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0547Y1 - Double floor type inducing waterproof system and green roof structure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Double floor type inducing waterproof system and green roof structure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0547Y1
KR200420547Y1 KR2020060009835U KR20060009835U KR200420547Y1 KR 200420547 Y1 KR200420547 Y1 KR 200420547Y1 KR 2020060009835 U KR2020060009835 U KR 2020060009835U KR 20060009835 U KR20060009835 U KR 20060009835U KR 200420547 Y1 KR200420547 Y1 KR 2004205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ftop
panel
double
floor
waterproof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983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홍채호
Original Assignee
홍채호
건융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채호, 건융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홍채호
Priority to KR20200600098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0547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05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0547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05Supports for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02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at least one of the layers permitting turfing of the roof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77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 E04F15/02183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for outdoor use, e.g. in decks, patios, terraces, veranda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54Roof garden systems; Roof coverings with high solar reflectan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32Roof garde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옥상 녹화 구조는, 옥상에 이중 바닥 구조물을 설치하여 종래와 같이 옥상 슬래브 바닥으로 침투하려는 물을 강제적으로 막아내는 방식이 아닌, 물을 옥상 드레인 홀 쪽으로 자연스럽게 유도하여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방수 시설 공사의 공정을 단순화함과 동시에 공사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고, 특히 방수층의 하자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보다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옥상 방수를 실현할 수 있고, 이중 바닥 구조물 위에 옥상 녹화 시설을 설치하는 경우에도 우수한 방수 성능을 유지함과 아울러 완벽한 방근 구조를 갖게 되고, 저수, 배수 및 세립토 여과 기능 등이 전체적으로 향상되어 보다 양호한 식생 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며, 시공 후에는 이중 바닥 구조물의 내부 공간을 이용하여 유지 보수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하여 반영구적인 유지보수를 가능케 할 뿐만 아니라 방수층의 내구연한을 증가시키고, 옥상 녹화에 최적의 유리한 조건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Induction waterproof system of rooftop double bottom method and rooftop greening structure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a method of forcibly blocking the water to penetrate the rooftop slab floor by installing a double floor structure on the rooftop, but water rooftop Since it is configured to discharge it naturally to the drain hole, it can simplify the process of waterproofing facility construction and at the same time greatly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Especially, it prevents the occurrence of defects of the waterproofing layer at the source, thereby providing more efficient and economical roof waterproofing. It can be realized, and even if the rooftop greening facility is installed on the double floor structure, it has excellent waterproofing performance and has a perfect waterproof structure, and overall improvement of water storage, drainage, and fine grain filtration function can provide a better vegetation environment. After construction, double floor structure By using the internal space of the maintenance, it is possible not only to make semi-permanent maintenance, but also to increase the durability of the waterproof layer and to secure the optimum conditions for roofing greening.

Description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옥상 녹화 구조{Double floor type inducing waterproof system and green roof structure using the same}Double floor type inducing waterproof system and green roof structure using the same}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시스템이 도시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1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a double bottom induction waterproof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A-A 선 방향의 단면도이다.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1.

도 3은 도 2의 "B" 부분의 상세도이다.3 is a detail view of portion “B” of FIG. 2.

도 4는 도 3의 주요부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ssential part of FIG. 3.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옥상의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시스템을 이용한 옥상 녹화 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rooftop greening structure using a rooftop double bottom induction waterproofing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옥상의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시스템이 도시된 도 1의 A-A 선 방향의 단면도이다.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showing a rooftop double bottom induction waterproof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6의 "C" 부분의 상세도이다.FIG. 7 is a detail view of portion “C” of FIG. 6.

도 8은 도 7의 주요부 사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ssential part of FIG. 7.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난간 12 : 드레인 홀 10: handrail 12: drain hole

15 : 방수층 20 : 이중 바닥 구조물 15: waterproof layer 20: double floor structure

21 : 상부 패널 22 : 평면부 21: upper panel 22: flat portion

23 : 저수홈부 24 : 배수부 23: reservoir groove 24: drain

25 : 플랜지부 25a : 연장부 25 flange portion 25a extension portion

25b : 결합부 25c : 배수홀 25b: coupling portion 25c: drain hole

26 : 리브 27 : 지지대 조립부 26: rib 27: support assembly

28 : 통기관 삽입홀 30 : 지지부재 28: vent insertion hole 30: support member

31 : 상부봉 32 : 결합부 31: upper rod 32: coupling portion

33, 34 : 유로 지지부 35 : 하부봉 33, 34: flow path support part 35: lower rod

36 : 받침대 37 : 높이 조절부 36: base 37: height adjustment

40 : 배수 유로 41 : 단거리 배수 유로 40: drainage flow path 41: short-range drainage flow path

45 : 장거리 배수 유로 50 : 조인트 부재 45: long distance drain flow path 50: joint member

55 : 스크린 부재 60 : 측면 패널 55 screen member 60 side panel

70 : 녹화 시설 71 : 토양층 70: planting 71: soil layer

72 : 식생층 72: vegetation layer

본 고안은 건물 옥상의 방수 및 옥상 녹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옥 상에 상부 패널 등을 이용한 이중 바닥 구조물을 설치하여 옥상 방수를 실현함과 아울러, 이중 바닥 구조물의 상부에 옥상 녹화도 실현할 수 있도록 한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옥상 녹화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waterproofing and roofing greening system on the roof of a building, and in particular, to provide rooftop waterproofing by installing a double-floor structure using a top panel on the roof, and to realize rooftop greening on the top of the double-floor structur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oftop induction waterproofing system using a rooftop and a rooftop greening structure using the same.

일반적으로 건물 옥상은 외부에 직접 노출된 부분으로, 단열 및 방수를 위하여 단열재와 방수재가 각각 설치되고 있다. 아울러, 최근에는 도시 생태계와 도시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옥상 녹화도 중요한 사항으로 부각되고 있다.In general, the roof of the building is directly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insulation and the waterproofing material are installed for the insulation and the waterproofing, respectively. In recent years, roof greening is also an important issue for improving urban ecosystem and urban environment.

먼저 종래 건물 옥상의 방수 문제에 대하여 살펴본다.First, the problem of waterproofing on the roof of a conventional building will be described.

건물 옥상의 방수 공법으로는 ①아스팔트 방수공법, ②시트 방수공법, ③도막 방수공법, ④복합 방수 공법 등이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그 종류는 아래의 표 1과 같이 다양하다.As waterproofing method on the roof of the building, ① asphalt waterproofing method, ② sheet waterproofing method, ③ coating waterproofing method, ④ complex waterproofing method, etc. are widely used, and the types thereof are various as shown in Table 1 below.

이와 같이 종래의 옥상 방수 공법은 시트 또는 도막재 등을 옥상 바닥에 밀착시켜 시공하는 공법인 바, 옥상 바닥에 새로운 층을 형성하여 옥상 바닥으로 물이 침투하는 것을 막는 종래의 방수 공법은 옥상 바닥면의 균열 특성과 방수자재 자체의 내구성 한계 때문에 보다 효과적인 방수를 실현하는 데는 많은 어려움을 주고 있는 실정이다.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roof waterproofing method is a method in which a sheet or a coating material is closely adhered to a rooftop floor. Thus, a conventional waterproofing method of forming a new layer on the rooftop floor to prevent water from penetrating into the rooftop floor is performed. Due to the cracking properties and the durability limitations of the waterproofing material itself, it is difficult to realize more effective waterproofing.

즉, 상기와 같은 옥상 바닥 밀착형 방수 공법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방수층의 노후 현상에 의한 방수효과가 현저히 떨어지고, 또한 시트 등을 이용하여 방수를 하는 경우 시트가 떨어져 나가게 되어(박리 및 탈락) 부분적으로 누수현상이 발생되며, 옥상의 슬래브 콘크리트가 진동이나 온도변화 등에 따른 수축팽창 거동을 하는 경우 및 각종 균열이 발생되는 경우 등에 의하여 방수의 효과는 현저하게 떨 어지는 문제가 발생된다.In other words, the rooftop close-up waterproofing method as described above, the waterproofing effect due to the aging phenomenon of the waterproofing layer is remarkably degraded over time, and when the waterproofing using the sheet, etc., the sheet will fall off (peel and drop) Particularly, water leakage occurs, and the roofing slab concrete exhibits a problem in that the waterproofing effect is remarkably reduced due to shrinkage expansion behavior due to vibration or temperature change, and various cracks.

[표 1]TABLE 1

Figure 112006025492899-utm00001
Figure 112006025492899-utm00001

아울러, 상기와 같은 방수 공법에 의하여 어느 정도 완벽하게 방수 시공을 하였다 하더라도, 방수 시공 후에 약 3년 내지 4년 정도 지나게 되면, 부분적으로 다시 방수 시공을 하여야 하고, 이러한 보수 공사에 의해서도 누수 되는 부분을 완전하게 방수 처리를 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문제가 발생된다.In addition, even if the waterproof construction to a certain degree by the waterproof method as described above, after about 3 to 4 years after the waterproof construction, the waterproof construction must be partially again, and the parts leaked by such repair work It is almost impossible to completely waterproof.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 옥상 바닥 밀착형 방수 공법은 대체로 방수층을 보호하기 위해 보호 몰탈과 보호 콘크리트 등을 반드시 시공해야 하므로 공기가 연장되고, 공사비용이 증가하는 문제도 발생된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roof-floor close contact waterproofing method as described above generally requires the construction of a protective mortar and protective concrete to protect the waterproof layer, so that the air is extended and construction costs also increase.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 옥상 바닥 밀착형 방수 공법은, 이중, 삼중으로 분리된 시공을 하고 또는 방수층의 이음부위와 얇은 도막으로 인하여 구조물 본체와 보호층의 균열로 인한 방수층의 파열 및 들뜸 현상이 발생되고 있으며, 누수 하자가 발생되는 경우에도 방수층을 보호하기 위해 상부에 포설된 보호 몰탈이나 보호 콘크리트로 인하여 누수 부위를 파악하기가 어려운 문제도 발생되고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roof-floor close contact waterproofing method as described above, due to the double or triple separated construction or the joint of the waterproofing layer and the thin coating film due to the cracks of the structure body and the protective layer is generated rupture and lifting phenomenon In addition, even when a leakage defect occurs, it is difficult to identify a leaking part due to protective mortar or protective concrete installed on the upper part to protect the waterproof layer.

다음, 옥상 녹화에 대하여 살펴보면, 옥상녹화는 환경적 측면과 경제적 측면 등에서 여러 가지 이점이 있는 관계로 지속적으로 권장되고 있음은 물론 일정 규모 이상의 건축물에서는 의무적으로 옥상 녹화 시설을 갖추어야 하는 실정이다.Next, as for the rooftop greening, the rooftop greening is continuously recommended due to its various advantages in terms of environmental and economical aspects, and it is mandatory to have a rooftop greening facility for buildings of a certain size or larger.

이와 같은 옥상녹화는 토양생태계의 복원, 냉난방 에너지 절약 효과, 도시 열섬화 현상 완화, 도시 홍수 예방, 공기 정화, 수질 정화, 소음 경감 효과, 도시 경관 향상, 건축물의 내구성 향상 등의 이점을 제공하고 있다.Such rooftop greening provides benefits such as restoration of soil ecosystem, energy saving of heating and cooling, reduction of urban heat island phenomenon, prevention of urban flooding, air purification, water purification, noise reduction effect, improvement of urban landscape, and improvement of durability of buildings.

그러나 이러한 옥상녹화의 이점에도 불구하고 옥상녹화가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는 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그 중에서도 방수층의 하자와 높은 시공비용 및 유지보수의 어려움이 주요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However, despite the advantages of roof greening, roof roofing may not be activated for a variety of reasons. Among them, defects in the waterproofing layer, high construction cost, and difficulty in maintenance may be the main reasons.

옥상 녹화의 내구성은 방수층과 방근층이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되는 데, 이는 녹화 공간에 항상 습기가 있고, 시비나 방제 등의 식재 관리가 이루어지므로 미생물이나 화학물질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옥상 녹화 특유의 안전한 방수층을 형성하여야 하고, 식재 플랜의 특성을 고려하여 식물 뿌리로부터 방수층 및 건물을 보호하는 방근층이 중요한 문제로 대두된다.The durability of roofing greening is the most important effect of waterproofing layer and waterproofing layer, which is always moist in the greening space, and planting management such as fertilization and control is done so that it is not affected by microorganisms or chemicals. It is important to form a safe waterproof layer, an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nting plan, a barrier layer that protects the waterproof layer and the building from plant roots is an important problem.

방수층의 하자가 발생하게 되면, 토양층과 식생층을 모조리 걷어내고 방수공사를 다시 하는 것 이외에는 별다른 방법이 없고, 아무리 완벽한 방수 공법이라 해도 통상 4년 ~ 5년 정도의 내구연한이 있기 마련이므로, 식재층이 충분히 형성되고, 조경의 꽃과 열매가 제자리를 잡고 미관이 수려해질 무렵이면 최하부의 방수층에 문제가 발생하게 되어 다수 걷어내고 보수 시공을 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되는 것이다.If a fault occurs in the waterproofing layer, there is no other method than removing the soil layer and vegetation layer and re-waterproofing, and no matter how perfect the waterproofing method is, there are usually four to five years of durability. When the layers are sufficiently formed, the flowers and fruits of the landscape are in place and the beauty of the beauty is beautiful, the bottom of the waterproof layer will have a problem that must be removed and repaired a lot.

또한 방근층에 문제가 발생하게 되면, 식물의 뿌리에 의해 방수층이 손상되고, 옥상 바닥에 균열이 발생하는 등 옥상 방수와 바닥 구조물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In addition, when a problem occurs in the rooting layer, the waterproofing layer is damaged by the roots of the plant, and cracks are generated on the rooftop floor, which seriously affects the rooftop waterproofing and the floor structure.

아울러, 옥상 녹화 시설을 갖추는 경우에 옥상 바닥에 우수한 방수 성능을 가진 방수 소재를 사용하고, 그 위에 폴리에틸렌폼 시트와 폴리에티렌 비닐 등의 소재로 방근층을 구성하여야 하므로 그만큼 옥상 녹화 시설을 위한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In addition, if a rooftop greening facility is used, a waterproofing material having excellent waterproofing performance must be used on the rooftop floor, and a rainproof layer must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polyethylene foam sheet and polystyrene vinyl on the rooftop. This takes much trouble.

결국, 상기와 같이 옥상 녹화를 실현하는 경우나, 옥상 녹화를 실현하지 않더라도 옥상 방수는 건축물에 있어서 상당할 정도로 중요한 시공 요소 중에 하나인 바, 종래와 같이 단순히 옥상 바닥에 방수층을 밀착 설치하여 옥상 바닥에 침투하 는 물을 막아내는 방법으로는 보다 완벽하고 효율적인 방수를 실현하는 데 한계가 발생하고 있고, 특히 옥상 녹화 시설을 설치한 경우에는 위와 같은 문제 발생이 더욱 커지게 된다.As a result, even if the rooftop greening or the rooftop greening is not realized as described above, the rooftop waterproofing is one of the significant construction elements in the building. As in the related art, the waterproofing layer is simply adhered to the rooftop floor and the rooftop floor is installed. As a method of preventing the water penetrating into the water, there is a limit in realizing a more perfect and efficient waterproofing, especially in the case of the installation of a rooftop greening facility, the problem occurs more.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옥상에 이중 바닥 구조물을 설치하여 종래와 같이 옥상 슬래브 바닥으로 떨어진 강우 및 강설에 따른 물을 강제적이고 인위적으로 막아내는 방식이 아닌, 물을 드레인 홀 쪽으로 자연스럽게 유도하여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방수층의 하자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보다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옥상 방수를 실현할 수 있는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installing a double-floor structure on the roof to drain the water, not a method of forcibly and artificially preventing water caused by rainfall and snowfall falling to the rooftop slab floor as in the prior ar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ooftop double-floor induction waterproofing system that can realize a more efficient and economical rooftop waterproofing by fundamentally preventing defects in the waterproofing layer by naturally inducing and discharging toward the hall.

또한 본 고안은 옥상 녹화 시설을 설치하는 경우에도 우수한 방수 성능을 유지함과 아울러 완벽한 방근 구조를 갖고, 저수, 배수 및 세립토 여과 기능 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양호한 녹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시스템을 이용한 옥상 녹화 구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intains excellent waterproofing performance even when a rooftop greening facility is installed, has a perfect waterproof structure, and improves water storage, drainage, and fine-grained filtration, thereby providing a better roofing environmen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oftop greening structure using a floor type induction waterproofing system.

또한 본 고안은 옥상 방수는 물론, 옥상 녹화 시설의 시공비를 크게 절감함과 아울러, 시공 후에는 이중 바닥 구조물의 내부 공간을 이용하여 유지 보수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하여 반영구적인 유지보수를 가능케 할 뿐만 아니라 방수층의 내구연한을 증가시키고, 옥상 녹화에 최적의 유리한 조건을 확보할 수 있는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옥상 녹화 구조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makes the waterproofing of the rooftop, but also greatly reduces the construction cost of the roofing planting facility, and also enables semi-permanent maintenance by allowing the maintenance to be performed by using the internal space of the double floor structure after construc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duction waterproof system of a rooftop double bottom method and a rooftop greening structure using the same, which can increase the durability of the waterproofing layer and secure an optimum condition for rooftop greening.

또한 본 고안은 이중바닥구조물의 내부 공간에 단열재를 설치할 경우에 방수, 단열, 옥상녹화 등을 동시에 모두 충족시킬 수 있는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옥상 녹화 구조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ooftop double-floored induction waterproofing system and a rooftop greening structure using the same that can satisfy both waterproofing, thermal insulation, and roofing at the same time when the insulation is installed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double-floor structure. There is a purpose.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시스템은, 옥상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부 패널과; 상기 상부 패널을 옥상 바닥에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상부 패널과 옥상 바닥 사이의 공간에 위치되어 상기 상부 패널에서 떨어지는 물을 상기 상부 패널의 하부 공간 밖으로 배수하는 배수 유로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a rooftop double bottom type induction waterproof system, comprising: at least one top panel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a rooftop floor; A support member supporting the upper panel on a rooftop floor; And a drain flow channel located in a space between the upper panel and the rooftop to drain water falling from the upper panel out of the lower space of the upper panel.

여기서 상기 복수의 상부 패널은 각 패널과 패널 사이에 일정 틈새를 갖는 매트릭스 구조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plurality of upper panels is preferably arranged in a matrix structure having a predetermined gap between each panel and the panel.

상기 상부 패널은 그 상면에 저수 기능을 갖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수홈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upper panel is preferably formed with at least one or more reservoir grooves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to have a reservoir function.

상기 상부 패널의 테두리 부분은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다른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배수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dge portion of the upper panel is preferably formed with a relatively lower drain than the other portion to achieve a smooth drain.

상기 상부 패널은 그 외측 둘레면에 인접한 상부 패널과 상호 맞대어지는 플랜지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top panel is provided with a flange portion that abuts against the top panel adjacent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상기 복수의 상부 패널은 인접한 상부 패널과 조인트 부재를 통해 상호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조인트 부재는 하부가 개방된 졸대형 구조로 형성된다.The plurality of top panels are preferably interconnected through adjacent top panels and joint members. In this case, the joint member is formed in a muffled structure having an open lower portion.

상기 조인트 부재는 상기 플랜지부에 결합되어 인접한 상부 패널들을 상호 연결토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플랜지부는 상측으로 연장된 연장부가 형성되고, 이 연장부의 하부에는 상기 조인트 부재가 끼워져 결합되도록 양쪽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joint member is preferably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flange portion to interconnect adjacent top panels.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flange portion extends upwardly formed,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extension portion protrudes to protrude to both sides so that the joint member is fitted and formed.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조인트 부재는 양쪽 상부 패널 사이로 물이 배출되도록 다수의 배수홀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flange portion and the joint member are formed to have a plurality of drainage holes so that water is discharged between both upper panels.

상기 상호 접하는 플랜지부와 조인트 부재 사이에는 토사 등이 하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크린 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스크린 부재는 조경용 및 토목용 부직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screen member is provided between the flange portion and the joint member which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o prevent the earth and sand from flowing out. At this time, the screen member is preferably used for landscaping and civil engineering nonwoven fabric.

상기 지지부재는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upport member is preferably configured to be height adjustable.

상기 배수 유로는 상기 상부 패널 사이에서 떨어지는 물을 받아서 배출할 수 있도록 상부 개방형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rain passage is preferably formed of an upper open type structure so as to receive and discharge water falling between the upper panels.

이와 같은 상기 배수 유로는 상기 사각 상부 패널들 사이에서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교차되게 설치되되,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 중 어느 한쪽 방향은 장거리 배수 기능을 갖도록 구성되고, 다른 한쪽 방향은 상기 한쪽 방향의 배수 유로에 연결되는 단거리 배수 기능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Such drainage passages are installed to intersect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between the rectangular upper panels, and either one of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is configured to have a long distance drainage function, and the other direction of the one side direction It is preferably configured to have a short range drainage function connected to the drain passage.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배수 유로를 지지할 수 있도록 유로지지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upport member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flow path support so as to support the drain flow path.

상기 시스템의 외곽 둘레에는 상기 상부 패널과 옥상 바닥 사이의 공간을 막아주는 측면 패널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측면 패널의 외측 옥상 바닥에는 방수층이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red that side panels are provided around the periphery of the system to close the space between the top panel and the rooftop.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a waterproof layer is applied to the outer roof top of the side panel.

다음,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시스템을 이용한 옥상 녹화 구조는, 위에 기재된 바와 같은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시스템에서 상부 패널의 상부 공간에 옥상 녹화를 실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Next, a rooftop greening structure using a rooftop double-floor induction waterproof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 roofing in the upper space of the top panel in the rooftop double-floor induction waterproofing system as described above. It is characterized by the realization.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시스템을 이용한 옥상 녹화 구조는, 옥상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되어 그 상부에 옥상 녹화를 실현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상부 패널과; 상기 각각의 상부 패널을 옥상 바닥에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 rooftop greening structure using an induction waterproof system of a rooftop double-floor ty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is located at a certain height from the rooftop floor to enable a plurality of top panels to realize rooftop greening thereon. and;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each of the top panel on the rooftop floor.

여기서 상기 상부 패널의 하부 공간과 상부 패널의 상부 공간은 사이에는 상부 패널을 통과하는 통기관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a vent pipe passing through the upper panel is installed between the lower space of the upper panel and the upper space of the upper panel.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follows.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옥상의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시스템이 도시된 개략적인 평면도로서, 옥상 위에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시스템이 설치된 구조를 보여준다.1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a rooftop double bottom induction waterproof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a structure in which a double bottom induction waterproofing system is installed on a rooftop.

일반적으로 건물의 옥상은 일정 높이의 난간(10)이 설치되는데, 이 난간(10)의 높이는 법적 기준에 만족할만한 높이를 가져야 하므로, 본 고안에 따른 이중 바닥 구조물(20)은 난간(10)의 벽면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안쪽에 위치되게 설치된다.In general, the roof of the building is installed a railing 10 of a certain height, the height of the railing 10 should have a height that satisfies the legal standards, the double-floor structure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It is installed to be located inside by a certain distance from the wall.

이와 같은 이중 바닥 구조물(20)은 옥상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떨어진 위치에 다수개의 상부 패널(21)이 매트릭스 구조로 배치되고, 이 상부 패널(21)들의 하부 공간에 배수 유로(40)를 배치하여, 상부 패널(21)에서 떨어지는 물을 이중 바닥 구조물(20) 밖으로 유도하면서 옥상 방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the double floor structure 20, a plurality of top panels 21 are arranged in a matrix structure at a position separated by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rooftop floor, and the drain passage 40 is disposed in the lower space of the top panels 21. The roof is waterproofed while inducing water falling from the upper panel 21 to the outside of the double bottom structure 20.

따라서 건물 옥상의 가운데 부분을 중심으로 대부분의 공간은 상부 패널(21)들을 이용한 이중 바닥 구조물(20)에 의해 옥상 방수가 이루어지고, 이중 바닥 구조물(20)과 난간(10) 사이의 부분은 옥상 바닥면에 도포된 방수층(15)에 의해 방수가 이루어진다.Therefore, most of the spaces around the center of the roof of the building are roof-waterproof by the double-floor structure 20 using the top panels 21, and the part between the double-floor structure 20 and the handrail 10 is a rooftop. Waterproofing is achieved by the waterproof layer 15 applied to the bottom surface.

이와 같은 옥상 방수 구조에 따라 이중 바닥 구조물(20)에서 배출된 물은 난간(10) 안쪽의 방수층이 도포된 옥상 바닥면으로 떨어진 후에 드레인 홀(12)을 통해 외부로 방수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중 바닥 구조물(20)에서 바로 상기 드레인 홀(12)로 연결되는 드레인 파이프 등을 이용하여 물을 배출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According to such a roof waterproof structure,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double bottom structure 20 is preferably configured to be waterproof to the outside through the drain hole 12 after falling to the rooftop floor surface coated with the waterproof layer inside the handrail 10. .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onfigured to discharge water using a drain pipe directly connected to the drain hole 12 in the double bottom structure 20.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이중 바닥 구조물(20)이 옥상 난간(10)으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진 공간에만 설치된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난간(10)의 높이와 법적 기준 또는 실시 조건에 따라서는 옥상의 전 공간에 설치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double floor structure 20 is illustrated to be installed only in a space away from the roof railing 10, but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railing 10 and legal standards or implementation conditions, the roof floor 10 may be installed in the entire rooftop space. It is also possible to install and configure.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시스템에 대하여 도 2내지 도 4를 참조하여 그 구조를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ures 2 to 4 with respect to the rooftop double-floor induction waterproof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 detail as follows.

도 2는 도 1의 A-A 선 방향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B" 부분의 상세도이며, 도 4는 도 3의 주요부 사시도이다.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1, FIG. 3 is a detailed view of a portion “B” of FIG. 2,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ssential part of FIG. 3.

본 고안의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옥상 바닥(11)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되는 복수개의 상부 패널(21)과, 이 상부 패널(21)을 옥상 바닥(11)에 지지하는 지지부재(30)와, 상기 상부 패널(21)과 옥상 바닥(11) 사이의 공간에 위치되어 상기 상부 패널(21)에서 떨어지는 물을 유도 방수 시스템의 밖으로 배수하는 배수 유로(40)로 구성된다.The dual-floor induction waterproof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supports a plurality of top panels 21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rooftop floor 11 and supports the top panel 21 on the rooftop floor 11. It is composed of a member 30 and a drain passage 40 located in the space between the top panel 21 and the rooftop 11 to drain the water falling from the top panel 21 out of the induction waterproofing system.

상기 상부 패널(21), 지지부재(30), 배수 유로(40) 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upper panel 21, the support member 30, the drainage passage 40 and the lik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먼저, 상기 상부 패널(21)은 다수개의 패널이 매트릭스 구조로 배치되고, 각 패널과 패널 사이는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미세한 틈새를 갖는다. 이때 패널들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는 패널을 상호 맞댄 구조에서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틈새일 수도 있고, 실시 조건에 따라 패널과 패널 사이가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게 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부 패널(21)을 상호 맞댄 구조에서 별도의 실(Seal) 부재 등을 삽입하지 않음으로 해서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틈새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First, the upper panel 21 has a plurality of panels are arranged in a matrix structure, and each panel and the panel has a minute gap so that water can be discharged. In this case, the gap formed between the panels may be a gap formed naturally in a structure in which the panels are opposed to each other, or may be formed by separating the panel and the panel by a predetermined interval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conditions. Preferably, it is preferable to use a naturally occurring gap by not inserting a separate seal member or the like in a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panel 21 is opposed to each other.

상기 상부 패널(21)은 폴리에틸렌 등의 플라스틱, 스틸, 알루미늄 등과 같이 견고하고 내구성 및 내후성, 내자외선성이 좋은 소재를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고, 평면상의 모양이 다각 구조로 이루어져, 상호 맞춤되어 일정한 평면 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면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4각 평면 구조를 갖는 패널을 예시하여 설명한다. 이때 크기는 대략 가로 50㎝ 세로 50㎝ 정도, 또는 가로 90㎝ 세로 90㎝의 크기로 소정의 하중을 지탱할 수 있을 정도의 강성을 갖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upper panel 21 may be manufactured using a material such as polyethylene, plastic, steel, aluminum, etc., which is durable and has good durability, weather resistance, and UV resistance. It is enough to form a space. In this embodiment, a panel having a quadrangular planar structure is illustrated and described.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size is approximately 50 cm long and 50 cm long, or 90 cm long and 90 cm long, so as to have a rigid enough to support a predetermined load.

상기 상부 패널(21)은, 도 3을 참고하면, 상측면에 평면부(22)와 이 평면부(22)의 주변의 테두리(4변) 부분에 배수부(24)가 구성되고, 외측 둘레면에 플랜지부(25)가 형성되며, 하측면에 강성 보강을 위한 리브(26) 및 지지대 조립부(27)가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3, the upper panel 21 has a flat portion 22 on the upper side and a drainage portion 24 formed at a periphery (four sides) of the periphery of the flat portion 22, and an outer circumference thereof. The flange portion 25 is formed on the surface, the rib 26 and the support assembly 27 for the rigid reinforcement is configured on the lower side.

상기 평면부(22)는 어느 정도 저수 기능을 갖도록 복수의 홈형 구조 또는 엠보싱 형상 등으로 저수홈부(23)를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 저수홈부(23)는 상부 패널(21)의 상부에 옥상 녹화를 실현할 때 소량의 수분을 저장하는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The flat portion 22 may be formed to have the storage groove 23 in a plurality of groove-like structures or embossed shapes to have a water storage function to some extent. This water reservoir 23 can be usefully used to store a small amount of water when realizing roofing greening on the upper panel 21.

상기 배수부(24)는 상기 평면부(22)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되어 평면부(22)로부터 흘러내린 물이 고일 수 있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배수부(24)는 상기 평면부(22)보다 대략 1㎝정도 낮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rain portion 24 is formed to be relatively lower than the flat portion 22 so that water flowing down from the flat portion 22 may be accumulated. Here, the drain portion 24 is preferably formed about 1 cm lower than the flat portion 22.

상기 플랜지부(25)는 상기 배수부(24)의 외측 영역인 상부 패널(21)의 둘레면에 형성되는데, 인접한 패널과 상호 맞대어져 조립될 수 있도록 외측면이 수직 평면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배수부(24)에 고인 물이 상호 맞대어진 양쪽 상부 패 널(21)의 플랜지부(25)와 플랜지부(25) 사이를 통해 하측 공간으로 물이 배출된다.The flange portion 25 is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panel 21, which is an outer region of the drainage portion 24, and the outer surface is formed in a vertical planar structure so as to be assembled with the adjacent panels. The water is discharged to the lower space through the flange portion 25 and the flange portion 25 of the upper panel 21, the water accumulated in the drain portion 24 butted with each other.

또한 상기 플랜지부(25)를 통해 양쪽 패널(21)들이 조인트 부재(50) 등을 통해 상호 조립되어 고정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 다시 상세히 설명한다.In addition, both panels 21 are assembled and fixed to each other through the joint member 50 through the flange portion 25,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상기 리브(26)는 전체적으로 패널에 충분한 강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상호 교차하는 격자형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ribs 26 are preferably formed in a lattice structure that intersects with each other so as to give sufficient rigidity to the panel as a whole.

상기 지지대 조립부(27)는 상부 패널(21)의 네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지지부재(30)가 나사 결합 방식 등으로 조립될 수 있도록 볼트-너트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support assembly 27 is preferably formed at four corners of the upper panel 21, and may be formed to have a bolt-nut structure so that the support member 30 can be assembled by screwing or the like. .

다음, 상기 지지부재(30)는 상하로 긴 봉형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패널(21)의 네 모서리 부근에 기둥 역할을 하도록 설치되고, 높이 조절이 가능하면서 배수 유로(40)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Next, the support member 30 is formed to have a long rod-like structure up and down to serve as a pillar near the four corners of the upper panel 21, so that the height can be adjusted while supporting the drain passage 40. It is composed.

상기 지지부재(30)는 상기 상부 패널(21)에 결합되는 동시에 배수 유로(40)를 지지할 수 있는 부분이 구비된 상부봉(31)과, 상기 상부봉(31)의 하부에 결합되어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하부봉(35)으로 구성된다.The support member 30 is coupled to the upper panel 21 and at the same time having an upper rod 31 having a portion capable of supporting the drainage passage 40, and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rod 31. It consists of a lower rod 35 to be adjusted.

상기 상부봉(31)은 그 상단부에 상기 상부 패널(21)의 지지대 조립부(27)에 나사 체결 구조 등으로 결합되는 결합부(32)가 형성되는데, 이 결합부(32)는 상기 지지대 조립부(27)가 암나사 구조로 형성될 경우에 수나사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The upper rod 31 has a coupling portion 32 coupled to the support assembly portion 27 of the upper panel 21 by a screw fastening structure or the like at the upper end thereof, and the coupling portion 32 is assembled to the support rod. When the part 27 is formed in the female screw structure, the male screw is formed.

여기서 상기 지지부재(30)와 상부 패널(21)의 결합구조는 나사 결합 방식 외 에도 억지 끼움 결합방식,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나사 또는 볼트 등의 체결 부재를 관통 삽입하여 결합하는 방식 등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Wherein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support member 30 and the upper panel 21 may be used in addition to the screw coupling method, the coupling method, the method of inserting through the fastening member such as screws or bolts in a mutually coupled state. It is possible.

상기 상부봉(31)은 그 중간에 후술할 단거리 배수 유로(41)를 지지할 유로 지지부(33)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하부에는 장거리 배수 유로(45)를 지지하도록 돌출되는 유로 지지부(34)들이 형성된다. The upper rod 31 has a flow path support part 33 projecting to support a short distance drain flow path 41 to be described later in the middle thereof, and a flow path support part 34 projecting to support the long distance drain flow path 45 at the bottom thereof. Are formed.

상기 하부봉(35)은 충분한 내구 성능을 갖도록 스테인리스 스틸 등의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구성은 옥상 바닥(11)에 접촉되는 받침부(36)와, 이 받침부(36)에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상부봉(31)의 하측에 나사 결합 방식으로 조립되는 높이 조절부(37)로 구성된다.The lower rod 35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so as to have a sufficient durability performance, the configuration is the support portion 36 in contact with the rooftop floor 11, and perpendicular to the support portion 36 Composed in the direction is composed of a height adjustment unit 37 is assembled in a screw coupling method on the lower side of the upper rod (31).

여기서 상기 받침부(36)는 상하로 관통된 홀이 형성되어 옥상 바닥(11)에 나사 또는 볼트 등의 체결 부재를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support portion 36 is preferably configured to be fixed to the roof bottom 11 is formed using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screw or bolt to the roof bottom (11).

상기 높이 조절부(37)는 수나사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때 상기 상부봉(31)은 상기 높이 조절부(37)가 체결될 수 있도록 암나사 구조로 형성된다.The height adjusting portion 37 is preferably formed of a male screw structure, wherein the upper rod 31 is formed of a female screw structure so that the height adjusting portion 37 can be fastened.

또한 상기 지지부재(30)의 높이 조절 구조는 나사 결합 구조에 의한 높이 조절 방식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받침부(36)에 일정한 높이를 가진 받침대를 삽입하거나 결합시키는 구조도 가능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상부봉(31)과 하부봉(35)이 서로 끼워진 상태에서 서로 겹친 부분에 높이 조절핀 등을 관통되게 삽입하여 높이를 고정시키는 구조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지지부재(30)의 높이를 조절하는 구조는 상기한 방식에 한정되지 않고 실시 조건에 따라 공지의 지지 구조물의 높이 조절 방식이면 다양하게 채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height adjustment structure of the support member 30 is not limited to the height adjustment method by the screw coupling structure, it is also possible to insert or couple the pedestal having a certain height to the support portion 36, if necessary, The upper rod 31 and the lower rod 35 in a state fitted to each other is inserted into the height adjustment pins and the like in the overlapping portion is also possible to have a structure to fix the height. As such, the structure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upport member 30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method, and if the height control method of the known support structure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conditions, it can be used in various ways.

다음, 상기 배수 유로(40)는 상기 상부 패널(21)들이 서로 맞대어진 부분의 하부에서 X(가로) 방향 및 Y(세로) 방향으로 교차되게 설치되어 배수된 물을 도 1에서 옥상의 드레인 홀(12)로 유도하여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Next, the drain passage 40 is installed so that the upper panel 21 crosses in the X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Y (vertical) direction at the lower portion where the upper panel 21 is opposed to each other. It is configured to guide and discharge to (12).

즉, 상기 상부 패널(21)이 매트릭스 구조로 설치된 조건에서, X 방향과 Y 방향 중 어느 한쪽 방향은 장거리 배수 유로(45)를 갖도록 구성되고, 다른 한쪽 방향은 상기 장거리 배수 유로(45)에 연결되는 단거리 배수 유로(41)를 갖도록 구성된다.That is,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upper panel 21 is installed in a matrix structure, one of the X and Y directions is configured to have a long distance drain passage 45, and the other direction is connected to the long distance drain passage 45. It is comprised so that the short-range drainage flow path 41 may become.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을 참고하면, X 방향에 단거리 배수 유로(41)가 설치되고, Y 방향에 장거리 배수 유로(45)가 설치된 구조를 보여준다. 이때 상기 단거리 배수 유로(41)는 상기 상부 패널(21)의 길이가 50cm 일 경우에, 대략 45㎝ 정도의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embodiment, referring to FIG. 1, the short-range drainage passage 41 is installed in the X direction, and the long-distance drainage passage 45 is installed in the Y direction. In this case, when the length of the upper panel 21 is 50 cm, the short distance drain passage 41 may be formed to have a length of about 45 cm.

상기 단거리 및 장거리 배수 유로(41)(45)는 상부 패널(21)들이 상호 접하는 플랜지부(25)의 바로 하측에 위치되는데, 상기 상부 패널(21) 사이에서 떨어지는 물을 받아서 배출할 수 있도록 상부 개방형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hort-range and long-distance drainage flow passages 41 and 45 are located directly below the flange portion 25 where the upper panels 21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upper and lower drainage flow passages 41 and 45 may receive and discharge water falling between the upper panels 21. It is preferred to be formed in an open structure.

따라서 상부 패널(21)의 가로 방향의 틈새를 통해 떨어지는 물은 단거리 배수 유로(41)로 떨어진 후에 장거리 배수 유로(45)로 모아져 배출되고, 상부 패널(21)들의 세로 방향의 틈새를 통해 떨어지는 물은 바로 장거리 배수 유로(45)로 떨어져 배출된다.Therefore, the water falling through the horizontal gap of the upper panel 21 is collected into the long distance drain passage 45 after falling into the short distance drain passage 41 and discharged, and the water falling through the vertical gap of the upper panels 21. Is immediately discharged into the long-distance drainage passage (45).

이와 같은 단거리 및 장거리 배수 유로(41)(45)는 상기 지지부재(30)에 고정되어 설치되는데, 상기 단거리 배수 유로(41)는 상기 지지부재(30)의 상측 유로 지지부(33)에 양쪽 부분이 지지되어 설치되고, 장거리 배수 유로(45)는 지지부재(30)에서 돌출되는 하측 유로 지지부(34)에 양측 부분이 지지되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단거리 배수 유로(41)와 장거리 배수 유로(45)는 상기 지지부재(30)의 상부봉(31)이 플라스틱 소재인 경우에 플라스틱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하여 설치할 수 있다.Such short-range and long-distance drainage flow passages 41 and 45 are fixed to the support member 30, and the short-range drainage flow passage 41 is formed at both sides of the upper flow passage support portion 33 of the support member 30. It is supported and installed, and the long-distance drainage flow path 45 is supported by both side parts in the lower flow path support part 34 which protrudes from the support member 30, and is installed. Here, the short-range drainage passage 41 and the long-distance drainage passage 45 may be fixed and installed by a plastic welding method when the upper rod 31 of the support member 30 is made of plastic.

상기 단거리 배수 유로(41)의 끝단에는 상기 장거리 배수 유로(45) 내측으로 물을 유도하는 가이드(42)가 하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장거리 배수 유로(45)는 그 끝단부가 후술할 측면 패널(6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본 고안의 이중 바닥 구조물(20) 밖으로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At the end of the short-distance drain passage 41, a guide 42 for inducing water into the long-distance drain passage 45 extends downwardly, and the long-distance drain passage 45 has a side that will be described later. Install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panel 60 is configured to discharge water out of the double bottom structure 20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도면에 도시된 상기 배수 유로(40)는 단거리 및 장거리 배수 유로(41)(45)가 높이를 갖도록 구성된 구조를 예시하였으나, 실시 조건에 따라서는 단거리 배수 유로와 장거리 배수 유로의 높이를 동일하게 구성하여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drain flow channel 40 shown in the drawing exemplifies a structure in which the short and long-distance drain flow paths 41 and 45 have a height, but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conditions, the height of the short-distance drain path and the long-distance drain flow path is the same.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so that the water can be discharged.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상부 패널(21)들의 결합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S. 3 and 4,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upper panels 21 is as follows.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패널(21)의 둘레면에는 플랜지부(25)가 형성되는데, 상기 플랜지부(25)는 상측으로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게 형성되고, 이 연장부(25a)에 졸대와 같은 조인트 부재(50)가 결합되어 양쪽 상부 패널(21)을 고정하면서 배수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As described above, a flange portion 25 is formed on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panel 21, and the flange portion 25 is formed to extend upward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extension portion 25a is formed like a plunger. The joint member 50 is coupled and configured to allow drainage while fixing both upper panels 21.

이때 상기 연장부(25a)는 상기 조인트 부재(50)가 안정되게 결합되도록 양측으로 돌출되는 결합부(25b)가 형성되고, 이 결합부(25b)의 바로 위쪽에는 조인트 부재(50)의 안쪽으로 유입된 물이 양쪽 상부 패널(21)의 플랜지부(25) 사이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배수홀(25c)이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extension portion 25a is formed with a coupling portion 25b protruding to both sides so that the joint member 50 is stably coupled, and is directly above the coupling portion 25b toward the inside of the joint member 50. A drainage hole 25c is formed so that the introduced water can be discharged between the flange portions 25 of both upper panels 21.

상기 조인트 부재(50)는 그 단면이 대략 직사각형이면서 상기 플랜지부(25)의 연장부(25a)에 끼워지도록 하부가 개방된 구조로 형성된다. 그리고 하부에는 상기 플랜지부(25)의 결합부에 끼워지도록 끼움부(52)가 형성되고, 상부 또는 측면에는 수분이 유입되거나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홀(54)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joint member 50 is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a lower portion thereof is opened so as to be fitted into the extension portion 25a of the flange portion 25 while being substantially rectangular in cross section.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fitting portion 52 is formed to be fitted to the coupling portion of the flange portion 25, the hole 54 is formed in the upper or side so that moisture can be introduced or air is discharged.

또한 상기 상부 패널(21)들의 상부에 옥상 녹화를 실현할 경우에, 상기 상부 패널(21)의 플랜지부(25) 사이로 세립 토양 유출 방지 및 방근 기능을 위해 스크린 부재(55)가 설치되는데, 이 스크린 부재(55)는 상기 플랜지부(25)의 연장부(25a)와 조인트 부재(50) 사이에 끼워진 형태로 그 위치가 고정되어 설치된다.In addition, when realizing a rooftop greening on the upper part of the upper panel 21, a screen member 55 is installed between the flange portion 25 of the upper panel 21 to prevent fine soil leakage and the function of rooting. The member 55 is fixedly installed at a position sandwiched between the extension portion 25a of the flange portion 25 and the joint member 50.

상기 스크린 부재(55)는 토사 등이 유출되는 것은 막고, 물을 배출되도록 하는 천류 또는 망형 구조물이면 그 종류에 상관없이 다양하게 채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부직포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The screen member 55 may be used in various ways irrespective of its kind as long as it is a stream or net structure that prevents soil from leaking out and discharges water, and preferably uses a nonwoven fabric.

따라서 본 고안의 이중 바닥 구조물(20)은 상부 패널(21)로 떨어지는 우수 등의 물은 평면부(22)에서 자연스럽게 배수부(24)로 흐르게 되고, 이 배수부(24)에 일정 이상의 물이 고이게 되면, 상기 조인트 부재(50)의 내측으로 유입된 후, 플랜지부(25)의 배수홀(25c)을 통해 양쪽 상부 패널의 플랜지부(25) 사이의 틈새를 지나 하측에 위치되는 상기한 배수 유로(40)로 떨어지고, 이후 이중 바닥 구조물의 밖으로 배출된다.Therefore, in the double bottom structure 20 of the present invention, water such as rainwater falling on the top panel 21 flows naturally from the flat portion 22 to the drainage portion 24, and the water of the drainage portion 24 has a predetermined amount or more. If it is, the above-described drainage is introduced into the inside of the joint member 50 and then positioned downward through the gap between the flange portions 25 of both upper panels through the drain hole 25c of the flange portion 25. It falls into the flow path 40 and is then discharged out of the double bottom structure.

한편, 상기와 같이 매트릭스 구조로 배치된 상부 패널(21)들과, 이를 지지하는 지지부재(30), 물을 배출하는 단거리 및 장거리 배수 유로(41)(45), 상부 패널(21)들을 결합하는 조인트 부재(50) 등으로 구성되는 유도 방수 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곽 둘레에 상기 상부 패널(21)과 옥상 바닥(11) 사이의 공간을 막아주는 측면 패널(60)이 설치된다.Meanwhile, the upper panel 21 arranged in a matrix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the support member 30 supporting the same, the short and long distance drainage passages 41 and 45 for discharging water, and the upper panel 21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the induction waterproof system composed of a joint member 50 or the like, as shown in FIG. 2, a side panel 60 is installed around the periphery to block a space between the upper panel 21 and the rooftop floor 11. .

상기 측면 패널(60)은 상기 상부 패널(21)들의 하부 공간으로 외부에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상기 측면 패널(60)의 외측면으로부터 옥상 바닥(11)과 난간(10)으로 이어지는 영역에 통상 옥상 등의 방수 소재로 사용되는 우레탄 방수재 또는 무기질계 도막방수재 등을 적용하여 방수층(15)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ide panel 60 serves to prevent water from flowing into the lower space of the upper panel 21 from the outside, preferably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panel 60 and the rooftop 11.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waterproof layer 15 by applying a urethane waterproofing material or an inorganic coating waterproofing material which is usually used as a waterproofing material such as a rooftop to the area leading to the handrail 10.

따라서 본 고안의 옥상의 유도 방수 시스템은 상기 측면 패널(60)이 설치된 부분을 경계로 상부 패널(21)들을 포함한 이중 바닥 구조물(20)의 옥상 영역은 단거리 및 장거리 배수 유로(40)를 통해 물을 배수하면서 방수가 이루어지고, 상기 측면 패널(60)의 바깥쪽 영역은 공지의 도막 방수층(15)에 의해 방수가 이루어진 다.Therefore, in the rooftop induction waterproof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oftop area of the double bottom structure 20 including the top panel 21 is bounded by the portion where the side panel 60 is installed, and water is discharged through short and long distance drainage channels 40. Waterproofing is made while draining, and the outer region of the side panel 60 is waterproofed by a known coating waterproof layer 15.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옥상의 유도 방수 시스템은 상부 패널(21)과 측면 패널(60)에 의해 대략 높이 15㎝정도의 내부 공간을 만들게 된다. 이와 같은 내부 공간은 손쉬운 점검과 간편하고 영구적인 유지보수를 가능하게 해준다. 점검이 필요할 때, 1개의 상부 패널(21)을 개봉한 후, 내시경 또는 소형 동화상 카메라가 부착된 원격 제어차량(Remote Control Vehicle)을 이용하여 패널 하부를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직접적이고 분명하게 점검할 수 있으며, 배수 유로(40)의 훼손과 막힘 등의 하자원인을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Rooftop induction waterproof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to create an internal space of about 15cm in height by the top panel 21 and the side panel 60. This interior space allows for easy inspection and simple and permanent maintenance. When the inspection is needed, after opening one upper panel 21, it can be directly and clearly checked while moving freely under the panel by using a remote control vehicle equipped with an endoscope or a small video camera.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quickly remove the underlying resources such as damage and blockage of the drain passage 40.

이러한 이중 바닥형 옥상방수의 내부공간은 유지보수를 보다 간편하고 편리하게 실현할 수 있도록 해준다. 아울러, 상기 내부 공간에 단열이 필요할 때에는 단열재를 추가 설치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interior space of the double-floor rooftop waterproofing makes maintenance easier and more convenient. In addition, when heat insulation is required in the inner space,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by installing a heat insulating material.

도 5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시스템을 이용한 옥상 녹화 구조를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ooftop greening structure using a double bottom induction waterproof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본 고안에 따른 녹화 시설(70)은 옥상 바닥(11)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되는 상부 패널(21)의 상부 공간에 식재가 용이한 토양층(71)을 포설하고, 그 위에 식생층(72)을 형성하여 녹화 작업을 하게 되면, 옥상 녹화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In the greening facility 7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oil layer 71 which is easy to plant is installed in the upper space of the upper panel 21 located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rooftop floor 11, and the vegetation layer 72 is placed thereon. When the greening process is formed, rooftop greening can be realized.

이때 상기 상부 패널(21)의 하부에 형성되는 내부 공간과 토양층(71)의 외부 공간 사이에는 통기관(75)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통기관(75)을 통 해 상부 패널(21)의 내부 공간에 존재할 수 있는 습기 등을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install the vent pipe 75 between the inner spac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panel 21 and the outer space of the soil layer 71. That is, the exhaust pipe 75 is configured to discharge moisture or the like that may exist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upper panel 21.

상기 통기관(75)은 외부에서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상단부는 하부로 개방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상부 패널(21)은 상기 통기관(75)이 삽입되어 설치되도록 통기관 삽입홀(28)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통기관 삽입홀(28)은 상기 통기관(75)이 삽입된 후에 실링재 등을 이용하여 밀봉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vent pipe 75 has a structure in which an upper end thereof is opened downward so that water does not flow from the outside, and the upper panel 21 has a vent pipe insertion hole 28 formed so that the vent pipe 75 is inserted into the vent pipe 75. In addition, the vent pipe insertion hole 28 may be sealed by using a sealing material or the like after the vent pipe 75 is inserted.

따라서 상기와 같이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시스템이 구비된 상부 패널(21)의 상부에 옥상 녹화를 실현할 경우에,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우수한 방수 기능을 가지면서, 옥상 바닥으로부터 상당한 공간을 가짐에 따라 완벽한 방근 기능을 확보할 수 있고, 아울러, 식생 환경에 필요한 저수, 배수, 세립토 여과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안정된 옥상 녹화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the roof greening is realized on the upper part of the upper panel 21 provided with the double-floor induction waterproofing system as described above, it has a great space from the rooftop while having excellent waterproofing function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ecure a perfect rooting function, and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perform the functions of water storage, drainage, and fine-grain filtration required for the vegetation environment, thereby achieving stable roofing.

도 6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옥상의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시스템이 도시된 도면들로서, 도 6은 도 1의 A-A 선 방향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C" 부분의 상세도이며, 도 8은 도 7의 주요부 상세도이다. 참고로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전술한 일 실시예와 동일 유사한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6 to 8 are views illustrating a rooftop double bottom type induction waterproof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and FIG. "Is a detail of the part, and FIG. 8 is a detail of the principal part of FIG. For reference, in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order to avoid redundant descrip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옥상의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시스템은 전술한 일 실시예의 구성과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 지나, 크게 상부 패널(21)들의 결합 구조, 단열재가 추가된 구조, 장거리 배수 유로의 높이 조절 가능 구조 등이 다르게 구성된다.As shown, the rooftop double bottom type induction waterproof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configura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upper panels 21 and the insulation are largely added. Structure, the height-adjustable structure of the long-distance drainage flow path are different.

먼저, 상부 패널(21)들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면, 전술한 일 실시예는 옥상 녹화를 함께 실현할 때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나,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옥상 녹화를 실현하지 않을 때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구조로서, 상부 패널(21)이 돌출된 부분 없이 전체적으로 평면 구조를 이루도록 구성된다.First, when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upper panel 21 is described,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configured to be easily applied when the rooftop greening is realized together, but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oftop greening is applied when the rooftop greening is not realized. As a structure configured to be able to, the upper panel 21 is configured to form a flat structure as a whole without a protruding portion.

이에 대하여 전술한 일 실시예와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is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a different part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본 실시예의 상부 패널(21)은 평면부(22)의 테두리 부분에 상대적으로 낮은 배수부(24')가 형성되고, 이 배수부(24')의 바깥쪽에 플랜지부(25')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플랜지부(25')의 돌출 높이는 평면부(22)의 높이를 넘지 않을 만큼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배수부(24')는 전술한 일 실시예보다 작게 형성되어 조인트 부재(50')가 삽입될 정도의 크기로 형성된다.In the upper panel 21 of the present embodiment, a relatively low drain 24 'is formed at the edge of the flat portion 22, and a flange 25' is formed outside the drain 24 '. .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protruding height of the flange portion 25 'protrudes so as not to exceed the height of the flat portion 22, and the drainage portion 24' is formed smaller tha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so that the joint member 50 'is formed. ) Is sized enough to be inserted.

상기 조인트 부재(50')는 상기 플랜지부(25')의 연장부(25a')에 결합되는데, 결합되는 구조는 전술한 일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고, 상면은 대략 상부 패널(21)의 평면부(22) 높이와 같거나 약간 높은 정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joint member 50 ′ is coupled to the extension portion 25 a ′ of the flange portion 25 ′, and the coupled member 50 ′ may be config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upper surface is approximately the upper panel 21. It is desirable to form the same level as or slightly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flat portion 22 of the ().

또한 상기 조인트 부재(50')는 상부 패널(21)의 평면부(22)보다 더 돌출되게 형성되는 경우에 사람이나 기타 구조물이 걸리지 않도록 도면에서와 같이 곡면 구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the joint member 50 'is formed to protrude more than the flat portion 22 of the upper panel 21, it is preferable to form a curved structure as shown in the figure so that people or other structures are not caught.

이와 같은 조인트 부재(50')는 물 또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다수의 홀들이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25')의 연장부(25a')와의 사이에 부직포 등의 스크린 부재(55)를 끼워서 설치할 수 있다.The joint member 5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holes to allow water or air to pass therethrough, and the screen member 55 such as a nonwoven fabric between the extension portion 25a' of the flange portion 25 '. Can be installed by inserting.

상기와 같은 상부 패널(21)의 결합 구조를 갖는 본 실시예의 구성도 옥상 녹화를 실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상부 패널(21)에 형성되는 저수홈부(23')가 전술한 일 실시예의 저수홈부(23)보다 넓게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Of course,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having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upper panel 21 as described above can realize rooftop greening. At this time, the storage groove 23 'formed in the upper panel 21 has a structure formed wider than the storage groove 23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즉, 전술한 일 실시예의 저수홈부(23)는 엠보싱 홈 구조로 형성되었으나, 본 실시예에서의 저수홈부(23')는 저수량을 크게 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넓고 깊은 홈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저수홈부(23')은 대략 5~10mm 정도의 깊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although the reservoir 23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formed in an embossed groove structure, the reservoir 23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into a relatively wide and deep groove to increase the storage amount. Such a reservoir 23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 depth of about 5 ~ 10mm.

다음, 단열재(80)가 추가된 구조를 설명하면, 상기 단열재(80)의 설치 위치는 상부 패널(21)의 하부에 바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단열재(80)는 상기 상부 패널(21)의 지지대 조립부(27)에 끼워질 수 있도록 모서리 부근에 홀(81)이 형성된다.Next, referring to the structure in which the heat insulator 80 is added, it is preferable that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heat insulator 80 is installed directly under the upper panel 21. At this time, the heat insulator 80 is formed with a hole 81 near the corner to be fitted to the support assembly 27 of the upper panel 21.

이와 같은 단열재(80)는 별도의 지지 구조물 또는 기타 고정 부재 등을 추가하여 상부 패널(21)에 고정하여 설치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단거리 배수 유로(41)의 상부에 지지되어 고정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Such a heat insulating material 80 may be installed by being fixed to the upper panel 21 by adding a separate support structure or other fixing member, but preferably made in such a way that it is supported and fix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hort-distance drain passage 41. Can be.

상기 이중 바닥 구조물(20)의 내측에 단열재(80)가 설치되는 경우에 유동 방수 기능은 물론 옥상 바닥 슬래브의 단열 기능도 함께 보조하여 수행할 수 있다.When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80 is installed inside the double bottom structure 20, it may be performed by assisting not only the flow waterproofing function but also the heat insulating function of the rooftop slab.

다음, 장거리 배수유로(45)의 높이 조절 가능 구조에 대해 설명하면, 전술한 일 실시예에서는 장거리 배수유로(45)가 지지부재(30)에서 돌출된 유로 지지부(34)를 통해 지지하는 구조를 예시하였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부재(30)에 관통되어 설치되는 지지핀(34')을 이용하여 배수유로(45)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예시한다.Next, the height adjustable structure of the long-distance drainage passage 45 will be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long-distance drainage passage 45 supports the structure through the flow passage support part 34 protruding from the support member 30.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 a configuration configured to support the drainage passage 45 by using the support pins 34 'installed through the support member 30.

이때 상기 지지부재(30)의 상부봉(31')에는 상하 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핀홀들이 형성되어 원하는 위치에 상기 지지핀(34')을 삽입할 경우에 장거리 배수 유로의 높이 조절이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upper bar 31 'of the support member 30 has pinhole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height of the long-distance drainage channel can be easily and easily adjusted when the support pin 34' is inserted at a desired position. Can be done.

한편, 상기에서는 장거리 배수유로(45)의 높이 조절 구조만을 설명하였으나, 동일한 방법으로 단거리 배수유로(41)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above described only the height adjustment structure of the long-distance drainage passage 45, it is of course also possible to configure to adjust the height of the short-range drainage passage 41 in the same manner.

이외의 다른 구성은 전술한 일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other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e configura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옥상의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시스템은 상면 전체가 크게 돌출되는 부분 없이 평면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외부 구조물에 돌출부가 훼손되거나, 사람이 걸리는 등의 문제를 일으키지 않게 된다.Roof-top double bottom induction waterproof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formed in a flat structure without a large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is protruded to the external structure is damaged, such as problems such as people It does not cause it.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고안에 따른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옥상 녹화 구조는, 옥상에 이중 바닥 구조물을 설치하여 종래와 같이 옥상 바닥으로 침투하는 물을 막아내는 방식이 아닌, 물을 옥상 드레인 홀 쪽으로 자연스럽게 유도하여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방수 시설 공정을 단순화함과 동시에 공사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고, 특히 방수층의 하자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보다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옥상 방수를 실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rooftop double bottom type induction waterproofing system and rooftop greening structure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d and operated as described above are not a method of preventing water penetrating into the rooftop as in the prior art by installing a double bottom structure on the roof. In addition, since water is naturally drawn to the roof drain hole and discharged, the process of waterproofing facilities can be simplified and construction costs can be greatly reduc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water can be realized.

또한 본 고안은 옥상 녹화 시설을 설치하는 경우에도 우수한 방수 성능을 유지함과 아울러 완벽한 방근 구조를 갖게 되고, 저수, 배수 및 세립토 여과 기능 등이 전체적으로 향상되어 보다 양호한 식생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intains excellent waterproofing performance even when a rooftop greening facility is installed, and has a perfect root structure, and the water, drainage, and fine-grain soil filtration functions are improved as a whole to provide a better vegetation environment. .

또한 본 고안은 옥상 방수는 물론, 옥상 녹화 시설의 시공비를 크게 절감함과 아울러, 시공 후에는 이중 바닥 구조물의 내부 공간을 이용하여 유지 보수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하여 반영구적인 유지보수를 가능케 할 뿐만 아니라 방수층의 내구연한을 증가시키고, 옥상 녹화에 최적의 유리한 조건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makes the waterproofing of the rooftop, but also greatly reduces the construction cost of the roofing planting facility, and also enables semi-permanent maintenance by allowing the maintenance to be performed by using the internal space of the double floor structure after construction. The durability of the waterproof layer is increased, and there is an advantage of ensuring optimal conditions for roofing greening.

Claims (22)

옥상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부 패널과;At least one top panel located at a height above the rooftop; 상기 상부 패널을 옥상 바닥에 지지하는 지지부재와;A support member supporting the upper panel on a rooftop floor; 상기 상부 패널과 옥상 슬래브 바닥 사이의 공간에 위치되어 상기 상부 패널에서 떨어지는 물을 상기 상부 패널의 하부 공간 밖으로 배수하는 배수 유로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시스템.And a drain passage located in a space between the top panel and the roof slab bottom to drain water falling from the top panel out of the bottom space of the top panel.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복수의 상부 패널은 각 패널과 패널 사이에 일정 틈새를 갖는 매트릭스 구조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시스템.The plurality of top panels are rooftop double bottom type induction waterproof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in a matrix structure having a predetermined gap between each panel and the panel.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상부 패널은 그 상면에 저수 기능을 갖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수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시스템.The upper panel has a rooftop double bottom type induction waterproof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r more reservoir grooves formed on the top surface to have a water storage function.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상부 패널의 테두리 부분은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다른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배수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시스템.The edge portion of the upper panel is a rooftop double-floor induction waterproof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drain is formed relatively lower than the other portion to achieve a smooth drainage.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상부 패널은 그 외측 둘레면에 인접한 상부 패널과 상호 맞대어지는 플랜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시스템.And wherein the top panel has a flange portion which is mutually opposed to a top panel adjacent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복수의 상부 패널은 인접한 상부 패널과 조인트 부재를 통해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시스템.And the plurality of top panels are interconnected through adjacent top panels and joint members. 청구항 6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조인트 부재는 하부가 개방된 졸대형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시스템.The joint member is a rooftop double-floor induction waterproof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muffled structure with an open bottom.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or 7, 상기 복수의 상부 패널은 그 외측 둘레면에 인접한 상부 패널과 상호 맞대어지는 플랜지부가 형성되고,The plurality of top panels are formed with a flange portion that is mutually opposed to the top panel adjacent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hereof, 상기 조인트 부재는 상기 플랜지부에 결합되어 인접한 상부 패널들을 상호 연결토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시스템.And said joint member is coupled to said flange portion and configured to interconnect adjacent top panels. 청구항 8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상기 플랜지부는 상측으로 연장된 연장부가 형성되고, 이 연장부의 하부에는 상기 조인트 부재가 끼워져 결합되도록 양쪽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시스템.The flange portion is formed with an extension extending upwards, the roof bottom double induction waterproof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portion is formed with protrusions protruding on both sides so that the joint member is fitted. 청구항 8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조인트 부재는 양쪽 상부 패널 사이로 물이 배출되도록 다수의 배수홀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시스템.And the flange part and the joint member are formed to have a plurality of drainage holes to discharge water between both upper panels. 청구항 8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상기 상호 접하는 플랜지부와 조인트 부재 사이에는 토사 등이 하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크린 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시스템.A rooftop double bottom type induction waterproof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screen member is provided between the flange portion and the joint member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상기 복수의 상부 패널과 상부 패널 사이에는 토사 등이 하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크린 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시스템.A rooftop double bottom type induction waterproof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screen member is provided between the plurality of top panel and the top panel to prevent the earth and sand to flow out.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상기 상부 패널의 하부에는 단열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시스템.Rooftop double-floor induction waterproof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is installed on the lower part of the upper panel.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지지부재는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시스템.The support member is a rooftop double bottom type induction waterproof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adjustable in height.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상기 배수 유로는 상기 상부 패널 사이에서 떨어지는 물을 받아서 배출할 수 있도록 상부 개방형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시스템.The drainage flow path is a rooftop double bottom type induction waterproof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upper open structure to receive and discharge the water falling between the upper panel.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상기 상부 패널은 사각 평면 구조로 형성되어 매트릭스 구조로 배치되고,The upper panel is formed in a rectangular planar structure and arranged in a matrix structure, 상기 배수 유로는 상기 사각 상부 패널들 사이에서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교차되게 설치되되,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 중 어느 한쪽 방향은 장거리 배수 기능을 갖도록 구성되고, 다른 한쪽 방향은 상기 한쪽 방향의 배수 유로에 연결되는 단거리 배수 기능을 갖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시스템.The drain flow path is installed to cross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between the rectangular upper panels, either one of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is configured to have a long distance drainage function, the other direction is the drain flow path of the one direction Rooftop double-floor induction waterproof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have a short-range drainage function connected to.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배수 유로를 지지할 수 있도록 유로지지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시스템.The support member is a roof-top double-floor induction waterproof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flow path support is provided to support the drain flow path.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상기 시스템의 외곽 둘레에는 상기 상부 패널과 옥상 바닥 사이의 공간을 막아주는 측면 패널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시스템.The rooftop double-floor induction waterproofing system of claim 1, wherein a side panel is provided around the periphery of the system to close the space between the top panel and the rooftop. 청구항 18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8, 상기 측면 패널의 외측 옥상 바닥에는 방수층이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시스템.The rooftop double-floor induction waterproof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proof layer is applied to the outer rooftop floor of the side panel.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9에 기재된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시스템에서 상부 패널의 상부 공간에 옥상 녹화를 실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시스템을 이용한 옥상 녹화 구조.A rooftop greening structure using a rooftop double-floor induction waterproof system, wherein rooftop greening is realized in the upper space of the top panel in the rooftop double-floor induction waterproofing system according to claim 1. 옥상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되어 그 상부에 옥상 녹화를 실현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상부 패널과;A plurality of top panels located at a certain height from the rooftop to enable rooftop greening thereon; 상기 각각의 상부 패널을 옥상 바닥에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한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시스템을 이용한 옥상 녹화 구조.A rooftop greening structure using a rooftop double-floor induction waterproof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each top panel on the rooftop. 청구항 20 또는 청구항 2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0 or 21, 상기 상부 패널의 하부 공간과 상부 패널의 상부 공간은 사이에는 상부 패널을 통과하는 통기관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시스템을 이용한 옥상 녹화 구조.A rooftop greening structure using a rooftop double bottom type induction waterproof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vent pipe passing through the upper panel is installed between the lower space of the upper panel and the upper space of the upper panel.
KR2020060009835U 2006-04-13 2006-04-13 Double floor type inducing waterproof system and green roof structure using the same KR20042054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9835U KR200420547Y1 (en) 2006-04-13 2006-04-13 Double floor type inducing waterproof system and green roof structure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9835U KR200420547Y1 (en) 2006-04-13 2006-04-13 Double floor type inducing waterproof system and green roof structure using the sam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3397A Division KR100661018B1 (en) 2006-04-13 2006-04-13 Double floor type inducing waterproof system and green roof structure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0547Y1 true KR200420547Y1 (en) 2006-07-04

Family

ID=41769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9835U KR200420547Y1 (en) 2006-04-13 2006-04-13 Double floor type inducing waterproof system and green roof structure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0547Y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4241B1 (en) 2006-10-19 2007-12-10 건융건설 주식회사 Double floor type inducing waterproof structure and green roof structure using the same
CN104365398A (en) * 2013-08-13 2015-02-25 茅金声 Roof greening frame body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KR102135152B1 (en) * 2019-01-28 2020-07-17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Rainwater Supply System Applied to Tree-Cover Plat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4241B1 (en) 2006-10-19 2007-12-10 건융건설 주식회사 Double floor type inducing waterproof structure and green roof structure using the same
CN104365398A (en) * 2013-08-13 2015-02-25 茅金声 Roof greening frame body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KR102135152B1 (en) * 2019-01-28 2020-07-17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Rainwater Supply System Applied to Tree-Cover Plat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9782B1 (en) Double floor type inducing waterproof structure having level-down of slab edge and green roof structure using the same
US9347222B2 (en) Welded roof for modular building units
US5248225A (en) Insulating drainage method and diverter for building foundations
US20090211186A1 (en) Double floor type inducing waterproof structure and green roof structure using the same
KR100945719B1 (en) Structure of compound roof waterproof
US20110314748A1 (en) Water flow apparatus
KR102260055B1 (en) Ceiling Integrated Photovoltaic Roof Structure with Drainway
KR100661018B1 (en) Double floor type inducing waterproof system and green roof structure using the same
KR102231752B1 (en) solar power generation structure for waterproof
KR200420547Y1 (en) Double floor type inducing waterproof system and green roof structure using the same
CN103882877B (en) Roadbed side slope blocks water ventilated type safeguard structure
KR100784241B1 (en) Double floor type inducing waterproof structure and green roof structure using the same
KR20170099093A (en) Roof waterproof system
KR20090120183A (en) Waterproof structure using air vent sheet and waterproof method
KR100806634B1 (en) Waterproof structure on the roof, using polyester reinforced pvc waterproof-sheet and deterioration preventing-cap
KR200417292Y1 (en) Horizontal rayer type roof drain system
CA2504063C (en) Device and a method for drainage of water from rock caves
KR100441965B1 (en) Prefabricated Water Proofing System for the Roof Slab
KR101036162B1 (en) Rooftop improvement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tructure
KR101538992B1 (en) Green roof system for heat insulation and waterproofing with the water containers
KR102116912B1 (en) Air dome
CN109138467B (en) Water interception componen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JP2002309726A (en) Heat insulation waterproof structure of roof
KR101020607B1 (en) Vent pins and waterproof method using them
CN104612341A (en) Canop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