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0523Y1 - 링거 잔량 및 소요시간 표시기 - Google Patents

링거 잔량 및 소요시간 표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0523Y1
KR200420523Y1 KR2020060006685U KR20060006685U KR200420523Y1 KR 200420523 Y1 KR200420523 Y1 KR 200420523Y1 KR 2020060006685 U KR2020060006685 U KR 2020060006685U KR 20060006685 U KR20060006685 U KR 20060006685U KR 200420523 Y1 KR200420523 Y1 KR 2004205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er
patient
time
remaining amount
rema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66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상열
Original Assignee
신상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상열 filed Critical 신상열
Priority to KR20200600066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05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05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052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31Monitoring, detecting, signalling or eliminating infusion flow anomalies
    • A61M5/1684Monitoring, detecting, signalling or eliminating infusion flow anomalies by detecting the amount of infusate remaining, e.g. signalling end of infusion
    • A61M5/16845Monitoring, detecting, signalling or eliminating infusion flow anomalies by detecting the amount of infusate remaining, e.g. signalling end of infusion by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18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ala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A61M2205/3546Range
    • A61M2205/3561Range local, e.g. within room or hospit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A61M2205/3576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 A61M2205/3584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using modem, internet or bluetoo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병원에서 사용되는 링거(Ringer's solution) 잔량 및 소요시간 표시기에 관한 것으로서, 병원에서 링거 또는 수액을 투여 받는 환자가 장시간 걸리는 지루한 투여 시간과, 언제 종료할지 몰라서 집중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센서를 이용하여 수액의 무게를 측정하여 잔량을 표시하며 또한, 마이크로컴퓨터의 계산에 의해서 남은 시간을 표시하고, 수액이 다 되거나, 얼마 남지 않은 시점 또는, 링거 투여의 막힘 등과 같은 이상여부 시에 경고음을 발생시켜 환자나 간호사의 주의를 집중시켜주는 장치이다. 또한, 무선 적외선 신호로 병실 밖에서 환자의 링거 투요 종료를 알려주는 장치 및 간호사실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써 환자의 링거 투요 종료를 자동으로 알려주는 장치이다.
본 고안은 병원에만 국한 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장소 또는 걸이식 액체보관 용기의 잔량을 표시하여 주고 예상 소요 시간과 남은 양을 정량적으로 표시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링거투여를 받는 환자 및 간병인과 간호사의 링거에 따른 심적 부담 및 업무개선 효과가 있다.
링거, 링게르, 링겔, 소요시간, 수액, 잔량표시기, 병원, 의료용

Description

링거 잔량 및 소요시간 표시기 {Indicator of Remainer and Necessary time of Ringer's solution}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링거 잔량 및 소요시간 측정기 본체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링거 잔량 및 소요시간 측정기 전체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링거 고리12 : 링거
13 : 링거 잔량 표시부
14 : 링거 소요시간 표시부15 : 이상 램프
16 : 완료 램프
17 : 스텐드18 : 적외선 발· 수광부
21 : 적외선22 : 적외선 발· 수광 모듈
23 : 환자별 링거 종료 표시기24 : 유선 통신선
25 : 컴퓨터 26 : 병실별 링거 종료 프로그램
31 : 병실 벽
본 고안은 병원 등의 장소에서 링거를 투여받는 환자 및 담당 간호사 그리고, 간병인 또는 보호자에게 편의를 제공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링거 또는 수액을 투여받는 환자가 장시간 걸리는 지루한 투여시간과, 종료시간을 정확히 알지 못해 집중해야 하는 정신적, 심리적 불편함과 간병인, 간호사의 부담을 해결하기 위해 센서를 이용하여 수액의 무게를 측정하여 링거의 잔량 및 남은 소요시간을 계산하여 표시함으로써 하므로써 수액이 다 되거나, 얼마 남지 않은 시점 또는 링거투여의 막힘 등에 의한 이상여부 시에 경고음과 함께 병실 밖의 환자별 링거 종료 표시기에 해당 링거의 종료 램프를 켬으로 해서 환자나 간호사의 주의를 집중시켜 주는 효과가 있는 물건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로는 링거용기의 마개나 링거호스에 광센서를 부착하여 광센서의 조도 변화에 따라 링거액의 소모를 감지토록 한 장치가 있으나, 이것은 링거액의 색상이나 투명도 및 주변의 조도 변화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오작동의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링거 용기 내부에 전극 또는 감지부를 삽입하여 링거액의 양을 감지토록 한 장치의 경우 링거용기에 삽입된 전극 또는 감지부에 의해 이물질과 세균등의 오염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링거의 부착 장치의 경우 링거의 수거 중 도난의 문제가 있을 수 있으며, 종래의 기술에서는 링거액의 잔량 및 종료시점만을 알려줌으로써, 사용자가 정확한 소요시간을 예측하기 어려워 링거 투여시 환자 또는 간병인이나 간호사 등 1명 이상이 링거를 게속 관찰 또는 주시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링거용기에 부착식이 아닌 기존의 링거 용기의 스탠드처럼 이용하면서, 센서(로드셀 등)에 의해 링거의 무게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자동으로 링거의 잔량 및 소요시간을 계산 및 표시함으로서 환자 또는 간병인, 간호사가 링거의 투여상태를 수시로 점검하고 잔여량을 관찰하거나, 장시간 집중하지 않아도 링거 소요시간을 알 수 있게 하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링거의 양이 얼마 남지 않은 시점, 혹은 링거의 투여가 막힘 등과 같은 현상에 대한 이상여부 시에 경고음 발생 및 무선 적외선 신호에 의한 병실 밖의 환자별 링거 종료 표시기에 램프 및 경고음 등을 발생시킴으로서 링거 투여 시 간병인이나 환자가 없어도 되도록 하는 장치이다. 또한, 이 장치는 간호사실의 컴퓨터에서 각 병실 별 환자 링거 종료 및 이상을 알 알 수 있는 병실 별 환자링거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링거 잔량 및 소요시간 표시기는 센서를 이용하여 링거 수액의 무게를 측정하여 잔량 및 마이크로 컴퓨터의 계산에 의해 남은 시간을 표시하며, 수액이 다 되거나 얼마 남지 않은 시점에 경고음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무선 적외선 신호로 병실 밖에서 환자의 링거 투요 종료를 알려주는 장치 및 간호사실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써 환자의 링거 투요 종료를 자동으로 알려주는 프로그램이 포함되어 있는 것도 특징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링거 잔량 및 소요시간 측정기 본체 구성도를 나타낸다. 스텐드 구조의 측정기의 링거 고리(11)에 링거(12)를 걸면 센서에 의해 자동으로 무게를 측정하여 링거의 잔량을 측정하여 링거 잔량 표시부(13)에 잔량이 표시된다. 또한 시간당 떨어지는 무게를 측정하여 링거의 투여 소요시간을 자동으로 계산하여 링거 소요시간 표시부(14)에 링거 투여 소요시간이 표시된다. 링거의 수액은 계속해서 줄어들고 있으므로, 만약에 링거의 막힘 또는 줄의 꼬임 등에 의해 수액이 투여되지 않을 경우에는 측정기가 이를 감지 할수 있으며, 이상 램프(15)를 깜빡임과 동시에 경고음을 발생시킨다. 링거의 수액이 정상적으로 투여되어 얼마 남지 않았을 시에는 완료 램프(16)를 깜빡이며 경고음을 발생시켜 환자 또는 간병인의 주의를 끈다. 이러한 링거 잔량 및 소요시간 측정기는 스텐드 구조(17)를 함으로써, 링거에 다른 측정기를 부착시킬 필요가 없이, 기존의 링거 스탠드처럼 이용하면 되므로 사용 시 전문 간호사의 도움이 계속적으로 필요가 없으며, 링거의 교환 또는 수거 등에 의해 측정기가 도난 될 문제점도 개선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링거 잔량 및 소요시간 측정기 전체를 나타낸다. 스탠드 구조의 측정기에 링거(12)가 걸리면 센서에 의해 자동으로 무게가 측정되며 링거가 환자에게 투여가 되면 자동으로 링거의 잔량 및 소요시간이 표시가 된다. 링거의 수액이 얼마 남지 않았거나, 없을 시에 완료 램프(16)를 켜고 신호음을 발생시킨다. 또한, 링거의 막힘 등에 의한 이상이 발생 시 이상 램프(15)을 켜고 신호음을 발생시킨다. 링거 잔량 및 소요시간 표시기 위에 적외선 발· 수광부(18)가 있으며, 병실 내벽에 위치한 적외선 발· 수광 모듈(22)과 무선으로 적외선 신호(21)를 주고 받는다. 신호(21)를 받은 적외선 모듈(22)은 종료 및 이상 유무에 따라 병실 외벽에 위치한 환자별 링거 종료 표시기(23)에 신호를 보내어 환자별 종료 및 이상램프 신호 및 경고음을 발생시킨다.
또한, 환자별 링거 종료 표시기는 유선(24)으로 간호사실의 컴퓨터(25)와 연결하여 간호사 실에서 컴퓨터 프로그램(26)으로 각 병실별 환자 링거 종료 및 이상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도면은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앞에서 개시한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등록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링거 잔량 및 소요시간 표시기는 환자가 링거 또는 수액을 투여하고자 할 시에 사용하는 것으로서, 링거의 무게를 센서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링거의 잔량 및 소요시간, 이상 유무 등을 알려주며, 환자나 간호사, 간병인이 예상 소요시간을 알 수 있어, 다른 업무를 계획하거나, 행할 때 기존의 링거 투여방법보다 상당한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링거의 종료 및 이상 유무를 적외선 무선 모듈로 병실 밖 및 간호사실의 컴퓨터 프로그램에서도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상시 대기자만이 아닌, 여러 사람에게도 환자의 링거에 의한 이상 유무를 주의 시킬 수 있는 장치이다. 이것은 링거에 의한 의료사고를 상당부분 줄여줄 것으로 예상된다.

Claims (4)

  1. 환자의 링거 투여에 있어서, 센서 측정으로 링거의 무게를 측정하여 링거의 잔량 및 소요시간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거 잔량 및 소요시간 표시기.
  2. 제 1항에 있어서,
    실시간으로 링거의 무게가 줄어드는 것을 감지하여 링거의 이상 유무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거 잔량 및 소요시간 표시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병실 내부에 적외선 발· 수광부를 두어 환자별 링거 잔량 및 소요시간 표시기에서 적외선 신호를 받아 병실 외부에 링거 종료 램프 및 신호음을 발생시키는 병실 내벽 적외선 무선모듈과 병실 외벽 환자별 링거 종료 표시기를 포함하는 링거 잔량 및 소요시간 표시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병실과 떨어진 간호사실에서 병실별 및 환자별로 링거의 종료 유무를 확인할수 있는 윈도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링거 잔량 및 소요시간 표시기.
KR2020060006685U 2006-03-13 2006-03-13 링거 잔량 및 소요시간 표시기 KR2004205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6685U KR200420523Y1 (ko) 2006-03-13 2006-03-13 링거 잔량 및 소요시간 표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6685U KR200420523Y1 (ko) 2006-03-13 2006-03-13 링거 잔량 및 소요시간 표시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3125A Division KR20070093238A (ko) 2006-03-13 2006-03-13 링거 잔량 및 소요시간 표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0523Y1 true KR200420523Y1 (ko) 2006-07-04

Family

ID=41769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6685U KR200420523Y1 (ko) 2006-03-13 2006-03-13 링거 잔량 및 소요시간 표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0523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164B1 (ko) * 2007-01-26 2008-04-16 박근호 링켈팩 곶이대
KR100922839B1 (ko) * 2008-04-21 2009-10-20 정세용 수액제 정맥주사상태 알람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43648A (ko) * 2016-10-20 2018-04-30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원격 수액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수액 모니터링 시스템
KR20180111283A (ko) * 2017-03-31 2018-10-11 서울대학교병원 수액 모니터링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164B1 (ko) * 2007-01-26 2008-04-16 박근호 링켈팩 곶이대
KR100922839B1 (ko) * 2008-04-21 2009-10-20 정세용 수액제 정맥주사상태 알람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09131266A1 (en) * 2008-04-21 2009-10-29 Se Yong Jeong Device for alarming a situation of the intravenous fluid injection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20180043648A (ko) * 2016-10-20 2018-04-30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원격 수액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수액 모니터링 시스템
KR101897000B1 (ko) 2016-10-20 2018-09-10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원격 수액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수액 모니터링 시스템
KR20180111283A (ko) * 2017-03-31 2018-10-11 서울대학교병원 수액 모니터링 장치
KR101962632B1 (ko) 2017-03-31 2019-03-27 서울대학교병원 수액 모니터링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93238A (ko) 링거 잔량 및 소요시간 표시기
US9545342B2 (en) Multifunctional medical monitoring system
AU2017225337B2 (en) Urine weighing apparatus
CN103054559A (zh) 尿量监测仪
US2023004091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ltrasonically Monitoring Urine Output
KR200420523Y1 (ko) 링거 잔량 및 소요시간 표시기
US20230058553A1 (en) Automated Urine Output System for Attachment to Hospital Bed
CN100448398C (zh) 一种指夹式血氧饱和度测量装置
CN107024580A (zh) 体液引流检测系统及体液引流检测方法
WO2015172246A1 (en) Multifunctional monitoring system comprising sensors attached to an absorbent article
CN207492218U (zh) 一种健康智能手环
CN103637811A (zh) 一种医用尿流量动态检测仪
KR20190002051A (ko) 무선형 하이브리드 펄스 옥시미터를 이용한 환자상태정보 제공시스템
JPH05305147A (ja) デジタル廃液測定機
KR200416092Y1 (ko) 약물주입기용 경보장치
CN206756832U (zh) 体液引流检测系统
CN214761960U (zh) 一种新型小便壶
CN202235332U (zh) 一种icu病房使用的体温测量与监控装置
WO2001082772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ement of a parameter of body fluid
CN112089896A (zh) 一种新型引流警示装置
ES2614412T3 (es) Sistema de hidratación de pacientes con detección de estado anómalo
Jeelani et al. Design, development and clinical validation of a novel urine output monitor
CN210871544U (zh) 一种共享一体式智能化基础生命体征监测仪
CN216365000U (zh) 多功能智能瞳孔笔
Chowdhary et al. IoT based Wearable Health Monitoring System for COVID-19 Pati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0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