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0291Y1 - 손전등 - Google Patents

손전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0291Y1
KR200420291Y1 KR2020060010622U KR20060010622U KR200420291Y1 KR 200420291 Y1 KR200420291 Y1 KR 200420291Y1 KR 2020060010622 U KR2020060010622 U KR 2020060010622U KR 20060010622 U KR20060010622 U KR 20060010622U KR 200420291 Y1 KR200420291 Y1 KR 2004202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dissipation
head
flashlight
light emitter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06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상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텍
Priority to KR20200600106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02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02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029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8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 situ recharging of the batteries or cells
    • F21L4/085Pocket 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8Devices for easy attachment to any desired place, e.g. clip, clamp, magnet
    • F21V21/088Clips; C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방열 특성, 촉감 및 작동 신뢰성이 우수한 손전등은, 일단부가 개방된 실린더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건전지를 수용하기 위한 수납공간이 마련되고 촉감 증대와 경량화를 위하여 비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몸체, 양단부가 개방된 실린더 형상으로 제조되어 몸체의 일단부에 결합되고 내주면을 따라 지지단이 형성되어 지지단의 전면에 발광체가 배치되고 후면에는 발광체와 건전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단자판이 배치되며, 비전도성 물질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진 헤드 및 일단부가 헤드 외부로 노출되도록 헤드 내부에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지지단과 발광체 사이에 배치되며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져 발광체로부터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방열 부재를 포함한다. 헤드는 단부에는 방열 부재를 부분적으로 노출시키기 위한 돌기들이 형성될 수 있고, 몸체의 외측에는 자력을 이용하여 손전등을 온/오프시키는 스위치 모듈이 배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손전등{FLASH LIGHT}
도 1은 본 고안의 일 관점에 따른 손전등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손전등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몸체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손전등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한 헤드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에에 따른 고정 클립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에에 따른 고정 클립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전등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손전등 105:건전지
110:몸체 111:숫나사
112:수납공간 114:가이드 빔
116:스위치 홈 117:걸림홈
118:가이드 랙 120:스위치 모듈
121:제2 자성체 122:스위치 커버
124:자석 스위치 130,430:헤드
132:지지단 135:나사공
137:체결구 140:단자판
141:전면 142:저항
143:전면 양극단자 144:전면 음극단자
150:발광체 158:양의 리드
159:음의 리드 160,460:방열 부재
161:체결공 162:제1 방열부
163:발광체 홈 164:제2 방열부
166:제3 방열부 168:도전라인 통로
170:건전지 랙 171:제1 자성체
172:수용 공간들 174:가이드 홈
175:양극단자 176:음극단자
180,280,380:고정 클립 181,281,381:결합부
182,282,382:가이드 레일 183,283,383:누름판
184,284,384:걸림 돌기 185,285,385:파지부
186:제1 집게판 187:제2 집게판
190:렌즈 모듈 192:렌즈 하우징
193:숫나사 194:렌즈
196:투명창 289:스프링
386:제1 고리 387:제2 고리
388:힌지 체결구 431:접촉 방지부
432:돌기
본 고안은 손전등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evice:LED)를 광원으로 갖는 손전등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반도체 기술의 발달로 고휘도 LED 소자들이 개발됨에 따라, 고휘도 LED 소자를 광원으로 사용한 손전등이 개발되어 상품화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LED는 일반 필라멘트 전구 또는 방전 램프에 비해 사용 수명이 장시간, 예컨대 100,000시간 정도로 거의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하고, 소비 전력이 매우 작아 필라멘트 전구에 비하여 건전지의 소모가 적어서 경제적이다.
이러한 LED를 광원으로 갖는 종래의 손전등(이하, LED 손전등이라 한다)은 건전지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통, 수납통의 후단에 설치된 캡, 수납통의 선단 내부에 배치된 램프 모듈, 및 수납통의 선단에 설치된 렌즈 모듈을 포함한다.
캡은 건전지의 양극과 음극을 램프 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램프 모듈에 구비된 LED로부터 광이 발생되도록 한다. 렌즈 모듈은 광에 직진성을 부여하여 원하는 장소를 조명할 수 있도록 한다.
종래의 일반적인 LED 손전등은 일반 필라멘트 전구와 달리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하고, 소비 전력이 상대적으로 적다는 장점 외에, 발열량이 상대적으로 많 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발열량이 높다는 것은 발광을 위한 에너지가 열로 방출되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곧 광효율 저하로 이어지게 된다. 또한, 발광 다이오드가 과열될 경우, 그 수명이 급격히 저하되게 된다. 더구나, 손전등의 램프로 사용 시의 발광 다이오드는 헤드부의 밀폐된 공간 내에 설치되어 외기와 차단된 상태로 유지되므로 발광다이오드의 자체 열저항 특성에 의하여 발광 다이오드의 주변 온도가 보다 빠르게 상승하게 된다. 심지어,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가 아니라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들을 램프로 사용한 경우에는 주변온도가 복수배로 상승하게 되므로, 장시간 발광다이오드를 점등하게 되면 발광 다이오드가 순간적으로 밝아졌다가 어두워지는가 하면, 고열에 의하여 발광 다이오드가 손상되는 문제점 등이 발생하였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발광 다이오드의 열을 손전등의 몸체로 전달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 경우, 발광 다이오드와 건전지를 연결하는 구조가 복잡해져 제조 단가가 상승하고 잔고장이 자주 발생하는 문제가 유발되었다.
또한, 종래의 일반적인 LED 손전등은 몸체를 도전 라인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손전등의 몸체를 전도성이 우수한 금속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겨울날 사용자가 손전등을 파지할 경우, 손전등의 냉기가 사용자에게 전달되어 촉감이 좋지 않았다. 이외에도 손전등의 몸체를 금속으로 제조할 경우, 제조비용이 비교적 고가이고, 형상 가공도 어려우며 어렵고 나아가 손전등의 무게도 증가하는 등 많은 다른 문제들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손전등을 모두 비전도성 물질로 제조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지만, 이 경우 손전등의 몸체를 도전 라인으로 이용하지 못하여 도 전 라인을 별도로 형성하여야 하며, 방열 특성도 불량하여 LED의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따라서 발광다이오드를 램프로 사용한 손전등에서는 장시간 사용 시에도 균일한 밝기를 유지할 수 있도록 방열설계를 어떻게 할 것인지와 비전도성 물질로 몸체를 제조하더라도 발광다이오드와 건전지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는 구조 설계가 연구되지 않으면 안되었다.
본 고안은 우수한 방열 특성을 가져 장시간 고휘도의 광을 방출할 수 있으며 촉감도 우수하고 작동신뢰성도 보장되는 손전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견지에 따른 손전등은, 내부에 건전지를 수용하기 위한 수납공간을 갖고, 제1 비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몸체, 몸체의 일단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발광체가 배치되며, 제2 비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헤드 및 몸체 또는 헤드 중 어느 하나의 표면에 일부가 노출되게 배치되어 발광체로부터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방열 부재를 포함한다.
이 경우, 방열부재의 노출면은 몸체 또는 헤드의 표면 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견지에 따른 손전등은, 일단부가 개방된 실린더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건전지를 수용하기 위한 수납공간이 마련되고 촉감 증대와 경량화를 위하여 비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몸체, 양단부가 개방된 실린더 형상으로 제조되어 몸체의 일단부에 결합되고 내주면을 따라 지지단이 형성되어 지지단의 전면(front surface)에 발광체가 배치되고 후면(back surface)에는 발광체와 건전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단자판이 배치되며 비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헤드, 및 헤드로부터 부분적으로 노출되도록 헤드 내부에 삽입되어 지지단과 발광체 사이에 위치하며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져 발광체로부터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방열 부재를 포함한다.
이 경우, 방열 부재는, 지지단과 발광체 사이에 배치되고 발광체의 양단자에 대응하는 위치에 양단자와 단자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도전라인들의 통로가 형성된 제1 방열부, 제1 방열부의 둘레로부터 헤드의 내주면을 따라 헤드의 일단부까지 형성된 제2 방열부 및 제2 방열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헤드의 외부로 노출되며 후면에 헤드의 일단부가 밀착되는 제3 방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방열부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방열부의 외경은, 헤드의 일단부의 외경과 실질적으로 같거나, 헤드의 일단부의 외경보다는 작고 내경보다는 클 수 있다. 헤드의 일단부에는 방열부재에 사용자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3 방열부를 부분적으로 덮는 접촉 방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손전등의 전체적인 촉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손전등의 무게도 줄일 수 있다. 또한, 발광체로부터 발생된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할 수 있으며, 스위치로 인한 손전등의 고장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나아가 손전등을 피대상물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고안이 하기의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보다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과 특징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관점에 따른 손전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손전등의 분해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몸체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손전등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손전등(100)은 몸체(110), 헤드(130), 발광체(150), 방열 부재(160), 건전지 랙(170) 및 렌즈 모듈(190)을 포함한다.
몸체(110)는 전체적으로 일단부가 개방된 실린더 형상을 갖는다. 몸체(110)의 내부에는 건전지 랙(170)을 수용하기 위한 수납공간(112)이 형성된다. 수납공간(112)에는 건전지 랙(170)의 자세를 고정하기 위한 가이드 빔(114)이 형성된다.
가이드 빔(114)은 몸체(110)의 내면에 몸체(110)의 연장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가이드 빔(114)은 이하 설명할 건전지 랙(170)의 가이드 홈(174)에 삽입되어 몸체(110) 내에서의 건전지 랙(170)의 자세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건전지 랙(170)은 복수개의 건전지들(105)을 효과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부재로서, 전체적으로 몸체(110)의 내경보다는 작은 외경의 원통 형상을 갖는다. 건전지 랙(170)의 하측면에는 가이드 빔(114)과 대응된 형상을 갖는 가이드 홈(174)이 형성된다. 건전지 랙(170)은 가이드 홈(174)에 가이드 빔(114)이 삽입되는 자세로 몸체(110)에 수납된다.
건전지 랙(170)의 둘레에는 건전지들(105)을 각기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들(172)이 마련된다. 건전지들(105)은 수용 공간들(172)에 각각 삽입되는데, 이 경우, 건전지들(105)은 직렬 연결되도록 음극과 양극이 교호적으로 바뀌도록 배치된다. 이외에도 건전지들(105)은 병렬 연결되도록 음극과 음극이 모두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건전지 랙(170)의 상단부에는 양극단자(175)와 음극단자(176)가 형성된다. 양극단자(175)는 건전지들(105)의 양극들에 연결되고, 음극단자(176)는 건전지들(105)의 음극들에 연결된다. 양극단자(175)와 건전지들(105)의 양극들은 건전지 랙(170)에 내장된 제1 도전라인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음극단자(176)와 건전지들(105)의 음극들은 건전지 랙(170)에 내장된 제2 도전라인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건전지 랙(170)의 상측면에는 상기 제1 도전라인을 선택적으로 단락시키는 제1 자성체(171)가 내장된다.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제1 자성체(171)는 양극단자(175)와 건전지들(105)의 양극들을 단락시키는 제1 위치와, 양극단자(175)와 건전지들(105)의 양극들을 연결하는 제2 위치로 유동된다. 제1 자성체(171)는 이하 설명할 자석 스위치(124)에 의하여 유동된다.
몸체(110)의 외측면에는 스위치 모듈(120)이 배치되는 스위치 홈(116)이 형성된다. 스위치 홈(116)은 몸체(110)에 삽입된 건전지 랙(170)의 제1 자성체(171)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몸체(110) 내에 수납된 건전지 랙(170)의 제1 자성 체(171) 상부에 스위치 모듈(120)이 위치한다. 이와 같은 스위치 모듈(120)과 건전지 랙(170)의 얼라인은 건전지 랙(170)을 몸체(110)에 삽입함과 동시에 완료된다. 이는, 건전지 랙(170)이 몸체(110) 내에 항상 일정한 자세로 삽입되어야만, 가이드 홈(174)에 가이드 빔(114)이 결합되기 때문이다.
스위치 홈(116)에 배치된 스위치 모듈(120)과 몸체(110)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아도 된다. 단지, 스위치 모듈(120)은 몸체(110)에 물리적으로만 고정되어 있으면 된다.
스위치 모듈(120)은 발광체(150)와 건전지(105)를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손전등(100)을 온/오프(ON/OFF) 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스위치 모듈(120)은 스위치 모듈(120)의 외형을 이루는 스위치 커버(122)와 스위치 커버(122) 내에 배치된 자석 스위치(124)를 포함한다. 자석 스위치(124)는 스위치 커버(122) 내에서 유동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자석 스위치(124)는 손전등(100)을 오프(Off)시키는 제1 위치와 온(On)시키는 제2 위치로 유동될 수 있다. 이 경우, 스위치 커버(122) 내에는 손전등(100)을 노말 오프(normally off)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자석 스위치(124)를 상기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프링이 내장될 수 있다.
자석 스위치(124)는 제2 자성체(121)를 포함한다. 제2 자성체(121)의 극성은 건전지 랙(170)에 내장되는 제1 자성체(171)의 극성에 대응하게 선택된다. 예를 들어, 제1 자성체(171)가'S'극일 경우 제2 자성체(121)는'N'극을 갖고, 제1 자성체(171)가'N'극일 경우 제2 자성체(121)는'S'극을 가질 수 있다. 이외에도, 제1 자 성체(121)는 제2 자성체(121)에 의하여 상대적으로 극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자석 스위치(124)는 자력을 이용하여 제1 자성체(171)를 제1 위치와 제2 위치로 이동시킨다. 즉, 자석 스위치(124)에 의하여 양극단자(175)와 건전지들(105)의 양극들이 연결 또는 단락된다. 이하, 설명하겠지만 손전등(100)은 양극단자(175)와 건전지들(105)의 양극들의 연결여부에 따라서 온(On)/오프(Off)된다.
전술한 바와 다르게, 제1 자성체(171)가 음극단자(176)와 건전지들(105)의 음극들을 연결 및 단락시킬 수도 있으며, 원리는 전술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그리고 이와 같이, 자성체를 포함하는 자석 스위치(124)를 이용할 경우, 스위치의 접촉 불량 사고가 상대적으로 줄어들게 되어 손전등(100)의 작동신뢰성이 향상된다.
이상, 자력을 이용하여 손전등(100)을 온(On)/오프(Off)시키는 스위치 모듈(120)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스위치 모듈(120)는 누를 때마다 교호적으로 온(On)/오프(Off)되는 푸시버튼식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110)의 외측면에는 손전등(100)을 대상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클립(180)이 삽입되는 가이드 랙(118)이 형성된다. 가이드 랙(118)은 고정 클립(180)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예를 들어, 가이드 랙(118)과 고정 클립(180)은 암수 결합되는 서로 대응된 형상을 갖는다. 가이드 랙(118)에 인접하게는 걸림홈(117)이 형성된다. 가이드 랙(118)에 삽입된 고정 클립(180)은 돌기가 걸림홈(117)에 걸려 가이드 랙(118)의 이탈이 제한된다. 가이드 랙(118) 및 고정 클립(180)은 이하, 고 정 클립(180)을 설명하는 부분에서 다시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몸체(110)는 비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비전도성 물질로서 플라스틱, 세라믹, 목재, 고무 등이 선택될 수 있다. 이외에도 몸체(110)는 다양한 비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비전도성 물질을 모두 나열하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당업자라면 이를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전도성 물질은 비중은 0.8 내지 2.0으로서 금속의 비중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매우 작다. 따라서 비전도성 물질로 몸체(110)를 제조할 경우, 종래의 금속제 몸체에 비하여 무게를 크게 줄일 수 있다. 몸체(110)의 경량화는 손전등(100)의 휴대성 향상과 직결된다.
또한, 비전도성 물질은 일반적으로 가공이 용이하다. 따라서 비전도성 물질로 몸체(110)를 제조할 경우, 제조 시간 및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나아가 몸체(110)의 표면 거칠기도 제어하기 용이하여, 몸체(110)의 촉감도 향상시킬 수 있다.
몸체(110)의 촉감은 표면 거칠기 뿐만 아니라, 비전도성 물질의 특성에 의해서도 향상된다. 비전도성 물질은 열이나 전기의 이동을 크게 제한하는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비전도성 물질은 주변 온도 변화에 민감하지 않고, 누전 사고에도 안전하다. 즉, 비전도성 물질로 제조된 몸체(110)는 촉감에 있어서 매우 우수하다고 할 수 있다.
몸체(110)의 일단부에는 헤드(130)가 결합된다. 몸체(110)의 일단부에 숫나 사(111)가 형성되고, 헤드(130)의 일단부에 내주면에 암나사(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되어, 헤드(130)가 몸체(110)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몸체(110)의 일단부에 암나사가 형성되고 헤드(130)의 일단부에 숫나사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외에도 몸체(110)와 헤드(130)는 다양한 방법으로 체결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도 5는 도 2에 도시한 헤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더 참조하면, 헤드(130)는 전체적으로 양단부가 개방된 실린더 형상을 갖는다. 이 경우, 헤드(130)는 플라스틱, 세라믹, 목재, 고무 등과 같은 비전도성 물질로서 이루어진다. 헤드(130)는 몸체(1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비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헤드(130)의 내주면에는 방열 부재(160)와 단자판(14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단(132)이 형성된다.
지지단(132)은 헤드(130)의 내주면을 따라 링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외에도, 지지단(132)은 헤드(130)의 지름 선상에 배치된 두개의 사각 프레임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지지단(132)의 전면(133)에는 방열 부재(160)를 지지단(132)에 고정하기 위한 나사공들(135)이 형성되고, 지지단(132)의 후면에는 단자판(140)을 지지단(132)에 고정하기 위한 나사공들(135)이 형성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방열 부재(160)는 발광체(150)로부터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부재로서, 일단부가 헤드(130) 외부로 노출되도록 헤드(130) 내부에 부분적으로 삽입된다. 이 경우, 방열 부재(160)는 헤드(130)와 몸체(110)중 어느 하나의 표면에 일부가 노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방열 부재(160)는 제1 방열부(162), 제2 방열부(164) 및 제3 방열부(166)로 이루어진다.
제1 방열부(162)는 헤드(130)의 내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작은 외경의 원판 형상으로 제조되어 지지단(132) 상에 배치된다. 제1 방열부(162)에는 지지단(132)의 나사공들(135) 위치에 대응하게 체결공들(161)이 형성된다. 제1 방열부(162)의 상면 중심에는 발광체(160)가 배치되는 발광체 홈(163)이 형성되고, 발광체 홈(163)의 양측으로는 도전라인 통로(168)가 각각 형성된다.
제2 방열부(164)는 제1 방열부(162)로부터 헤드(130)의 일단부까지 헤드(130)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다. 즉, 제2 방열부(164) 만은 링 형상을 갖는다. 제2 방열부(164)의 내주면에는 이하 설명할 렌즈 모듈(190)이 결합되기 위한 암나사가 형성된다.
제3 방열부(166)는 제2 방열부(164)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헤드(130)의 외부로 노출된다. 이 경우, 제3 방열부(166)는 헤드(130)의 외경보다 같거나 작은 외경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2 방열부(164)와 제3 방열부(166) 사이에는 단차가 존재한다. 상기 단차에는 헤드(130)의 일단부에 밀착되어 제3 방열부(166)는 헤드(130) 외부로 노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제1 내지 제3 방열부들(162,164,166)은 모두 도전성이 우수한 물질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3 방열부들(162,164,166)은 구리, 알루미늄, 금과 같은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1 내지 제3 방열부들(162,164,166)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방열 부재(160)는 전체적으로 실린더 형상을 갖게 된다.
방열 부재(160)는 지지단(132)에 고정된다. 방열 부재(160)의 체결공들(161)에는 체구들(137)이 각각 삽입되고, 체결구들(137)은 나사공들(135)에 각각 체결된다.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발광체(150)는 방열 부재(160) 상에, 보다 정확하게는, 제1 방열부(162)의 발광체 홈(163)에 배치된다. 발광체(150)는 열전도성 접착제에 의하여 방열 부재(160)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발광체(150)로서는 발광 이오드(light emitting device:LED)가 선택될 수 있다.
발광체(150)의 일측에는 양의 전류를 전달받기 위한 양의 리드(158)가 형성되고, 발광체(150)의 타측에는 음의 전류를 전달받기 위한 음의 리드(159)가 형성된다. 양의 리드(158)에는 제3 도전라인(도시되지 않음)이 연결되고, 음의 리드(159)에는 제4 도전라인(도시되지 않음)이 연결된다. 상기 제3 및 제4 도전라인들은 도전라인 통로들(168)을 통하여 방열 부재(160) 후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3 및 제4 도전라인들은 이하 설명할 단자판(140)에 연결된다.
단자판(140)은 발광체(150)와 건전지(105)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부재로서, 전체적으로 원판 형상을 가지며 지지단(132) 후면에 배치된다. 발광체(150)의 양의 리드(158)로부터 연장된 제3 도전라인은 단자판(140)의 전면 양극단자(143)에 연결되고, 발광체(150)의 음의 리드(159)로부터 연장된 제4 도전라인은 단자판(140)의 음극단자(144)에 연결된다. 이 경우, 단자판(140)의 전면(141)에는 발광체(150)의 초기 전압 강하를 최소화시켜 광 효율을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 하기 위한 저항(142)이 더 배치될 수 있다.
단자판(140)의 후면(도시되지 않음)에는 전면 양극단자(143)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후면 양극단자와 전면 음극단자(144)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후면 음극단자가 형성된다. 상기 후면 양극단자는 단자판(140)의 후면 중심부에 형성되고, 후면 음극단자는 단자판(140)의 후면 주변부에 형성될 수 있다.
단자판(140)의 후면 양극단자에는 건전지 랙(170)의 양극단자(175)가 접촉되고, 단자판(140)의 후면 음극단자에는 건전지 랙(170)의 음극단자(176)가 접촉된다. 단자판(140)의 후면 양극 및 음극단자들에 건전지 랙(170)의 양극 및 음극단자들(175,176)이 접촉되었다고 하여 발광체(150)와 건전지(105)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은 아니다. 자석 스위치(124)가 건전지 랙(170)의 양극단자(175)와 건전지(105)의 양극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켜야 발광체(150)와 건전지(105)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자석 스위치(124)를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시키면, 건전지 랙(170)의 제1 자성체(171)는 자석 스위치(124)의 제2 자성체(121)를 따라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된다. 건전지(105)가 단자판(1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결과적으로는 건전지(105)와 발광체(150)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 경우, 손전등(100)은 온(On) 상태가 된다.
이와는 반대로, 자석 스위치(124)를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이동시키면, 건전지 랙(170)의 제1 자성체(171)는 자석 스위치(124)의 제2 자성체(121)를 따라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이동하여 건전지(105)를 단자판(140)으로부터 단락시킨 다. 결과적으로는 건전지(105)와 발광체(150)가 전기적으로 단락된다. 이 경우, 손전등(100)은 오프(Off) 상태가 된다.
발광체(150)와 건전지(105)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발광체(150)에는 전류가 흐르게 되어 광이 생성된다. 발광체(150)의 전방에는 광의 직진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렌즈 모듈(190)이 배치된다.
렌즈 모듈(190)은 방열 부재(150)에 결합되는 렌즈 하우징(192), 발광체(150)로부터 생성된 광에 직진성을 부여하는 렌즈(194) 및 렌즈 하우징(192)의 정면에 배치된 투명창(196)을 포함한다.
렌즈 하우징(192)은 양단이 개구된 원통 형상이다. 렌즈 하우징(192)의 일단부에는 방열 부재(160)의 암나사에 대응하게 숫나사(193)가 형성된다. 렌즈 하우징(192)은 방열 부재(160)의 제2 방열부(164)에 나사 결합된다.
투명창(196)은 렌즈 하우징(192)에 삽입되어 렌즈 하우징(192)의 정면에 배치된다. 투명창(196)은 렌즈 하우징(192)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억제하고, 외부 충격으로부터 발광체(150)를 보호한다. 렌즈 하우징(192) 내에는 발광체(150)로부터 생성된 광에 직진성을 부여하기 위한 렌즈(194)가 배치된다.
렌즈(194)는 양단이 개구된 대략 원뿔 형상을 갖는다. 발광체(150)는 렌즈(194)의 개구부를 통해서 렌즈(194) 내부로 진입한다. 발광체(150)로부터 생성된 광은 렌즈(194)의 내벽에 반사되어 투명창(196)을 향하게 직진한다.
발광 다이오드와 같이 발광 시 많은 열이 발생되는 발광체(150)는 일반적으로 열에 의하여 그 수명이 좌우된다. 더구나, 손전등(100)과 같이 발광체(150)가 렌즈 모듈(190)에 수용된 경우, 렌즈 모듈(190)의 밀폐된 공간 내에서 발생된 열은 외부로 쉽게 방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발광 다이오드와 같은 발광체(150)가 손전등(100)에 이용된 경우, 냉각 수단이 필요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방열 부재(160)를 이용하여 렌즈 모듈(190)의 열을 외부로 방출한다. 보다 자세하게는, 발광체(150)와 물리적으로 접촉된 방열 부재(160)는 헤드(130) 외부로 노출되어 발광체(150)로부터 발생된 열을 헤드(130) 외부로 방출하게 된다. 따라서 발광 다이오드와 같은 발광체(150)를 이용하더라도, 발광체(150)가 과열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손전등(100)은 고정 클립(180)을 통하여 피대상물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 클립(180)은 결합부(181)와 파지부(185)로 이루어진다.
결합부(181)는 몸체(110)의 가이드 랙(118)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가이드 레일(182)과 가이드 레일(182)의 단부에 형성된 누름판(183)으로 이루어진다. 누름판(183)의 상면에는 걸림돌기(184)가 형성된다. 가이드 레일(182)은 가이드 랙(118)에 삽입된다.
가이드 레일(182)이 가이드 랙(118)에 완전히 삽입된 경우, 누름판(183)의 걸림돌기(184)는 걸림홈(117)에 삽입된다. 이 결과, 가이드 랙(118)으로부터 가이드 레일(182)의 이탈이 제한된다. 누름판(183)을 하방으로 가압하면 걸림돌기(184)가 걸림홈(117)으로부터 이탈되어 가이드 레일(182)이 가이드 랙(118)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결합부(181)의 하부에는 파지부(185)가 결합된다. 이 경우, 파지부(185)는 결합부(181)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파지부(185)는 전체적으로 집게 형상을 갖는다. 보다 자세하게는, 제1 및 제2 집게판들(186,187)과 제1 및 제2 집게판들(186,187)을 서로 맞물리게 연결하는 스프링(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서로 마주보는 제1 및 제2 집게판들(186,187)의 내면들에는 톱니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집게판들(186,187)의 일단부들을 누르게 되면 제1 및 제2 집게판들(186,187)은 벌어진다.
제1 집게판(186)의 상면에는 결합부(181)가 결합된다. 이 경우, 결합부(181)는 제1 집게판(186)의 상면으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고정 클립(180)은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이하, 고정 클립(180)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에에 따른 고정 클립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더 참조하면, 고정 클립(280)은 결합부(281)와 파지부(285)로 이루어진다.
결합부(281)는 몸체(110)의 가이드 랙(118)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가이드 레일(282)과 가이드 레일(282)의 단부에 형성된 누름판(283)으로 이루어진다. 누름판(283)의 상면에는 걸림돌기(284)가 형성된다. 가이드 레일(282)은 가이드 랙(118)에 삽입된다. 결합부(281)의 하부에는 파지부(285)가 결합된다.
파지부(285)는 아치형으로 굽어진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다. 파지부(285)의 상면 중심에 결합부(281)가 배치되고, 파지부(285)와 결합부(281)는 스프링(289)을 매개로 결합된다. 이 경우, 스프링(289)으로서는 토션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스프링(289)은 파지부(285)가 결합부(281)에 맞접하도록 유지한다. 결합부(281)를 누르면, 파지부(285)는 결합부(281)로부터 벌어진다. 파지부(285)와 결합부(281)의 벌어진 공간에 피대상물을 끼우고 결합부(281)의 누름을 해제하면, 파지부(285)와 결합부(281)는 스프링(289)의 힘에 의하여 피대상물을 파지하게 된다.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에에 따른 고정 클립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더 참조하면, 고정 클립(380)은 결합부(381)와 파지부(385)로 이루어진다.
결합부(381)는 몸체(110)의 가이드 랙(118)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가이드 레일(382)과 가이드 레일(382)의 단부에 형성된 누름판(383)으로 이루어진다. 누름판(383)의 상면에는 걸림돌기(384)가 형성된다. 가이드 레일(382)은 가이드 랙(118)에 삽입된다. 결합부(381)의 하부에는 파지부(385)가 결합된다. 이 경우, 파지부(385)는 결합부(381)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파지부(385)는 전체적으로 링 형상을 갖는다. 보다 자세하게는, 파지부(385)는 제1 고리(386), 제2 고리(387) 및 힌지 체결구(388)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고리들(386,387)은 각각 'U'자 형으로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다.
제1 고리(386)의 양단부(391,392)와 제2 고리(387)의 양단부(391,393)는 각가 맞접한다. 힌지 체결구(388)는 맞접합된 제1 및 제2 고리들(386,387)의 일단부들(391,392)을 체결한다. 이 경우, 힌지 체결구(388)는 제1 및 제2 고리들(386,387)의 일단부들(391,392)에 나사 결합된다. 제1 및 제2 고리들(386,387)의 일단부들(391,392)은 힌지 체결구(388)의 길이 범위 내에서 벌어질 수 있다.
제1 고리(386)의 타단부(393)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제2 고리(386)의 타단부(394)에는 상기 걸림돌기에 대응하는 바가 형성된다. 제2 고리(386)의 타단부(394)는 제1 고리(386)의 타단부(393)에 끼워진다.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전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8과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손전등(400)은 헤드(430)와 방열 부재(460)를 제외하고는 도 1에 도시한 손전등(400)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특히, 방열 부재(460)는 제3 방열부를 제외하고는 도 1에 도시한 방열 부재(16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도 1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지만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헤드(430)는 전체적으로 양단부가 개방된 실린더 형상을 갖는다. 이 경우, 헤드(430)는 플라스틱, 세라믹, 목재, 고무 등과 같은 비전도성 물질로서 이루어진다. 헤드(430)의 내에는 지지단이 형성되고, 지지단의 전면에는 방열 부재(460)가 배치되고 상기 지지단의 후면에는 단자판이 배치된다.
렌즈 모듈(190)을 마주보는 헤드(430)의 일단부에는 방열 부재(460)에 사용자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헤드(430)로부터 노출된 방열 부재(460)를 부분적으로 덮는 접촉 방지부(431)가 형성된다. 접촉 방지부(431)는 복수개의 돌기들(432)을 포함한다.
돌기들(432)은 헤드(430)의 일단부로부터 렌즈 모듈(190)을 향하도록 연장된 다. 그리고 돌기들(432)은 헤드(430)의 일단부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돌기들(432)은 헤드(430)의 일단부 두께보다는 작은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방열 부재(460)는 도 1에 도시한 방열 부재(16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단, 헤드(430)의 일단부에 밀착되는 제3 방열부의 직경이 헤드(130)의 내경보다는 크고 외경보다는 작다. 즉, 방열 부재(460)의 노출면은 몸체(110) 또는 헤드(430)의 표면 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된다.
방열 부재(460)의 외주면에는 돌기들(432)이 밀착되어 헤드(430) 외부로 부분적으로 노출된다. 돌기들(432)은 방열 부재(460)의 노출을 부분적으로 차단하여, 방열 부재(460)로 인한 화상 사고를 방지한다. 방열 부재(460)가 헤드(430) 외부로 부분적으로 노출되더라고, 발광체(150)의 냉각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손전등의 헤드, 몸체 등을 비전도성 물질로 제조함으로써, 손전등의 전체적인 촉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방열 부재는 전도성 물질로 제조하여 외부로 노출시킴으로써, 발광체를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나아가, 자성체를 포함하는 스위치를 이용하여 손전등의 작동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손전등을 피대상물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7)

  1. 내부에 건전지를 수용하기 위한 수납공간을 갖고, 제1 비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몸체;
    상기 몸체의 일단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발광체가 배치되며, 제2 비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헤드; 및
    상기 몸체 또는 헤드 중 어느 하나의 표면에 일부가 노출되게 배치되어 상기 발광체로부터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방열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전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재의 노출면은 상기 몸체 또는 헤드의 표면 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전등.
  3. 내부에 건전지를 수용하기 위한 수납공간을 갖고, 제1 비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몸체;
    상기 몸체의 일단부에 결합되며, 내면을 따라 지지단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단의 전면(front surface)에 발광체가 배치되고 후면(back surface)에 상기 발광체와 상기 건전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단자판이 배치되며, 제2 비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헤드; 및
    상기 헤드로부터 부분적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헤드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지 지단과 상기 발광체 사이에 위치하며,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져 상기 발광체로부터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방열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전등.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전도성 물질과 상기 제2 비전도성 물질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전등.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물질은 금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전등.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부재는
    상기 지지단과 상기 발광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발광체의 양단자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양단자와 상기 단자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도전라인들의 통로가 형성된 제1 방열부;
    상기 제1 방열부의 둘레로부터 상기 헤드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헤드의 일단부까지 형성된 제2 방열부; 및
    상기 제2 방열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헤드 외부로 노출되며, 후면에 상기 헤드의 일단부가 밀착되는 제3 방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전등.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방열부는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손전등.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방열부의 외경은, 상기 헤드의 외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전등.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방열부의 외경은, 상기 헤드의 일단부의 내경보다는 크고 외경보다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전등.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는 상기 제3 방열부에 사용자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3 방열부를 부분적으로 덮는 접촉 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전등.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방지부는 상기 헤드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3 방열부의 둘레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돌기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전등.
  1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건전지와 상기 발광체를 선택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하여 상기 몸체의 외측에 배치되는 자석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전등.
  13. 제 12 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건전지들이 끼워져 상기 수납공간에 수용되고, 상면에 상기 건전지들의 양극들과 연결된 양극단자 및 상기 건전지들의 음극들과 연결된 음극단자가 형성되고, 상기 자석 스위치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양극들과 상기 양극단자를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자성체가 측면에 내장된 건전지 랙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전등.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건전지 랙이 상기 자성체를 상기 자석 스위치 하부에 위치시키는 자세로 상기 몸체에 삽입되도록, 상기 몸체의 내면에 형성된 가이드 빔과 상기 건전지 랙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빔이 삽입되는 가이드 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전등.
  1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체로부터 생성된 광의 직진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발광체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방열부재에 결합되는 렌즈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전등.
  1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고정 클립이 삽입되는 가이드 랙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전등.
  1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체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전등.
KR2020060010622U 2006-04-20 2006-04-20 손전등 KR2004202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0622U KR200420291Y1 (ko) 2006-04-20 2006-04-20 손전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0622U KR200420291Y1 (ko) 2006-04-20 2006-04-20 손전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0291Y1 true KR200420291Y1 (ko) 2006-06-29

Family

ID=49297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0622U KR200420291Y1 (ko) 2006-04-20 2006-04-20 손전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029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2334A (ko) * 2015-03-19 2016-09-28 주식회사 무선테크윈 헬멧용 랜턴
KR20200091295A (ko) * 2019-01-22 2020-07-30 주식회사 엠피넥스 탐조등 홀더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2334A (ko) * 2015-03-19 2016-09-28 주식회사 무선테크윈 헬멧용 랜턴
KR101666164B1 (ko) * 2015-03-19 2016-10-17 주식회사 무선테크윈 헬멧용 랜턴
KR20200091295A (ko) * 2019-01-22 2020-07-30 주식회사 엠피넥스 탐조등 홀더
KR102148262B1 (ko) * 2019-01-22 2020-08-26 주식회사 엠피넥스 탐조등 홀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5957B2 (en) Combination task lamp and flash light
US7402961B2 (en) Circuit for illuminating multiple light emitting devices
US7738229B2 (en) Microprocessor-controlled multifunctioning light with intrinsically safe energy limiting
US7281820B2 (en) Lighting module assembly and method for a compact lighting device
US7222995B1 (en) Unitary reflector and lens combination for a light emitting device
US7492063B2 (en) Method of using a single pole single throw switch to provide three operative states
US7452110B2 (en) Light emitting device
EP1894285B1 (en) A flashlight with improved battery life
US8562172B2 (en) LED tube end-cap having a switch
US8622590B2 (en) Illuminant assembly structure
BRPI0616163A2 (pt) módulo de iluminação para lanternas, módulo de led para uma lanterna e módulo de led
US7582838B2 (en) Flashlight electrical switch and charging indicator
US20070133197A1 (en) Flashlight
JP2012018923A (ja) 懐中電灯
KR200420291Y1 (ko) 손전등
TW200848652A (en) Flashlight with batteries in series
US20110122611A1 (en) Switching circuit
CN113586977A (zh) 便携灯具
KR200312459Y1 (ko) 발광다이오드 손전등
CN2793517Y (zh) 一种多颗led手电筒
CN215446088U (zh) 一种电池可拆卸的钓鱼灯
KR200377600Y1 (ko) 손전등
CN215597074U (zh) 便携灯具
CN218064480U (zh) 隐形式充电电筒
US20230324015A1 (en) Dual power light sour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