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0035Y1 - The Buddha's bones lay up type mortuary tablet of a dead person movie and image display structure - Google Patents

The Buddha's bones lay up type mortuary tablet of a dead person movie and image display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0035Y1
KR200420035Y1 KR2020060009568U KR20060009568U KR200420035Y1 KR 200420035 Y1 KR200420035 Y1 KR 200420035Y1 KR 2020060009568 U KR2020060009568 U KR 2020060009568U KR 20060009568 U KR20060009568 U KR 20060009568U KR 200420035 Y1 KR200420035 Y1 KR 2004200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ree
deceased
usb
storage medium
lif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9568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심요섭
Original Assignee
심요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요섭 filed Critical 심요섭
Priority to KR20200600095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0035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00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0035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33/00Religious or ritual equipment in dwelling or for general use
    • A47G33/02Altars; Religious shrines; Fonts for holy water; Crucifix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8Ur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2/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on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2212/21Employing a record carrier using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06F2212/214Solid state disk
    • G06F2212/2146Solid state disk being detachable, e.g.. USB memo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This invention,

망자의 사리를 저장하는 사리 저장겸 위패의 구조에 있어서,In the structure of saree storage and corruption that stores saree of the dead,

전체적으로 투명한 크리스틸재로 구성되되 받침대 상면으로 일체 구성되어 사리를 수납하기 위한 수용실이 내부에 형성되는 몸체부 상방을 개폐하는 마개 저면으로 조명등이 부설되고, 상기 몸체부 저면 받침대 일측으로 USB 이동저장매체가 접속되기 위한 USB단자와, 퍼스널컴퓨터로 상기 USB 이동저장매체의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출력단자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 일측면으로 디스플레이패널 및 소정 위치에 스피커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It is made of a transparent cristal material as a whole, and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pedestal so that a light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a stopper to open and close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formed therein for accommodating saree. A USB terminal for connecting a medium and an output terminal for displaying data of the USB mobile storage medium by a personal computer are provided, and a display panel and a speaker ar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body.

고인의 생전 모습이 동영상 또는 이미지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여, 고인의 생전 모습을 기리기 위한 망자 영상 디스플레이 구조를 갖는 사리저장겸용 위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livary combined use plaque having a deceased image display structure for honoring a deceased person's life by displaying a deceased person's life as a video or an image.

사리, 위패, 디스플레이패널, USB 단자, USB 이동저장매체 Saree, tablet, display panel, USB terminal, USB removable storage medium

Description

망자 영상 디스플레이 구조를 갖는 사리저장겸용 위패{The Buddha's bones lay up type mortuary tablet of a dead person movie and image display structure}The Buddha's bones lay up type mortuary tablet of a dead person movie and image display structure}

도 1은 사리저장겸용 위패에 의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 saree storage combined plaque,

도 2는 도 1에 의한 사리저장겸용 위패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separated from the salivary storage combined plaque according to Figure 1

도 3은 본 고안의 단면도이고,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을 이용하여, 별도의 퍼스널컴퓨터에 연결하여 본 고안 본체에 삽입되는 USB 이동저장매체에 저장된 고인의 생전 사진이나 동영상 등을 디스플레이 시킬 수 있도록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a state connected to display a life picture or video of a deceased person stored in a USB mobile storage medium inserted into the main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onnecting to a separate personal computer using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 중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Brief description of the main symbols in the drawings

10; 사리 20; 컴퓨터10; Sari 20; computer

100 ; 본체 110; 마개100; Main body 110; stopper

111; 조명등 120; 몸체부111; Lamp 120; Body

121; 수용실 122; 디스플레이패널121; Storage chamber 122; Display panel

123; 스피커 130; 받침대123; Speaker 130; Pedestal

131; USB 단자 131a; 출력단자131; USB terminal 131a; Output terminal

132; USB 이동저장매체 132; USB removable storage media

본 고안은 망자의 유골을 채취하여 제작되는 사리를 보관하기 위한 사리함용 위패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리함용 위패의 전면 측으로 고인의 생전 모습이 영상으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여, 고인의 생전 모습을 기리기 위한 망자 영상 디스플레이 구조를 갖는 사리저장겸용 위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ip's plaque structure for storing saris produced by collecting the remains of the dead, and in particular, the deceased to honor the deceased's life by displaying images of the deceased's life on the front side of the ship's plaqu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livary combined use plaque having an image display structure.

국내에서의 한정된 토지 환경과 매년 증가 되는 묘지의 면적은 그 심각성이 위험 수위를 넘고 있음은 주지된 사실이며, 이는 사회적 국가적으로 매우 심각한 문제로 노출되고 있다.It is well known that the limited land environment in Korea and the size of the cemetery, which is increasing every year, are more serious than the danger level.

이러한 묘지 면적의 국토 잠식현상은 토지 사용의 효율성을 저하 시킬 뿐만 아니라, 환경을 파괴하고 자연 재해 등을 유발시킬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 되고 있어, 장묘 제도의 전반에 걸쳐 제고를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The erosion of land in the cemetery area is not only to reduce the efficiency of land use but also act as a factor that can destroy the environment and cause natural disasters.

근래에는 장묘문화개혁 범국민협의회 등의 단체 활동이 급격하게 증가하여 국민의식에서 장묘 문화 의식을 개혁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매장 중심의 관행으로부터 탈피하여 국토와 환경을 지키고 살리기 위한 새 장묘문화를 정립하기 위한 인식이 매우 광범위하게 퍼져나가고 있다.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rapid increase in the group activities of the National Council for the Reformation of the Jangyo Cultural Reform, and the movement to reform the ritual of the culture of the Jangyo in the national consciousness is actively progressing. The perception to establish this is very widespread.

따라서, 이러한 추세에 따라 매장문화와 화장문화의 장점을 접목시켜 납골식 장묘제도가 널리 확산 되고 있어, 이에 따라 발생 되는 유골가루를 납골함, 납골당 등에 안치하여 모시는 경우가 많이 증가되고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is trend, the ossuary funeral system is widely spread by combining the advantages of burial and cremation culture, and there is an increasing number of cases where the ashes generated according to this process are placed in the ossuary and the ossuary.

또한, 화장 후 발생 된 유골가루를 이용하여 유골의 결정체(영옥)로 되는 사리를 제조하여 크리스틸재 등 투명한 재료로 제작되는 사리함 등에 모셔, 집에서 보관하며 기일 등에 고인을 기리기 위해 사용하는 경우도 증가 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In addition, if the sari is made from the ashes generated after cremation and is made into crystals of the ashes, it is stored in a sari made of transparent materials such as cristal materials, and stored at home and used to honor the deceased. There is a growing trend.

또한, 납골당 등에 납골함을 안치, 보관하며 기일 등에 납골묘로 방문, 추모를 하는 경우, 고인의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상시스템을 갖추어 고인의 생전 모습과 목소리 등 데이터를 출력하며 고인을 기리기 위한 시스템을 갖추는 납골묘가 있으나, 그 시스템을 갖추는 비용 및 사용 등이 번잡하고 고인에 대한 데이터의 갱신작업이 어려움은 물론, 사용에 따른 부대 비용 등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지적된다.In addition, when the burial place is settled and stored in the ossuary, etc., and when visiting and commemorating the ossuary in the crypt, the ossuary is equipped with a video system that stores the deceased's data and outputs data such as the life and voice of the deceased and has a system to honor the deceased However, it is pointed out that problems such as cost and use of the system are complicated, and it is difficult to update the data on the deceased, as well as the incidental cost due to use.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 등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크리스탈재 등 투명재질로 되는 사리함 겸용 위패를 제공하되, 그 위패의 일면 등에 디스플레이패널을 구비하고, 상기 디스플레이패널 측으로 고인의 영정, 생 전 동영상 데이터등의 출력이 가능하도록 하고, 적정 위치에 구비되는 스피커 등을 통하여 음향 등이 출력될 수 있는 각 데이터가 저장된 USB 이동디스크가 삽입되기 위한 USB단자를 구비하도록 하여, 기일 등 고인을 추모하기 위한 지정일이나 또는 평상시 고인의 생생한 모습의 시청 및 음성을 들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망자 영상 디스플레이 구조를 갖는 사리저장겸용 위패를 제공하는데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Providing a salivary combined plaqu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uch as crystal material, the display panel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plaque, and the output of the deceased person's life, video data, etc. can be output to the display panel side, and is provided at an appropriate position. A USB terminal for inserting a USB removable disk in which each data capable of outputting sound, etc., through a speaker or the like may be provided to listen to a vivid image of a deceased person or a vivid image of a deceased person in general.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alivary storage combined plaque having a dead image display structure to be able to.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망자의 사리를 저장하는 사리 저장겸 위패의 구조에 있어서,In the structure of saree storage and corruption that stores saree of the dead,

전체적으로 투명한 크리스틸재로 구성되되 받침대 상면으로 일체 구성되어 사리를 수납하기 위한 수용실이 내부에 형성되는 몸체부 상방을 개폐하는 마개 저면으로 조명등이 부설되고, 상기 몸체부 저면 받침대 일측으로 USB 이동저장매체가 접속되기 위한 USB단자와, 퍼스널컴퓨터로 상기 USB 이동저장매체의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출력단자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 일측면으로 디스플레이패널 및 소정 위치에 스피커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자 영상 디스플레이 구조를 갖는 사리저장겸용 위패를 제공한다.It is made of a transparent cristal material as a whole, and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pedestal so that a light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a stopper to open and close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formed therein for accommodating saree. USB terminal for connecting the medium, and an output terminal for displaying the data of the USB mobile storage medium to the personal computer is provided, each of the dead body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play panel and a speaker in a predetermined position on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Provides a saree storage combined plaque having a video display structure.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고안은 첨부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망자의 생전 모습을 종래와 같이 영정으로 모시거나 또는 서문으로 작성되는 위패 대신에, 망자의 유골을 이용하여서 되는 사리를 보관하기 위한 사리함과 망자의 생전 모습을 사진이나 또는 동영상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여 위패 대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instead of having the life of the deceased as usual, or instead of a plaque written in the foreword, the sacredness and the life of the deceased for the sake of keeping the saree made by using the remains of the deceased It is intended to be displayed as a photo or video and to be used as a substitute.

본 고안은, 도면에서 보는바와 같이 본체(100) 하단부측으로 받침대(130)를 형성하고, 상기 받침대(130)로부터 상방으로 일체로 되며 입설되는 몸체부(120)와 상기 몸체부(120) 상단을 개폐하기 위한 마개(110)로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figure to form a pedestal 130 to the lower end side of the main body 100, the body portion 120 and the upper end of the body portion 120 which is integrated and upward from the pedestal 130 It consists of a stopper 110 for opening and closing.

이와같은 본체(100)는 전체적으로 투명한 크리스틸재로 되도록 하여 내부가 투시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such a main body 100 is made of a transparent cristal material as a whole so that the inside thereof is transparent.

상기 마개(110)는 몸체부(120)의 상단으로 위치되며 개폐 가능하도록 하되, 그 마개(110) 하방측으로 몸체부(120) 내부를 조명이 조사되도록 하기 위한 조명등(111)을 구비한다.The stopper 110 is positioned at an upper end of the body part 120 to be opened and closed, and includes a lamp 111 for illuminating the inside of the body part 120 below the stopper 110.

이와같은 조명등(111)은 공지된 수단에 의해 필요에 따라 한가지의 색상만으로 점등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다양한 색상 연출을 위해 LED 모듈 유니트를 구비하여 적용될 수 있다.Such a lamp 111 may be enabled to be lit with only one color as needed by a known means, it may be applied to the LED module unit for various colors.

상기 몸체부(120)는 그 내부로 인간 사체를 화장하여 발생되는 유골가루를 결정체화하여 얻게 되는 사리를 보관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방은 개방되어 전술한 마개(110)에 의해 개폐 가능하도록 하고 그 내부로 사리를 수납하기 위한 수용실(121)을 구비하고, 몸체부(120)의 어느 선택되는 측면이나 전면측으로 고인의 사진이나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기 위한 디스플레이패널(122)을 구비한다.The body portion 120 is a means for storing the saree obtained by crystallizing the ash powder generated by cremating a human body into the inside thereof, the upper portion is opened to be opened and closed by the stopper 110 described above. It is provided with a storage chamber 121 for accommodating the inside, and a display panel 122 for displaying a photograph or image of the deceased to any selected side or front side of the body portion 120.

이와같은 몸체부(120)는 도면에서는 주로 사각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와 달리 원통형 또는 탑모양의 형상을 갖도록 할 수 있고 또한 다양한 형상이나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바, 선택적인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경 등이 본 고안에서의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음은 물론이다.Although the body portion 120 is illustrated as having a rectangular shape mainly in the drawings, it can be made to have a cylindrical or tower-like shape and can also be made in a variety of shapes or shapes, the selective application is possible Of course, such changes do not depart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받침대(130)는 몸체부(120) 하단에 일체로 구성되어 본체(100)의 안정적 지지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받침대(130)의 일측으로는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단자(Universal Serial Bus ; 이하 본 고안에서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 등에서는 이를 일반적 거래업계에서 통용화 되고 있는 USB 단자라 통칭한다.)(131; USB 단자)를 삽입 구성한다.The pedestal 130 is integrally formed at the bottom of the body portion 120 to enable stable support of the main body 100, and one side of the pedestal 130 has a universal serial bus terminal (Universal Serial Bus;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se are commonly referred to as USB terminals that are commonly used in the trading industry.

한편 상기의 USB단자(131)로 고인의 생전 모습인 사진 이미지나, 동영상 데이터 등을 저장하여서 되는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이동저장매체(132; 이하 USB 이동저장매체라 통칭한다.)가 접속 가능하도록 한다.Meanwhile, the USB terminal 131 may be connected to a universal serial bus mobile storage medium 132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USB mobile storage medium) which stores a photographic image or video data of a deceased person's life.

상기 USB 이동저장매체(13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한 USB 단자(131)로 착탈 가능하게 접속 되도록 하는 것이며, 필요에 따라 상기 USB 이동저장매체(132)에 고인의 다른 이미지나 동영상 또는 가족 사진 이미지나 동영상 등을 수시 업그레이드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USB mobile storage medium 132 is to b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USB terminal 131 as described above, and other images, videos or family photos of the deceased to the USB mobile storage medium 132 as necessary. Of course, images and videos can be upgraded at any time.

아울러, 상기 USB 단자(131)측으로부터 외부로 USB 이동저장매체(132)에 메모링된 자료를 타 컴퓨터(20)의 모니터를 통해 출력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출력단자(131a)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n output terminal 131a for outputting the memo recorded on the USB mobile storage medium 132 from the USB terminal 131 side through a monitor of another computer 20. .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본 고안을 이용하는 경우, 고인의 기일 등에 고인을 기리기 위한 제사 등을 진행하거나 또는 평상시 가정내에서 고인을 기리기 위해, 공지의 수단 등을 이용하여, 사체의 화장처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유골가루를 고형화 한 다음, 이 고형화된 유골을 사리화 하여 본 고안의 본체(100)를 이루는 몸체부(120)내 수용실(121)에 안치되도록 하고, 마개(110)를 이용하여 몸체부(120) 상단을 닫아 사리(10)의 훼손을 방지토록 하였다.In the case of using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perform a ritual for honoring the deceased on the date of the deceased, etc., or to commemorate the deceased in the home at all times, using a known means, etc. After the ashes are solidified, the solidified ashes are made into saree to be placed in the receiving chamber 121 in the body part 120 constituting the main body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body part using the stopper 110 ( 120) to close the top to prevent damage to the saree (10).

아울러, 상기 마개(110)의 저면부측으로 조명등(111)을 구비하여, 몸체부(120)내 수용실(121)로 빛이 조사되도록 하므로써, 실내의 은은한 분위기 연출 효과는 물론 고인의 사리에 대한 영적 감흥 등을 불러 일으킬 수 있는 분위기 연출을 위하여 구비된다.In addition, by providing a lamp 111 to the bottom side of the stopper 110, so that the light is irradiated to the accommodation chamber 121 in the body portion 120, the effect of directing a soft atmosphere of the room, as well as for the Equipped to create an atmosphere that can induce spiritual inspiration.

이러한 조명등(111)은 단색의 빛이 조사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거니와, LED 모듈 유니트(도면상 미도시)를 이용하여 다색의 빛이 연차적으로 또는 혼합되 어 조사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Such a lamp 111 can be irradiated with a single color of light, of course, it can be configured to be irradiated by the multi-colored light annually or mixed by using an LED module unit (not shown).

한편 상기 마개(110)에 의해 개폐되는 몸체부(1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고인의 사체를 화장하여 생성된 유골가루를 고형화하여 얻게 되는 사리(10)를 저장 수용하기 위한 수단으로, 내부에 상기 사리(1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실(121)이 구비되어, 상기 마개(110)에 의해 개폐되도록 하고 일측면으로 LCD 또는 PDP 등 공지된 수단에 의한 디스플레이패널(122)를 구비하여서 된다.Meanwhile, the body part 120 which is opened and closed by the stopper 110 is a means for storing and receiving the saree 10 obtained by solidifying the ash bone powder generated by cremating the dead body as described above. An accommodating chamber 121 for accommodating the sacks 10 may be provided to be opened and closed by the stopper 110, and the display panel 122 may be provided on one side by a known means such as an LCD or a PDP.

상기 몸체부(120)의 하단측으로 본체(100)를 지지하기 위한 받침대(130)가 일체로 형성되는데, 그 받침대(130) 일측 내부측으로 상기 고인의 생전 동영상 및 사진 등의 이미지를 저장하여서 되는 USB 이동저장매체(132)를 삽입하여 접속 가능하도록 되는 USB 단자(131)를 구성하여, 고인의 생전모습을 기릴 수 있도록 한다.A pedestal 130 for supporting the body 100 to the lower side of the body portion 120 is integrally formed, the pedestal 130 by storing an image of the deceased's life video and photos, etc. in one side By inserting the removable storage medium 132 to configure the USB terminal 131 to be connected, it is possible to honor the life of the deceased.

상기한 USB 이동저장매체(132)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정보를 새롭게 업데이팅 할 수 있는 것임은 물론이다.Of course, the USB mobile storage medium 132 can update a variety of information as needed.

아울러, 상기 받침대(130)의 소정 위치상으로 상기 USB 이동저장매체(132)에 저장된 자료를 별도의 퍼스널컴퓨터(20)와 연결되는 모니터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하는 출력단자(131a)를 구비하여, 상기 USB 단자(131)와 접속되는 USB 이동저장매체(132)내 저장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시킬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output terminal 131a for displaying the data stored in the USB mobile storage medium 132 on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pedestal 130 through a monitor connected to a separate personal computer 20, The storage data in the USB mobile storage medium 132 connected to the USB terminal 131 can be displayed.

한편, 상기한 구성을 갖는 몸체부(120)의 소정 위치상으로, 상기 받침 대(130)측으로 접속되는 USB 이동저장매체(132)에 저장된 생전 고인 모습의 동영상이 디스플레이패널(122)을 통해 디스플레이 될 때, 음성정보 등이 동시 출력 가능하도록 스피커(123)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on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body portion 12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video of the appearance of life stored in the USB mobile storage medium 132 connected to the support stand 130 side is displayed via the display panel 122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speaker 123 so that voice information and the like can be simultaneously output.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망자 영상 디스플레이 구조를 갖는 사리저장겸용 위패를 이용하여, 고인의 기일 등이나 차례 등을 지낼 때, 사리(10)가 수용되는 본체(100)의 몸체부(120) 일측으로 구비되는 디스플레이패널(122)을 통해, 생전 모습이 생생히 출력되는 상태에서, 고인의 기일이나 차례 등의 제사를 고인의 생전 모습이나 음성 등을 들으며 지낼 수 있도록 하여, 고인을 기리는 마음이 더욱 간절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by using a saree storage combined plaque having a deceased image display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eceased date or the like of the deceased, the saree 10 to the body portion 120 of the main body 100 is accommodated Through the display panel 122 provided, the life of the deceased in the state of vivid output, it is possible to spend the sacrifice of the deceased, such as the date and turn of the deceased while listening to the deceased life or voice, etc. It becomes possible.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화장문화로부터 납골장 문화로의 변화에 따라, 고인의 유골가루를 이용한 사리를 얻어 그 사리를 두려움 없이 자택내에서 보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사리함 겸용 위패에 의한 문자 형식으로 되는 위패 대용을 제공하기 위해 고인의 생전 영상 및 사진 등 이미지가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하고 아울러 은은하고 부드러운 조명이 사리에 조사되도록 하여 영적 감흥을 불러 일으킬 수 있도록 하므로써, 차례나 제사 진행시 고인에 대한 견건한 마음을 항상 잃지 않으면서도 고인에 대한 추모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change from cremation culture to ossuary culture, substitute a plaque in the form of a letter by a salivary combined plaque for obtaining saree using the ashes of the deceased and allowing the saree to be stored at home without fear. It provides a structure that can selectively display images of the deceased's life image and photographs to provide a sense of life, and also allows the soft and soft light to be irradiated to the saree to induce spiritual inspiration. You can expect the effect of making a tribute to the deceased without losing your mind.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평상시에 고인의 생전 모습을 보거나, 또는 저장매체인 USB 이동저장매체를 이용하여 고인이나 가족 등의 새로운 자료를 업데이트하여 본 고안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함과 동시에 영구 보관이 가능하도록 하여, 가족사의 자료로 활용 가능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see the life of the deceased in normal life, or to update the new materials such as the deceased or family using the USB storage medium, which is a storage medium to be displayed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and at the same time permanent storage Thus, it can be expected to be effective as a family history data.

Claims (1)

망자의 사리를 저장하는 사리 저장겸 위패의 구조에 있어서,In the structure of saree storage and corruption that stores saree of the dead, 전체적으로 투명한 크리스틸재로 구성되되 받침대 상면으로 일체 구성되어 사리를 수납하기 위한 수용실이 내부에 형성되는 몸체부 상방을 개폐하는 마개 저면으로 조명등이 부설되고, 상기 몸체부 저면 받침대 일측으로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이동저장매체(USB 이동저장매체)가 접속되기 위한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단자(USB단자)와, 퍼스널컴퓨터로 상기 USB 이동저장매체의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출력단자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 일측면으로 디스플레이패널 및 소정 위치에 스피커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자 영상 디스플레이 구조를 갖는 사리저장겸용 위패.It is made of a transparent cristal material as a whole, and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pedestal, and a lamp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a stopper to open and close the upper part of the body formed therein for accommodating the saree. A universal serial bus terminal (USB terminal) for connecting a mobile storage medium (USB mobile storage medium) and an output terminal for displaying data of the USB mobile storage medium by a personal computer are provided, respectively, and displayed on one side of the body part. The salivary combined use plaque having a deceased video display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panel and the speaker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KR2020060009568U 2006-04-11 2006-04-11 The Buddha's bones lay up type mortuary tablet of a dead person movie and image display structure KR20042003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9568U KR200420035Y1 (en) 2006-04-11 2006-04-11 The Buddha's bones lay up type mortuary tablet of a dead person movie and image display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9568U KR200420035Y1 (en) 2006-04-11 2006-04-11 The Buddha's bones lay up type mortuary tablet of a dead person movie and image display struc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0035Y1 true KR200420035Y1 (en) 2006-07-03

Family

ID=41768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9568U KR200420035Y1 (en) 2006-04-11 2006-04-11 The Buddha's bones lay up type mortuary tablet of a dead person movie and image display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0035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776B1 (en) 2006-08-04 2008-01-22 김대순 Tthe tombstone has moving picture display function
KR200447618Y1 (en) * 2008-01-24 2010-02-11 김찬성 Cinerary ur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776B1 (en) 2006-08-04 2008-01-22 김대순 Tthe tombstone has moving picture display function
KR200447618Y1 (en) * 2008-01-24 2010-02-11 김찬성 Cinerary ur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24736B1 (en) Funeral casket with video display unit
US8935837B2 (en) Hanging memorial
US4199848A (en) Burial urn
Pointon Casts, imprints, and the deathliness of things: Artifacts at the edge
WO2015006394A2 (en) Memorial urn
KR200420035Y1 (en) The Buddha's bones lay up type mortuary tablet of a dead person movie and image display structure
US7934298B1 (en) Memorials for deceased individuals
Scott Sebald's Photographic Annotations
KR20200073910A (en) Urn with floating hologram device
US20160353188A1 (en) In Loving Memory
Manniche The tomb of Nakht, the gardener, at Thebes (No. 161) as copied by Robert Hay
US20090101527A1 (en) Remembrance booklet
JP2009295270A (en)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and information reproducing method
Maxwell Michael Field, death, and the effigy
JP7207797B1 (en) ceremony system
JP6518855B1 (en) Tabletop tombstone
Sherlock 16 The Art of Making Memory: Epitaphs, Tables and Adages at Westminster Abbey
JP3127075U (en) Memory box
Cheeke Hazlitt and the Louvre
Pina Staging the subject: Traces of globalization in contemporary Argentine cinema
WO2016195618A1 (en) Memorial urn base
Levine Vestiges of Memory Post-Atentado: Monumental Photographs and Spaces of (Impossible) Return
KR20130004398U (en) Picture Frame
Saslow Roberto Arlt or the Subversion of Order: Confession, Madness and Modernity in Argentina in the 1920's and 1930's.
Skott Music, dreams and heal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5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