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9852Y1 - Fix-holder used at bricks wall reinforcement - Google Patents

Fix-holder used at bricks wall reinforce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9852Y1
KR200419852Y1 KR2020060004630U KR20060004630U KR200419852Y1 KR 200419852 Y1 KR200419852 Y1 KR 200419852Y1 KR 2020060004630 U KR2020060004630 U KR 2020060004630U KR 20060004630 U KR20060004630 U KR 20060004630U KR 200419852 Y1 KR200419852 Y1 KR 2004198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
holder
fix holder
slit
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4630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완섭
Original Assignee
이완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완섭 filed Critical 이완섭
Priority to KR20200600046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9852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98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9852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04G21/16Tools or apparatus
    • E04G21/18Adjusting tools; Templates
    • E04G21/1808Holders for bricklayers' lines, bricklayers' bars; Sloping br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04G21/16Tools or apparatus
    • E04G21/22Tools or apparatus for setting building elements with mortar, e.g. bricklay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적벽체 보강에 사용되는 픽스홀더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픽스의 길이방향 또는 길이의 수직방향으로 체결되어 2 이상의 픽스를 길이방향 또는 길이의 수직방향으로 서로 연결할 수 있는 픽스홀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x holder used for reinforcing masonry wall,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x holder which is faste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length and which can connect two or more fixes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length.

본 고안의 픽스홀더는, 중심을 이루는 심축을 구비하고, 상기 심축 둘레의 소정 간격 위치에서 외향 돌출된 복수의 날개를 구비하며, 상기 날개가 심축을 중심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나사처럼 감겨진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픽스와 체결되는 픽스홀더로서, 상기 픽스홀더는 원통 형상의 통형부와, 통형부 둘레의 상기 날개와 같은 소정 간격 위치에서 외향 돌출되어 상기 복수의 날개를 수용하는 복수의 날개수용부를 구비하며, 상기 날개수용부는 상기 날개의 피치와 일치하도록 통형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사처럼 감겨져 있어서, 픽스홀더를 픽스에 길이방향으로 체결할 때 픽스홀더를 픽스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면서 체결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픽스홀더에는 픽스홀더의 일측으로 트여진 형상으로서 픽스홀더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한쌍의 슬릿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픽스홀더의 일측으로부터 슬릿을 통해 픽스 또는 요철이 형성된 이형도금철선을 픽스홀더의 길이방향의 수직방향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x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enter axis, and has a plurality of wings protruding outwardly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round the mandrel, the wings being wound like screw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bout the mandrel. A fix holder fastened to a fix formed therein, the fix holder includes a cylindrical tubular portion and a plurality of wing accommodation portions projecting outward at predetermined intervals such as the wings around the cylindrical portion to accommodate the plurality of wings. The wing receiving portion is wound like a screw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ubular portion to match the pitch of the wing, so that when the fix holder is fastened to the fix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can be fastened while rotating the fix holder relative to the fix. The fix holder has a shape that is opened to one side of the fix holder and is formed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fix holder. Since a pair of slits are formed, a release-plated iron wire having a fixation or irregularities formed through a slit from one side of the fix holder can be inser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length of the fix holder.

Description

조적벽체 보강에 사용되는 픽스 홀더{FIX-HOLDER USED AT BRICKS WALL REINFORCEMENT}Fix holder used for masonry wall reinforcement {FIX-HOLDER USED AT BRICKS WALL REINFORCEMENT}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조적벽체 보강 공사에 사용되는 픽스의 형상도 및 단면도;1 is a diagram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x used in the masonry reinforcement work as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픽스와 함께 사용되는 픽스홀더의 형상도 및 단면도;2 is a top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fix holder used with the fix of FIG.

도 3은 도 1의 픽스와 도 2의 픽스홀더의 체결예를 나타낸 예시도;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fastening example of the fix of FIG. 1 and the fix holder of FIG.

도 4는 도 2의 벽체 조적시 픽스홀더와 함께 사용되는 캡의 사시도와 삼각투상도;4 is a perspective view and a triangular perspective view of the cap used with the fix holder in the wall construction of FIG.

도 5는 도 2의 픽스홀더와 도 4의 캡의 체결예를 나타낸 사시도; 그리고,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fastening the fix holder of FIG. 2 to the cap of FIG. 4; And,

도 6은 도 1, 도 2 및 도 4의 픽스, 픽스홀더 및 캡을 사용하여 조적벽체를 보강 신축하는 공법의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6 is a view showing a procedure of a method of reinforcing and stretching a masonry wall using the fix, fix holder, and cap of FIGS. 1, 2, and 4.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픽스 10: 인방 보강 픽스1: Fix 10: Liberation Reinforcement Fix

11: 심축 12: 날개11: mandatory 12: wing

2: 픽스홀더 21: 통형부2: fix holder 21: tube

22: 날개수용부 24: 슬릿22: wing receiving portion 24: slit

3: 브라캣 31: 통공3: bracat 31: through-hole

32: 탄성체결부 4: 캡32: elastic fastening part 4: cap

41: 기저부 42: 양측부41: base 42: both sides

43: 삽입부 44: 연결부43: insertion portion 44: connection portion

B: 벽돌 BH: 구멍B: brick BH: hole

C: 내벽 CH: 홀C: inner wall CH: hall

G: 갭 S: 공간G: gap S: space

T: 슬릿의 트여진 단부T: the open end of the slit

본 고안은 심축과 심축 둘레를 나선형으로 감싸는 복수의 날개를 구비하는 픽스와 길이방향으로 체결되는 픽스홀더에 관한 것으로, 픽스홀더의 일측에 픽스홀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픽스홀더의 단부로 트인 형상의 슬릿을 형성하여서, 픽스를 픽스홀더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픽스홀더에 연결할 때 상기 픽스홀더의 단부로부터 슬릿을 통해 픽스를 밀어 넣을 수 있도록 하여 픽스홀더가 벽돌과 벽돌 사이의 줄눈에 매립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픽스를 픽스홀더의 길이방향의 수직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한 픽스 홀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x having a mandrel and a plurality of wings that spirally wrap around the mandrel and a fixation holder which is faste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ich is formed along one side of the fix hold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 holder and is open to the end of the fix holder. By forming a slit in the shape, when the fix is connected to the fix hold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ength of the fix holder, the fix holder can be pushed through the slit from the end of the fix holder so that the fix holder is in the joint between the brick and the brick.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x holder capable of connecting a fix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a fix holder even in a buried state.

조적 벽체는 돌, 벽돌, 콘크리트블록(concrete block) 등을 쌓아 올려서 벽을 만드는 건축구조로서, 보강재를 사용하지 않은 벽돌구조, 석조(石造), 콘크리트블록 구조를 순조적구조(純組積構造)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내구성(耐久性)이 우 수하고, 특히 석조는 오래 전부터 사용되었던 구조이다. 구조적으로도 지진이 적은 서유럽 등에서는 각종 구조법이 사용되고 의장적(意匠的)으로도 뛰어난 아치(arch)나 돔(dome) 등이 오래 전부터 완성되어, 현재도 벽돌구조 등은 널리 사용되고 있다.A masonry wall is an architectural structure that builds a wall by stacking stones, bricks, concrete blocks, etc., and is a smooth structure of brick, stone, and concrete block structures without reinforcement. Also called. In general, the durability (耐久性) is excellent, especially the stone is a structure that has been used for a long time. In Western Europe, where there are few earthquakes, structural methods are used, and arches and domes, which are excellent in design, have been completed for a long time, and brick structures are still widely used.

벽돌구조는 단순히 벽돌만을 쌓는 것이 아니라 콘크리트 등으로 제작된 내벽의 외면에 벽돌을 쌓아올리는 것으로, 이 내벽과 벽돌간의 결합력이 매우 중요하다. 내벽과 벽돌벽 사이에 결합력이 떨어지는 경우 지진이나 충격 또는 풍압에 의해 조적하였던 벽돌이 무너져버리는 경우가 있다.The brick structure is not only stacking bricks but also stacking brick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wall made of concrete, etc., and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inner wall and the brick is very important. When the binding force between the inner wall and the brick wall falls, the brick that has been stacked may be collapsed by an earthquake, impact or wind pressure.

따라서 이들 조적된 벽돌을 내벽과 긴밀히 결합하도록 하여 벽돌이 무너져버리거나 하여 발생하는 각종 안전사고를 예방할 필요가 있다. 종래에는 이들 벽돌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심축과 나선형의 날개를 구비하는 픽스를 내벽에 박아 벽돌벽과 내벽의 결합력을 강하게 하고 있었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losely bond the masonry with the inner wall to prevent various safety accidents caused by the collapse of the brick. Conventionally, as a method for reinforcing these bricks, a fix having a mandrel and a spiral wing was embedded in the inner wall to strengthen the binding force between the brick wall and the inner wall.

그러나 픽스를 내벽에 박은 후, 픽스와 벽돌벽을 고정하는 과정에서 별도의 부품이 많이 필요하다는 불편함이 있었고, 내벽에 박힌 픽스와 픽스를 서로 견고히 연결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However, after fixing the fix on the inner wall, there were inconveniences in that a lot of separate parts were required in the process of fixing the fix and the brick wall, and there was a problem that it was difficult to firmly connect the fix and the fix on the inner wall.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내벽에 압입된 픽스와 체결되면서 동시에 압입된 픽스를 좌우방향 또는 상하방향으로 연결하여 압입된 픽스 간에 서로 견고히 연결될 수 있도록 한 픽스홀더를 제공하며, 특히 압입된 픽스를 좌우방향으로 연결하는 작업 과정이 편리한 픽스홀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fasteners are fastened to the inner wall and at the same time by pressing the indented fix in the left or right or up and down direction, the fixer to be firmly connected to each other between the indented fixes In particula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x holder which is convenient for the process of connecting the pressed fix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중심을 이루는 심축을 구비하고, 상기 심축 둘레의 소정 간격 위치에서 외향 돌출된 복수의 날개를 구비하며, 상기 날개가 심축을 중심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나사처럼 감겨진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픽스와 체결되는 픽스홀더로서, 상기 픽스홀더는 원통 형상의 통형부와, 통형부 둘레의 상기 날개와 같은 소정 간격 위치에서 외향 돌출되어 상기 복수의 날개를 수용하는 복수의 날개수용부를 구비하며, 상기 날개수용부는 상기 날개의 피치와 일치하도록 통형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사처럼 감겨져 있어서, 픽스홀더를 픽스에 길이방향으로 체결할 때 픽스홀더를 픽스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면서 체결시킬 수 있으며, 상기 픽스홀더에는 픽스홀더의 일측으로 트여진 형상으로서 픽스홀더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한쌍의 슬릿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픽스홀더의 일측으로부터 슬릿을 통해 픽스 또는 요철이 형성된 이형도금철선을 픽스홀더의 길이방향의 수직방향으로 삽입 가능하다. 이와 같은 픽스홀더는 픽스와 간단하게 결합되면서도 날개 수용부의 외관 특성상 몰탈과 일체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특히 픽스홀더만이 매설된 벽돌벽의 외부에서도 픽스 또는 요철이 형성된 이형도금철선을 픽스홀더의 길이방향의 수직방향으로 삽입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andrel that forms a center, has a plurality of wings projecting outwar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round the mandrel, the wing is wound like a screw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bout the mandrel A fix holder fastened to a fix having a true shape, wherein the fix holder includes a cylindrical tubular portion and a plurality of wing accommodation portions projecting outward at predetermined intervals such as the wings around the cylindrical portion to accommodate the plurality of wings. The wing receiving portion is wound like a screw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portion to match the pitch of the wing, when fastening the fix holder to the fix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an be fastened while rotating the fix holder relative to the fix The fix holder has a shape that extends to one side of the fix holder and is formed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fix holder. Since a pair of slits are formed, a release-plated iron wire having a fixation or irregularities formed through a slit from one side of the fix holder can be inser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length of the fix holder. Such a fix holder can be fixed to the mortar integrally due to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wing receiving part while being easily combined with the fix, and in particular, a fixed-plated iron wire having a fixed or irregularity formed outside the brick wall in which only the fix holder is embedded Can be inser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날개 및 날개수용부는 2개 또는 3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날개와 날개수용부가 2개이면 날개를 굵게 할 수 있어 굽힘력에 대한 대항 강도가 제대로 발휘되면서도 구조를 단순하게 할 수 있으며, 날개와 날개수용부가 3개이면 어떠한 방향으로 굽힘력이 작용하더라도 강도가 제대로 발휘되면서도 구조를 단순하게 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wing and the wing receiving portion consists of two or three. Two wings and two wing receiving parts can make the wings thicker, and the structure can be simplified even though the strength against the bending force is properly exhibited. Three wings and two wing receiving parts provide strength even in any direction. It can be simple but structured well.

상기 픽스홀더를 픽스와 체결하였을 때 상기 날개수용부와 날개 사이에는 픽스홀더와 픽스 사이의 진동 흡수가 가능한 갭이 존재하고, 상기 통형부와 심축 사이에는 통기가 가능한 공간이 존재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픽스홀더의 양단이 벽돌벽의 외측과 내측으로 노출되도록 하면 조적벽체이 있어서 통기공의 역할까지 하게 되며, 날개수용부와 날개 사이의 갭은 계절의 변화에 따른 열팽창정도의 차이를 흡수하여 구조물을 한층 더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When the fix holder is fastened with the fix, there is a gap between the wing receiving portion and the wing to allow vibration absorption between the fix holder and the fix, and a space for ventilation between the tubular portion and the mandrel exists. . When both ends of the fix holder are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inside of the brick wall, there is a masonry wall to act as a vent, and the gap between the wing receiving portion and the wing absorbs the difference in thermal expansion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season. I can support it more firmly.

상기 픽스홀더는 픽스홀더에 형성된 슬릿 방향에서 삽입 및 분리 가능한 캡을 더 구비하여서, 슬릿 방향으로 캡을 삽입하였을 때 상기 슬릿이 차폐되어 몰탈이 슬릿을 통해 필스홀더의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fix holder further includes a cap that can be inserted and detached in the slit direction formed in the fix holder, so that the slit is shielded when the cap is inserted in the slit direction, thereby preventing mortar from penetrating into the pillar holder through the slit. have.

상기 캡은: 대략 좌우로 긴 직사각형 형상인 기저부와; 상기 기저부의 양측에 형성된 대략 줄눈 두께의 양측부와; 상기 기저부의 중앙에서 슬릿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하며 픽스홀더의 내부에 삽입되는 대략 원기둥 형상의 삽입부와; 상기 양측부와 삽입부를 연결하며 슬릿의 간격에 대응하는 두께를 가진 연결부;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슬릿의 개구 방향이 벽돌벽의 좌우방향으로 되어 있을 때, 캡의 기저부를 좌우방향으로 정렬하여 픽스홀더에 삽입하면 픽스홀더의 슬릿에 연결부가 끼워져 캡의 양측부와 픽스홀더가 겹쳐지도록 캡이 픽스에 완전히 삽입되며, 캡의 기저부를 상하방향으로 정렬하여 픽스홀더에 삽입하면 캡의 연결부가 픽스홀더의 슬릿에 끼워지지 못하여 캡이 양측부가 픽스홀더와 겹쳐지지 않도록 삽입된 다.The cap includes: a base having a rectangular shape approximately long left and right; Both side portions having approximately joint thicknesse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ase portion; An approximately cylindrical insertion portion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slit at the center of the base portion and inserted into the fix holder; The connecting portion having a thickness corresponding to the interval between the slit and connecting the both sides and the insertion portion. Therefore, when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slit i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brick wall, when the base of the cap is align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inserted into the fix holder, the cap is inserted so that both sides of the cap and the fix holder overlap with the slit of the fix holder. When inserted into the fix holder with the base of the cap aligned vertically and inserted into the fix holder, the cap is not inserted into the slit of the fix holder and the cap is inserted so that both sides thereof do not overlap with the fix hold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픽스홀더의 일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fix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조적벽체 보강 공사에 사용되는 픽스(1)의 형상도(도 1a) 및 단면도(도 1b, 도 1c)이고, 도 2는 도 1의 픽스(1)와 함께 사용되는 픽스홀더(2)의 형상도(도 2a) 및 단면도(도 2b, 도 2c)이다.FIG. 1 is a shape view (FIG. 1A) and a cross-sectional view (FIG. 1B, FIG. 1C) of a fix 1 used in a masonry wall reinforcement work as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the fix 1 of FIG. 1. Fig. 2A and Fig. 2B and Fig. 2C are diagrams of the fix holder 2 used together.

픽스(1)는 습기 등에 부식되지 아니하며 강도가 큰 금속 재질로서, 중심을 이루는 심축(11)과 심축 둘레의 일정 간격 위치에서 외향 돌출된 복수의 날개(12)로 이루어져 있으며, 날개(12)는 심축(11)을 중심으로 픽스(1)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사처럼 감겨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날개(12)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으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도 1c 참조) 또는 3개(도 1b 참조) 정도의 날개가 형성되는 것이 강도와 구조의 단순화를 동시에 만족시킨다는 점에서 유리한 면이 있다.Fix (1) is a metal material of high strength that is not corrosive to moisture, etc., and consists of a center axis 11 and a plurality of wings 12 protrude outwar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round the axis, the wing 12 is It is made of a shape wound like a screw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 (1) around the mandrel (11). There is no limit to the number of wings 12, but it is advantageous in that two wings (see FIG. 1C) or three (see FIG. 1B), as shown in the figure, satisfy both strength and simplification of structure at the same time. There is a face.

픽스홀더(2)는 습기 등에 부식되는 않는 금속 재질,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황동 등,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원통 형상의 통형부(21)의 둘레의 일정 간격 위치에서 외향 돌출된, 상기 날개(12)의 개수와 대응하는 복수개, 바람직하게는 2개(도 2c 참조) 내지 3개(도 2b 참조)의 날개수용부(22)가 픽스홀더(2)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사처럼 감겨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픽스홀더(2)의 일측에는 픽스홀더(2)의 단부로 트여진 형상으로서 픽스홀더(2)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슬릿(24)이 한 쌍 구비되어 있다. 슬릿(24)은 픽스(1)의 날개(12)를 끼워 넣을 수 있을 정도의 간격(u)을 가진다.The fix holder 2 is made of a metal material that does not corrode moisture, for example, stainless steel, aluminum, brass, or plastic material, and protrudes outwar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round the cylindrical tubular portion 21. A plurality of, preferably two (see FIG. 2C) to three (see FIG. 2B) wing receptacles 22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wings 12 are like screw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 holder 2. It is made of a wound shape. One side of the fix holder 2 is provided with a pair of slits 24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 holder 2 in the shape of being opened to the end of the fix holder 2. The slit 24 has a gap u enough to fit the wings 12 of the fix 1.

여기서 픽스(1)의 날개(12)에 의한 피치(P)와 픽스홀더(2)의 날개수용부(22)에 의한 피치(P)는 일치한다.Here, the pitch P by the blade | wing 12 of the fix 1, and the pitch P by the blade accommodation part 22 of the fix holder 2 correspond.

도 3은 도 1의 픽스(1)와 도 2의 픽스홀더(2)의 체결예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도 3a는 픽스홀더(2)를 통해 픽스(1)를 길이방향으로 연결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3b는 픽스홀더(2)를 통해 픽스(1)를 서로 수직인 방향으로 연결한 상태를 나타내며, 도 3c 및 도 3d는 픽스(1)와 픽스홀더(2)가 체결된 상태에서의 단면도로서 도 3a의 Z-Z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fastening example of the fix 1 of FIG. 1 and the fix holder 2 of FIG. 2, and FIG. 3A shows a state in which the fix 1 is conn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rough the fix holder 2. 3B shows a state in which the fixes 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each other through the fix holder 2, and FIGS. 3C and 3D are cross-sectional views in a state in which the fix 1 and the fix holder 2 are fastened. 3A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ZZ cross section in FIG. 3A.

도 3a와 같이 픽스(1)는 픽스홀더(2)로 삽입 체결될 수 있다. 도 3c 내지 3d를 참조하면 픽스(1)의 날개(12)는 픽스홀더(2)의 날개수용부(22)에 약간의 갭(G)을 유지하며 끼워질 수 있는 형상이다. 따라서 나사를 체결하듯이 픽스(1)와 픽스홀더(2)를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면 픽스(1)는 픽스홀더(2)의 내부로 끼워져 들어갈 수 있다. 기하학적으로는 픽스(1)의 중심에서부터 날개(12)의 단부까지의 길이가 픽스홀더(2)의 중심에서부터 통형부(21)의 외면까지의 길이보다 길게 되어, 날개(12)가 날개수용부(22)와 통형부(21)의 경계부분에 간섭됨으로써, 픽스(1)가 픽스홀더(2) 내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일단 조적벽체에 픽스홀더(2)가 설치되면 픽스홀더(2)의 외부는 몰탈이 감싸고 있기 때문에 픽스(1)가 움직여 픽스홀더(2)를 가압하더라도 픽스홀더(2)가 변형되지 않으므로, 픽스(1)는 픽스홀더(2)에 의해 더욱 견고히 지지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3A, the fix 1 may be inserted into and fastened to the fix holder 2. Referring to FIGS. 3C to 3D, the wings 12 of the fix 1 are shaped to be fitted into the wing receiving portion 22 of the fix holder 2 while maintaining a slight gap G. Accordingly, when the fix 1 and the fix holder 2 are relatively rotated as the screws are fastened, the fix 1 may be inserted into the fix holder 2. Geometrically, the length from the center of the fix 1 to the end of the wing 12 is longer than the length from the center of the fix holder 2 to the outer surface of the tubular portion 21, so that the wing 12 has a wing receiving portion. Interfering with the boundary between the 22 and the tubular portion 21, the fix 1 is to be fixed in the fix holder (2). Once the fix holder 2 is installed on the masonry wall, since the outside of the fix holder 2 is covered with mortar, the fix holder 2 is not deformed even if the fix 1 moves and presses the fix holder 2, so that the fix holder 2 is not deformed. (1) is more firmly supported by the fix holder (2).

또한 도 3b와 같이 콘크리트벽과 같은 내벽(C)에 픽스(1)를 압입하여 고정한 상태에서 픽스홀더(2)를 돌려 넣어 체결한 후, 픽스홀더(2)의 일측에 형성된 슬릿 (24)의 트여진 단부(T)를 통해 또 다른 픽스(1)를 슬릿(24)의 안쪽으로 끼워넣음으로써 또 다른 픽스(1)를 픽스홀더(2)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또 다른 픽스(1) 대신, 몰탈과의 접착력이 향상되도록 요철이 형성된 이형도금철선을 사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3B, the fixer 2 is rotated and fastened in a state in which the fixer 1 is pressed into and fixed to an inner wall C such as a concrete wall, and then the slit 24 formed on one side of the fixer 2 By inserting another fix 1 into the slit 24 through the open end T, another fix 1 can be connec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 holder 2. Alternatively, instead of another fix 1,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release-plated iron wire having irregularities formed so that the adhesion to mortar is improved.

선택적으로는, 먼저 내벽(C)의 외부에 쌓는 벽돌(B; 도 6 참조) 사이의 줄눈에 픽스홀더(2)를 매립시킨 상태에서, 픽스홀더(2)를 통해 드릴로 내벽(C)에 구멍을 뚫고 다시 픽스홀더(2)를 통해 그 구멍(CH; 도 6 참조)으로 픽스(1)를 압입해 넣은 후, 또 다른 픽스(1)를 픽스홀더(2)의 슬릿(24)으로 삽입해 넣는 것도 가능하다.Optionally, in the state where the fix holder 2 is buried in the joint between the bricks B (see FIG. 6) stacked on the outside of the inner wall C, the drill is applied to the inner wall C through the fix holder 2. Drill a hole and press the fix 1 back into the hole CH (see FIG. 6) through the fix holder 2, and then insert another fix 1 into the slit 24 of the fix holder 2 You can also do it.

상기한 픽스(1)와 픽스홀더(2)는 각각 날개(12)와 날개수용부(22)가 길이방향으로 나사처럼 감겨진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나사 결합하듯이 양 부재에 상대적인 회전만 주면 체결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기계요소의 나사의 피치에 비해 본원의 픽스(1)와 픽스홀더(2)의 피치가 상대적으로 길기 때문에, 픽스(1)와 픽스홀더(2)를 서로 1 피치 정도만 겹치게 체결하더라도 길이방향으로 매우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단면 형상으로 보았을 때 픽스(1)와 픽스 홀더(2)에서 날개(12)와 날개수용부(22)가 부재의 단면계수를 크게 하여 부재의 휨 강성을 크게 해준다.Since the fix (1) and the fix holder (2) has a shape in which the wing 12 and the wing receiving portion 22 are wound like a screw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respectively, only the rotation relative to both members is fastened as the screw is engaged. This can be done very simply. In addition, since the pitch of the fixer 1 and the fixer 2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relatively long compared to the pitch of the screw of a general mechanical element, even if the fixer 1 and the fixer 2 are fastened to each other by only about one pitch,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can be tightened very firmly. When viewed in cross-sectional shape, the blades 12 and the wing receiving portion 22 in the fix 1 and the fix holder 2 increase the cross-sectional coefficient of the member to increase the bending rigidity of the member.

게다가 위와 같은 픽스(1)와 픽스홀더(2)만 있으면 도 3a와 같이 픽스홀더(2)의 양측에 두 픽스(1)를 체결하여 픽스(1)의 길이를 쉽게 연장할 수 있으며, 도 3b와 같이 픽스(1)를 픽스홀더(2)의 슬릿(24)으로 삽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픽스 (1)와 픽스(1)가 서로 수직으로 체결되는 것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게 해준다.In addition, if only the above-described fix (1) and the fix holder (2), as shown in Figure 3a, by fixing two fixes (1) on both sides of the fix holder 2, the length of the fix (1) can be easily extended, Figure 3b By allowing the fix 1 to be inserted into the slit 24 of the fix holder 2 as described above, the fix 1 and the fix 1 may have the same effect as being perpendicular to each other.

또한 도 3c 내지 도 3d에 도시되어 있듯이 픽스(1)와 픽스홀더(2) 체결시 날개(12)와 날개수용부(22) 사이에 일정 간격의 갭(G)이 있기 때문에 건축물의 보강에 상기 픽스(1) 및 픽스홀더(2)를 사용하였을 때 건축물에 발생하는 진동을 상기 갭(G)에 의해 어느 정도 흡수할 수 있으며, 계절의 변화 등에 의한 재질의 열팽창 등에도 대응할 수 있다. 또한 픽스(1)의 심축(11)과 픽스홀더(2)의 통형부(21) 사이의 공간(S)은 습기나 공기의 통풍이 가능하게 하여 물고임 등으로 인한 부식을 예방할 수 있다.Also, as shown in FIGS. 3C to 3D, when the fix 1 and the fix holder 2 are fastened, there is a gap G between the wing 12 and the wing receiving portion 22. When the fix 1 and the fix holder 2 are used, the vibration generated in the building can be absorbed to some extent by the gap G, and it is possible to cope with thermal expansion of the material due to the change of the season or the like. In addition, the space S between the mandrel 11 of the fixer 1 and the tubular portion 21 of the fixer 2 enables the ventilation of moisture or air to prevent corrosion due to water trapping.

도 4는 도 2의 벽체 조적시 픽스홀더와 함께 사용되는 캡의 사시도와 삼각투상도이고, 도 5는 도 2의 픽스홀더와 도 4의 캡의 체결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and a triangular perspective view of the cap used in conjunction with the fix holder of the wall of Figure 2,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fastening of the cap of Figure 2 and the cap of FIG.

상기한 바와 같이 픽스홀더(2)를 먼저 벽돌(B) 사이의 줄눈에 매립한 후 내벽(C)에 픽스(1)를 박아넣는 순서로 조적벽체의 보강을 진행할 때에는 줄눈에 픽스홀더(2)를 매립할 때 줄눈용 몰탈이 픽스홀더(2)의 슬릿(24)을 통해 픽스홀더(2)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이 요구된다. 그리하여 본 고안에서는 픽스홀더(2)와 세트로 사용할 수 있는 캡(4)을 안출하였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fix holder 2 is first embedded in the joint between the bricks B, and then the reinforcement of the masonry wall is carried out in the order of driving the fix 1 into the inner wall C, the fix holder 2 is attached to the joint. When embedding the structure is required to prevent the joint mortar from flowing into the fix holder 2 through the slit 24 of the fix holder (2). Thus, in the present invention, a fix holder 2 and a cap 4 that can be used as a set are conceived.

캡(4)은 픽스홀더(2)에 있어서 슬릿(24)이 형성된 단부(T)로 삽입 및 분리가 가능하며, 삽입되었을 때 슬릿(24)을 차폐해주어, 벽돌벽의 줄눈을 주입할 때 몰탈이 슬릿(24)을 통해 픽스홀더(2)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cap 4 can be inserted into and detached from the end portion T in which the slit 24 is formed in the fix holder 2, and shields the slit 24 when inserted, thereby injecting mortar when injecting the joint of the brick wall. The slit 24 is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fix holder 2.

캡(4)은, 대략 좌우로 긴 직사각형 형상인 기저부(41)와, 상기 기저부(41)의 양측에 형성된 대략 줄눈 두께의 양측부(42)와, 상기 기저부(41)의 중앙에서 슬릿 (24)의 길이(h; 도 2a 참조)에 대응하는 길이(h; 도 4b 참조)를 하며 픽스홀더의 내부에 삽입되는 대략 원기둥 형상의 삽입부(43)와, 상기 양측부(42)와 삽입부(43)를 연결하며 슬릿의 간격(u; 도 2a 참조)에 대응하는 두께(u; 도 4b 참조)를 가진 연결부(44)로 이루어져 있다.The cap 4 has a base portion 41 having a rectangular shape that is approximately long left and right, both side portions 42 having a substantially joint thicknes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ase portion 41, and a slit 24 at the center of the base portion 41. A cylindrical portion (43) having a length (h; see FIG. 4b) corresponding to the length h) (see FIG. 2a) and inserted into the fix holder, and the side portions 42 and the insertion portion. And a connecting portion 44 which connects 43 and has a thickness u (see FIG. 4B) corresponding to the spacing u (see FIG. 2A) of the slit.

캡(4)과 픽스홀더(2)의 체결방식은 두가지인데 이것이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5a를 참조한다. 픽스홀더(2)의 슬릿(24)이 좌우로 위치하도록 정렬된 상태에서 캡(4)의 기저부(41)가 좌우로 길게 정렬된 상태로 캡(4)을 픽스홀더(2)의 슬릿(24) 형성부위로 삽입하면, 픽스홀더(2)의 슬릿(24)의 간격과 캡(4)의 연결부(44)의 두께가 모두 u로 같으므로, 캡(4)의 연결부(44)가 픽스홀더(2)의 슬릿(24)에 끼워진다. 그러면 픽스홀더(2)는 그 단부(T)가 캡(4)의 기저부(41)까지 닿도록 캡(4)과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의 결과, 캡(4)의 삽입부(43)의 길이(h)가 픽스홀더(2)의 슬릿(24)의 길이와 같으므로, 픽스홀더(2)의 슬릿(24)은 삽입부(43)에 의해 차폐된다.There are two fastening methods of the cap 4 and the fix holder 2, which are shown in FIG. First, reference is made to FIG. 5A. The slit 24 of the fix holder 2 with the cap 4 in a state in which the base portion 41 of the cap 4 is left and right aligned with the slit 24 of the fix holder 2 aligned to the left and right. ), The gap between the slit 24 of the fix holder 2 and the thickness of the connecting portion 44 of the cap 4 are equal to u, so that the connecting portion 44 of the cap 4 is the fix holder. It fits in the slit 24 of (2). The fix holder 2 may then be engaged with the cap 4 such that its end T reaches the base 41 of the cap 4. As a result of this coupling, the length h of the insertion portion 43 of the cap 4 is equal to the length of the slit 24 of the fix holder 2, so that the slit 24 of the fix holder 2 is the insertion portion. It is shielded by 43.

캡(4)과 픽스홀더(2)의 또다른 체결방식은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픽스홀더(2)의 슬릿(24)이 좌우로 위치하도록 정렬된 상태에서 캡(4)의 기저부(41)가 상하로 길게 정렬된 상태로 캡(4)을 픽스홀더(2)의 슬릿(24) 형성부위로 삽입하면, 캡(4)의 연결부(44)가 픽스홀더(2)의 단부(T)와 간섭되므로, 앞서 결합방식과 달리 픽스홀더(2)는 그 단부(T)가 캡(4)의 연결부(44)에 간섭될 때까지 캡(4)과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의 결과, 픽스홀더(2)의 슬릿(24)은 최 내측이 t 만큼 개방된 채 삽입부(43)에 의해 차폐된다. 이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스홀더(2)의 단 부(T)와 간섭되는 연결부(44)의 높이가 t 이기 때문이다. 도 5b의 개방된 최 내측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릿(24)을 통해 픽스홀더(2)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삽입한 픽스(1)를 위한 공간이다.Another fastening method of the cap 4 and the fix holder 2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B. The slit 24 of the fix holder 2 with the cap 4 in a state where the base portion 41 of the cap 4 is aligned vertically with the slit 24 of the fix holder 2 aligned to the left and right. When inserted into the forming portion, since the connecting portion 44 of the cap 4 interferes with the end T of the fix holder 2, unlike the above coupling method, the fix holder 2 has an end portion T of the cap ( It may be engaged with the cap 4 until it interferes with the connection 44 of 4). As a result of this coupling, the slit 24 of the fix holder 2 is shielded by the insert 43 with the innermost side opened by t. This is because, as shown in FIG. 4B, the height of the connecting portion 44 that interferes with the end portion T of the fix holder 2 is t. The open innermost part of FIG. 5B is a space for the fix 1 inserte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 holder 2 through the slit 24 as shown in FIG. 3B.

하기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픽스(1), 픽스홀더(2) 및 캡(4)을 이용한 조적벽체의 보강 신축공법의 일례를 설명한다.Hereinafter, an example of the reinforcement expansion / construction method of the masonry wall using the fix 1, the fix holder 2, and the cap 4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도 6은 도 1, 도 2 및 도 4의 픽스, 픽스홀더 및 캡을 사용하여 조적벽체를 보강 신축하는 공법의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6 is a view showing a procedure of a method of reinforcing and stretching a masonry wall using the fix, fix holder, and cap of FIGS. 1, 2, and 4.

먼저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벽(C)이 이미 세워져 있고, 그 외부에 벽돌(B)을 쌓는 과정에서, X1 번째 단에 벽돌을 쌓은 후, 그 위에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된 캡(4)과 픽스홀더(2)를 올려 놓는다. 이 때 캡(4)의 기저부(41) 또는 픽스홀더(2)의 단부(T)가 대략적으로 벽돌(B)의 모서리 부근에 위치하도록 하며, 캡(4)의 기저부(41)가 좌우로 길게 놓여지도록 한다. 캡(4)의 기저부(41)의 두께(v; 도 4b 참조)는 대략 벽돌과 벽돌 사이의 줄눈의 높이와 일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irst, as shown in (a), the inner wall (C) is already erected, in the process of stacking the brick (B) on the outside, stacking bricks in the X1 th stage, and then bonded as shown in Figure 5a thereon Put the cap (4) and the fix holder (2). At this time, the base portion 41 of the cap 4 or the end portion T of the fix holder 2 is located approximately around the corner of the brick B, and the base portion 41 of the cap 4 is long left and right. To be placed. Preferably, the thickness v of the base 41 of the cap 4 (see FIG. 4B) should approximately match the height of the joint between the brick and the brick.

캡(4)의 기저부(41)를 길게 한 이유는, 픽스홀더(2)와 캡(4)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된 상태에서, 조적공이 단순히 캡(4)의 기저부(41)를 좌우로 길게 향하도록 벽돌(B) 상에 정렬시키는 것만으로, 픽스홀더(2)의 슬릿(24)이 좌우로 트인 상태로 정렬된 채 벽돌(B) 상에 놓여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reason why the base 41 of the cap 4 is elongated is that, in the state where the fix holder 2 and the cap 4 are coupled as shown in FIG. 5A, the masonry is simply the base 41 of the cap 4. Just to align the left and right on the brick (B), the slit 24 of the fix holder (2) is to be placed on the brick (B) aligned in the left and right state.

여기서 픽스홀더(2)는 벽돌(B)의 구멍(BH) 위를 지나가도록 위치시키게 되며, 벽돌벽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예를 들면, 좌우로 벽돌(B) 5~6개 단위)마다 복수개 배치시킨다.Here, the fix holder 2 is positioned to pass over the hole BH of the brick B, and every fixed interval (for example, 5 to 6 units of the brick B to the left and right)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brick wall. Place a plurality.

이러한 상태에서, (b)와 같이, 픽스홀더(2)의 구멍(BH) 상의 위치에 브라켓(3)을 끼워 넣는다. 브라켓(3)은 픽스홀더(2)와 체결되기 위한 탄성체결부(32)와 그 탄성체결부(32)의 일측으로 형성된 통공(31)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통공(31)은 구멍(BH)과 연통되도록 한다.In this state, as shown in (b), the bracket 3 is fitted in the position on the hole BH of the fix holder 2. The bracket 3 includes an elastic fastening portion 32 for fastening with the fix holder 2 and a through hole 31 formed at one side of the elastic fastening portion 32. The through hole 31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hole (BH).

다음으로, (c)와 같이, 브라켓(3)의 통공(31)을 통해 상하방향으로 픽스(1)를 삽입한다. 픽스(1)를 삽입한 후, 픽스(1)가 삽입된 벽돌(B)의 구멍(BH)에는 몰탈을 주입한다. 계속해서 조적공은 이 X1 번째 단의 벽돌(B) 상에 놓여진 복수개의 픽스홀더(2)가 내벽쪽으로부터 2/3정도 매립되도록 몰탈을 놓고, 즉 픽스홀더(2)의 내측 단부로부터 슬릿(24) 전(m1 참조)까지 몰탈을 놓고, 상부단의 벽돌(미도시)을 쌓는다. 이때 상부단의 벽돌에 형성된 구멍으로, 앞서 브라켓(3)에 끼운 픽스(1)가 관통되어 지나갈 수 있도록 쌓아나간다. 관통되어 지나가는 벽돌의 구멍에 몰탈을 주입해 나감은 물론이다. 이렇게 X1 단 벽돌의 상부로 일정 단(예를 들면 벽돌 5~6단)이 쌓이면, 앞서 설명한 (a) 내지 (c)의 순서를 계속 반복하여 픽스홀더(2)를 일정 간격마다 매립하면서 벽돌을 조적해 나간다. 여기서 브라켓(3)과 픽스(1)의 결합 과정에서는, 이미 아랫 단에서 배설되어 올라오는 픽스(1)를 브라켓(3)의 통공(31)을 통해 넣으면 된다. Next, as shown in (c), the fix 1 is inser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rough the through hole 31 of the bracket 3. After inserting the fix 1, mortar is inject | poured into the hole BH of the brick B in which the fix 1 was inserted. Subsequently, the masonry positions the mortar so that the plurality of fix holders 2 placed on the brick B of the X1 th stage are embedded about two-thirds from the inner wall, that is, the slit (from the inner end of the fix holder 2). 24) Place mortar until before (see m1) and pile up brick (not shown) at the top. In this case, the holes formed in the bricks of the upper end are stacked so that the fixes 1 inserted into the brackets 3 can pass through them. Of course, the mortar is injected into the hole of the brick passing through. When a predetermined stage (for example, bricks 5 to 6) is stacked on the top of the X1 stage brick, the bricks are embedded while the fix holder 2 is embedded at regular intervals by repeating the above steps (a) to (c). I'm masonry. Here, in the coupling process of the bracket 3 and the fix 1, the fix 1 which is already excreted at the lower end may be inserted through the through hole 31 of the bracket 3.

여기서 브라켓(3)의 통공(31)에 픽스(1)가 아닌, 요철이 형성된 이형도금철선을 사용하여 넣더라도 상하 방향으로 픽스홀더(2)들이 연결되는 효과를 낼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Here,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even if the non-fixed-plated iron wire having irregularities is formed in the through hole 31 of the bracket 3, the fix holders 2 may be conne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

이렇게 하면 조적공들이 할 수 있는 일은 완료된 것이다.This is what masons can do.

다음으로는 내벽에 픽스 작업을 하는 전문 작업자들이 투입된다.Next, professional workers who fix the inner wall are put in.

작업자들이 작업을 하기 직전의 조적벽체는,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스홀더(2)의 브라켓(3)을 통해 연결된 픽스(1)가 픽스홀더(2)를 상하방향으로 연결하고 있고, 픽스홀더(2)가 단부(T)에 캡(4)이 가로방향으로 씌워진 채 벽돌 사이의 줄눈에 매립되어 있는 상태이다.In the masonry wall immediately before the workers work, the fix 1 connected through the bracket 3 of the fix holder 2 connects the fix holder 2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s shown in (c) of FIG. 6. The fix holder 2 is embedded in the joint between the bricks with the cap 4 covering the end portion 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도 6의 (d)는 X1 단의 상부에 조적된 벽돌을 생략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6의 (d)를 참조하면 작업자들은 벽돌들 사이로 보이는 캡(4)을 찾아 이를 뽑아낸 후, 픽스홀더(2)의 단부(T)로 드릴을 집어넣어 픽스홀더(2)를 통해 내벽(C)에 홀(CH)을 천공한다. 홀(CH)의 직경은 내벽(C)에 박힐 후술할 픽스(1)의 직경보다 1.5~2 mm 작은 정도이다. 그리고 이 픽스홀더(2)를 통해 공구(미도시)를 사용하여 픽스(1)를 홀(CH)에 박아 넣는다. 그러면 픽스홀더(2)는 이제 내벽(C)에 단단히 고정된다.Figure 6 (d) is shown by omitting the bricks stacked on top of the X1 stage. Referring to FIG. 6 (d), the workers find and extract the cap 4 seen between the bricks, insert the drill into the end T of the fix holder 2, and then fix the inner wall through the fix holder 2. The hole CH is drilled in C). The diameter of the hole CH is about 1.5 to 2 mm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xer 1 to be described later to be embedded in the inner wall C. Then, the fixer 1 is driven into the hole CH by using a tool (not shown) through the fixer 2. The fix holder 2 is now secured to the inner wall C now.

다음으로,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스홀더(2)의 슬릿(24)을 통해 픽스(1)를 슬릿(24)의 최 내측에 밀어 넣는다. 이렇게 하면 픽스홀더(2)들은 좌우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는 것이다. 여기서 슬릿(24)에 픽스(1)가 아닌, 요철이 형성된 이형도금철선을 사용하여 넣더라도 좌우 방향으로 픽스홀더(2)들이 연결되는 효과를 낼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Next, as shown in (e), the fix 1 is pushed into the innermost part of the slit 24 through the slit 24 of the fix holder 2. In this way, the fix holders 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even if the slit 24 is used using a release-plated iron wire having irregularities instead of the fix 1, the fix holders 2 may be connec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마지막으로,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제 캡(4)을 픽스홀더(2)의 단부(T)에 대해 세로로 꽂은 후(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음), 아직 몰탈이 채워지지 않은 몰탈부분(m2)에 몰탈을 주입하여 넣는다. 여기서 캡(4)을 끼움으로써 몰탈이 슬릿(24)을 통해 픽스홀더(2)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Finally, as shown in (f), the cap 4 is now vertically inserted with respect to the end T of the fix holder 2 (as shown in FIG. 5B), and the mortar is not yet filled. Inject mortar into the mortar part (m2). By fitting the cap 4 here, mortar is prevented from entering the inside of the fix holder 2 through the slit 24.

몰탈이 주입되었으면, 마지막으로 캡(4)을 제거한다.Once the mortar has been injected, the cap 4 is finally removed.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 벽돌의 몰탈에 매몰되어 벽돌과 단단히 연결된 픽스홀더(2)들이 내벽(C)에도 강하게 연결되며, 또한 픽스홀더(2)들끼리도 서로 상하 좌우 방향으로 픽스(1) 등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이다.Through this process, the fix holders 2 buried in the mortar of the bricks and tightly connected to the bricks are strongly connected to the inner wall C, and the fix holders 2 are also fixed to each other by the fixings 1 and the like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is connected.

따라서 위와 같은 픽스, 픽스홀더, 캡 등을 사용하여 조적한 벽체는 구조적으로 견고하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wall masonry using the above fix, fix holder, cap, etc. is structurally solid.

앞서 도 6의 (a) 단계에서 픽스홀더(2)에 끼워둔 캡(4)은 픽스홀더(2)의 슬릿(24)의 방향을 정렬함과 동시에 (c) 과정에서 픽스홀더(2) 내부로 몰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d) 단계에서 작업자들이 매립된 픽스홀더(2)의 위치를 매우 쉽게 찾도록 해준다. 또한 (f) 단계에서 픽스홀더(2)에 끼워둔 캡(4)은 픽스홀더(2) 내부로 몰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그 위치의 픽스홀더(2)는 이미 작업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어 주는 지표가 된다. 따라서 픽스홀더(2)와 함께 사용되는 캡(4)은 픽스홀더(2)의 내부 공간(S)이 통기공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해줄 뿐만 아니라 작업상 굉장한 편의를 제공한다.The cap 4 fitted to the fix holder 2 in the step (a) of FIG. 6 aligns the direction of the slit 24 of the fix holder 2 and at the same time the inside of the fix holder 2 in the process (c). This prevents the mortar from entering, and in step (d) it makes it very easy for workers to locate the buried fix holder (2). In addition, the cap 4 fitted to the fix holder 2 in step (f) prevents mortar from flowing into the fix holder 2 and the fix holder 2 at the position indicates that the work has been completed. The state is an indicator. Therefore, the cap 4 used together with the fix holder 2 not only enables the internal space S of the fix holder 2 to serve as a vent, but also provides great convenience in operation.

앞선 조적 순서는 (a)~(c) 까지는 조적공들이 하고, (d)~(f)는 픽스홀더 전문 작업자들이 하도록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는데, 이는 픽스홀더를 다루는데 서투르며 기술이 부족한 조적공들의 부담과 번거로움을 최소화하고, 픽스홀더를 전문적으로 다룰 수 있는 사람들이 마무리작업을 하여 작업효율을 최대화하기 위한 순서 이다.The preceding masonry sequence was designed to allow masons from (a) to (c), and (d) to (f) to allow fix holders to work with fix holders who are not good at handling fix holders. This is the order to minimize the burden and hassle and to maximize the work efficiency by finishing work by those who can handle fix holder professionally.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픽스홀더는 건물의 둘레를 따라 내벽에 고정된 픽스를 다른 픽스와 서로 연결함으로써 조적벽체가 구조적으로 견고하게 보강 보수 또는 보강 신축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픽스홀더만으로 두 픽스를 길이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고 동시에 수직방향으로 연결할 수도 있기 때문에 많은 부품이 필요 없이 보강을 시행할 수 있어 시공 작업자에게 작업 편의성을 제공한다. 또, 날개 수용부의 외관 특성상 몰탈과 일체적으로 고정될 수 있고, 픽스홀더의 날개 수용부와 픽스의 날개 사이에 갭을 주어 열팽창 차이에 따른 간섭을 극복하고 작은 진동을 흡수할 수 있으며, 픽스홀더와 픽스 사이에 통기 가능한 공간을 마련하여 부식 및 균열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ix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masonry wall to be structurally solidly repaired or reinforced and stretched by connecting the fixation fixed to the inner wall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building with other fixes, especially with only the fix holder. The two fixings can be conn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t the same time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reinforcement can be performed without the need for many parts, thus providing the construction worker with convenience. In addition, due to the appearance characteristics of the wing receiving portion can be fixed integrally with the mortar, and can give a gap between the wing receiving portion of the fix holder and the wing of the fix to overcome the interference caused by the difference in thermal expansion and to absorb a small vibration, the fix holder A breathable space can be provided between the and the fix to prevent corrosion and cracking.

또한 픽스홀더의 일측에 픽스홀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픽스홀더의 단부로 트인 형상의 슬릿을 형성하여서, 픽스를 픽스홀더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픽스홀더에 연결할 때 상기 픽스홀더의 단부로부터 슬릿을 통해 픽스를 밀어 넣을 수 있도록 하여 픽스홀더가 벽돌과 벽돌 사이의 줄눈에 매립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픽스를 픽스홀더의 길이방향의 수직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였다.In addition, by forming a slit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 holder on one side of the fix holder and open to the end of the fix holder, the end of the fix holder when connecting the fix to the fix hold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 holder. The slit allows the fix to be pushed in from the slit so that the fix can be connected vertical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 holder even when the fix holder is embedded in the joint between the brick and the brick.

게다가 픽스홀더와 함께 사용되는 캡은 픽스홀더의 내부 공간이 통기공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해줄 뿐만 아니라 작업 지표로 사용될 수 있어 굉장한 편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cap used with the fix holder not only allows the internal space of the fix holder to act as a vent, but also can be used as an indicator of work, providing great convenience.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 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할 수 있는 바,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belongs to the scope of claims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5)

중심을 이루는 심축을 구비하고, 상기 심축 둘레의 소정 간격 위치에서 외향 돌출된 복수의 날개를 구비하며, 상기 날개가 심축을 중심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나사처럼 감겨진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픽스와 체결되는 픽스홀더로서, A fixer having a center axis, having a plurality of wings projecting outwardly at predetermined intervals around the mandrel, and fastening with a fix having a shape in which the wing is wound like a screw along its longitudinal direction about the mandrel; as, 상기 픽스홀더는 원통 형상의 통형부와, 통형부 둘레의 상기 날개와 같은 소정 간격 위치에서 외향 돌출되어 상기 복수의 날개를 수용하는 복수의 날개수용부를 구비하며, 상기 날개수용부는 상기 날개의 피치와 일치하도록 통형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사처럼 감겨져 있어서,The fix holder includes a cylindrical cylindrical portion and a plurality of wing accommodation portions projecting outward at predetermined intervals such as the wings around the cylindrical portion to accommodate the plurality of wings, wherein the wing accommodation portion has a pitch of the wings. It is wound like a screw along the length of the tubular section to match, 픽스홀더를 픽스에 길이방향으로 체결할 때 픽스홀더를 픽스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면서 체결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When the fix holder is fastened to the fix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is possible to fasten the fix holder while rotating it relative to the fix. 상기 픽스홀더에는 픽스홀더의 일측으로 트여진 형상으로서 픽스홀더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한쌍의 슬릿이 형성되어 있어서,The fix holder has a pair of slit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 holder as a shape that is open to one side of the fix holder, 상기 픽스홀더의 일측으로부터 슬릿을 통해 픽스 또는 요철이 형성된 이형도금철선을 픽스홀더의 길이방향의 수직방향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스 홀더.Fixing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to enable the insertion of the release-plated iron wire with a fix or irregularities formed from one side of the fix hold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 holde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날개 및 날개수용부는 2개 또는 3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스홀더.Fixing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wo or three wings and the wing receiving portion.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픽스홀더를 픽스와 체결하였을 때 상기 날개수용부와 날개 사이에는 픽스홀더와 픽스 사이의 진동 흡수가 가능한 갭이 존재하고, 상기 통형부와 심축 사이에는 통기가 가능한 공간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스홀더.When the fix holder is fastened with the fix, there is a gap between the wing receiving portion and the wing that can absorb vibration between the fix holder and the fix, and there is a space for ventilation between the tubular portion and the mandrel. Fix holder.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픽스홀더는 픽스홀더에 형성된 슬릿 방향에서 삽입 및 분리 가능한 캡을 더 구비하여서,The fix holder further includes a cap that can be inserted and detached in a slit direction formed in the fix holder, 슬릿 방향으로 캡을 삽입하였을 때 상기 슬릿이 차폐되어 몰탈이 슬릿을 통해 필스홀더의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스홀더.Fixing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t is shielded when the cap is inserted in the slit direction to prevent mortar from penetrating into the pillar holder through the slit.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캡은:The cap is: 대략 좌우로 긴 직사각형 형상인 기저부와;A base having a rectangular shape that is substantially left and right; 상기 기저부의 양측에 형성된 대략 줄눈 두께의 양측부와; Both side portions having approximately joint thicknesse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ase portion; 상기 기저부의 중앙에서 슬릿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하며 픽스홀더의 내부에 삽입되는 대략 원기둥 형상의 삽입부와; An approximately cylindrical insertion portion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slit at the center of the base portion and inserted into the fix holder; 상기 양측부와 삽입부를 연결하며 슬릿의 간격에 대응하는 두께를 가진 연결부;A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two sides and the insertion part and having a thickness corresponding to a gap between the slits;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스홀더.Fix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KR2020060004630U 2006-02-20 2006-02-20 Fix-holder used at bricks wall reinforcement KR200419852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630U KR200419852Y1 (en) 2006-02-20 2006-02-20 Fix-holder used at bricks wall reinforce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630U KR200419852Y1 (en) 2006-02-20 2006-02-20 Fix-holder used at bricks wall reinforce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9852Y1 true KR200419852Y1 (en) 2006-06-26

Family

ID=44482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4630U KR200419852Y1 (en) 2006-02-20 2006-02-20 Fix-holder used at bricks wall reinforce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9852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6927B1 (en) 2021-10-18 2022-07-29 피에스엔지니어링(주) The Triangle tube for truss type seismic reinforcement of existing masonry wall and seismic reinforcement method us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6927B1 (en) 2021-10-18 2022-07-29 피에스엔지니어링(주) The Triangle tube for truss type seismic reinforcement of existing masonry wall and seismic reinforcement method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4781B1 (en) Bricks wall reinforcing method
KR100538759B1 (en) Socket for reinforcing outer wall by anchor and reinforcement method and structure for outer wall using thereof
US806962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finishing a penetration in a concrete structure during construction
US20120216478A1 (en) Assembly for finishing an edge of an insulated concrete form (icf) wall
WO2007136233A1 (en) Fix holder, steel wire, bricks, and bricks wall reinforcement method thereby
US20160298329A1 (en) Inverted Grout Tube with Angled Fill Spout
US6389758B1 (en) Insulated form assembly for poured concrete wall
KR200415963Y1 (en) Fix-holder used at bricks wall reinforcement
KR200421510Y1 (en) Fix-holder used at bricks wall reinforcement
KR101186053B1 (en) Method of Constructing Insitu Concrete Beam Using Preinstalled Precast Concrete Slab
JP4440136B2 (en) Handrail support installation method
KR200419852Y1 (en) Fix-holder used at bricks wall reinforcement
KR101061015B1 (en) Method for insulating and reinnforcing masonry wall
KR100790019B1 (en) Bricks wall reinforcement method
KR20080005708A (en) Bricks wall reinforcement method
KR100711243B1 (en) Fix-holder used at bricks wall reinforcement
JP2008057257A (en) Pillar fastener, decorative cover covering the same and pillar fastening structure using these
KR20180013048A (en) FRP Permanent form for water treatment facilities
KR101965754B1 (en) Seismic retrofit PC wall panel for RC fram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0449740Y1 (en) Discrepancy roof drain
KR102415914B1 (en) Seismic reinforcement method of structure having masonry waist wall
KR102137915B1 (en) Masonry structures using triaxis holder unit for seismic reinforcement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KR102247640B1 (en) Anti-seismic reinforcing structure for preventing collapse of a masonry wall and a finishing structure for preventing collapse of the masonry wall having the same
JPH11270148A (en) Earthquake resistant reinforcement structure for column and beam member
KR101532690B1 (en) Seismic Reinforcing Precast Concrete Wall and Seismic Reinforcing Method using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