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0447Y1 - A needle for needlework - Google Patents

A needle for needlewor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0447Y1
KR200420447Y1 KR2020060010190U KR20060010190U KR200420447Y1 KR 200420447 Y1 KR200420447 Y1 KR 200420447Y1 KR 2020060010190 U KR2020060010190 U KR 2020060010190U KR 20060010190 U KR20060010190 U KR 20060010190U KR 200420447 Y1 KR200420447 Y1 KR 2004204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hole
ear
thread
se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0190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시훈
Original Assignee
최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시훈 filed Critical 최시훈
Priority to KR20200600101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0447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04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0447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85/00Needles
    • D05B85/02Needles with slotted eyes, i.e. with a slit leading to the eye for thread inser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긴 봉형태로 형성되며 소정 길이를 가지는 바늘 몸체와; 바늘몸체의 일단에 뾰족하게 형성된 바늘 머리부와; 바늘몸체의 타단에 마련되며, 실이 삽입되는 구멍을 가지는 바늘귀;를 포함하며, 바늘귀의 소정 부분은 실을 외측에서 구멍 안쪽으로 강제로 밀어넣을 수 있도록 된 절개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느질용 바늘이 개시된다. 개시된 바늘을 이용하면, 실의 끝단을 바늘귀에 끼우는 번거로운 작업을 피해서 실을 바늘귀에 용이하게 꿸 수 있게 된다.A needle body having a long rod shape and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 needle head sharply formed at one end of the needle body; A needle ear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needle body and having a hole into which a thread is inserted, wherein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needle ear is provided with an incision to force the thread into the hole from the outside; This is disclosed. Using the disclosed needles, the thread can be easily held on the needle ear, avoiding the troublesome work of fitting the end of the thread to the needle ear.

바느질, 바늘, 바늘귀, 실 Sewing, needle, needle ear, thread

Description

바느질용 바늘{A needle for needlework}A needle for needlework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바느질용 바늘을 나타내 보인 도면.1 is a view showing a sewing need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2의 요부의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2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main part of FIG.

도 3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바느질용 바늘을 나타내 보인 도면.3 is a view showing a sewing need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바느질용 바늘을 나타내 보인 도면.4 is a view showing a sewing needl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의 요부의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5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main part of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jor Parts of Drawings>

1,2,3..바느질용 바늘 10,110,210..바늘 몸체1,2,3..Sewing needle 10,110,210 .. Needle body

20,120,220..바늘 머리부 30,130,230..바늘귀20,120,220..needle head 30,130,230..needle

31,231,231..구멍 32,132,232..절개부31,231,231..hole 32,132,232..incision

33,133,233..탄성부 40,140,240..실33,133,233..Elastic part 40,140,240 ..

본 고안은 바느질용 바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 궤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바느질용 바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edle for sew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needle for sewing that can facilitate an operation.

일반적으로, 바늘은 인류의 역사와 함께 사용되어 온 것으로서, 현대에 이르 러서는 다양한 종류의 바늘이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needles have been used with the history of humanity, and various types of needles are used in modern times.

일반적으로 바늘의 종류에는, 재봉용, 수예용, 십자수용, 의료용, 이과 실험용, 낚싯바늘, 돗바늘, 망뜨기 바늘, 축음기 바늘 등 여러 가지가 있다.In general, there are various kinds of needles, such as sewing, handicraft, cross stitch, medical, science experiment, fishing needle, needle, mesh needle, and gramophone needle.

상기와 같이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바늘 중에서 조각난 재료 예를 들어, 조각난 옷감이나 이불 등의 직물을 꿰맬 때 사용하는 바느질용 바늘(이하 '바늘'이라 함)은 바늘이 일단이 대상물을 찌르고 들어가도록 뾰족하게 이루어지고, 타단에는 실을 꿸 수 있도록 바늘귀가 마련된 구성을 가진다. 즉, 바늘은 대략 중앙부분에 해당되는 몸통과, 몸통의 일단에 최대한 가늘고 뾰족하게 형성된 바늘머리와, 반대쪽에 실을 끼우기 위한 바늘귀로 구성된다.Among the needles used for various purposes as described above, a sewing need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needle) used to sew a piece of fabric such as a piece of fabric or a quilt, which is called a needle, is pointed so that the needle penetrates the object. It is made, and the other end has a configuration provided with a needle ear to thread. That is, the needle is composed of a body corresponding to approximately the center portion, a needle head formed as thin and pointed as possible at one end of the body, and a needle ear for threading on the opposite side.

이러한 바늘은 굵기에 따라서 1 ∼ 12호가 있고, 호수가 작을수록 굵고 길며, 보통 바느질에는 6 ∼ 9호 바늘이 사용된다.These needles are numbered 1 to 12 depending on the thickness, and the smaller the lake is, the thicker and longer the needle is.

바늘은 직물을 꿰매기 전에 좁은 구멍 형태의 바늘귀에 실을 꿰야 하는데, 종래에는 바늘귀에 끼우는 실의 시작부분을 최대한 가늘고 뾰족하게 하여 실을 바늘귀의 구멍에 맞춰 끼워야 했다.Before sewing the fabric, the needle should be threaded into the needle-hole in the form of a narrow hole. In the past, the needle had to be threaded to the hole of the needle ear, making the beginning of the thread inserted in the needle ear as thin and pointed as possible.

이렇게 실을 바늘귀에 끼우는 작업은 최소한 1회 이상을 시도해야 제대로 실이 바늘귀에 꿰게 되므로, 비교적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하였다. 더군다나 시력이 좋지 않은 사용자는 바늘귀에 실을 끼우기 위해 안경을 쓴 후 수차례 반복하여야 하므로 매우 번거롭고, 바느질 자체가 불편해 질 수밖에 없었다.In this way, the needle threading operation requires at least one or more times, so that the thread is properly sewn on the needle ear, which requires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time and effort. In addition, users with poor eyesight have to repeat glasses several times after wearing glasses to thread the needle ear, which is very cumbersome and the sewing itself becomes inconvenient.

특히, 학생들이 많이 작업을 하는 십자수와 같은 경우에는 다른 색상의 실을 짧은 시간에 수시로 바꿔가면서 바늘귀에 실을 꿰어 주어야 한다. 따라서, 바늘귀 에 실을 쉽게 끼울 수 있도록 하는 여러 가지 도구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지만, 이를 사용시마다 분실의 우려가 많고, 바늘과 별도로 분리되어 있어 사용상에도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cross stitches, where students work a lot, they need to change the thread of different colors in a short time, and then thread the needle. Therefore, a variety of tools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to easily thread the needle ear, but there is a risk of loss every time they are used, and is separated from the needle, which is inconvenient in use.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바늘귀에 손쉽게 실을 꿸 수 있도록 바늘귀의 구조가 개선된 바느질용 바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wing needle with an improved structure of the needle ear to easily thread the needle ea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느질용 바늘은, 긴 봉형태로 형성되며 소정 길이를 가지는 바늘 몸체와; 상기 바늘몸체의 일단에 뾰족하게 형성된 바늘 머리부와; 상기 바늘몸체의 타단에 마련되며, 실이 삽입되는 구멍을 가지는 바늘귀;를 포함하며, 상기 바늘귀의 소정 부분은 실을 외측에서 상기 구멍 안쪽으로 강제로 밀어넣을 수 있도록 된 절개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Sewing needl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needle body is formed in a long rod shape and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 needle head sharply formed at one end of the needle body; And a needle ear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needle body and having a hole into which the thread is inserted, wherein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needle ear is provided with a cut portion forcing the thread to be forced into the hole from the outside. .

여기서, 상기 바늘귀는 상기 절개부를 기준으로 상기 바늘몸체에서 더 먼 부분에 마련되어 외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변형 가능한 탄성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needle ear preferably has an elastic portion that is provided at a portion farther from the needle body with respect to the incision, and is elastically deformable by external force.

또한, 상기 절개부는, 상기 실을 상기 바늘귀의 상단에서 하단쪽으로 밀어넣을 수 있도록 된 경사면을 가지는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incision portion, it is preferable to have an inclined surface to be able to push the thread 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end of the needle.

또한, 상기 바늘귀의 구멍은 장공이며, 상기 절개부는 상기 장공의 하단쪽에 형성된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hole of the needle ear is a long hole, the incision is preferably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long hole.

또한, 상기 절개부는 실의 두께보다 큰 간격을 가지는 입구와, 상기 입구보다 좁은 간격을 가지며 상기 바늘귀의 구멍과 연결되는 좁은 부분을 갖는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cutout may have an inlet having a gap lar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thread, and a narrow portion having a narrower gap than the inlet and connected to the hole of the needle ear.

또한, 상기 탄성부의 상기 구멍 안쪽 면에는 꿰매진 실이 상기 절개부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이 형성된 것이 좋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locking step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le of the elastic portion to prevent the sewn thread from moving toward the cutout portion.

또한, 상기 절개부는 상기 구멍의 하단쪽에 마련된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cutout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hole.

또한, 상기 절개부를 기준으로 상기 바늘귀의 상부는 상기 바늘몸체와는 다른 칼라로 형성된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upper part of the needle ear on the basis of the incision may be formed in a different color than the needle body.

또한, 상기 절개부를 기준으로 한 상기 바늘귀의 상부는 형광물질을 포함하여 형성된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upper part of the needle ear on the basis of the incision may be formed including a fluorescent material.

또한,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절개부를 기준으로 다른 부분과 구분되도록 형광물질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elastic part may include a fluorescent material to be distinguished from other parts based on the incis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바느질용 바늘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sewing need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바느질용 바늘(1)을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sewing needle 1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바느질용 바늘(1)은, 소정 길이를 가지는 바늘 몸체(10)와, 상기 바늘 몸체(10)의 일단에서 뾰족하게 연장된 바늘 머리부(20)와, 상기 바늘 머리부(20)와는 반대쪽으로 상기 바늘 몸체(10)의 타단에 형성된 바늘귀(30)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ure 1, the sewing needle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eedle body 10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needle head extending sharply from one end of the needle body 10 And a needle ear 30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needle body 10 on the opposite side to the needle head 20.

상기 바늘 몸체(10)는 바늘의 종류에 따라서 다양하게 형성되며, 그 길이 및 두께는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즉, 바늘은 굵기에 따라서 1 ∼ 12호가 있고, 호수가 작을수록 굵고 길며, 보통 바느질에는 6 ∼ 9호 바늘이 사용된다. 이와 같이 바늘의 호수를 결정하는 부분이 바늘 몸체(10)에 해당된다. 이 바늘 몸체(10)는 그 단면형상이 원통형상, 타원형상, 다각형상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예가 가능하다.The needle body 10 is form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needle, the length and thickness thereof can be various embodiments. That is, the needle has 1-12 according to thickness, and the smaller the lake is, the thicker and longer, and 6-9 needles are used for sewing normally. In this way, the portion for determining the needle lake corresponds to the needle body (10). The needle body 10 may have various examples, including a cylindrical, elliptical, polygonal, and the like in cross section.

상기 바늘 머리부(20)는 끝이 뾰족하여 대상물 즉, 옷감이나 직물 등을 뚫을 수 있게 형성된다. 이 바늘 머리부(20)는 소정 길이로 형성되며, 바늘 몸체(10)와 일체로 형성된다.The needle head 20 is formed to be able to penetrate the object, that is, cloth or fabric with a sharp pointed end. The needle head 20 is formed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needle body 10.

또한, 상기 바늘 머리부(20)는 바늘의 사용 용도에 따라서 직선형으로 또는 원호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needle head 20 may be formed in a straight or arc-shaped according to the use of the needle.

상기 바늘귀(30)는 실(40)을 꿰기 위한 부분으로써, 바늘 몸체(10)의 타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바늘귀(30)는 실(40)이 꿰지는 구멍(31)을 가진다. 상기 구멍(31)에 실(40)을 용이하게 꿸 수 있도록 바늘귀(30)는 절개부(32)를 가진다.The needle ear 30 is a portion for sewing the thread 40, it is preferably formed integrally with the other end of the needle body (10). The needle ear 30 has a hole 31 in which the thread 40 is sewn. The needle ear 30 has an incision 32 so that the thread 40 can be easily held in the hole 31.

상기 절개부(32)는 바늘귀(30)의 외측에서 구멍(31)으로 실의 끝단이 아닌 중간 부분을 직접 끼워 넣음으로써, 구멍(31)에 실(40)을 용이하게 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절개부(32)는 실(40)의 두께보다는 작은 간격을 가지는 것이 좋다. 따라서, 절개부(32)를 기준으로 하여 바늘 몸체(10)에서 먼 쪽에 위치한 부분 즉, 탄성부(33)가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서 탄성부(33)는 외력 즉, 실(40)에 의해 눌리는 힘에 의해서 탄력적으로 구멍(31) 쪽으로 변형될 수 있도록 얇은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The cut-out portion 32 is for making the thread 40 easily be inserted into the hole 31 by directly inserting an intermediate part of the needle 31 into the hole 31 from the outside of the needle ear 30. . Preferably, the cutout 32 may have a smaller spacing than the thickness of the seal 40.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portion located away from the needle body 10, that is, the elastic portion 33, can be elastically deformable based on the cutout 32. To this end, the elastic portion 33 is preferably formed to a thin thickness so that it can be elastically deformed toward the hole 31 by the external force, that is, the force pressed by the seal 40.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부(32)는 바늘을 세워 놓은 상태에서 바늘귀(30)의 상부에서 하부 쪽으로 실(40)을 탄성부(33)에 대고 누르면, 탄성부(33)가 구멍(31) 안쪽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절개부(32)가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벌어지게 된다. 따라서, 그 벌어진 절개부(32)를 따라 실(40)이 가이드되어 구멍(31)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절개부(32)의 서로 마주하는 면은 서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the cutout portion 32 presses the thread 40 against the elastic portion 33 from the upper portion to the lower portion of the needle ear 30 while the needle is upright, and the elastic portion 33. Is elastically deformed into the hole 31, the incision 32 is opened as shown by the virtual line.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urfaces facing each other of the cut portions 32 are formed to be inclin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seal 40 can be guided and inserted into the holes 31 along the opened cut portions 32.

따라서, 절개부(32)의 간격보다 두꺼운 실을 구멍(31)에 끼워넣을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thread thicker than the space | interval of the cutout part 32 can be inserted in the hole 31. FIG.

이와는 반대로, 구멍(31)에 실(40)이 끼워진 다음에는, 탄성부(33)는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어 절개부(32)는 다시 좁아진다. 따라서, 일단 구멍(31)에 끼워진 실(40)은 절개부(32)를 통해서는 쉽게 빠지지 않게 된다.On the contrary, after the seal 40 is fitted into the hole 31, the elastic portion 33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the cutout portion 32 narrows again. Therefore, the thread 40 once inserted into the hole 31 is not easily pulled out through the cutout 32.

또한, 바늘귀(30)의 구멍(31)은 상하로 장공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절개부(32)는 상기 장공 형태의 구멍(31)의 대략 하측에 치우치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hole 31 of the needle ear 30 is formed in the form of a long hole up and down. In addition, the cutout 32 may be formed to be biased to approximately the lower side of the hole 31 in the form of a long hole.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바느질용 바늘(2)의 경우에는 바늘 몸체(110)의 상부에 형성된 바늘귀(130)의 내측에 걸림턱(135)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턱(135)은 바늘귀(130)의 구멍(131)에 삽입된 실(140)이 절개부(132) 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함으로 써, 구멍(131)에서 실(140)이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in the case of the sewing needle 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king jaw 135 is formed inside the needle ear 130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needle body 110. It is preferably formed. The locking jaw 135 serves to block the movement of the thread 140 inserted into the hole 131 of the needle ear 130 toward the cutout 132, so that the thread 140 is formed in the hole 131. Do not fall easily.

이러한 걸림턱(135)은 바람직하게는 절개부(132)를 기준으로 상부에 위치한 탄성부(133)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늘의 경우에도 구멍(131)에 실(140)을 꿰는 방법은 동일하며, 그 동작은 도 2에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쉽게 예측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locking jaw 135 is preferably formed integrally with the elastic portion 133 located above the cutout 132. Of course, in the case of the needle shown in FIG. 3, the method of threading the thread 140 in the hole 131 is the same, and the operation thereof can be easily predict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 shown in FIG. Shall be.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바느질용 바늘(3)은 바늘 몸체(210)와, 바늘 몸체(210)의 일단으로 뾰족하게 연장형성된 바늘 머리부(220)와, 바늘 몸체(210)의 타단 즉, 상부로 일체로 형성된 바늘귀(230)를 구비한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ure 4, the needle 3 for sewing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needle head 210 and the needle head 220 is formed to be pointed to extend to one end of the needle body 210 and , The other end of the needle body 210, that is, the needle ear 230 integrally formed thereon.

여기서, 상기 바늘 몸체(210)와 바늘 머리부(220)는 앞서 도 1 및 도 2를 통해 설명한 제1실시예에 따른 바느질용 바늘(1)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 the needle body 210 and the needle head 220 is the same as the structure of the sewing needle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상기 바늘귀(230)는 실(240)이 꿰지는 구멍(231)을 가진다. 상기 구멍(231)은 상하고 소정 길이의 장공 즉, 긴 슬롯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장공(231)은 소정 부분이 바늘귀(230)의 외측과 절개부(232)에 의해 연통된다. 상기 절개부(232)는 바람직하게는 바늘귀(230)의 바늘 몸체(210)에 인접한 부분에 형성된다. 즉, 절개부(232)는 구멍(231)의 최하단 쪽에 소정 간격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좋다. 따라서, 바늘(3)을 가지고 바느질을 할 때에는, 절개부(232)를 통해 구멍(231)으로 삽입된 실(240)은 구멍(231)의 상단 쪽으로 치우치게 되어 있으므로, 절개부(232)를 통해 다시 빠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The needle ear 230 has a hole 231 through which the thread 240 is sewn. The hole 231 is formed in the shape of a long hole of a predetermined length, that is, a long slot. And the long hole 231 is a predetermined portion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of the needle ear 230 and the incision 232. The cutout 232 is preferably formed at a portion adjacent to the needle body 210 of the needle ear 230. That is, the cutout 232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interval at the lowermost side of the hole 231. Therefore, when sewing with the needle 3, the thread 240 inserted into the hole 231 through the cutout 232 is biased toward the upper end of the hole 231, and thus through the cutout 232. Falling back can be prevented.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절개부(232)는 대략 'ㄴ'자 형태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ㄴ'자 형태로 형성된 절개부(232)는 그 입구(도면에서 좌우로 절개된 부분, 232a)는 실(240)의 두께보다 크고, 상하로 절개된 부분은 즉, 구멍(231)에 인접한 부분(232b)은 실(240)의 두께보다 작은 간격을 가지는 것이 좋다. 그리고, 절개부(232)의 상측에는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부(233)가 마련된다. 상기 탄성부(233)는 외력에 의해 탄성 변형 가능한 부분으로써, 바늘귀(230)의 대부분을 차지하게 된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ure 5, the cutout 232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b' shape. In this way, the incision 232 formed in the shape of 'b' has its inlet (part cut in left and right in the drawing, 232a) lar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thread 240, and the part cut up and down, that is, the hole 231 The portion 232b adjacent to it is preferred to have a spacing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eal 240. In addition, an elastic part 233 that is elastically deformable is provided above the cutout 232. The elastic portion 233 is elastically deformable by external force and occupies most of the needle ear 230.

한편, 상기 구성을 가지는 제3실시예에 따른 바늘(3)은 구멍(231)에 바늘(240)을 꿰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입구(232a)에 먼지 실(240)을 끼운다. 그런 다음, 상기 부분(232b) 쪽으로 실(240)을 끌어올리면, 도 5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233)가 바깥쪽 즉, 화살표 방향으로 탄성변되면서 상기 부분(232b)이 강제로 벌어진다. 따라서, 벌어진 부분(232b)을 통해서 실(240)이 구멍(231)으로 쉽게 꿰질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needle 3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the needle 240 is to be inserted into the hole 231, the dust seal 240 is inserted into the inlet 232a. Then, pulling up the seal 240 toward the portion 232b, as shown in the virtual line in Figure 5, the elastic portion 233 is elastically changed outward, that is, the direction of the arrow while the portion 232b is Forced to happen Accordingly, the thread 240 can be easily threaded into the hole 231 through the gaped portion 232b.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실을 구멍(231)에 꿰게 되면, 종래와 같이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지 않고도 누구나 용이하게 바늘귀(230)에 실(240)을 꿸 수 있게 된다. 또한, 실(240)이 구멍(231)에 꿰진 상태에서는 탄성부(233)가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므로, 다시 원래래도 좁아진 부분(232b)으로는 실(240)이 저절로 빠지지 않게 된다.When the thread is sewn into the hole 231 by this method, anyone can easily thread the thread 240 to the needle ear 230 without using a separate tool as in the related art. In addition, since the elastic portion 233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in the state where the thread 240 is sewn into the hole 231, the thread 240 does not fall into the original portion 232b.

상기와 같이 절개부(232)에 입구(232a)보다 좁은 부분(232b)을 형성하게 되면, 특히 상기 부분(232b)을 실(240) 두께보다 좁게 형성함으로써, 실(240)을 용이 하게 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이하게 실(240)이 빠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절개부(232)에 좁은 부분(232b)을 형성하게 되면, 구멍(231)의 하단족에는 단차부(234)가 자연스럽게 형성될 수 있게 된다.When the portion 232b narrower than the inlet 232a is formed in the cutout 232 as described above, in particular, the portion 232b is formed to be narrower than the thickness of the thread 240 so that the thread 240 can be easily detached. In addition, the seal 240 can be easily prevented from falling out. When the narrow portion 232b is formed in the cutout 232 as described above, the stepped portion 234 may be naturally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hole 231.

또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바늘(3)의 경우에도, 상기 바늘귀(230), 더욱 구체적으로는 탄성부(233)를 다른 부분(210,220)과는 구별되는 칼라로 형성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바늘귀(230)의 탄성부(233)를 형광물질을 포함시켜서 형성하게 되면, 어두운 곳에서도 쉽게 마늘귀(230)를 찾아서 실을 용이하게 꿸 수 있는 이점을 갖게 된다.Also, in the case of the needle 3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4 and 5, the needle ear 230, more specifically, the elastic portion 233 is different from the other portions 210 and 220. It can be formed in a distinct color. Preferably, when the elastic portion 233 of the needle ear 230 is formed by including a fluorescent material, it has an advantage that can easily find the garlic ear 230 in the dark place to easily threa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바느질용 바늘에 따르면, 바늘의 바늘귀 구멍을 외측과 연통시키는 절개부를 형성함으로써, 그 절개부를 통해 실을 용이하게 꿸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ewing nee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n incision that communicates the needle-ear hole of the needle with the outside, it is possible to easily thread through the incision.

특히, 절개부에 인접하여 탄성부를 마련함으로써, 상기 탄성부를 강제로 변형시키면서 절개부를 벌릴 수 있기 때문에, 절개부를 좁게 형성하더라도 실을 용이하게 꿸 수 있으며, 반대로 꿰진 실이 절개부를 통해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by providing an elastic portion adjacent to the cutout portion, the cutout portion can be opened while forcibly deforming the elastic portion, so that even if the cutout portion is narrowly formed, the thread can be easily squeezed, and conversely, the thread is prevented from being easily pulled out through the cutout portion. You can do it.

또한, 바늘귀 부분 특히, 탄성부 부분을 형광물질을 이용하여 다른 부분과 쉽게 구분될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특히 어두운 곳에서도 바늘귀를 쉽게 찾아서 실을 용이하게 꿸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by forming the needle ear portion, in particular the elastic portion portion so as to be easily distinguished from other parts by using a fluorescent material,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easily find the needle ear easily in particular, even in dark places.

이상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 였다. 그러나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위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와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수정과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Above,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y person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belong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ould be possible.

Claims (10)

긴 봉형태로 형성되며 소정 길이를 가지는 바늘 몸체와;A needle body having a long rod shape and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상기 바늘몸체의 일단에 뾰족하게 형성된 바늘 머리부와;A needle head sharply formed at one end of the needle body; 상기 바늘몸체의 타단에 마련되며, 실이 삽입되는 구멍을 가지는 바늘귀;를 포함하며,It is provided on the other end of the needle body, the needle ear having a hole into which the thread is inserted; 상기 바늘귀의 소정 부분은 실을 외측에서 상기 구멍 안쪽으로 강제로 밀어넣을 수 있도록 된 절개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느질용 바늘.The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needle ear is a sewing needl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ision portion is provided to force the thread from the outside into the ho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귀는 상기 절개부를 기준으로 상기 바늘몸체에서 더 먼 부분에 마련되어 외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변형 가능한 탄성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느질용 바늘.The needle for sewing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needle ear has an elastic part provided at a part farther from the needle body with respect to the incision, and elastically deformable by external for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실을 상기 바늘귀의 상단에서 하단쪽으로 밀어넣을 수 있도록 된 경사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느질용 바늘.The needle of claim 1, wherein the cutout has an inclined surface to push the thread from an upper end of the needle ear to a lower end.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귀의 구멍은 장공이며, 상기 절개부는 상기 장공의 하단쪽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느질용 바늘.The needle for sewing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hole of the needle ear is a long hole, and the cutout is formed at a lower end side of the long hol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실의 두께보다 큰 간격을 가지는 입구와, 상 기 입구보다 좁은 간격을 가지며 상기 바늘귀의 구멍과 연결되는 좁은 부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느질용 바늘.The needle for sewing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cutout has an inlet having a gap lar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thread, and a narrow portion having a narrower gap than the inlet and connected to the hole of the needle ea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의 상기 구멍 안쪽 면에는 꿰매진 실이 상기 절개부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느질용 바늘.The needle for sewing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a hooking jaw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le of the elastic portion to prevent the sewn thread from moving toward the cutout portion.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구멍의 하단쪽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느질용 바늘.The needle for sewing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cutout is provided at a lower end side of the hol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를 기준으로 상기 바늘귀의 상부는 상기 바늘몸체와는 다른 칼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느질용 바늘.According to claim 7, Sewing needl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needle ear based on the incision is formed in a different color than the needle body.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를 기준으로 한 상기 바늘귀의 상부는 형광물질을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느질용 바늘.The needle of claim 7, wherein an upper portion of the needle ear based on the incision is formed by including a fluorescent materia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절개부를 기준으로 다른 부분과 구분되도록 형광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느질용 바늘.According to claim 2, The elastic portion sewing need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luorescent material to be distinguished from other parts based on the incision.
KR2020060010190U 2006-04-17 2006-04-17 A needle for needlework KR20042044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0190U KR200420447Y1 (en) 2006-04-17 2006-04-17 A needle for needle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0190U KR200420447Y1 (en) 2006-04-17 2006-04-17 A needle for needlework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4449A Division KR20070102798A (en) 2006-04-17 2006-04-17 A needle for needlewor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0447Y1 true KR200420447Y1 (en) 2006-07-03

Family

ID=41769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0190U KR200420447Y1 (en) 2006-04-17 2006-04-17 A needle for needlewor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0447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96248B2 (en) Embroidery data processing apparatus, embroidery sewing machin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recorded embroidery data processing program
TWI614382B (en) Embroidery cloth applicator
KR200420447Y1 (en) A needle for needlework
KR20070102798A (en) A needle for needlework
KR101068067B1 (en) Sewing machine needle
JP3181298U (en) Sewing machine needle clamp
US8590467B2 (en) Construction of vertical full rotary hook for sewing machine
JP2008018149A (en) Sewing needle
US3754693A (en) Needle
CN109680424B (en) Sewing machine needle
KR200378996Y1 (en) Needle for Sewing
JP5285192B1 (en) Threader
KR20220002624U (en) safety pin needle
CN214547710U (en) Button convenient for threading and sewing
US7513202B2 (en) Stitching system and method
JP3156742U (en) Sewing needle for quick threading
US20080021588A1 (en) Embroidery data processing apparatus, embroidery data processing program recorded on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sewing machine
KR900702115A (en) Cross-stitch sewing machine to form cross-stitch sutures with several strands of thread
JP7486159B2 (en) Craft Needles
KR20110006969U (en) The device to fix into yarn for thread
KR200181105Y1 (en) A ease thread needle
KR200408803Y1 (en) Needle With Ring
JP2013220211A (en) Semi-rotary hook for sewing machine
US2200897A (en) Umbrella
JP3058530U (en) Sewing need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