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0857Y1 - An apparatus for correcting a pitch - Google Patents

An apparatus for correcting a pitc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0857Y1
KR200420857Y1 KR2020060011090U KR20060011090U KR200420857Y1 KR 200420857 Y1 KR200420857 Y1 KR 200420857Y1 KR 2020060011090 U KR2020060011090 U KR 2020060011090U KR 20060011090 U KR20060011090 U KR 20060011090U KR 200420857 Y1 KR200420857 Y1 KR 2004208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frequency
unit
screen configuration
configur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1090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배석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스모바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스모바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스모바일
Priority to KR20200600110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0857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08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0857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08Speech classification or search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Speech or voice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6Transformation of speech into a non-audible representation, e.g. speech visualisation or speech processing for tactile aid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5/00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 G10L25/48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치 교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발성에 따른 음향 정보에 포함된 주파수를 분석하고 기준음과 비교하여 음정의 정확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악보상의 기준음에 대한 주파수 정보와 표시부에 표시될 화면 구성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 외부로부터 음향을 수집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음향 수집부; 상기 음향 수집부에서 수집된 음향의 주파수를 분석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기준음에 대한 주파수 정보와 높낮이를 비교하여 주파수 유사 정도를 백분율로 계산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화면 구성 정보를 로드하여 주파수 유사 정도와 함께 표시부로 전달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된 화면 구성 정보에 따라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correcting a sound, comprising: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 command of a user so as to analyze a frequency included in sound information according to a user's utterance and compare the reference sound with a reference sound; A storage unit for storing frequency information on the reference sound of the score and screen configuration information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 sound collector configured to collect sound from the outside and convert the sound into a digital signal; Analyze the frequency of the sound collected by the sound collector, compare the frequency information and the height of the reference sou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calculate the frequency similarity as a percentage, and load the screen configur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by frequency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user according to the screen configur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and a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to the display unit with a degree of similarity.

음정, 음치, 악보, 기준음, 절대음, 주파수 Pitch, pitch, score, reference, absolute, frequency

Description

음치 교정 장치{An apparatus for correcting a pitch}An apparatus for correcting a pitch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음치 교정 장치의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device for correcting a t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음치 교정 장치의 제1사용예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2 shows a first use example of the tone corr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음치 교정 장치의 제2사용예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3 shows a second use example of the tone corr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도3에서 각 기본음마다 할당된 고유 색상을 도시한 것이다.FIG. 4 shows the unique color assigned to each basic sound in FIG.

도5는 도3에서 사용자의 발성이 기본음과 일치하지 않았을 때의 화면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FIG. 5 illustrates a screen configuration when the user's voice does not match the basic sound in FIG. 3.

도6은 도5에서 사용자의 발성이 기본음과 일치했을 때의 화면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FIG. 6 illustrates a screen configuration when the user's voice coincides with the basic sound in FIG. 5.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음치 교정 장치 110: 음향 수집부100: tone correction device 110: sound collector

120: 제어부 130: 스피커부120: control unit 130: speaker unit

140: 저장부 150: 입력부140: storage unit 150: input unit

160: 표시부 190: 전원부160: display unit 190: power supply unit

본 고안은 음치 교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발성에 따른 음향 정보에 포함된 주파수를 분석하고 기준음과 비교하여 음정의 정확도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correcting sound pitch,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capable of checking the accuracy of a pitch by analyzing a frequency included in sound information according to a user's utterance and comparing it with a reference sound.

음악은 음의 높낮이와 관련된 음정, 음의 길이와 관련된 박자 및 음의 세기와 관련된 강약을 기본적으로 포함하고 있다.Music basically includes the pitch associated with the pitch, the beat associated with the length of the note, and the strength and weakness associated with the intensity of the note.

음치의 원인은 태어날 때부터 음감각이 다른 사람에 비해 둔한 선천적인 경우와, 음감각이나 음의 분별능력은 일반 사람들과 별차이가 나지 않지만, 노래에 대한 관심부족이나 음악을 접하지 않는 환경으로 인해 노래하는 요령을 알지 못하는 후천적인 경우가 있다. The cause of the sound level is that it is innate when the sense of sound is born compared to other people, and the sense of sound or discernment of the sound is not different from ordinary people, but there is a lack of interest in songs or music. There are cases when you don't know how to sing.

또한, 음의 높낮이나 음정, 강약, 박자 등을 뇌에서부터 인식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감각적인 음치와, 어떤 음정을 바로 인식은 했으나 호흡이나 잘못된 발성, 박자등으로 인해 음정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하는 운동적인 음치가 있다.In addition, it is a sensory tone that has difficulty in recognizing pitch, pitch, intensity, and beat from the brain, and a movement tone that does not properly express pitch due to breathing, wrong utterance, and beat. There is.

이와 같은 음치에 대한 치료 및 교정의 방법으로는, 음악학원의 노래 교실을 통한 방법이 가장 일반적이다. 음악학원에서는 발성트레이너, 음악치료사, 보컬트레이너 등의 전문가들의 진단과 훈련으로 음치 교정을 받을 수 있으며, 위의 경우 중 후천적인 경우나 운동적인 경우에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 될 수 있다.As a method of treatment and correction for such sound levels, the method through the music classroom of the music academy is most common. The music academy can be corrected by the diagnosis and training of experts such as vocal trainers, music therapists, vocal trainers, etc., and can be an effective treatment method in acquired or athletic cases.

그러나, 음치의 원인 중 선천적이거나 감각적인 음치인 경우, 소리의 3요소인 음량(loudness), 음색(timbre), 음고(pitch) 중 음량과 음색은 듣고 느끼는데 음고만은 정확히 듣고 느끼지 못한다. 이런 경우, 자신은 다른 사람들과 느끼는 것이 틀리다는 것을 전혀 인지하지 못하고, 타인들이 음치라고 지적하는 것으로 본인이 음치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However, in the case of innate or sensuous tone among the causes of the pitch, the volume and the tone of the three components of the loudness, timbre, and pitch are heard and felt, but the pitch is not heard and felt correctly. In this case, you don't realize that you feel wrong with other people, and most people think you're pitch by pointing out that it's pitch.

이러한 경우에도, 음악학원을 다니면 선천적이거나 감각적인 음치인 사람들도 음치를 벗어날 수는 있으나, 자신이 어떤 부분에서 다른 사람들과 다른지를 정확히 인지하지 못하면서 받는 훈련은 그 효율성이 크게 떨어지게 되어, 그 결과가 그리 성공적이지 못한 경우가 많다.Even in this case, people who are born or sensational music can escape the music by attending music academy, but the training that they receive without knowing exactly where they are different from others is very inefficient. Often not very successful.

또한, 음악학원에서 발성 트레이너 등의 교육을 통해 이루어지는 교정 방법은, 발성 트레이너와 직접 대면한 상태에서 장시간의 치료를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공간적, 시간적, 비용적 제약이 큰 문제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rrection method made through the education of the vocal trainer and the like in the music academy is performed through a long time treatment in the state directly facing the vocal trainer, there is a big problem of space, time, and cost.

본 고안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 사용자의 발성을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표시하여 줌으로써, 자신의 잘못된 발성을 시각적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음치 교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riv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according to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aims to provide a device for correcting sound pitch that can visually identify a wrong voice directly by analyzing and displaying the user's voice in real time. do.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시간적, 공간적 제약 없이 음정 연습을 수행할 수 있는 음치 교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vice for correcting a pitch that allows a user to perform pitch practice without time and space constraints.

전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실시형태에 따른 음치 교정 장치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악보상의 기준음에 대한 주파수 정보와 표 시부에 표시될 화면 구성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주파수 정보에 따라 상기 입력부의 조작에 의해 선택된 기준음을 음향 신호로 출력하는 스피커부; 외부로부터 음향을 입력 및 수집하는 음향 수집부; 상기 음향 수집부에서 수집된 음향의 주파수와, 상기 입력부에 의해 선택된 기준음에 대한 주파수를 비교하여 주파수 유사 정도를 계산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화면 구성 정보를 로드하여 상기 주파수 유사 정도와 함께 표시부로 전달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된 화면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주파수 유사 정도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음을 상기 표시부의 표시 화면에 악보 상의 음표로서 표시하는 한편, 상기 주파수 유사 정도를 분석하여 상기 음표와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device for correcting sound pitch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unit for receiving a user's command; A storage unit for storing frequency information on the reference sound of the score and screen configuration information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 speaker unit for outputting a reference sound selected by manipulation of the input unit according to the frequency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as an acoustic signal; A sound collector to input and collect sound from the outside; The frequency similarity is calculated by comparing the frequency of the sound collected by the sound collecting unit with the frequency of the reference sound selected by the input unit, and the display unit is loaded along with the frequency similarity by loading the screen configur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A control unit to transfer to the;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frequency similarity degree according to the screen configur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displays the reference sound as a musical note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display unit, and the frequency similarity degre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nd displayed along with the note.

여기서, 상기 음표와 함께 표시되는 상기 주파수 유사 정도는, 상기 음향 수집부에서 수집된 음향의 주파수와, 상기 입력부에 의해 선택된 기준음에 대한 주파수의 차이를 점수로 환산하여 표시한 것이거나, 상기 음향 수집부에서 수집된 음향의 주파수와, 상기 입력부에 의해 선택된 기준음에 대한 주파수의 차이를 상기 기준음의 주파수를 기준으로 한 오차율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frequency similarity displayed together with the note is obtained by convert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frequency of the sound collected by the sound collector and the frequency of the reference sound selected by the input unit into a score, or the sou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frequency of the sound collected by the collector and the reference sound selected by the input unit is preferably displayed as an error rate based on the frequency of the reference sound.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음치 교정 장치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악보상의 기준음에 대한 주파수 정보와 표시부에 표시될 화면 구성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주파수 정보에 따라 상기 입력부의 조작에 의해 선택된 기준음을 음향 신호로 출력하는 스피커부; 외부로부터 음향을 입력 및 수집하는 음향 수집부; 상기 음향 수집부에서 수집된 음향의 주파수와, 상기 입력부에 의해 선택된 기준음에 대한 주파수 정보를 비교하여 주파수 유사 정도를 계산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화면 구성 정보를 로드하여 상기 주파수 유사 정도와 함께 표시부로 전달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된 화면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주파수 유사 정도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소정 대역의 음정을 반음 간격으로 구분하는 한편 각 반음을 나타내는 표식을 음의 고저에 따라 기하학적 구조로 배열하고, 상기 음향 수집부에서 수집된 음향의 주파수를 분석하여 이를 상기 기하학적 구조의 대응하는 위치에 표시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one correc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unit for receiving a user's command; A storage unit for storing frequency information on the reference sound of the score and screen configuration information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 speaker unit for outputting a reference sound selected by manipulation of the input unit according to the frequency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as an acoustic signal; A sound collector to input and collect sound from the outside; Comparing the frequency of the sound collected by the sound collection unit with the frequency information on the reference sound selected by the input unit to calculate the frequency similarity, and load the screen configur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with the frequency similarity A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to the display unit;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frequency similarity according to the screen configur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ntroller, wherein the controller divides the pitch of a predetermined band into semitone intervals and displays a mark indicating each semitone according to the pitch of the notes. Arranged in a geometric structure, and characterized in that the frequency of the sound collected by the sound collector is analyzed and display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geometry.

여기서, 상기 기하학적 구조는 나선형 궤적이며, 각 반음을 나타내는 상기 표식에는 고유의 색상이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geometrical structure is a spiral trajectory, and it is preferable that a unique color is set in the sign indicating each semitone.

또한, 바람직하게는 연속하는 반음과 반음 사이의 공간은 상기 연속하는 반음과 반음 사이의 주파수에 따른 표시가 가능하도록 소정의 등분으로 더욱 세밀하게 구분되어 있다.Preferably, the space between the continuous halftones and the semitones is further divided into predetermined equal parts so that the display according to the frequency between the continuous halftones and the semitones is possible.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향 수집부에서 수집된 음향의 주파수가 상기 반음의 주파수와 일치하는 경우, 일치하는 반음을 나타내는 표식은 설정되어 있는 고유의 색상으로 발색되는 한편, 해당 반음의 알파벳 음이름이 표시되는 것이 좋다.More preferably, when the frequency of the sound collected by the sound collecting unit coincides with the frequency of the semitone, the marker indicating the matched semitone is colored in a unique color that is set, while the alphabetic note name of the semitone is It is good to be displayed.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가 기술된다.In the follow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set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se terms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producer producing the product, and the definition of th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장치의 구성)(Configuration of the device)

먼저 첨부된 도면 도1을 참조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음치 교정 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First,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ure 1 will be described the configuration of the device for correcting sound t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음치 교정 장치의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device for correcting a t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음치 교정 장치(100)는 음향 수집부(110), 제어부(120), 스피커부(130), 저장부(140), 입력부(150), 표시부(160) 및 전원부(19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tone value correc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a sound collector 110, a controller 120, a speaker 130, a storage 140, an input 150, and a display. And a power supply unit 190.

음향 수집부(110)는 외부로부터 음향을 수집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즉, 음향 수집부(110)는 사용자가 발성한 소리를 수집하는 마이크와 마이크에서 수집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기로 구성된다. 여기서 사용되는 마이크는 방향성 마이크인 것이 바람직하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방향성 마이크는 특정 방향으로부터의 음향만 수집하기 때문에, 주변의 잡음이 함께 수집될 가능성이 적어진다.The sound collector 110 collects sound from the outside and converts the sound into a digital signal. That is, the sound collector 110 is composed of a microphone for collecting the sound spoken by the user and an A-D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analog signal collected from the microphone into a digital signal. The microphone used here is preferably a directional microphone. As is well known, a directional microphone only collects sound from a particular direction, which reduces the likelihood that ambient noise will be collected together.

제어부(120)는 음향 수집부(110)에서 수집되고 변환된 음향의 주파수를 분석하여 저장부(140)에 저장된 악보상의 기준음과 어느 정도의 차이가 있는지를 백분율로 분석한다. 또한, 저장부(140)에 저장된 화면 구성 정보를 로드하여, 전술된 백분율 결과와 함께 표시부(160)로 전달하여 화면을 구성한다. 제어부(120)에 의해 구성되는 화면은 이후에 후술될 것이다.The controller 120 analyzes the frequency of the sound collected and converted by the sound collector 110 and analyz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sound of the music score stored in the storage 140 as a percentage. In addition, the screen configur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0 is loaded and transferred to the display unit 160 together with the above-described percentage result to configure the screen. The screen configured by the controller 120 will be described later.

스피커부(13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기준음을 음향 신호로 출력한다. 또한, 음치 교정 장치(100)의 동작 상태 등의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The speaker unit 130 outputs the reference sou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0 as an acoustic signal. In addition, an acoustic signal such as an operation state of the tone value correcting apparatus 100 may be output.

저장부(140)는 악보상의 기준음에 대한 주파수 정보와, 표시부(160)에 표시될 화면 구성 정보가 저장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음향 수집부(110)로부터 입력된 음향 정보가 저장될 수도 있다.The storage unit 140 stores frequency information on the reference sound of the score and screen configuration information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60. In addition, sound information input from the sound collector 110 may be stored as needed.

입력부(150)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다. 입력부(150)는 복수개의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다. 입력부(150)로 입력되는 사용자의 명령은, 전원 온/오프, 녹음, 재생, 연습하고자하는 음의 선택 등의 명령이 포함될 수 있다.The input unit 150 receives a user's command. The input unit 150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switches. The command of the user input to the input unit 150 may include commands such as power on / off, recording, playback, and selecting a sound to be practiced.

표시부(160)는 제어부(120)로부터 전달된 화면 구성 정보를 표시한다.The display unit 160 displays screen configur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ntroller 120.

전원부(190)는 각 구성 요소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power supply unit 190 supplies power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제1사용예)(First use example)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 도2를 참조로 본 실시예에 따른 음치 교정 장치의 제1사용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a first use example of the tone corr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도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음치 교정 장치의 제1사용예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2 shows a first use example of the tone corr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설명에 앞서, 본 제1사용예의 화면 구성에 필요한 데이터는 저장부(140)에 저장되어 있음에 유의한다.Before the description, it is noted that data necessary for the screen configuration of the first use example is stored in the storage 140.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제1사용예는 음치 교정 장치(100)를 사용하여 음치 교정 장치(100)가 제안한 음정을 연습하는 것을 설명한다.As shown in FIG. 2, this first use example describes the practice of the pitch proposed by the tone correction device 100 using the tone correction device 100.

도2에서, 참조부호 161은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사용자의 발성 주파수와 기준음 주파수의 차이를 점수로 환산하여 표시한 것이다.In FIG. 2, reference numeral 161 indicat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user's voice frequency and the reference sound frequency in terms of a score of 100 points.

참조부호 162는 사용자의 발성 주파수와 기준음 주파수의 차이를 기준음 주파수 기준으로 한 오차율로 표시한 것으로서, 'DLP 지수' 라고 한다.Reference numeral 162 denotes a difference between the user's voice frequency and the reference sound frequency as an error rate based on the reference sound frequency, and is referred to as a 'DLP index'.

이러한 DLP 지수를 산출하는 식은 이하와 같다.The formula for calculating such a DLP index is as follows.

Figure 112006028925589-utm00001
Figure 112006028925589-utm00001

한편, 참조부호 163은 사용자의 성별을 표시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reference numeral 163 indicates the gender of the user.

참조부호 164는 기준음의 제시 모드를 표시한 것이다. 예를 들면, 164에서 'Manual'은 사용자가 입력부(150)를 조작하여 기준음을 직접 선택하는 것이고, 'Scale'은 한 옥타브 내에서 13개의 기준음들이 1초 간격으로 순서대로 선택되는 것이고, 'Random'은 한 옥타브 내에서 13개의 기준음 중 어느 하나가 임의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Reference numeral 164 denotes a presentation mode of the reference sound. For example, at 164, 'Manual' means the user directly selects the reference sound by operating the input unit 150, and 'Scale' means that 13 reference sounds are sequentially selected in one-second intervals within one octave. 'Random' may be any one of 13 reference tones selected arbitrarily within one octave.

참조부호 165는 기준음이 제시되는 시간을 표시한 것이다.Reference numeral 165 denotes the time when the reference sound is presented.

참조부호 166은 반복 횟수를 표시한 것이다.Reference numeral 166 denotes the number of repetitions.

참조부호 167은 사용자의 발성 주파수 정확도를 표시한 것이다. 예를 들면, 167에서 ‘Excellent'는 참조부호 162에서 표시된 오차율이 ±1.09999% 이내인 경우를 의미하고, 'Flat'은 -1.10000 ~ -4.09999% 인 경우를 의미하고, 'Sharp'는 +1.10000 ~ +4.09999% 인 경우를 의미하고, 'Fail'은 ±4.10000% 이상인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Reference numeral 167 indicates the user's voice frequency accuracy. For example, at 167, 'Excellent' means when the error rate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162 is within ± 1.09999%, 'Flat' means when -1.10000 ~ -4.09999%, and 'Sharp' means +1.10000 ~ It may mean + 4.09999%, and 'Fail' may mean more than ± 4.10000%.

참조부호 168은 기준음의 악보상의 위치를 표시한 것이다.Reference numeral 168 denotes the position of the score of the reference sound.

사용자가 음치 교정 장치(100)를 사용하여 음정 연습을 하기 위하여는, 제1단계로, 입력부(150)를 조작하여 음치 교정 장치(100)의 전원을 켠다.In order for the user to practice pitch using the pitch correction apparatus 100, in operation 1, the input unit 150 is operated to turn on the pitch correction apparatus 100.

제2단계로, 사용자가 입력부(150)를 조작하여 성별을 선택한다. 성별로 'Male'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120)는 저장부(140)에서 음표 C3~C4가 로드되도록 하고, 'Female'이 선택된 경우 음표 C4~C5가 로드되도록 한다. 즉, 성별에 따라 발성가능한 대역폭이 다르기 때문에,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성별에 따라 연습 가능한 음역을 적절히 조절하게 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모든 음표의 주파수가 로드될 수도 있음에 유의한다. 본 설명에서는 'Male'이 선택된 것으로 가정한다.In a second step, a user manipulates the input unit 150 to select a gender. When 'Male' is selected as the gender, the controller 120 causes the notes C3 to C4 to be loaded from the storage 140, and when the 'Female' is selected, the notes C4 to C5 are loaded. That is, since the voiceable bandwidth varies depending on the gender, the controller 120 appropriately adjusts the range of exercises available according to the gender of the use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reto, and note that frequencies of all notes may be loaded as necessary. In this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Male' is selected.

제3단계, 사용자가 입력부(150)를 조작하여 모드를 선택한다. 본 설명에서는 'Manual'이 선택되고, 음표 C3가 선택된 것으로 가정한다.In a third step, the user operates the input unit 150 to select a mode. In this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Manual' is selected and the note C3 is selected.

제4단계, 사용자가 입력부(150)를 조작하여 기준음이 제시되는 시간을 선택한다. 본 설명에서는‘5’초가 선택된 것으로 가정한다.In a fourth step, the user manipulates the input unit 150 to select a time at which the reference sound is presented. In this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5' seconds are selected.

제5단계, 사용자가 입력부(150)를 조작하여 기준음이 반복되는 횟수를 선택한다. 본 설명에서는‘5’회가 선택된 것으로 가정한다.In a fifth step, the user manipulates the input unit 150 to select the number of times the reference sound is repeated. In this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5' times are selected.

제6단계, 사용자가 입력부(150)를 조작하여 기준음이 참조부호 ‘168’에 표시되도록 한다. 이에 의해 음표 C3가 참조부호‘168’의 악보상에 표시된다. 동시에 스피커부(130)를 통해 음표 C3에 해당하는 주파수(131Hz)가 재생된다. 이때 기준음의 재생 시간은 전술된 제4단계에서의 설정에 따라‘5’초 동안 재생된다.In a sixth step, the user manipulates the input unit 150 to display the reference sound at '168'. Thereby, the note C3 is displayed on the notation of the score "168". At the same time, a frequency (131 Hz) corresponding to the note C3 is reproduced through the speaker unit 130. At this time, the reproduction time of the reference sound is reproduced for '5' seconds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setting in the fourth step.

제7단계, 사용자가 음향 수집부(110)로 음표 C3에 해당하는 음을 발성한다.In a seventh step, the user speaks a sound corresponding to the note C3 to the sound collector 110.

제8단계, 음향 수집부(110)에서 수집된 사용자의 발성은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고, 제어부(120)에 의해 주파수가 분석된다. 본 설명에서는 분석된 주파수가 125.9827Hz인 것으로 가정한다.In an eighth step, the voice of the user collected by the sound collector 110 is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and the frequency is analyzed by the controller 120. In this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the analyzed frequency is 125.9827 Hz.

제9단계, 제어부(120)는 음표 C3에 해당하는 주파수 131Hz와 분석된 주파수 125.9827Hz의 차이를 기반으로 백점 만점 점수와 오차 비율을 계산하여 참조부호 161과 162에 표시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발성은 백점 만점 점수로‘62’점에 해당하고, 오차율은‘3.83%’임을 알 수 있다. 한편 오차율이 +1.10000 ~ +4.09999%의 범위 안에 있으므로, 참조부호 167에는 'Sharp'임이 표시될 것이다.In a ninth step, the control unit 120 calculates a perfect score and an error rate based on a difference between the frequency 131 Hz corresponding to the note C3 and the analyzed frequency 125.9827 Hz and displays the reference scores 161 and 162. As shown in FIG. 2, the user's utterance corresponds to '62' as a perfect score and an error rate of '3.83%'. On the other hand, since the error rate is in the range of +1.10000 to + 4.09999%, reference numeral 167 will indicate 'Sharp'.

제10단계, 전술된 제5단계에서 반복 횟수가‘5’회로 설정되었기 때문에, 제6단계~제9단계를 4회 더 반복한다. 반복된 결과는 참조부호 167에 누적되어 표시된다.Since the number of repetitions is set to '5' in the tenth and fifth steps, the sixth to ninth steps are repeated four more times. Repeated results are displayed cumulatively at 167.

제11단계, 사용자가 입력부(150)를 조작하여 결과를 저장한다. 필요에 따라 본 제11단계는 생략될 수도 있을 것이다.In an eleventh step, a user manipulates the input unit 150 to store a result. If necessary, the eleventh step may be omitted.

이상의 단계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의 발성의 정확도를 직접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다.Through the above steps, the user can directly check and manage the accuracy of his or her voice.

(제2사용예)(2nd use example)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 도3 내지 도6을 참조로 본 실시예에 따른 음치 교정 장치의 제2사용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ures 3 to 6 will be described a second use example of the tone corr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음치 교정 장치의 제2사용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4는 도3에서 각 기본음마다 할당된 고유 색상을 모두 도시한 것이며, 도5는 도3에서 사용자의 발성이 기본음과 일치하지 않았을 때의 화면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6은 도5에서 사용자의 발성이 기본음과 일치했을 때의 화면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Figure 3 shows a second use example of the tone corr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hows all the unique colors assigned to each basic sound in Figure 3, Figure 5 shows the user's FIG. 6 illustrates a screen configuration when the speech does not match the basic sound, and FIG. 6 illustrates a screen configuration when the user's speech matches the basic sound in FIG. 5.

설명에 앞서, 본 제2사용예의 화면 구성에 필요한 데이터는 저장부(140)에 저장되어 있음에 유의한다.Before the description, it is noted that data necessary for the screen configuration of the second use example is stored in the storage 140.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제2사용예는 음치 교정 장치(100)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연속적으로 음정을 이동시키면서 연습하는 것을 설명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second use example describes the user practicing while moving the pitch continuously by using the tone value correcting apparatus 100.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20)는 40개의 음표를 나타내는 구형 모양을 나선형 궤적으로 배열하는 화면 구성을 저장부(140)로부터 로드하여 표시부(160)로 전달한다. As shown in FIG. 3, the controller 120 loads a screen configuration for arranging a spherical shape representing 40 notes into a spiral trajectory from the storage 140 and transmits the screen configuration to the display 160.

이때, 각 구는 아래의 표1 에서와 같이 음표 F2~G#5 까지 총 40 개의 반음을 나타내며, 1~40 까지의 숫자가 할당된 구형 모양은 고유의 색상을 갖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각 구가 지니는 고유한 색상을 모두 나타낸 것이 도4 이다.At this time, each sphere represents a total of 40 semitones to the notes F2 ~ G # 5, as shown in Table 1 below, the spherical shape is assigned a number from 1 to 40 has a unique color. 4 shows all the unique colors of each sphere.

Figure 112006028925589-utm00002
Figure 112006028925589-utm00002

먼저, 사용자가 음치 교정 장치(100)를 사용하여 음정 연습을 하기 위하여, 제1단계로, 입력부(150)를 조작하여 음치 교정 장치(100)의 전원을 켠다.First, in order for a user to practice pitch using the tone correcting apparatus 100, in a first step, the input unit 150 is operated to turn on the power of the tone correcting apparatus 100.

제2단계로, 사용자가 입력부(150)를 조작하여 도3에 도시된 화면 구성을 갖는 연습 모드를 선택하게 된다.In a second step, the user manipulates the input unit 150 to select a practice mode having the screen configuration shown in FIG.

제3단계, 제어부(120)가 저장부(140)로부터 화면 구성에 필요한 데이터를 로드하여 표시부(160)로 전달한다. 이때의 상태가 도3에 도시된다.In a third step, the controller 120 loads data necessary for screen configuration from the storage 140 and transmits the data to the display unit 160. The state at this time is shown in FIG.

제4단계, 사용자가 음향 수집부(110)로 음을 발성한다.In a fourth step, the user speaks sound to the sound collector 110.

제5단계, 음향 수집부(110)에서 수집된 사용자의 발성은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고, 제어부(120)에 의해 주파수가 분석된다. 본 설명에서는 분석된 주파수가 B3와 C4 사이인 것으로 가정한다.In a fifth step, the voice of the user collected by the sound collector 110 is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and the frequency is analyzed by the controller 120. In this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the analyzed frequency is between B3 and C4.

제6단계, 제어부(120)는 분석된 주파수의 위치를 표시부(160)에 표시한다. 이때, 분석된 주파수는 음표 B3와 C4 사이의 주파수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발성한 음은 도5에서 B3과 C4 사이의 공간에 점(171)으로 표시된다. In a sixth step, the controller 120 displays the analyzed frequency position on the display unit 160. At this time, since the analyzed frequency is a frequency between the notes B3 and C4, the sound spoken by the user is indicated by a point 171 in the space between B3 and C4 in FIG.

한편, 이러한 반음과 반음 사이의 공간을 더욱 세밀하게 구분하는 것도 가능하며, 예를 들어 반음과 반음 사이를 4등분하여 분석된 주파수의 정도에 따라 해당 위치에 점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더욱 세밀한 미세음감 교정이 가능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t is also possible to further distinguish the space between the semitone and the semitone, for example, by dividing the quarter between the semitone and semitone can be displayed in the corresponding position according to the degree of the analyzed frequency. In this case, finer fine sound correction is possible.

제7단계, 사용자가 제6단계에서 표시된 화면을 보면서 발성 음을 조절한다.In step 7, the user adjusts the voice while looking at the screen displayed in step 6.

제8단계, 제7단계에서 조절된 음이 C4의 주파수와 일치하게 되면, 제어부(120)는 도5에서의 점(171)을 도6 에서와 같이 음표 C4에 할당된 점(172)으로 이동시키게 되며, 이와 동시에 해당 점은 도4에서 C4에 할당된 색상으로 발색되며 음표의 알파벳 음이름 'C4'가 표시된다. When the sound adjusted in the eighth and seventh steps coincides with the frequency of C4, the controller 120 moves the point 171 in FIG. 5 to the point 172 assigned to the note C4 as shown in FIG. At the same time, the dot is colored in the color assigned to C4 in FIG. 4 and the alphabetic note name 'C4' of the note is displayed.

이상과 같은 방법에 의해, 사용자는 현재 발성중인 음이 정확한 C4의 주파수임을 시각적으로 실시간 확인이 가능하다.By the above method, the user can visually confirm in real time that the sound being spoken is the frequency of the correct C4.

이상으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기술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은 전술된 실시예에만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첨부된 청구범위의 정신과 사상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에 유의해야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t is to be no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only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as necessary,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pirit and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전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사용자의 발성을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표시하여 줌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잘못된 발성을 시각적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어 빠른 음치 교정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또한 시간적, 공간적 제약 없이 음정 연습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nalyzing and displaying the user's voice in real time, the user can visually check his / her wrong voice directly, thereby obtaining the effect of fast tone correction, and also temporal and spatial constraints.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perform pitch exercises without it.

또한, 특정 음을 반복적으로 제시하여 사용자가 취약한 음을 반복 연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음정을 효율적으로 연습할 수 있다.In addition, by repeatedly presenting a specific note to enable the user to repeatedly practice a weak note,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practice the correct pitch.

Claims (6)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An input unit for receiving a command of a user; 악보상의 기준음에 대한 주파수 정보와 표시부에 표시될 화면 구성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A storage unit for storing frequency information on the reference sound of the score and screen configuration information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주파수 정보에 따라 상기 입력부의 조작에 의해 선택된 기준음을 음향 신호로 출력하는 스피커부;A speaker unit for outputting a reference sound selected by manipulation of the input unit according to the frequency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as an acoustic signal; 외부로부터 음향을 입력 및 수집하는 음향 수집부;A sound collector to input and collect sound from the outside; 상기 음향 수집부에서 수집된 음향의 주파수와, 상기 입력부에 의해 선택된 기준음에 대한 주파수를 비교하여 주파수 유사 정도를 계산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화면 구성 정보를 로드하여 상기 주파수 유사 정도와 함께 표시부로 전달하는 제어부; 및The frequency similarity is calculated by comparing the frequency of the sound collected by the sound collecting unit with the frequency of the reference sound selected by the input unit, and the display unit is loaded along with the frequency similarity by loading the screen configur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A control unit to transfer to the; And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된 화면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주파수 유사 정도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고,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frequency similarity degree according to the screen configur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ntroller.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음을 상기 표시부의 표시 화면에 악보 상의 음표로서 표시하는 한편, 상기 주파수 유사 정도를 분석하여 상기 음표와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치 교정 장치.And the control unit displays the reference sound as a note on a score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display unit, and analyzes and displays the frequency similarity with the note.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음표와 함께 표시되는 상기 주파수 유사 정도는, 상기 음향 수집부에서 수집된 음향의 주파수와, 상기 입력부에 의해 선택된 기준음에 대한 주파수의 차이를 점수로 환산하여 표시한 것이거나,The frequency similarity level displayed together with the note indicates a difference between the frequency of the sound collected by the sound collecting unit and the frequency of the reference sound selected by the input unit in terms of scores, or 상기 음향 수집부에서 수집된 음향의 주파수와, 상기 입력부에 의해 선택된 기준음에 대한 주파수의 차이를 상기 기준음의 주파수를 기준으로 한 오차율로 표시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치 교정 장치.And a frequency difference between the frequency of the sound collected by the sound collector and the reference sound selected by the input unit as an error rate based on the frequency of the reference sound.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An input unit for receiving a command of a user; 악보상의 기준음에 대한 주파수 정보와 표시부에 표시될 화면 구성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A storage unit for storing frequency information on the reference sound of the score and screen configuration information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주파수 정보에 따라 상기 입력부의 조작에 의해 선택된 기준음을 음향 신호로 출력하는 스피커부;A speaker unit for outputting a reference sound selected by manipulation of the input unit according to the frequency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as an acoustic signal; 외부로부터 음향을 입력 및 수집하는 음향 수집부;A sound collector to input and collect sound from the outside; 상기 음향 수집부에서 수집된 음향의 주파수와, 상기 입력부에 의해 선택된 기준음에 대한 주파수 정보를 비교하여 주파수 유사 정도를 계산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화면 구성 정보를 로드하여 상기 주파수 유사 정도와 함께 표시부로 전달하는 제어부; 및Comparing the frequency of the sound collected by the sound collection unit with the frequency information on the reference sound selected by the input unit to calculate the frequency similarity, and load the screen configur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with the frequency similarity A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to the display unit; And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된 화면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주파수 유사 정도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고,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frequency similarity degree according to the screen configur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ntroller. 상기 제어부는, 소정 대역의 음정을 반음 간격으로 구분하는 한편 각 반음을 나타내는 표식을 음의 고저에 따라 기하학적 구조로 배열하고, 상기 음향 수집부에 서 수집된 음향의 주파수를 분석하여 이를 상기 기하학적 구조의 대응하는 위치에 표시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치 교정 장치.The controller divides the pitch of a predetermined band into semitone intervals, arranges the markers representing the semitones in a geometric structure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sound, analyzes the frequencies of the sound collected by the sound collector, and analyzes the frequencies. Tone corr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play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기하학적 구조는 나선형 궤적이며, 각 반음을 나타내는 상기 표식에는 고유의 색상이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치 교정 장치.The geometrical structure is a spiral trajectory, and the tone corr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unique color is set in the marker representing each semitone.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연속하는 반음과 반음 사이의 공간은 상기 연속하는 반음과 반음 사이의 주파수에 따른 표시가 가능하도록 소정의 등분으로 더욱 세밀하게 구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치 교정 장치.And a space between successive halftones and semitones is further divided into predetermined equal parts to enable display according to the frequency between the continuous halftones and halftones.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음향 수집부에서 수집된 음향의 주파수가 상기 반음의 주파수와 일치하는 경우, 일치하는 반음을 나타내는 표식은 설정되어 있는 고유의 색상으로 발색되는 한편, 해당 반음의 알파벳 음이름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치 교정 장치.When the frequency of the sound collected by the sound collection unit coincides with the frequency of the semitone, the marker indicating the matched semitone is colored in a unique color that is set, and the alphabetic note name of the semitone is displayed. Tone correction device.
KR2020060011090U 2006-04-25 2006-04-25 An apparatus for correcting a pitch KR20042085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1090U KR200420857Y1 (en) 2006-04-25 2006-04-25 An apparatus for correcting a pitc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1090U KR200420857Y1 (en) 2006-04-25 2006-04-25 An apparatus for correcting a pitch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7133A Division KR100807821B1 (en) 2006-04-25 2006-04-25 An apparatus for correcting a pitch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0857Y1 true KR200420857Y1 (en) 2006-07-06

Family

ID=41769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1090U KR200420857Y1 (en) 2006-04-25 2006-04-25 An apparatus for correcting a pitc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0857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514866B (en) A kind of method and device of instrument playing scoring
CN112424802A (en) Musical instrument teaching system, use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WO2019176950A1 (en) Machine learning method, audio source separation apparatus, audio source separation method, electronic instrument and audio source separation model generation apparatus
KR20210070270A (e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WO2011000059A1 (en) Method of obtaining a user selection
CN110930815A (en) Intelligent instrumental music auxiliary learning device and using method thereof
KR100894866B1 (en) Piano tuturing system using finger-animation and Evaluation system using a sound frequency-waveform
KR100807821B1 (en) An apparatus for correcting a pitch
KR20120034486A (en) Keyboard apparatus for music lesson
JP5346114B1 (en) Educational device and method for music expression and music performance evaluation device
KR200420857Y1 (en) An apparatus for correcting a pitch
JP2007292979A (en) Device for supporting aphasia rehabilitation training
RU2389080C2 (en) Method of training singing voice, method of teaching resonance singing, method of determining ability of voice box to creating singing voice and device for teaching resonance singing and training singing voice
JP6150276B2 (en) Speech evaluation apparatus, speech evaluation method, and program
KR20130058384A (en) Portable drum playing system
JP2007304489A (en) Musical piece practice supporting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2017198922A (en) Karaoke device
US20230245586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singing teaching and/or vocal training lesson
KR102634347B1 (en) Apparatus for training and testing to cognitive function using user interaction
KR102559460B1 (en) Apparatus for improving auditory function using music-based multi-task training, singing training, and instrument discrimination training
KR101007038B1 (en) Electronical drum euipment
JP5733108B2 (en) Speech evaluation device, speech evaluation method, and speech evaluation program
KR101842282B1 (en) Guitar playing system, playing guitar and, method for displaying of guitar playing information
JP6429610B2 (en) Karaoke equipment
KR20130058385A (en) Portable keyboard play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