 같이 상기 프레임(30a)의 전후 양측단과 좌우 양측단에 각기 형성된 컷팅부(32,32a)와 상기 진동판(42b)의 전후, 좌우 각 단부에 돌출 형성된 걸림수단인 걸림턱(43a)을 각각 대응 결착시킬 경우 도 5에 도시된 본 고안의 스피커 진동판 고정구조에 비해 상기 프레임(30a)에 대한 진동판(42b)의 유동이 거의 전무해지는 고정상태를 이루게 되고, 상기 프레임(30a)과 진동판(42b)의 동심도에서도 보다 정확한 상호간의 동심이 이루어지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cutting portions 32 and 32a respectively formed at the front and rear sides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ame 30a and the locking step 43a, which are the locking means protruding from each of the front and rear and left and right ends of the diaphragm 42b, respectively, correspond to each other. In the case of binding, the flow of the diaphragm 42b with respect to the frame 30a is almost absent in comparison with the speaker diaphragm fix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5, and the frame 30a and the diaphragm 42b. In the concentricity of, more accurate mutual concentricity is achieved.

또한, 상기 진동판(42b)의 걸림수단인 걸림턱(43a)에 의해 프레임(30a)으로부터 진동판(42b)의 접착면적을 최대화함으로써 진동시 프레임(30a)과 진동판(42b) 등 상호간의 접착 면적이 작아 발생될 수 있는 분할진동 역시 최소화시킬 수 있는 특징적 효과를 이룰 수 있다.In addition, by maximizing the adhesive area of the diaphragm 42b from the frame 30a by the locking jaw 43a, which is a locking means of the diaphragm 42b, the adhesion area between the frame 30a and the diaphragm 42b, etc., during vibration is increased. Small vibrations, which can be generated small, can also produce characteristic effects that can be minimized.

이하, 본 고안의 스피커 진동판 고정구조가 적용된 이동통신 단말기용 스피커의 작동과정을 도면과 대비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speaker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which the speaker diaphragm fix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스피커의 작용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7 show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a speaker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고안의 이동통신 단말기용 스피커가 조립된 상태에서 작동을 위한 전원이 상부케이스(46)와 결합되는 프레임(30) 하단 외주면의 일측에 설치된 PCB를 거쳐 상기 PCB와 연결된 보이스 코일 즉, 상기 진동판(42a) 하단에 권선 고정된 상태로 상호 이격된 요크(34)와 마그네트(38) 사이에 설치된 보이스 코일에 인가되 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이스 코일의 주변에 자기장이 형성되면서 플레밍의 왼손 법칙에 의해 전기적 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시켜 진동판(42a)을 가진시킴과 아울러, 상기 진동판(42a)의 가진에 의한 주위 공기를 진동시킴으로써 음압 즉, 호출음이 발생하게 된다.First, the voice coil connected to the PCB via a PCB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low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rame 30 coupled to the upper case 46 in the state that the speaker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sembled, that is, When applied to the voice coil provided between the yoke 34 and the magnet 38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state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diaphragm 42a, as shown in Figure 7, a magnetic field is formed around the voice coil By converting electrical energy into mechanical energy by the Fleming's left hand law, the vibration plate 42a is excited, and the sound pressure, that is, the ringing sound, is generated by vibrating the ambient air caused by the vibration of the vibration plate 42a.

그리고, 상기와 같이 진동판(42a)의 가진에 의해 발생된 호출음은 상기 좌우 양측에 관통 형성된 방음구(36)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부로 방출되면서 사용자로 하여금 방출되는 호출음을 통해 단말기의 수신상태를 인식할 수 있도록 알려주게 된다.Then, the ringing sound generated by the excitation of the diaphragm 42a as described abov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soundproof opening 36 formed through the left and right sides, the user's reception state through the ringing sound emitted by the user You will be informed to recognize this.

이상에서와 같이 상술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most preferr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an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

본 고안의 스피커 진동판 고정구조는, 상부케이스 및 프레임, 요크, 마그네트, 보이스코일, 진동판, 상부플레이트로 구성된 통상의 이동통신 단말기용 스피커 중 방음구를 구비하면서 양측단이 동일 길이로 컷팅된 프레임의 컷팅부와 상호 대응되도록 상기 진동판의 양측단에 걸림수단을 돌출 형성시켜 상기 프레임의 컷팅부에 진동판의 걸림수단이 각각 결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프레임과 진동판의 조립시 종래 프레임으로부터 진동판의 회전에 따른 쏠림이나 동심도 저하로 인해 파생되는 작업성의 번거로움을 간편하게 개선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전체적인 제조 불량률 을 크게 저하시킬 수 있도록 하는 등의 탁월한 효과가 있다.The speaker diaphragm fix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oundproof opening of a speaker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is composed of an upper case and a frame, a yoke, a magnet, a voice coil, a diaphragm, and an upper plate. The locking means protrudingly formed at both ends of the diaphragm so as to correspond to the cutting part is configured so that the locking means of the diaphragm is respectively coupled to the cutting part of the frame. In addition, the hassle of workability derived from concentricity can be easily improved, and further, the overall manufacturing defect rate can be greatly reduced.

또한, 상기와 같이 프레임의 양측단 컷팅부에 진동판의 걸림수단인 걸림턱을 결착시켜 상기 프레임 내에 진동판을 결합시킴으로써, 종래 편심된 프레임과 진동판과의 동심도를 맞추는 별도의 작업을 실행하지 않아도 바로 프레임과 진동판의 동심도가 일치하게 되는 등 작업자에 대한 조립 작업성이 매우 간편해지면서 이로 인한 작업시간 역시 크게 단축되어 생산성 향상에 크게 이바지할 수 있음은 물론, 제조 불량률 역시 저하되면서 이동통신 단말기용 스피커의 성능 향상으로 이어지도록 하는 등의 효과 역시 있다.In addition, by engaging the diaphragm in the frame by engaging the stopper of the diaphragm to the engaging means of the diaphragm in the cut portion on both sides of the frame as described above, the frame does not need to execute a separate operation to match the concentricity between the conventional eccentric frame and the diaphragm The assembly workability for the operator is very simple, such that the concentricity of the diaphragm and the diaphragm are matched, and the working time is also greatly reduced, which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of productivity. There are also effects such as leading to improvement.

그리고, 본 고안의 스피커 진동판 고정구조에 있어, 상기 프레임의 양측단 컷팅부와 함께 방음구가 형성된 프레임의 좌우 양측단에도 컷팅부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의 전후 양측단과 좌우 양측단에 형성된 컷팅부와 각기 대응되도록 진동판의 전후, 좌우 각 단부에 걸림수단을 돌출 형성시켜 상기 프레임의 각 컷팅부에 진동판의 걸림수단이 각각 결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프레임과 진동판의 결합과정에서 상기 프레임에 대한 진동판의 유동이 거의 전무해지는 고정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프레임과 진동판의 결합상태에서도 보다 정확한 상호간의 동심도를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등의 효과도 있다.In the speaker diaphragm fix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tting parts are formed at both the left and right both ends of the frame with sound insulation holes together with the both end cutting parts of the frame, and the cutting parts are formed at the front and rear sides and the left and right both ends of the frame. And protruding the locking means at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ends of the diaphragm so as to correspond to each other, so that the locking means of the diaphragm is engaged at each cutting portion of the frame, so that the flow of the diaphragm with respect to the frame during the coupling process of the frame and the diaphragm. It is possible to achieve a fixed state that almost disappears, as well as to achieve a more accurate concentricity between the frame and the diaphragm combined state.

이와 더불어, 상기와 같이 프레임의 전후 양측단과 좌우 양측단 컷팅부에 진동판의 전후, 좌우 각 단부에 돌출된 걸림수단인 걸림턱을 결착시켜 상기 프레임 내에 진동판을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진동판의 걸림수단인 걸림턱에 의해 프레임으로부터 진동판의 접착면적을 최대화하여 진동시 프레임과 진동판 등 상호간의 접착 면적이 작아 발생될 수 있는 분할진동 역시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 등도 있다.In addition, the engaging means of the diaphragm is engaged by engaging the diaphragm in the frame by engaging the engaging jaw protruding from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ends of the diaphragm, and engaging the diaphragm in the frame as described above. By maximizing the adhesion area of the diaphragm from the frame by the jaw, there is also an effect of minimizing the divided vibration that can be generated due to the small adhesion area between the frame and the diaphragm when vibrating.

Claims (3)

방음구를 구비하면서 양측단이 컷팅된 타원형태의 프레임 내에 요크, 마그네트, 상부플레이트, 보이스코일, 진동판이 설치 구성된 이동통신 단말기용 스피커에 있어서;In the speaker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with a soundproof opening, the yoke, the magnet, the upper plate, the voice coil, the diaphragm is installed in the frame of the oval shape cut at both ends; 상기 프레임과 진동판의 조립시 프레임으로부터 진동판의 회전에 따른 쏠림이나 동심도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프레임의 양측단 컷팅부와 대응되도록 진동판의 양측단에 걸림수단을 돌출 형성시켜 상기 프레임의 컷팅부에 진동판의 걸림수단이 각각 결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스피커의 진동판 고정구조.When assembling the frame and the diaphragm, protruding means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diaphragm so as to correspond to cuts at both ends of the frame to prevent dropping or concentricity due to rotation of the diaphragm from the frame. The diaphragm fixing structure of the speaker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means is configured to be bound respectively. 방음구를 구비하면서 전후 양측단이 컷팅된 타원형태의 프레임 내에 요크, 마그네트, 상부플레이트, 보이스코일, 진동판으로 구성된 이동통신 단말기용 스피커에 있어서;A speaker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yoke, a magnet, an upper plate, a voice coil, and a diaphragm in an elliptical frame having both sound insulation ports and front and rear ends cut therein; 상기 전후 양측단에 형성된 컷팅부와 함께 방음구가 관통 형성된 프레임의 좌우 양측단에 컷팅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전후 양측단과 좌우 양측단에 각기 형성된 컷팅부와 각각 대응되도록 진동판의 전후, 좌우 각 단부에 걸림수단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과 진동판의 조립시 프레임으로부터 진동판의 회전에 따른 쏠림이나 동심도 저하가 방지되도록 상기 프레임의 각 컷팅부에 진동판의 걸림수단이 각각 결착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스피커의 진동판 고정구조.Cutting parts are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both ends of the frame through which the soundproof opening is penetrated together with the cut parts formed on both front and rear sides, and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iaphragm so as to correspond to the cut parts respectively formed on both front and rear sides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ame, respectively. The locking means protrudes at each end, so that the locking means of the diaphragm is fixed to each cutting part of the frame so that the frame and the diaphragm are prevented from dropping or falling due to rotation of the diaphragm. Diaphragm fixing structure of speaker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은 사각 요철형태의 걸림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스피커의 진동판 고정구조.The diaphragm fixing structure of a speaker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locking means is a locking jaw having a square irregularities.
KR2020060009061U 2006-04-05 2006-04-05 The structure for fixing to speaker a diaphragm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42092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9061U KR200420925Y1 (en) 2006-04-05 2006-04-05 The structure for fixing to speaker a diaphragm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9061U KR200420925Y1 (en) 2006-04-05 2006-04-05 The structure for fixing to speaker a diaphragm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0925Y1 true KR200420925Y1 (en) 2006-07-06

Family

ID=41769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9061U KR200420925Y1 (en) 2006-04-05 2006-04-05 The structure for fixing to speaker a diaphragm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0925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1230B1 (en) 2006-05-10 2007-12-03 에스텍 주식회사 Speaker for wireless termina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1230B1 (en) 2006-05-10 2007-12-03 에스텍 주식회사 Speaker for wireless termin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74447B2 (en) Crossover double speaker
CN101984678B (en) Acoustical generator
CN111131977B (en) Loudspeaker
US10820113B2 (en) Speaker
CN213661928U (en) Sound production device
JP2003169119A (en) Speaker assembly for mobile phone
CN213426389U (en) Loudspeaker box and mobile terminal
US20200053443A1 (en) Speaker Assembly
CN104168527A (en) Miniature loudspeaker
KR20020003169A (en) Receiving unit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420925Y1 (en) The structure for fixing to speaker a diaphragm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413374B1 (en) Receiver United in Speaker
KR200221515Y1 (en) Structure of speaker and buzzer with multi function
CN213661929U (en) Sound production device
KR100418487B1 (en) Two channel integration and thin type speaker
KR100503011B1 (en) Small speaker
KR100503006B1 (en) Small speak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4581577A (en) Telephone receiver of simple structure
KR100401000B1 (en) Speaker United in Receiver
KR100685451B1 (en) Receiver unit for mobile phone
KR20040014645A (en) Two-way micro speaker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reasing vibratory force
KR200338060Y1 (en) structure of a multi function for piezo ceramic diaphragm which is combined voice coil
KR101389664B1 (en) High efficient miniature electro-acoustic transducer with side damping
CN212461132U (en) Sound production mechanism of loudspeaker and loudspeaker thereof
KR200333043Y1 (en) Vibration spea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2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