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0748Y1 - 크리스탈 장식용품 - Google Patents

크리스탈 장식용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0748Y1
KR200420748Y1 KR2020060011201U KR20060011201U KR200420748Y1 KR 200420748 Y1 KR200420748 Y1 KR 200420748Y1 KR 2020060011201 U KR2020060011201 U KR 2020060011201U KR 20060011201 U KR20060011201 U KR 20060011201U KR 200420748 Y1 KR200420748 Y1 KR 2004207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ystal
crystal member
decorative
shap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12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갈종익
정세영
Original Assignee
제갈종익
정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갈종익, 정세영 filed Critical 제갈종익
Priority to KR20200600112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07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07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074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2Frames or housings for storing medals, badg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8Applying ornamental structures, e.g. shaped bodies consisting of plastic material

Abstract

본 고안은 장식 부재를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2개의 크리스탈 부재 내에 위치시킴으로써 반영구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크리스탈 장식용품을 개시한다. 본 고안에 따른 크리스탈 장식용품은 일측부에 소정 체적의 요부가 형성된 제 1 크리스탈 부재; 제 1 크리스탈 부재에 접합되어 요부를 밀폐 공간으로 형성하는 제 2 크리스탈 부재; 및 요부 내에 수용된 장식 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크리스탈 부재와 제 2 크리스탈 부재는 다른 형상을 가지며, 그 접합면은 서로 대응시 완전 밀착되는 형상을 갖는다. 또한, 제 1 크리스탈 부재와 제 2 크리스탈 부재는 투명 접착제에 의하여 접합된다.
크리스탈 부재

Description

크리스탈 장식용품{Crystal decoration}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크리스탈 장식용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크리스탈 장식용품의 구성 부재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본 고안은 크리스탈 장식용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장식 부재를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2개의 크리스탈 부재 내에 위치시킴으로써 반영구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크리스탈 장식용품에 관한 것이다.
크리스탈은 반사율과 투명도가 매우 우수하고 경도가 높은 특성을 갖고 있다. 이러한 크리스탈은 표면 가공을 통하여 자체 형상을 다양하게 표현함으로써 그 자체를 장식용품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크리스탈의 표면에 여러 가지 색상의 도형 및 문자를 표현하거나, 사진 또는 다른 장신구를 부착시킴으로써 보다 다양한 형상의 장식용품을 구현하게 된다.
그러나, 위와 같이 크리스탈 표면에 인쇄된 도형 및 문자는 온도, 조명과 같 은 외부 조건에 의하여 쉽게 변색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크리스탈 표면에서 벗겨져 나갈 수 있다.
한편, 크리스탈에 부착된 사진 및 다른 장신구는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그 형태가 손상될 수 있으며 크리스탈에서 떨어져 나가 장신구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다.
본 고안은 크리스탈을 이용한 장식용품에서 발생하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장식 부재를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2개의 크리스탈 부재 내에 위치시킴으로써 반영구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크리스탈 장식용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크리스탈 장식용품은 일측부에 소정 체적의 요부가 형성된 제 1 크리스탈 부재; 제 1 크리스탈 부재에 접합되어 요부를 밀폐 공간으로 형성하는 제 2 크리스탈 부재; 및 요부 내에 수용된 장식 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크리스탈 부재와 제 2 크리스탈 부재는 다른 형상을 가지며, 그 접합면은 서로 대응시 완전 밀착되는 형상을 갖는다. 또한, 제 1 크리스탈 부재와 제 2 크리스탈 부재는 투명 접착제에 의하여 접합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크리스탈 장식용품의 사시도 및 분리 사시도로서, 본 고안에 따른 크리스탈 장식용품을 구성하는 부재들을 도시하고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크리스탈 장식용품은 제 1 크리스탈 부재(10), 제 2 크리스탈 부재(20) 및 장식 부재(30)를 포함한다. 제 1 크리스탈 부재(10)와 제 2 크리스탈 부재(20)는 소정 두께를 가지며, 그 형상은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 1 크리스탈 부재(10)와 제 2 크리스탈 부재(20)는 전체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으며, 또는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서로 대응하는 면은 서로 접합하는 경우에 완전 밀착되는 형상을 갖는다.
즉, 제 1 크리스탈 부재(10)와 제 2 크리스탈 부재(20)의 접합면은 동일한 면적을 갖는 평면부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 2 크리스탈 부재(20)와 대응하는 제 1 크리스탈 부재(10)의 일측부에는 소정 체적의 요부(11)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크리스탈 부재(20)에 제 1 크리스탈 부재(10)를 부착할 경우, 이 요부(11)는 완전히 밀폐된 공간부를 형성한다.
장식 부재(30)는 제 1 크리스탈 부재(10)에 형성된 요부(11) 내에 위치한다. 이 요부(11) 내에 수용될 정도의 규격을 갖는다는 조건을 만족한다면, 장식 부재(30)의 형상은 제한되지 않는다. 즉, 장식 부재(30)의 외관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모든 표면에는 다양한 색상 및 문양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크리스탈 장식용품의 조립 과정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일정 형상을 갖고 표면에 장식 문양이 형성된 장식 부재(30)를 제 1 크리스탈 부재(10)에 형성된 요부(11) 내에 위치시킨다. 이 상태에서, 제 1 크리스탈 부재(10)와 제 2 크리스탈 부재(20)의 대응면에 투명 재료의 접착제를 도포한 후, 제 1 크리스탈 부재(10)와 제 2 크리스탈 부재(20)를 서로 접합시킨다.
따라서, 제 1 크리스탈 부재(10)에 형성된 요부(11)는 제 2 크리스탈 부재(20)에 의하여 완전히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며, 따라서, 접합된 제 1 크리스탈 부재(10)와 제 2 크리스탈 부재(20) 내의 공간에 장식 부재(30)가 수용된다.
이 장식 부재(30)는 서로 접합된 투명한 제 1 크리스탈 부재(10) 및 제 2 크리스탈 부재(20)를 통하여 외부에서 관측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크리스탈 장식 용품의 사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투명 재료의 접착제에 의하여 제 1 크리스탈 부재(10)와 제 2 크리스탈 부재(20)가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투명한 제 1 크리스탈 부재(10)와 제 2 크리스탈 부재(20) 사이에 존재하는 공간 내에 위치한 장식 부재(30)를 전후, 좌우 어느 위치에서도 관찰할 수 있다. 따라서, 장식 용품의 기능을 최대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장식 부재(30)는 양 크리스탈 부재(10 및 20)에 의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변형되거나 손상되지 않으며, 크리스탈 부재의 물리적인 특성에 따라 반 영구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장식 부재(30)의 형상 및 문양을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어 특정한 용도, 예를 들어 장식 부재(30)에 회사의 로고를 표시하고 양 크리스탈 부재(10 및 20) 표면에 다양한 문자를 표기함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크리스탈 장식 용품을 기업의 판촉물로 이용할 수 있다.
이 밖에, 조명 기구를 사용할 경우, 보다 다양한 시각 효과 및 실내 장식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고안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제 1 크리스탈 부재에 형성된 요부는 원통형, 육면체형, 또는 구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Claims (4)

  1. 일측부에 소정 체적의 요부가 형성된 제 1 크리스탈 부재;
    제 1 크리스탈 부재에 접합되어 요부를 밀폐 공간으로 형성하는 제 2 크리스탈 부재; 및
    요부 내에 수용된 장식 부재를 포함하는 크리스탈 장식용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크리스탈 부재와 제 2 크리스탈 부재는 다른 형상을 가지며, 그 접합면은 서로 대응시 완전 밀착되는 형상을 갖는 크리스탈 장식용품.
  3.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크리스탈 부재와 제 2 크리스탈 부재는 투명 재료의 접착제에 의하여 접합되는 크리스탈 장식용품.
  4. 제 1 항에 있어서, 요부는 원통 형상, 육면체 형상, 구(球)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는 크리스탈 장식용품.
KR2020060011201U 2006-04-26 2006-04-26 크리스탈 장식용품 KR2004207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1201U KR200420748Y1 (ko) 2006-04-26 2006-04-26 크리스탈 장식용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1201U KR200420748Y1 (ko) 2006-04-26 2006-04-26 크리스탈 장식용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0748Y1 true KR200420748Y1 (ko) 2006-07-05

Family

ID=41769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1201U KR200420748Y1 (ko) 2006-04-26 2006-04-26 크리스탈 장식용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074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4175B1 (ko) * 2007-01-10 2008-02-18 염상익 액자 기능을 갖는 투명체 장식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4175B1 (ko) * 2007-01-10 2008-02-18 염상익 액자 기능을 갖는 투명체 장식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908653S1 (en) LED display module for a gaming display
USD512938S1 (en) Decorative amphora-like object
USD574293S1 (en) Inscribed pyramid ornament
KR200387670Y1 (ko) 손발톱장식용 입체성스티커
US20120217257A1 (en) Sleeve structure for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CA114023S (en) Electronic thermometer
KR200420748Y1 (ko) 크리스탈 장식용품
USD500345S1 (en) Symbol display for a gaming device
USD550580S1 (en) Bracelet
US6434873B1 (en) Ornamental display for achievement awards
USD550290S1 (en) In-store advertising display
KR200319385Y1 (ko) 크리스탈 장식용 부재
USD614077S1 (en) Package, jewelry item, teaching aid, game piece or promotional item
KR200409878Y1 (ko) 장식품
KR200251816Y1 (ko) 장식 순금판
JP3200599U (ja) 装飾体
CN210235738U (zh) 具有镶嵌式装饰卡扣的包装盒
JP3656753B2 (ja) 装飾品ホルダー
KR200317765Y1 (ko) 액세서리 스티커
USD424959S (en) Electronically detectable tag with clamp and clutch locking mechanism
KR200289752Y1 (ko) 장식용 판재
JPH0219280Y2 (ko)
KR200270586Y1 (ko) 목재 박판을 이용한 장신구
TWI573583B (zh) Bone Gardening Tableware Group Structure
TWM606775U (zh) 飾品結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2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